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976B1 -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976B1
KR101320976B1 KR1020130049831A KR20130049831A KR101320976B1 KR 101320976 B1 KR101320976 B1 KR 101320976B1 KR 1020130049831 A KR1020130049831 A KR 1020130049831A KR 20130049831 A KR20130049831 A KR 20130049831A KR 101320976 B1 KR101320976 B1 KR 10132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food waste
food
discharge ho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택
김민길
Original Assignee
임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택 filed Critical 임승택
Priority to KR102013004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에서 1차적으로 철 등의 자성체를 선별하고, 또 선별장치로 이송된 음식물을 블레이드로 파쇄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봉지 등의 경량물은 선별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경량물배출구를 통해 선별되고, 철 등의 자성체를 갖는 중량물은 경량물배출구의 하부에 형성된 중량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선별하는 블레이드가 파손 없이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ALIEN SUBSTANCE AND CRUSHING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에서 1차적으로 철 등의 자성체를 선별하고, 또 선별장치로 이송된 음식물을 블레이드로 파쇄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봉지 등의 경량물은 선별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경량물배출구를 통해 선별되고, 철 등의 자성체를 갖는 중량물은 경량물배출구의 하부에 형성된 중량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선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파손 없이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삶의 질 향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적으로 가정과 급식소 및 식당 등에서 다량으로 발생되어 배출되고,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 퇴비 등으로 자원화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를 통해 재처리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에는 통상 음식물 쓰레기 외에도, 비닐, 철 등의 이물질도 함께 포함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비닐, 철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자원화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8935호에는 회전 날개가 부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 날개가 부착된 회전축과 동심을 이루는 타공망과,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선별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및 타공망을 감싸는 외통과, 상기 회전축 및 타공망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날개 및 타공망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 및 타공망은 이물질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형태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비닐 등의 경량물과, 철 등의 중량물이 별도로 선별되지 못함으로 인해 선별된 일부 이물질을 재선별해야 하고, 철 등의 중량물에 의해 블레이드가 쉽게 파손되며, 선별망 교체시 선별망 탈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특허등록 제 제10-0918710호의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와 특허등록 제10-0679636호의 유기성 폐기물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등이 개발되어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개된 선별장치는 이물질에 혼합된 협잡물을 협잡물흡입팬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분리시키거나, 부양하는 이물질을 이송스크류로 원활하게 이송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금속류를 선별하는 기술구성이 미약하여 금속류에 의해 선별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8935호 :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710호 :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636호 : 유기성 폐기물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음식물을 파쇄하면서 음식물에 혼합된 비닐 등의 경량물과 금속 등의 중량물인 이물질을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장치의 회전축에 복수개 부착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때, 음식물을 파쇄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부유되는 비닐봉지 등의 경량물은 상부하우징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경량물배출구를 통해 선별하고, 또 철 등의 자성체를 갖는 중량물은 경량물배출구의 하부측에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중량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에서 철 등의 금속물을 1차 선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금속이나 무거운 중량물에 의해 블레이드가 파손없이 음식물을 파쇄하고, 또 비닐 등의 경량물과 금속 등의 중량물을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 자력선별기 및 자력선별망체를 서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관(10)의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하는 이송스크류(11)와, 상기 이송스크류(11)를 통해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금속류를 선별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자력선별기(12)에 있어서,
삭제
상기 이송스크류(11)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하기 위해 상부면에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경량물을 배출하는 경량물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경량물배출구(22)의 하부측에 중량물을 배출할 수 있는 중량물배출구(23)를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배출구(23)로 중량물이 잘 배출되게 유도하기 위해 중량물 배출구(23)의 내부 상부측에 경사지게 유도판(90)을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배출구(23)로 배출되는 중량물에 혼합된 철과 같은 금속류를 선별할 수 있도록 망형태로 자성체를 갖는 자력선별망체(80)를 체결구(81)에 의해 중량물배출구(23)의 단부측에서 분리 및 결합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상부하우징(20)과,
상기 상부하우징(20)과 파쇄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천공된 하부하우징(30)을 결합하여 본체(40)에 안착시켜서 체결구(31)에 의해 서로 일체로 체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되고 표면에 스크류형태로 복수개의 블레이드(70)롤 형성한 회전축(60)은 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본체(40)의 내부에 복수개의 블레이드(70)가 부착된 회전축(60)을 경사지게 상하로 2개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혼합된 경량물 및 중량물을 원활하게 상부로 부유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본체 상부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파쇄되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기류를 따라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봉지 등의 경량물은 부유되면서 상부하우징의 상부측에 형성된 경량물배출구를 통해 선별되고, 철 등의 금속류를 갖는 중량물은 경량물배출구의 하부에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중량물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장치로 이송하는 이송관에 다수개의 자력선별기를 장착함으로써 이송스크류를 타고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철 등의 금속류를 1차 선별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파쇄 및 이물질을 선별하는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중량물배출구의 단부측에는 자력선별망체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중량물 중에서 잔존하는 철 등의 금속류를 