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397A - 다단식 성형기의 작업소재 자동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성형기의 작업소재 자동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397A
KR20000022397A KR1019980710828A KR19980710828A KR20000022397A KR 20000022397 A KR20000022397 A KR 20000022397A KR 1019980710828 A KR1019980710828 A KR 1019980710828A KR 19980710828 A KR19980710828 A KR 19980710828A KR 20000022397 A KR20000022397 A KR 2000002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asing
conveying tube
transvers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945B1 (ko
Inventor
울리히 슈타인하우저
슈테판 슈퇴클레
크리스토프 페르거
Original Assignee
마트 안그레아즈;헤프리거 하인리히
하테부르 움포름마쉬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트 안그레아즈;헤프리거 하인리히, 하테부르 움포름마쉬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마트 안그레아즈;헤프리거 하인리히
Publication of KR2000002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21K27/02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 B21K27/04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allowing successive working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방향 운반 관 (2) 상에 위치된 텅 케이싱 (1) 을 갖는 다단식 금속 성형기 상에서 작업소재를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텅 케이싱 (1) 은 기본 몸체부 (10) 를 구비하며, 이 기본 몸체부 상에 교체가능한 텅 카트리지 (12a, 12b, 12c) 가 위치되며, 여기서 한 쌍의 텅은 위로부터 측면으로 파지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각각의 쌍의 텅은 연결 위치 (19) 를 경유해서 이 텅과 관련된 전동 수단에 연결된다. 상기 수단은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도록 횡방향 운반 관 (2) 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제어축 (3) 과 상호 작용한다. 하나의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로부터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 (U2, U3, U4) 로의 두 개의 상호작용 그리퍼 (130, 140) 를 갖는 한 쌍의 텅에 의해 파지된 작업소재 (W2, W3) 의 이송 및 텅의 복귀 이동은 횡방향 운반 관 (2) 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일어난다. 텅 이동은 적절한 레버 비율을 갖는 텅을 갖는 텅 카트리지 (12a, 12b, 12c) 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식 성형기의 작업소재 자동운반장치
유럽특허 EP-B-0 206 186호로부터 공지된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성형기와 동조하여 구동되는 상부의 횡방향 운반 관과 하부의 횡방향 운반 관을 가지며, 이 관들은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 고정된 베어링에 안내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상부 및 하부 관들 상에 상부 텅 케이싱 (tong casing) 과 하부 텅 케이싱이 끼워맞춤된다. 미끄럼 작용으로 변위가능한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두 개의 횡방향 운반 관은 이음쇠로 연결된다. 작업소재는 한 쌍의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 (tong gripper) 로 파지되며, 이들 중 하나의 그리퍼는 상부 텅 케이싱에 배열되며, 다른 하나의 그리퍼는 하부 텅 케이싱에 배열되고, 각각의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로 이루어진 텅의 개방 및 폐쇄 운동은 전동 레버를 경유해서 횡방향 운반 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캠축형 제어축에 의해 제어된다. 고온성형기에 있어서 필수적인, 매우 다른 크기의 작업소재를 파지하는 작업은 이러한 형태의 텅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작업소재를 파지하기 위해서 텅 그리퍼가 바닥으로부터 작업소재로 접근되며, 그 결과로 텅 그리퍼는 하강하는 부분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히 고온 성형기에 있어서, 텅 그리퍼는, 예컨대 윤활제 및/또는 스케일 및/또는 물에 노출됨으로써 명백하게 오손(汚損) 된다. 또한, 두 개의 캠축은 집게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하며, 두 개의 횡방향 운반 관은 텅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하고, 이는 두 개의 캠축의 운동 및 두 개의 횡방향 운반 관의 운동은 각각 조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작업소재는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를 갖는 텅에 의해 성형 영역에서 파지되며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 이 스테이션에서 해제되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기계장치의 성형 영역에서 고정 베어링에 안내되며, 성형기와 동조하여 구동되는 횡방향 운반 관을 가지며, 이 운반 관 상에서 텅의 운반을 실행하는 텅 케이싱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운반 관에는 한편으로는 텅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횡방향 운반 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축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운반 수단이 배열되어 있는 금속부의 비절삭 성형을 실행하는 다단 성형기에서 작업소재를 자동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다단식 성형기의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의 개략도.
도 2 는 세 개의 세트의 텅이 상이한 변위에서 도시된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의 도 1 의 장치에 따른 부분도.
도 3 및 도 4 는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예시한,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의 도 1 의 장치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 는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예시한,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의 도 1 의 장치에 따른 부분 평면도.
도 6 은 비록 도 1 과 다르지만, 4 개의 텅 구동부가 지정되어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과 위치결정을 예시한,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의 도 1 의 장치에 따른 부분도.
도 7 은 텅 아암과 텅 구동 레버 간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 는 모듈 캐리어의 선회를 예시한, 성형기의 성형 영역의 도 1 의 장치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10 및 도 11 은 텅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한 구름-작용 안내 수단의 두 개의 변형체를 도시한 도면.
도 12 는 횡방향 운반 구동장치의 평면도.
도 13 은 도 12 의 선 A-A 를 따라 취한 횡방향 운반 구동장치의 단면도.
