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056A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056A
KR20010022056A KR1020007000625A KR20007000625A KR20010022056A KR 20010022056 A KR20010022056 A KR 20010022056A KR 1020007000625 A KR1020007000625 A KR 1020007000625A KR 20007000625 A KR20007000625 A KR 20007000625A KR 20010022056 A KR20010022056 A KR 2001002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ox
conveying path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176B1 (ko
Inventor
이토유키오
고다마야스유키
미카미미츠구
모리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2001002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5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in the form of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폐삽입구에서 소금물 등의 액물이 투입되어도 삽입지폐에 대한 진위식별능력의 저하를 가급적 저지하기 위해, 지폐삽입구(3)과 연통하는 수평부(6a) 및 이 수평부(6a)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6b)를 갖는 지폐반송로(6)의 상기 수직부(6b)에 지폐식별수단(20)을 마련하였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BILL PROCESSOR}
일반적으로 지폐(쿠폰권 등을 포함한다)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본체내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위(眞僞)를 판별함과 동시에 진권(眞券)이라 판정된 지폐만을 축적수용하도록 한 지폐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지폐처리장치는 크게 구분하면,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장치본체내로 안내하는 지폐반송수단,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 및 진권으로 판정된 지폐를 순차 적재수용하는 적재기(스태커)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을 나타내는 주요부 절단 개념측면도이다.
이 지폐처리장치(1)은 직사각형형상의 장치본체(2)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정면(2a)의 아래쪽에는 지폐삽입구(3)이 형성된 앞면마스크(4)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지폐삽입구(3)이 형성된 앞면마스크(4)는 도시하지 않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정면을 구성하는 문에 형성된 앞면마스크 부착구멍에서 그의 선단 즉 지폐삽입구(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이 앞면마스크(4)에 형성된 지폐삽입구(3)의 바로 뒤에는 상기 지폐삽입구(3)에서 지폐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검출센서(5)가 마련되어 있고, 그 지폐검출센서(5) 바로 뒤의 앞면마스크(4) 내에는 지폐삽입구(3)과 연통해서 형성된 지폐반송로(6)을 개폐하는 셔터수단(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수단(7)은 도시하지 않는 승강수단을 거쳐서 화살표A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셔터(7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셔터(7a)는 지폐삽입구(3)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초기위치에 있어서 셔터(7a)가 상시(常時) 지폐반송로(6)을 막고 있으면 지폐삽입구(3)에서 삽입된 지폐가 직접 셔터(7a)와 맞닿아서 지폐걸림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셔터(7a)의 초기위치에 있어서 상시는 실선으로 나타내도록 지폐반송로(6)을 해방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한편, 지폐삽입구(3)과 연통하는 지폐반송로(6)은 지폐삽입방향과 대략 평행한 수평부(6a) 및 이 수평부(6a)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으로 상승한 수직부(6b)로 이루어지는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L자형의 지폐반송로(6)을 따라서 삽입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8)은 이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 및 수직부(6b)를 따라서 설치된 무단(無端) 의 지폐반송벨트(9) 및 이 지폐반송벨트(9)를 회전구동하는 벨트구동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구동수단(10)은 지폐반송벨트(9)를 감아서 설치하는 구동풀리(11), (12), (13), 이 구동풀리(11), (12), (13)중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에 마련된 구동풀리(11), (12)의 둘레면에 압접된 종동풀리(14), (15) 및 상술한 구동풀리(11), (12), (13)을 회전구동하는 풀리구동수단(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풀리구동수단(16)은 구동모터(17)과 이 구동모터(17)의 구동력을 구동풀리(13)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반송벨트(9)에는 그의 장력을 조정하는 아이들풀리(19)가 압접되어 있다.
한편, 지폐반송로(6)중 지폐삽입구(3)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수평부(6a)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권을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식별수단(20)은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헤드 등의 자기센서 및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는 열센서(hot sensor) 등의 각종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지폐진위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는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구성하는 상부슈트(21) 및 하부슈트(22)와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지폐삽입구(3)내에 지폐를 삽입하면 앞면마스크(4)내에 마련된 지폐검출센서(5)에 의해 삽입지폐의 유무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지폐반송벨트(9)의 반송력에 의해 삽입지폐는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따라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수평반송된다.
한편, 삽입지폐가 지폐반송벨트(9)의 정회전(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따라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수평반송되고, 지폐식별수단(20)을 통과하면 상기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삽입지폐의 진위가 판정된다.
