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553B1 -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553B1
KR101572553B1 KR1020140155693A KR20140155693A KR101572553B1 KR 101572553 B1 KR101572553 B1 KR 101572553B1 KR 1020140155693 A KR1020140155693 A KR 1020140155693A KR 20140155693 A KR20140155693 A KR 20140155693A KR 101572553 B1 KR101572553 B1 KR 10157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drying
unit
was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박준철
박최규
조현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조현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조현에너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401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사체를 포함하는 처리 대상물을 종합 처리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물 사체를 포함하는 처리 대상물을 종합 처리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유닛; 파쇄된 처리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및 건조된 처리 대상물을 연소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연소 유닛은,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는 제1 연소실, 및 제1 연소실의 상측에 제1 연소실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가 연소되는 제2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 하우징; 건조 유닛에서 배출된 처리 대상물을 제1 연소실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부; 제1 연소실로 공급된 처리 대상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 외기를 제1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도록 제1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부; 및 외기를 제2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제2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 처리 공정을, 동물 사체의 연소 공정과, 동물 사체를 연소하여 발생한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공정으로 이원화하여 동물 사체의 연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Animal corpse and livestock waste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동물 사체, 축산 폐기물 기타 처리 대상물을 종합 처리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돼지의 연간 폐사 두수는 약 300만 두, 가금류의 연간 폐사 수는 약 1000만 수에 이르고, 다른 가축의 경우에도 많은 두수가 폐사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사육장의 질병 상재화와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몰, 소각 및 퇴비사 내 고온숙성과 일부 기계적 처리 등의 동물 사체 처리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동물 사체 처리 방법들은, 매몰을 위한 부지 확보가 곤란하고, 소각에 소요되는 연료 비용이 과다하고, 매몰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되거나 매연이 발생하는 등 2차 환경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등의 제약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동물 사체 처리 방법은, 효과적인 처리 방법이 되지 못하므로, 폐사축이 발생할 경우에 농가의 고충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물 사체의 연소에 필요한 연료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동물 사체의 연소로 인한 2차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는, 동물 사체를 포함하는 처리 대상물을 종합 처리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유닛; 파쇄된 처리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및 건조된 처리 대상물을 연소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연소 유닛은,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는 제1 연소실, 및 제1 연소실의 상측에 제1 연소실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가 연소되는 제2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 하우징; 건조 유닛에서 배출된 처리 대상물을 제1 연소실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부; 제1 연소실로 공급된 처리 대상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 외기를 제1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도록 제1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부; 및 외기를 제2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제2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연소 처리 공정을, 동물 사체의 연소 공정과, 동물 사체를 연소하여 발생한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공정으로 이원화하여 동물 사체의 연소로 인한 2차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연소실에 공급하기 위한 외기를 동물 사체의 연소나 배기 가스의 연소 시에 발생하는 열로 예열한 상태로 연소실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동물 사체에 연소에 필요한 연료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동물 사체를 미리 건조 처리한 후에 연소 처리할 수 있으므로, 난연성인 동물 사체를 효과적으로 연소 처리할 수 있다.
넷째, 연소실에서 배출된 폐열을 이용해 동물 사체를 건조 처리할 수 있으므로, 동물 사체를 별도의 에너지원으로 건조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연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동물 사체의 건조 처리 시에 발생한 수증기와 건조 가스를 연소실로 회수하여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수증기와 건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 장치 없이도 수증기와 건조 가스와 인한 2차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파쇄 유닛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파쇄 유닛의 투입구에 처리 대상물을 투입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파쇄 유닛의 파쇄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파쇄부의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파쇄부의 이격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파쇄 유닛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와 파쇄물 공급 스크류의 평면도.
도 8은 도 1의 건조 유닛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건조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건조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건조 가스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도 1의 연소 유닛의 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연소 유닛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연소 유닛의 폐기물 트레이와 폐기물 제거부의 평면도.
도 15는 도 12의 연소 유닛의 부분 확대도.
도 16은 스팀 유닛의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1)는, 처리 대상물(D)을 파쇄하는 파쇄 유닛(100),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는 건조 유닛(200), 건조 유닛(200)에 의하여 건조된 처리 대상물(D)을 연소 시키는 연소 유닛(300), 및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을 소독하기 위한 스팀(S)을 생성하는 스팀 유닛(400)을 포함한다.
종합 처리 즉, 파쇄 처리, 건조 처리 및 연소 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 대상물(D)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처리 대상물(D)은 동물 사체, 축산 폐기물, 산업 폐기물 중 어느 하나이거나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난연성의 특성을 가져 효과적인 연소 처리하기가 특히 어려운 동물 사체가 처리 대상물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백히 밝혀 둔다.
도 2는 도 1의 파쇄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파쇄 유닛의 투입구에 처리 대상물을 투입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쇄 유닛(100)은, 종합 처리하기 위한 처리 대상물(D)을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쇄하여, 후술할 건조 유닛(200)에 전달한다. 파쇄 유닛(100)은, 처리 대상물(D)의 파쇄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 하우징(110), 파쇄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처리 대상물(D)을 파쇄하는 파쇄부(120), 파쇄부(120)에 의하여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 유닛(200)에 공급하는 파쇄물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파쇄 하우징(110)은, 처리 대상물(D)에 대한 파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쇄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파쇄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 공간과 연통되도록 파쇄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파쇄하기 위한 처리 대상물(D)이 투입되는 투입구(112), 및 파쇄 공간과 연통되도록 파쇄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이 배출되는 파쇄물 배출구(114)를 포함한다.
투입구(112)에 처리 대상물(D)을 투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대상물(D)을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140)를 투입구(112)와 연결되도록 설치한 후, 운송차(M)를 이용하여 운송한 처리 대상물(D)을 컨베이어 벨트(140)의 호퍼(142)에 투입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40)에 의하여 이송된 처리 대상물(D)을 투입구(112)에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파쇄 유닛의 파쇄부와 파쇄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파쇄부(120)는, 파쇄 하우징(110)의 파쇄 공간에 설치되며, 투입구(112)에 투입된 처리 대상물(D)을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2), 회전축(122)과 축 결합되어 회전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24), 회전축(122)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26), 및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126)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126)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이격 부재(128)를 포함한다.