전술한 이미 공지된 장치의 단점의 측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으로부터 파지되어야 하는 작업소재까지 접근되어야 하는 텅 그리퍼 없이 조작하는 다단식 성형기에 작업소재를 자동적으로 운반하는 도입부에 소개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단순하며 비용 효율적 측면에서 플랜지 축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동일한 부분과 같이 매우 상이한 직경의 작업소재 또는 스텝된 작업소재가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위치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장치의 구성은 가능하면 단순해야 한다.
이 목적들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작업소재는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를 갖는 텅에 의해 성형 영역에서 파지되며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 이 스테이션에서 해제되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기계장치의 성형 영역에서 고정 베어링에 안내되며, 성형기와 동조하여 구동되는 횡방향 운반 관을 가지며, 이 운반 관 상에서 텅의 운반을 실행하는 텅 케이싱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운반 관에는 한편으로는 텅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횡방향 운반 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축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운반 수단이 배열되어 있는 금속부의 비절삭 성형을 실행하는 다단 성형기에서 작업소재를 자동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본질은, 금속부의 비절삭 성형을 실행하는 다단식 성형기의 작업소재 자동운반장치에서 횡방향 운반 관에 끼워맞춤된 텅 케이싱이 위로부터 측면으로 작업소재가 파지되도록 하는 하나의 세트의 텅을 갖는 각각 하나 이상의 교체가능한 텅 모듈이 배열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를 구비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각각의 세트의 텅은 연결 위치를 경유해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배열되어 있으면서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텅 캠을 가지며, 그 자체적으로는 횡방향 운반 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축과 효과적으로 연결된 이 텅 세트의 관련 전동 수단에 연결된다. 하나의 성형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성형 위치로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의 쌍들을 갖는 텅에 의해 파지된 작업소재를 운반하는 작업, 텅을 후퇴시키는 작업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횡방향 운반 관에 의해 일어남으로써, 관은 성형기와 동조하여 구동되어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 고정된 베어링으로 안내된다. 텅 변위 및/또는 텅 운동의 시간적 움직임은 적절한 지레장치를 갖는 텅을 구비한 텅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텅 캠을 조절하거나 또는 교체함으로써 작업 소재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위로부터 측면으로 작업 소재를 파지하는 텅을 사용함으로써, 두 개의 각각의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의 과도한 오손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다이가 마모됨으로써 작업소재가 커지는 경우에 이러한 작업 소재는 항상 각각의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의 중앙으로 파지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텅이 횡방향 운반 관 상에 끼워맞춤된 단일 텅 케이싱 상에 배열되며,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이 단일 제어축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비록 위로부터 측면으로 작업소재를 파지하는 텅이 현재 때때로 냉간 성형기에 사용되더라도, 공지된 장치 및 텅으로는 매우 다른, 비교적 대직경의 작업소재를 파지할 수 없다. 이 텅은 작은 텅 변위 차이에 대해서만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제한된 직경 범위내의 작업소재를 위해서만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텅 변위는 적절한 지레장치를 갖는 텅을 구비한 텅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텅을 제어하기 위한 텅 캠을 조절하거나 또는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소재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특히 어떠한 불필요한 텅의 광범위한 운동도 실행될 필요가 없다. 적절한 지레장치를 갖는 텅을 선택함으로써 비교적 큰 작업소재가 방해되는 인접한 텅 모듈의 텅 없이 파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큰 플랜지를 갖는 작업소재가 작은 직경의 위치에서 파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텅은 플랜지의 공간 요구로 인해 큰 변위를 실행한다.
각각의 텅 세트가 하나의 연결 위치만을 경유해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배열되어 있으면서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축에 연결된 이 텅의 관련 전동 수단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 텅 모듈을 교체하는 것은 간단하다.
하나의 세트의 텅에 배치된 전동 수단이 각각 텅 캠을 갖기 때문에, 각각의 세트의 텅에 대해서 열림 및 닫힘 운동의 순서는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와는 달리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축이 횡방향 운반 관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조절은 사용하기 쉽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하나의 세트의 텅에 배치된 전동 수단은 텅 구동축을 구비하며, 이 텅 구동축은 제어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베벨기어 기구를 경유해서 이 제어축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베벨 기어 기구 상에 텅 캠이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레버를 경유해서 이 텅 캠의 하나의 단부는 연결 위치를 경유해서 텅 또는 텅 아암과 효과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텅 캠에 의해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이 제어된다.
이 변형예는, 텅 캠에 의해 하나의 세트의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는 텅 구동축이 열림 및 닫힘 운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장점, 즉 어떠한 운동 기울기도 필요치 않은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텅 캠에 수반하는 질량은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들의 경우에서 보다 더 적을 수 있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제어축의 회전 속도가 정상 작동시 일정하다면, 베벨 기어 기구를 경유해서 제어축과 텅 구동축 간에 발생하는 운동 기울기는 진동 동작에 어떠한 역효과도 일으키지 않는다.
