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793B1 -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793B1
KR102528793B1 KR1020200129087A KR20200129087A KR102528793B1 KR 102528793 B1 KR102528793 B1 KR 102528793B1 KR 1020200129087 A KR1020200129087 A KR 1020200129087A KR 20200129087 A KR20200129087 A KR 20200129087A KR 102528793 B1 KR102528793 B1 KR 10252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nimal
carcass
animal carcas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080A (ko
Inventor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테크
Priority to KR102020012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7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3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 disc rotor having generally radially extending slots or openings bordered with cut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2Shape or inner surface of shredder-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분쇄 장치의 내벽 사이에 동물 폐사체의 뼈가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분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APPARATUS FOR CRUSHING DEAD ANIMAL BODIES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분쇄 장치의 내벽 사이에 동물 폐사체의 뼈가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분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 농가에서 각종 동물의 전염병을 막기 위하여 예방접종을 시행하거나 축사의 환경을 개선하고 있으나, 해마다 가축의 동물에서 전염병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또는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된 동물을 폐처분하기 위하여 매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또는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한 동물을 매립하면서 발생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환경오염 문제, 전염병의 재발 우려, 인근 지역의 지하수 오염, 사람으로의 감염에 따른 주민의 불안감이 발생 되고 있으며, 전염되거나 폐사된 동물을 이동하여 동물 화장장에서 화장하는 방법은 전염병이 확산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 제10-1733601호에 직사각형의 박스체로 구성되는 본체 상에 발효조를 장착하며 효조의 하부에는 전열히터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설치되며, 본체 내부의 상부 일측면에는 열풍을 공급하는 급기팬과 증발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고, 발효조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구동축에 설치된 교반날개가 설치된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33601호(2017.04.28)
이에 본 발명은 분쇄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분쇄 장치의 내벽 사이에 동물 폐사체의 뼈가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분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를 분쇄하는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벽이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간격은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의 일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1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의 타면에는 상기 제1 돌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분쇄된 동물 폐사체의 이동을 위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복수의 고정 블레이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를 가열시키면서, 상기 회전축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시켜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을 제1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동물의 폐사체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분쇄된 동물의 폐사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분쇄 장치의 내벽 사이에 동물 폐사체의 뼈가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분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의 내부를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에 포함되는 회전축 및 회전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에 포함되는 회전축 및 회전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의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이용한 동물 폐사체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는 케이스(110), 회전축(200) 및 회전 블레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대략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는 회전축(200) 및 회전 블레이드(310)를 포함하는 파쇄 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동물의 폐사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구(120)는 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입구(120)를 통해 동물의 폐사체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다.
파쇄 모듈(미도시)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투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동물의 폐사체를 파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쇄 모듈(미도시)은 회전축(200) 및 회전 블레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00)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310)는 회전축(200)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200)에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310)는 회전축(20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함에 따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를 절단하거나 가압 분쇄한다.
이때 회전 블레이드(3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200)에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에 포함되는 회전축(200) 및 회전 블레이드(31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회전축(200) 및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면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310)는 회전축(200)에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310)의 설치 각도를 각각 α, β, γ라 하면, α, β, γ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 블레이드(310)는 회전하면서 회전 블레이드(310)의 날이 동물 폐사체를 절단하거나, 회전 블레이드(310)가 동물 폐사체를 케이스(110)의 내벽으로 압착하여 블레이드의 가압력에 의해 동물 폐사체가 파쇄되는 것에 의해 동물 폐사체가 분쇄된다. 이때,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310)의 설치 각도가 서로 다르게 회전축(200)에 결합되는 경우 동물 폐사체 절단시 회전 블레이드(310)와 동물 폐사체의 접촉면이 상이하게 되어 동물 폐사체를 골고루 분쇄시킬 수 있고, 또한 후술할 동물 폐사체 분쇄 후 동물 폐사체 교반을 통한 건조 과정에서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골고루 섞이도록 함으로써 건조 시간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내벽은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는 케이스(110)의 내벽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에는 회전축(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20)가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320) 또한 케이스(110)의 내벽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20)를 포함하는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와 케이스(110)의 내벽의 간격은 연장부(32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회전 블레이드(310)는 가압력에 의해 동물 폐사체를 파쇄하기 위해 케이스(11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회전 블레이드(310)와 케이스(110)의 내벽의 간격이 연장부(32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310)와 케이스(110)의 내벽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경우, 틈새로 분쇄된 동물 폐사체가 끼이게 되어 회전축(200)의 회전에 무리를 주거나 분쇄된 동물 폐사체가 더욱 작게 분쇄되지 못하고 틈새 사이에서 끼어 겉도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블레이드(310)와 케이스(110)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회전 블레이듸 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1차로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더욱 작게 분쇄시켜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의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5를 참고하면,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의 일면에는 케이스(110)의 내벽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1 돌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의 타면에는 제1 돌부(32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는 케이스(110)의 내벽과 이격되어 케이스(110)의 내벽과 평행하게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1차로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케이스(110)의 내벽 측으로 가압하여 동물 폐사체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는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교반하여 동물 폐사체가 골고루 섞이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분쇄된 동물 폐사체의 건조 과정에서의 건조 시간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는 회전 블레이드(310)의 일면 및 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절개된 절개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참고). 회전 블레이드(310)가 동물 폐사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파쇄된 동물 폐사체가 회전 블레이드(310)와 케이스(110)의 내벽 사이의 간격에 끼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에 절개부(325)를 형성함으로써 파쇄된 동물 폐사체가 절개부(325)를 통해 회전 블레이드(310)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파쇄된 동물 폐사체가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개부(325)는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내벽에는 복수의 고정 블레이드(350)가 형성되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310)가 고정 블레이드(350)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외부에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 과정동안 동물 폐사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는 케이스(110)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의 가열에 의해 케이스(110)를 가열할 수 있다. 열매체는 케이스(110) 내부 공간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로서, 히터(미도시)를 통해 가열되어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고온으로 유지한다.
투입된 동물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분비물이나 혈액, 폐사체에 의한 유기물의 공급이 적정한 상태가 되어 부패하기 시작하므로 세균, 바이러스 등 각종 미생물이 증식되기 시작하여 악취의 발생과 위생을 저해하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폐사체가 처리되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고온, 건조한 대기 환경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본 실시예의 경우 가열부(미도시) 내부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동물 폐사체의 처리 과정에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고온, 건조한 대기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동물 폐사체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교반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경우, 회전 블레이드(310)의 단부에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를 형성함으로써 회전 블레이드(310)의 회전시 제1 돌부(321) 및 제2 돌부(323)가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골고루 섞이도록 교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를 이용한 동물 폐사체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를 이용하여 동물 폐사체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투입구(120)를 통해 동물 폐사체를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시킨다(S100). 이때 동물 폐사체는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리프트(140)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를 작동하여 동물 폐사체를 분쇄시킨다(S200).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회전축(200)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블레이드(310)에 의해 투입된 동물 폐사체가 분쇄된다. 이때, 회전축(200)을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200)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 동물 폐사체가 고르게 분쇄되지 않아 분쇄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축(20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교번시키면서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축(200)을 제1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동물 폐사체를 배출구 방향으로 유도한다(S300). 이때,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회전축(200)이 제1 방향으로만 회전하면 회전축(200)에 경사지게 구비된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310)에 의해 분쇄된 동물 폐사체가 케이스(110) 내부 공간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며 모아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케이스(110) 내부 공간에서 배출구 근처로 모아진 분쇄된 동물 폐사체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400).
본 실시예의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100)를 이용한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따르면, 투입된 동물 폐사체를 더욱 세밀하게 분쇄하여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쇄 과정에서 동물 폐사체를 교반하면서 건조시켜 건조 시간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의 분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분쇄 장치의 내벽 사이에 동물 폐사체의 뼈가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분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 과정 동안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골고루 교반함으로써 건조 시간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110: 케이스
120: 투입구
130: 배출구
140: 리프트
200: 회전축
310: 회전 블레이드
320: 연장부
321: 제1 돌부
323: 제2 돌부
325: 절개부
350: 고정 블레이드

