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930B1 - 지폐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930B1
KR100342930B1 KR1019940034150A KR19940034150A KR100342930B1 KR 100342930 B1 KR100342930 B1 KR 100342930B1 KR 1019940034150 A KR1019940034150 A KR 1019940034150A KR 19940034150 A KR19940034150 A KR 19940034150A KR 100342930 B1 KR100342930 B1 KR 10034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optical sensor
tape
identification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316A (ko
Inventor
이따꼬에이지
후꾸다이찌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ublication of KR95002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2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a long flexible member attached to a coin
    • G07F1/044Automatic detection of the flexible memb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지폐식별장치에 삽입되는 지폐에 테이프나 실등의 지폐빼냄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유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써, 지폐식별장치에 삽입된 지폐에 실이나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광학센서로 검출하고, 실이나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것을 확인한후에 지폐의 진위판별 및 환전 또는 상품제공을 하기 위해, 지폐(15)의 선단이 광학센서S2로 검출되기전에 이 광학센서S2의 검출출력(DATA1)을 제1의 기억수단에 저장한다. 거기에서 지폐의 후단이 광학센서S2를 통과해서 광학센서S2가 이미 지폐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때의 광학센서S2의 검출출력(DATA3)을 제2의 기억수단에 저장한다. 지폐(15)에 실이나 테이프(16)등의 지폐빼냄수단이 부착되어 있지않으면 DATA1과 DATA3은 모두 지폐반송로에 지폐만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검출값이므로 DATA=DATA3으로 된다. 한편, 지폐(15)에 실이나 테이프(16)등의 지폐빼냄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면 DATA3은 실이나 테이프(16)등에 의해서 발광소자로 부터의 광이 차단된 또는 반사된 값등이 DATA1에는 영향이 없다. 그 결과, DATA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
본 발명은 지폐식별장치에 삽입되는 지폐에 테이프 또는 끈 등의 지폐빼냄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유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나 환전기등에 조립된 지폐식별장치에, 진성지폐에 테이프 또는끈 등을 부착한 것을 삽입하여 지폐의 진위판정의 처리를 하게 한후, 그 지폐를 테이프 또는 끈 등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서 지폐를 삽입구에서 빼내는 부정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부정행위에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지폐식별장치의 지폐진행로내에 빼냄방지레버를 마련하고 있었다.
빼냄방지레버는 거기에 지폐선단이 맞닿는 것에 의해 지폐 받아들임 방향만 전도되어 지폐의 통과를 허용한다. 지폐통과후, 빼냄방지레버는 자동복귀해서 지폐통행로를 막아 지폐의 통행을 금지한다. 또, 다른 수단으로써, 지폐의 삽입이나 반송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마련하고 이 검출수단에 솔레노이드나 액추에이터를 연동시켜서 지폐의 삽입후에 소정시간만 지폐반송로를 해방하는 것도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써, 지폐통행로에, 선단에 지폐를 부착한 태이프가 이 지폐통행로를 통행하는 경우에 그 테이프에 의해서 요동 또는 이동시켜지는 게이트, 셔터 또는 로울러등의 수동체를 구비하고, 그 수동체의 요동 또는 이동을 검출기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부정행위가 실행된 것을 인식하고자 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일븐국 특허공개공보 평성3-214386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2052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2-157990호).
그러나, 상기 공지기술을 사용해서 지폐의 빼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면 돌기형상의 빼냄방지레버를 지폐반송로의 폭방향에 여러개 배치하거나 또는 지폐반송로 전역에 걸쳐서 게이트형상의 레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는 여러개의 슬릿을 지폐반송로에 마련해야만 하고, 그 때문에 지폐가 막히거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 빼냄방지레버에 원위치 복귀의 검출수단을 마련해서 빼냄방지레버에 의한 지폐반송로의 폐쇄를 확인하고나시 지폐의 진위판정의 결과에 따른 거래를 허용하도록 한 경우, 접착성이 약한 테이프나 끈이 지폐에 부착되어 있으면 이들 테이프나 끈을 구부려서 빼냄방지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 지폐에 이와 같은 테이프나 끈이 부착된채의 상태에서 정상적인 삽입조작일때와 동일한 거래가 실행될 가능성이 있다. 거래후는 테이프나 끈으로 강제적으로 빼냄방지레버가 들어올러져버려 지폐의 빼냄을 방지할 수 없다.