가용 상태에서, 작업 소재가 각각의 대상 성형 스테이션에서 해제되어, 텅빈 텅이 즉시 후퇴하기만 하면, 텅 케이싱이 끼워맞춤되어 있는 횡방향 운반 튜브는 회전가능하게 운반되고, 그 결과로 성형 영역 외부로 배열된 회방향 운반 관 회전 장치에 의해 횡방향 운반 관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텅 케이싱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텅 케이싱이 상승될 때 텅이 성형기의 다이 또는 다이 홀더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한 짧은 다이로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텅 모듈은 모듈 캐리어 선회 스핀들을 경유해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연결된 모듈 캐리어에 배열되며, 또한 텅 케이싱이 상승될 때 조절됨으로써 이 텅 케이싱은 텅 모듈과 함께 정반대편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대해 모듈 캐리어의 선회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선회 캠이 이미 존재하는 제어축 상에 제공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푸시 로드 또는 지레장치는 선회 캠과 모듈 캐리어 간에 배열된다. 이는 모듈 캐리어의 선회는 간단한 방법으로 텅 운동과 조화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발며에 따른 장치에서, 텅이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배열된 각각의 관련 전동 수단에 연결되는 위치는 모듈 캐리어 선회 스핀들의 영역에 효과적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로, 모듈 캐리어의 선회는 텅 개방 또는 텅 닫힘을 자동적으로 유발하지 않는다.
다이 공간에 모루를 갖는 성형기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이 장치의 하부 위치에서 텅 케이싱은 모루 상에 지지되며, 이러한 지지는 구름-작용 또는 미끄럼-작용 안내 수단을 경유해서 이루어지고, 이 지지로 인해 성형 스테이션에서의 텅의 수직 방향에서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확보되는 경우이다. 이와같이, 텅의 수직 위치결정의 정확성은 운동 장치와는 독립된다.
다단식 성형기에 있어서 작업소재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양한 구성적 특성을 더욱 잘 예시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부분은 도면으로부터 각각 제외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도면은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작업소재를 자동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금속부의 비절삭 성형을 실행하며, 기계장치 본체부 (6), 전단 스테이션 (S) 및 네 개의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U4) 을 갖는 모루 (8) 를 구비한 4단 성형기 상에 설치된다.
운반 장치에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기계장치 본체부 (6) 에 끼워맞춤된 횡방향 운반 관 베어링 (20, 21) 에서 운반 방향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운반 관 (2) 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운반 관 (6) 에는 제어축 (3) 이 동축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모듈 캐리어 (11) 및 세 개의 텅 모듈 (12a, 12b, 12c) 을 갖는 텅 케이싱 (1) 이 횡방향 운반 관 (2) 상에 끼워맞춤되며, 텅 모듈 (12a) 이 여기에 나타내져 있지 않음으로써, 이 모듈 캐리어 뒤에 위치된 체결 나사 (125) 를 갖는 모듈 캐리어 (11) 의 부분을 볼 수 있다. 각각의 텅 모듈 (12a, 12b, 12c) 은 텅 아암 (13, 14) 을 갖는 한 세트의 텅을 가지며, 중앙의 모듈 체결 나사 (121) 에 의해 모듈 캐리어 (11) 상에 체결된다. 모듈 캐리어 (11) 의 정사각형 개구 (119) 에서, 왼쪽 단부 위치와 오른쪽 단부 위치에 있는 텅 드라이브 레버 (18) 의 하나의 단부를 볼 수 있다. 하나의 단면이 모듈 캐리어 (11) 의 베어링 구성요소 (123) 상에 지지된 텅 모듈 상의 지지 볼트 (152), 즉 스크류는 모듈 캐리어 (11) 상에서 텅 모듈 (12a, 12b, 12c) 을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원하는 텅 변위에 따라, 텅의 선회 관절부 (132, 142) 은 모듈 캐리어 (11) 상의 베어링 구성요소 (122) 상에 배열된다. 선회 관절부 (132, 142) 의 모듈 캐리어측 단부와 지지 볼트 (152) 는 베어링 구성요소 (122, 123) 상에 각각 지지되어 각각의 텅 모듈을 위한 중심을 맞추는 3점 지지부 (centering three-point rest) 를 형성한다. 텅 모듈 (12c) 의 텅이 그 닫힘 위치에 위치되어 작업소재 (W3) 를 파지하는 반면에, 텅 모듈 (12b) 의 텅은 그 열림 위치에 위치되어 작업소재 (W2) 를 아직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
아래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은 성형기의 성형 영역 외부로 배열된 제어축 구동장치 (30) 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축 (3) 에 의해 제어된다. 횡방향 운반 관 (2) 은 횡방향 운반 구동장치 (4) 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횡방향 운반 관 회전장치 (5) 는 텅 케이싱 (1) 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횡방향 운반 관 (2) 을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횡방향 운반 구동장치 (4) 와 횡방향 운반 관 회전장치 (5) 는 성형기의 성형 영역 외부로 배열되며,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작동 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텅은 횡방향 운반 관 (2) 이 횡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하나의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으로부터 각각의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 (U2, U3, U4) 으로 운반되는 이 텅의 각각의 관련 작업소재를 파지해서, 성형 공정을 위해 이 성형 스테이션에서 작업소재를 해제시킨다. 그 후, 횡방향 운반 관 (2) 을 회전시킴으로써 텅을 갖는 텅 케이싱 (1) 이 상승되며, 횡방향 운반 관 (2) 은 텅 케이싱 (1) 과 후퇴하며, 텅 케이싱 (1) 은 다시 출발 위치로 하강한다.
