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734A -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734A
KR20050078734A KR1020040006533A KR20040006533A KR20050078734A KR 20050078734 A KR20050078734 A KR 20050078734A KR 1020040006533 A KR1020040006533 A KR 1020040006533A KR 20040006533 A KR20040006533 A KR 20040006533A KR 20050078734 A KR20050078734 A KR 20050078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locking plate
bill
senso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04000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734A/ko
Publication of KR2005007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나 동전교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지폐나 상품권 등의 지폐류에 대한 진위여부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폐류의 전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측안내부에 대해 승강하도록 복수의 하부롤러 사이에 설치된 차단판과; 하측안내부에 설치되며, 차단판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차단판이 최고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차단판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측안내부에 설치된 차단센서; 및 차단센서로부터 차단판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지폐류를 비정상적이고 부적합하게 투입하여 지폐식별장치를 정상으로 작동시킨 이후에 투입된 지폐류를 다시 강제역송시켜 인출하는 불법적인 절도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Paper money Recogniz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나 동전교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지폐나 상품권 등의 지폐류에 대한 진위여부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이나 테이프 등을 부착시킨 진폐를 투입하여 상품 등을 인출한 후 투입된 진폐를 역송시켜 강제 인출함으로써 진폐 투입의 효과를 얻는 절도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판매기에 의한 상품판매가 늘어나면서, 고액 지폐를 사용하여 상품을 살 수 있는 무인 자동판매기나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는 동전교환기 및 게임기나 오락기 등과 같은 무인 자동판매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통상, 무인 자동판매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의 진위여부 및 종류(액면가)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폐식별장치는 투입된 지폐의 진폐 또는 위폐 여부를 지폐식별부에 의해 식별하게 되는데, 위폐의 경우는 거절 반환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투입된 지폐가 해당 장치에서 허용하는 진폐인 경우에는 투입된 지폐의 액면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상품을 배출하거나 동전교환기의 동전을 교환하도록 정상 작동시키고, 투입된 지폐는 지폐보관부에 수납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지폐식별장치가 구비된 동전교환기나 무인 자동판매기 등은 최근에 이르러 기계장치를 교묘하게 교란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절도행위의 표적이 되는 문제점이 곳곳에서 출현하는 경우가 있어 사회적 이슈가 된 바가 있다. 예를 들면, 실이나 테이프 등을 긴꼬리 형태로 부착시킨 진폐를 투입하게 되면, 지폐식별장치가 실이나 테이프 등의 부착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정상적인 동작과정을 통해 상품이나 동전 등을 인출하고, 이후 꼬리 형태로 부착된 실이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투입된 진폐를 강제로 역송시켜 인출함으로써 진폐 투입의 효과를 얻는 동시에 투입된 진폐는 다시 인출해 내는 불법적인 절도행위가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법행위의 일예를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지폐투입구(3)로 지폐를 투입하면 지폐(B)는 하부롤러(4)와 상부롤러(5)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측안내부(6)와 하측안내부(7)에 설치된 지폐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투입된 지폐(B)의 진위여부와 액면가가 판단된다. 투입된 지폐(B)가 진폐이면 지폐식별장치(1)는 하부롤러(4)와 상부롤러(5)로 지폐(B)를 계속 이송시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시킨 후, 지폐(B)의 액면가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미도시)에 출력한 후 대기한다. 그후, 본체로부터 상품판매 등 작업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지폐식별장치(1)는 지폐(B)를 지폐보관부(10)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폐식별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지폐(B)의 후단에 실이나 테이프(20)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폐식별장치(1)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후 작업완료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동안에 이용자가 실이나 테이프(20) 등을 잡아당겨 지폐(B)를 강제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자동판매기 등으로부터 상품 등을 인출할 수 있는 진폐를 투입한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투입한 진폐는 다시 회수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폐식별장치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투입된 지폐가 진폐인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로 출력함과 동시에 차단판을 동작시켜 지폐투입구를 차단함으로써 투입된 지폐가 강제로 인출될 수 없도록 하는 장치가 다수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적용한 지폐식별장치는, 실이나 테이프 