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138A -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138A
KR20070034138A KR1020050023556A KR20050023556A KR20070034138A KR 20070034138 A KR20070034138 A KR 20070034138A KR 1020050023556 A KR1020050023556 A KR 1020050023556A KR 20050023556 A KR20050023556 A KR 20050023556A KR 20070034138 A KR20070034138 A KR 2007003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shredding
sorting
plat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653B1 (ko
Inventor
한준선
정재덕
Original Assignee
한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선 filed Critical 한준선
Priority to KR102005002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6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쓰레기를 투입스크류에 의해 파쇄드럼으로 이송하고, 회전날개에 의해 원심력을 부여하고, 파쇄가이드날과 부딪쳐 파쇄한 다음, 타공망을 통해 원료물을 배출하고, 협잡물은 협잡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선별파쇄장치에 있어서, 파쇄드럼의 내부는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시켜 원심난류를 일으키는 비산난류날개와 난류파쇄판의 비산난류대와, 1이상의 조로서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0도∼9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선별파쇄대로 이루어지고, 파쇄드럼 내면의 파쇄가이드날은 중력방향기준으로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도∼75도,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90도∼135도 사이의 간극에 설치되어 있음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여, 비중이 큰 물질과 작은 물질이 혼재된 쓰레기에서 그 비중차로 인한 원심난류의 차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및 효율성 제고와 동시에 파쇄가이드날의 배치, 파쇄돌기, 파쇄봉 등으로 파쇄효율이 제고되고 고장수리나 교체가 용이하고, 과부하가 예방되고, 비산물질,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 선별파쇄장치이다.
쓰레기, 원심력, 난류, 선별, 분리, 파쇄

Description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MULTIPURPOSE SORT-CRUSHER USING DIFFERENCE OF CENTRIFUGAL TURBULENCE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들이 내장되어 고정되어지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외장 및 협잡물 배출관을 제외한 전체적인 조립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조립사시도에서 투입호퍼가 제거되고 여닫이판 및 파쇄곡판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외장, 처리물 투입구 및 협잡물 배출관을 제외한 각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우측면도 및 협잡물 배출관 부분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좌측면도 및 좌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주축과 이에 결합된 투입스크류, 비산난류대 및 선별파쇄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는 상기 도 8의 비산난류날개와 그 끝부분에 결합된 난류파쇄판의 A부분을 확대도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상기 도 8의 회전날개 끝부분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각각 상기 도 8의 C-C선, D-D선, E-E선, F-F선의 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파쇄곡판의 외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파쇄곡판의 내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b는 상기 도 12a에서 파쇄곡판의 내면에 파쇄가이드날 등이 결합된 파쇄기구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파쇄곡판의 내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a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타공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타공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외장 및 협잡물 배출관이 결합된 본 발명 장치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 장치가 투입 콘베이어 및 배출 콘베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종래 특허출원 2001-3301호(특허 416322호) "음식물 쓰레기 선별파쇄기" 에 관한 정면도 및 G-G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처리물 투입구 12 : 투입호퍼
13 : 투입콘베이어 21 : 주축(main shift)
22 : 투입스크류 23 : 비산난류대
23a : 비산난류날개 23b : 난류파쇄판
24 : 선별파쇄대 241 : 회전날개
241a : 입구 회전파쇄날개 241b : 중간 회전파쇄날개
241c : 출구 회전파쇄날개 242 : 날개보강판
242a : 요철 243, 314: 파쇄돌기
244 : 소음구멍
3 : 파쇄드럼 31 : 파쇄곡판
31a : 협잡물 배출구 31b : 흡수재
31c : 칼날 31d : 고리
311 : 파쇄기구판 312 : 파쇄가이드날
313 : 파쇄봉 32 : 받침곡판
33 : 일측면곡판 34 : 타공망
35 : 아이볼트 36 : 타공봉
41 : 원추 베어링 42 : 베어링 플랜지
51 : 배출스크류 52 : 배출호퍼
52a : 여닫이판 52b : 스크류판
52c : 힌지 53 : 원료배출관
54 : 각형 베어링 55 : 배출 콘베이어
61 : 구동모터 62a : 하부 벨트축
62b : 상부 벨트축 63 : 벨트
64 : 기어드 모터 65 : 체인
71 : 협잡물 배출관 72 : 덕트
