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25B1 - 위사 발출 장치 - Google Patents

위사 발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25B1
KR870001225B1 KR1019840004881A KR840004881A KR870001225B1 KR 870001225 B1 KR870001225 B1 KR 870001225B1 KR 1019840004881 A KR1019840004881 A KR 1019840004881A KR 840004881 A KR840004881 A KR 840004881A KR 870001225 B1 KR870001225 B1 KR 87000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eft
bundle
ring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910A (ko
Inventor
엠. 레이 킨
이. 팔구타 스티븐
Original Assignee
히트코
리차드 바리 웨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트코, 리차드 바리 웨렌 filed Critical 히트코
Priority to KR101984000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225B1/ko
Publication of KR86000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사 발출 장치
제1도는 위사가 교차 직조된 경사 다발 웨브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형태의 웨브로부터 위사를 발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위사 발출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분리 바아, 절단륜 및 다발 인장 요동륜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제2도의 위사발출 장치의 일부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위사 발출 장치의 상부 평면도.
제5도는 웨브로부터 절단된 위사를 발출하는데 사용되는 왕복 고리를 나타낸 제2도의 위사 발출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6도는 1조의 대향 로울러 및 웨브로부터 절단된 위사를 완전히 발출시켜 이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덕트를 함께 도시한 제5도의 고리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고리를 왕복시키는 장치를 나타낸 제2도의 위사 발출 장치의 측면도.
제8도는 제2도에 도시한 위사 발출 장치의 하부면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제9도는 고리를 왕복시키고 제6도의 대향로울러를 회전시키는 장치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제2도의 위사 발출장치의 테이블 상부면 아래의 정면도.
제10도는 테이블 상부면 아래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기 위해 다른 각도에서 본 제2도의 위사 발출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브 12 : 위사
14 : 경사다발 16,18 : 연부
20,22 : 고리 30 : 위사발출 장치
32 : 테이블 상부면 38 : 캐처
40 : 로울 42,44 : 바아
48 : 스풀 52 : 프레임
54,56,58,60 : 다리 62 : 제어기
70 : 지지부재 72,74 : 절단기
76 : 축 78,80 : 분리바아
82,84 : 바아 86 : 브래킷
88 : 경사다발 90 : 절단륜
92 : 하우징 94 : 관
96 : 인장 장치 98 : 풀리
100 : 아암 106 : 요등륜
107 : 축 108 : 인장장치
109 : 스위치 112 : 모터
114 : 스프로킷 116 : 체인
118 : 스프로킷 120 : 분리부재
122 : 브래킷 124 : 축
126 : 간극 128 : 고리
130 : 슬로트 132 : 고리부분
134 : 축부분 136,138 : 로울러
140 : 축 142 : 슬로트
144 : 축 146 : 슬로트
152 : 슬로트 154 : 덕트
156 : 통 158 : 지지블럭
162 : 연결로드 170 : 크랭크
176 : 저부면 178 : 개방단부
180 : 스프링 182 : 기준부재
184 : 호스 186 : 송풍기
188 : 받침판 190 : 로드
192 : 모터 194 : 축
196,198 : 풀리 200 : 벨트
202 : 풀리 204 : 지지블럭
206 : 벨트 208 : 풀리
210 : 축 212 : 지지블럭
214 : 지지부재 216 : 스위치 상자
218,220 : 모터 제어장치
본 발명은 개별적인 다발로 구성된 웨브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웨브를 가로질러 교대로 교차 직조되어 다음 처리공정 전에 개별적인 다발을 일체로 고정하는 위사를 발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브의 횡방향으로 차례로 놓여진 다발에 그 횡방향으로 위사를 전면 및 후면으로 직조 또는 교차 직조 하여 다발을 다루기 쉽게 공정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PAN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의 필라멘트(filament)를 탄화시킬 때에, 통상적으로 탄화과정 전에 웨브의 폭을 가로질러 위사를 앞 뒤로 직조하여 개별적인 필라멘트의 다발을 일체로 직조된 구조와 같이 고정한다. 이렇게 위사를 직조한 웨브는 이 웨브가 필라멘트의 탄화과정 중에 로울러를 지나거나 또는 다른 장치를 지날적에 섬세한 필라멘트의 손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란그로이스(Langlois)등에게 1979.11.13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173,990호에는 위사를 삽입하여 위와 같은 웨브를 형성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다.
