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139A -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139A
KR20000011139A KR1019980709299A KR19980709299A KR20000011139A KR 20000011139 A KR20000011139 A KR 20000011139A KR 1019980709299 A KR1019980709299 A KR 1019980709299A KR 19980709299 A KR19980709299 A KR 19980709299A KR 20000011139 A KR20000011139 A KR 2000001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nent
formula
compound
curab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아키 나카니시
고지 히메노
신타로 고미츠
Original Assignee
후루타 다케시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타 다케시,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타 다케시
Publication of KR2000001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13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J23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페놀계 화합물, (B) SiH기를 갖는 화합물 및 (C) 발포제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상온 또는 비교적 저온의 가열하에서 발포 경화할 수 있고, 또 저부식성, 저독성인 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페놀계 발포체는 기계특성, 난연성 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방음, 단열, 지수(止水), 기밀(氣密), 제진(制振), 보호, 쿠션, 장식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페놀계 발포체로는 산성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노볼락계와 알카리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레졸계가 있지만 노볼락계를 경화시키기위해서는 가열이 필요하며 용도에 제한이 있다. 레졸계는 산촉매에 의해 상온에서 경화시킬 수 있지만 산에 의한 금속의 부식의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해 중화제의 첨가 등이 검토되고 있지만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저온의 가열하에서 발포 경화하고, 저부식성인 발포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대해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 방법과 같이 산을 사용하지 않고, 전혀 다른 경화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상온 또는 비교적 저온의 가열하에서 발포 경화시킬 수 있고, 또 저부식성, 저독성인 경화성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한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온 또는 비교적 저온의 가열하에서 발포 경화하는 것에 의해 저부식성, 저독성인 발포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경화성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A)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페놀계 화합물, (B)SiH기를 가진 화합물, (C)발포제가 함유된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함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A) 성분과 (B)성분은 히드로시릴화 반응에 의해 부가형 가교반응을 실시함에 의해 상온 또는 비교적 저온으로 경화한다. 이 반응열에 의해 (C)성분이 발포제로서 작용하여 발포체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C)성분(발포제)이 기화열 또는 분해열로서 열을 흡수함에 의해 반응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셀 구조가 미세하고 발포율이 높은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D)성분으로서 히드로시릴화 반응 촉매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인 페놀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화학식 3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구조를 분자골격으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2, R3은 탄소수 1∼6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R4, R5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 l은 1∼300의 정수, p, q는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6, R7, R8은 탄소수 1∼6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R9, R10, R11은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 l, s는 1∼300의 정수, p, q, r은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12는 탄소수 0∼6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R13, R14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10의 1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B)성분인 SiH기를 가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4에서, m≥2, n, l, p≥0, 10≤(m+n+1)×p≤80이고, R16, R17, R18, R19는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R15는 실질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 및/또는 히드로시릴기와 알케닐방향족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C)성분인 발포제로서는 비점 100℃이하의 휘발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휘발성 화합물은 탄화수소, 프론, 이산화탄소, 공기, 질소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조성물에서 발포체를 얻는데는 (A)성분 및 (B)성분의 각각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2종류 이상의 조성물을 조제한 후, 그것들을 혼합함에 의해 발포 경화시킨다.
또는 (A)성분 및 (B)성분의 각각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2종류 이상의 조성물을 조제하여 이것들을 사용 직전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기재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주입하여 발포 경화시킨다.
본 발명의 (A)성분은 (B)성분과의 히드로시릴화에 의한 부가형 가교 반응이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것 이외에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성형체의 기계적 특성의 발현에 필요한 페놀계 수지 골격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원재료 입수의 간편함으로 보아 하기 화학식 1∼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2, R3은 탄소수 0∼6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R4, R5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 l은 1∼300의 정수, p, q는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6, R7, R8은 탄소수 1∼6의 2가치환기를 나타내며, R9, R10, R11은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 l, s는 1∼300의 정수, p, q, r은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12는 탄소수 0∼6의 2가 유기기를 나타내며, R13, R14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10의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페놀계 수지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페놀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레졸신, 카테콜, 피로갈롤 등을 사용한 노볼락 및 또는 레졸형 페놀이나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등 비스페놀계 화합물류가 예시된다.