아래의 설명은 전체로서의 상세한 설명부의 나머지 부분에 관한 것이다. 만약 도해의 명확성을 위해 도면 부호가 도면에는 포함되지만 상세한 설명의 관련 부분에서 설명되지 않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되어 있다면, 이 도면 부호는 앞선 도면의 상세한 설명부에 언급되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도 2
텅 모듈 (12a, 12b, 12c) 의 세 개의 세트의 텅은 이 텅들이 세 개의 작업 소재 (W1, W2, W3) 를 파지하는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세트의 텅은 두 팔을 갖는 레버로 되어 있으면서 선회 관절부 (132, 142) 상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이 팔의 하나의 단부는 텅 슈즈 (131, 141) 가 제공된 텅 그리퍼 (130, 140) 로 이루어진 두 개의 텅 아암 (13, 14) 을 구비한다. 텅 그리퍼 (130, 140) 는 소정 제동 지점 (133, 143) 을 경유해서 텅 아암의 지지부에 연결됨으로써, 성형 작업시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개 텅 그리퍼 (130, 140) 만이 제동되며,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손상되지 않는다. 소정 제동 지점 (133, 143) 은 센서 (134, 144) 에 의해 모니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세트의 텅의 선회 관절부 (132, 142) 가 배열되거나 또는 각각의 텅 아암 (13, 14) 의 두 개의 레버의 길이가 선택됨으로써 이 텅은 파지되어야 하는 작업소재 (W1, W2, W3) 에 적합한 텅 변위를 갖는다. 여기에서 텅 모듈 (12a, 12b, 12c) 은 각각 소, 중, 그리고 대 직경의 작업소재에 적합한 텅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조시의 교체에 있어서, 성형기의 운반 장치는 텅 모듈을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작업소재를 위해 쉽게 변환될 수 있다.
텅의 열림 및 닫힘 작동은 선회 관절부 (132, 142) 를 중심으로 텅 아암 (13, 14) 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이 목적을 위해, 텅 아암 (14) 의 하나의 단부가 연결 위치 (19) 에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배열되어 제어축 (3) 의 회전을 적절한 전후방 운동으로 변환하는 전송 수단에 연결된다. 텅 아암 (13) 은 두 개의 텅 아암 (13, 14) 상에 배열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안내면 (135, 145) 을 경유해서 텅 아암 (14) 에 의해 동시에 회전된다. 스프링 (136) 은 안내면 (135) 이 안내면 (145) 에 대해 일정하게 구속되도록 하며, 텅에 압축 응력이 가함으로써 이 텅이 닫히도록 한다.
도 2 로부터 모듈 캐리어 (11) 가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상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이 텅 케이싱은 바람직하게 압축 응력이 가해진 구름접촉 베어링 (110) 에 의해 선회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장치의 목적은 도 8 및 도 9 와 병행해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6
성형다이를 수용하기 위한 다이 홀더 (7) 는 모루 (8) 정반대편의 성형기의 성형 영역에 배열되어 있으며, 작업소재 운반 텅은 다이 홀더 (7) 와 모루 (8) 간의 공간을 통과한다.
텅의 열림 및 닫힘 목적을 위해, 제어축 (3) 과 텅 아암 (14) 간에는 전동 수단이 제공되어 이 전동 수단은 롤러 레버 (17) 와 텅 구동 레버 (18) 뿐만 아니라, 텅 캠 (16) 을 갖는 텅 구동축 (15) 을 구비한다. 제어축 (3) 의 일반적으로 일정한 회전이 베벨 기어 기구 (150) 를 경유해서 텅 캠 (16) 이 끼워맞춤되어 있는 텅 구동축 (15) 에 전달된다. 롤러 레버 (17) 의 제 1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롤러 (170) 는 텅 캠 (16) 에 대해 지지되는 반면에 (도 3 및 도 6), 롤러 레버 (17) 의 제 2 단부는 텅 구동 레버 (18) 의 제 1 단부에 고정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 텅 구동 레버 (18) 의 제 2 단부는 연결 장치 (180) 를 경유해서 텅 아암 (14) 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 및 도 6).
도 6 에서, 좌측으로부터 제 1 텅 구동 레버 (18) 는 이와 관련된 텅이 닫힌 상태로 있는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좌측으로부터 제 2 텅 구동 레버 (18) 는 이와 관련된 텅이 개방된 상태로 있는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 텅을 개방하는 동안, 텅 구동축 (15) 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하는 텅 캠 (16) 은 롤러 레버 (17) 의 제 1 단부를 하부로 구속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롤러 (170) 에 기대어, 그 결과로 텅 구동 레버 (18) 는 왼쪽으로 회전된다.
