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49Y1 - 지폐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49Y1
KR200457949Y1 KR2020090005732U KR20090005732U KR200457949Y1 KR 200457949 Y1 KR200457949 Y1 KR 200457949Y1 KR 2020090005732 U KR2020090005732 U KR 2020090005732U KR 20090005732 U KR20090005732 U KR 20090005732U KR 200457949 Y1 KR200457949 Y1 KR 200457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hutter unit
unit
identification device
transf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26U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2020090005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지폐식별장치는 지폐이송로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지폐이송로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폐이송로를 폐쇄하는 제 2 위치를 가지는 셔터유닛; 상기 셔터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내측에 설치되어, 지폐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지폐 감지센서;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유닛은, 서로 교차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로 구성된 복수 열의 차단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폐식별장치, 부정사용, 부정사용방지, 지폐감지장치, 지폐이송장치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A paper money recognizing apparatus}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나 동전교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지폐나 상품권 등의 지폐류에 대한 진위여부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판매기에 의한 상품판매가 늘어나면서, 고액 지폐를 사용하여 상품을 살 수 있는 무인 자동판매기나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는 동전교환기 및 게임기나 오락기 등과 같은 무인 자동판매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통상 무인 자동판매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의 진위여부, 종류 및 액면가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폐식별장치는 투입된 지폐의 진폐 또는 위폐 여부를 지폐식별부에 의해 식별하여, 위폐의 경우는 거절 반환되도록 작동하고, 진폐일 경우에는 소정의 지폐수납함으로 이송한다.
그런데, 최근들어 지폐식별장치가 구비된 무인 자동판매기나 동전교환기 등의 구조를 이용한 절도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절도행위는 실이나 테이프 등을 긴꼬리 형태로 진폐 후단에 부착시킨 지폐를 투입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즉, 실이나 테이프를 부착한 진폐는, 지폐 자체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부정 사용자가 실이나 테이프를 부착한 지폐를 투입하면, 투입된 지폐는 진폐이므로, 정상적으로 인식되어 지폐이송경로를 따라 지폐보관함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부정 사용자는 투입한 지폐 액면가 만큼의 물품과 거스름 돈을 확보할 수 있다. 물건과 거스름 돈을 확보한 부정 사용자는 여전히 지폐투입구 바깥에 노출된 실 또는 테이프를 잡은 상태에서, 종이나 카드와 같은 부정지폐를 투입하는데, 그러면, 지폐식별장치는 투입된 부정지폐를 감지하여, 바로 거절 반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거절 반환 동작이 수행되면, 이와 동시에 부정사용자는 바깥 쪽에 노출된 실 등을 세게 잡아당기는데, 그러면 배출되는 부정지폐와 함께, 실 등에 연결된 먼저 투입된 진폐를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자판기 사업자는 실 등이 연결된 지폐 액면가 만큼의 손해를 보게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보안 대책이 시급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투입된 진폐를 불법적인 방법으로 회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지폐식별장치는 지폐이송로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지폐이 송로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폐이송로를 폐쇄하는 제 2 위치를 가지는 셔터유닛; 상기 셔터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내측에 설치되어, 지폐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지폐 감지센서;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유닛은, 서로 교차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로 구성된 복수 열의 차단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 공간부에 설치되며, 서로 교차 배치된 제 1 및 제 2 차단부재가 2 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의한 지폐식별장치는 상기 셔터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폐 감지센서가, 투입된 지폐가 상기 지폐이송로를 통과한 것을 감지할 경우, 상기 셔터유닛을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진폐의 후단에 실이나 테이프 등을 부착한 비정상지폐가 투입되면, 부착된 실이나 테이프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폐 회수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120)의 분해 시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100)는 상하 회동 개폐 가능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120), 셔터유닛(200) 및 구동유닛(M, 도 5a 참조)을 포함하며, 전방에 지폐 투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지폐 가이드(130)가 마련된다.
상부 케이스(110)에는 상부 플레이트(110a)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상부 플레이트(110a)의 사이 내측 공간에는 셔터유닛(200)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는 하부 플레이트(120a)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120)와 하부 플레이트(120a) 사이 공간에는 투입된 지폐의 진폐 여부와 지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지폐 감지센서(122)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a)(120a)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120)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지폐가 이동하는 지폐이송로(g, 도 5a 참조)를 형성한다.
상기 셔터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지폐이송로(g)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a)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제 2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셔터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 배치된 제 1 차단부재(210) 및 제 2 차단부재(220)가 2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차단부재(210)는 통과중인 지폐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폐 진행방향에 대해서는 라운드진 구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차단부재(210)(220)를 교차 배치하면, 실 또는 테이프 등이 진폐의 후단에 부착되었을 경우, 상기 셔터유닛(200)이 폐쇄되는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부재(210)(220)와 상기 실 또는 테이프가 항상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M)은 상기 셔터유닛(2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제어하는데, 상기 구동유닛(M)의 구동여부는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의 지폐 감지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즉,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는 지폐의 통과 및 지폐의 진폐여부를 감지하고, 지폐의 후단이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를 완전히 통과하면, 지폐가 지폐이송로(g)를 통과한 것으로 인식하여 지폐 통과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유닛(M)은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유닛(200)을 개방위치인 제 1 위치에서 폐쇄위치인 제 2 위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동시켜, 지폐이송로(g)를 통과한 지폐가 부정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외력에 의해 지폐식별장치 외부로 취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가 새로운 지폐가 투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유닛(M) 상기 셔터유닛(200)을 폐쇄위치인 제 2 위치에서 개방위치인 제 1 위치로 회전시켜, 지폐이송로(g)를 개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감지장치는, 상기 셔터유닛(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S)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유닛(S)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포토 센서로 마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유닛(S)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유닛(200)의 일단부와의 간섭을 통해 상기 셔터유닛(2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유닛(200)이 개방위치인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셔터유닛(200)의 단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셔터유닛(200)이 폐쇄위치인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셔터유닛(200)의 단부와 간섭되도록 구성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터유닛(200)은 폐쇄위치인 제 2 위치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별도의 동력을 전달 받는 것이 아니라, 셔터유닛(200)의 자중에 의해 낙하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유닛(M)은 상기 셔터유닛(200)을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하는 솔레노이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위치로 회전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축상에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의 감지신호에 따라 셔터유닛(200)을 제 2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구동유닛(M)은 상기 셔터유닛(20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셔터유닛(200)이 자중에 의해 제 2 위치로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폐가 투입되면, 투입된 지폐는 제 1 및 제 2 지폐이송유닛(123)(124)에 의해 지폐이송로(g)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지폐 감지센서(122)는 지폐의 위폐여부 및 위치 등을 감지하고, 투입된 지폐가 진폐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폐이송유닛(123)(124)이 계속 지폐를 미도시된 지폐보관함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 하고, 투입된 지폐가 위폐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폐이송유닛(123)(124)이 역전하여, 투입된 위폐를 배출한다.
투입된 지폐가 진폐일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지폐이송유닛(123)(124)은 지폐를 계속 이송하는데, 상기 지폐 감지센서(122)는 지폐의 후단을 감지하여, 지폐가 지폐이송로(g)를 완전히 통과한 것을 감지한다. 그러면, 소정의 제어부는 상기 구동유닛(M)을 작동하여, 상기 셔터유닛(200)을 개방위치인 제 1 위치에서 폐쇄위치인 제 2 위치로 회전 이동시킨다.
그런데, 투입된 지폐가 진폐이면서, 부정 사용자에 의한 실 또는 테이프 등이 후단에 연결된 진폐일 경우, 상기 셔터유닛(20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차단부재(210)(220)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관통형성된 제 1 및 제 2 차단부재 수용홈(211)(212)을 통과하여 수용되지 못하고, 상기 실 또는 테이프 등과 간섭되어 완전히 제 2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면, 상기 감지유닛(S)은 상기 셔터유닛(200)의 단부와의 간섭에 의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므로, 제어부는 상기 셔터유닛(20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폐이송유닛(123)(124)의 동작을 정지하여, 실 또는 테이프 등이 연결된 진폐의 이송을 중단하고, 상기 셔터유닛(200)은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부재 수용홈(211)(212)에 수용되지는 못하였으나, 폐쇄위치에 근접한 차단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부정사용자가 투입한 실 또는 테이프가 부착된 진폐를 다시 취출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부정 사용자가 실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투입 된 진폐로 물건을 구입한 후, 투입된 진폐를 다시 회수하는 부정행위를 차단할 수 있어, 지폐식별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폐식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셔터유닛의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셔터유닛의 제 1 위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그리고,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셔터유닛의 제 2 위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폐식별장치 110; 상부 하우징
110a; 상부 플레이트 120; 하부 하우징
120a; 하부 플레이트 200; 셔터유닛
S; 감지센서 M; 구동유닛