선별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을 다시 순환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자력선별기, 자력선별망체는 손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회전축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회전축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해 와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1)가 내장된 이송관(10)이 형성되고, 또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비닐 등의 경량물과 철 등의 금속류와 같은 중량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100)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선별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별장치(100)로 이송하는 이송관(1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1)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송스크류(11)를 통해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이물질 중에서 철 등과 같은 금속류를 1차 선별하기 위하여 이송관(10)의 외부에 다수개의 자력선별기(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력선별기(12)는 이송관(10)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체결구(13)에 의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10)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선별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파쇄하기 위한 선별장치(100)는 상부하우징(20)과, 하부하우징(30)이 체결구(31)에 의해 결합되고, 또 하부하우징(30)은 원통형의 본체(40) 위에 안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저면에는 파쇄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통공(32)이 천공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부하우징(20)과 하부하우징(30)은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체결구(31)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20)이 결합된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회전축(60)이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6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7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0)의 표면 둘레를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회전축(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70)와 블레이드(7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파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0)의 상부면에는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1)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1)의 일측면 하부에는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부유되는 비닐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경량물배출구(22)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량물배출구(22)의 하부측에는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튀어 오르는 철 등의 금속류와 같은 중량물을 배출하기 위한 중량물배출구(23)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배출구(23)의 내부 상부측에는 중량물이 경량물배출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중량물배출구(23)로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판(90)이 내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그뿐만 아니라 중량물배출구(23)의 출구측 단부에는 망사형으로 형성되고, 배출되는 중량물에 혼합된 철 등의 금속류를 선별하기 위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선별망체(80)가 체결구(81)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 또한,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물배출구(23)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게다가 상기 상부하우징(20)과 하부하우징(30)이 결합되는 부분은 개구부를 형성하여 체결구(31)에 의해 결합하여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파쇄하고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60)에 복수개 부착된 블레이드(70)가 U자형의 수용공간을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것이다.
이때, 복수개의 블레이드(70)는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회전시, 회전기류를 증가시켜 원심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회전축(6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축(60)에 의해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기류가 형성되게 하고, 원심력에 의해 부유되는 이물질인 비닐 등의 경량물과 철 등의 금속류인 중량물을 경량물배출구(22)와 중량물배출구(23)를 통해 배출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모터(50)와 회전축(60)은 회전축(60)과 폴리(미도시), 벨트(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축(60)을 회전하도록 동력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동력장치는 통상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의 작동실시 예를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관(10)의 내부에 형성된 이송스크류(11)를 통해 선별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하우징(20)의 투입구(21)로 투입시킨다.
이때 이송관(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자력선별기(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류(11)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철 등의 금속류는 선별이 된다.
그리고 자력선별기(12)에 선별된 금속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송관(10)에 자력선별기(12)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구(13)를 풀어서 자력선별기(12)를 이송관(10)에서 분리하여 금속류를 선별한 후, 다시 체결구(13)에 의해 자력선별기(12)를 이송관(10)에 결합하여 가동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선별장치(100)의 상부하우징(20)에 형성된 투입구(21)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구동하고 있는 회전축(60)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블레이드(70)가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파쇄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는 블레이드(70)와 블레이드(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잘 파쇄가 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하우징(3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2)을 통해 하부로 배출이 된다.
또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축(60)의 표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70)가 회전하면 회전기류가 생기면서 원심력이 발생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비닐 등의 경량물은 물론 철 등의 금속류와 돌과 같은 중량물도 상부하우징(20)의 내부로 부유하게 된다.
이때 부유되는 비닐 등의 경량물은 상부하우징(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량물배출구(22)로 배출이 되고, 금속류와 같은 중량물은 경량물배출구(22)의 하부에 형성된 중량물배출구(23)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때 중량물은 중량물 배출구(23)의 입구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유도판(90)에 부딪쳐서 중량물이 경량물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중량물배출구(23)로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량물배출구(23)로 배출되는 중량물 중에서 금속류와 같은 이물질은 중량물배출구(23)의 단부측에 장착된 자력선별망체(80)에 부착되어 선별되고 일부 음식물 쓰레기는 중량물배출구(23)의 출구측에 장착된 자력선별망체(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것을 다시 순환하여 선별장치의 내부로 시킨다.
