KR20100089590A -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 Google Patents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590A
KR20100089590A KR1020090008905A KR20090008905A KR20100089590A KR 20100089590 A KR20100089590 A KR 20100089590A KR 1020090008905 A KR1020090008905 A KR 1020090008905A KR 20090008905 A KR20090008905 A KR 20090008905A KR 20100089590 A KR20100089590 A KR 2010008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ollecting
dust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076B1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09000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 작업이나 연마 작업 등과 같은 수작업에 의한 가공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 흡입방식을 적용하면서 필터의 배치구조 및 공기 유로의 흐름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작업대를 구현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포집할 수 있는 등 작업조건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쾌적한 작업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한편, 필터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에어로 불어내는 방식 또는 접촉식으로 긁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탈리 기능을 갖춘 작업대를 구현함으로써, 분진이나 먼지의 탈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필터의 기능 및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집진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제공한다.
연삭, 연마, 작업대, 집진기능, 필터, 탈리,에어펄스

Description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Worktable providing dust coll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작업이나 연마 작업 등과 같은 수작업은 대부분 단순한 형태의 테이블 위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들의 경우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별다른 집진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관계로 작업자가 그대로 들이마시는 문제가 있고, 작업장 주변 환경 또한 매우 지저분해져서 제2의 작업장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그라인더 등으로 연삭 작업을 할 때에는 그 가공물체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분진, 금속가루, 소음, 가스 등이 발생하면서 작업장 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열악한 작업환경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환풍기 등을 가동시켜 작업장 밖으로 배출시킨다거나, 분진 차단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정도 가 고작이었다.
결국, 작업환경이 나빠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친다는 이유 등으로 연삭 작업 등과 같은 수작업에 의한 가공작업을 기피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또한, 작업장 밖으로 배출되는 일부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 환경을 오염시켜 주위가 모두 유해 공기로 가득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분진 등을 집진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작업대가 일부 제시되고는 있으나,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면적이 적어 원하는 만큼의 용량이 나오지 않는 등 효과가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고, 또 필터에 달라붙어 있는 분진 등을 탈리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쉽게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소음이 매우 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 흡입방식을 적용하면서 필터의 배치구조 및 공기 유로의 흐름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작업대를 구현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포집할 수 있는 등 작업조건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쾌적한 작업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집진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에어로 불어내는 방식 또는 접촉식으로 긁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탈리 기능을 갖춘 작업대를 구현함으로써, 분진이나 먼지의 탈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필터의 기능 및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집진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윗면은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 테이블로 되어 있고 내부는 다수의 벽체에 의해 블로어 설치를 위한 중앙의 공간, 필터 설치를 위한 양옆의 공간 및 공기 흐름경로 확보를 위한 뒷쪽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옆 공간 내에 수평 자세로 설치되어 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 필터, 상기 본체의 중앙 공간 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 는 블로어, 상기 집진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탈리 장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업 테이블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함유하는 공기를 작업 테이블상의 홀을 통해 필터 설치 공간으로 유입하고, 이렇게 유입한 공기 중의 분진을 필터로 포집한 다음, 계속해서 공기가 뒷쪽 공간을 경유한 후, 블로어 설치 공간쪽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공기 유로의 흐름 형태를 이용하여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는 고정식의 장원형 또는 원형 필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 필터로 이루어진 집진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또 고정식의 필터인 경우에는 에어 펄스 방식, 회전식의 필터인 경우에는 패드 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주기적으로 털어내는 탈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필터를 수평 배치하고 본체 뒷쪽을 경유하는 공기의 흐름 경로를 조성함으로써, 분진이나 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면적 및 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등 연삭 작업이나 연마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의 건강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에어 펄스 방식 또는 패드 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필터에 달라붙어 있는 분진을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여과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구 수명을 오래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회전하는 필터의 표면에 직접 패드를 접촉시켜 탈리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탈리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고 미세한 분진까지도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작업을 위한 작업대와 집진수단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작업대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작업대를 원하는 곳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의 본체(13)는 캐비넷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윗면은 절단 및 가공 작업 등을 할 수 있는 일정면적의 작업 테이블(11)로 되어 있고, 아래쪽에는 적어도 4세트의 바퀴(28)와 고정대(29)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3)는 소형의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옮긴 위치에서는 공지의 고정대(29)를 조작하여 작업장 바닥에 본체(13)를 고정시킨 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11)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홀(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홀(10)을 통해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나 가스 등이 곧바로 그 아래쪽인 본체(13)의 내부로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3)에는 전면에 블로어 모터의 가동 등을 위한 스위치류와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의 차압계(Manometor)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3)의 내부는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3)의 내부 좌우 길이방향으로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2개의 벽체(12)에 의해 가운데의 블로어(15)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양옆의 필터 설치를 위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전후 폭방향으로도 필터 설치를 위한 공간의 뒷쪽을 각각 막아주는 형태로 벽체(12)가 세워짐으로써 본체 내부 뒷쪽으로 구획된 공간이 조성된다.