또, 지폐통행로에 빼냄방지레버나 게이트, 셔터, 로울러등의 수동체를 마련하는 것은 지폐식별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할 뿐만아니라 지폐통행로를 좁히거나 굴곡시키는 것으로도 되므로 이 곳에서의 지폐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막힘을 발생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식별장치에 삽입된 지폐에 끈이나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광학센서로 검출하고, 끈이나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후에 지폐의 진위판별 및 환전 또는 상품제공을 실행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6도의 개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통로 bp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광학센서S2의 발광소자S2a 및 수광소자S2b가 배치된다. 그리고,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통로bp내를 앞쪽 (도면의 화살표방향) 으로 이동하는 지폐 bi가 아직 광학센서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의 수광소자S2b의 수광데이타DATA1을 얻는다. 다음에, 제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폐bi가 수광소자S2의 위치를 완전히 통과한 후의 수광소자S2b의 수광데이타DATA3을 얻는다.
만약, 지폐bi에 끈이나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DATA1 = DATA3으로 된다. 그러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bi에 끈이나 테이프st가 부착되어 있으면 제6도(A)에서의 수광소자S2b의 수광데이타DATA1은 끈이나 테이프st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제6(B)에서의 수광소자S2b의 수광데이타DATA3은 끈이나 테이프st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DATA1DATA3으로 되어 끈이나 테이프st를 검출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2축의 각 축의 양끝에 부착된 구동측 반송로울러 (11), (11) ; (11), (11)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2축의 각축의 양끝에 부착된 종동측 반송로울러 (10), (10) ; (10), (10)이 소정의 폭을 갖고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지폐반송로(14)의 아래쪽 및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측 반송로울러(11)을 양끝에 부착한 축의 한쪽은 모터M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이 축의 회전은 타이밍벨트(12), (12)를 거쳐서 다른 한쪽의 축에 전달된다. 종동측반송로울러(10)은 스프링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서 구동측 반송로울러(11)사이를 감는 타이밍벨트(12)에 압접된다.
모터M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1)로 부터의 명령에 의해 모터구동회로(6)을 거쳐서 구동되면 지폐(15)는 타이밍벨트(12)와 종동측반송로울러(10)사이에 끼여져 앞쪽, 즉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내진다. 지폐반송로(14)의 입구부근에는 지폐반송로(14)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 배치된 발광소자S1a 및 수광소자S1b로 이루어지는 다크온타입의 지폐삽입검출센서S1이 마련된다. 지폐(15)의 선단이 지폐반송로(14)의 입구를 통과해서 발광소자S1a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면 수광소자S1b로부터의 신호는 파형정형회로(2)에서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로 반송로(14)에 지폐가 삽입되었다는 신호를 인가한다.
지폐삽입검출센서S1의 배치위치에서 지폐반송로(14)가 지폐삽입방향으로 조금 내려간 위치에는 여러조의 광학센서S2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광학센서S2는 지폐반송로(14)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 배치된 발광소자S2a 및 수광소자S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의 예에서 광학센서S2는 반송로(14)의 폭 방향에 등간격으로 3조 배치되어 있다.