그리고, 이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삽입지폐가 위권(僞券)이라 판단되면 지폐반송벨트(9)가 반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삽입지폐를 지폐삽입구(3)에서 반환한다.
한편, 삽입지폐가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진권이라 판단된 경우는 그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폐반송벨트(9)의 정회전이 지속되고, 삽입지폐의 진행방향은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따라서 대략 90도 위쪽으로 변환하고, 장치본체(2)의 배면(2b)에 착탈이 자유롭게 마련된 적재기(21)측으로 반송되고, 거기에서 진권이라 판정된 삽입지폐는 주지의 지폐수용수단을 거쳐서 1매씩 적재기(21)내에 적재 수용된다.
또한, 장치본체(2)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지폐수용수단으로서는 팬터그래프구조의 링크기구를 사용해서 지폐를 적재기(21)내에 밀어넣을 수 있는 것 또는 둘레면에 지폐삽입슬릿을 형성한 드럼을 회전시켜서 지폐를 적재기(21)내에 밀어넣을 수 있는 것 등 각종의 것이 적용되고 있다.
또,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지폐진위식별수단(20)의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폐반송로(6)을 구성하는 L자형상의 하부슈트(22)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는 축을 중심으로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시키고, 보수점검시에는 L자형상의 하부슈트(22) 전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슈트(21)과 하부슈트(21) 사이를 확대개방하고, 이것에 의해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 등의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L자형상의 하부슈트(22)가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슈트(21)에 마련된 지폐식별수단(20)의 요소(20b)와 장치본체(2) 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의 전기적 접속은 이 제어장치에 접속된 한쪽의 케이블(23) 및 지폐식별수단(20)의 요소(20b)에 접속된 다른쪽의 케이블(24)와 이 케이블(23), (24) 사이를 접속하는 커넥터(25)에 의해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부호(26)은 장치본체(2)내에 마련되어 상기 지폐수용수단을 구동하는 적재기모터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가 지폐삽입구(3) 바로 뒤에 위치하는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폐삽입구(3)에서 소금물(鹽水) 등의 액물이 삽입되면 그 액물은 용이하게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에 도달해 버리고, 그 때문에 액물이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에 부착되어 건조되면 상기 지폐식별수단(20)의 지폐식별기능을 상실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셔터수단(7)의 셔터(7a)는 그 초기위치에서 지폐반송로(6)을 상시 확대개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폐반송로(6)내에 이물을 삽입하면 그 이물이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에 용이하게 도달해 버리고, 그 때문에 지폐식별수단(20)이 손상을 받기 쉽다는 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폐삽입구에서 장난이 가해지더라도 삽입지폐에 대한 진위식별능력의 저하를 가급적 저지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슬롯머신(빠칭코) 구슬대여기, 메탈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주요부 절단 개념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상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개념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를 도시한 주요부 절단 개념 측면도.
발명의 개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1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장치본체내에 지폐삽입구에서 대략 수평인 방향을 향해서 마련된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 상기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수단을 적어도 갖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2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장치본체내에 지폐삽입구에서 대략 수평인 방향을 향해서 마련된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 상기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상기 지폐반송로를 소정 타이밍에서 개폐하는 셔터수단을 적어도 갖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수단을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 셔터수단에 의해 상시는 상기 지폐반송로를 막도록 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30)의 주요부 절단 개념 측면도로서, 도 6과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이 지폐처리장치(30)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형상의 장치본체(31)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정면(31a)의 아래쪽에는 지폐삽입구(3)이 형성된 앞면마스크(32)가 착탈이 작유롭게 장착되고, 이 앞면마스크(32)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정면을 구성하는 문에 형성된 앞면마스크 부착구멍에서 그의 선단 즉 지폐삽입구(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된다.