알케닐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페놀 수지 골격을 합성후에 알케닐기를 도입하는 방법과 알케닐기를 가진 화합물을 일부 또는 전체에 사용하여 페놀 수지 골격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페놀 수지 골격을 합성한 후에 알케닐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말단,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수산기, 알콕시드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를 가진 주사슬 골격을 미리 합성하고, 그 관능기에 대해 반응성을 나타내는 활성기와 알케닐기의 양쪽을 가진 유기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알케닐기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에 대해 반응성을 나타내는 활성기와 알케닐기의 양쪽을 가진 유기화합물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초산, 아크릴산 클로라이드, 아크릴산 브로마이드 등의 C3-C20의 불포화지방산, 산할라이드, 산무수물등이나 비닐알콜, 아릴알콜, 3-부텐-1-올, 4-펜텐-1-올, 5-헥센-1-올, 6-헵텐-1-올, 7-옥텐-1-올, 8-노넨-1-올, 9-데센-1-올, 2-(아릴옥시)에탄올, 네오펜틸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글리세린디알릴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펜디알릴에테르, 트리메티롤에탄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알릴에테르, 1, 2, 6-헥산트리올디알릴에테르, 솔비탄디알릴에테르, 비닐벤질알콜 등의 불포화 지방족 알콜,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CH2=CHCH2OCOCl), 알릴브로모포르메이트(CH2=CHCH2OCOBr) 등의 C3-C20의 불포화지방족 알콜 치환 탄산 할라이드, 알릴클로라이드, 알릴브로마이드, 비닐(클로로메틸)벤젠, 알릴(클로로메틸)벤젠, 알릴(브로모메틸)벤젠, 알릴(클로로메틸)에테르, 아릴(클로로메톡시)벤젠, 1-부테닐(클로로메틸)에테르, 1-헥세닐(클로로메톡시)벤젠, 알릴옥시(클로로메틸)벤젠,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반응으로서는 페놀기와 할로겐화 알릴화합물을 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관능시키는 방법이나 페놀기와 알릴글리시딜에테르를 에폭시화 촉매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 이소시아네이트와 알릴알콜을 우레탄하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한, 에스테르 교환법을 이용하여 알케닐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폴리에스테르수지나 아크릴수지의 에스테르부분의 알콜잔기를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이용하여 알케닐기 함유 알콜 또는 알케닐기 함유 페놀 유도체와 에스테르 교환하는 방법이다. 알콜잔기와의 교환에 이용하는 알케닐기 함유 알콜 및 알케닐기 함유 페놀 유도체는 적어도 1개의 알케닐기를 갖고,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가진 알콜 또는 페놀 유도체이면 좋다. 촉매는 사용해도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지만 사용한다면 산 또는 티탄계 및 주석계의 촉매가 바람직하다.
알케닐기를 가진 화합물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용하여 페놀 수지 골격을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이중결합을 가진 방향족 화합물과 페놀류를,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나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알릴페놀과 다른 페놀류를 산 또는 염기존재하에서 포름알데히드에 의해 중축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A) 성분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수는 1분자당 평균이 1.0개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의 1분자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수가 1개 이하의 경우는 (B)성분과 반응해도 가교 구조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A) 성분의 구조는 선상이라도 갈라진 형상이라도 좋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B)성분과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형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 100∼1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1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인 SiH기를 가진 화합물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슬형상, 고리형상의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이나 히드로시릴기를 함유하는 분자량 30, 000이하의 유기계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사슬형상, 고리형상의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4 또는 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m≥2, n, l, p≥0, 10≤(m+n+1)×p≤80이고, R16, R17, R18, R19는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R15는 실질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 및/또는 히드로시릴기와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5에서, m≥2, n, l, p≥0, 3≤(m+n+1)×P≤20이고, R15는 실질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 및/또는 히드로시릴기와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16, R1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화학식 4, 화학식 5로 나타내는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을 얻는 방법으로는 말단에 이중결합(예를 들면 아릴기)이나 히드록실기 등의 SiH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진 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과,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과의 반응에 의한 방법이나 미리 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을 가진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겐 실록산을 합성하는 방법이나 또는 상기 규소 화합물과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의 재분배 반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화학식 6, 화학식 7, 즉