회전축(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베어링에 지지되며, 구동 모터(124)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 모터(124)는, 감속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축(122)의 일측 단부와 축 결합되어 회전축(122) 및 회전축(122)과 결합된 블레이드(126)와 이격 부재(128)를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 모터(124)는, 블레이드(126)가 후술할 파쇄 베이스(150)의 요철홈(152)을 파쇄 베이스(150)의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도록 회전축(1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블레이드(126)와 이격 부재(128)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회전축(122)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설치된다.
파쇄 베이스(150)는, 파쇄 하우징(110)의 파쇄 공간에 파쇄부(120)의 회전축(122)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투입구(112)에 투입된 처리 대상물(D)이 안착된다. 파쇄 베이스(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24)에 의하여 회전축(122)이 회전할 때 각각의 블레이드(126)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요철홈(152)을 포함한다. 요철홈(152)은, 블레이드(126)와 동일한 개수가 마련되며, 블레이드(126)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22)이 회전할 때 블레이드(126)가 통과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2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파쇄부(120)와 파쇄 베이스(150)가 마련됨에 따라, 구동 모터(124)가 구동될 때 각각의 블레이드(126)는, 각각의 요철홈(152)을 파쇄 베이스(150)의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도록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쇄 베이스(150)에 안착된 처리 대상물(D)을 파쇄시킨다. 각각의 블레이드(126)에 의하여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은 각각의 요철홈(152)으로 유입된 후, 파출구 배출구(114)를 통해 후술하는 파쇄물 공급부(130)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134)로 전달된다.
한편, 여러 개의 블레이드(126)들이 동시에 처리 대상물(D)과 접촉되면, 회전축(122)에 과도한 하중이 전달되어 회전축(122)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블레이드(126)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서로 엇갈리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블레이드(126)는 처리 대상물(D)과 서로 다른 시간에 접촉되므로, 각각의 블레이드(126)를 통해 회전축(12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회전축(1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파쇄부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파쇄부의 이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126)는 단부(126c)가 회전축(122)의 회전 방향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126)의 단부(126c)는, 처리 대상물(D)을 파쇄 베이스(150)의 위에서 아래 쪽 방향으로 찍어 줄 수 있도록 회전축(122)의 회전 방향 쪽으로 절곡된다. 그러면, 블레이드(126)의 파쇄력을 블레이드(126)의 절곡된 단부(126c)에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 대상물(D)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쇄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26)는, 회전축(122)이 끼워질 수 있는 중공(126a), 및 중공(126a)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회전축(122)의 외주면에 회전축(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6b)을 포함한다. 따라서, 끼움홈(126b)에 끼움 돌기가 끼워지도록 회전축(122)을 블레이드(126)의 중공(126a)에 끼워줌으로써, 블레이드(126)의 중공(126a)의 내주면과 회전축(122)의 외주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 부재(128)는, 블레이드(126)와 마찬가지로, 회전축(122)이 끼워질 수 있는 중공(128a), 및 중공(128a)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회전축(122)의 끼움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8b)을 포함한다. 따라서, 블레이드(126)와 마찬가지로, 이격 부재(128)의 중공(128)의 내주면과 회전축(122)의 외주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파쇄 유닛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와 파쇄물 공급 스크류의 평면도이다.
파쇄물 공급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물 배출구(114)의 하측에 설치되며, 파쇄부(120)에 의하여 파쇄된 후 파쇄물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 유닛(200)을 향해 이송할 수 있다.
파쇄물 공급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물 배출구(114)의 하측에 설치되며, 파쇄물 배출구(114)에서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이 유입되는 파쇄물 트레이(132), 파쇄물 트레이(132)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파쇄물 트레이(13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교반시키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134), 파쇄물 트레이(132)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측 단부가 파쇄물 트레이(132)의 외측까지 연장된 파쇄물 공급 유로(136), 및 파쇄물 공급 유로(136)에 설치되며, 각각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134)에 의하여 교반된 후 파쇄물 공급 유로(136)로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 유닛(200)을 향해 이송하는 파쇄물 공급 스크류(13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파쇄물 공급부(130)가 마련됨에 따라,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은, 각각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134)에 의하여 고르게 교반된 후, 파쇄물 공급 스크류(138)에 의하여 건조 유닛(2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건조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건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8의 건조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건조 가스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건조 유닛(200)은, 파쇄부(120)에 의하여 파쇄된 후 파쇄 공급 스크류에 의하여 공급된 건조 유닛(200)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유닛(200)은,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이 유입되는 건조 유로(210), 건조 유로(210)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이송하는 건조 스크류(220), 건조 유로(2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는 열원이 통과되는 열원 덕트(230)를 포함한다.
건조 유로(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재그 경로를 갖도록 여러번 절곡되어 형성되며, 파쇄물 공급 유로(136)와 연결되어 파쇄물 공급 스크류(138)에 의하여 이송된 처리 대상물(D)이 유입된다.
건조 스크류(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지그 재그 경로의 각각의 경로 마다 설치되며, 건조 유로(210)로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이송한다.
열원 덕트(2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유로(2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이 통과된다. 이를 위하여, 열원 덕트(230)의 일측에는 열원이 유입되는 열원 유입구(232)가 형성되며, 열원 덕트(230)의 타측에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킨 열원이 배출되는 열원 배출구(234)가 형성된다. 또한, 열원 배출구(234)에는 열원을 열원 덕트(23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236)이 설치된다.
