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592A -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592A
KR20010013592A KR19997011601A KR19997011601A KR20010013592A KR 20010013592 A KR20010013592 A KR 20010013592A KR 19997011601 A KR19997011601 A KR 19997011601A KR 19997011601 A KR19997011601 A KR 19997011601A KR 20010013592 A KR20010013592 A KR 2001001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
tube
web
material web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601A
Other languages
German (de)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치크문트 마트르차크
뤼디거 쿠르츠
오스발트 자츠거
볼프 군터 슈토츠
토마스 헤름젠
게오르크 쿠글러
베르너 괴벨
칼하인츠 슈트라우프
파트릭 로메스
Original Assignee
폴커 린덴
보이트 슐저 파피어마쉰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커 린덴, 보이트 슐저 파피어마쉰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폴커 린덴
Publication of KR2001001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Other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63Devices for threading a web tail through a paper-making machine
    • D21G9/0072Devices for threading a web tail through a paper-making machine using at least one r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2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starting
    • B65H2301/522Threading web into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4Paper-making machines

Landscapes

  • Pap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 웨브의 제조 및/또는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 내부에서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기계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속도 보다 낮은, 특히 현저히 낮은 속도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영역(7)으로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장치(4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THREADING STRIP OR A MATERIAL STRIP}
이러한 방식의 장치 및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독일 특허 제 DE 40 37 661호).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재료 웨브를 제조 및/또는 가공하기 위한 기계내에 사용되고, 재료 웨브 또는 이것으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이하, 드레딩 스트립이라 한다)을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이송하는데 이용된다. 기계의 초기 작동 동안 또는 웨브의 파괴 후에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의 전체 폭이 가이드 및/또는 가공 장치에 의해 미리 주어진 웨브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이러한 공정을 드레딩이라 한다. 공지된 장치는 소위 로프 닙(nip)에서 로프 가이드의 시작 부분에 서로 수렴되는 2개의 로프를 가진 로프 가이드를 포함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인수 영역에 배치된 로프 닙내로 안내되고 로프 사이에 고정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로프와 함께 웨브 경로를 따라 전달 영역내로 안내된다. 상기 전달 영역에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기계의 후속하는 장치로 전달된다. 이송은 2,000 m/min 이상인 기계 속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감소된 속도로 이루어진다. 이송에 사용되는 로프는 종종 기계 속도 보다 더 높은 속도를 갖는다. 그런데,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많은 경우에 로프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없고 이송 동안 경로를 이탈함으로써,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성공적으로 이송할 때까지 이송 과정이 종종 여러번 반복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종방향 인장력 하에 놓이는 동안 그것이 진동함으로써 로프로 되돌아가고 거기서 그것이 파괴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송 후에 웨브 파괴가 자주 발생된다. 성공적인 이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여러번의 시도는 기계의 고장 시간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기계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재료 웨브의 제조 및/또는 가공을 위한 기계 내부에서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드레딩(threading)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 청구항 42항의 전문에 따른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픽업 헤드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도 6은 이송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저장 스테이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저장 스테이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가이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및 11은 도 9에 따른 가이드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픽업 헤드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3 및 14는 도 12에 따른 픽업 헤드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 및 14에 따른 픽업 헤드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픽업 헤드의 영역에서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17은 튜브 고정 수단 실시예의 횡단도이며,
도 18은 가이드 부재용 장력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9는 저장 스테이션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기계 속도에서도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의 확실한 이송이 보장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된 특징을 가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송 공정 동안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작동 속도 보다 낮은, 특히 현저히 낮은 속도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영역으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장치에 의해, 높은 작동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웨브 경로"는 재료 웨브의 제조 및/또는 가공 공정에 의해 또는 가이드 및/또는 가공 장치에 의해 미리 주어지는 경로를 의미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예컨대 롤러, 롤러 프레스, 장치 표면, 가공 장치, 측정 장치를 통해 및/또는 벨트상으로 안내된다. 상기 장치들의 배치는 기계 내부에서 웨브 경로를 결정한다. 픽업 장치는 웨브 경로를 따라, 이송 공정 동안 기계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를 가진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 보다 낮은 속도로 이동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 장치가 상기 순간에 기계내에 놓이는 장소에서 웨브 경로로부터 예컨대 측면으로 빠져나온다. 이로 인해,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 보다 낮은, 바람직하게는 현저히 낮은 변위 속도를 가진 픽업 장치에 재료 웨브가 감기는 것이 배제된다. 따라서, 기계 속도가 매우 높을 때도 스트립/웨브의 드레딩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이송 속도, 즉 픽업 장치의 변위 속도가 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와 무관하게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픽업 장치가 재료 웨브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로 변위될 수 있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픽업 장치의 개방된 가이드가 구현될 수 있다. 즉, 픽업 장치가 전달 영역으로부터 인수 영역으로 변위되기 위해 원으로 안내될 필요가 없고, 웨브 경로와 반대로 인수 위치로 되돌아간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이송 공정 사이에서 픽업 장치의 변위 속도 및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송 공정 동안 변위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팅될 수 있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웨브 경로의 방향으로 볼 때 섹션별로 상이한 속도로 안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교적 신속한 그리고 특히 확실한 이송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예컨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드레딩되는 처리 또는 가이드 장치의 영역에서 비교적 낮은 변위 속도가 더욱 감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픽업 장치가 웨브 경로의 영역에서 또는 웨브 경로의 외부에서 변위 또는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픽업 장치의 전달 경로는 예컨대 재료 웨브로부터 절단된 드레딩 스트립의 배치에 매칭될 수 있다. 드레딩 스트립은 재료 웨브의 가장자리에서 또는 웨브 가장자리 사이에 놓인 재료 섹션에서 절단된다. 또한, 웨브 경로의 중심에서 픽업 장치를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료 웨브의 전체 폭이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이송되면, 여기서도 픽업 장치가 웨브 경로의 영역에서 또는 웨브 경로의 외부에서 변위될 수 있다. 웨브 경로 외부에서 픽업 장치를 가이드하는 경우, 그것의 작용 영역이 웨브 경로에서, 적어도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안내되어야 하는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픽업 장치에는 하나의 가이드가 배치된다.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로프, 벨드, 체인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고정적이다. 즉,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므로, 픽업 장치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미리 주어진 가이드 경로를 따라, 예컨대 가이드 부재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한편, 가이드 부재는 정지 상태로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들)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가이드 부재에 고정된 픽업 장치가 가이드 부재(들)에 의해 미리 주어진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픽업 장치가 변위 가능한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롤러, 바람직하게는 프로필 롤러로 형성된다. 픽업 장치는 웨브 경로를 따라 배치된 롤러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이드의 가이드 경로가 웨브 경로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가이드 경로는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또는 그 역으로 연장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지나므로, 픽업 장치가 웨브 경로의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업 장치가 재료 웨브를 제조 및/또는 가공하기 위한 기계의 작동 동안, 재료 웨브가 제조 공정 동안 안내되는 웨브 경로에 직접 인접하지 않는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업 장치가 제조 및/또는 가공 공정에 영향을 주거나 방해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는 무한 루프로 결합된다. 즉, 가이드 부재가 인수 영역으로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전달 영역으로 그리고 전달 영역으로부터 다시 인수 영역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연장된다는 것"은 가이드 및 가이드 부재의 배치를 의미한다. 가이드 부재는 기계의 내부에 변위될 수 있게 또는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예컨대 픽업 장치가 이송 공정 후에 동일한 방향으로 예컨대, 인수 영역으로 변위되거나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장치는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픽업 장치가 하나의 픽업 개구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픽업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인수시, 이것(들)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픽업 개구내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픽업 헤드 다음에 후속 처리 장치가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후속 처리 장치"는 이송 공정 동안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나온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부분을 분쇄, 연소, 용해 및/또는 안내하고, 예컨대 불, 적어도 하나의 기체 또는 액체 매질, 초퍼 또는 워터 토오치, 워터 스크린를 사용해서 용기, 바스킷, 스크린, 망내로 이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후속 처리 장치는 예컨대 분쇄 장치, 연소 장치, 용해 장치, 수집 장치, 폐기 및/또는 재활용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픽업 헤드의 픽업 개구내로 안내되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일부가 직접 후속 처리 장치로, 예컨대 기계로부터 측면으로 빠져나오고 수집되거나 직접 기계가 놓인 바닥상으로 직접 던져진다. 이러한 방식의 이송 장치에 대한 비용은 비교적 적다.