이에 따라, 블로어(15)가 작동을 개시하면, 도 1과 도 2에서 화살표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작업 테이블(11)의 홀(10)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가 속해 있는 공간을 충분히 경유하면서 필터링 된 후, 뒷쪽의 공간으로 흘러가게 되고, 계속해서 블로어가 속해 있는 공간으로 진행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15)가 속해 있는 공간의 아래쪽에는 바닥이 천공된 형태로 이루어진 에어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공기가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도 필터가 속해 있는 공간의 바닥쪽에는 수납 및 인출이 분진 수집함(26)이 설치되어 있어서 필터를 빠져나기 못하고 밑으로 떨어지는 분진, 필터 탈리시 밑으로 떨어지는 분진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3)의 내부 양옆쪽 공간, 즉 블로어(15)를 가운데 두고 그 양옆쪽 공간에는 다수 개의 집진 필터(14)가 설치되며, 이때의 집진 필터(14)는 일종의 카트리지 필터로 이루어져 있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나 미세한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키는 일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대수 개의 집진 필터(14)는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벽체(12)에 한쪽이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필터 내측은 본체 내부의 뒷쪽 공간과 통하게 되는 동시에 필터 외측은 필터가 속해 있는 공간과 통하게 되므로서,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뒷쪽 공간을 거쳐 블로어(15)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쪽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분진은 밑으로 떨어져 분진 수집함(26)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집진 필터(14)는 도시한 바와 같은 장원형의 단면을 갖는 필터나 비록 고정되는 형태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여러 형태의 단면을 갖는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필터는 그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13)의 내부에는 블로어(15)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의 상부에 삿갓 모양의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테이블(11)의 중앙부분에 있는 홀(10)들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은 블로어측으로 직접 가지 않고 필터가 속해 있는 공간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3)의 내부에는 집진 필터(14)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의 상 부에 완만하게 휘어진 형태의 버플판(18)이 설치된다.
이때의 버플판(19)은 집진 필터(14)의 윗쪽 공간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 테이블(11)의 홀(10)을 통해 유입되는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가 필터 윗부분에만 집중적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결국 공기의 흐름을 아래쪽으로 유도하면서 필터의 전체 둘레 면적에 걸쳐 고른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작업대는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주기적으로 털어줄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필터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 필터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13)의 내부 뒷쪽 공간에는 에어 펄스 방식으로 분진을 털어주는 탈리 장치(16)가 설치되고, 이때의 탈리 장치(16)는 외부의 고압 에어라인과 차례로 연결되는 에어 필터(22), 솔레노이드 밸브(20), 노즐을 갖는 에어 분사관(19)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집진 필터(14)의 후단부 쪽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집진 필터(14)의 여과효율을 일정수준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작업대 사용 후, 주기적으로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분진을 탈리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제공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0)가 ON 되면서 에어 분사관(19)을 통해 압축공기가 토출되고, 이때의 고압의 압축공기가 필터의 내벽을 강하게 쳐주게 되므로, 필터 바깥쪽에 붙어 있는 분진은 필터로부터 탈리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작업대의 경우 주기적으로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털어주게 되므로,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필터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업대는 본체 윗면의 작업 테이블(11), 본체 내부의 블로어(15), 집진 필터(14) 및 탈리 장치(16)를 일체식으로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소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작업대의 내부에서 직접 집진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대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실제 작업시의 경우, 작업 테이블(11) 상에서 연마나 연삭, 절단이나 가공 작업 등을 하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분진 등은 블로어(15)의 가동과 함께 곧바로 작업 테이블(11)을 홀(10)을 통해 본체(13)의 내부로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분진 등은 필터 