(상기 화학식 6에서, m≥2, 1, p≥0, 10≤(m+1)×p≤80이고, R16, R17, R18, R19는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화학식 7에서, m≥2, 1, p≥0, 3≤(m+1)×p≤20이고, R16, R1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로 나타내어지는 사슬형상, 고리형상의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과,
H2C=CH-Ph
H2C=C(CH3)-Ph
H2C=CHCH2-[(PO)n-(EO)m]l-OH
H2C=CHCH2-[(PO)n-(EO)m]l-OCH3
H2C=CHCH2-[(PO)n-(EO)m]l-OC2H5
H2C=CHCH2-[(PO)n-(EO)m]l-OC3H7
H2C=CHCH2-[(PO)n-(EO)m]l-OC4H9
H2C=CHCH2-[(PO)n-(EO)m]l-OPh
HO-[(PO)n-(EO)m]1-CH3
HO-[(PO)n-(EO)m]1-C2H5
HO-[(PO)n-(EO)m]1-C3H7
HO-[(PO)n-(EO)m]1-C4H9
HO-[(PO)n-(EO)m]1-Ph
(1≤(m+n)×1≤80, m, n, l≥0)
등과의 반응이나, 화학식 6, 화학식 7로 나타내는 사슬형상이나 고리형상의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과,
(단, 5≤m≤80이고, R15는 분자량이 100∼10000의 폴리옥시알킬렌사슬 또는 탄소수 2∼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또는
(단, 3≤m≤20이고, R15는 분자량이 100∼10000의 폴리옥시알킬렌사슬 또는 탄소수 2∼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등의 재분배, 평형화 반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외의 히드로시릴기를 함유하는 분자량 30,000 이하의 유기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하기 화학식 8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X는 적어도 1개의 히드로시릴기를 포함하는 기, R20은 탄소수 2∼150의 1∼4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는 1∼4에서 선택되는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8중, X는 적어도 1개의 히드로시릴기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지만,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 화학식 9∼화학식 11 등으로 나타내어진다. 각종의 다가 하이드로겐실록산으로부터 유도된 히드로시릴기,
(상기 화학식 9에서, 1≤(m+n)×1≤10, n≥1이고, R21은 메틸기, 에틸기, 페닐기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Z는 구성원소로서 C, H, N, O, S, Si, 할로겐만을 포함하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0 및 화학식 11에 있어서, 1≤(m+p)×l+(n+q)×r≤10, m+n≥1, l, p, q, r≥0이고, R21은 메틸기, 에틸기, 페닐기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Z는 구성원소로서 C, H, N, O, S, Si, 할로겐만을 포함하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및
등의 히드로시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9∼화학식 11에 있어서 2가의 치환기(Z)로서는,
가 예시된다. 또한, 이 2가의 치환기의 2개 이상이 공유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2가 치환기(Z)를 구성해도 좋다.
상기 화학식 9∼화학식 11로 나타내는 히드로시릴기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를 들 수 있다.
상기 각종 히드로시릴기중, (B)성분의 다른 성분에 대한 상용성을 손상할 가능성이 적은 점, 또 히드로시릴기의 반응성을 고려하면 특히 하기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8중의 R20은 상기 X와 직접 공유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1가∼4가의 유기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서는,
를 들 수 있다(상기 화합물, 비시클로 고리를 가진 화합물의 파선은 엔도, 엑소중 어느것이라도 좋은 것을 나타냄). 그 중에서도 (A)성분과의 상용성의 점에서
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8로 나타내는 히드로시릴기를 함유하는 유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고,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i)분자내에 SiCl기를 가진 경화제 전구체를 LiAlH2, NaBH4등의 환원제로 처리하여 상기 경화제 전구체중의 SiCl기를 SiH기로 환원하는 방법, (ii) 분자내에 관능기 X를 가진 유기화합물과 분자내에 이 관능기 X와 반응하는 관능기 Y 및 히드로시릴기를 동시에 가진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방법, (iii)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에 대해 적어도 2개의 히드로시릴기를 가진 폴리히드로실란 화합물을 선택 히드로시릴화하는 것에 의해 반응후도 히드로시릴기를 상기 유기화합물의 분자중에 잔존시키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상기 방법중, (iii)의 방법이 제조공정이 일반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 경우, 일부의 폴리히드로실란 화합물의 히드로시릴기의 2개 이상이 유기 화합물의 알케닐기와 반응하고, 분자량이 증대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와같은 유기화합물을 (B)성분으로서 이용해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 (B)성분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중의 (B)성분의 히드로시릴기의 갯수에 대해서는 적어도 1분자중에 평균적으로 1개 있으면 되지만 상용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성분과 (B)성분을 히드로시릴화 반응에 의해 경화시킬 경우, 상기 히드로시릴기의 갯수가 2개 미만이면 경화가 늦고 경화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배합 비율은 각 성분의 구조, 목적으로 하는 물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A)성분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몰수(x)와, (B)성분의 SiH기의 몰수(y)와의 비율이 x:y=1:30∼3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0:1이다. (A)성분의 비율이 이것보다 과잉이면 가교 밀도가 낮아져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반대로 (B)성분의 비율이 이것 보다 과잉이면 충분한 가교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있다.