등이 부착된 비정상지폐를 투입한 이용자가 지폐를 회수하기 위해 실이나 테이프 등을 잡아 당기게 되면 차단판에 의해 지폐가 찢어지거나 걸리게 되어 지폐식별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여 불법행위를 자행하기 위해 출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지폐식별부의 지폐감지센서나 차단판이 감지하지 못하도록 실이나 테이프 등이 부착된 비정상적인 지폐를 1차적으로 투입하여 기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킨 다음, 별도로 제작한 위폐 등을 이미 투입된 지폐의 하방부로 2차 투입하여 지폐식별부의 지폐감지센서와 차단판 등의 반응동작을 유도해 냄으로써, 그 반응동작에 의한 위폐의 역송배출 과정에서 차단판이 개방되도록 유도하고, 이때 실이나 테이프를 잡아당겨 이미 투입된 지폐를 강제로 역송시켜 위폐와 동반 인출해 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판매기의 지폐식별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에도 교란 및 방해없이 식별하여 자동판매기 등의 본체기기에 상품판매 등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품판매 등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비정상적으로 투입된 지폐의 인위적인 강제 역송에 의한 인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지폐 투입효과를 얻는 동시에 투입된 지폐를 재인출해 내는 불법적인 절도행위를 근절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측안내부와, 상기 하부롤러에 대응되는 상부롤러가 설치된 상측안내부와,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를 식별하도록 상기 하측안내부와 상측안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지폐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전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상측안내부에 대해 승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 사이에 설치된 차단판; 상기 하측안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차단판이 최고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차단판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안내부에 설치된 차단센서; 및 상기 차단센서로부터 상기 차단판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지폐식별장치는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지폐투입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차단판과 평행하게 승강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장력봉; 및 상기 장력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안내부의 상면에 V자 형상으로 성형된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측안내부와 상기 상측안내부의 후방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엇각지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출리브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제어방법은, 지폐의 투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위조지폐 여부 및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위조지폐가 아니면, 투입된 지폐를 지폐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송시키고 투입된 지폐의 후단이 차단판의 상측을 지나면 상기 차단판을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차단판이 상승된 후 차단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센서로부터 검출신호 입력이 있으면,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100)는 하측안내부(110), 상측안내부(120), 모터(130), 차단판(140), 지폐감지센서(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하측안내부(110)는 지폐의 이동경로를 이루며,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구(101)와, 지폐보관부(도 1의 10 참조)와 연통되는 지폐배출구(102), 및 지폐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하부롤러(114a,114b,114c,114d)로 구성된다. 복수의 하부롤러(114a,114b,114c,114d)는 하측안내부(110)의 상면(111)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지폐를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부롤러(114a,114b,114c,114d) 간의 동력전달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4개의 하부롤러(114a,114b,114c,114d)는 풀리와 벨트가 롤러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하부롤러(114a) 및 제2하부롤러(114b) 사이의 동력전달은 벨트(115)에 의하고, 제2하부롤러(114b)와 제3하부롤러(114c) 사이의 동력은 하부롤러축(116)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3하부롤러(114c)와 제4하부롤러(114d) 사이의 동력전달은 벨트(1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폐배출구(102)는 배출되는 지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낙하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되어 있다.
상측안내부(120)는 하측안내부(1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지폐의 이송경로(103)를 형성하며, 하부롤러(114a,114b,114c,114d)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부롤러(124a,124b,124c,124d)가 마련된다. 상부롤러(124a,124b,124c,124d)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어 하부롤러(114a,114b,114c,114d)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다.
모터(130)는 후술하는 제어부(170)의 신호에 따라 하부롤러(114a,114b,114c,114d)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안내부(110)의 하부롤러(114a,114b,114c,114d)의 아래에 설치된다. 모터(130)의 축에는 풀리가 설치되어 있어 제1 및 제2하부롤러(114a,114b)를 연결하는 벨트(115)를 구동시킨다.