광학센서S2는 지폐(15)에서 고유의 정보를 인출하기 위한 지폐정보검출수단으로써의 기능과, 또 지폐가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지폐통과검출센서로써의 기능을 아울러 구비한 것이다. 이 광학센서S2는 지폐(15)의 고유의 정보를 인출하는데 지폐(15)의 각 부에 있어서의 광기 투과율을 지폐상의 모양의 농도변화 또는 색채변화의 점열 데이타로써 검출한다. 또, 이 광학센서S2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같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나 끈 등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 때문에 광학센서 S2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폭적분회로 (3) 및 A/D변환기 (4)에 의해 처리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로 보내진다. 즉, 증폭적분회로(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테이프나 끈의 유무에 따른 광의 투과율의 미소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광학센서S2의 배치위치에서 지폐반송로(14)가 지폐삽입방향으로 더욱 내려간 위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상의 빼냄방지레버(13), (13)이 2조 마련되어 있다. 이 빼냄방지레버(13)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14)내로 돌출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지폐(15)가 지폐삽입방향(제2도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선단이 빼냄방지레버(13)에 맞닿으면 지폐(15)에 의해서 빼냄방지레버(13)은 전도되어 반송로(14)에서 퇴피한다. 그 때문에, 지폐(15)는 통행을 방해받는 일은 없다. 지폐(15)가 통행해서 빼냄방지레버(13)을 넘으면 빼냄방지레버(13)은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되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지폐반송로(14)를 지폐삽입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통행하는 지폐(15)의 그 이동방향 선단이 빼냄방지레버(14)에 맞닿으면 빼냄방지레버(13)은 지폐반송로(1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지폐(15)의 빼냄방지레버(13)을 넘는 지폐의 통행은 방해받는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빼냄방지레버(13)의 배치위치는 광학센서S2의 배치위치의 반송방향 연장선상이 아닌 인접하는 광학센서S2사이의 중앙위치의 반송방향 연장선상으로 된다. 빼냄방지레버(13)을 이와 같이 배치한 이유는 만약 끈 이나 테이프가 광학센서S2와 광학센서S2사이에 위치하고, 그 결과 어떤 광학센서 S2라도 끈이나 테이프를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반송방향의 하류측의 빼냄방지레버(13)으로 확실하게 빼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지폐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여러개 배치한 광학센서S2중 반송로의 측벽과 가장 가까운위치에 마련된 것이 그 측벽과의 간극이 상당히 크면 그 광학센서S2, 측벽과 중앙위치의 반송방향 연장선상에도 빼냄방지레버(13)을 배치한다.
빼냄방지레버(1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것이 원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지폐(15)가 정상으로 지폐반송로의 최종위치까지 도달하여 이미 빼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것을 판단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빼냄방지레버(13)이 원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이하에 설명한다.
빼냄방지레버(13)에는 상기 빼냄방지레버(13)의 원위치복귀를 확인하기 위한 레버센서S3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센서S3은 원위치에 있는 빼냄방지레버(13)의 선단이 그의 양측사이에 위치하도록 대향배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레버센서S3이 원위치에 있으면 발광소자로 부터의 광은 빼냄방지레버(13)에 위해서 차단되고, 수광소자는 OFF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로 보낸다. 한편, 빼냄방지레버(13)이 지폐(15)에 의해서 전도되어 발광소자로 부터의 광이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경우, 수광소자는 ON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로 보낸다.
지폐식별장치의 제어계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버스를 거쳐서 메모리(5)와 연결되어 있다. 이 메모리(5) 는 지폐식별장치의 구동 및 지폐판정을 위한 제어프로그램등을 기억한 ROM 및 검출데이타의 일시기억등에 사용되는 RAM을 포함한다.
제5도는 메모리(15)의 ROM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지폐식별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1)이 실시하는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 제4도는 이 처리에 따르는 센서S1, S2, S3 및 모터M의 동작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제5도 및 제4도와 상술한 구성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지폐식별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투입검출센서S1로 부터의 지폐검출신호가 입력될때까지의 기간동안 광학센서S2로 부터의 데이타를 순차로 리드한다. 광학센서S2로부터의 데이타는 증폭적분회로(3) 및 A/D변환기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5)의 DATA1레지스터(제1의 정보기억수단)에 순차로 저장되어 갱신된다(스텝a1).
그리고, 이용자가 지폐식별장치의 지폐반송로(14)에 지폐(15)를 수동삽입하면 삽입검출센서S1이 삽입지폐를 검출한다(스텝a2).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광학센서S2로 부터의 데이타의 DATA1레지스터로의 라이트를 중지하고, 모터M을 정회전구동해서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a 3, 제4도에 있어서의 t0의 타이밍). 이 단계에서 DATA1레지스터에 유지되는 데이타는 지폐(15)의 선단이 삽입검출센서S1(S1a, S1b)의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광학센서S2(S2a, S2b)의 출력이다.