Claims (5)

  1. 지폐이송로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지폐이송로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폐이송로를 폐쇄하는 제 2 위치를 가지는 셔터유닛;
    상기 셔터유닛을 상기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지폐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지폐 감지센서;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유닛은,
    서로 교차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로 구성된 복수 열의 차단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 공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서로 교차 배치된 제 1 및 제 2 차단부재가 2 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폐 감지센서가, 투입된 지폐가 상기 지폐이송로를 통과한 것을 감지할 경우, 상기 셔터유닛을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KR2020090005732U 2009-05-12 2009-05-12 지폐식별장치 KR200457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32U KR200457949Y1 (ko) 2009-05-12 2009-05-12 지폐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32U KR200457949Y1 (ko) 2009-05-12 2009-05-12 지폐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26U KR20100011326U (ko) 2010-11-22
KR200457949Y1 true KR200457949Y1 (ko) 2012-01-12

Family

ID=4420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32U KR200457949Y1 (ko) 2009-05-12 2009-05-12 지폐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14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원플러스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930B1 (ko) 1993-12-27 2003-02-07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지폐식별장치
KR20040003863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지폐인식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50078734A (ko) * 2004-02-02 2005-08-08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930B1 (ko) 1993-12-27 2003-02-07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지폐식별장치
KR20040003863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지폐인식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50078734A (ko) * 2004-02-02 2005-08-08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14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원플러스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KR102174772B1 (ko) * 2019-01-15 2020-11-05 주식회사 원플러스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26U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0507C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JP5950839B2 (ja) 搬送制御装置
JP5553134B2 (ja) 媒体取引装置
US9514617B2 (en)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RU2519569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осителей, применяемое в банкомате
JP5859945B2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検出方法
KR200457949Y1 (ko) 지폐식별장치
KR102323439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49973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회수 장치
JPS6313575Y2 (ko)
US9424707B2 (en) Actuated castellation plate for a currency acceptor
JP7161222B2 (ja) コイン処理装置、貨幣処理装置
KR200374271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KR101385878B1 (ko)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3832B1 (ko)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JP4758082B2 (ja) 遊技島端の紙幣金庫内における紙幣判別装置
JP2006302235A (ja) 紙幣処理装置
JP4095633B2 (ja) 紙幣処理装置
JPH082765Y2 (ja) 紙幣類識別機に於ける開閉支持軸の係止機構
KR20120051849A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셔터 개폐 방법
JPS5965388A (ja) 銀行窓口装置
KR20210104237A (ko)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