위사가 필요한 탄화과정 또는 다른 과정이 끝난 후에는 위사를 제거하여 다른 공정을 행하거나 또는 웨브를 구성하는 다발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보통 대개 수동을 요하는 여러 기술중의 한가지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상용되는 기술은 웨브가 직업지역을 지날 때에 웨브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위사의 부분을 가위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로 절단하는 것이다. 다음에, 웨브의 양쪽 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사의 고리를 손으로 잡아 당겨 절단된 위사 조각을 방출한다. 이 과정은 속도가 느리고 지루하게 된다. 이 작업은 보통 2인이 계속해서 주의를 집중하여야 하게 되며, 이 때 각자는 폭이 91cm 내지 122cm이상인 웨브의 한쪽면이 각각 서 있어야 한다. 이 작업은 또한 손으로 절단하고 똔 절단된 조각을 발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속도가 매우 느리게 된다. 이러한 공정의 표준 속도는 웨브의 이송 속도가 분당 152cm정도는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라멘트 다발로 구성된 웨브로부터 위사를 발출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 및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계를 사용하여 위사를 자동적으로 발출하여 노동력을 절약하고 단지 장치의 관리자만 필요하게 되면 이는 매우 만족스럽게 된다. 또한 현재 기술에서 얻을 수 있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필라멘트의 다발로 구성된 웨브로부터 위사를 발출할 수 있으면 이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가 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위사를 매우 신속한 속도로 절단 및 발출할 수 있고, 노동력이 매우 감소되는 장치를 마련한다. 웨브가 테이블 상부면을 가로질러 진행할 때에, 테이블 상부면의 선행단에 있는 1조의 대향 분리바아를 사용하여 웨브의 양 연부에서 잔여 다발로부터 최외측 다발을 분리한다. 웨브의 하부면에서 회전 구동되는 원통형 바아에 계합되도록 탄성 압압되는 회전 절단륜은 최외측 다발과 잔여 다발 사이에 있는 공간에서 위사를 절단하여 웨브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위사를 분리시킨다. 공기 제트 분류를 절단륜의 측면을 따라 공급하여 절단된 위사의 진행 단부를 절단륜의 통로로부터 이탈시켜 절단된 단부가 다시 절단되지 않게 한다.
절단된 위사를 포함하는 웨브가 테이블 상부면 위를 진행할 때, 테이블 상부면의 선행단부의 반대단에 인접하여 장치되고 테이블 상부면 위로 연장된 분리 부재 주위로 양쪽 다발의 그룹을 향하게 하여, 위사의 중간 부분을 따라 분리한다. 절단 과정으로 생긴 분리된 위사는 왕복고리, 1조의 대향 로울러 및 공기 덕트를 갖는 장치에 의해 웨브로부터 발출된다. 그리고 테이블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축의 슬로트와 웨브의 나누어진 부분사이의 공간 내에서 왕복운동을 한다. 웨브가 테이블 상부면을 가로질러 축주위로 진행할 때에, 고리는 통과하는 각 위사의 중심 부분을 걸어 축에 있는 슬로트 및 테이블 면의 연결 간극을 통해 위사가 1조의 대향 로울러에 연결되는 부분까지 테이블 면 아래로 잡아당긴다.
고리를 수용하기 위한 슬로트를 갖고 있는 원통형 로울러는 고리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사를 파지하여 전체 위사가 웨브로부터 발출될 때까지 위사를 아래로 잡아 당기고 로울러의 접촉점을 통해 위사를 추출한다. 동시에, 이 로울러들은 절단된 위사를 로울러 하부에 장착되고 고리를 수용하는 간극을 갖는 중공형의 연신된덕트 내부로 공급한다. 덕트에 연결된 송풍기에 의해 덕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 분류에 의해 각각의 절단된 위사를 쓰레기통이나 다른 적절한 위치로 이송한다.