81 : 프레임
본 발명은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산난류대와 선별파쇄대에 의해 비중(단위부피당 무게, 이하 같다)이 큰 물질과 작은 물질이 혼재된 쓰레기에서 그 비중차로 인한 원심난류의 차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파쇄 및 선 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쇄가이드날의 배치, 파쇄돌기, 파쇄봉 등에 의해 파쇄의 효율을 제고하고 나아가 고장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고, 과부하가 충분히 예방되고, 비산물질,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어 결과적으로 비중차가 있는 혼합물의 쓰레기를 선별 및 파쇄하는 경우에 관한 한 안정적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모여사는 곳에는 매일 막대한 량의 생활 쓰레기 및 폐기물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그 배출양 및 배출쓰레기의 종류, 크기, 성분 등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즉, 이러한 쓰레기에는 음식물 쓰레기, 폐지, 나무조각, 걸레, 플라스틱, 비닐, 금속재, 유리 및 쇠붙이 등등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다양하게 배출되고 있고, 그 배출양도 막대한 양으로 증가하고 있고, 사람들의 환경 및 청결에 대한 인식도 갈수록 커져 이에 대한 처리문제가 시간이 흐를수록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자원개발의 어려움 및 그 경제적 중요성의 증가로 배출되는 쓰레기도 일종의 개발가능한 자원의 하나로 인식되게 되었고, 이에 희소한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와 그렇지 않은 쓰레기로 사전에 선별하여 분리배출하도록 계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도에도 불구하고 사전 선별 및 분리배출에는 한계가 있어 그 완벽성을 기할 수는 없기 마련이고, 실제적으로도 사전 선별 및 분리배출은 제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전 선별 및 분리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지라도 사전 선별 및 분리배출되는 쓰레기 자체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과 같이, 일정한 비중(단위부피당 무게), 성분, 크기, 강도로만 이루어진 경우는 극히 드물고, 오히려 여러가지 비중, 성분, 크기, 강도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인 바, 그 사후 선별 및 처리에도 비용, 시간 등등에 있어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는 음식물쓰레기외에도 음식물쓰레기를 싸는 비닐, 이쑤시게, 숟가락, 나무젓가락, 심지어 돼지머리 등등이 사전 선별됨이 없이 함께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고, 사전 선별 및 분리배출이 잘 되어 순수하게 음식물 쓰레기만 있다고 가정할지라도 이에는 수분, 뼈다귀 등과같은 고형의 물질 등등이 그 비중(단위부피당 무게), 성분, 크기, 강도 등에 있어 천차만별로 혼재되어 있어 그 사후 선별 및 처리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를 예로 들었으나 이는 다른 쓰레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포장과 그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레또르트 식품류, 쏘세지와 비닐의 햄류, 비닐과 그 내용물의 빵류, 플라스틱 포장과 그 내용물의 도시락류 등등과 같은 포장식품이나 청과물시장의 쓰레기, 도시 쓰레기 등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배출되는 쓰레기를 일일히 수작업으로 사후 선별한 후에 처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이 큰 것 또는 환경에 악영향이 큰 쓰레기를 중심으로 사후선별 및 처리를 하고 있고, 그 외에는 단순히 소각하거나 매 립하는 등의 단순한 사후처리방식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러한 방식은 또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이 환경문제, 비용문제, 민원문제, 매립부지확보문제 등등 수많은 문제를 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쓰레기 선별 및 처리에 일조하고자 종래에 그 선별 및 처리장치 몇몇이 출원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종래 특허출원 2001-3301호(특허 416322호) "음식물 쓰레기 선별파쇄기" 에 관한 정면도 및 G-G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선별파쇄기는 원료물과 협잡물 즉, 음식물 쓰레기와 비닐 기타 등등이 혼재된 것을 처리물 투입구(11)와 투입호퍼(12)를 통해 투입스크류(22)에 의해 파쇄드럼(3)으로 투입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주축(main shift, 21)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결합된 회전날개(241)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심력이 부여된 음식물쓰레기는 회전날개의 끝과 파쇄드럼사이의 간극에 중력축을 중심으로 좌90도에서 우90도까지 상반구에 설치된 파쇄가이드날(312)을 향해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곧 파쇄가이드날과 부딪쳐 파쇄된다. 상기 파쇄가이드날은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되,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도록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는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다. 충격후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반사되어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다시 회전날개에 의해 원심력을 부여받게 된다. 이 때 하부에는 타공망(34)이 설치되어 일정크기 이하로 잘게 분쇄되고 비중이 커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원료물을 떨어뜨리게 되고 떨어진 원료물은 배출호퍼 내부의 배출스크류(5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원료물은 추후 다른 과정에서 원료로 쓰이게 된다.