열원 덕트(230)에 공급되는 열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원은 후술할 연소 유닛(300)의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 즉,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C)일 수 있다.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을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이용하면, 열원 덕트(230)에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열원 공급원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연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원 덕트(230)가 마련됨에 따라, 열원 덕트(230)에 유입된 열원은 건조 유로(210)의 외주면을 통과하면서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에 열을 전달하며, 처리 대상물(D)은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면서 열원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된다.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면서 건조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 유로(210)와 연결된 후술할 건조물 공급부(320)의 건조물 공급 유로(322)에 전달된다.
한편, 건조 스크류(220)는, 회전축(222) 및 회전축(22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이송 날개(224)를 포함하며, 회전축(222)은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는 열원이 통과되는 중공(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2)에 중공(222a)을 형성하고,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을 회전축(222)에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면,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은 건조 유로(210)의 내외부로부터 모두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처리 대상물(D)의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회전축(222)의 중공을 통과하는 열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축(222)의 중공(222a)을 통과하는 열원은, 열원 덕트(230)를 통과하는 열원과 마찬가지로,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열원 덕트(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2)의 중공(222a)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보조 덕트(23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222)의 중공(222a)의 타측 단부는 송풍팬(236)과 인접하도록 열원 덕트(2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열원 덕트(230)의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222)의 중공(222a)의 타측 단부에는 회전축(222)의 중공(222a)을 통과한 열원을 열원 덕트(230)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 송풍팬(228)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222)의 중공(222a) 및 보조 덕트(238)가 마련됨에 따라, 열원 덕트(230)로 유입된 열원 중 일부는, 보조 덕트(238)를 통해 각각의 회전축(222)의 중공(222a)으로 유입되어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 시킨 후, 열원 덕트(230)로 유입된 열원 중 나머지 일부와 합류되어 송풍팬(236)에 의하여 열원 덕트(23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건조 유로(210)는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이 건조되어 생성된 건조 가스(R)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가스 배출홀(212)을 더 포함하며, 건조 유닛(200)은 건조 가스 배출홀(212)로부터 건조 가스(R)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가스 배출홀(212)은, 건조 유로(21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건조 가스 배출홀(212)에서 배출된 건조 가스(R)가 다시 건조 가스 배출홀(212)을 통해 건조 유로(2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건조 가스 배출홀(212)은 건조 유로(2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는, 열원 덕트(230)의 외측에 마련되며,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각각 건조 가스 배출홀(212)과 연결된다. 여기서, 건조 유로(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가스 배출홀(212)과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열원 덕트(230)의 중심부로부터 상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건조 가스 배출홀(212)과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가 마련됨에 따라, 처리 대상물(D)의 건조 중에 발생한 건조 가스(R)가 건조 유로(210)의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 가스(R)로 인한 건조 유로(210)의 압력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 가스(R)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기 중에 그대로 배출시키면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를 제2 연소실(312)과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에 포집된 건조 가스(R)를 제2 연소실(312)로 전달하여 제2 연소실(312)에서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건조 가스(R)로 인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건조 가스(R)는 동물 사체가 포함하고 있던 다량의 수분이 증발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연소실(312)을 향하는 건조 가스(R)에 포함된 수증기 중 적어도 일부는, 건조 유로(210)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을 갖는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의 내부에서 응축되어 물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의 내부에 다량의 물이 응축되면,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의 유동 성능에 악영향을 주고, 응축된 물이 건조 유로(210)로 역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는, 건조 가스(R)에 포함된 수증기 중 적어도 일부가 응집되어 형성된 드레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242), 드레인관(242)에 설치되며, 드레인수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는 필터(244), 및 필터(244)를 통과한 드레인수가 임시 저장되는 물탱크(246), 및 물탱크(246)에 임시 저장된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24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건조 가스(R)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드레인수를 깨끗이 필터링 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수로 인한 불량과, 드레인수에 포함된 유해 성분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연소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연소 유닛(300)은, 건조 유닛(200)에서 건조되어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을 전달받아 연소시킨다. 연소 유닛(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제1 연소실(311)과 제2 연소실(312)이 마련되는 연소 하우징(310), 처리 대상물(D)을 제1 연소실(311)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부(320),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처리 대상물(D)을 점화시키는 점화부(350), 제1 연소실(311)로 외기(A)를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부(330), 제2 연소실(312)로 외기(A)를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연소 하우징(310)은, 처리 대상물(D)의 연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연소 하우징(310)은,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소 하우징(310)은 내부 공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311)과 제2 연소실(312)이 마련된다.
제1 연소실(311)은 연소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에 마련되며, 제2 연소실(312)은 연소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 중 상부에 제1 연소실(311)과 연통되게 마련된다. 제1 연소실(311)과 제2 연소실(312)을 구획하기 위하여, 연소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는 격벽(313)이 설치되며, 격벽(313)에는 제1 연소실(311)과 제2 연소실(312)의 연통시키는 연통홀(313a)이 형성된다.
제1 연소실(311)은, 건조물 공급부(320)를 통해 건조물 처리 대상물(D)을 전달 받으며, 건조된 처리 대상물(D)에 대한 연소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제1 연소실(31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형성되며, 건조물 공급부(320)의 건조물 공급 유로(322)와 연통된 건조물 공급홀(314), 및 건조물 공급홀(314)의 둘레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건조물 공급홀(314)을 통해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이 적재되는 건조물 적재부(315)를 포함한다. 건조물 공급홀(314)을 통해 건조물 적재부(315)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적재부(315)에 먼저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이 건조물 적재부(315)에 나중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에 의해 건조물 적재부(315)의 상부 쪽으로 밀려나는 형태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다. 따라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적재부(315)로 유입된 순서대로 연소 처리될 수 있다.
제2 연소실(312)은, 제1 연소실(311)에서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E)가 격벽(313)의 연통홀(313a)을 통해 유입되며, 제1 연소실(311)로부터 유입된 배기 가스(E)를 완전 연소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즉, 제1 연소실(311)에서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E)에는 불완전 연소된 가스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E)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제2 연소실(312)을 마련하여 배기 가스(E)에 포함된 불완전 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 가스(E)가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소실(312)의 상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소실(312)에서 완전 연소된 배기 가스(C)를 배출하는 배기 가스 배출홀(319)이 형성된다.