이송 공정 동안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웨브 경로로부터 배출시키는 튜브가 픽업 개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에 의해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 나온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부분이 예컨대 기계로부터 측면으로 배출되고 후속 처리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픽업 개구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 채널 등에 적어도 섹션별로 기체 또는 액체 흐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흐름은 픽업 장치 보다 높은 속도로 이동되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 나온 부분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예컨대 이미 (화학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흐름의 영향에 의해, 이미 인수 영역으로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픽업 장치까지 또는 직접 픽업 헤드의 픽업 개구에 까지 이송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부분의 종방향 인장력이 세팅될 수 있다.
픽업 헤드의 픽업 개구에 바람직하게는 가변 저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압 소오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저압 소오스는 예컨대 픽업 장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직접 픽업 헤드내에 통합됨으로써, 픽업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저압 소오스로서 팬이 사용된다. 팬은 동시에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예컨대 적합하게 형성된 팬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송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압 소오스가 인젝터로 형성된다. 이것은 픽업 장치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픽업 장치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기계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튜브 또는 채널 시스템을 통해 픽업 헤드의 픽업 개구에 흐름 접속된다. 인젝터는 액체, 예컨대 물, 및/또는 가스 흐름, 예컨대 공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픽업 헤드의 영역에 배치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잡는 전달 장치가 사용된다. 전달 장치는 예컨대 인장 프레스로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롤러는 고무가 입혀지거나 또는 브러쉬를 포함하거나 또는 초핑 롤러로 형성된다. 또한, 드레딩 스트립/제료 웨브를 분쇄하는 분쇄 환풍기 및/또는 공지된 분쇄기가 전달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달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저압에 의해 고정시키는 피브론(Fibron) 벨트라 공지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 벨드, 적어도 하나의 소위 코안다 플레이트,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그 외주 위로 영역별로 안내하고 저압에 의해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드럼 및/또는 선회 장치가 있다. 전달 장치의 디자인은 실제로 임의이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잡는 것이, 즉 고정 및/또는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픽업 장치 사이에 이송 보조 수단이 제공된다. 이송 보조수단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제 1 픽업 장치로부터 인수하고 그것을 제 2 픽업 장치로 전달한다. 예컨대, 피브론 벨트 포함하는 이송 보조 수단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픽업 장치의 사이 영역을 연결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적어도 2개의 픽업 장치는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픽업 장치는 상이한 구동 장치 및/또는 픽업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 하나의 공통 가이드 또는 각각 별도의 가이드가 픽업 장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픽업 헤드에 연결된 튜브, 채널 등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공되는 이송 장치의 실시예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튜브의 막힘으로 인한 튜브의 압력 변동시, 이송 공정이 중단되거나 및/또는 튜브 내에 저압이 증가됨으로써, 막힘이 뚫릴 수 있다. 압력의 모니터링에 의해, 이송 장치의 작동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나머지 종속항에 제시된다.
방법에 관련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42항에 제시된 특징을 가진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속도 보다 낮은, 바람직하게는 현저히 낮은 속도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이송 장치가 높은 작동 안전성을 갖는다.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제 1항 내지 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는 기계 속도에 상응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적어도 영역별로 웨브의 작동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고 동시에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종방향 인장력을 소정 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여전히 이송되지 않은 부분이 웨브 경로로부터 방향 전환된다. 이 방법은 높은 작동 안전성을 갖는다.
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재료 웨브를 제조 및/또는 가공하기 위한 기계내에서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재료 웨브, 예컨대 종이 웨브, 마분지 웨브, 직물 웨브, 플라스틱 박막, 석판, 부직포가 기계에서 제조 및/또는 가공된다. 하기에서는 순수하게 예로서 종이 웨브를 제조 및/또는 가공하는 제지기가 다루어진다. "가공" 은 종이 웨브와 관련한 예컨대 업그레이딩, 코팅, 인쇄, 페인팅 등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4는 제지기 내부에 배치되며, 종이 웨브(이하, 재료 웨브(3)라 함)를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 영역(7)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웨브 경로"는 가이드 및/또는 가공 장치, 예컨대 롤러 또는 장치 표면에 의해 미리 주어진 재료 웨브(3)의 경로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4는 이송 장치(1)의 작용 단계의 순서를 나타낸다. 인수 영역(5)과 전달 영역(7) 사이에 놓인 기계 부분에는 가공 스테이션(9)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공 스테이션(9)은 페인팅 기계이다. 가공 스테이션(9) 앞에는 -재료 웨브(3)의 진행 방향(화살표(11))으로 볼 때- 2열의 건조 그룹(13)이 배치되고, 가공 스테이션(9) 뒤에는 1열의 건조 그룹(15)이 배치된다. 인수 영역(5)에 배치된 건조 그룹(13)의 최후의 건조 실린더(17)를 통과한 재료 웨브(3)는 웨브 가이드 롤러(19)에 의해 방향 전환되고 프레스 장치(21)를 통과한다. 프레스 장치는 다수의 여기서는 총 2개의 프레스 롤러를 포함한다. 프레스 장치(21)를 통과한 후에, 재료 웨브(3)는 제 2의 웨브 가이드 롤러를 통해 업그레이딩 장치(23)에 공급된다. 상기 업그레이딩 장치(23)에서 페인팅 매질이 재료 웨브상에 도포된다. 그리고 나서, 재료 웨브(3)가 적외선 건조기(25)를 스쳐 지나가고 2부분의 공기 건조기(27)을 통과한다. 공기 건조기(27) 다음에서 재료 웨브(3)는 웨브 가이드 롤러(29) 및 (31)를 통해 방향 전환되고 건조기 그룹(15)의 제 1 건조 실린더(33)로 안내된다. 재료 웨브(3)는 건조 실린더(33)으로부터 기계의 후속하는 부분내로 이른다. 재료 웨브(3)는 가공 스테이션(9)내에서 또는 그것의 웨브 가이드 롤러, 건조 및 코팅 장치 사이에서 지지되지 않은 채로 안내된다. 즉, 재료 웨브(3)가 이송 벨트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기계의 초기 동작 동안 또는 웨브의 파괴 후, 재료 웨브(3) 또는 이것으로부터 절단된 스트립(드레딩 스트립이라 함)이 전체 기계를 통해 또는 기계의 일부를 통해 웨브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이러한 공정을 드레딩이라 한다. 이것을 위해, 가공 스테이션(9)의 영역에 이송 장치(1)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 이송 장치(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송 장치(1)는 단 하나의 가이드 부재(35)를 포함하는 가이드(37)를 포함한다. 가이드(37)는 웨브 경로를 따라 픽업 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35)는 무한 루프로 접속된 로프(39)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가이드 부재(35)가 적어도 하나의 체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또는 적어도 거의 평행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부재, 예컨대 2개의 로프 또는 하나의 로프 및 하나의 체인이 제공된다. 로프는 예컨대 금속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및 내열성 플라스틱, 예컨대 케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폐쇄된 로프 루프는 영역별로 방향 전환 롤러(41)를 거쳐 웨브 경로를 따라, 예컨대 가이드 롤러 저널상에 놓인 느슨한 로프 시이브를 거쳐, 동일한 웨브 가이드 롤러를 거쳐, 재료 웨브(3)가 통과하는, 건조기(25), (27), 업그레이딩 장치(23) 및 프레스 장치(21)을 통해 안내된다. 로프(39)는 구동장치(43)에 의해 선택적으로 웨브 경로의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세팅 가능한 속도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43)는 로프(39)를 안내하는 하나의 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토크가 상기 롤러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장치(4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로프(39)가 정지 상태로부터 2개의 방향으로 원하는 가속도로 미리 주어진 속도로, 예컨대 5m/sec로 이동될 수 있다.
전달 영역(7) 아래에는 튜브(47)용 저장 스테이션(45)이 제공된다. 저장 스테이션(45)의 자유 단부는 픽업 장치(46)에 접속되고, 그것의 다른(도 1 내지 4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부는 후속 처리 장치, 예컨대 재료 웨브용 수집 용기 또는 폐기 및/또는 재활용 장치에 접속된다. 픽업 장치(46)는 튜브(47)에 접속된 픽업 개구를 포함한다. 튜브(47)는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둥근 횡단면을 가지며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튜브가 가요성, 예컨대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서펜타인(serpentine) 튜브로 형성된다. 튜브(47)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39)에 풀릴 수 있게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튜브는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그것에 고정될 수 있다.