본 발명중의 (C)성분인 발포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통상 폴리우레탄, 페놀,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등의 유기 발포체에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정된 발포체를 제조하는데는 휘발성 화합물을 발포제로서 미리 조성물에 첨가하고 발열이나 감압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발포제가 휘발성 화합물인 경우에는 그 비점은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장치나 취급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면 비점이 -30℃에서 35℃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성과 안정성의 면에서 탄화수소, 프론, 에테르 등의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질소, 공기 등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로서는 메탄, 에탄,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n-헥산, 2-메틸펜탄, 3-메틸펜탄, 2,2-디메틸부탄, 2,3-디메틸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프론류로서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R11),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2),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R13), 브로모트리플루오로메탄(R13B1), 테트라플루오로메탄(R14),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R21),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22), 트리플루오로메탄(R23), 디플루오로메탄(R32), 플루오로메탄(R41),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12),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R113),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R114),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R114B2), 클로로펜타플루오로에탄(R115), 헥사플루오로에탄(R116),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R123), 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 디클로로플루오로에탄(R141b), 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R142b), 디플루오로에탄(R152a), 옥타플루오로프로판(R218), 디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R225), 헥사플루오로프로판(R236ea), 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 옥타플루오로시클로부탄(RC318), 헥사플루오로부탄(R356mffm), 펜타플루오로부탄(R365mfc), 데카플루오로헥산(R4310mee) 등을 들 수 있다. 환경 문제 등을 고려하면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보다는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 이른바 대체 프론이 바람직하고, 또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테트라플루오로에탄, 디플루오로에탄, 옥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판, 옥타플루오로시클로부탄, 헥사플루오로부탄, 펜타플루오로부탄이 특히 우수하다.
에테르류로서는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부틸메틸에테르, 부틸에틸에테르, tert-부틸메틸에테르, tert-부틸에틸에테르, 1,1-디메틸프로필메틸에테르, 메틸펜타플루오로에틸에테르, 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테르, 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 테트라플루오로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발포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NaHCO3, (NH4)2CO3, NH4HCO3, NH2NO2, Ca(N3)2, NaBH4등의 무기계 발포제,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바륨아조디카르복시레이트,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파라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등의 유기계 발포제, 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수소기 함유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발생, 기계적인 교반 등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D)성분으로서 히드로시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히드로시릴화 촉매로서는 백금의 단량체,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블럭 등의 담체에 고체 백금을 담지시킨 것,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과 알콜, 알데히드, 케톤 등과의 착체, 백금-올레핀착체(예를 들면, Pt(CH2=CH2)2(PPh3)2, Pt(CH2=CH2)2Cl2, 백금-비닐실록산 착체(예를 들면 Ptn(ViMe2SiOSiMe2Vi)n, Pt[(MeViSiO)4]m), 백금-포스핀 착체(예를 들면 Pt(PPh3)4, Pt(PBu3)4, 백금 포스파이트 착체(예를 들면, Pt[P(OPh)3]4, Pt[P(OBu)3]4) (식중, Me는 메틸기, Bu는 부틸기, Vi는 비닐기, Ph는 페닐기를 나타내며, n, m은 정수를 나타냄), 디카르보닐디클로로 백금, 카르스테트(Karstedt) 촉매, 또 애쉬비(Ashby)의 미국 특허 제 3159601호 및 제 3159662호 명세서중에 기재된 백금-탄화수소 복합체 및 라모로(Lamoreaux)의 미국 특허 제 3220972호 명세서중에 기재된 백금 알코라이트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모딕(Modic)의 미국 특허 제 3516946호 명세서중에 기재된 염화백금-올레핀 복합체도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또한, 백금 화합물 이외의 촉매의 예로서는 RhCl(PPh3)3, RhCl3, Rh/Al2O3, RuCl3, IrCl3, FeCl3, AlCl3, PdCl2·2H2O, NiCl2, TiCl4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는 촉매 활성의 점에서 염화 백금산, 백금-올레핀 착체, 백금-비닐실록산 착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촉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 병용해도 좋다.