한편, 일정크기 이상으로 있거나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아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은 다시 원심력에 의해 다음 단계의 파쇄가이드날과 또 다시 부딪치게 된다. 이러한 반복과정을 다 거친 다음 마지막으로 남은 협잡물은 파쇄드럼의 끝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구(31a)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파쇄와 동시에 배출스크류에 의한 원료물 배출과 협잡물 배출구에 의한 협잡물 배출로 선별 분리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선별파쇄장치는 이하에서 후술하는 점을 포함한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즉 첫째, 일정간격으로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에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는 파쇄가이드날이 중력방향을 중심으로 좌90도에서 우90도까지 설치되어 있으나, 상반구에서 회전날개에 의한 원심력이 최대인 지점은 중력을 감안할 때 회전날개가 중력축을 지나간 이후의 과정이 되는 바, 파쇄 및 가이드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선 파쇄가이드날의 배치가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돼지머리와 같은 큰 물체가 들어온 경우 파쇄가이드날과 부딪쳐 이루어지는 파쇄과정 및 가이드과정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고 바로 협잡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이 경우 과부하가 생김은 물론임),
둘째, 종래 파쇄드럼 내부에는 90도 간격으로 뻗어있게 설치된 1조의 회전날개로만 되어 있어 단순히 회전날개에 의한 원심력만을 이용한 선별 및 파쇄효과를 거둘 뿐, 다양한 비중차로 혼재되어 있는 처리물의 파쇄드럼 내에서의 원심난류흐 름의 차이를 충분히 만들어 내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찾아볼 수 없어, 결과적으로 선별의 질에 있어서 그 효율성 및 일정성(一定性)(또는 균일성(均一性), 이하 같다)이 없게 되었다. 즉, 종래 장치하에선 같은 쓰레기 종류를 동일한 회전속도로 선별파쇄하려고 할 지라도 어떤 경우는 제대로 파쇄 및 선별이 이루어지다가도 반대로 어떤 경우는 원심력의 차이로 인한 난류의 흐름차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거의 선별되지 않고 배출되거나 또는 파쇄되지 않고 바로 배출되는 경우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 파쇄드럼 내면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파쇄가이드날 사이에는 별도로 파쇄역할을 하는 것을 전혀 찾아볼 수 없어 파쇄효율을 떨어뜨렸음은 물론이고 비중이 큰 물체의 파쇄를 파쇄가이드날에만 의존한 나머지 파쇄가이드날의 잦은 고장, 휘어짐 등등의 원인이 되었으며,
넷째, 회전날개의 끝과 파쇄드럼 하반구 사이에는 틈이 거의 없어 비닐과 같은 물질의 축적에 의해 장치에 과부하를 낳게 되었고,
다섯째, 크기가 큰 물체나 비닐, 밧줄 등의 축적으로 인한 과부하 특히, 파쇄드럼의 입구부분에서의 축적으로 인한 과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여섯째, 원심력을 받지 않는 비산먼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일곱째,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을 찾아볼 수 없었고,
여덟째, 회전날개나 파쇄드럼 또는 파쇄가이드날의 고장이 있은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전체장치를 분해해야만 하는 등 수리 또는 교체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등등의 여러가지 단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선별 및 파쇄장치를 개량 발전시킨 것임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쓰레기 처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발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비산난류대와 선별파쇄대에 의해 비중(단위부피당 무게, 이하 같다)이 큰 물질과 작은 물질이 혼재된 쓰레기에서 그 비중차로 인한 원심난류의 차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쇄가이드날의 배치, 파쇄돌기, 파쇄봉 등에 의해 파쇄의 효율을 제고함으로서 비중차가 있는 혼합물의 쓰레기를 선별 및 파쇄하는 경우에 관한 한 안정적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고, 과부하가 충분히 예방되고, 비산물질,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어 결과적으로 비중차가 있는 혼합물의 쓰레기를 선별 및 파쇄하는 경우에 관한 한 안정적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부차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처리되어야 할 쓰레기를 처리물 투입구(11) 및 투입호퍼(12)를 통해 투입스크류(22)에 의해 파쇄드럼(3)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쓰레기를 파쇄드럼 내부의 회전날개(241)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심력이 부여된 쓰레기를 회전방향에 비스듬하게 일정간격으로 파쇄드럼의 내면과 회전날개의 끝과의 간극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파쇄가이드날(312)과 부딪쳐 파쇄한 다음, 파쇄드럼 하부의 타공망(34)을 통해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되고 비중이 커 중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원료물을 배출호퍼(52) 내의 배출스크류(51)로 떨어뜨려 원료배출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되지 않거나 비중이 작은 협잡물은 별도로 파쇄드럼의 끝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구(31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선별 및 파쇄하는 쓰레기 선별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드럼의 내부는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시켜 원심난류의 흐름을 일으키는 비산난류날개(23a)와 상기 비산난류날개의 양단에 결합되어 비산되어 원심난류로 흐르는 쓰레기를 1차적으로 파쇄하는 난류파쇄판(23b)으로 이루어지는 비산난류대(23)와, 1이상의 조로서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0도∼9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는 회전날개(241)를 포함하여 2차적으로 선별 및 파쇄하는 선별파쇄대(24)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드럼(3) 내면에 설치되는 파쇄가이드날(312)은 중력방향을 기준으 로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도∼75도,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90도∼135도 사이의 범위의 간극에 설치되어 파쇄드럼(3)의 내면이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심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음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들이 내장되어 고정되어지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들이 내장되어 고정되어지는 프레임(81)에는 기본적인 지지골격외에 양단의 판과 그 사이의 판으로 전체 3개의 판이 있으며, 각 판에는 볼트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구멍들은 후술하는 투입호퍼(12), 파쇄드럼(3), 배출호퍼(52) 등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볼트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결합됨으로서 상술한 장치들을 구조적으로 프레임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결합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가운데 판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주축(21) 및 투입스크류(22)가 통과하도록 통공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외장 및 협잡물 배출관을 제외한 전체적인 조립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조립사시도에서 투입호퍼가 제거되고 여닫이판 및 파쇄곡판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선별파쇄장치는 대체적으로 종래와 같이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처리되어야 할 쓰레기가 투입되는 처리물 투입구(11)가 좌측 상단에 상부가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상기 처리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파쇄드럼(3) 내부로 이송하는 투입스크류(22)가 투입호퍼(12)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파쇄드럼의 하부면에는 일정크기로 구멍이 통공된 타공망(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공망(34)을 통해 나온 원료물을 배출하기 위해 타공망 하부에 배출스크류(51)가 배출호퍼(52)내에 내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배출되는 원료물은 추후 다른 과정에서 원료로서 사용되어진다.