고리는 상부단의 고리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연신된 축 부분을 갖는다. 축 부분은 고리를 대체로 수직축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설치하는 장착장치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축 부분의 하부단은 그 제2단부가 크랭크의 제1단부에 결합된 연결 로드의 제1단부에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크랭크의 반대측 제2단은 회동식으로 장착 및 결합되어 회전 구동된다. 크랭크가 제2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연결로드가 고리의 축부분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테이블 면의 추종 단부에서 테이블 면의 양측면에 장착된 장력 장치로 분리된 다발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다. 위의 각 장치는 그 제1단은 회동식으로 장착되고 그 제2단은 요동륜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는 레버아암을 포함한다. 요동륜은 분리된 다발 위에 거치되어 다발의 장력 상태를 유지하고 위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요동륜이 불의로 분리된 다발을 절단하지 않도록 분리된 다발의 최소 장력수준을 나타내는 특정수준 이하로 내려갈 때에는, 단전 스위치가 작동되어 웨브가 테이블면을 지나 이송되지 못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에는 다수의 경사 다발(14)와 교차 직조된 위사(12)를 갖는 웨브(10)을 도시하였다. 경사 다발(14)는 웨브(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쪽 연부(16) 및 (18)사이에서 웨브(10)의 폭을 가로질러 차례로 정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다발(14)는 산화된 PAN물질의 1000-12,00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다. 도면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제1도에는 비교적 소량의 다발(14)만 도시하였다. 실제 공정에서는 대단히 많은 수의 다발(14)가 사용되며, 양연부(16)및 (18)사이의 웨브(10)의 폭은 132cm정도이다.
다발(14)는 위사(12)에 의해 천과 같이 상호 고정된다. 위사(12)는 웨브(10)의 폭을 가로질러 웨브의 앞뒤로 교대로 연장되어 웨브(10)의 길이 방향으로 계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사(12)는 다발(14)와 교차 직조 또는 얽혀서 위사(12)가 양연부 (15) 및 (18)의 하나로 웨브(10)을 가로질러 연장된 때 주어진 형태로 여러 가닥의 다발(14)의 위 및 아래로 파형으로 연장된다. 다음에 위사(12)는 웨브(10)의 폭을 가로질러 반대형태로 여러가닥의 다발(14)위 및 아래로 파형으로 연장된다. 웨브(10)의 폭을 횡단하는 양쪽 단부에서, 위사(12)는 일련의 작은 고리(20)을 웨브(10)의 연부(16)을 따라 형성하고 웨브(10)의 연부(18)을 따라서는 일련의 작은 고리(22)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사(12)로 다발(14)를 교차 직조하여, 다발(14)를 가공 및 처리하기 쉽게 일시적으로 천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 섬유로 된 위사(12)를 사용하여 다발(14)를 구성하는 산화 PAN필라멘트의 탄화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탄화 과정이 끝나게 되면, 다발(14)를 나누어 여러 그룹의 저장 스풀로 권취하기 전에 위사(12)를 발출하여야 한다. 이제까지는 위사(12)를 손으로 뽑아 내었다. 웨브(10)이 종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그 중심 부분을 따라 점차적으로 분리되게 되면, 작업자가 연부(16) 및 (18)에 서서 웨브(1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위사(12)의 중간을 절단한다. 고리(20) 및 (22)를 잡아 당기게 되면 절단된 위사(12) 조각이 웨브(10)으로 부터 발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노동력을 많이 요구하는 느린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숙련공이 위사(12)를 빼내어도 웨브(10)의 이송 속도는 분당 152cm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위사(12)를 제2도 및 그외의 도면에 도시한 위사 발출 장치(30)을 사용하여 웨브(10)으로 부터 자동으로 발출한다. 이후에 상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장치(30)은 웨브(10)이 장치(30)의 작업 표면을 형성하는 평면 테이블면(32)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고리(20) 및 (22)의 중간 지점에서 위사(12)를 절단한다. 다음에 웨브(10)은 절단되어 테이블면(3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위사 캐처(Catcher : 38)에 도달하기 전에 양절반 부분(34)및 (36)으로 나누어진다. 위사 캐처(38)은 절단된 위사의 중간부분(24)를 파지하여 이를 방출한다.