촉매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iH기 1몰에 대해 10-1∼10-8몰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10-6몰의 범위이다.
상기의 촉매와 함께 조촉매로서 포스핀계 화합물 및 포스핀 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포스핀계 화합물로서는 트리페닐포스핀, PMe3, PEt3, PPr3(여기서, Pr은 프로필기를 나타냄. 이하 동일.), P(n-Bu)3, P(시클로-C6H11)3, P(p-c6H4Me)3, P(o-C6H4Me)3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핀 착체로서 예를 들면 Cr(CO)5PPh3, Cr(CO)4(PPh3)2(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 Cr(CO)3(PPh3)3(fac 및 mer 이성체), 이들 Cr화합물의 Mo 및 V류 연체, Fe(CO)4PPh3, Fe(CO)3(PPh3)2및 이들 Fe 화합물의 Ru 및 Os류 연체, CoCl2(PPh3), RhCl(PPh3)3, RhCl(CO)(PPh3)3, IrCl(CO)(PPh)2, NiCl2(PPh)2, PdCl2(PPh)2, PtCl2(PPh)2및 ClAu(PPh3)가 있다. 또, 트리페닐포스핀 이외의 포스핀을 함유하는 상기 금속의 착체 등과 같은 금속 착체도 유효한 조촉매가 될 수 있다. 또, P(OPh)3등과 같은 포스파이트, AsPh3등과 같은 알신 및 SbPh3등과 같은 스티빈을 함유하는 착체도 유효한 조촉매가 될 수 있다.
조촉매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촉매 1몰에 대해 10-2∼102몰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101몰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로는 또한 충전제, 노화방지제, 라디칼금지제, 자외선흡수제, 접착성개량제, 난연제,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알킬렌옥시드계 계면활성제 또는 유기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페닐에테르 등) 등의 정포제,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 보존 안정 개량제, 오존 열화 방지제, 광안정제, 증점제, 가소제,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도전성부여제, 대전방지제, 방사선차단제, 핵제, 인계 과산화물분해제, 활제, 안료, 금속불활성화제, 물성 조정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유리섬유, 탄소섬유, 마이카, 흑연, 규조토, 백토, 흄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무수규산, 알루미나, 카본블랙,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석영, 알루미늄미분말, 프린트분말, 아연말, 무기바룬, 고무그래뉴, 목분,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염화비닐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화방지제, 예를 들면 구연산이나 인산, 유황계 노화방지제 등이 사용된다.