건조물 공급부(320)는, 건조 유로(210)와 건조물 공급홀(314) 사이에 마련되며, 건조 유로(210)부터 건조된 처리 대상물(D)을 전달받아 건조물 공급홀(314)을 유입시킨다. 건조물 공급부(3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유로(210) 및 건조물 공급홀(314)과 각각 연결되며, 건조 유로(210)에서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이 유입되는 건조물 공급 유로(322), 및 건조물 공급 유로(322)에 설치되며, 건조물 공급 유로(32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물 공급홀(314)로 유입시키는 건조물 공급 스크류(324)를 포함한다. 따라서, 건조 유로(210)에서 건조된 후 건조물 공급 유로(32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공급 스크류(324)에 의해 이송되어 건조물 공급홀(314)에 유입된다.
점화부(350)는, 제1 연소실(3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연소실(311)의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을 점화시킨다. 점화부(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물 적재부(315)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을 향해 화염을 방출하여 처리 대상물(D)을 점화시킨다.
도 13은 도 12의 연소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제1 에어 공급부(330)는, 동물 사체를 연소시키기 위한 외기(A)를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도록 제1 연소실(311)에 공급한다. 제1 에어 공급부(3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에어 덕트(332), 외기(A)를 제1 에어 덕트(332)로 안내하는 제1 에어 안내홀(334), 제1 에어 덕트(332)와 제1 연소실(311)을 연통시키며, 외기(A)를 제1 에어 덕트(332)로부터 제1 연소실(311)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공급홀(336),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해 제1 연소실(311)로 유입된 외기(A)를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벽(316)을 포함한다.
제1 에어 덕트(332)는,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내벽(332a), 및 내벽(332a)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외벽(332b)을 포함하며, 내벽(332a)과 외벽(332b) 사이에는 외기(A)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이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제1 에어 덕트(332)와 제1 연소실(311)은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제1 에어 덕트(3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311)의 중앙부와 상단부 사이 구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에어 안내홀(33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332) 외벽(332b)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제1 에어 덕트(33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에어 안내홀(334)은, 연소 하우징(310)의 일측에 마련된 에어 펌프(500)와 에어 공급 유로(510)를 통해 연결되며, 에어 펌프(500)에 의하여 공급된 외기(A)를 제1 에어 덕트(332)에 공급한다. 제1 에어 안내홀(334)은 제1 에어 덕트(33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에어 펌프(500)로부터 공급되어 제1 에어 안내홀(334)을 통해 제1 에어 덕트(332)로 유입된 외기(A)는 제1 에어 덕트(33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선회류가 된다.
제1 에어 공급홀(336)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1 에어 안내홀(334)은, 제1 에어 덕트(332)의 외벽(332b)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1 에어 공급홀(336)은,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의 상단부에 형성되므로,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해 제1 에어 덕트(332)로 유입된 외기(A)는 제1 에어 덕트(33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 후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해 배출된다.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해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공기는, 제1 연소실(311)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에는, 각각의 제1 에어 공급홀(336)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연소실(311)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33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에어 가이드(33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각각의 제1 에어 공급홀(336)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과한 외기(A)는, 각각의 제1 에어 가이드(338)의 안내를 받아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과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1 연소실(31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도벽(316)은 제1 에어 공급홀(336)을 통해 제1 에어 덕트(332)로부터 제1 연소실(311)로 유입된 외기(A)를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한다. 제1 유도벽(316)은, 제1 에어 공급홀(336)과 마주보도록 제1 연소실(311)에 형성되며,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제1 유도벽(31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13)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 에어 공급홀(336)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러면, 제1 에어 공급홀(336)과 제1 에어 가이드(338)에 의하여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과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연소실(311)로 유입된 외기(A)는, 제1 유도벽(316)과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 사이 공간을 통과하면서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선회류가 된다. 또한, 제1 유도벽(316)은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므로, 선회류가 된 외기(A)는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하강된다.
제2 에어 공급부(340)는, 동물 사체가 연소되어 생성된 배기 가스(E)를 연소시키기 위한 외기(A)를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제2 연소실(312)에 공급한다. 제2 에어 공급부(3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소실(31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 덕트(342), 외기(A)를 제2 에어 덕트(342)로 안내하는 제2 에어 안내홀(344), 건조 가스 포집 덕트(240)를 통과한 건조 가스(R)를 제2 에어 덕트(342)로 안내하는 건조 가스 공급홀(318), 제2 에어 안내홀(344)과 건조 가스 공급홀(318)을 통해 제2 에어 덕트(342)로 안내된 외기(A)와 건조 가스(R)를 제2 연소실(312)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 공급홀(346), 및 제2 에어 공급홀(346)을 통해 제2 연소실(312)로 유입된 외기(A)를 제2 연소실(312)의 상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벽(317)을 포함한다.
제2 에어 덕트(342)는, 제2 연소실(31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내벽(342a), 및 내벽(342a)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외벽(342b)을 포함하며, 내벽(342a)과 외벽(342b) 사이에는 외기(A)와 건조 가스(R)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이 제2 연소실(31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제2 에어 덕트(342)와 제2 연소실(312)은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제2 에어 덕트(3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소실(312)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 구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 에어 안내홀(34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어 덕트(342)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제2 에어 덕트(34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에어 안내홀(344)은, 에어 펌프(500)와 에어 공급 유로(510)를 통해 연결되며, 에어 펌프(500)에 의하여 공급된 외기(A)를 제2 에어 덕트(342)에 공급한다. 제2 에어 안내홀(344)은 제2 에어 덕트(34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에어 펌프(500)로부터 공급되어 제2 에어 안내홀(344)을 통해 제2 에어 덕트(342)로 유입된 외기(A)는 제2 에어 덕트(34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선회류가 된다.