차단판(140)은 하측안내부(110)의 하부롤러(114a,114b,114c,114d)의 사이에 하측안내부의 상면(111)을 관통하여 상측안내부(120)에 대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차단판(140)의 너비는 하측안내부(110)와 상측안내부(120)로 이루어진 지폐 이송경로(103)의 전폭을 가로 막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차단판(140)은 지폐식별장치(100)가 식별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지폐의 전폭보다 크게 된다. 또한, 차단판(140)의 하단에는 차단판(140)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1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145)의 작동축(146)에는 스프링(147)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5)가 동작하여 작동축(146)이 아래로 이동하면, 스프링(147)이 압축되면서 차단판(140)의 상단이 하측안내부(110)의 상면(111)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로 하강한다(도 5a 참조). 솔레노이드(145)가 오프(off)되면,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140)이 상승하여 지폐의 이송경로(103)를 막게 된다. 이때, 차단판(140)의 상승높이는 차단판(140) 하단의 스토퍼(141)가 하측안내부(110)의 상면(111)에 접촉됨으로써 제한된다. 상측안내부(120)에는 차단판(140)이 승강할 수 있는 홈(121)이 형성되며, 홈(121)의 밑면에는 차단판(140)이 최대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차단판(140)의 상단을 검출할 수 있는 차단센서(144)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센서(144)는 차단판(140)의 상승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차단판(140)의 폭방향으로 가능한한 멀리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센서(144)로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광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판(140)의 전방, 즉 지폐투입구(101) 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차단판(140)과 평행하게 장력봉(150)이 설치된다. 이는 차단판(140)에 의한 비정상지폐의 감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장력봉(150)은 봉 형상으로 양단에는 회전축(151)을 구비하며, 차단판(140)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며, 그 무게는 지폐에 부착된 실이나 테이프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여 차단판(140)이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장력봉(150)의 직경은 투입되는 지폐가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하측안내부(110)의 상면에는 장력봉(15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착홈(15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으로서, 장력봉(150)의 외주면이 안착홈(155)의 양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측안내부(110)의 양측벽(112)에는 장력봉(150)이 승강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51)을 안내하는 축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홈(117)의 상부(117a)는 회전축(151)과 억지끼움이 되는 치수로 가공되며, 하부(117b)는 회전축(151)이 헐거운 끼움이 되도록 가공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114a,114b,114c,114d)와 상부롤러(124a,124b,124c,124d)에 의해 지폐(B)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지폐(B)의 선단이 장력봉(150)과 안착홈(155) 사이로 진입하여 장력봉(150)을 위로 들어 올림과 동시에 장력봉(150)을 회전시키면서 이송을 계속하여 차단판(140)의 상측을 지나 지폐배출구(102)로 이송될 수 있다.
지폐감지센서(160)는 하측안내부(110)와 상측안내부(120)에 이송경로(103)를 통과하는 지폐(B)의 진위여부 및 지폐(B)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광학적 센서 및 자기적 센서가 사용된다. 이 지폐감지센서(160)는 투입되는 지폐(B)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다양한 갯수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폐감지센서(160)의 전방에는 지폐(B)의 투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투입감지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0)는 하측안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투입감지센서나 지폐감지센서(160)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지폐식별장치(100)가 설치된 본체(미도시)의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130)를 제어함으로써 지폐(B)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대기상태로 유지하거나 지폐보관부(도 1의 10)로 이송시킨다. 정상지폐가 입력된 경우 적절한 신호를 본체의 제어장치로 출력함으로써 본체가 상품을 판매하거나 동전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참조부호 131a 및 131b는 각각 하측안내부(110)와 상측안내부(120)의 후방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출리브로서, 상기 돌출리브(131a)(131b)의 일단은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엇각지도록 성형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지폐가 정상적으로 완전히 투입된 상태에서 실이나 테이프(20) 등을 통하여 강제인출을 시도할 경우에, 지폐의 후단부가 상기 돌출리브(131a)(131b)에 걸려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폐(B)가 투입되면 투입감지센서가 지폐(B)를 감지하여 지폐감지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그러면, 지폐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70)는 모터(130)를 구동하여 하부롤러(114a,114d))가 지폐(B)를 이송시키도록 한다. 이송되는 지폐(B)의 선단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봉(150)과 안착홈(155) 사이로 진입하여 장력봉(150)을 상승 및 회전시키면서 앞으로 전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70)는 지폐감지센서(160)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B)가 위폐인지 진폐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위폐이면 모터(130)를 역회전시켜 지폐(B)가 다시 지폐투입구(101)로 반출되도록 한다. 투입된 지폐(B)가 진폐인 경우에는 지폐(B)의 액면가를 판단하고, 모터(130)를 계속 구동하여 지폐(B)를 지폐배출구(102)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폐(B)의 후단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140)의 상부를 지나면 제어부(170)는 솔레노이드(145)를 오프시킨다. 그러면,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140)이 일정 높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차단판(140)의 상승높이는 차단판(140)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141)에 의해 제한된다.