튜브(47)에 접속된 픽업 장치(46)의 기능은 이송 과정의 설명에 의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기계의 초기 작동 또는 웨브 파괴 후에, 건조 그룹(13)의 마지막 건조 실린더(17)를 통과한 재료 웨브(3)가 기계로부터 하부로 빠져나와, 이 실시예에서는 수집 용기(49), 소위 펄퍼에 모여진다. 도시되지 않은 절단 장치에 의해 드레딩 스트립이 예컨대, 재료 웨브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절단되고, 먼저 나머지 웨브와 함께 수집 용기(49)내에 모여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드레딩 스트립이 재료 웨브(3)로부터 재료 웨브(3)의 진행 방향(화살표 11)으로 볼 때 인수 영역(5) 앞에 배치된 기계 부분에서 절단되고 나머지 웨브는 멀리 안내됨으로써, 드레딩 스트립만이 건조 실린더(17)을 통해 수집 용기(49)에 안내된다. 로프(39)는 구동 장치(43)에 의해 화살표(51)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경우, 로프(39)에 고정된 튜브(47)가 저장 스테이션(45)으로부터 안내된다. 튜브(47)에 접속된 픽업 장치(46)는 도 1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5)의 인수 위치로 변위된다(도 2). 픽업 장치(46)의 인수 위치는 여기서는 건조 실린더(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재료 웨브는 건조 실린더(17)을 통해 수집 용기(49)로 안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수 위치가 건조 실린더(17)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즉 픽업 장치(46)가 인수 위치에 도달된 후에, 적어도 재료 웨브(3)의 이송될 부분이, 즉 드레딩 스트립이 도시되지 않은 절단 장치에 의해 웨브 진행 방향에 대해 횡으로 펄퍼에 있는 드레딩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절단되고 드레딩 스트립의 새로운 시작 부분이 예컨대 공기 흐름, 흡입 벨트(피브론 벨트), 코안다 플레이트 또는 그밖의 안내 장치에 의해 픽업 장치(46)의 픽업 개구내로 안내된다. 거기서 부터 드레딩 스트립이 전체 튜브(47)를 통해 후속 처리 장치에 안내된다.
드레딩 스트립의 인수는 예컨대 픽업 장치(46)가 정지 상태이거나 또는 로프(39)에 의해 변위되는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딩 스트립의 인수 후에, 로프(39)가 화살표(53)의 방향으로, 즉 웨브 경로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튜브(47)와 픽업 장치(46)가 함께 이동됨으로써, 드레딩 스트립이 이송된다.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 영역(7)으로 픽업 장치(46)의 변위 속도는 가변될 수 있고, 드레딩 스트립이 웨브 경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설정된다. 드레딩 스트립이 인수 영역으로부터 픽업 장치(46)로 그리고 상기 픽업 장치로부터 튜브(47)를 통해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기계에 의해 미리 정해진 드레딩 스트립의 속도 보다 낮은, 바람직하게는 현저히 낮은 픽업 장치(46)의 이송 속도가 구현될 수 있다. 기계 속도로 이동되며 픽업 장치(46)로부터 방향 전환된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은 전달 영역(7)으로 이송되지 않는다. 재료 웨브가 예컨대 2,000 m/min으로 금속 웨브 제조 및/또는 가공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한편,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 속도는 예컨대 300 m/min 일 수 있다. 픽업 장치(46)가 드레딩 스트립을 픽업하고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나온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을 튜브(47)를 통해 배출하기 때문에, 이송 과정 동안 기계 속도가 감소될 필요 없이, 드레딩 스트립을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서서히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픽업 장치에 의해 튜브(47)내로 안내된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 즉 인수 영역으로 안내되지 않은 부분의 배출에 의해, 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와 픽업 장치의 이송 속도 사이의 차로 인해 드레딩 스트립이 픽업 장치(46)에 감기는 것이 피해진다. 이로 인해, 느린 이송 속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높은 기계 속도로 드레딩 스트립의 종방향 인장력이 소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픽업 장치(46)의 위치에서 드레딩 스트립은 이미 프레스 장치(21) 다음에 배치된 웨브 가이드 롤러에 까지 이송된다. 픽업 장치(46)는 드레딩 스트립이 웨브 가이드 롤러 및 2개의 롤러 사이의 갭을 통해 안내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도 4에서는 픽업 장치(46)가 이미 그것의 전달 위치에까지 이동되고, 전달 위치에서 드레딩 스트립이 건조 그룹(15)의 제 1 건조 실린더(33)로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드레딩 스트립을 건조 실린더(33)로 전달하는 것은 드레딩 스트립이 건조 실린더(33)와 그것을 통해 안내되는 이송 벨트(55) 사이에 형성된 닙내로 안내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픽업 장치에 의해 이미 잡혔으며 튜브를 통해 기계로부터 빠져 나온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은 피괴되고, 기계 속도로 이미 드레딩된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 즉 픽업 장치에 의해 잡히지 않은 부분은 이송 벨트(55)와 함께 건조 실린더(33)를 통해 제지기의 후속 부분내로 안내된다. 따라서, 이송 과정이 종료되므로, 픽업 장치(46)가 도 1에 도시된 파아킹(Parking)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파아킹 위치에서 픽업 장치는 제조 공정의 방해 및 바람직하게는 픽업 장치(46)의 오염이 방지될 정도로 웨브 경로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끝으로, 드레딩된 스트립은 재료 웨브의 전체 폭이 기계를 통해 안내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확대된다.
픽업 장치(46)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야 비로소, 드레딩 스트립이 완전히 이송되거나 가공 스테이션(9)내로 드레딩된다. 픽업 장치(46)에 의해 이송 공정 동안 기계로부터, 적어도 이송 경로로부터 빠져나온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은 이송되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서는 "드레딩 스트립"이라는 용어가 더 이상 맞지 않는다. 이송 장치(1)는 이송 동안 높은 기계 속도에서도 높은 작동 안전성을 갖는다.
도 1 내지 4를 참고로 설명된 이송 장치(1)에 의해 드레딩 스트립이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 영역(7)으로 기계 속도, 즉 제조 및/또는 가공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 보다 현저히 낮은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픽업 장치(46)에 의한 드레딩 스트립의 확실한 안내에 의해 이송 공정 동안 드레딩 스트립의 파괴가 실제로 배제되므로,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의 고장 시간이, 전술한 로프 가이드에 의해 드레딩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공지된 기계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공지된 로프 가이드에 비한 상기 이송 장치의 또다른 장점은 기계의 영역에 체류하는 사람에 대한 사고 위험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공지된 로프 가이드에서는 특히 변위/기계 속도가 높을 때 로프가 가이드 장치로부터 나오거나 또는 재료 피로 또는 손상으로 인해 파괴될 위험이 있다.
