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779B1 - 다연식 집진기 구조 - Google Patents

다연식 집진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779B1
KR100925779B1 KR1020090040106A KR20090040106A KR100925779B1 KR 100925779 B1 KR100925779 B1 KR 100925779B1 KR 1020090040106 A KR1020090040106 A KR 1020090040106A KR 20090040106 A KR20090040106 A KR 20090040106A KR 100925779 B1 KR100925779 B1 KR 10092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ose
suction device
dust coll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호
Original Assignee
차순호
동부산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호, 동부산업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순호
Priority to KR102009004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블로어의 작동으로 흡입호스를 통해 집진통으로 집진되어지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먼지분할흡입장치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에 선별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 작업성 및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연식 집진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집진하게 되는 집진기 구조에 있어서, 이송바퀴(2)가 형성되어진 거치대(1)와; 상기 거치대(1)의 일측 상면에 각종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구(4)가 형성되어지는 에어블로어(3)와; 상기 에어블로어(3)에 연결되어지는 연결호스(5)와; 상기 거치대(1)의 최상단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호스(5)와 연결되어지는 먼지분할흡입장치(10)와;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에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집진호스(6)와; 상기 거치대(1)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집진호스(6)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8)가 장착되어진 집진통(7);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지게 되는 몸통(11)과, 상기 몸통(11) 상단부에 고정되어 몸통(11)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덮개(12)와, 상기 몸통(11) 내부에 형성되어지게 되는 크랭크축(13)과, 상기 크랭크축(13)에 구동풀리(15)로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을 회전시키게 되는 감속모터(14)와, 상기 덮개(12) 상부에 형성되어 집진호스(6)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내면 으로 관통홀(17)이 형성되어지는 장착편(16)과, 상기 덮개(12) 안쪽면에 형성되어 각 장착편(16)의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크랭크축(13)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개폐판(18)이 형성되어진다.
집진기, 에어블로어, 먼지분할흡입장치, 몸통, 덮개, 크랭크축, 실린더