또, 이 지폐삽입구(3)의 바로 뒤에서 장치본체(31)의 배면(31b)에 착탈이 자유롭게 마련된 적재기(33)에 이르는 앞면마스크(32) 및 장치본체(31)내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폐삽입구(3)과 연통하고 지폐삽입방향과 대력 평행한 수평부(6a)와 이 수평부(6a)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으로 상승한 수직부(6b)로 이루어지는 L자형의 지폐반송로(6)이 형성되고, 또 이 L자형의 지폐반송로(6)을 따라서 삽입지폐를 반송하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지폐반송수단(8)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지폐처리장치(30)에서는 지폐반송로(6)을 따라서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가 상기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지폐식별수단(20)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헤드 등의 자기센서 및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는 열센서 등의 각종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지폐반송로(6)을 소정 타이밍에서 개폐하는 셔터수단(34)도 상술한 지폐식별수단(20)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에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수단(34)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로 도시하는 도 2와 같이 장치본체(31)(도 1)내에 고착된 제1 플레이트(35) 및 이 제1 플레이트(35)에 탑재된 구동모터(36)의 구동력을 웜기어 등의 감속비가 큰 감속기구를 거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된 제2 플레이트(37)로 구성되고, 이 제2 플레이트(37)의 우측단에는 그의 상면도로 도시하는 도 3과 같이 서로 다르게(지그재그형상으로) 자세를 변경하여 설치된 여러개의 플레이트(38)로 이루어지는 셔터(3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여러개의 플레이트(38)중 중앙에 설치된 플레이트(38a)는 단면이 대략 "く"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이외에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여러개의 플레이트(38)로 이루어지는 셔터(39)는 서로 다르게 자세를 변경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방향(하측방향에서도 동일)에서 보면 그 여러개의 각 플레이트(38)에 의해 한쌍의 구동풀리(12)에 감겨진 한쌍의 반송벨트(9)가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셔터(39)의 폭방향 전역이 대략 빈틈없이 덮여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플레이트(38)을 제외한 도 2의 Ⅳ-Ⅳ 주요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셔터(39)가 마련되는 위치의 수직부(6b)를 구성하는 상하슈트(40), (41)에는 셔터(39)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플레이트(38)(도 3)이 각각 출몰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플레이트(38)의 각각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여러개의 구멍(40a), (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셔터수단(34)의 셔터(39)는 지폐가 삽입되면 소정 타이밍에서 지폐반송로(6) 즉 수직부(6b)의 상하슈트(40), (41) 사이를 개폐하지만, 지폐가 삽입되지 않는 대기시에는 지폐반송로(6)을 상시 막는 초기위치에 설정된다.
한편, 이 지폐처리장치(3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구성하는 상하슈트(42), (43) 및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구성하는 상하슈트(40), (41) 중 수평부(6a)의 하부슈트(43) 전역과 수직부(6b)의 하부슈트(41) 상류는 대략 L자 형상의 상자(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상자(50)은 도 5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자(50)의 양 측면과 장치본체(31)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예를 들면 안내홈과 이 안내홈내로 안내되는 안내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는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서 화살표 D방향을 향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 이 상자(50)의 측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의 장치본체(31)의 측방향에는 각각 커넥터(51)을 구성하는 플러그(52)와 이 플러그(52)가 끼워장착되는 콘센트(리셉터클)(53)이 마련되고, 한쪽의 플러그(52)는 도 1에 도시한 수직부(6b)의 하부슈트(41)에 마련된 지폐식별수단(20)의 한쪽의 요소(2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콘센트(53)은 장치본체(31)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50)을 장치본체(31)내에 장착하면 동시에 콘센트(53)에 플러그(52)가 끼워장착되고 상자(50)측에 마련된 지폐식별수단(20)의 한쪽의 요소(20b)와 장치본체(31)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지폐식별수단(20)이 작동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지폐처리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의 지폐삽입구(3)내에 지폐를 삽입하면 지폐삽입구(3)내에 마련된 지폐검출센서(5)에 의해 삽입지폐의 유무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에 따라 정회전하는 지폐반송벨트(9)의 반송력에 의해 삽입지폐는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따라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수평반송된다. 또, 동시에 셔터수단(34)(도 2)의 구동모터(36)이 구동되고, 그것에 의해 셔터(39)를 도면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확대개방한다.
한편, 삽입지폐가 지폐반송벨트(9)의 정회전에 의해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따라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수평 반송되고, 다음에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따라서 대략 90도 위쪽으로 반송되면 그 수직부(6b)에 마련된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삽입지폐의 진위가 판정된다.
그리고, 이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삽입지폐가 위권이라 판단되면 지폐반송벨트(9)가 반전되어 상기 삽입지폐를 지폐삽입구(3)에서 반환한다.
한편, 삽입지폐가 지폐식별수단(20)에 의해 진권이라 판단된 경우에는 그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폐반송벨트(9)의 정회전이 지속되고, 장치본체(31)의 배면(31b)에 착탈이 자유롭게 마련된 적재기(33)측으로 반송되고, 거기에서 진권이라 판정된 삽입지폐는 주지의 지폐수용수단을 거쳐서 1매씩 적재기(33)내에 적재수용되고, 일련의 지폐식별 수용처리가 종료한다.