다만, 종래와는 달리 파쇄드럼 내부의 초입에는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난류시키고 파쇄하는 비산난류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산난류대 뒤에는 3조(3 group)의 회전날개 조합으로서 각 조가 약간씩 어긋나있는 선별파쇄대(24)가 투입스크류의 주축과 동일한 주축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조로 도시되어 있음은 하나의 일예로서, 필요에 따라 1조, 2조 또는 4이상의 조로 나누어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도 3조로 되어있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날개도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1조에 4개의 회전날개가 있는 것으로 예시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이도 필요에 따라 1조에 2개, 3개, 4개 이상 등으로 하여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도 1조에 4개의 회전날개가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비산난류대(23)와 선별파쇄대(24)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합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외장, 처리물 투입구 및 협잡물 배출관을 제외한 각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이를 선별 및 파쇄하고자 하는 쓰레기를 좌측 상부의 처리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하면, 중력에 의해 투입호퍼(12)내의 하부에 내장된 투입스크류(22)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투입스크류(22)는 스크류회전에 의해 쓰레기를 우측의 파쇄드럼(3)의 내부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드럼 내부의 초입에는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난류시키고 파쇄하는 비산난류대(23)가 형성되어 있는 바, 비중이 큰 물질과 작은 물질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는 그 비중차로 인한 원심난류 흐름의 차이가 충분히 만들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비산난류대를 거친 쓰레기는 파쇄드럼과 함께 투입스크류의 주축과 동일한 주축에 결합되어 있는 선별파쇄대(24)에 의해 선별 및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비산난류대(23) 및 선별파쇄대(24)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서 추가로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쇄드럼(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볼트결합되고 그 내면에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된 파쇄곡판(31) 및 받침곡판(32)과, 상호 볼트 결합되고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되지 않은 일측면곡판(33) 및 타공망(3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곡판(32)과 타공망(34)은 상호 볼트결합되고 상기 파쇄곡판(31)과 일측면곡판(33) 상호간은 힌지결합되어 상기 파쇄곡판(31)과 받침곡판(32) 상호간의 볼트결합만 해체하면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고장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파쇄곡판(31)과 받침곡판(32) 상호간의 볼트결합은 고장수리 또는 교체시 그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아이볼트(3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열려진 상태는 도 3 참조)
또한, 상기 파쇄곡판(31), 받침곡판(32), 일측면곡판(33) 및 타공망(34) 모두 그 좌우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프레임(81)의 중간판 및 우측판에 그 양단이 볼트결합되어 프레임에 고정된다. 파쇄드럼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바, 추가로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드럼(3) 및 선별파쇄대(24)를 거쳐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되고 비중이 커 중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원료물은 상기 타공망(34)에 통공된 구멍을 통과하게 되고, 통과한 원료물은 배출호퍼(52) 내부의 배출스크류(51)에 의해 원료물 배출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배출호퍼(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여닫이판(52a)과 하부의 스크류판(5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닫이판(52a)과 스크류판(52b) 사이는 힌지(52c)에 의해 힌지결합됨으로서, 배출스크류에 대한 청소, 수리 또는 교체시 상부 여닫이판(52a)을 쉽게 열 수 있음으로서 그 용이함을 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열려진 상태는 도 3 참조). 또한, 여닫이판(52a)의 상부는 상기 받침곡판(32) 또는 일측면곡판(33)의 하부와 볼트결합되어 있어 여닫이판을 열려고 할 경우에는 그 볼트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도 6b, 도 7b 참조) 한편, 여닫이판(52a)과 스크류판(52b)의 좌우 양단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프레임(81)의 중간판 및 우측판에 그 양단이 볼트결합되어 프레임에 고정된다.