모터M의 회전에 의해서 반송로(14) 상을 지폐(15)가 강제적으로 반송되고, 그리고 지폐의 선단이 광학센서S2의 설치위치에 도달하면 광학센서S2의 발광소자S2a로 부터의 광은 지폐(15)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수광소자S2b의 수광량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그 결과, 광학센서S2로 부터의 출력은 감소하여 설정값L을 하회한다(스텝a4, 제4도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 또한, 설정값 L은 광학센서S2가지폐(15)의 선단을 검출할때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값으로써, 이 값은 미리 메모리 (5)에 설정기억되어 있다.
지폐(15)의 선단이 광학센서S2의 배치위치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광학센서S2로 부터의 데이타를 메모리(5)의 DATA2파일에 기억하기 시작한다. 그후도 모터 M은 계속 회전하므로, 지폐(15)는 반송로(14) 상을 더욱 앞쪽으로 보내지는 과정에서 광학센서S2에 의해서 검출되어 순차로 DATA2파일에 추가 기억된다. 이 작업은 지폐(15)가 광학센서S2에 의해서 검출되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스텝a5, a6). 이렇게 해서 DATA2 파일에 기억되는 것은 지폐(15)의 모양의 농도변화 또는 색채변화에 대응한 지폐(15)의 각 부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변화에 대한 점열 데이타이다.
지폐의 후단이 광학센서S2를 완전히 통과하면 광학센서S2의 발광소자S2a로 부터의 광은 지폐(15)에 의해서 전혀 차단되지 않던가 또는 지폐에 붙은 테이프 또는 끈에 의해서 조금 차단되게 된다. 즉, 광학센서S2에서 데이타가 상기의 설정값L을 이미 하회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 시점에 의해 지폐(15)의 후단이 광학센서S2의 설치위치를 통과한 시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광학센서S2로 검출중인 지폐(12)는 그 선단이 빼냄방지레버(13)의 배치위치로 접근하여 도달하면 지폐는 빼냄방지레버를 누르므로 센서S3으로 부터의 지폐검신호의 출력이 개시된다.
지폐(15)의 후단이 광학센서S2의 배치위치를 통과한 것이 스텝a6의 판별처리에 의해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DATA2 파일로의 광학센서S2로 부터의 데이타의 라이트를 정지한다. 그리고, 모터 M의 정회전구동을 일시정지해서 지폐(15)의 반송을 정지한다 (스텝a7, 제4도에 있어서의 t2의 타이밍) .
그래서, DATA2 파일에 기억된 정열데이타와 미리 메모리(5)에 설정기억되어 있는 기준의 점열 데이타를 비교해서 지폐(15)의 진위 및 종별을 판정한다(스텝a 8). 지폐(15)의 후단이 광학센서S2의 배치위치를 통과한 직후에는 지폐(15)의 후단은 아직 빼냄방지레버(13)의 배치위치에 도달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그 단계에서는 지폐(15)의 받아들임 및 반환에 관한 어떠한 운전동작도 가능하다. 그래서, 스텝a8의 판별처리에 의해 지폐(15)가 가짜지폐인 것이 판명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모터 M을 역회전 시켜 종래와 동일한 처리로 지폐(15)를 반환한다(스텝a16).
한편, 지폐(15)가 진짜지폐로써 스텝a8의 판별결과가 참(Y)로 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타이머를 작동시켜서 소정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에 의해 광학센서S2로 부터의 데이타를 안정시킨다 (스텝a9). 그후,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광학센서S2로부터의 데이타를 새로 리드해서 DATA3레지스터(제2의 정보기억수단)에 저장한다(스텝a10, 제4도에 있어서의 t2+t의 타이밍).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이 DATA3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타가 앞서(스텝a1에서) DATA1레지스터에 저장한 데이타에 거의 가까운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DATA3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타가 DATA1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타에 계수α (α는 1을 넘지않지만 1에 가까운 설정값)을 곱한 값을 하회하지 않는지 (DATA3>α ·DATA1) 하회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a11).