만일, 투입된 지폐(B)가 진폐이면서 동시에 후단에 실이나 테이프(180) 등이 부착되지 않은 정상적인 지폐(이하 '정상지폐'라 한다)인 경우에는 차단판(140)은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다. 차단판(140)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측안내부(120)에 설치된 차단센서(144)가 차단판(140)의 상단을 검출하여 제어부(170)로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지폐(B)는 대기위치에서 대기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본체의 제어장치로 정상지폐가 투입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본체의 제어장치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거나 동전을 교환하는 동작 등을 하게 된다. 본체의 제어장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또는 동작완료 후에 지폐식별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작업완료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본체의 제어장치로부터 작업완료신호를 수신하면, 모터(130)를 구동하여 하부롤러(114a,114b,114c,114d)가 지폐배출구(10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지폐(B)를 지폐보관부(10)로 낙하시킨다.
만일, 투입된 지폐(B)가 진폐이지만 후단에 실이나 테이프(180) 등이 부착된 비정상지폐인 경우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판(140)의 상승이 실이나 테이프(180) 등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때, 지폐(B) 후단에 부착된 실(180)은 장력봉(150)에 의해 눌려 있기때문에 상승하는 차단판(140)과 장력봉(150)에 의해 실(180)에는 장력이 걸리게 되고 이에 의해 차단판(140)의 상승이 방해된다. 특히, 장력봉(150)과 안착홈(155)의 설치로 인해 실(180)이 차단판(140)과 상측안내판(120)에 형성된 홈(121) 사이의 틈새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가늘은 경우에도 차단판(140)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140)의 상승이 실(180)에 의해 방해되면 차단센서(144)의 검출위치까지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차단센서(144)가 차단판(140)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70)는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본체의 제어장치로 출력하지 않으면서 자동 반환하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지폐를 투입한 이용자는 자동판매기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하거나 동전을 교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100)에 의하면, 이용자가 비정상지폐를 투입하면 자동판매기나 동전교환기가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비정상지폐를 투입하여 진폐투입효과를 얻는 불법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지폐식별장치에 비정상지폐가 투입된 경우에는 본체가 정상동작을 하지않도록 하는 지폐식별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투입감지센서는 지폐투입구(101)로 지폐(B)가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지폐(B)가 투입되면 제어부(170)로 투입신호를 출력한다(S100).
그러면, 제어부(170)는 모터(130)를 구동시켜 하부롤러(114a,114b,114c,114d)가 지폐(B)를 지폐배출구(102)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지폐감지센서(160)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B)가 위조지폐인가를 확인한다(S200). 위조지폐인 경우에는 모터(130)를 역회전시켜 투입된 지폐(B)를 다시 지폐투입구(101)로 반출시킨다(S210). 진폐인 경우에는 투입된 지폐(B)의 종류 즉 액면가를 확인하고 모터(130)를 구동하여 지폐(B)를 지폐배출구(102)로 이동시킨다. 지폐(B)의 후단이 차단판(140) 상부를 통과하면, 제어부(170)는 솔레노이드(145)를 오프시켜 차단판(140)을 상승시킨다(S300).
이어서, 제어부(170)는 차단센서(144)로부터 차단판 검출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확인한다(S400). 차단센서(144)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지폐가 투입된 것이므로 제어부(170)는 투입된 지폐의 액면가와 함께 정상적인 지폐가 투입되었다는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한다(S500).