웨브(10)은 로울(40)으로부터 장치(30)으로 공급된다. 웨브(10)은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로울(40)으로부터 풀려져 바아(42) 위 및 바아(44)의 아래를 지나 테이블면(32)의 상부 평면(46)으로 이송된다. 웨브(10)으로부터 위사(12)를 절단 및 발출한 후에, 웨브(10)의 여러 가닥의 다발(14)는 여러 스풀(Spool: 48)로 권취도기 전에 나누어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10)의 양 절반부분(34) 및 (36)은 로울러 및 바아로 구성된 장치(50)에 의해 다시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웨브(10)은 장치(50)에 의해 12개 그룹의 비슷한 규격의 다발(14)로 나뉘어져 12개의 스풀(48)에 권취된다.
테이블면(32)는 4개의 다리(54), (56), (58) 및 (60)을 갖는 프레임(52)로 지지된다. 장치(30)을 조절하는 다수의 제어기(62)는 프레임(52)의 측면에 장착된다. 테이블면(32)는 전면연부(64) 및 반대방향의 후방연부(66)을 갖는다. 웨브(10)은 전면연부(64)로부터 후방연부(66)으로 테이블면(32)의 상부면(46)을 가로질러 진행하게 되어, 후방 연부(66)이 전면연부(64)의 하류에 위치하게 된다.
테이블면(32)의 전면연부(64)에 인접하며 프레임(52) 위에 장착된 지지부재 (70)에는 대향된 1조의 위사 절단기(72) 및 (74)와 회전 원통형축(76)이 장착된다. 절단기(72) 및 (74)는 격설되어 장착되어 웨브(10)의 양연부(16) 및 (18)에 입접 위치하게 된다. 회전 원통형축(76)은 웨브(10)의 하부면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절단기(72) 및 (74)에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절단작용이 강화되도록 한다. 제1조의 분리 바아(78)는 위사 절단기(72)근처에서 지지부재(70)에 장착된다. 제2조의 분리바아는 위사 절단기(74)근처에서 지지부재(70)에 장착된다.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1조의 분리 바아(78)은 연부(16)에서 웨브(10)의 잔여 다발로부터 최외측 다발을 분리하여 축(76)과 함께 위사 절단기(72)가 위사(12)를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조의 분리 바아(80)은 웨브(10)의 연부(18)에서 최외측 다발(18)을 분리하여 원통형 축(76)과 함께 위사 절단기(74)가 위사(12)를 절단할 대 이를 용이하게 해준다.
위사 절단기(72) 및 제1조의 분리 바아(78)은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1조의 분리 바아(78)은 외측 바아(82) 및 내측 바아(84)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수직으로 위치하여 지지부재(70)에 고정된 브래킷(bracket : 86)에 양단부가 볼트 체결된다. 바아(82) 및 (84)는 테이블면(32)의 상부면(46) 윗 부분에서부터 상부면(46) 하부로 아래로 연장되어 웨브(10)의 통로를 통해 연장되게 된다. 외측 바아(82) 및 내측바아(84)는 외측 다발이 웨브(10)의 잔여 다발(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다. 경사 다발(88)을 잔여다발로부터 리하는 목적은 위사(12)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해서다. 웨브(10)이 테이블면(32)위로 이송된게 되면, 외측 다발(88)이 잔여 다발(14)로부터 외측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어, 위사의 각고리(20)은 웨브(10)의 연부(1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위사(12)의 각 고리(20)이 외측 바아(82) 및 내측 바아(84)로 이동하게 되면, 고리(20)을 형성하는 위사의 두개의 짧은 부분이 회전 원통형 축(76)위로 당겨진다. 이는 짧은 위사 부분의 선행 부분이 회전하는 절단륜(90)형태인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며, 절단륜(90)은 축(76)의 상부에 지지된다. 위사 절단기(7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단륜(90)은 지지 부재(70)위에 장착된 하우징(92)의 하부단에 장착된다. 하우징(92)내에 있는 스프링(도시안됨)은 절단륜(90)에 하향력을 가하여 절단륜(90)이 축(76)과의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절단륜(90)으로는 고리(20)을 형성하는 위사의 두개의 짧은 부분중 선행 부분만 절단한다. 위 과정이 끝나게 되면, 절단된 위사 단부는 다발(88)로 부터 빼낼 수가 있다. 관(94)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분류를 절단륜(90)의 측면을 따라 향하게 하여 고리(20)을 형성하던 위사의 추종 되는 짧은 부분을 절단륜(90)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94)는 적절한 공기공급기에 연결한다.