텅을 닫는 동안,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상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171) 은 텅 구동 레버 (18) 를 오른쪽으로 구속함으로써 롤러 레버 (17) 의 제 1 단부는 상부로 이동되고, 그 결과로 롤러 (170) 는 항상 텅 캠 (16) 에 대해 지지된다.
텅 캠 (16) 은 조절 개구 (161) 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도 3), 이 개구는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에 제공되며 덮개 (162) 로 덮힐 수 있어, 열림 및 닫힘 운동의 다른 순서 및 다른 텅 변위가 쉽게 세트될 수 있다.
도 5 에서, 모듈 캐리어 (11) 와 선회 캠 (111) 간에 배열되어 제어축 (3) 상에 끼워맞춤되며, 모듈 캐리어 (11) 를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대해 선회시키도록 작용하는 두 개의 푸시 로드 (112) 를 볼 수 있고, 이는 도 8 및 도 9 와 병행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또한, 도 6 은 모루 (8) 상에 배열되어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U4) 에서 텅의 정확한 수직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용하는 자 (rule, 80) 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텅 케이싱 (1) 에는 롤러 (101) 가 제공되며, 이 롤러에 의해 텅 케이싱은 자 (80) 상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U4) 에서의 텅의 수직 위치결정의 정확성은 운반 방향으로 텅 케이싱 (1) 을 하강시키며 변위시키는 작동의 정확성과 무관하다. 텅 케이싱 (1) 상에 롤러 (101) 를 끼워맞춤하기 위한 두 개의 변형예는 도 10 및 도 11 을 병행해서 기술될 것이다.
도 7
연결 장치 (180) 를 향해 있는 그 단부에서, 텅 아암 (14) 은 제 1 큐빅부 (182) 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핀 (146) 을 갖는다. 또한, 연결 장치 (180) 는 제 2 연결핀 (18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큐빅부 (181) 를 구비하며, 이 제 2 연결핀은 제 1 연결핀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되어 있으면서 텅 구동 레버 (18) 상에 끼워맞춤된다. 두 개의 큐빅부는 미끄럼 면 (183, 183') 을 경유해서 서로에 대해 회전되고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은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대해 텅 구동 레버 (18) 를 갖는 텅 아암 (14) 과 모듈 캐리어 (11) 를 선회시키는 중에도 텅 캠 (14) 에 대해 구동 레버 (18) 의 운동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텅 아암 (14) 의 상이한 레버 길이 (점선으로 표시됨) 는 텅 모듈을 교체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큐빅부 (181, 182) 는 회전될 수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는 두 개의 상이한 미끄럼 면을 경유해서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장치 (180) 의 정반대편에 있는 그 단부에서, 텅 구동 레버 (18) 에는 레버의 기본 본체부로부터 떨어져 직각으로 연장하고 롤러 레버 (17) 로 된 연장부 (184) 가 제공된다.
도 8 및 도 9
텅이 다이 홀더 (7) 에 부딪히거나 또는 이 다이 홀더에 끼워맞춤된 다이가 텅 케이싱 (1) 이 상승될 때 텅 베어링 모듈 캐리어 (11) 의 바닥부에 부딪히느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모루 (8) 를 향하게 되며, 동시에 모듈 캐리어 선회 스핀들 (113) 을 중심으로 모루 (8) 를 향해 선회된다. 이 선회는 제어축 (3) 상에 끼워맞춤된 선회 캠 (111) 에 의해 제어되며, 선회 스프링 (114) 은 푸시 로드 (112) 의 하나의 단부에 대해 바닥 모듈 캐리어 부분을 압착시키는 힘을 가하며, 다른 하나의 단부는 선회 캠 (111) 에 지지된다. 비대칭 로우딩 (loading) 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 개의 선회 스프링 (114), 두 개의 푸시 로드 (112) 및 두 개의 선회 캠 (111) 이 제공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5).
도 8 에서, 텅 케이싱 (1) 은 전체 범위에 대해 모루 (8) 로부터 떨어져 상승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으며, 텅 케이싱 (1) 은 다이를 교체하거나 또는 다이 공간의 보수 작업을 실행할 목적으로 이 위치로 이동된다.
도 10 및 도 11
도 10 에 도시된 변형에서, 성형 영역 (U1, U2, U3, U4) 에서의 텅의 정확한 수직 위치결정을 위해서, 텅 케이싱 (1) 은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상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롤러 (101) 를 경유해서 모루 (8) 상에 끼워맞춤된 자 (80) 상에 지지되는 반면에 도 11 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롤러 (101) 는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위치결정부 (103) 상에 끼워맞춤되고, 텅 케이싱 (1) 이 상승된 상태에 있을 때 조차 자 (80) 와 롤러 (10) 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
화살표 X 방향의 횡방향 운반 관 (2) 의 전후방 운동을 위한 횡방향 운반 구동장치 (4) 는 횡방향 운반 관 (2) 에 대해 직각인 구동축 (41) 을 구비하며, 두 개의 크랭크 (42, 43) 및 두 개의 연결봉 (44, 45) 을 경유해서 횡방향 운반 관 (2) 에 대해 평행하게 두 개의 안내봉 (46, 47) 에 의해 이루어진 크로스헤드 (40) 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안내봉 (46, 47) 은 체결 구성요소 (461, 462, 471, 472) 에 의해 기계장치 본체부 (6) 상에 끼워맞춤된다.