Description

다연식 집진기 구조{Multi connection type dust coll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다연식 집진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호스를 통해 집진통으로 집진되어지는 먼지를 먼지분할흡입장치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에 선별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 작업성 및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연식 집진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먼지를 포집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이다.
보통 집진기는 먼지와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한 후, 집진기 내부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에서 걸러서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필터 카트리지에 집진된 분진은 콤프레서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관으로 일정한 시간과 간격으로 필터 카트리지에 역분사시킴으로써, 필터 카트리지의 외부 표면에 집착된 분진을 탈리시켜 하부의 분진 배출기를 통하여 분진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집진기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 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에 따른 집진기는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140)가 구비된 다연식 집진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연식 집진기는 에어블로어(100)의 작동에 따라 흡입구(110)로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은 연결호스(120)를 통해 집진통(130)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상기 집진통(130) 내부의 필터 카트리지(140)에 집진되어지며, 상기 집진통(130)에 연결된 배출호스(150)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140)에서 걸러서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어진다.
또한, 상기 집진통(130)에 연결되어지는 연결호스(120)는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호스(120)가 전체 필터 카트리지(140)에 연통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연식 집진기는 필터 카트리지(140)에 걸리는 먼지를 필터 카트리지(140)로부터 플러싱(flushing)하여야 하는데, 이때 플러싱은 에어를 이용한 에어 플러싱(air flushing) 방법을 채용하였다.
상기의 에어 플러싱 방법은 분진이 필터 카트리지에 쌓이게 되면 작업을 중단하고 에어를 불어서 필터 카트리지에 붙어 있는 분진을 떨어뜨리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 카트리지 전체가 하나의 연결호스에 연통되어지게 됨으로 에어 플러싱하는 동안에는 집진 작업을 할 수 없어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블로어의 작동에 따라 흡입구 및 연결호스를 통과한 먼지 및 이물질 등의 분진이 집진통으로 집진되기전 먼지분할흡입장치에서 분진을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에 개별적으로 집진시키게 됨으로 에어 플러싱(air flushing)하는 동안에도 집진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먼지분할흡입장치에 의해 먼지를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로 선별적으로 집진시키게 됨으로 기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로 먼지를 집진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다른 필터 카트리지에 걸러진 분진을 탈리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연식 집진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일측에 먼지 및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진 에어블로어와, 상기 에어블로어에 연결되어지는 연결호스와, 상기 거치대 상단부에 연결호스와 연결되어지는 먼지분할흡입장치와,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에 연결되어진 다수의 집진호스와, 상기 각각의 집진호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지는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되어지는 집진통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분할흡입장치는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어지는 몸 통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몸통 내부에는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각각의 집진호스를 번갈아가면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집진호스를 막고 있는 개폐판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크랭크축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식 집진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블로어에 먼지분할흡입장치를 연결호스로 연결하고 먼지분할흡입장치에 집진통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집진호스를 연결하게 됨으로 에어블로어의 작동에 따라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통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 전체에 한번에 분사하지 않고 먼지분할흡입장치에서 다수의 집진호스를 선별적으로 개폐시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에 번갈아가면서 집진시킬 수 있게 되어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진호스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다른 필터 카트리지에 쌓여진 분진을 떨어뜨릴 수 있어 분진처리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 플러싱하는 동안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와 집진호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집진하게 되는 집진기 구조에 있어서,
이송바퀴(2)가 형성되어진 거치대(1)와;
상기 거치대(1)의 일측 상면에 각종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구(4)가 형성되어지는 에어블로어(3)와;
상기 에어블로어(3)에 연결되어지는 연결호스(5)와;
상기 거치대(1)의 최상단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호스(5)와 연결되어지는 먼지분할흡입장치(10)와;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에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집진호스(6)와;
상기 거치대(1)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집진호스(6)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8)가 장착되어진 집진통(7);
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연결호스(5)에는 에어블로어(3)로부터 분사되어지는 분진 및 에어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조절밸브(51) 및 압력계(52)가 구비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지게 되는 몸통(11)과, 상기 몸통(11) 상단부에 고정되어 몸통(11)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덮개(12)와, 상기 몸통(11) 내부에 형성되어지게 되는 크랭크축(13)과, 상기 크랭크축(13)에 구동풀리(15)로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을 회전시키게 되는 감속모터(14)와, 상기 덮개(12) 상부에 형성되어 집진호스(6)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내면으로 관통홀(17)이 형성되어지는 장착편(16)과, 상기 덮개(12) 안쪽면에 형성되어 각 장착편(16)의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크랭크축(13)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개폐판(18)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통(11)은 내부에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 에어블로어(3)의 작동에 따라 연결호스(5)로 분사되는 공기를 상기 집진호스(6)로 보낼 수 있도록 에어유입부(11a)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덮개(12)는 몸통(11) 상부에 피스나 볼트 등의 체결구(19)로 고정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개폐판(18)은 덮개(12)에 고정되어지는 고정편(18a)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편(18a)에 경첩(20)으로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의 작동에 따라 경첩(20)을 축으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홀(17)을 개폐시키게 되는 작동편(18b)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먼지분할흡입장치(10)의 다른 일 예를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연결호스(5)와 연결되어지는 몸통(11) 내부에 덮개(12)에 형성된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2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각각의 실린더(20) 상단부에는 실린더(20)의 작동에 따라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밀폐판(21)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실린더(20)는 유압이나 공압 공급관(22)이 컨트롤러(30)와 연결 접지되어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유압이나 공압 공급관(22)을 통해 실린더(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이나 공압이 실린더(20) 내부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필터 카트리지(8)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어지게 되는 배출호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에어블로어(3)를 작동시켜 흡입구(4)를 통해 산업현장의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흡입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4)로 흡입되어지는 각종 분진은 연결호스(5)를 통과하면서 상기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지는 먼지분할흡입장치(10)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5)를 통해 먼지분할흡입장치(10)로 공급되어지는 분진 및 에어의 량이 과다하게 공급되어질 경우 에어조절밸브(51)를 조절하여 분진 및 에어를 적정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모터(14)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감속모터(14)에 연결된 구동풀리(15)가 구동되어짐에 따라 크랭크축(13)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크랭크축(13)이 회전되면서 상기 덮개(12) 안쪽면에 형성되 어 있는 각각의 개폐판(18)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관통홀(17)을 선별적으로 개폐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크랭크축(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판(18)의 작동편(18b)이 경첩(20)을 축으로 승하강하면서 관통홀(17)을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실린더(20)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지게 되면서 상기 실린더(20) 상단에 형성된 승하강밀폐판(21)이 관통홀(17)을 선별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의 몸통(11) 내부에 형성된 에어유입부(11a)로 유입되어지는 분진이 상기 관통홀(17)의 선별적인 개방으로 각각의 집진호스(6)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상기 각각의 집진호스(6)는 집진통(7)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8)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져 각종 분진이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8)에 번갈아가면서 집진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는 상기 집진호스(6)를 선별적으로 개방시키게 되는 먼지분할흡입장치(10)를 구비하게 됨으로 필터 카트리지(8)로의 분진 포집은 물론 필터 카트리지(8)에 집진된 분진의 처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호스(6)의 선별적인 개방으로 필터 카트리지(8)에 분진이 종래에서처럼 한꺼번에 집진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포집되어지게 되어 기기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집진기의 연결호스와 필터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절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조의 먼지분할흡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와 집진호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분할흡입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먼지분할흡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치대 2 : 이송바퀴
3 : 에어블로어 4 : 흡입구
5 : 연결호스 6 : 집진호스
7 : 집진통 8 : 필터 카트리지
10 : 먼지분할흡입장치 11 : 몸통
11a : 에어유입부 12 : 덮개
13 : 크랭크축 14 : 감속모터
15 : 구동풀리 16 : 장착편
17 : 관통홀 18 : 개폐판
18a : 고정편 18b : 작동편
19 : 체결구 20 : 실린더
21 : 승하강밀폐판 22 : 공급관
30 : 컨트롤러