Claims (10)

  1.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를 분쇄하는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결합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내벽이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양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한 쌍의 상기 연장부 단부의 일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1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한 쌍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의 타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평행하게 상기 제1 돌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부 및 상기 제2 돌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1차로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상기 케이스의 내벽 측으로 가압하여 동물 폐사체를 분쇄하고,
    상기 제1 돌부 및 상기 제2 돌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1차로 분쇄된 동물 폐사체를 교반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여, 동물 폐사체의 분쇄과정동안 동물 폐사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유체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며,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간격은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른 분쇄된 동물 폐사체의 가압시 분쇄된 동물 폐사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단부의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복수의 고정 블레이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10. 제1 항에 따른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를 가열시키면서, 상기 회전축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시켜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을 제1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동물의 폐사체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단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분쇄된 동물의 폐사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의 처리 방법.
KR1020200129087A 2020-10-07 2020-10-07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KR10252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87A KR102528793B1 (ko) 2020-10-07 2020-10-07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87A KR102528793B1 (ko) 2020-10-07 2020-10-07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080A KR20220046080A (ko) 2022-04-14
KR102528793B1 true KR102528793B1 (ko) 2023-05-04

Family

ID=8121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87A KR102528793B1 (ko) 2020-10-07 2020-10-07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7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JP2004105863A (ja) * 2002-09-19 2004-04-08 Matsui Mfg Co 細断機
KR100939680B1 (ko) * 2008-08-05 2010-02-03 최종호 폐스티로폼 파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730A (ko) * 1996-05-16 1997-12-10 배순훈 가정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
KR101733601B1 (ko) 2016-11-30 2017-05-08 이택기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JP2004105863A (ja) * 2002-09-19 2004-04-08 Matsui Mfg Co 細断機
KR100939680B1 (ko) * 2008-08-05 2010-02-03 최종호 폐스티로폼 파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080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601B1 (ko)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2096205B1 (ko) 폐가축을 이용한 건조 및 살균 발효장치
KR101926259B1 (ko)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148728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607094B1 (ko) 유압전단식 분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68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0244389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528793B1 (ko)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KR20180017781A (ko) 열전소자를 활용한 미생물분해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162875B1 (ko)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19954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3572190B2 (ja) 廃棄物の粉砕滅菌乾燥機
KR1002740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61907B1 (ko)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KR102401999B1 (ko) 동물사체 퇴비화 장치
JP2003170145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有機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211972111U (zh) 温差式加热处理系统
KR101572553B1 (ko)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