전술한 사실로부터, 이송 장치(1)가 완전한 재료 웨브, 예컨대 화장지의 전체 폭을 이송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의 사용이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확히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픽업 장치(46)로부터 이송된 드레딩 스트립의 인수를 위해 그리고 그것을 재료 웨브(3)의 진행 방향(화살표 11)으로 볼 때 다음에 배치된 기계 부분으로 계속 전달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수 장치가 제공된다. 인수 장치는 예컨대 로프 가이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벨트(피브론 벨트), 제 2 픽업 장치(46), 롤러 프레스 및/또는 롤링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인수 영역(5)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달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전달 수단은 인수 영역(5) 앞에 배치된 기계 부분에 도달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픽업 장치(46)로 전달한다. 상기 전달 수단 및 인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예컨대 흡입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4에 따른 이송 장치(1) 실시예의 일부, 즉 튜브(47)에 접속되며 웨브 가이드 롤러(57)를 통해 안내되는 픽업 장치(46)를 나타낸다. 픽업 장치(46)에는 다수의, 여기서는 총 2개의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35)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로프(39) 및 (39')로 형성되며 픽업 장치(46) 및 튜브(47)의 가이드 및 이송을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픽업 장치(46)는 픽업 헤드(59)를 포함한다. 픽업 헤드(59)는 픽업 개구(61)를 포함하며, 재료 웨브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절단된 드레딩 스트립(62)이 상기 개구내로 안내된다. 픽업 헤드(59)는 튜브(47)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것에 결합된다. 튜브(47)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며 가이드 부재(35)에 고정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35)는 웨브 가이드 롤러(57)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측면상에서 웨브 경로 밖에 놓인 웨브 가이드 롤러(57)의 가장자리 섹션(63)상에 안내된다. 웨브 경로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제 1 가상 평면(E1)의 좌측에 배치되고 이것에 직접 인접한다. 픽업 장치(46)의 픽업 헤드(59)는 S형이며, 드레딩 스트립(62)이 안내되는 웨브 경로내로 돌출한다. 튜브(47)는 적어도 하나의 도시되지 않은 저압 소오스에 접속된다. 상기 저압 소오스에 의해 저압이 픽업 헤드(59)의 픽업 개구(61)에 공급될 수 있다. 튜브(47)의 흡입시, 주변 공기가 픽업 개구(61)내로 흡입된다. 이로 인해 형성된 흐름은 드레딩 스트립이 픽업 개구(61)내로 드레딩되는 것을 적어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흐름은 드레딩 스트립을 잡아 당기기 위해, 즉 웨브 종방향 인장력을 세팅하기 위해 그리고 튜브(47)를 통한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에서는 드레딩 스트립(62)이 픽업 헤드(59)의 픽업 개구(61)내로 안내되고, 즉 드레딩 스트립(62)이 흡입되고, 튜브(47)를 통해 예컨대 후속 처리 장치에 공급된다. 이중 화살표(53)의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35)의 변위에 의해, 픽업 헤드(59)에 의해 안내된 드레딩 스트립(62)이 웨브 경로를 따라, 이 실시예에서는 웨브 경로와 평행하게 안내된다. 드레딩 스트립(62)이 픽업 헤드(59) 및 튜브(47)를 통해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여기서는 흡입됨으로써, 픽업 장치(46)가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이송 공정 동안 바람직하게는 재료 웨브의 작동 속도 보다 현저히 낮은 속도로 변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높은 기계 속도에서도 드레딩 스트립(62)의 확실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저압 소오스에 의해 형성된, 튜브(47) 내부의 가스 흐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딩 스트립(62)을 종방향으로 잡아 당기는데 사용된다. 픽업 헤드(59)의 픽업 개구(61)에 작용하는 저압은 바람직하게는 드레딩 스트립을 잡아당기는 것을 제어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인수 영역(5)에서 픽업 개구(61)내로 안내되는 드레딩 스트립(62)의 인수를 지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압 소오스, 예컨대 팬을 포함하는 픽업 헤드가 제공된다. 저압 소오스는 바람직하게는 픽업 헤드내에 통합됨으로써, 이송 장치, 특히 픽업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픽업 헤드에 또는 그것의 영역에 저압 소오스를 배치함으로써, 기계로부터 안내되는 드레딩 스트립 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튜브(47)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흡입 헤드는 드레딩 스트립(62)을 예컨대 기계로부터 측면으로부터 빼내고, 거기서 드레딩 스트립은 예컨대 기계의 바닥으로 던져진다. 픽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분쇄 장치로서 형성된 팬이 제공된다. 팬은 예컨대 특별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가진 환풍기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드레딩 스트립이 픽업 헤드(59)의 픽업 개구(61)내로 삽입된 직후 작은 부분으로 분리, 파괴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재료 웨브 조각은 튜브(47)를 통해 기계로부터 안내된다. 그러나, 픽업 헤드(59)가 튜브에 접속되지 않음으로써, 재료 웨브 조각이 분쇄 후 기계의 측면으로부터 블로잉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집 용기가 픽업 헤드(59)에 배치된다. 수집 용기는 예컨대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픽업 헤드와 함께 웨브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이로 인해, 팬의 디자인에 따라 드레딩 스트립이 한 조각으로 또는 다수의 작은 조각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연소 장치가 픽업 헤드(59)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이것 다음에 배치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브 경로로부터 측면으로 빠져나온 드레딩 스트립이 직접 연소될 수 있다. 재는 예컨대 기계의 측면으로부터 직접 배출되거나 수집될 수 있다. 물론, 재가 픽업 장치(46)에 접속된 채널, 튜브 등을 통해 기계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드레딩 스트립을 분쇄하기 위한 공지된 절단기가 픽업 헤드내에 배치된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로 설명된 픽업 개구(61)의 흡입 대신에 또는 부가해서, 픽업 헤드가 드레딩 스트립을 잡는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레딩 스트립의 가이드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인장 프레스, 진공 벨트, 코안다 블레이드, 흡입 드럼 또는 선회 장치로서 형성된 전달 장치에 의해, 드레딩 스트립이 잡혀지고 픽업 헤드내로 당겨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이송 공정 동안 종방향으로 드레딩 스트립의 인장력이 정해진다.
도 6은 이송 장치(1)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4의 부분과 일치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므로, 도 1 내지 4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이송 장치(1)는 가이드 부재(35), 예컨대 로르,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하며, 그것들의 단부는 서로 접속되지 않는다. 가이드 부재(35)의 한 단부는 인수 영역(5)의 하부에, 예컨대 기계의 지하에 배치된 와인딩 스테이션(65)내에 배치된다. 구동 가능한 롤러가 부분적으로 상기 와인딩 스테이션(65)상에 감겨진다. 가이드 부재(35)는 인수 영역(5)으로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예컨대 롤러 가이드 저널상에 놓인 느슨한 로프 시이브를 통해 전달 영역(7)으로 그리고 저장 스테이션(45)까지 안내된다. 저장 스테이션(45)에서 가이드 부재(35)의 다른 자유 단부가 마찬가지로 구동 가능한 롤러(66')상에 감겨진다. 인수 영역(5)과 전달 영역(7) 사이에 놓인 기계의 부분에서 재료 웨브(3)가 가공, 예컨대 업그레이딩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가공 스테이션(9)이 배치될 수 있다.
픽업 장치(46)가 가이드 부재(35)에 고정된다. 픽업 장치(46)는 심볼로 도시된 구동 장치(68)에 의해 구동 가능한 롤러(66), (66')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도 6에 도시된, 전달 영역(7) 하부의 휴지 또는 파아킹(parking) 위치로 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웨브 가이드 롤러(67)의 느슨한 로프 시이브를 거쳐 인수 영역(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롤러(66), (66')의 외주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픽업 장치(46)가 인수 영역(5)에서 재료 웨브(3) 또는 그것으로부터 절단된 드레딩 스트립을 인수한 후에, 롤러(66), (66')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35)가 픽업 장치(46)와 함께 웨브 경로를 따라 전달 영역(7)의 방향으로 안내되고 후속 건조 그룹(15)의 (파선으로 도시된) 제 1 건조 실린더(33)로 전달된다. 도 6에 도시된 이송 장치(1)에서는 이송 장치(1)가 비교적 간단하고 작은 장소를 필요로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픽업 장치(46)는 저압이 공급될 수 있는 채널, 튜브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채널, 튜브 등을 통해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가 배출된다. 튜브는 가이드 부재(35)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웨브 경로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또한, 픽업 장치(46)에 의해 안내되는 드레딩 스트립은 기계로부터, 예컨대 측면으로 빠져나오고 후속 처리, 예컨대 분쇄, 연소, 용해되거나 또는 용기, 바스킷, 스크린, 망 등에 수집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5)가 폐쇄된 루프로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가이드 부재(35)의 교체가 간단히 수행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픽업 장치가 2개의 가이드 부재, 바람직하게는 로프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드레딩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한 튜브가 상기 로프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로프는 롤러(66, 66')에 공통으로 감겨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롤러(66, 66')는 정지 상태로부터 소정 속도로 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가요성 가이드 부재, 여기서는 로프의 장력을 세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장력 장치(도 18)가 제공된다. 상기 장력 장치에 의해 가이드 부재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66, 66')가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도 7은 도 1 내지 4에 따른 이송 장치(1)에 사용될 수 있는 저장 스테이션(45)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저장 스테이션(45)은 재료 웨브를 제조/가공하기 위한 기계의 내부에, 예컨대 기계의 지하에 고정 배치되며, 튜브가 감겨질 수 있는, 구동 가능한 드럼(70)을 포함한다. 튜브(47)를 소정 방식으로 드럼(70)상에 감기 위해, 드럼(70)의 외주에 분포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된 롤러(72)가 제공된다. 롤러(72)는 드럼(70)의 길이를 가지며, 튜브(47)가 감겨지는 드럼 영역에 인접한다. 드럼상에 감겨질 또는 감겨진 튜브(47) 부분은 고정적으로 배치된 2개의 프로필 롤러(74) 및 (74') 사이로 통과한다. 프로필 롤러(74), (74')의 기능에 대한 것은 도 8 내지 10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튜브(47)를 드럼(70)상에 감기 위해, 드럼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드럼(70)으로부터 튜브(47)를 풀기 위해, 튜브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튜브(47)가 프로필 롤러(74), (74') 사이의 갭을 통해 안내된다. 도 7에는 구동 롤러(76)가 파선으로 도시된다. 구동 롤러(76)는 드럼(70)의 외주에 대해 가압되며, 구동 롤러(76)에 의해 토크가 드럼(7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저장 스테이션(45)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드럼(70)이 외주에 프로필(78)을 갖는다. 프로필(78)은 튜브(47)의 윤곽에 매칭된다. 프로필(78)에 의해 그리고 드럼(70)이 그 종축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튜브(47)를 감을 때 튜브(47)가 소정 방식으로, 즉 튜브 루프의 중첩 없이 드럼상에 감겨지는 것이 보장된다. 튜브(47)가 프로필 롤러(74, 74') 사이의 갭내로 안내된 위치가 전체 감는 공정 동안 변동 없이 유지된다. 구동 롤러(76)의 외주가 드럼(70)의 외부 프로필에 매칭되고 상기 프로필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롤러(76)가 동시에 드럼(70)의 축방향 이동을 일으킨다. 튜브(47)를 통해 안내된 드레딩 스트립은 드럼(70)상에 감겨진 튜브(47) 및 그것의 자유 단부를 통해 화살표(81)의 방향으로 후속 처리 장치, 예컨대 재활용 장치, 또는 드레딩 스트립이 모여지는 수집 용기내에 이른다. 롤러(72)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9는 튜브(47)용 가이드(37) 실시예의 일부, 즉 튜브(47)가 순수하게 예컨대 180° 방향 전환되는 방향 전환 영역(82)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37)는 다수의 상이한 가이드 부재 또는 가이드 수단, 즉 가이드 수단(84) 및 다수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프로필 롤러(74) 및 (74')를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로필 롤러(74) 및 (74')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롤러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안내된 튜브(47)가 90°방향 전환된다. 이 경우, 튜브(47)가 꺽여지지 않음으로써, 튜브(47)를 통해 안내되는 드레딩 스트립의 막힘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롤러(74) 및 (74')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튜브(47)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것에 압착된다. 이로 인해, 튜브(47)가 이중 화살표(88)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프로필 롤러(74), (74')에 대한 것은 도 10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가이드 수단(84)은 도 11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0은 도 7 내지 9에 따른 가이드 수단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프로필 롤러(74), (74')는 홀딩장치(9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프로필 롤러(74), (74') 사이의 공간을 통해 튜브(47)가 안내된다. 튜브(47)의 외부 윤곽에 매칭된 프로필 롤러에 의해, 튜브(47)가 제한적으로 안내된다. 튜브(47)의 변위는 도 10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만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롤러가 구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수단(84)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가이드 수단은 개구(94)를 관통하는 가이드 부품(92)을 포함한다. 원형 개구(94)는 가이드 부품(92)의 상부면(96)이 부분적으로 관통되며 홈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홈의 폭은 튜브(47)의 직경 보다 작다. 이로 인해, 튜브(47)가 개구(94)내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고 드레딩 스트립이 방해 없이 튜브 배출구에 이를 수 있다.