한편, 일정크기 이상으로 있거나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 타공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협잡물은 상기 파쇄곡판의 외면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협잡물 배출구(3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도면에서 부호 64는 기어드 모터(motor)를 의미하며, 부호 61은 구동모터를 의미한다. 외부전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기어드 모터는 체인(65)을 통하여 구동모터(61)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동력을 전달받은 구동모터(61)는 한 축으로는 각형 베어링(54)을 통해 상기 배출스크류(51)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다른 한 축으로는 하부벨트축(62a)과 연결되어 벨트(63)를 통해 상부 벨트축(62b)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부 벨트축(62b)은 원추 베어링(41)을 통해 투입스크류(22), 비산난류대(23) 및 선별파쇄대(24)가 결합된 주축(main shift, 21)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투입스크류(22), 비산난류대(23) 및 선별파쇄대(24)의 회전력의 근원이 된다. 도면에서 부호 42는 베어링 플랜지를 의미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우측면도 및 협잡물 배출관 부분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좌측면도 및 좌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드럼(3)의 내면은 그 내부에 있는 회전날개(241)의 끝과는 일정 부분에서 간극이 존재하고, 그 간극에는 파쇄가이드날(312)이 설치된다. 간극 및 파쇄가이드날이 존재하지 않으면 장치에 엄청난 과부하를 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파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파쇄드럼 내면의 파쇄가이드날(312)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날개(241)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도∼75도,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90도∼135도 사이의 범위의 간극에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파쇄드럼(3)의 내면은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된 파쇄가이드날 부분의 중심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는 회전날개(241)에 의한 원심력이 최대인 지점은 중력을 감안할 때 회전날개가 중력축을 지나간 이후의 과정이 되는 바, 파쇄 및 가이드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선 파쇄가이드날의 배치도 이에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각 부품도 등을 참조하여 각각의 부품 및 그에 따른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주축과 이에 결합된 투입스크류, 비산난류대 및 선별파쇄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는 상기 도 8의 비산난류날개와 그 끝부분에 결합된 난류파쇄판의 A부분을 확대도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상기 도 8의 회전날개 끝부분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산난류대(23)는 파쇄드럼의 내부의 초입에서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시켜 원심난류의 흐름을 일으 키는 비산난류날개(23a)와 상기 비산난류날개의 양단에 결합되어 비산되어 원심난류로 흐르는 쓰레기를 1차적으로 파쇄하는 난류파쇄판(23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비산난류대(23)는 비중차이가 있는 쓰레기의 비중차에 따른 원심난류 흐름의 차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선별 및 파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더욱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크기가 크고 무거운 물체의 투입 또는 투입량의 일시적 폭증으로 인한 과부하를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즉, 파괴, 파봉, 비산의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파쇄대(24)는 1이상의 조로서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0도∼9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는 회전날개(241)를 포함하여 2차적으로 선별 및 파쇄하는 부분이다.
특히, 예시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3조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상기 선별파쇄대(24)는 파쇄드럼 입구부의 입구 회전날개(241a)와 파쇄드럼 중간부의 중간 회전날개(241b) 및 파쇄드럼 출구부의 출구 회전날개(241c)의 3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20도∼4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날개(241)의 끝부분에는 날개보강판(242)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날개보강판(242)에는 파쇄돌기(243)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주축으로부터 일정 반경 이상 원심력을 받는 쓰레기에 대해 상기 파쇄가이드날(312)에 의한 파쇄외에도 회전날개(241)에 의한 충격 파쇄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서 파쇄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날개보강판(242)의 끝부분은 회전날개의 회전시 쓰레기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한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요철되어 있다. 즉, 요철(242a)이 없다면 비닐 등과 같은 파쇄가이드날에 의해서도 완전히 잘 잘리지 않는 이물질이 축적된 채로 회전날개의 회전시 날개보강판(242)의 끝부분과 파쇄가이드날간 또는 간극이 없는 파쇄드럼의 부분과의 사이에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한 과부하를 낳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에, 요철을 두어 그 함입된 부분으로 비닐과 같은 이물질을 빠져나가게 함으로서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날개(241)의 면 중간에는 충격파쇄시 회전날개간의 소음 및 진동의 공명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소음구멍(244)이 타공되어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각각 상기 도 8의 C-C선, D-D선, E-E선, F-F선의 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부는 선별파쇄대에서의 선별 및 파쇄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협잡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3조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비산난류대(23)에서 비산난류날개(23a)에 의해 충분히 비산난류되어 난류파쇄판(23b)에 의해 파쇄되지 않은 물질은 입구 회전날개(241a) 부분으로 넘어가지 않게 된다. 즉, 주축에서 일정 반경 이상으로 비산난류되고 난류파쇄판(23b)에 의해 파쇄되어야만 도 10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C선의 연결부를 넘어 입구 회전날개(241a)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입구 회전날개(241a) 부분에 의해 1차적으로 선별 및 파쇄효과를 거치도록 하고, 혹시라도 주축에 가까이 있어 이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중간 회전날개(241b) 부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0b의 연결부의 단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축에서 일정 반경 이상 떨어져 있어 원심난류의 흐름을 받고 그에 따른 선별 및 파쇄효과를 본 가능성이 큰 경우만 파쇄원통 중간부의 중간 회전날개(241b)의 부분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보장하는 작용을 한다.