그리고 본체의 제어장치는 지폐식별장치의 제어부(170)로부터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수신하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제어부(170)가 차단판(140)을 상승시킨 후에도 차단센서(144)로부터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본체로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600). 이때,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차단센서(144)로부터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비정상지폐가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처리방법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때의 처리방법은 지폐를 대기상태로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아무런 후속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모터를 역회전시켜 비정상지폐를 지폐투입구로 반출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진폐의 후단에 실이나 테이프 등을 부착한 비정상지폐가 투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지폐를 투입하고 자동판매기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고 동전을 교환하는 등의 진폐투입효과를 얻는 불법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 무인 자동판매기 등에 설치되는 지폐식별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에서 상측안내부를 일정 각도 벌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폐식별장치의 I-I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지폐식별장치의 A부의 상세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에서 지폐가 투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정상적인 지폐가 차단판을 지나 지폐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c는 실이 달린 지폐에 의해 차단판이 상승이 저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폐식별장치 101; 지폐투입구
102; 지폐배출구 103; 이송경로
110; 하측안내부 112; 하측안내부 상면
114a,114b,114c,114d; 하부롤러 115; 벨트
120; 상측안내부 124a,124b,124c,124d; 상부롤러
130; 모터 140; 차단판
144; 차단센서 145; 솔레노이드
146; 작동축 147; 스프링
150; 장력봉 155; 안착홈
160; 지폐감지센서 170; 제어부
180; 실/테이프 B; 지폐

Claims (4)

  1. 복수의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측안내부와, 상기 하부롤러에 대응되는 상부롤러가 설치된 상측안내부와,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를 식별하도록 상기 하측안내부와 상측안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지폐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전폭보다 적어도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상측안내부에 대해 승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 사이에 설치된 차단판;
    상기 하측안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차단판이 최고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차단판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안내부에 설치된 차단센서; 및
    상기 차단센서로부터 상기 차단판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지폐투입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차단판과 평행하게 승강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장력봉; 및
    상기 장력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안내부의 상면에 성형된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안내부와 상기 상측안내부의 후방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엇각지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출리브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4. 지폐의 투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위조지폐 여부 및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위조지폐가 아니면, 투입된 지폐를 지폐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송시키고 투입된 지폐의 후단이 차단판의 상측을 지나면 상기 차단판을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차단판이 상승된 후 차단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센서로부터 검출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정상지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06533A 2004-02-02 2004-02-02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8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533A KR20050078734A (ko) 2004-02-02 2004-02-02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533A KR20050078734A (ko) 2004-02-02 2004-02-02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412U Division KR200349735Y1 (ko) 2004-02-02 2004-02-02 지폐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734A true KR20050078734A (ko) 2005-08-08

Family

ID=3726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533A KR20050078734A (ko) 2004-02-02 2004-02-02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7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49Y1 (ko) * 2009-05-12 2012-01-12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KR101149024B1 (ko) * 2010-05-13 2012-05-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일시저장장치
CN104574635A (zh) * 2014-12-27 2015-04-2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Cis图像传感器校正治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49Y1 (ko) * 2009-05-12 2012-01-12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KR101149024B1 (ko) * 2010-05-13 2012-05-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일시저장장치
CN104574635A (zh) * 2014-12-27 2015-04-2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Cis图像传感器校正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837A (en) Note hopper/dispenser
US8708126B2 (en) Bill validator—dispenser with improved security
US8961275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200349735Y1 (ko) 지폐식별장치
KR20050078734A (ko)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KR101261060B1 (ko) 지폐 입출금기
KR200399932Y1 (ko) 지폐식별장치
JP5007065B2 (ja) 紙幣繰出装置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9990069194A (ko) 지폐 인식장치
KR200411897Y1 (ko) 지폐인식기용 지폐 강제인출 방지구조.
WO2023149190A1 (ja) 紙幣処理装置
JP321378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7286753A5 (ko)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KR0133666Y1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20090096819A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9757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0736751B1 (ko) 자동판매기의 지폐식별기와 그의 제어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411490Y1 (ko) 금융자동화기기
JPH10154255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運用方法
JP4095633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