도 9 내지 11의 실시예에서는 튜브(47)가 가이드 수단(84), 가이드 롤러(86), (86') 및 프로필 롤러(74), (74')에 의해 확실히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픽업 장치(46)에 배치된 가이드(37)가 웨브 경로를 따라 그리고 그것을 너머 배치된 가이드 수단(84) 및/또는 가이드 롤러(86), (86')로만 이루어진 이송 장치(1)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부가의 가이드 부재(35), 예컨대 로프, 파이프, 랙, 체인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7 내지 11에 따른 장치는 픽업 개구(61)가 튜브(47)의 단부에서 가이드 부재(35)의 사용 없이 부재(70)/(76)/(74)의 구동 장치 또는 (86)에 의해 전달 영역(7)으로부터 인수 영역(5)으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게 한다.
도 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재(A) 내지 (K)로 이루어진 기본 바디를 가진 픽업 헤드(59a)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부재(A) 내지 (K)는 픽업 헤드(59a)의 가장자리 영역(98) 및 (100)에 배치된 2개의 링크(102)에 의해 관절형으로 연결된다. 부재(A) 내지 (K) 사이의 간격에 의해, 2개의 부재 사이에 갭(S)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링크(102)의 배치에 의해, 셔터 블라인드 원리에 따라 형성된 픽업 헤드(59a)가 드레딩 스트립의 진행 방향(화살표 11)에 대해 횡으로는 강성을 갖는 반면, 진행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갖는다.
드레딩 스트립의 웨브 경로의 반대편에 놓인 픽업 헤드(59a)의 측면상에서, 즉 가장자리 영역(100)에서 부재(A) 내지 (K)에 각각 하나의 아이(104)가 제공된다. 외부 로프(39')가 상기 아이(104)를 통해 드레딩된다. 외부 로프(39') 보다 작은, 기계 중심에 대한 간격을 가진 내부 로프(39)가 픽업 헤드(59a)의 영역에서 중단된다. 로프(39)의 한 자유 단부는 부재(B)에 제공된 로프 고정 수단(106)에 의해 그리고 다른 단부는 부재(H)에 제공된 로프 고정 수단(106')에 의해 고정된다. 로프 고정 수단(106), (106')은 로프(39), (39')의 축이 픽업 헤드의 영역에서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2개의 로프 고정 수단 및 픽업 헤드는 로프(39)의 인장력을 수용한다. 즉, 로프의 사이 부품을 형성한다.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된 로프(39), (3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 경로의 외부로 안내된다.
웨브의 진행 방향(화살표 11)으로 볼 때 부재(J) 및 (K) 보다 더 큰 폭을 가진 부재(A) 내지 (I)는 바람직하게는 웨브 경로내에 까지, 즉 드레딩 스트립의 진행 평면내로 돌출한다. 픽업 헤드(59a)는 가장자리 영역(98)에 픽업 개구(61)를 갖는다. 가장자리 영역(10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공기 채널(108)이 픽업 개구(61)에 이어지고, 상기 공기 채널(108)은 픽업 헤드(59a)의 모든 부재를 관통한다.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흡입 튜브가 부재(K)에 제공됨으로써, 공기 채널(108)이 바람직하게는 저압이 공급될 수 있는 흡입 튜브내로 뻗는다. 흡입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웨브 경로 외부로 안내된다. 픽업 개구(61)내로 안내된 또는 이것내로 흡입된 드레딩 스트립은 공기 채널(108)을 통해 튜브내로 배출된다. 가요성 픽업 헤드(59a)의 부재 (A) 내지 (K) 사이의 갭(S)에 의해, 즉 그것들이 만나는 장소에서 저압이 픽업 개구(61)에 공급되면, 2차 공기가 공기 채널(108)내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공기 채널(108)의 내부면에 드레딩 스트립이 달라 붙는 것이 방지된다.
관절형으로 서로 연결된 부재로 인해 도 12에 도시된 픽업 헤드(59a)가 웨브의 진행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다. 즉, 픽업 헤드가 예컨대 롤러 또는 로프 롤러를 통한 로프의 웨브 가이드에 매칭될 수 있다. 픽업 헤드가 진행 방향에 대해 횡으로 적어도 그것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로프(39), (39')와 동일한 진로를 가질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로프에 대해 픽업 헤드의 무게 중심을 편심 배치함으로 인한 픽업 헤드의 아래로 쳐짐을 특히 2개의 지지 영역(로프 시이브) 사이의 영역에서 막기 위해, 특히 내부 로프(39)의 종방향 인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다른 가능성은 특히 내부 로프(39)가 하나 또는 다수의 로프 롤러에 의해 지지되거나 또는 상승되고 및/또는 외부 로프(39')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롤러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는 것이다.