제2 에어 공급홀(34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2 에어 안내홀(344)은 제2 에어 덕트(342)의 외벽(342b)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2 에어 공급홀(346)은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의 하단부에 형성되므로, 제2 에어 공급홀(346)과 건조 가스 공급홀(318)을 통해 제2 에어 덕트(342)로 유입된 외기(A)와 건조 가스(R)는 제2 에어 덕트(34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 후 제2 에어 공급홀(346)을 통해 배출된다.
제2 에어 공급홀(346)을 통해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된 외기(A)와 건조 가스(R)는, 제2 연소실(312)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과 제2 연소실(312)의 내부에는 각각, 제1 에어 가이드(338) 및 제1 유도벽(316)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제2 에어 가이드(348)와 제2 유도벽(317)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에어 가이드(348)는, 각각의 제2 에어 공급홀(346)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제2 연소실(31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유도벽(317)은, 제2 에어 공급홀(346)과 마주보도록 제2 연소실(312)에 형성되며, 격벽(31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소실(312)의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다. 그러면, 제2 에어 덕트(34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던 외기(A)와 건조 가스(R)는, 제2 에어 공급홀(346)과 제2 에어 가이드(348)에 의하여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과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2 연소실(312)로 유입된 후, 제2 유도벽(317)과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 사이 공간을 통과하면서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즉,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선회류가 된다. 또한, 제2 유도벽(317)은 제2 연소실(312)의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므로, 선회류가 된 외기(A)와 건조 가스(R)는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제2 연소실(312)의 상측 방향으로 상승된다.
한편, 연소 유닛(300)은, 제1 에어 공급부(330)를 보조하여 제1 연소실(311)로 외기(A)를 공급하는 제3 에어 공급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연소실(311)에서 연소 처리되는 처리 대상물(D)의 양이나 처리 대상물(D)의 상태에 따라 연소에 필요한 외기(A)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소에 필요한 외기(A)의 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제3 에어 공급부(360)를 마련하는 것이다.
제3 에어 공급부(3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제3 에어 덕트(362), 외기(A)를 제3 에어 덕트(362)로 안내하는 제3 에어 안내홀(364)을 포함한다.
제3 에어 덕트(36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332)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3 에어 덕트(362)는,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내벽(362a), 내벽(362a)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외벽(362b)을 포함하며, 내벽(362a)과 외벽(362b) 사이에는 외기(A)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제3 에어 덕트(362)의 내벽(362a)이 제1 연소실(3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제3 에어 덕트(362)와 제1 연소실(311)은 제3 에어 덕트(362)의 내벽(362a)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제3 에어 덕트(36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덕트(33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1 연소실(311)의 중앙부와 점화부(350) 사이 구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하부가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 에어 안내홀(36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에어 덕트(362)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제3 에어 덕트(36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 에어 안내홀(364)은, 에어 공급 유로(510)를 통해 에어 펌프(500)와 연결되며, 에어 펌프(500)에 의하여 공급된 외기(A)를 제3 에어 공급 덕트에 공급한다. 여기서, 에어 공급 유로(510)에는 제3 에어 안내홀(364)에 외기(A)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에어 안내홀(364)은, 제3 에어 덕트(362)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에어 펌프(500)로부터 공급되어 제3 에어 안내홀(364)을 통해 제3 에어 덕트(362)로 유입된 외기(A)는 제3 에어 덕트(36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선회류가 된다.
또한, 제3 에어 안내홀(364)은 제3 에어 덕트(362)의 외벽(362b)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제3 에어 덕트(362)는 하부가 제1 연소실(311)의 하측 방향으로 향해 개방되므로, 제3 에어 덕트(362)로 유입된 외기(A)는 제3 에어 덕트(36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다가 제3 에어 덕트(36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되어 제1 에어 공급부(330)에 의하여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외기(A)와 합류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연소 유닛의 폐기물 트레이와 폐기물 제거부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의 연소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 연소실(311)의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을 연소시키면,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어 생성된 배기 가스(E)는 상승하여 제2 연소실(312)의 배기 가스 배출홀(3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연소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적재부(315)에 남는다. 따라서, 건조물 적재부(315)에 새로이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연료가 완료된 상태로 건조물 적재부(315)에 남아있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물 적재부(315)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건조물 적재부(315)는, 건조물 공급홀(314)로부터 건조물 적재부(315)에 나중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에 의해 건조물 적재부(315)에 먼저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이 건조물 적재부(315)의 상부 쪽으로 밀려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되어 있던 처리 대상물(D)을 연소시킨 후 건조물 적재부(315)에 새로운 처리 대상물(D)을 유입시키면, 연소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D)이 건조물 적재부(315)에 새로 유입되 처리 대상물(D)에 의해 밀려나 건조물 적재부(315)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건조물 적재부(315)로부터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을 다시 연소 유닛(3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연소 유닛(300)은, 연소가 완료된 후 건조물 적재부(315)로부터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이 포집되는 폐기물 포집부(370), 및 폐기물 포집부(370)에 포집된 처리 대상물(D)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포집부(370)는, 건조물 적재부(315)에서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이 임시 저장되는 폐기물 트레이(371), 폐기물 트레이(371)에서 임시 저장된 처리 대상물(D)을 쓸어내는 폐기물 제거부(372), 및 폐기물 제거부(372)에서 쓸어낸 처리 대상물(D)이 포집되는 폐기물 포집홈(373)을 포함한다.