횡방향 운반 관 (2) 의 하나의 단부는 크로스헤드 (40) 에 장착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받도록 이 크로스헤드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횡방향 운반 관 (2) 의 회전에 의한 텅 케이싱 (1) 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횡방향 운반 관 (2) 의 횡방향 변위에 의한 텅 케이싱 (1) 의 전후방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8
여기서 제어축 (3) 은 제어축 구동장치 (30) 에 의해 구동되며, 이 구동장치는 제어축 (3) 에 평행하게 배열된 구동축 (31) 을 갖는다. 구동축 (31) 의 회전은 휠 기구 (32) 를 경유해서 제어축 (3) 에 전달된다.
횡방향 운반 관 (2) 을 회전시키기 위한 횡방향 운반 관 회전장치 (5) 는 스핀들 (54)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동 레버 (53) 의 각각의 하나의 롤러 (531, 532) 가 지지되어 있는 두 개의 제어 캠 (51, 52) 을 구비한다. 보강 레버 (56) 는 관절 핀 (55) 을 경유해서 구동 레버 (53) 상에 연접된다. 보강 레버 (56) 는 도 15 에 도시된 출발 위치에서 보강 스프링 (50) 에 의해 구동 레버 (53) 상에 제공된 접촉면 (533) 에 대해 구속된다. 보강 레버 (56) 는 또 다른 관절 핀 (57) 을 경유해서 연결봉 (58) 의 바닥 단부에 연접된다. 연결봉 (58) 의 상단부는 횡방향 운반 관 (2) 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연결봉 운동을 횡방향 운반 관 (2) 에 전달하는 슬리브형 전동 레버 (59) 에 연결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예컨대 횡방향 운반 관 (2) 과 전동 레버 (59) 간의 유체 실린더 제어가능한 압축 연결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제대로 압축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텅 케이싱 (1) 을 이 텅 케이싱이 완전한 범위로 상승되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처음 위치에서, 텅 케이싱 (1) 은 하부 위치에 위치되며, 텅은 세 개의 제 1 성형 스테이션 (U1, U2, U3) 에 배치된다. 텅이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 (U2, U3, U4) 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횡방향 운반 관 (2) 이 횡방향 오른쪽으로 변위되는 경우, 이 때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 (58) 의 상단부는 오른쪽으로 변위되며, 제 1 운동 상태에서 연결봉 (58) 이 수직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관절 핀에 배치된 보강 레버 (56) 의 그 단부를 따라 관절 핀 (57) 은 하부로 구속되며 접촉면 (561) 은 상부로 구속된다. 화살표 (Y) 방향으로 제어 캠 (51, 52) 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안, 구동 레버 (53) 는 처음에는 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갭 (500) 은 두 개의 접촉면 (533, 561) 간에서 개방된다.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횡방향 운반 관 (2) 의 제 2 상태에서, 관절 핀에 배치된 보강 레버 (56) 의 단부를 따라 관절 핀 (57) 은 상부로 다시 이끌리고 접촉면 (561) 은 하부로 구속되기 때문에, 갭 (500) 은 다시 닫힌다.
이에 따라, 횡방향 운반 관 (2) 과 연결봉 (58) 의 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직립 위치에서의 연결봉 (58) 의 위치결정이 방해받을 수 있어 횡방향 운반 관의 원치 않는 회전이 방지된다.
도 18 에 도시된 위치에서, 텅 케이싱 (1) 은 오른쪽의 횡방향 변위의 단부에 위치되며, 이 위치에서 작업소재 (W1, W2, W3) 는 성형 스테이션 (U2, U3, U4) 에 의해 이미 수용되어, 텅 그리퍼에 의해 해제된다. 계속해서 회전하는 제어 캠 (51, 52) 에 의해, 구동 레버 (53) 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보강 레버 (56) 의 접촉면 (561) 은 상부로 구속되며, 관절 핀 (57) 은 하부로 구속된다. 그 결과로, 연결봉 (58) 은 하부로 이끌려, 전동 레버 (59) 를 경유해서, 횡방향 운반 관 (2) 을 회전시키며, 텅 케이싱 (1) 이 상승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텅 케이싱 (1) 은 후퇴하려는 상태에 있다.
텅 케이싱 (1) 을 후퇴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해, 비록 갭이 생기지 않더라도 이동 순서는 역순으로 일어난다.