절단과정을 확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측다발(88)에 최소 장력을 유지하여 위사(12)의 고리(20)을 웨브(10)의 외측연부(16)으로부터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인장장치(96)으로 외측 경사 다발(88)에 장력을 증가시켜 적절한 절단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장장치(96)은 테이블면(32)위에 지지되어 외측 경사 다발(88)을 지지하는 풀리(pulley : 98)을 포함한다. 연신된 아암(100)의 제1단 (102)는 풀리(98) 부근에서 테이블면(32)에 회동식으로 연결되고 그 반대편의 제2단(104)는 요동륜(106)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다. 풀리(98)위로 연장되는 외측 다발(88)은 다음에 아래로 바로 연장되어 요동륜(106)밑으로 연장된다. 외측 경사 다발(88)을 잡아 당기는 아암(100) 및 요동륜(106)의 작용에 의해 외측 다발(88)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게 된다.
외측 경사 다발(88)의 장력이 절단기(72)로 다발(88)을 절단할 정도까지 최소 상태로 감소되게 되면, 요동륜(106)이 설정된 수준 이하로 하강된다. 요동륜이 하강하게 되면, 연신된아암(100)이 회전되어, 아암(100)의 단부(102)에 연결되고, 제4도에 도시된 축(107)이 테이블면(32)의 후방 연부(866)에 장착된 스위치(109)를 단락시키게 되어, 로울(4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따라서 웨브(10)의 테이블면 위에서의 이송을 중단 시킨다.
풀리(98) 및 아암(102)의 제1단(102)는 후방연부(66)에 인접한 한쪽면에서 테이블 면(32)위에 회동식으로 장착된다. 인장 장치(96)의 구조와 유사한 인장 장치(108)은 후방 연부(66)에 인접하여 테이블면(32)의 반대측면에 위치하여 웨브(10)의 연부(18)에 있는 외측 경사 다발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여 위사 절단기(74)로 위사(12)의 고리(22)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는 장치(30)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10)의 연부(16)에 있는 외측 경사다발(88)은 제1조의 분리 바아(78)에 의해 웨브(10)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사 절단기(72)로 고리(20)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조의 바아(80)으로 웨브(10)의 반대측 연부(18)로부터 외측 경사 다발(110)을 분리하여 위사 절단기(74)로 고리(22)에서 위사(12)를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양쪽 고리(20) 및 (22)에서 위사(12)를 절단하게 되면 위사(12)의 잔여부(24)가 웨브(10)의 여러 가닥의 다발(14)와 직조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 잔여 부분(24)는 위사 캐처(38)로 이후에 상술하는 방식으로 발출한다.
회전 원통형 축(76)은 테이블면(32)의 하면에 장착된 모터(112)로 회전 구동된다. 모터(112)는 모터축에 장착된 스프로킷(114), 체인(116) 및 원통형 축(76)에 장착된 스프로킷(118)을 통해 원통형 축(76)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76)은 웨브(10)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절단륜(90)과 같은 절단륜에 접촉된다. 축(76)은 웨브의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나 웨브(10)의 속도 보다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여 웨브(10)이 축(76) 주위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웨브(10)을 양 절반 부분(34) 및 (36)으로 분리하는 것은, 테이블면의 후방 연부(66)의 중심 부에분서 브래킷(122)를 통해 테이블 면(32)에 연결된 원통형 분리 부재(120)으로 수행한다. 분리 부재(120)은 테이블면(32)의 표면(46)위로 연장되어 웨브(10)의 면위로 연장된다.