폐기물 트레이(371)는, 건조물 적재부(315)의 외곽에 건조물 적재부(31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건조물 적재부(315)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배출된 처리 대상물(D)이 안착된다. 폐기물 트레이(37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물 적재부(315)의 외주면을 둘러싸돌 수 있는 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폐기물 트레이(371)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폐기물 안내홀(371a)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폐기물 안내홀(371a)은 연소된 완료된 처리 대상물(D)이 선택적으로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폐기물 제거부(372)는, 폐기물 트레이(371)에 안착되어 임시 저장된 처리 대상물(D)을 폐기물 트레이(371)의 제1 폐기물 안내홀(371a)로 쓸어 넣어 폐기물 트레이(371)로부터 제거한다. 폐기물 제거부(372)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거부 본체(374), 제거부 본체(37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76), 제거부 본체(37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거부 본체(374)가 회전될 때 처리 대상물(D)을 제1 폐기물 안내홀(371a)로 쓸어 넣는 제1 스위퍼(375)를 포함한다.
제거부 본체(374)는, 중공의 링 형상을 갖고, 폐기물 트레이(371)의 상측에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거부 본체(374)의 바닥면에는 구동 모터(376)의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치합되는 랙 기어(미도시)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거부 본체(374)는 구동 모터(376)에 의하여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거부 본체(374)는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다양한 설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스위퍼(375)는, 제거부 본체(37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폐기물 트레이(371)의 일부분을 덮도록 설치된다. 즉, 제1 스위퍼(37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트레이(371)의 상면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제거부 본체(374)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퍼(375)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스위퍼(37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퍼(375)는, 구동 모터(376)가 구동될 때 제거부 본체(374)와 함께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폐기물 트레이(371)에 안착되어 임시 저장되어 있던 처리 대상물(D)은, 각각의 제1 스위퍼(375)에 의하여 제1 폐기물 안내홀(371a)에 유입됨으로써, 제1 폐기물 트레이(37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폐기물 포집홈(373)는, 제1 폐기물 안내홀(371a)을 통과한 처리 대상물(D)이 포집되며, 포집된 처리 대상물(D)을 폐기물 배출부(380)로 전달한다. 폐기물 포집홈(373)는, 도 12에 도시되 바와 같이, 폐기물 트레이(371)의 하측에 건조물 트레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링 형상의 홈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1 폐기물 안내홀(371a)을 통과한 처리 대상물(D)은, 폐기물 포집홈(373)에 유입되어 포집된다.
폐기물 포집홈(373)는, 바닥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폐기물 배출부(380)의 폐기물 배출 유로(382)와 연결된 제2 폐기물 안내홀(377)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폐기물 안내홀(377)에 폐기물 포집홈(373)에 포집된 처리 대상물(D)을 쓸어넣기 위하여, 폐기물 제거부(37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포집홈(373)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제1 스위퍼(375)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퍼(378)를 더 포함한다. 제2 스위퍼(378)는, 제거부 본체(374)가 회전될 때 제거부 본체(374)와 함께 건조물 적재부(3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폐기물 포집홈(373)의 바닥면에 쌓인 처리 대상물(D)을 제2 폐기물 안내홀(377)에 쓸어 넣을 수 있다.
폐기물 제거부(372)는, 폐기물 포집홈(373)의 제2 폐기물 안내홀(377)을 통해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외부로 배출한다. 폐기물 제거부(37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기물 안내홀(377)과 연결되며, 제2 폐기물 안내홀(377)에 쓸어 넣어진 처리 대상물(D)이 유입되는 폐기물 배출 유로(382), 및 폐기물 배출 유로(382)에 설치되며, 폐기물 배출 유로(38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 스크류(384)를 포함한다. 따라서, 폐기물 배출 유로(38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폐기물 배출 스크류(384)로 통해 이송하여 연소 유닛(3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와 연통된 폐기물 배출 유로(382)의 배출구에는, 연소가 완료된 처리 대상물(D)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스팀 유닛의 정면도이다.
스팀 유닛(400)은, 스팀(S)을 생성하여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은, 연소 작업이 수행되는 연소 유닛(3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그 내부에는 세균이 증식될 수 있다. 이러한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을 소독할 수 있도록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을 소독하기 위한 스팀(S)을 생성하는 스팀 유닛(400)이 마련되는 것이다.
스팀 유닛(400)은, 외부에서 공급된 열원으로 물을 가열하여 스팀(S)을 생성한다. 스팀(S)에 공급할 수 있는 열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원은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 즉,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C)일 수 있다. 제2 연소실(312)의 폐열을 처리 대상물(D)을 건조하기 위한 열원으로 이용하는 건조 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을 스팀(S)을 생성하기 위한 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열원 공급원으로부터 스팀(S)을 생성하기 위한 열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비해 연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S)을 생성하기 위한 필요한 열량은, 처리 대상물(D)을 건조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므로, 제2 연소실(312)로부터 열원 덕트(230)로 전달되어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킨 후 송풍팬(236)에 의하여 열원 덕트(230)로부터 배출된 제2 연소실(312)의 폐열을 스팀 유닛(400)으로 재공급하여 스팀(S)을 생성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유닛(400)에서 생성된 스팀(S)은, 파쇄 유닛(100) 및 건조 유닛(200)과 각각 연결된 스팀 공급관(미소시)에 의하여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에 각각 공급되어,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을 소독한다. 여기서, 스팀(S)은, 파쇄 유닛(100)과 건조 유닛(200)에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소 유닛(300)에 공급되어 연소 유닛(300)을 소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송차(M)를 이용하여 운송한 처리 대상물(D)을 컨베이어 벨트(140)의 호퍼(142)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컨베이어 벨트(140)를 이용하여 처리 대상물(D)을 파쇄 하우징(110)의 투입구(112)에 투입하여 파쇄 베이스(150)에 안착시킨다.
이후에, 파쇄부(120)를 이용하여 파쇄 베이스(150)에 안착된 처리 대상물(D)을 파쇄시킨다. 파쇄부(120)에 의하여 파쇄된 처리 대상물(D)은 파쇄 베이스(150)의 요철홈(152)을 통해 파쇄물 트레이(132)에 유입된다.
다음으로, 파쇄물 트레이(132)에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파쇄물 교반 스크류(134)와 파쇄물 공급 스크류(138)를 이용하여 교반시키면서 건조 유로(210)로 공급한다.