마지막으로, 중간 회전날개(241b) 부분에서조차도 선별 및 파쇄효과를 거치지 아니한 경우라 할지라도 파쇄원통 출구부의 출구 회전날개(241c)의 부분에 의해 선별 및 파쇄효과를 거칠 수 밖에 없도록 함으로서 3중으로 보장함으로서 선별 및 파쇄의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선별 및 파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각 조의 회전날개 사이가 약간씩 어긋나 있음은 상기한 파쇄돌기(243)에 의한 충격파쇄의 효과를 제고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초반 난류파쇄대(23)에 의해 형성된 비중차에 의한 원심난류흐름의 차이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선별의 효능을 지속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즉, 비닐과 같은 비중이 작은 물질의 경우 다음 단계의 어긋나 있는 회전날개에 의한 충격력을 적게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충격파쇄 및 난류의 흐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게 되는 반면, 비중이 큰 물질의 경우 충격력을 크게 받게 되고 그에따라 충격파쇄가 크게 되고 그 난류의 흐름에도 확실한 비산의 효과를 보게됨으로 서 선별력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파쇄곡판의 외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드럼(3) 중 파쇄곡판(31)의 외면에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흡수재(31c)가 부착고정되어 있고, 그 일단에는 협잡물 배출구(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협잡물 배출구(31a) 내면 하부에는 칼날(31c)이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도 6b 참조). 또한, 파쇄곡판의 좌우 양단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의 중간판 및 우측판에 양단이 볼트결합되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또한, 파쇄곡판(31)의 외면에는 고장수리 또는 교체시 쇠사슬을 끼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고리(3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날(31c)은 밧줄 등과 같은 길이가 긴 협잡물이나 쉽게 달라붙는 협잡물이 누적되어 협잡물 배출구로 원만히 배출되지 않고 그 입구 초입에서 누적되는 것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즉, 이를 잘라주는 역할을 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파쇄곡판의 내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b는 상기 도 12a에서 파쇄곡판의 내면에 파쇄가이드날 등이 결합된 파쇄기구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쓰레기의 이동 즉, 가이드 역할을 도와줄 수 있도록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는 비스듬하게 다수개 설치되어짐을 알 수 있고, 또한, 상기 파쇄원통의 파쇄곡판(31)의 내면의 파쇄가이드날간에는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길게 파쇄봉(313)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및 파쇄효율을 제고(提高)할 수 있도록 함이다. 즉, 파쇄봉(313)이 없다면 회전날개에 의한 원심력을 전달받는 쓰레기는 파쇄가이드날과 부딪쳐 파쇄되게 되지만, 파쇄가이드날 사이의 경우에는 파쇄가이드날과 부딪치지 않게 되거나 파쇄가이드날의 측면과 부딪치게 되어 파쇄가이드날을 휘게 하거나 파쇄의 효과는 미미하게 되고 오히려 소음 및 진동만 창출하게 된다. 또한, 파쇄봉은 원심력에 의한 방향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바, 파쇄의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에도 기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3조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선별파쇄대에 돼지머리와 같은 큰 쓰레기가 들어온 경우 파쇄가이드날에 의한 파쇄 및 가이드효과가 적을 지라도 오히려 이 경우에는 파쇄봉에 의한 파쇄효과는 충분히 거둘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3조에 의한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적어도 출구부의 출구 회전날개(241c)에서는 파쇄가이드날에 의한 파쇄 및 가이드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어떤 물체가 들어오더라도 일정 정도의 파쇄 및 가이드효과는 거둘 수 있도록 하는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더욱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가이드날(312), 파쇄봉(313), 파쇄돌기(314) 등의 파쇄기구를 파쇄기구판(311)을 통해 파쇄곡판(31)의 내면에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파쇄가이드날(312), 파쇄봉(313), 파쇄돌기(314) 등의 파쇄기구를 직접 파쇄곡판(31)의 내면에 결합한 경우에 파쇄곡판 내면의 손상이 있 으면 파쇄곡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점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파쇄곡판의 내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가이드날(312), 파쇄봉(313), 파쇄돌기(314) 등의 파쇄기구는 선별 및 파쇄하고자 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여러가지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파쇄가이드날(312)과 파쇄돌기(314)를 함께 배치할 수 있고(도 13a 참조), 파쇄가이드날(312), 파쇄봉(313), 파쇄돌기(314)를 한꺼번에 배치할 수도 있고(도 13b 참조), 파쇄가이드날(312)만 배치할 수 있다(도 13c 참조).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파쇄돌기만 무작위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타공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 타공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및 파쇄를 위해서는 일정 크기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타공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별보다는 파쇄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경우, 예를 들어 다양한 크기 및 강도로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소각이 잘 되도록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소각용 쓰레기를 제조하여야 할 경우에는 도 14b에서와 같은 타공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타공망의 좌우 양단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의 중간판 및 우측판에 양단이 볼트결합되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다만, 도 14b에서의 타공망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 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상하의 지지부재 사이에 반원형으로 타공봉(36)의 양단이 삽입되고, 타공봉 사이는 타공봉을 관통하는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의 회전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조정됨으로서 전체적으로 타공봉과 볼트에 의해 망의 형태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망은 그 구멍이 막힐 염려가 적음과 동시에 구멍을 통과하려는 압력을 증진시키되 타공망의 강도가 필요한 경우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선별보다는 분쇄 또는 파쇄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한 형태이다.