지폐에 끈이나 테이프등이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제6도를 참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DATA3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타는 DATA1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그 결과, DATA3 > α ·DATA1). 그러나, 지폐에 끈이나 테이프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그들이 센서S2의 광을 차단하므로 DATA3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저레벨로 되어 DATA1 레지스터에 저장한 데이타와의 사이에 차가 생긴다 (따라서, DATA3 ≤ α ·DATA1로 된다).
그래서, 스텝a11의 판별결과가 참(Y)으로 되어 지폐에 테이프나 끈 등의 부착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재차 모터M을 정회전시켜 지폐(15)의 받아들임을 개시하고, 동시에 타이머에 계시를 개시한다(스텝a12). 이 타이머에는 지폐의 받아들임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타이머의 계시가 완료하지 않는 동안에(스텝a13 ; 판별N), 레버센서 S3으로 부터의 지폐검출신호가 OFF로 되면 (스텝a14 ; 판별 Y)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지폐(15)가 정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미 빼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 M의 정회전을 정지해서 지폐(15)의 종별에 대응한 진권신호를 출력해서(스텝a15)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레버센서S3으로 부터의 지폐검출신호가 타이머의 계시가 완료할때까지 OFF로 되지 않으면(스텝a13 ; 판별 Y) 마이크로프로세서(1)은 광학센서S2로는 검출할 수 없었던 지폐에 부착된 끈 이나 테이프에 의해서 부정한 빼냄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서 모터M을 역회전 시켜 종래와 동일한 처리로 지폐(15)를 반환하고(스텝a16)이 처리를 종료한다. 지폐(15)에 부착된 끈이나 테이프(16)이 광학센서S2와 광학센서S2사이를 빠져 나가고, 그 때문에 광학센서S2의 광으로 차광되지 않고 통과해도(즉, 광학센서S2에 의해서 끈이나 테이프(16)이 검출되지 않아도) 그와 같은 끈 또는 테이프(16)은 하류의 빼냄방지레버(13)으로 확실하게 포착된다. 즉, 끈이나 테이프(16)이 빼냄방지레버(13)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므로 빼냄방지레버(13)이 소정시간내에 복귀하지 않는 것에 의해(스텝a13, a15), 끈 또는 테이프(16)을 검출할 수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삽입검출센서S1, 광학센서S2에 투과식의 것을 사용했지만, 이것 대신에 반사식의 것(반사광을 수광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통과를 검출하는 통과 검출센서와 지폐의 진위,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을 광학센서S2에 의해 겸하도록 했지만, 통과검출센서를 정보검출수단과는 별도로 마련해도 좋다. 또, 통과검출센서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나 끈을 검출할 수 있도록 지폐반송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반송로의 폭방향)으로 다수 배열하도록 한다. 또는 지폐반송로의 한쪽면 (반송지폐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대응하는 면)에 오목면형상의 반사판을 마련하고, 반송방향으로 수직방향에서 반송로 앞영역에 투광한 평행광의 상기 오목면 반사판으로 반사한 광을 1점에 집광하고 상기 집광한 광을 수광소자로 수광하도록 해서 지폐의 검출통과, 테이프나 등의 검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통과검출센서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정보검출수단으로써 광학센서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고 자기적으로 지폐에서 정보를 검출하는 것 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폐식별장치로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에 광학센서S2에 의해 검출되고 있던 정보DATA1과 지폐가 광학센서를 통과한 직후의 정보DATA3을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그 차에 의해서 테이프나 끈 등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광학센서S2의 황변이나 더러워짐과 같은 성능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더욱 정확한 판별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테이프나 끈 등의 유무의 판별기준으로 되는 차를 엄격하게 설정해도(즉, 상기 α의 값을 1에 가깝게 해도) 판별이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투명비닐등의 테이프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 테이프나 끈 등의 유무의 검출을 위한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구멍이나 슬릿을 형성하거나 지폐반송로를 좁게하는 구성을 부가할 필요도 없으므로 지폐가 막히거나하는 등의 문제도 해소된다. 또, 빼냄방지레버는 광학센서S2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학센서에 검출누락이 있었던 경우에도 이것을 빼냄방지레버로 검출할 수 있어 부정한 빼냄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의 제어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제어계에 의해서 제어되는 지폐식별장치의 1실시 예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지폐식별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지폐식별장치의 처리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이밍도.