공기 채널(108) 옆에 놓인 부재(A) 내지 (I)의 영역에는 홀(110)이 형성된다. 홀은 픽업 헤드(59a)의 중량 감소를 위해서만 사용된다. 또한, 공기 채널의 내벽에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흐름 방향(화살표 112)으로 향한 바아브(barb)가 제공된다. 바아브는 공기 채널을 통해 화살표(112)의 방향으로 드레딩 스트립의 방해 없는 안내를 가능하게 하지만, 이것이 흐름 방향(화살표 112)과 반대로 픽업 헤드(59a)으로부터 빠지면, 드레딩 스트립을 파괴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장치가 제조 설비를 통해 드레딩 스트립을 이송하기 위해 드레딩 스트립을 픽업 헤드로부터 인수할 때 이루어진다. 바아브에 의해, 공기 채널 및 경우에 따라 튜브내로 삽입된 드레딩 스트립의 부분이 다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저압이 튜브 및 공기 채널(108)을 통해 픽업 개구(61)에 공급되는, 도 12에 도시된 픽업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픽업 장치가 부가로 압축 공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공기 장치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기 채널 및/또는 튜브내로 유입될 수있다. 이로 인해, 단독으로 또는 저압 소오스와 함께 튜브의 다른 단부에서, 드레딩 스트립을 픽업 개구내로 흡입하기 위해 필요한 흐름을 발생시키는 인젝터 작용이 픽업 헤드에서 발생한다. 압축 공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인수 영역과 전달 영역 사이의 구간 및 그에 따라 흡입 튜브의 길이가 클 때 사용된다. 압축 공기 장치는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기계의 영역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것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예컨대 픽업 헤드에 제공되거나 또는 이것내에 통합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픽업 헤드(59a)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픽업 헤드(59a)는 대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관절형으로 서로 연결된 부재(A) 내지 (I)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부재(J), (K)는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을 갖는다. 부재(J), (K) 사이의 전이는 무단으로 이루어진다. 부재(K)에는 가요성 튜브(47)가 제공되고, 상기 튜브(47)내로 스프링 강선 나사선(114)이 삽입된다. 특히 꺽여지지 않는, 가요성 및 탄성 튜브(47)의 개구(116)는 둥근 횡단면을 갖는다. 개구(116)의 내부면은 매끄럽다. 픽업 헤드(59a)를 관통하는 공기 채널(108)은 부재(A) 내지 (I)의 영역에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부재(J) 및 (K)에서는 튜브(47)의 방향으로 확대되는 횡단면을 갖는다. 웨브 경로내로 삽입되는 영역(부재 A 내지 I)내에서 픽업 헤드(59a)의 비교적 작은 두께에 의해 픽업 헤드가 2개의 장치, 예컨대 2개의 롤러 사이의 좁은 갭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공기 채널이 픽업 개구(61)로부터 튜브(47)의 방향으로 확대되는 횡단면을 갖기 때문에, 픽업 개구(61)에 저압을 공급할 때 생기는 흐름이 높은 속도를 가지므로 드레딩 스트립의 매우 확실한 인수 및 가이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픽업 헤드(59a)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픽업 헤드(59)는 도시되지 않은 로프 롤러를 통해 안내된다. 픽업 헤드(59a)는 서로 관절형으로 연결된 부재(A) 내지 (K)의 영역에서 휘어진다. 부재(A) 내지 (K)는 로프 롤러의 주위에 놓인다. 부재(A) 내지 (K)의 곡률 반경은 로프 롤러의 반경에 상응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재 사이의 갭이 휨의 내부면상에는 폐쇄되고 외부면상에서는 확대되므로, 픽업 헤드(59a)의 상기 위치에서, 주변 공기가 상부로부터 갭내로 공급되고 공기 채널(108)내로 유입된다.
도 15는 도 12 내지 14에 따른 픽업 헤드(59b)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픽업 헤드(59b)에 접속된 튜브(47)는 웨브 경로 외부로 그리고 픽업 개구(61)를 포함하는 픽업 헤드(59b)의 부분은 웨브 경로내로 돌출한다. 즉, 예컨대 롤러, 건조기 등과 같은 기계의 2개의 장치(120), (120') 사이의 공간(118)내로 돌출한다. 픽업 개구(61)의 직사각형 횡단면은 튜브(47)의 원형 횡단면 보다 현저히 작다. 이 실시예에서 픽업 헤드(59b) 및 튜브(47)는 2개의 가이드 부재, 여기서는 로프(39) 및 (39') 사이에 배치된다. 로프(39), (39')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여기서는 튜브 및 로프가 웨브 경로 외부에서 기계의 시이트(119) 바로 옆으로 안내된다. 로프 및 그 사이에 고정된 튜브는 2개의 무한 로프(2중 로프)로서 웨브를 제조 및/또는 가공하기 위한 기계의 상부에서 또는 기계의 지하를 통해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그리고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픽업 헤드(59b), 튜브(47) 및 로프(39), (39)는 로프, 튜브 및 픽업 헤드의 종방향 중심 축선이 놓이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가상 평면(E2)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16는 픽업 헤드(59c)의 영역에서 픽업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튜브 고정 수단(126)의 2개의 동일한 클램프(122) 및 (124) 사이에 고정된 튜브(47)가 픽업 헤드에 접속된다. 클램프(122), (124)는 고정 수단, 여기서는 스크루(125)에 의해 풀릴 수 있게 서로 결합된다. 픽업 헤드(59c)의 픽업 개구(61) 및 튜브(47)의 개구(116)는 여기서 웨브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디자인에 의해, 튜브 및 픽업 헤드(59c)가 적어도 대부분이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경로내로 안내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47) 및 픽업 헤드(59c)는 2개의 로프(39), (39')에 의해 고정된다. 로프(39), (39')는 기계 중심의 반대편에 놓인 픽업 헤드(59c)의 측면상에서 튜브 고정 수단(126)의 클램프(122), (124) 사이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로프(39), (39')가 웨브 경로의 외부로 안내된다.
픽업 장치가 로프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로프가 적어도 가공될 재료 웨브의 진로와 평행하게 안내된다. 로프를 안내하는 로프 시이브 및 롤러의 경사 위치에 의해, 로프가 평행한 위치로부터 빠져나온다. 로프 및 경우에 따라 그것에 제공된 튜브는 서로 평행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로프 가이드는 예컨대 흡입 튜브 및/또는 픽업 장치가 그것의 치수로 인해 제조 설비의 장치를 통해, 예컨대 2개의 롤러 사이의 갭을 통해 안내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 장치를 통해 이동한 후에, 로프는 다시 웨브 경로와 평행안 가이드 경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7은 공지된 파이프 클램프로부터 변형된 튜브 고정 수단(126')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튜브 고정 수단(126'), 특히 고정 수단(136)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것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튜브 고정 수단은 2개의 얇은 벽의 셸 절반(128) 및 (130)을 포함한다. 셸 절반(128) 및 (130)은 그것의 단부에 바아브형 클램핑 부재를 포함한다. 셸 절반(128)의 바아브형 클램핑 부재(132)는 셸 절반(130)의 클램핑 부재(132')와 함께, 여기서는 로프(39) 또는 (39')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용 텅형 클램핑 수단(134)을 형성한다. 도 17에 도시되지 않은 튜브는 상기 디자인에 의해 로프(39), (39')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셸 절반(130)은 수동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 수단(136)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눠진다. 셸 절반(128), (130)을 서로 고정할 때, 로프(39), (39')는 고정 수단(134)내에 고정되고 튜브는 그것에 외부 윤곽에 인접하는 셸 절반 사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튜브 고정 수단(126')의 폭은 튜브의 직경에 비해 비교적 작다.
전술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 튜브(47)를 적어도 하나의 로프, 바람직하게는 로프(39), (39')에 고정시키는 것은 튜브의 일정 길이에 걸쳐 규칙적인 간격으로 튜브 고정 수단(126')에 의해 또는 튜브 고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 고정 수단은 예컨대, 그것이 튜브 및 로프에 고정되도록 또는 튜브를 느슨하게 안내하지만 로프에 고정되도록, 또는 튜브에 고정되고 로프에 느슨하게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고정 수단이 튜브 및 로프에 느슨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튜브 고정 수단(파이프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스페이서가 로프상에 놓인다. 스페이서는 예컨대 진주를 꿴 끈의 형태인 링, 튜브 및/또는 나사선 스프링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로프에 고정된 튜브 고정 수단에서 로프의 외경을 확대시킴으로써 로프 및 튜브 고정 수단이 로프 롤러를 통해 조용히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 및 튜브 고정 수단의 외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며, 상기 부품들 사이의 전이는 매끄럽다. 즉, 에지가 없다.
도 18은 여기서는 예컨대 로프(39)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5)용 장력 장치(138)를 나타낸다. 로프(39)에는 도시되지 않은 튜브(47)가 제공된다. 튜브(47)의 한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픽업 장치의 픽업 개구에 연결되고, 튜브(47)의 다른 단부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저압 소오스, 예컨대 팬에 접속된다. 장력 장치(138)는 여기서는 T형의 프레임(140), 및 로프(39)의 종방향 인장력을 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14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2개의 방향 전환 롤러(142) 및 (144)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방향 전환 롤러(147)는 고정 베어링(14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로프(39) 및 그것에 고정된 튜브는 고정점(150)에 고정되고, 이것으로부터 방향 전환 롤러(142), 고정 방향 전환 롤러(147) 및 방향 전환 롤러(144)를 통해 안내된다. 예컨대 이송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로프(39) 및 튜브가 이중 화살표(152)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프레임(140)이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된다. 프레임(140)에 제공된 추(146)의 무게 중심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로프(39) 및 그것에 제공된 튜브의 인장력이 세팅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장력 장치(138)는 예컨대 도 1 내지 4, 6 및 7을 참고로 설명된 저장 스테이션(45)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향 전환 롤러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장력 장치(138)의 로프 루프의 수는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장력 장치(138)은 다수의 가이드 부재, 특히 공통으로 방향 전환 롤러를 통해 안내되는 로프의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저장 스테이션(45')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므로, 그것에 관한 것은 전술한 도면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파선으로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로프(39)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35)는 저장 스테이션(45')의 영역에서 로프 롤러(154), (156) 및 (158)를 통해 안내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프에 튜브(47)가 제공될 수 있고, 튜브(47)는 튜브 저장소 (160)에서 고정점(150)에 고정된다. 튜브(47)와 로프(39) 사이의 접속점은 점(162)으로 도시된다. 화살표(164)의 방향으로 로프(39)의 변위시, 튜브(47)는 그것에 제공된,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픽업 장치에 의해 기계로부터 빠져나와 튜브 저장소(160)에 저장된다. 반대 방향으로 로프(39)의 변위시, 즉 기계내로 튜브가 삽입될 때, 튜브는 튜브 저장소(160)로부터 빼내진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프는 순수하게 예로서 로프 롤러(154)로부터 튜브 저장소(160)에 대해 평행하게 계속 안내되는 한편, 튜브는 저장된다.