제5도는 위사 캐처(38)과 웨브(10)이 양 절반 부분(34) 및 (36)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부분의 테이블면(32)를 같이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웨브(10)이 경사 다발(14)로 구성되는 양 절반 부분(34) 및 (36)으로 나누어지게 되면, 위사(12)의 부분(24)가 노출되게 된다. 웨브(10)이 테이블면(32)를 지나 진행하게 되면, 위사의 부분(24)는 위사 캐처(38)에 도달하게 된다.
위사 캐처(38)은 테이블면(32)에 있는 간극(126)에 인접한 테이블면(32)의 표면(46)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원통형 축(124)로 구성된다. 축(124)는 위사(12)가 진행하는 방향을 향해 수직 방향에서 약간 앞으로 기울어져 있다. 축(124)의 측면에 있는 슬로트(130)내에는 고리(128)이 장착된다.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고리(128)은 상하로 왕복 구동되어 위사(12)의 부분(24)를 파지하여 이를 슬로트(130)내로 잡아 당겨 웨브(10)으로부터 위 부분(24)를 발출하게 된다. 축(124)를 앞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위사(12)의 진행되어 오는 부분(24)가 고리(128)로 빠져 나가는 일이 없게 된다.
제6도에는 고리(128)이 위사(12)의 부분(24)의 중간 부분에 걸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서는 도면을 상세히 도시하기 위해 테이블면(32)를 생략하였다. 고리(128)은 고리 부분(132)를 형성하는 상부의 만곡된 단부와 그 밑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연신된 축 부분(134)를 갖는다. 테이블면(32)바로 아래에는 고리(128)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상호 계합된 1조의 대향 로울러(136) 및 (138)이 위치한다. 축(140)위에 장착된 로울러(136)은 그 안에 원추형 슬로트(142)를 갖고 있어 고리(128)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로울러(138)은 축(144)위에 장착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원주형 슬로트(146)을 갖고 있어 고리(128)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와 연관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리(128)은 위사의 부분(24)가 축(124)에 접촉될 때, 위사(12)의 부분(24)의 중앙부분에 걸리게 된다. 왕복 운동하는 고리(128)이 아래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위사의 부분(24)는 고리(128)로 당겨져 테이블면(32)의 간극(126)을 통해 아래로 당겨진다. 제6도를 다시 참조하여 보면, 고리(128)이 위사의 부분(24)를 슬로트(130)을 통해 계속 잡아 당기게되므로, 위사의 부분(24)는 대향된 로울러(136) 및 (138)내로 결국 인발되게 된다. 이후에 제9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울러(138)은 화살표(148)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로울러(138)과 계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로울러(136)은 따라서 화살표(150)으로 표시한 방향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울러(136) 및 (138)의 상호 방대방향의 회전은 그 사이에 있는 위사(12)의 부분(24)를 잡아당기게 되고 로울러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부분(24)를 계속 아래로 뽑아 내게 된다. 이는 웨브(10)으로부터 위사의 부분(24)를 발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또한 위사의 부분(24)를 로울러(136) 및 (138)하부에 위치한 중공덕트(154)의 상부에 있는 슬로트(152)를 통행 공급하는데 도움을 준다. 고리(128)의 축 부분(134)는 덕트(154)의 바닥에 있는 작은 간극을 통해 덕트(154)하부 부분까지 연장되어 여기에서 왕복 구동된다.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덕트(154)의 내부는 송풍기에 연결되어 연속된 공기 흐름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공기 분류가 축 부분(134) 및 위사(12)의 부분(24)가 집적되어 있는 슬로트(52)를 통과하게 되면, 고리(128)의 상향 이동에 의해 고리(128)로부터 분리된 위사의 조각은 공기 분류에 의해 덕트(154)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쓰레기통(156)내로 떨어지게 된다. 쓰레기통(156)은 제2도 및 7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리(128), 로울러(136) 및 (138)과 덕트(154)의 작동 방법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를 보면, 고리(128)의 축부분(134)는 지지블럭(158)을 통해 그 하부단(160)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지지블럭(158)은 축(124)와 함께 고리(128)을 대략 수직축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장착한다. 고리(128)의 왕복운동은 고리(128)의 하부단(160)에 그 제1단(164)가 회동식으로 연결된 연결로드(162)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인가된다. 연결로드(162)의 반대편 제2단(166)은 크랭크(170)의 제1단(168)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크랭크(170)의 반대편 제2단(172)는 회동식으로 장착되어 화살표(174)방향으로 크랭크(170)을 회전시킨다. 