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133Y1 -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133Y1
KR200310133Y1 KR20-2002-0038192U KR20020038192U KR200310133Y1 KR 200310133 Y1 KR200310133 Y1 KR 200310133Y1 KR 20020038192 U KR20020038192 U KR 20020038192U KR 200310133 Y1 KR200310133 Y1 KR 20031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cloth
work
chamb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서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석 filed Critical 서현석
Priority to KR20-2002-0038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대 자체에 설치된 집진장치에 의해 집진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명의 작업자가 하나 또는 여러대의 집진장치에 의해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총괄하여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대의 외측면 하부에 구비된 여과포 털이봉를 전후로 반복하여 흔듬에 따라 여과포에 붙어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실로 낙하하여 번거롭게 자주 필터의 교환 및 청소가 필요없이 장기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공간을 작업대상물의 크기 및 부피에 따라 일정한 한계까지는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서 작업공간의 고정화에 따른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차단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10)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흡입구(11) 하부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20)의 후방 끝부에는 통로(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21)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덕트(2)와, 외부에는 여과포 털이봉(30)이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31)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31)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21)의 진입부에는 격판(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33) 양측에는 통기공(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31)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32)을 통해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된 공기여과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팬(40) 및 배출구(41)와 모우터(42)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44)이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4)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5)과, 상기 공기여과실(3)과 집진실(5)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6)가 결합되어 있는 것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는 방음패드(7)가 구비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기존 집진장치와는 달리 작업자 일인이 작업하는 작업대 마다 집진장치가 구비됨으로서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 방음패드(7)를 구비함으로서 모우터구동실(4)의 모우터(42) 및흡입팬(40)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1)를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한도내에서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함에 있어 편리하고 또한 별도의 여과포털이봉(30)을 본 고안의 하부 측면에 구비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시 여과포(31)의 교체에 앞서 일단 상기 여과포털이봉(30)을 이용하여 여과포(31)에 부착된 먼지등을 일단 낙하시켜 여과포(31)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Dust collector and work shelf for on person to regulate the work space}
본 고안은 작업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대 자체에 설치된 집진장치에 의해 집진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명의 작업자가 하나 또는 여러대의 집진장치에 의해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총괄하여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대의 외측면 하부에 구비된 여과포 털이봉를 전후로 반복하여 흔듬에 따라 여과포에 붙어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실로 낙하하여 번거롭게 자주 필터의 교환 및 청소가 필요없이 장기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공간을 작업대상물의 크기 및 부피에 따라 일정한 한계까지는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서 작업공간의 고정화에 따른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장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유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로서 먼지등의 분진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사용된다.
즉, 의류, 제사, 면방, 제분, 황토제품, 연마, 시멘트 등의 많은 공장이나 제철소와 같이 공기중에 많은 먼지와 분진이 떠다니는 곳에서는 아주 필수적인 장치로서, 종래 기술인 1999. 03. 29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99-10807호의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의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저면에 삽탈 가능한 분진통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여과포를 상, 하에 구비된 장착편상에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하부 장착편의 일측을 탈진모터의 작동봉에 연결하고, 상기 여과포의 상부에는 하부에 터보팬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팬모터를 장착되어 있는 본체의 측판에는 차단판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와 배출구를 형성하고, 외측에서 내부에 필터를 일체로 결합된 모터가 내장되고 일정부위에 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를 그 구성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중요한 단점으로서 작업대와 집진장치가 일체로 되지 아니하여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점이 있으며,