제5도는 제2도의 지폐식별장치의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지폐에 테이프 또는 끈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9)

  1. 지폐반송로를 따라서 반송되는 지폐에서 지폐정보검출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지폐 고유의 데이타를 인출하고, 그 인출한 데이타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반송로를 향해서 마련되고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검출센서 및 광학센서,
    상기 통과검출센서가 지폐를 검출하기 직전까지의 상기 광학센서의 검출데이타를 기억하는 제1의 기억수단,
    일단 지폐를 검출한 상기 통과검출센서가 지폐를 검출하지 않게 된 시점부터 그 후의 상기 광학센서의 검출데이타를 기억하는 제2의 기억수단 및
    상지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와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에 따라서 반송로를 따라 반송된 지폐에 끈이나 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지폐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지폐식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지폐반송로를 향해서 배치된 발광소자와 지폐반송로상의 물체에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지폐식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지폐반송로의 폭방향을 따라서 여러조 배치된 지폐식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와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의 비를 구하고, 그 구한 비와 미리 설정한 값을 대비하는 것에 의해서 지폐에 끈이나 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지폐정보 검출수단을 겸비하는 지폐식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통과검출센서를 겸비하는 지폐식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지폐반송로중에 반송로상을 지폐삽입방향으로 반송되어오는 지폐에 의해서 퇴피방향으로는 이동되지만 그 반대의 방향에서는 이동되지 않고 반송로중으로 돌출된 빼냄방지레버를 마련함과 동시에 빼냄방지레버가 퇴피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더 마련한 지폐식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빼냄방지레버의 배치위치는 지폐반송로의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상기 광학센서와 광학센서의 중간에 대응하도록 지폐반송로의 폭방향을 따라서 여러개 배열되는 지폐식별장치.
KR1019940034150A 1993-12-27 1994-12-14 지폐식별장치 KR10034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346941A JP3105725B2 (ja) 1993-12-27 1993-12-27 紙幣識別装置
JP93-346941 199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316A KR950020316A (ko) 1995-07-24
KR100342930B1 true KR100342930B1 (ko) 2003-02-07

Family

ID=1838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150A KR100342930B1 (ko) 1993-12-27 1994-12-14 지폐식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47061A (ko)
JP (1) JP3105725B2 (ko)
KR (1) KR100342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49Y1 (ko) 2009-05-12 2012-01-12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634B2 (ja) * 1996-04-19 2004-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US6573983B1 (en) * 1996-11-15 2003-06-03 Diebold,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nk notes and other documents in an automated banking machine
US6682068B1 (en) * 1997-11-28 2004-01-27 Diebold, Incorporated Document alignment mechanism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GB9806434D0 (en) 1998-03-26 1998-05-20 Ncr Int Inc Card reader
US6364087B1 (en) * 1998-03-27 2002-04-02 Ardac, Incorporated Adaptive string detector for currency validators
JP3806506B2 (ja) 1998-04-01 2006-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6044952A (en) * 1998-05-18 2000-04-04 Mars, Incorporated Multi-function optical sensor for a document acceptor
JP2000348233A (ja) * 1999-06-07 2000-12-15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方法および装置
JP3652558B2 (ja) * 1999-08-17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2001297349A (ja) * 2000-04-14 2001-10-26 Sanden Corp 紙幣識別装置
JP2004326548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SE525650C2 (sv) * 2003-09-26 2005-03-29 Axlon Int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JP5083937B2 (ja) * 2006-07-13 2012-11-28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GB0712374D0 (en) * 2007-06-26 2007-08-01 Innovative Technology Ltd Bills and/or card validator and storage apparatus
JP5322313B2 (ja) * 2010-10-28 2013-10-23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6016513B2 (ja) * 2012-08-09 2016-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o2回収装置およびco2回収方法