크랭크(170)이 회전하게 되면 고리(128)이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고리(128)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고리부분(132)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면(32)의 표면(46)위에 위치하는 최상부 위치와 고리 부분(132)가 덕트(154)정점의 슬로트(152)를 통해 덕트(154)내로 당겨지는 최하부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고리 부분(132)가 대향로울러(136) 및 (138)의 근처에 있는 테이블면(32)의 하부면(176) 아래의 점까지 하향 이동하게 되면, 로울러(136) 및 (1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사(12)의 부분(24)와 연결되어 이를 아래로 잡아 당기는 것을 돕게 된다. 고리 부분(132)가 덕트(154)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로울러(136) 및(138)은 웨브(10)으로부터 위사의 부분(24)를 계속 아래로 잡아 당겨 테이블면 (32)의 간극(126)을 통해 덕트(154)내로 진입시킨다. 위사(12)의 부분(24)가 대향 로울러(136) 및 (138)을 통해 덕트(154)내로 완전히 진입되게 되면, 덕트(154)내의 공기 분류에 의해 위사의 부분(24)는 덕트(154)의 개방 단부(178)로 이송되어, 여기에서 쓰레기통(156)으로 떨어지게 된다.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된 로울러(138)은 축(144)위에 장착되어, 고정된 축 주위에서 테이블면(32)의 하부면(176)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고무로 제작되고, 축(140)위에 장착되는 로울러(136)은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로울러(138)에 접촉되도록 압압된다. 상기 스프링중의 하나는 제7도에 스프링(180)으로 도시하였다. 스프링(180)은 테이블면(32)의 하부면(176)위에 장착된 기준 부재(182)와 축(140)을 회전자재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부재 사이에서 연장된다. 덕트(154)내의 공기 분류는 호스(184)를 통해 덕트(154)에 연결된 송풍기로 공급된다.
제8 내지 제10도는 고리(128)을 왕복 운동시키고 로울러(136) 및 (138)을 구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30)의 하부면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스(184)는 덕트(154)를 프레임(52)에 장착된 송풍기(186)에 연결한다. 받침판(188)은 다수의 로드(190)에 의해 테이블면(32)의 하부면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받침판(188)위에는 모터(192) 및 고리(128)을 왕복운동시키는 장치와 로울러(136)및 (138)을 구동시키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제9도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9도를 참조하여 보면, 모터(192)는 축(194)를 가지며, 축 위에는 1조의 풀리(196) 및 (198)이 장착되어 있다. 풀리(196)은 벨트(200)에 의해 로울러(138)에 장착된 축(144)에 있는 풀리(202)와 연결된다. 축(144)는 지지블럭(204)에 의해 테이블면(32)의 하부면(26)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다. 모터(192)가 로울러(138)을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모터축(194)에 장착된 풀리(198)은 고리(128)을 왕복 운동시킨다. 풀리(198)은 벨트(206)을 통해 축(210)위에 장착된 풀리(208)에 연결된다. 지지블럭(212)에 의해 받침판(188)위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축(210)에는 크랭크 (170)의 제2단 (172)가 장착된다. 따라서, 축(210)이 풀리(198), (208)및 벨트(206)을 통해 모터(192)에 의해 구동되면, 크랭크(170)이 회전되어 연결로드 (162)를 통해 고리(128)을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럭(158)은 지지부재(214)에 의해 받침판(188)위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62)는 프레임(52)위에 장착된다. 제어기(62)는 스위치 상자(216)를 포함하는데, 이 상자는 송풍기(186)을 정지 및 시동시키고, 스위치(109)와 같은 정지 동작 장치를 개폐시키고 1조의 모터 제어장치(218) 및 (220)을 개폐시킨다. 모터 제어장치(218)은 모터(192)를 조절하여 로울러(138)의 구동 속도를 변화시키고 고리(128)의 왕복 속도를 변화시킨다. 모터 제어장치(220)은 모터(112)의 속도를 조절하여 축(76)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발출장치는 위사를 자동적으로 발출할 수가 있다. 노동력은 또한 최소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작업자는 장치가 가동 또는 정지할 때나 수리시에만 필요하게 된다. 