전술한 운반 장치에 따라 또 다른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텅의 정확한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변형예의 대안으로서, 롤러 (101) 가 모루 (8) 상에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 (80) 가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또는 위치결정부 (103) 상에 끼워맞춤되거나 또는 미끄럼작용 안내수단이 구름작용 안내수단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여기에 명백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제어축 (3) 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신에, 베벨 기어 기구 (150) 에 속하며, 제어축 (3) 상에 배열된 베벨 기어 상에서 구르는 텅 구동축 (15) 상에 배열된 베벨 기어에 의해 텅 케이싱 (1) 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동안 변위되는 텅의 열림 및 닫힘 이동 속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텅 케이싱 (1) 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동안 이 속도가 적절하게 변화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작업소재 (W1, W2, W3) 는 상호작용하는 텅 그리퍼 (130, 140) 를 갖는 텅에 의해 성형 영역 (U1, U2, U3) 에서 파지되며 인접한 성형 스테이션 (U2, U3, U4) 으로 운반되어 이 스테이션에서 해제되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기계장치의 성형 영역에서 고정 베어링에 안내되며, 성형기와 동조하여 구동되는 횡방향 운반 관 (2) 을 가지며, 이 운반 관 상에서 텅의 운반을 실행하는 텅 케이싱 (1) 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운반 관에는 한편으로는 텅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횡방향 운반 관 (2)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축 (3) 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운반 수단이 배열되어 있는 금속부의 비절삭 성형을 실행하는 다단 성형기에서 작업소재를 자동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 케이싱 (1) 은 상기 작업소재 (W1, W2, W3) 가 위쪽으로부터 측면으로 파지되도록 하는 일 세트의 텅을 갖는 하나 이상의 교체가능한 텅 모듈 (12a, 12b, 12c) 이 배열되어 있는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를 구비하며, 각각의 세트의 텅은 연결위치 (19) 를 경유해서 이 텅의 관련 운반 수단에 연결되고, 이 운반 수단은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배열되어 있으면서 텅의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텅 캠 (16) 을 가지며, 텅은 적절한 지레장치를 갖는 텅을 구비한 텅 모듈 (12a, 12b, 12c) 을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텅 캠 (16) 을 조절하거나 또는 교체함으로써 상기 작업소재 (W1, W2, W3) 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트의 텅은 양팔 레버로 되어 있으면서 텅 그리퍼 (130, 140) 를 갖는 두 개의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 텅 아암 (13, 14) 을 구비하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텅 아암 (14) 은 관련 연결 위치 (19) 를 경유해서 관련 전동 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회전하는 동안 동시에 두 개의 텅 아암 (13, 14) 상에 배열되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안내면 (135, 145) 을 경유해서 다른 텅 아암 (13) 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레버 아암의 상이한 구성 및 텅 아암 (13, 14) 의 선회 관절부 (132, 142) 의 상이한 배치로 인해 교체가능한 텅 모듈 (12a, 12b, 12c) 이 상이한 지레장치를 갖지만 동일한 연결 위치 (19) 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세트의 텅에 배치된 상기 전동 수단은 제어축 (3) 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베벨기어 기구 (150) 를 경유해서 상기 제어축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텅 구동축 (15) 을 구비하며, 상기 텅 구동축 상에 텅 캠 (16) 이 배열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레버를 경유해서 상기 텅 구동축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연결 위치 (19) 를 경유해서 텅 또는 하나의 텅 아암 (14) 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텅 캠에 의해 텅의 닫힘 및 열림 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운반 관 (2) 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성형 영역 외부로 배열된 횡방향 운반 관 회전 장치 (5) 에 의해 횡방향 운반 관 (2) 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텅 케이싱 (1) 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모듈 (12a, 12b, 12c) 은 모듈 캐리어 선회 스핀들 (113) 을 경유해서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연결된 모듈 캐리어 (11) 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텅 케이싱 (1) 이 상승될 때 상기 텅 모듈 (12a, 12b, 12c) 을 갖는 모듈 캐리어 (11) 는 정반대편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에 대해서 모듈 캐리어 (11) 의 선회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텅 캠 (111) 이 제어축 (3)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푸시 로드 (112) 또는 레버는 상기 선회 캠 (111) 과 상기 모듈 캐리어 (11) 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위치 (19) 는 상기 모듈 캐리어 선회 스핀들 (113) 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위치는 교차 연결 핀 (146, 185)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면서 다른 하나의 미끄럼 면 상에 하나의 미끄럼 면이 위치하도록 된 미끄럼 면 (183, 183') 을 경유해서 연결을 야기하는 두 개의 큐빅부 (181, 182) 를 각각 구비한 연결 장치 (18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 케이싱 (1) 은 그 하부 위치에서 모루 (1) 상에 지지되며, 이 지지는 구름-작용 또는 미끄럼-작용 안내 수단을 경유해서 이루어지고, 이 지지로 인해 성형 영역 (U1, U2, U3, U4) 에서의 텅의 수직위치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확보하는 성형기의 다이 공간에 모루 (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작용 안내 수단은 자 (80) 및 하나 이상의 롤러 (101) 를 구비하며, 상기 자 (80) 는 모루 (8) 상에 배열되고, 상기 롤러 (101) 또는 롤러들은 상기 텅 케이싱 (1) 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배열되며, 상기 롤러 (101) 또는 롤러들 또는 자 (80) 는 상기 텅 케이싱 기본 본체부 (10) 상에 또는 상기 기본 