본 방법은 도 1 내지 19에 대한 설명에 나타난다.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 자체의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 영역(7)으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는 이송 공정 동안 예컨대, 기계의 한 부분으로부터 후속 부분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후속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부분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되는 흐름에 의해 종방향으로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가 로프, 벨트 등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개방된 또는 폐쇄된 가이드 시스템이 고정된 튜브와 함께 계속 느린 좌우 운동에 의해, 즉 가이드 부재의 진동에 의해 재료 웨브의 진행 방향 및 반진행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로 인해, 가이드 부재에 작용하는 영향, 예컨대 가열/건조 장치의 열복사 또는 코팅 장치로부터 분무되는 물질이 가이드 부재의 큰 구간에 걸쳐 분포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가 로프 롤러를 통해 움직일 때 로프상의 침전물이 저절로 떨어짐으로써, 가이드 부재가 정화된다.
픽업 헤드 및 이것에 접속에 접속된 튜브가 픽업 개구내로 삽입된 드레딩 스트립에 대해, 드레딩 스트립의 진행 방향이 적어도 거의 유지되도록 배치된, 이송 장치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드레딩 스트립이 약간만 방향 전환되기 때문에, 스트립에 작용하는 힘이 비교적 작으므로 스트립의 파괴가 배제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픽업 헤드 및/또는 튜브가 드레딩 스트립이 픽업 헤드 및/또는 튜브에서 재료 웨브의 진행 방향과 반대로 또는 거의 반대로 기계로부터 배출되도록 방향 전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드레딩 스트립의 방향 전환을 일으키기는 하지만, 픽업 헤드를 그것의 파아킹 위치(도 1)로부터 인수 영역으로 신속히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송 장치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가 랙, 레일, 파이프 등으로 형성된다. 픽업 장치는 이러한 고정 배치된 가이드 부재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파이프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에서는 픽업 장치가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가 롤러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픽업 장치는 웨브 경로를 따라 배치된 롤러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송 장치(1)의 개별 부품은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2개의 측면 각각에서 또는 제조 및/또는 가공 기계의 진행 방향으로 즉, 기계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부품의 저장에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이송 장치의 작동에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대개 웨브 경로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부품/장치가 롤러 등의 주위로 안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송 장치의 부품/장치가 바람직하게는 대칭으로 또는 거의 대칭으로 구현된다. 이것은 특히 픽업 또는 흡입 헤드, 흡입 튜브 및 튜브 고정 수단(튜브/파이프 클램프)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재료 웨브로부터 절단된 드레딩 스트립 및 재료 웨브의 전체 폭을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재료 웨브가 연속적으로 안내되는 기계에(온-라인), 예컨대 제조 기계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웨브가 연속적으로 안내되지 않는 기계에(오프-라인), 예컨대 롤로 감겨진 재료 웨브를 풀기 위해 사용되는 풀기 스테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순수하게 예로서 2개의 건조 그룹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전술한 이송 장치가 예컨대 풀기 스테이션으로부터 감기 스테이션으로 또는 건조 부분으로부터 웨브 경로를 따라 가공 스테이션을 통해 후속 가공 스테이션으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비교적 낮은 강도를 가진 재료 웨브 또는 드레딩 스트립이 확실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또한 매우 좁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 뿐만 아니라 매우 넓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이송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기존 기계가 비교적 간단히 개장될 수 있다. 끝으로, 이송 장치는 이송 공정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므로, 이송 공정에서 예컨대 불량품 제거를 위한 수동 동작이 필요없다.
다수의 차례로 접속된 픽업 장치가 제공된,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구조적 디자인 및 기능과는 무관하게- 모두 하나의 공통 흡입 시스템에 접속된다. 또한, 모든 픽업 장치가 동일한 후속 처리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 픽업 장치의 차례로 발생하는 동작이 상응하게 접속 및 차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체 이송 장치의 제어는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예컨대 기계에서 웨브의 파괴 후에 픽업 헤드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 신호에 의해 인수 위치로 이동되고 거기서부터 단독으로 규정된 최적의 위치를 취한다. 예컨대 조작자에 의해 또는 제어 유닛의 일부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 2 신호에 의해, 예컨대 흡입이 활성화됨으로써, 픽업 헤드의 픽업 개구내로 드레딩 스트립의 유입이 트리거된다. 또한, 드레딩 스트립의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송 속도는 수동으로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Claims (45)

  1. 재료 웨브의 제조 및/또는 가공을 위한 기계 내부에서 웨브의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작동 속도 보다 낮은, 특히 현저히 낮은 속도로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영역(7)으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픽업 장치(4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6)가 웨브 경로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2개의 이송 공정 사이에서 픽업 장치(46)의 변위 속도 및변위 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공정 동안 변위 속도가 가변, 바람직하게는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6)가 웨브 경로의 영역 내에서 또는 웨브 경로의 영역 외부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6)상에 배치된 가이드(37)가 제공되고, 가이드(37)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5),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기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5)가 로프(39:39'), 벨트, 체인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가 금속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및 내열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케블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가 롤러(프로필 롤러(74, 7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4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37)의 경로가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의 웨브 경로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가 무한 루프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6)가 적어도 하나의 픽업 개구(6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헤드(59;59a;59b;59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개구(61)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47)에 접속되고, 상기 튜브를 통해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웨브 경로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기체 또는 액체 흐름이 튜브(47)에 적어도 섹션별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와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압 소오스가 제공되며, 상기 저압 소오스에 의해 저압이 픽업 개구(61)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가 적어도 하나의 저압 소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압 소오스로서 팬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팬이 분쇄 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압 소오스가 인젝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 및/또는 튜브(47)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 및/또는 튜브(47)가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부재(35), 특히 로프(39, 39') 사이에 또는 옆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개구(61)의 횡단면이 튜브(47)의 횡단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개구(61)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튜브가 원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a)가 관절형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부재(A 내지 K)를 포함하며, 부재(A 내지 K)는 픽업 헤드(59a)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진행 방향에 대해 횡으로는 강성을 가지며, 진행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픽업 개구(61)를 가진 픽업 헤드(59;59a;59b;59c)의 부분이 웨브 경로내로 돌출하고, 튜브(47)가 웨브 경로의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 다음에 후속 처리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후속 처리 장치가 분쇄 장치, 연소 장치, 용해 장치, 수집 장치, 폐기 및/또는 재활용 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8항 또는 29항에 있어서, 후속 처리 장치가 픽업 헤드(59;59a;59b;59c)에 또는 픽업 헤드(59;59a;59b;59c)내에, 튜브(47)의 내부에 및/또는 픽업 헤드(59;59a;59b;59c)를 향한 튜브(47)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 또는 픽업 헤드(59;59a;59b;59c)의 영역에 배치되어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잡는 전달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6)가 이송 공정 후에 웨브 경로의 방향으로 또는 반대로 인수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픽업 장치가 제공되고, 픽업 장치는 이송 공정 동안 이미 인수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픽업 장치가 제공되고,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앞쪽에 배치된 픽업 장치로부터 후속 배치된 픽업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 사이에 이송 보조 수단이 제공되고, 이송 보조 수단은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제 1 픽업 장치로부터 인수하여 그것을 제 2 픽업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수 장치가 전달 영역(7)에 제공되며, 인수 장치는 픽업 장치(46)으로부터 이송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인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 수단이 인수 영역(5)에 제공되며, 전달 수단은 인수 영역(5) 앞에 배치된 기계 부분으로부터 도달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를 픽업 장치(46)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에 접속된 튜브(47), 채널 등의 압력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 특히 로프(39, 39'), 튜브(47) 및 픽업 헤드(59;59a;59b;59c)의 종방향 중심이 제 2 가상 평면(E2)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업 헤드(59;59a;59b;59c) 및 튜브(47)는 그것의 종방향이 적어도 거의 유지되도록, 픽업 개구내로 삽입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1항 내지 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픽업 헤드 및/또는 튜브내에서, 재료 웨브의 종방향과 반대로 또는 거의 반대로 기계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방향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재료 웨브의 제조 및/또는 가공을 위한 기계 내부에서 웨브의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하기 위한, 특히 제 1항 내지 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이용해서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기계를 통해 안내되는 작동 속도 보다 낮은, 특히 현저히 낮은 속도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웨브 경로를 따라 인수 영역(5)으로부터 전달영역(7)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인수 영역으로부터 전달 영역으로 이송되는 이송 속도가 가변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2항 또는 43항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름에 의해 웨브 경로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2항 내지 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레딩 스트립/재료 웨브가 이송 공정 동안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9997011601A 1997-06-09 1998-06-09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10013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4123A DE19724123A1 (de) 1997-06-09 1997-06-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Einfädelstreifens oder einer Materialbahn