그러나, 상술한 지폐처리장치(3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식별수단(20)이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폐삽입구(3)에서 소금물 등의 액물이 삽입되어도 그 액물은 용이하게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에 도달하는 일은 없고, 이 때문에 지폐식별수단(20)의 지폐식별기능을 저하시키는 등의 장난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구(3)에서 삽입된 소금물 등의 액물은 L자형상의 상자(50)의 바닥면(50a)와 장치본체(31)의 바닥면(31c)에 각각 형성된 여러개의 물빠짐구멍(55)를 거쳐서 지폐처리장치(30)의 아래쪽으로 떨어져서 배제된다.
또, 상술한 본원 발명의 지폐처리장치(30)에서는 지폐식별수단(20)을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에 마련함과 동시에 셔터수단(34)를 지폐식별수단(20)의 하류에 위치하는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 셔터수단(34)에 의해 상시는 상기 지폐반송로(6)을 막도록 했으므로, 지폐삽입구(3)을 거쳐서 지폐반송로(6)내에 이물을 삽입해도 그 이물이 셔터수단(34)의 셔터(39)에 의해 지폐식별수단(20)의 각 요소(20a), (20b)에 도달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지폐식별수단(20)이 이물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삽입구와 연통하는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의 상기 수직부에 지폐식별수단을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지폐삽입구에서 소금물 등의 액물이 삽입되어도 그 액물은 용이하게 지폐식별수단의 각 요소에 도달하여 그곳에 부착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지폐삽입구에서 장난이 가해지더라도 안정된 지폐의 진위식별능력을 유지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삽입구와 연통하는 수평부,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의 상기 수직부에 지폐식별수단을 마련함과 동시에 셔터수단도 마련하고 또한 이 셔터수단에 의해 상시는 지폐반송로를 막도록 했으므로, 지폐삽입구를 거쳐서 지폐반송로내에 이물이 삽입되어도 그 이물이 셔터수단의 셔터에 의해 지폐식별수단의 각 요소에 도달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장난에 의한 지폐식별수단의 손상을 가급적 방지해서 안정한 지폐의 진위식별능력을 유지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모두 수평부의 하부슈트와 수직부의 하부슈트 상류를 상자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이 상자를 장치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이 상자의 측방향 및 이것과 대향하는 장치본체의 측방향에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마련하고, 상자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 동시에 플러그와 콘센트를 끼워장착시키고, 이것에 의해 장치본체와 상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작업을 종료시키도록 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장치본체와 상자의 전기적 접속을 한쌍의 케이블 사이에 마련된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그 접속 및 접속해제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삽입구에서 장난이 가해지더라도 삽입지폐에 대한 진위식별능력의 저하를 가급적 저지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적합한 것이다.

Claims (6)

  1. 장치본체내에 지폐삽입구에서 대략 수평인 방향을 향해서 마련된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 상기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수단을 적어도 갖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상하슈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중 상기 수평부의 하부슈트와 수직부의 하부슈트 상류는 상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자는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측방향 및 이것과 대향하는 상기 장치본체의 측방향에는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상자를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끼워장착되어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상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도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장치본체내에 지폐삽입구에서 대략 수평인 방향을 향해서 마련된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종단에서 대략 수직방향 위쪽을 향해서 상승해서 마련된 수직부를 갖는 지폐반송로, 상기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 개재되고 상기 지폐반송로를 소정 타이밍에서 개폐하는 셔터수단을 적어도 갖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수단을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직부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 셔터수단에 의해 상시는 상기 지폐반송로를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로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상하슈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중 상기 수평부의 하부슈트와 수직부의 하부슈트 상류는 상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자는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측방향 및 이것과 대향하는 상기 장치본체의 측방향에는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상자를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끼워장착되어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상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도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00-7000625A 1998-05-22 1999-05-20 지폐처리장치 KR100376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41350 1998-05-22
JP10141350A JPH11339098A (ja) 1998-05-22 1998-05-22 紙幣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056A true KR20010022056A (ko) 2001-03-15
KR100376176B1 KR100376176B1 (ko) 2003-03-15

Family

ID=1528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625A KR100376176B1 (ko) 1998-05-22 1999-05-20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12619B1 (ko)
EP (1) EP0999526A4 (ko)