US11395566B2 (en) 2016-04-11 2022-07-26 Gpcp Ip Holdings Llc Sheet product dispenser
US11412900B2 (en) 2016-04-11 2022-08-16 Gpcp Ip Holdings Llc Sheet product dispenser with motor operation sensing
JP2018013973A (ja) * 2016-07-21 2018-01-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3994A (ja) * 1990-01-29 1991-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H04264997A (ja) * 1991-02-20 1992-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H0562044A (ja) * 1991-09-05 1993-03-12 Sanyo Electric Co Ltd 識別センサー移動による紙葉識別方式
JPH0577968A (ja) * 1991-09-18 1993-03-30 Hitachi Ltd 光学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5217051A (ja) * 1992-02-05 1993-08-27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H05242335A (ja) * 1984-10-10 1993-09-21 Mars Inc 通貨確認のための方法
JPH05274515A (ja) * 1992-03-27 1993-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7990A (ja) * 1985-12-28 1987-07-13 アイエム電子株式会社 紙幣鑑別機
JP3130027B2 (ja) * 1990-01-19 2001-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CH680474A5 (ko) * 1990-06-12 1992-08-31 Landis & Gyr Betriebs Ag
JPH0720790Y2 (ja) * 1990-07-19 1995-05-15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抜取り防止装置
US5199543A (en) * 1990-08-22 1993-04-0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criminating bill
US5195739A (en) * 1991-02-01 1993-03-23 Nippon Conlux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JPH0520527A (ja) * 1991-07-15 1993-01-29 Toyo Commun Equip Co Ltd 紙葉類挿入装置
US5325952A (en) * 1992-02-26 1994-07-05 Dixie-Jarco, Inc. Antiretrieval device for currency validators
GB2266176B (en) * 1992-04-14 1996-06-19 Nsm Ag A device for the detection of a foreign body in a coin channel
US5372361A (en) * 1992-11-13 1994-12-13 Japan Cash Machine Co. Ltd. Bill handling apparatus with exchangeable pusher for stack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335A (ja) * 1984-10-10 1993-09-21 Mars Inc 通貨確認のための方法
JPH03223994A (ja) * 1990-01-29 1991-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H04264997A (ja) * 1991-02-20 1992-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H0562044A (ja) * 1991-09-05 1993-03-12 Sanyo Electric Co Ltd 識別センサー移動による紙葉識別方式
JPH0577968A (ja) * 1991-09-18 1993-03-30 Hitachi Ltd 光学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5217051A (ja) * 1992-02-05 1993-08-27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H05274515A (ja) * 1992-03-27 1993-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49Y1 (ko) 2009-05-12 2012-01-12 이원철 지폐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316A (ko) 1995-07-24
JP3105725B2 (ja) 2000-11-06
US5547061A (en) 1996-08-20
JPH07192162A (ja)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930B1 (ko) 지폐식별장치
US9064367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control method
US20100303332A1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and banknote handling method
JP2008015831A (ja) 紙幣処理装置
KR20020031030A (ko) 지폐 판별 장치 및 지폐 판별 장치를 구비한 지폐 자동거래 장치
WO2012146161A1 (zh) 纸币处理装置及纸币输送状态检测方法
JPS59132086A (ja) 紙幣受入制御装置
JP3806506B2 (ja) 紙幣処理方法および装置
EP2369557B1 (en) Check deposit apparatus
US20210090373A1 (en) Banknote jam troubleshooting method and bill recycling terminal
JP2000322632A (ja) 貨幣等の取扱装置
KR20220012724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JP3590834B2 (ja) 紙幣取引装置
JP3129031B2 (ja) 引き抜き防止機能付き紙幣鑑別装置
JP3830626B2 (ja) 帳票類取込み装置
JP3393619B2 (ja) 紙幣処理装置
JP3225990B2 (ja) 紙幣処理装置
JPH05266313A (ja) 紙幣識別機
JP2007087050A (ja) 貨幣取扱装置
JPH021652Y2 (ko)
JP3028721B2 (ja) 紙幣識別装置
EP3605396A1 (en) Card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JP2950690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795348B2 (ja) 紙葉類識別機の搬送制御方法
JP2007299190A (ja) 紙幣引抜き不正行為防止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