DE19724123.9 1997-06-09
PCT/EP1998/003446 WO1998056701A1 (de) 1997-06-09 1998-06-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einfädelstreifens oder einer materialbah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592A true KR20010013592A (ko) 2001-02-26

Family

ID=783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601A KR20010013592A (ko) 1997-06-09 1998-06-09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25513B1 (ko)
EP (1) EP0989949B1 (ko)
JP (1) JP2002503194A (ko)
KR (1) KR20010013592A (ko)
AT (1) ATE210591T1 (ko)
CA (1) CA2297184A1 (ko)
DE (2) DE19724123A1 (ko)
WO (1) WO1998056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1673A1 (de) * 1998-11-10 2000-05-11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Überführungsvorrichtung
DE19856745A1 (de) * 1998-12-09 2000-06-15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Überführungsvorrichtung
DE19908339A1 (de) * 1999-02-26 2000-08-31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Maschine zur Herstellung und/oder Bearbeitung einer Materialbahn
DE19922893A1 (de) * 1999-05-19 2000-11-23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von Faserstoffbahnen
FI105575B (fi) 1999-06-03 2000-09-15 Valmet Corp Menetelmä paperirainan viemiseksi ja paperirainan vientilaitteisto
DE19941426A1 (de) * 1999-08-30 2001-03-01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Materialbahnstreifens
DE19946379A1 (de) * 1999-09-28 2001-03-29 Voith Paper Patent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und/oder Bearbeitung einer Materialbahn
DE10121945B4 (de) * 2001-05-05 2007-04-05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r Materialbahn
EP1592934A1 (en) 2003-02-14 2005-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b positioning device
US20040256434A1 (en) * 2003-06-23 2004-12-23 Allan Broom Tail rail
US7225739B2 (en) * 2004-01-21 2007-06-0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rying system for use in a printing system
DE102004006232B3 (de) 2004-02-09 2005-07-21 Koenig & Bau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r Materialbahn
WO2008027198A2 (en) * 2006-08-25 2008-03-06 Graf Edwin X Process and machine for making air dried tissue
DE102007014196A1 (de) 2007-03-24 2008-09-25 Voith Patent Gmbh Seil
DE102010064022A1 (de) * 2010-12-23 2012-06-28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von Materialbahnen
DE102015001008A1 (de) 2015-01-28 2016-07-28 Andritz Küst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nassgelegten Vliesstoffen
DE102015005384A1 (de) 2015-04-28 2016-11-03 Andritz Küst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nassgelegten Vliesstoffen
IT201600117182A1 (it) * 2016-11-21 2018-05-21 Futura Spa Ribobinatrice.
DE202019101925U1 (de) 2018-07-03 2019-04-10 Mapateq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einer Materialbahn
EP3915910B1 (de) 2019-02-07 2022-11-23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Materialbahn-be-/verarbeitungsanordnung
DE102019203744A1 (de) 2019-02-07 2020-08-13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Trennabdeckungs-Entfern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0873A (en) * 1926-05-17 1928-05-22 Lorenzo M Avenson Threader for paper-drying machines
US3508342A (en) * 1968-04-04 1970-04-28 Midland Ross Corp Threading apparatus for web dryers
DE2402768C2 (de) * 1974-01-22 1978-04-20 Maschinenfabrik Augsburg-Nuernberg Ag, 8900 Augsburg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Materialbahnen in Rotationsdruckmaschinen
FI59833C (fi) * 1980-09-03 1981-10-12 Valmet Oy Spetsdragningsanordning foer en pappersbana
DK155689C (da) * 1981-03-31 1989-10-09 Eskofot As Fremfoeringsapparat
FI67901C (fi) 1983-10-03 1987-07-20 Valmet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i torkpartiet i en pappersmaskin vid styrning av banans spets.
CH666860A5 (de) * 1984-12-18 1988-08-31 Wifag Maschf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materialbahnen in rotationsdruckmaschinen.
DE3710039A1 (de) * 1987-03-30 1988-10-20 Jagenberg Ag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r materialbahn in einer maschine zum behandeln der materialbahn, insbesondere in einem roller
FI76390C (fi) 1987-05-20 1988-10-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petsdragning av en bana.
GB8805786D0 (en) * 1988-03-11 1988-04-13 Wiggins Teape Group Ltd Rope system for papermachine
US5030447A (en) 1988-03-31 1991-07-09 E. R. Squibb & Son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good stability
JPH07108741B2 (ja) * 1989-04-04 1995-11-22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輪転機の紙通し装置
CA2025552C (en) * 1989-09-20 1993-12-21 Kunio Suzuki Paper web threading apparatus for rotary printing press
DE3933861A1 (de) * 1989-10-11 1991-04-18 Jagenber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uehren einer materialbahn in eine verarbeitungsmaschine
DE4037661C1 (ko) * 1990-11-27 1991-12-19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JPH0757659B2 (ja) * 1991-04-30 1995-06-21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ウェブ料紙貼着装置
GB2256854B (en) 1991-06-18 1995-04-12 Arthur Ronald Crouch A leader for feeding strip material
DE4202713C2 (de) * 1992-01-31 1993-11-04 Koenig & Bauer Ag Fuehrung zum einziehen einer materialbahn in eine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DE9206844U1 (ko) * 1992-05-20 1992-08-13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DE9208419U1 (ko) * 1992-06-24 1992-08-13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DE4318299A1 (de) * 1993-06-02 1994-12-08 Roland Man Druckmasch Einzie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zug von Materialbahnen in eine Druckmaschine
US5600897A (en) * 1993-08-06 1997-02-11 J.M. Voith Gmbh Mixed dryer section including single-tier and double-tier drying groups with automatic ropeless threading
FI101000B (fi) 1995-10-05 1998-03-31 Valmet Corp Menetelmä ja laite paperiradan päänviennissä
JP2849679B2 (ja) * 1996-09-25 1999-01-20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輪転機の紙通しガイドの分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2452D1 (de) 2002-01-24
ATE210591T1 (de) 2001-12-15
EP0989949B1 (de) 2001-12-12
WO1998056701A1 (de) 1998-12-17
EP0989949A1 (de) 2000-04-05
US6425513B1 (en) 2002-07-30
JP2002503194A (ja) 2002-01-29
DE19724123A1 (de) 1998-12-10
CA2297184A1 (en) 199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592A (ko)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FI57990C (fi) Spetsdragningsanordning foer en pappersbana
DE3150575C2 (ko)
KR20110073260A (ko) 컨베이어와 수직 슈트로 섬유시트를 공급받는 원형 니들링 기계
GB2181094A (en) Sheet stripping machine and method
JP2002356272A (ja) ウェブを移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9022053A1 (en) Trim strip slitting and removal arrangement and method of trim strip slitting and removal
FI64204C (fi) Anordning foer indragning av en varubana i en svaevtork
JP2009013564A5 (ko)
KR19990023584A (ko) 텐터형 클립 클리닝 방법 및 장치
JPH0299685A (ja) 通紙される紙匹の移送方法及び装置
JPS6240260B2 (ko)
US5083715A (en) Apparatus for loosening an end of textile material
CN101405455B (zh) 用于传递引纸窄条的方法和装置
US59269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for reclaiming fibers
FI103425B (fi) Päänvientilaitteisto ja menetelmä rainan pään viemiseksi
JP2007177388A (ja) 不織布の耳ロス再生設備及び再生方法
JP4141096B2 (ja) 積層フィルムの分離装置
KR100549478B1 (ko) 웨브를 절단하고 가공 라인으로 이를 피딩하고 그 라인을 통하여 연속 공급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I108430B (fi) Menetelmõ ja laitteisto rainan põõn viemiseksi paperirainan rullaimessa
JP3354837B2 (ja) 通紙装置
JP2000128407A (ja) 自動送り込み装置
FI61331C (fi) Anordning foer s k spetsdragning vid pappersmaskiner
GB2091223A (en) Successively advancing web reels to unwinding station and splicing
FI80106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i pappersma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