이후에, 건조 유로(210)로 공급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 스크류(220)를 이용하여 이송함과 동시에 제2 연소실(312)에서 배출된 폐열을 건조 유로(210)를 둘러싼 열원 덕트(230)와 건조 스크류(220)의 회전축(222)의 중공(222a)을 통과시킴으로써,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킨다.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면서 건조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공급 유로(322)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건조물 공급 유로(322)로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물 공급 스크류(324)를 이용하여 제1 연소실(311)의 건조물 공급홀(314)로 유입시킨다. 건조물 공급홀(314)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물 공급홀(314)로 연결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다.
이후에,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을 점화부(350)를 이용하여 점화시키고, 제1 연소실(311)에 외기(A)를 공급하고, 제2 연소실(312)에 외기(A)와 건조 가스(R)를 공급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311)에 공급된 외기(A)는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로 공급되며,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은 점화부(350)로부터 방출된 화염과 외기(A)에 의하여 연소된다.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어 발생한 배기 가스(E)는, 외기(A)의 영향을 받아 외기(A)와 같은 방향으로 제1 연소실(311)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격벽(313)의 연통홀(313a)을 통해 제2 연소실(312)로 유입된다. 또한,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어 발생한 화염도, 배기 가스(E)에 의하여 제1 연소실(311)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격벽(313)의 연통홀(313a)을 통해 제2 연소실(312)로 유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소실(312)에 공급된 외기(A)는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제2 연소실(312)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던 배기 가스(E)와 합류된다. 그러면, 배기 가스(E)와 건조 가스(R)는, 제1 연소실(311)에서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면서 발생하여 제2 연소실(312)로 전달된 화염 및 열과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된 외기(A)에 의하여 완전 연소된다. 배기 가스(E)와 건조 가스(R)가 완전 연소되어 생성된 배기 가스(C)는, 제2 연소실(312)의 배기 가스 배출홀(319)을 통해 배출된 후 건조 유닛(200)과 스팀 유닛(400)에 처리 대상물(D)을 건조시키거나 스팀(S)을 생성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연소가 완료된 상태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을, 건조물 공급홀(314)을 통해 건조물 적재부(315)에 새로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D)로 밀어 내어 폐기물 트레이(371)로 배출시킨다.
이후에, 폐기물 트레이(371)에 안착된 처리 대상물(D)을, 폐기물 제거부(372)를 이용하여 폐기물 배출 유로(382)로 유입시킨다.
다음으로, 폐기물 배출 유로(382)로 유입된 처리 대상물(D)을 폐기물 배출 스크류(384)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1)에 있어서,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되는 외기(A)는 제1 에어 덕트(33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후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그러면,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되는 외기(A)는, 제1 에어 덕트(332)를 통과하면서 제1 에어 덕트(332)의 내벽(332a)을 매개로 제1 연소실(311)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후,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통과하면서 제1 연소실(311)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2차적으로 가열된다.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되는 외기(A)는, 2차에 걸쳐 가열되므로, 고온을 갖게 된다.
또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은, 건조 유로(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원 덕트(230)를 통과하는 열원에 의해 수증기가 제거되고 예열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건조물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은, 점화부(350)를 가동하지 않더라도 2차에 걸쳐 가열된 고온의 외기(A)에 의하여 자연 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물(D)을 최초로 점화시킬 때 또는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외기(A)의 온도가 처리 대상물(D)의 자연 발화에 필요한 온도 이하로 낮아졌을 때만 점화부(350)를 제한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처리 대상물(D)의 연소 작업 중에 점화부(350)를 계속적으로 가동하는 경우에 비해, 연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외기(A)가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므로, 건조물 적재부(315)에 적재된 처리 대상물(D)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화염과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이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외기(A)에 의하여 차단된다. 즉,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된 외기(A)가 화염과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 커텐을 역활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연소실(311)의 내주면이 화염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1)에 있어서,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공급되는 외기(A)와 건조 가스(R)는 제2 에어 덕트(342)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된 후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그러면,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는, 제2 에어 덕트(342)를 통과하면서 제2 에어 덕트(342)의 내벽(342a)을 매개로 제2 연소실(312)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후,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통과하면서 제2 연소실(312)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2차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는, 걸쳐 가열되므로, 고온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해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된 배기 가스(E)와 건조 가스(R)의 완전 연소를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가 제1 연소실(311)로 공급되는 외기(A)와 같이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와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배기 가스(E)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외기(A) 및 건조 가스(R)와 배기 가스(E)의 접촉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를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배기 가스(E)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연소실(312)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시킴으로써,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 및 건조 가스(R)와 제2 연소실(312)로 공급되는 외기(A)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E) 및 건조 가스(R)의 완전 연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00 : 파쇄 유닛 110 : 파쇄 하우징
120 : 파쇄부 130 : 파쇄물 공급부
140 : 컨베이어 벨트 150 : 파쇄 베이스
200 : 건조 유닛 210 : 건조 유로
220 : 건조 스크류 230 : 열원 덕트
240 : 건조 가스 포집 덕트
300 : 연소 유닛 310 : 연소 하우징
311 : 제1 연소실 312 : 제2 연소실
320 : 건조물 공급부 330 : 제1 에어 공급부
340 : 제2 에어 공급부 350 : 점화부
360 : 제3 에어 공급부 370 : 폐기물 포집부
380 : 폐기물 배출부
400 : 스팀 유닛

Claims (29)

  1. 동물 사체를 포함하는 처리 대상물을 종합 처리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유닛;
    파쇄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및
    건조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연소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는 제1 연소실, 및 상기 제1 연소실의 상측에 제1 연소실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처리 대상물이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가 연소되는 제2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 하우징;
    상기 건조 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제1 연소실로 공급하는 건조물 공급부;
    상기 제1 연소실로 공급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
    외기를 상기 제1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도록 상기 제1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부; 및
    외기를 상기 제2 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상기 제2 연소실에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 공급부는,
    상기 제1 연소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에어 덕트;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외벽에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외기를 상기 제1 에어 덕트로 안내하는 제1 에어 안내홀;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와 상기 제1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공급홀; 및
    상기 제1 에어 공급홀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연소실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소실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유도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실은 저면에 형성되는 건조물 공급홀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물 공급부는,
    상기 건조 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처리 대상물이 유입되는 건조물 공급 유로; 및
    상기 건조물 공급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물 공급 유로에 유입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건조물 공급홀로 유입시키는 건조물 공급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실은, 상기 건조물 공급홀의 둘레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처리 대상물이 적재되는 건조물 적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화부는 상기 건조물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건조물 적재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처리 대상물이 포집되는 폐기물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포집부는,