JP (1) JPH11339098A (ko)
KR (1) KR100376176B1 (ko)
CN (1) CN1148707C (ko)
CA (1) CA2297247C (ko)
MY (1) MY119849A (ko)
WO (1) WO1999062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9076B2 (ja) 1998-10-06 2006-05-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US6609661B1 (en) * 1998-10-06 2003-08-26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Bank-note processing device
US20020020603A1 (en) * 2000-02-11 2002-02-21 Jones, William, J.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urrency bills and substitute currency media in a single device
US8701857B2 (en) 2000-02-11 2014-04-22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urrency bills and tickets
GB0118531D0 (en) * 2001-07-30 2001-09-19 Innovative Technology Ltd Handling banknotes and the like
US6896115B2 (en) * 2002-04-16 2005-05-2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Paper currency receiver for ticket vendor
US8171567B1 (en) 2002-09-04 2012-05-01 Tracer Detection Technology Corp.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JP4281085B2 (ja) * 2003-05-21 2009-06-1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4560343B2 (ja) * 2004-07-09 2010-10-13 サンデン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US20060113162A1 (en) * 2004-11-29 2006-06-01 Kenneth Ottesen Validator guide
JP4671932B2 (ja) * 2006-08-22 2011-04-20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4876956B2 (ja) * 2007-02-19 2012-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126401B1 (ja) * 2011-09-28 2013-01-23 旭硝子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
ES2730856T3 (es) * 2012-01-23 2019-11-13 Nippon Kinsen Kikai Kk Caja de reciclaje de documentos
JP6535921B2 (ja) * 2015-05-01 2019-07-03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274A (en) * 1983-10-03 1988-11-15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Bill device
JPS6231382U (ko) 1985-08-08 1987-02-25
JPH01295391A (ja) * 1987-06-24 1989-11-29 I M Denshi Kk 印刷物の識別装置
US4858744A (en) * 1988-02-16 1989-08-22 Ardac, Inc. Currency validator
JPH0238662U (ko) 1988-09-01 1990-03-14
JP2966197B2 (ja) 1992-05-29 1999-10-25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KR970005397B1 (ko) * 1992-07-29 1997-04-16 가부시끼가이샤 닛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JP3291703B2 (ja) 1992-07-29 2002-06-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3291704B2 (ja) 1992-12-03 2002-06-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3230709B2 (ja) 1993-03-31 2001-11-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KR970007741B1 (ko) * 1993-03-31 1997-05-16 가부시끼가이샤 니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3225990B2 (ja) 1994-04-01 2001-11-05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US5657846A (en) * 1995-07-13 1997-08-19 Cashcode Company Inc. Currency validator with split housing
KR970032630A (ko) 1995-12-30 1997-07-22 배순훈 쌀통의 쌀토출량 제어장치
JP3664809B2 (ja) 1996-05-30 2005-06-2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CA2240703C (en) * 1998-06-15 2000-11-21 Japan Cash Machine Co., Ltd. A bill validator with a shutt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849399A (en) 1999-12-13
KR100376176B1 (ko) 2003-03-15
CN1272195A (zh) 2000-11-01
US6412619B1 (en) 2002-07-02
JPH11339098A (ja) 1999-12-10
CA2297247C (en) 2002-12-03
WO1999062034A1 (fr) 1999-12-02
AU721299B2 (en) 2000-06-29
MY119849A (en) 2005-07-29
CA2297247A1 (en) 1999-12-02
EP0999526A1 (en) 2000-05-10
CN1148707C (zh) 2004-05-05
EP0999526A4 (en)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176B1 (ko) 지폐처리장치
JP4038321B2 (ja) 紙幣処理装置
KR0132630B1 (ko) 지폐처리장치
EA008726B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грузки банкнот и модуль размещения банкнот
US9027918B2 (en) Medium processor having medium storing boxes flexibly loadable in a slot of a medium storage
KR100352525B1 (ko) 지폐 처리장치
KR960000491B1 (ko)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
JPS5810342B2 (ja) 紙葉処理装置
JP2603874Y2 (ja) 紙幣取扱装置
JPH0546136Y2 (ko)
JP3579230B2 (ja) シート材案内装置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30709B2 (ja) 紙幣処理装置
JPH0916826A (ja) 紙幣鑑別装置
KR19990069194A (ko) 지폐 인식장치
JP3447842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供給装置
JPH09319917A (ja) 紙幣処理装置
KR200349735Y1 (ko) 지폐식별장치
KR20050078734A (ko)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7424Y2 (ja) 貨幣鑑別装置
JP2000030116A (ja) 紙幣処理装置
JP3254514B2 (ja) 自動販売機等の紙幣取込・排出部
JP4095633B2 (ja) 紙幣処理装置
JP5079353B2 (ja) 紙幣識別装置
JPH06259635A (ja) 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