도 15는 외장 및 협잡물 배출관이 결합된 본 발명 장치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 배출구(31a)에는 협잡물 배출관(71)이 결합되어지고, 협잡물 배출관(71) 상부에는 비산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덕트(72)가 설치되어진다(도 6b 및 도 7a 참조). 한편, 외장의 하나의 예를 도 15에 도시하였으나, 그 색깔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16은 본 발명 장치가 투입 콘베이어 및 배출 콘베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및 파쇄되어야 할 쓰레기의 처리물 투입구(11)로의 투입은 투입콘베이어(13)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매 시간당 일정량의 쓰레기의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선별 및 파쇄된 원료물이 원료배출관(53)를 통해 배출 콘베이어(55)에 의해 균일하게 배출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비산난류대와 선별파쇄대에 의해 비중이 큰 물질과 작은 물질이 혼재된 쓰레기에서 그 비중차로 인한 원심난류의 차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파쇄 및 선별의 일정성(一定性) 또는 균일성(均一性)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쇄가이드날의 배치, 파쇄돌기, 파쇄봉 등에 의해 파쇄의 효율을 제고하고 나아가 고장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고, 과부하가 충분히 예방되고, 비산물질,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 효과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선별 및 파쇄의 일정성 또는 균일성 및 제고된 선별 및 파쇄효율로 인해 비중차가 있는 혼합물 쓰레기의 선별 및 파쇄에 관한 한 안정적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포장과 그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레또르트 식품류, 쏘세지와 비닐의 햄류, 비닐과 그 내용물의 빵류, 라면류, 플라스틱 포장과 그 내용물의 도시락류 등등과 같은 포장식품 쓰레기의 선별 및 파쇄 처리는 물론이고, 다양한 비중차로 혼재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선별 및 파쇄 처리에서부터 야채, 생선 등이 혼재되어 있는 청과물시장의 쓰레기, 기타 도시 쓰레기에서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심지어, 쓰레기 매립토를 선별 및 분쇄하여 복원하는 경우에도 사용되어지며, 일정 크기이하로 분쇄되어야 하는 소각요 쓰레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처리되어야 할 쓰레기를 처리물 투입구(11) 및 투입호퍼(12)를 통해 투입스크류(22)에 의해 파쇄드럼(3)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쓰레기를 파쇄드럼 내부의 회전날개(241)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심력이 부여된 쓰레기를 회전방향에 비스듬하게 일정간격으로 파쇄드럼의 내면과 회전날개의 끝과의 간극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파쇄가이드날(312)과 부딪쳐 파쇄한 다음, 파쇄드럼 하부의 타공망(34)을 통해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되고 비중이 커 중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원료물을 배출호퍼(52) 내의 배출스크류(51)로 떨어뜨려 원료배출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되지 않거나 비중이 작은 협잡물은 별도로 파쇄드럼의 끝에 설치된 협잡물 배출구(31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선별 및 파쇄하는 쓰레기 선별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드럼의 내부는 원료물과 협잡물이 혼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비산시켜 원심난류의 흐름을 일으키는 비산난류날개(23a)와 상기 비산난류날개의 양단에 결합되어 비산되어 원심난류로 흐르는 쓰레기를 1차적으로 파쇄하는 난류파쇄판(23b)으로 이루어지는 비산난류대(23)와, 1이상의 조로서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0도∼9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는 회전날개(241)를 포함하여 2차적으로 선별 및 파쇄하는 선별파쇄대(24)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드럼(3) 내면에 설치되는 파쇄가이드날(312)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도∼75도,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90도∼135도 사이의 범위의 간극에 설치되어 파쇄드럼(3)의 내면이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심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파쇄대(24)는 쓰레기가 이송유입되는 파쇄드럼 입구부의 입구 회전날개(241a)와 파쇄드럼 중간부의 중간 회전날개(241b) 및 파쇄드럼 출구부의 출구 회전날개(241c)의 3조로 이루어져 있고, 인접하는 각조 사이의 회전날개는 최단각도기준으로 20도∼40도 사이의 범위로 어긋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4)의 끝부분에는 파쇄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날개보강판(242)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날개보강판(242)에는 파쇄돌기(243)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보강판(242)의 끝부분은 회전날개의 회전시 쓰레기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한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요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드럼(3)은, 상호 볼트결합되고 그 내면에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된 파쇄곡판(31) 및 받침곡판(32)과, 상호 볼트결합되고 파쇄가이드날이 설치되지 않은 일측면곡판(33) 및 타공망(3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곡판(32)과 타공망(34)은 상호 볼트결합되고 상기 파쇄곡판(31)과 일측면곡판(33) 상호간은 힌지결합되어 상기 파쇄곡판(31)과 받침곡판(32) 상호간의 볼트결합만 해체하면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고장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곡판(31)의 내면의 파쇄가이드날간에는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길게 파쇄봉(31b)이 다수개 설치되어 파쇄의 일정성(一定性) 및 파쇄효율을 제고(提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곡판(31)의 내면의 파쇄가이드날간에는 파쇄돌기(314)가 다수개 설치되어 파쇄의 일정성(一定性) 및 파쇄효율을 제고(提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파쇄곡판 내면의 손상시 파쇄곡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점을 예방하도록 파쇄곡판(31)의 내면에 별도의 파쇄기구판(311)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곡판(31)의 