    복수의 제1 폐기물 안내홀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물 적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건조물 적재부에서 배출된 상기 처리 대상물이 임시 저장되는 폐기물 트레이;
    상기 폐기물 트레이의 일부분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트레이에 임시 저장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제1 폐기물 안내홀로 쓸어 넣는 제1 스위퍼를 포함하는 폐기물 제거부; 및
    상기 폐기물 트레이의 하측에 상기 건조물 적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폐기물 안내홀을 통과한 상기 처리 대상물이 포집되는 폐기물 포집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제거부는 상기 건조물 적재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거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퍼는 상기 제거부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거부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제1 폐기물 안내홀로 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포집홈은 제2 폐기물 안내홀을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제거부는, 상기 폐기물 포집홈의 일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거부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거부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폐기물 포집홈에 포집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제2 폐기물 안내홀로 쓸어 넣는 제2 스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제2 폐기물 안내홀에 쓸어 넣어진 상기 처리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배출부는,
    상기 제2 폐기물 안내홀에 쓸어 넣어진 상기 처리 대상물이 유입되는 폐기물 배출 유로; 및
    상기 폐기물 배출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배출 유로에 유입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덕트는 상기 제1 연소실의 상단부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안내홀은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외벽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공급홀은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내벽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공급부는, 각각의 제1 에어 공급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덕트의 내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연소실의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공급부는,
    상기 제2 연소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 덕트;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외벽에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외기를 상기 제2 에어 덕트로 안내하는 제2 에어 안내홀;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에어 덕트와 상기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 공급홀; 및
    상기 제2 에어 공급홀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연소실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소실의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2 유도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덕트는 상기 제2 연소실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 안내홀은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외벽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 공급홀은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내벽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공급부는, 각각의 제2 에어 공급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에어 덕트의 내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 연소실의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닛은,
    상기 처리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파쇄 하우징; 및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미리 정해진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일방향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각각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닛은,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각각의 블레이드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요철홈을 포함하고, 상기 파쇄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쇄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닛은 파쇄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건조 유닛을 향해 이송하는 파쇄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쇄물 공급부는,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교반시키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 및
    각각의 파쇄물 교반 스크류로부터 상기 처리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건조 유닛을 향해 이송하는 파쇄물 공급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파쇄된 상기 처리 대상물이 유입되는 건조 유로;
    상기 건조 유로에 유입된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건조물 공급부를 향해 이송하는 건조 스크류; 및
    상기 건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건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열원이 통과되는 열원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스크류는, 상기 건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열원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제2 연소실에서 배출된 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로는 상기 처리 대상물이 건조되어 생성된 건조 가스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가스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가스 배출홀은 상기 건조 유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건조 가스 배출홀로부터 상기 건조 가스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가스 포집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소실은 상기 건조 가스 포집 덕트와 상기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건조 가스 공급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가스 포집 덕트는, 상기 건조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 중 적어도 일부가 응집되어 형성된 드레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파쇄 유닛과 상기 건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스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유닛이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열원은 상기 제2 연소실에서 배출된 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1020140155693A 2014-11-10 2014-11-10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10157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93A KR101572553B1 (ko) 2014-11-10 2014-11-10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93A KR101572553B1 (ko) 2014-11-10 2014-11-10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553B1 true KR101572553B1 (ko) 2015-11-30

Family

ID=5486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93A KR101572553B1 (ko) 2014-11-10 2014-11-10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92B1 (ko) * 2016-01-19 2017-09-01 코마텍에너지 주식회사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시스템
CN111059874A (zh) * 2019-12-09 2020-04-24 占慧楠 一种基于绿色节能的生活垃圾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38B1 (ko) * 2011-03-11 2012-02-16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385303B1 (ko) * 2012-11-16 2014-04-17 김지원 동물 사체 소각장치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38B1 (ko) * 2011-03-11 2012-02-16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385303B1 (ko) * 2012-11-16 2014-04-17 김지원 동물 사체 소각장치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92B1 (ko) * 2016-01-19 2017-09-01 코마텍에너지 주식회사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시스템
CN111059874A (zh) * 2019-12-09 2020-04-24 占慧楠 一种基于绿色节能的生活垃圾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541799B1 (ko) 이동식 동물사체 소각처리장치
KR101017517B1 (ko) 폐사 가축 멸균용 고속 파쇄장치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2022100B1 (ko) 폐가축 처리 시스템
KR101733601B1 (ko)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KR1009214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387010B1 (ko)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102096205B1 (ko) 폐가축을 이용한 건조 및 살균 발효장치
JP6590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乾燥機及び燃焼プラント
KR101572553B1 (ko)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JP2000097416A (ja) 上り窯型乾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炉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1045501B1 (ko) 폐사 가축 멸균처리 시스템
KR101204601B1 (ko) 폐사 어류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장치
KR101618096B1 (ko) 오물 처리 장치 및 오물 처리 차량
KR102162875B1 (ko)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881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응축 건조 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968187B1 (ko) 폐가축 처리용 소각기의 분리 처리장치
EP0417288B1 (en) Drying and combustion apparatus of high moisture content solid inflammable matters
KR102528793B1 (ko)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