이때도 상기 자력선별망체(80)는 체결구(81)에 의해 중량물배출구(23)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 회전축(60)(60')을 상하로 경사지게 2개를 형성하여 회전축(60)(60') 둘레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70)(70')를 형성함으로써, 하부의 회전축(60)에 장착된 블레이드(70)가 회전하면서 하부하우징(30)의 바닥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상부의 회전축(60') 표면에 부착된 블레이드(70')로 부유시켜주고, 또 상부의 회전축(60') 표면에 부착된 블레이드(70')는 하부하우징(30)의 중앙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상부하우징(20)의 내부로 부유시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 등의 경랑물은 경량물배출구(22)로 배출하고, 철 등의 금속류의 중량물은 중량물배출구(23)로 배출되게 하여 파쇄와 선별을 보다 빠르게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봉지 등의 경량물은 경량물배출구를 통해 선별되고, 철 등의 자성체를 갖는 중량물은 중량물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고, 또한, 1차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금속류를 선별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의 이물질에 의해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자력선별망체는 체결구에 의해 손쉽게 탈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이송관 11. 이송스크류
12. 자력선별기 13. 체결구
20. 상부하우징 21. 투입구
22. 경량물배출구 23. 중량물배출구
30. 하부하우징 31. 체결구
32. 통공 40. 본체
50. 모터 60, 60'. 회전축
70, 70'. 블레이드 80. 자력선별망체
81. 체결구 90. 유도판
100. 선별장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이송관(10)의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하는 이송스크류(11)와, 상기 이송스크류(11)를 통해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금속류를 선별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자력선별기(12)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11)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하기 위해 상부면에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경량물을 배출하는 경량물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경량물배출구(22)의 하부측에 중량물을 배출할 수 있는 중량물배출구(23)를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배출구(23)로 중량물이 잘 배출되게 유도하기 위해 중량물 배출구(23)의 내부 상부측에 경사지게 유도판(90)을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배출구(23)로 배출되는 중량물에 혼합된 철과 같은 금속류를 선별할 수 있도록 망형태로 자성체를 갖는 자력선별망체(80)를 체결구(81)에 의해 중량물배출구(23)의 단부측에서 분리 및 결합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상부하우징(20)과,
    상기 상부하우징(20)과 파쇄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천공된 하부하우징(30)을 결합하여 본체(40)에 안착시켜서 체결구(31)에 의해 서로 일체로 체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되고 표면에 스크류형태로 복수개의 블레이드(70)롤 형성한 회전축(60)은 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0)의 내부에 복수개의 블레이드(70)(70')가 부착된 회전축(60)(60')을 경사지게 상하로 2개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혼합된 경량물 및 중량물을 원활하게 상부로 부유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30049831A 2013-05-03 2013-05-03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32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831A KR101320976B1 (ko) 2013-05-03 2013-05-03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831A KR101320976B1 (ko) 2013-05-03 2013-05-03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976B1 true KR101320976B1 (ko) 2013-10-23

Family

ID=4963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831A KR101320976B1 (ko) 2013-05-03 2013-05-03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9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27B1 (ko) * 2014-06-12 2015-06-03 박금자 스크류 컨베어의 철분 제거장치
KR101614503B1 (ko) * 2014-10-13 2016-04-29 주식회사 알엠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CN108295943A (zh) * 2016-11-23 2018-07-20 浙江传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破碎脱水一体化装置
KR101949379B1 (ko) * 2018-07-03 2019-02-19 주식회사 네오디아 음식물 쓰레기 수집탱크와 직결된 펌핑장치
KR102017478B1 (ko) * 2018-07-03 2019-09-03 주식회사 네오디아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CN111889479A (zh) * 2019-05-05 2020-11-06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7599887A (zh) * 2024-01-22 2024-02-27 哈尔滨学院 建筑垃圾现场破碎筛选集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196A (ko) * 2000-11-24 2002-05-30 심석구 파쇄, 이물질 제거 또는 탈취장치를 구비한 밀폐식음식물쓰레기 전처리 시스템
KR100918711B1 (ko)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196A (ko) * 2000-11-24 2002-05-30 심석구 파쇄, 이물질 제거 또는 탈취장치를 구비한 밀폐식음식물쓰레기 전처리 시스템
KR100918711B1 (ko)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27B1 (ko) * 2014-06-12 2015-06-03 박금자 스크류 컨베어의 철분 제거장치
KR101614503B1 (ko) * 2014-10-13 2016-04-29 주식회사 알엠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CN108295943A (zh) * 2016-11-23 2018-07-20 浙江传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破碎脱水一体化装置
KR101949379B1 (ko) * 2018-07-03 2019-02-19 주식회사 네오디아 음식물 쓰레기 수집탱크와 직결된 펌핑장치
KR102017478B1 (ko) * 2018-07-03 2019-09-03 주식회사 네오디아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CN111889479A (zh) * 2019-05-05 2020-11-06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1889479B (zh) * 2019-05-05 2023-11-03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7599887A (zh) * 2024-01-22 2024-02-27 哈尔滨学院 建筑垃圾现场破碎筛选集成装置
CN117599887B (zh) * 2024-01-22 2024-03-29 哈尔滨学院 建筑垃圾现场破碎筛选集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KR20110068781A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20100138731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20150143098A (ko) 쓰레기용 함마형 파쇄 분리기
KR102234951B1 (ko) 음식물 폐기물의 미세 파쇄 및 선별 장치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US6739532B2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003733A (ko) 폐유리 재활용 시스템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JP3761832B2 (ja) 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10245411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JP2000263028A (ja) 一般ゴミの破砕乾燥選別装置
KR101205280B1 (ko) 풍량 선별기 및 그를 이용한 선별방법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2174459B1 (ko) 혼합 폐기물 선별장치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