Claims (7)

  1.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집진하게 되는 집진기 구조에 있어서,
    이송바퀴(2)가 형성되어진 거치대(1)와;
    상기 거치대(1)의 일측 상면에 각종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구(4)가 형성되어지는 에어블로어(3)와;
    상기 에어블로어(3)에 연결되어지는 연결호스(5)와;
    상기 거치대(1)의 최상단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호스(5)와 연결되어지는 먼지분할흡입장치(10)와;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에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집진호스(6)와;
    상기 거치대(1)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집진호스(6)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8)가 장착되어진 집진통(7);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지게 되는 몸통(11)과, 상기 몸통(11) 상단부에 고정되어 몸통(11)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덮개(12)와, 상기 몸통(11) 내부에 형성되어지게 되는 크랭크축(13)과, 상기 크랭크축(13)에 구동풀리(15)로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을 회전시키게 되는 감속모터(14)와, 상기 덮개(12) 상부에 형성되어 집진호스(6)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내면으로 관통홀(17)이 형성되어지는 장착편(16)과, 상기 덮개(12) 안쪽면에 형성되어 각 장착편(16)의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크랭크축(13)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개폐판(18)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몸통(11)은 내부에 연결호스(5)와 연통되어 연결호스(5)로 분사되는 공기를 상기 집진호스(6)로 보낼 수 있도록 에어유입부(11a)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덮개(12)는 몸통(11) 상부에 피스나 볼트의 체결구(19)로 고정되어지며,
    상기 개폐판(18)은 덮개(12)에 고정되어지는 고정편(18a)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편(18a)에 경첩(20)으로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의 작동에 따라 경첩(20)을 축으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홀(17)을 개폐시키게 되는 작동편(18b)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식 집진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할흡입장치(10)는 상기 연결호스(5)와 연결되어지는 몸통(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몸통(11)에 고정되어지되 다수의 관통홀(17)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몸통(11) 내부에 덮개(12)에 형성된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30)와 공급관(22)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실린더(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실린더(20) 상단부에는 실린더(20)의 작동에 따라 관통홀(17)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밀폐판(2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식 집진기 구조.
  7. 삭제
KR1020090040106A 2009-05-08 2009-05-08 다연식 집진기 구조 KR10092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06A KR100925779B1 (ko) 2009-05-08 2009-05-08 다연식 집진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06A KR100925779B1 (ko) 2009-05-08 2009-05-08 다연식 집진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779B1 true KR100925779B1 (ko) 2009-11-11

Family

ID=415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106A KR100925779B1 (ko) 2009-05-08 2009-05-08 다연식 집진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7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629A (ko) *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KR102091074B1 (ko) * 2019-09-19 2020-03-19 인영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분진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102572741B1 (ko) * 2023-06-14 2023-08-31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CN116982874A (zh) * 2023-09-27 2023-11-03 全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352A (en) * 1982-10-22 1986-10-21 Nelson Robert T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352A (en) * 1982-10-22 1986-10-21 Nelson Robert T Dust collec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629A (ko) *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KR101588345B1 (ko) 2013-12-20 2016-01-25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KR102091074B1 (ko) * 2019-09-19 2020-03-19 인영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분진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102572741B1 (ko) * 2023-06-14 2023-08-31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CN116982874A (zh) * 2023-09-27 2023-11-03 全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CN116982874B (zh) * 2023-09-27 2023-12-08 全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79B1 (ko) 다연식 집진기 구조
EP1584279A3 (en) Filtering device for vaccum cleaner
KR20150033502A (ko)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JP6251700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回収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具えた舗装材切断装置
JP3697698B2 (ja) 集塵装置
KR200443514Y1 (ko) 집진기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CN113529630A (zh) 具备滤芯除尘功能的过滤装置
CN104652333B (zh) 扫地机内置双通道交替振动清尘装置
CN208302401U (zh) 除尘器
KR200230483Y1 (ko) 흡입하강기류를 이용한 고성능 집진장치
CN108636001B (zh) 钢袋式除尘器灰斗
CN202725599U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CN206391779U (zh) 一种中央集尘工作站
KR100516979B1 (ko) 여과집진시설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KR200310131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N212777564U (zh) 一种油烟净化一体机
CN220878144U (zh) 一种纺织除尘器
JP6346871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捕集装置 並びにその舗装材切断装置
CN217946498U (zh) 斗式提升装置
CN210786613U (zh) 一种可智能控制的高效型滤筒除尘器
JP3603730B2 (ja) 風綿処理装置
KR200310132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CN215333435U (zh) 一种罗茨螺杆真空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