둘째, 따라서 작업 장소의 이동시 작업대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등의 집진장치를 함께 이동하여야 하는 등 시간적 노동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세째, 작업자가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과 동시에 직접 집진 수거 즉, 필터링 못함으로서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네째, 구조가 복잡하여 교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작업이 복잡하며 손상된 부위의 점검을 찾는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섯째, 작업대의 조절이 불가능함으로서 작업대상물의 크기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것으로서 작업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작업자 및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과, 작업대의 한정으로 인하여 야기된 작업대상물의 한정을 탈피하여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작업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대상물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작업자 및 작업장의 건강 및 환경을 개선키 위한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작업공간이 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작업대 2 : 덕트
3 : 공기여과실 4 : 모우터구동실
5 : 집진실 6 : 도어 7 : 방음패드 10 : 차단판
11 : 흡입구 20 : 공간부21 : 통로 30 : 여과포 털이봉
31 : 여과포 32 : 통로공
33 : 격판 40 : 흡입팬
41 : 배출구 42 : 모우터
43 : 최종 배출구 44 : 컨트롤 판
100 : 체결부 101 : 힌지
110 : 흡입공 330 : 통기공
430 : 배출공
상기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이 천공된 흡입구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흡입구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의 후방 끝부에는 통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덕트와, 외부에는 여과포 털이봉이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이 여과포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의 진입부에는 격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 양측에는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을 통해 상기 여과포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된 공기여과실과, 상기 공기여과실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팬 및 배출구와 모우터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이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과, 상기 공기여과실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과, 상기 공기여과실과 집진실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가 결합되어 있는 것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의 내측면에는 방음패드가 구비된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집진장치에 있어서 작업공간이 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1은 작업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대(1)은 양측면에는 차단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10)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상기 체결부(100)는 상기 차단판(100)이 작업대(1)와 체결되어 양측으로 확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100)로서, 차단판(10)을 확개코자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를 해지한 다음 양측으로 확개하면 후단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힌지(101)에 의해 차단판(10)이 확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차단판(10)이 양측에 존재하므로 체결부(100)나 힌지(101)도 당연히 복수개 즉, 한쌍을 이루고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 상기 작업대(1)의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 이물질이 상기 흡입공(110)을 통하여 흡입구(11)로 흡입되는 것이다.
지시부호 2는 덕트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덕트(2)는 상기 작업대(1)의 흡입구(11) 하부에서 후방 끝부를 통해 하방향까지 길게 형성된 공기통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크게는 공간부(20)와 통로(21)로 구성되며 공간부(20)는 상기 흡입구(11) 바로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20)의 후방 끝부에는 상기 언급한 통로(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21)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기흡입통로를 굴곡되게 구성한 것은 공기의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초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3은 공기여과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여과실(3)은 외부측면에 여과포 털이봉(30)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31)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31)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21)의 진입부에는 격판(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33)의 양측에는 통기공(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31)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32)을 통해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포(31)는 공기여과실(3)중 상단부 양측의 프레임에 별도의 브라켓과 체결수단에 의해 함께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것이며 이와같이 함에 따라 상기 공기여과실(3)의 양측 프레임 사이에는 당연히 공간이 형성되며 이곳을 여과포(31)가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간이 바로 통로공(32)인 것이다.
지시부호 4는 모우터구동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우터구동실(4)는 상기 공기여과실(3)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흡입팬(40) 및 배출구(41)와 모우터(42)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44)이 장착되어 있다.
지시부호 5는 집진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실(5)는 상기 공기여과실(3)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필터링됨에 따라 먼지는 여과포(31)에 붙어있거나 또는 아래로 낙하되는데 상기 낙하된 먼지를 집진하여 모아두는 곳이 집진실(5)이다.
지시부호 6은 도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6)은 상기 공기여과실(3)과 집진실(5)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설치한 것이다.