수평배치 구조의 개선 등으로 인해 충분한 여과용량이 확보되어 있는 다수의 집진 필터(14)에 의해 여과되어 제거되므로, 분진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 사용 후, 또는 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는 탈리 장치(16)를 이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수준의 필터 집진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작업대의 관리나 취급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 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는 본체 내부의 구획된 공간 구조, 필터의 수평 배치 구조, 공기의 흐름 경로 등이 위의 일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고 이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 또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집진 필터(14)의 설치 구조와 탈리 장치(16)의 탈리 방식에 대한 다른 예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필터(14)는 원형의 필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이 축지지되면서 본체 내부의 벽체(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집진 필터(14)의 회전을 위해 필터 일측에는 벽체(12)상에 지지되는 모터(17)가 위치되고, 이때의 모터(17)와 집진 필터(14)는 전동기어(24a),(24b)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 회전시 집진 필터 또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터(17)의 축에 장착되는 전동기어(24a)와 집진 필터(14)의 한쪽 단부에 장착되는 전동기어(24b)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모터(17)의 동력이 전동기(24a),(24b)를 통해 집진 필터(14)의 회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집진 필터(14)가 회전식의 형태로 갖추어짐에 따라 탈리 장치(16)는 필터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털어낼 수 있다.
즉, 상기 탈리 장치(16)는 필터에 달라붙어 있는 분진을 접촉식으로 직접 긁 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집진 필터(14)의 아래쪽에는 필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패드(23)가 설치되고, 이 패드(23)의 양단은 본체(13)의 벽체(12)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23)는 공지의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한 자동 조작이나 레버(25)를 이용한 수동 조작에 의해 세워지면서 필터 표면과 접촉할 수 있거나, 눕혀지면서 필터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의 패드(23)는 고무나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 패드(23)에 구비되는 레버(25)의 경우 본체(13)의 내부나 외부 등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만 있으면 그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 작업을 수행한 후, 또는 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 탈리 장치(16)를 이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경우, 먼저 레버 조작을 통해 패드(23)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면, 패드(23)의 폭방향 단부가 집진 필터(14)의 전체 길이구간에 걸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17)를 작동시켜 집진 필터(14)를 회전시키면, 패드(23)가 상대적으로 집진 필터(14)의 표면을 긁어내는 상태가 되므로, 필터 표면에 붙어 있는 분진 등이 쉽게 탈리될 수 있고, 특히 패드(23)가 필터 표면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강제로 긁어내기 때문에 흡착성이 강한 미세한 분진까지도 효과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탈리시 필터 표면을 직접 긁어내는 방식으로 탈리를 수행함으로써, 탈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서 탈리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에서 탈리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 11 : 작업 테이블
12 : 벽체 13 : 본체
14 : 집진 필터 15 : 블로어
16 : 탈리 장치 17 : 모터
18 : 버플판 19 : 에어 분사관
20 : 솔레노이드 밸브 21 : 에어 배출구
22 : 에어 필터 23 : 패드
24a,24b : 전동기어 25 : 레버
26 : 분진 수집함 27 : 가이드
28 : 바퀴 29 : 고정대

Claims (7)

  1. 윗면은 다수의 홀(10)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 테이블(11)로 되어 있고 내부는 다수의 벽체(12)에 의해 블로어 설치를 위한 중앙의 공간, 필터 설치를 위한 양옆의 공간 및 공기 흐름경로 확보를 위한 뒷쪽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의 양옆 공간 내에 수평 자세로 설치되어 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 필터(14)와, 상기 본체(13)의 중앙 공간 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15)와, 상기 집진 필터(14)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탈리 장치(16)를 포함하며, 작업 테이블의 홀을 통해 필터 설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뒷쪽 공간을 경유한 후에 블로어 설치 공간으로 유도되는 공기 유로의 흐름 형태를 이용하여 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 필터(14)는 본체(13)의 벽체(12)에 고정 설치되는 장원형 또는 원형의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 필터(14)는 본체(13)의 벽체(12)에 양단 지지되면서 모터(17)의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필터(14)에는 