작업 속도는 종래의 수동 작업에 비해 웨브의 이동속도를 분당 457cm정도로 대단히 증가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웨브의 종방향을 따라 웨브의 양연부 사이에서 웨브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위사를 웨브로부터 발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 지역을 통해 웨브를 이송시키는 장치와, 웨브가 작업 지역을 통해 진행할 때 웨브의 양연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위사를 절단하여 웨브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절단된 위사의 부분을 형성하는 작업 지역 내에 위치하는 장치와, 웨브로부터 절단된 위사의 부분을 발출하는 작업지역 내에 위치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웨브가 웨브의 횡방향으로 차례로 위치하여 웨브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경사다발로 구성되고, 위사를이 웨브의 종방향을 따라 웨브의 양 연부 사이에서 웨브의 횡방향으로 교대로 직조하고, 작업지역을 통해 웨브를 이송시키는 장치가 작업 표면을 지나 종방향으로 하류를 향해 웨브를 이송시키는 장치와 작업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웨브의 양 연부에서 하나 이상의 다발을 웨브로부터 잡아 당기는 장치를 포함하고, 작업지역 내에 위치하여 위사를 절단하는 장치가 작업 표면에 위치하여 웨브의 양 연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발과 웨브 사이에서 연장된 위사를 선택된 지점에서 절단하는 장치와 상기 절단장치 하류의 작업 표면에 위치하여 웨브를 여러 그룹의 다발로 분할하는 장치로 구성되고, 작업 지역내에 위치하여 위사의 부분을 발출하는 장치가 절단 장치의 하류에서 웨브 다발의 양 그룹 사이에 위치하여 양 그룹의 다발로부터 위사의 부분을 발출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40004881A 1984-08-14 1984-08-14 위사 발출 장치 KR87000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881A KR870001225B1 (ko) 1984-08-14 1984-08-14 위사 발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881A KR870001225B1 (ko) 1984-08-14 1984-08-14 위사 발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10A KR860001910A (ko) 1986-03-24
KR870001225B1 true KR870001225B1 (ko) 1987-06-22

Family

ID=1923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881A KR870001225B1 (ko) 1984-08-14 1984-08-14 위사 발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2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10A (ko) 198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642690A5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unterwindestellen von spindeln.
JP7148546B2 (ja) 複数の紡糸された糸を仕掛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5284010A (en) Method for doffing a yarn winding machine
US4511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glass fibers
KR20010013592A (ko) 드레딩 스트립 또는 재료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114684666A (zh) 一种包覆纱生产用包覆装置
US4497098A (en) Fill yarn removal apparatus
CN115626527A (zh) 一种防打结纱线卷绕装置
KR100192742B1 (ko) 실패 끝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IE4200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the loops of a loop pile fabric
KR870001225B1 (ko) 위사 발출 장치
DE1560495A1 (de) Verfahren zum Reinigen automatischer Spulmaschinen fuer Textilmaterial
NO840841L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ikke-vevet vatt av fibre
US347589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offing yarns in the centrifugal pot spinning process
KR920001806B1 (ko) 정방관사의 구사 인출장치
US59269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for reclaiming fibers
EP0427665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inziehen eines Kettfadens in eine Webmaschine, insbesondere in ein Webblatt
US5560400A (en) Removing waste selvage from woven fabric
JPH02502369A (ja) 繊維機械に用いられる糸キャリッジから残糸を除く方法および装置
RU22383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гута, содержащего волокна из стекла
US54213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articles on a loom in a plurality of widths
GB2162547A (en) Fill yarn removal apparatus
US2834090A (en) Suction type bobbin stripper
US4315789A (en) Method of transferring mat from a forming surface station to a bonding station
US2313785A (en) Bobbin stri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