외면에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흡수재(31c)가 부착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배출스크류에 대한 청소, 수리 또는 교체의 용이함을 위하여 상기 배출호퍼(52)는 여닫이판(52a)과 스크류판(5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닫이판(52a)과 스크류판(52b) 사이는 힌지(52c)에 의해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배출구(31a) 내면 하부에는 배출물질이 협잡 물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고 그 입구 초입에서 누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칼날(31d)이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배출구(31a)에는 협잡물 배출관(71)이 결합되어지고, 협잡물 배출관(71) 상부에는 비산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덕트(72)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KR1020050023556A 2005-03-22 2005-03-22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KR10071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56A KR100718653B1 (ko) 2005-03-22 2005-03-22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56A KR100718653B1 (ko) 2005-03-22 2005-03-22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138A true KR20070034138A (ko) 2007-03-28
KR100718653B1 KR100718653B1 (ko) 2007-05-15

Family

ID=4156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56A KR100718653B1 (ko) 2005-03-22 2005-03-22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6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55Y1 (ko) * 2007-12-10 2010-10-13 신세기 시스템 (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047808B1 (ko) * 2009-09-04 2011-07-07 김정명 경사형 패각분쇄기
CN107262245A (zh) * 2017-08-17 2017-10-20 河南助拓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排杂功能的筛分式粉磨机
CN111940290A (zh) * 2020-08-19 2020-11-17 北京舞鹤环境工程设计有限公司 用于推流离心筛的多曲面复合推流破碎螺旋轴及应用
KR102381139B1 (ko) * 2021-05-31 2022-03-30 나민수 음식물쓰레기의 협잡물 파쇄 시스템
KR102400698B1 (ko) 2021-11-23 2022-05-20 나민수 음식폐기물 처리설비의 협잡물 파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63Y1 (ko) 2011-02-01 2011-08-08 노승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16065B1 (ko) * 2017-10-27 2018-01-09 주식회사 주승 음식물 쓰레기 복합 처리 장치
JP6651092B1 (ja) * 2019-03-11 2020-02-19 株式会社モキ製作所 分離装置
JP6739032B1 (ja) * 2019-03-11 2020-08-12 株式会社モキ製作所 羽根車回転機構の異物絡み防止構造及び分離装置
KR102284160B1 (ko) * 2020-11-13 2021-07-29 주식회사 경남알씨 폐자재 재활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319A (ja) 1999-06-23 2001-03-13 Morinaga Milk Ind Co Ltd 廃棄食品の包装材分離装置
JP3666800B2 (ja) 2000-12-18 2005-06-29 鹿島建設株式会社 生ごみ様廃棄物の異物分離装置
KR100416322B1 (ko) * 2001-01-19 2004-01-31 디프러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KR100505475B1 (ko) * 2002-11-28 2005-08-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극이 동일한 면에 위치한 피티씨 서미스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55Y1 (ko) * 2007-12-10 2010-10-13 신세기 시스템 (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047808B1 (ko) * 2009-09-04 2011-07-07 김정명 경사형 패각분쇄기
CN107262245A (zh) * 2017-08-17 2017-10-20 河南助拓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排杂功能的筛分式粉磨机
CN111940290A (zh) * 2020-08-19 2020-11-17 北京舞鹤环境工程设计有限公司 用于推流离心筛的多曲面复合推流破碎螺旋轴及应用
CN111940290B (zh) * 2020-08-19 2023-09-15 北京舞鹤环境工程设计有限公司 用于推流离心筛的多曲面复合推流破碎螺旋轴及应用
KR102381139B1 (ko) * 2021-05-31 2022-03-30 나민수 음식물쓰레기의 협잡물 파쇄 시스템
KR102400698B1 (ko) 2021-11-23 2022-05-20 나민수 음식폐기물 처리설비의 협잡물 파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653B1 (ko)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53B1 (ko)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KR100441917B1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JP2859576B2 (ja)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20110068781A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CA3001749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KR20045496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7478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CN101758064B (zh) 餐厨垃圾破袋综合分选机
JP2012045487A (ja) 分別破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分別破砕方法
CN105536969B (zh) 剥离式生活垃圾分选机
CN205518120U (zh) 剥离式生活垃圾分选机
NO333276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a separere vedheftet papir fra papirdekkende gipsplater
CN117443543B (zh) 一种多层立交桥式固废处理系统
KR20210016961A (ko) 트롬멜 선별기
KR20120019962A (ko) 이물질 파쇄 선별기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JP3509714B2 (ja)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CN112827630A (zh) 一种建筑垃圾回收装置及使用方法
CA3057859A1 (en) Process for recovering organics from material recovery facility fines
KR100869063B1 (ko) 폐그물 선별 장치
KR100458935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28090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