지시부호 7은 방음패드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음패드(7)은 상기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어 모우터(42) 및 흡입팬(4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초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자주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한번 위치시키면 장기간 그 자리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부득이 할 경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곳까지 본 고안을 바퀴(R)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할 때 컨트롤판(44)의 버튼 중 구동버튼을 작동시키면 작업자가 작업대(1)에서 작업과 동시에 모우터(42)가 구동하여 흡입팬(40)이 작동하면 작업대(1) 바닥면에 무수히 천공된 흡입공(110)으로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등이 흡입구(11)로 흡입되어 공간부(20)와 통로(21)로 구비된 덕트(2)를 통하여 격판(33)의 양측에 형성된 통기공(330)을 거쳐서 여과포(31)를 지나서 통로공(32)으로 흡입되어 흡입팬(40)을 지나 배출구(41)를 거쳐서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된 최종배출구(43)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동상태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등은 여과포(31)에 분진가루나 기타 먼지들이 붙거나 필터링되며 반면에, 여과된 공기는 통로공(32)를 통해서 흡입팬(40)을 지나 상기 흡입팬(4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41)로 배출된 후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즉, 무수히 많이 천공된 배출공(430)이 형성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우터(42) 및 흡입팬(4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음패드(7)을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계속함에 따라 여과포(31)의 외주면에는 많은 분진이나 기타 먼지들이 달라 붙어 있어 결국 여과포(31)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것이고 이럴 경우 공기여과실(3)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 여과포 털이봉(30)을 전후로 흔들면 여과포(31)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낙하하여 공기여과실(3) 하부에 형성된 집진실(50에 집진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여과실(3)의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여과포 털이봉(30) 외부에서 전후로 흔들면 여과포(31)에 붙어있는 먼지 등이 낙하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여과포(31)로 필터링된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이 상기 여과포(31)의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낙하된 먼지등은 집진실(5)로 집진되며 상기 집진실(5)에 먼지 등이 충만할 경우에는 상기 집진실(5) 외부에 형성된 도어(6)를 열고 집진실(5)을 인출하여 먼지등을 버린 후 다시 수납하면 되는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작업시 작업대(1)의 너비가 작업대상물보다 좁아 작업에 불편한 점이 있을 경우 상기 차단판(10) 선단 저부에 형성된 체결부(100)를 해지하여 상기 차단판(10)을 양측으로 확개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기존 집진장치와는 달리 작업자 일인이 작업하는 작업대 마다 집진장치가 구비됨으로서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 방음패드(7)를 구비함으로서 모우터구동실(4)의 모우터(42) 및 흡입팬(40)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1)를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한도내에서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함에 있어 편리하고 또한 별도의 여과포털이봉(30)을 본 고안의하부 측면에 구비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시 여과포(31)의 교체에 앞서 일단 상기 여과포털이봉(30)을 이용하여 여과포(31)에 부착된 먼지등을 일단 낙하시켜 여과포(31)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차단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10)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흡입구(11) 하부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20)의 후방 끝부에는 통로(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21)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덕트(2)와,
    외부에는 여과포 털이봉(30)이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31)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31)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21)의 진입부에는 격판(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33) 양측에는 통기공(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31)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32)을 통해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된 공기여과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팬(40) 및 배출구(41)와 모우터(42)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44)이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4)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5)과,
    상기 공기여과실(3)과 집진실(5)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6)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구동실(4)의 내측면에는 방음패드(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2002-0038192U 2002-12-23 2002-12-23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31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92U KR200310133Y1 (ko) 2002-12-23 2002-12-23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92U KR200310133Y1 (ko) 2002-12-23 2002-12-23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133Y1 true KR200310133Y1 (ko) 2003-04-18

Family

ID=4940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192U KR200310133Y1 (ko) 2002-12-23 2002-12-23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94B1 (ko) * 2013-10-16 2015-06-19 강신기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CN110497319A (zh) * 2018-05-17 2019-11-26 厦门嘉达环保科技有限公司 打磨工序综合除尘降噪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94B1 (ko) * 2013-10-16 2015-06-19 강신기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CN110497319A (zh) * 2018-05-17 2019-11-26 厦门嘉达环保科技有限公司 打磨工序综合除尘降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7902A (en) Bench structure with dust collector
US5131192A (en) Dust arrester for a sanding machine
KR100941942B1 (ko) 집진 테이블
AU1467901A (en) Double sided work station
US20050076624A1 (en) Industrial dust-collector
KR20140072484A (ko) 휴대용 흄 집진기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KR200310133Y1 (ko)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N211437313U (zh) 风管吸扫清理一体机
KR200397193Y1 (ko) 제화용 그라인더 집진장치
KR200331097Y1 (ko) 작업대가 부설된 집진장치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CN207104668U (zh) 具有高效除尘的打磨装置
KR100295162B1 (ko) 진공청소기가 부설된 집진기
KR200364238Y1 (ko) 이동식 집진기
CN210511975U (zh) 智能型多能空气处理机
KR200310131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TW201924853A (zh) 刀具研磨機用吸塵桌
KR20180134512A (ko)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CN114382039A (zh) 一种空气地面两用的水泥粉尘收集设备
KR200310134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실내 집진장치
KR20040056152A (ko) 공기청정기
KR20100050356A (ko) 다용도 분리식 그라인더 커버 집진기
KR20043611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CN215466639U (zh) 一种便于清理的土壤研磨操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