본체부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위치결정부 (103) 상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텅 케이싱 (1) 이 상승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자 (80) 와 롤러 (101) 또는 롤러들의 접촉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운반 관 (2) 의 하나의 단부는 성형 영역의 외부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두 개의 안내봉 (46, 47) 에 의해 상기 운반 관 (2) 에 평행하게 협지되는 크로쓰헤드 (40) 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단부는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받도록 이 크로쓰헤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운반 관 (2) 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 운반 관 구동 장치 (4) 는 구동축 (41) 을 가지며, 이 구동축에 대해 하나 또는 두 개의 크랭크 (42, 43) 와 이에 따른 하나 또는 두 개의 연결봉 (44, 45) 를 경유해서 크로쓰헤드 (40) 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는 고온 성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10828A 1996-10-03 1997-09-29 다단식성형기의작업소재자동운반장치 KR100322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41096 1996-10-03
CH2410/96 1996-10-03
PCT/CH1997/000366 WO1998014289A1 (de) 1996-10-03 1997-09-29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an einer mehrstufigen umform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97A true KR20000022397A (ko) 2000-04-25
KR100322945B1 KR100322945B1 (ko) 2002-10-25

Family

ID=423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28A KR100322945B1 (ko) 1996-10-03 1997-09-29 다단식성형기의작업소재자동운반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47578B1 (ko)
EP (1) EP0929370B1 (ko)
JP (1) JP3397327B2 (ko)
KR (1) KR100322945B1 (ko)
CN (1) CN1072045C (ko)
AU (1) AU4293597A (ko)
CZ (1) CZ288949B6 (ko)
DE (1) DE59703614D1 (ko)
EA (1) EA000551B1 (ko)
ES (1) ES2157069T3 (ko)
TW (1) TW378163B (ko)
UA (1) UA49038C2 (ko)
WO (1) WO1998014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72529C2 (en) * 1999-07-29 2005-03-15 Hatebur Umformmaschinen Ag Lifting and lowering device
TWM458366U (zh) 2012-11-30 2013-08-01 Shimano Kk 驅動裝置、及座墊支柱驅動機構
CN115338303B (zh) * 2022-08-22 2023-08-18 东莞市京优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龙门型高速冲床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9800A1 (de) * 1977-09-13 1981-02-12 Nedschroef Octrooi Maats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bolzen, muttern o.dgl. auf werkzeugmaschinen
EP0206186B1 (de) 1985-06-24 1989-01-04 Hatebur Umformmaschinen AG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an einer mehrstufigen Umformmaschine
US4966028A (en) * 1988-11-14 1990-10-30 Kabushiki Kaisha Sakamurakikai Seisakusho Multi-stage cold forging machine
US5713236A (en) * 1995-02-08 1998-02-03 The National Machinery Company, Pick and place transfer
JP3037672U (ja) * 1996-11-11 1997-05-20 株式会社阪村機械製作所 多段式圧造成形機の素材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199900076A1 (ru) 1999-08-26
JP3397327B2 (ja) 2003-04-14
CZ288949B6 (cs) 2001-10-17
CZ111399A3 (cs) 2000-07-12
UA49038C2 (uk) 2002-09-16
ES2157069T3 (es) 2001-08-01
CN1072045C (zh) 2001-10-03
EA000551B1 (ru) 1999-10-28
JP2000507509A (ja) 2000-06-20
KR100322945B1 (ko) 2002-10-25
AU4293597A (en) 1998-04-24
WO1998014289A1 (de) 1998-04-09
TW378163B (en) 2000-01-01
EP0929370B1 (de) 2001-05-23
EP0929370A1 (de) 1999-07-21
CN1228723A (zh) 1999-09-15
US6247578B1 (en) 2001-06-19
DE59703614D1 (de)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75944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cintrage automatique de tubes metalliques
CN110607431B (zh) 一种用于轮毂轴承淬火回火的自动线设备
JPH04501825A (ja) 鋼ロッドを曲げて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を製造する装置
US4632618A (en) Feed storage for drill rods for a long-hole drilling apparatus
JPH0724882B2 (ja) 回転円筒状部材のための調整可能な案内装置
JP3231671B2 (ja) 鍛造プレス機のビレット供給装置
JP2650076B2 (ja) ガラス管用回転チャック
EP1855820B1 (en) Bending apparatus for bar-like metal sections
CA2298204C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sections from tubes, preferably of glas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process
JPS605381B2 (ja) 多段横送りプレスの加工品自動送り装置
KR20000022397A (ko) 다단식 성형기의 작업소재 자동운반장치
JPH06315842A (ja) 鋼管加工装置の補助保持装置
US3400836A (en) Retracting clamp
US3965718A (en) Transfer mechanism
US4491451A (en) Work handling assembly for depositing a workpiece into the die space of a drop-forging press
JPH0237811B2 (ko)
NL8102859A (nl) Overbrengmechanisme voor een smeedmachine.
CN114030849B (zh) 一种钢管内外壁涂覆生产线的上件装置
CN211495857U (zh) 一种套筒自动加工生产线
NL8503377A (nl) Hanteringsinrichting voor montagedelen.
US20060175178A1 (en) Clamping device and device for transferring lolliops
JPS5851776B2 (ja) 被加工物の鍛造機械
MXPA01010942A (es) Aparato rotatorio de transferencia con una leva en linea.
CN219900425U (zh) 一种具有防烫伤结构的金属切割机
KR820000318B1 (ko) 철도용 레일고정 클립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