윗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면서 필터의 상부를 커버하는 버플판(18)이 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리 장치(16)는 본체(13)의 뒷쪽 공간 내에 설치되고 집진 필터(14)의 후면쪽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펄스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리 장치(16)는 집진 필터(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필터 표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분진을 긁어내는 패드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탈리 장치(16)에서 패드는 벽체(12)에 양단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면서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탈리시 세워져 필터 표면과 접촉했다가 평상시 눕혀져 필터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20090008905A 2009-02-04 2009-02-04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1104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05A KR101104076B1 (ko) 2009-02-04 2009-02-04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05A KR101104076B1 (ko) 2009-02-04 2009-02-04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590A true KR20100089590A (ko) 2010-08-12
KR101104076B1 KR101104076B1 (ko) 2012-01-10

Family

ID=4275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05A KR101104076B1 (ko) 2009-02-04 2009-02-04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2692A (zh) * 2013-04-24 2013-08-21 苏州市科林除尘设备有限公司 用于钢管内壁磨削的除尘机
KR20150072629A (ko) *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CN110977778A (zh) * 2019-12-31 2020-04-10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高效集尘打磨工作台
CN112060036A (zh) * 2019-05-25 2020-12-11 东莞市红昱电子有限公司 一种能够防尘的汽车喇叭保存装置及其方法
CN115415905A (zh) * 2022-09-02 2022-12-02 韩俊可 一种厂房、车间除尘机构
CN117138501A (zh) * 2023-11-01 2023-12-01 昊朗科技(佛山)有限公司 一种固废分离与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82B2 (ja) * 1991-09-30 1996-01-24 金沢樹脂工業株式会社 組立式フォークリフト用パレット
JP3697691B2 (ja) 2001-10-02 2005-09-21 木村化工機株式会社 核燃料物質含有ダスト捕集装置
JP4657619B2 (ja) * 2004-03-31 2011-03-2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アクセス権管理方法
KR100620071B1 (ko) * 2004-07-13 2006-09-08 김경인 집진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2692A (zh) * 2013-04-24 2013-08-21 苏州市科林除尘设备有限公司 用于钢管内壁磨削的除尘机
KR20150072629A (ko) *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CN112060036A (zh) * 2019-05-25 2020-12-11 东莞市红昱电子有限公司 一种能够防尘的汽车喇叭保存装置及其方法
CN110977778A (zh) * 2019-12-31 2020-04-10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高效集尘打磨工作台
CN110977778B (zh) * 2019-12-31 2021-06-1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高效集尘打磨工作台
CN115415905A (zh) * 2022-09-02 2022-12-02 韩俊可 一种厂房、车间除尘机构
CN115415905B (zh) * 2022-09-02 2024-01-26 宁阳创研铸造有限公司 一种厂房、车间除尘机构
CN117138501A (zh) * 2023-11-01 2023-12-01 昊朗科技(佛山)有限公司 一种固废分离与收集装置
CN117138501B (zh) * 2023-11-01 2024-02-20 昊朗科技(佛山)有限公司 一种固废分离与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076B1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CN108581846A (zh) 一种车间用打磨除尘工作台
JP4112441B2 (ja) 粉塵類の回収装置
KR100941942B1 (ko) 집진 테이블
CN115106867A (zh) 一种基于dsp控制的高精度双面加工磨床
KR102051460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102155700B1 (ko) 오일미스트 집진장치
CN203648313U (zh) 石材打磨除尘装置
CN220083717U (zh) 一种氧化镧铈抛光粉煅烧窑
CN202682975U (zh) 不锈钢水槽抛光粉尘除尘装置
KR200457905Y1 (ko) 필터교환이 용이한 그라인더 집진기
KR101067147B1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CN202846367U (zh) 除尘立式砂轮机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CN210874647U (zh) 一种组合式废气净化装置
CN211867334U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建筑施工用墙面打磨装置
JP2005046671A (ja) 集塵装置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CN113499660B (zh) 一种五金制品生产加工用除尘设备
CN216463711U (zh) 湿式集尘除尘磨削一体机
CN218304698U (zh) 一种带有散热功能的吸尘装置的主机及应用其的清洁设备
CN210081494U (zh) 一种打磨除尘工作台
KR101480799B1 (ko) 로봇청소기의 필터 자동교환장치
CN213101218U (zh) 一种干式打磨除尘设备
CN219073230U (zh) 一种油雾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