상기 유황계 노화방지제로서는 멜캅탄류, 멜캅탄의 염류, 설피드카르본산 에스테르류나 힌더드 페놀계 설피드류를 포함하는 설피드류, 폴리설피드류, 디티오카르본산염류, 티오우레아류, 티오포스페이트류, 설포늄 화합물, 티오알데히드류, 티오케톤류, 멜캅탈류, 멜캅톨류, 모노티오산류, 폴리티오산류, 티오아미드류, 설폭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금지제로서 예를 들면 2, 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등의 페놀계 라디칼 금지제나 페닐-β-나프틸아민, α-나프틸아민, N, N’-제 2 부틸-p-페닐렌디아민, 페노티아진,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라디칼 금지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개량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나 아미노실란화합물, 에폭시실란화합물 등의 실란커플링제, 그외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접착성 개량제의 구체예로서는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쿠마론-인덴수지, 로딘에스테르수지, 테르펜페놀수지, α-메틸스티렌-비닐톨루엔공중합체, 폴리에틸메틸스티렌, 알킬티타네이트류, 방향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에폭시,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등의 할로겐계제,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폴리인산암모늄, 적인 등의 인계 난연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의 무기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난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병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과 반응 촉매, 또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혼합하고, 발포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발포체가 제조된다. 발포 경화시키는 온도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20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는 (A)성분과 (B)성분의 경화 반응의 속도가 너무 크고, 또 발포제(C)가 휘발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조성물의 배합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작업성면에서 경화성 조성물의 (A)성분과 (B)성분의 각각을 실질적인 성분으로 하는 2종류 이상의 조성물을 조제한 후, 그것들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C)는 (A)성분 또는 (B)성분중 어느 하나에 혼합하거나 또는 양쪽에 일부씩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 (A)성분, (B)성분의 혼합과 동시에 또는 혼합 종료후에 첨가해도 좋다. 반응 촉매 (D)의 첨가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상 용이한 방법을 선택하면 되고, (A)성분, (B)성분의 어느 하나에 혼합하여 사용해도 또 (A)성분, (B)성분의 혼합과 동시에 또는 혼합 종료후에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구조는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과 촉매 또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적당한 조합으로 사전에 혼합한 2액 또는 그 이상의 수의 다른 혼합물을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압출 또는 주입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혼합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핸드믹싱, 전동믹서, 스태틱믹서, 충돌 혼합 등의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발포체의 성형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압출 발포법, 연속 발포 방법, 주형 성형 방법, 불연속 성형방법 또는 현장 발포 시공방법등, 폴리우레탄폼, 페놀폼, 실리콘폼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발포 성형방법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속 발포방법으로서는 벨트콘베이어상에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필름상에서 자유롭게 발포시키는 슬래브발포법이나 종이, 베니어판, 금속판 등의 면재와 함께 성형하고, 라미네이트하는 더블 콘베이어법 등이 이용된다. 주형 성형방법은 소망의 형상의 틀내에 토출 발포시키고, 큐어 경화시켜 틀의 내면 형상에 따라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불연속 성형방법은 샌드위치 패널 등의 성형에 이용된다. 현장 시공 방법으로서는 일액형 간이 스프레이법, 이액형 스프레이법, 이액형 주입법, 이액형 도포법 등이 있고, 주로 건축 단열 용도에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예 1
온도계, 환류 냉각기, 적하로트, 교반모터를 구비한 4개의 구멍의 플라스크에 비스페놀A1 14g, 탄산칼륨 145g, 브롬화알릴 140g, 아세톤 250ml를 넣어 6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상청액을 취해 분액 로트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해 세정하고, 그 후 물로 세척했다. 기름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바, 담황색의 액체가 얻어졌다. 이 액체는1H-NMR의 측정에 의해 비스페놀A의 OH기가 알릴에테르화한 알릴화 비스페놀(알릴에테르형)인 것이 확인되었다.
합성예 2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알릴화 비스 페놀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180℃에서 3시간 가열한 바, 황갈색의 끈끈한 액체가 얻어졌다. 이 액체는1H-NMR의 측정에 의해 알릴기가 크라이젠 전위한 C-알릴화 비스 페놀인 것이 확인되었다(A-1).
합성예 3
온도계, 환류 냉각기, 적하로트, 교반모터를 구비한 4구멍의 플라스크에 노볼락형 페놀수지(PSM4261, 群榮化學(株)製, OH 함량 9.71mmol/g) 36.9g 및 아세톤 160ml를 넣어 탄산칼륨 50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알릴브로마이드 52g을 소량씩 적하한 후, 5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것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알칼리, 산의 순서로 세정한 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바, 담황색의 액체가 얻어졌다. 이 액체는1H-NMR의 측정에 의해 수산기가 알릴화된 O-알릴화노볼락형 페놀수지(알릴에테르형)인 것이 확인되었다(A-2).
합성예 4
1리터의 4개 구멍의 플라스크에 교반막대, 적하로트, 상부에 삼방향 코크를 부착한 냉각관, 온도계를 설정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신월화학(주), KF-99) 120g(SiH기 2.0mol), 백금-비닐실록산 착체의 크실렌 용액 241μl(백금원자로 하여 2.0×10-2mmol), 톨루엔 120ml를 넣었다. 혼합액을 80℃로 가열하고, 적하로트에서 한쪽 말단이 메틸기, 또 한쪽의 말단이 알릴기로 각각 변성된 에틸렌옥시드중합체(수평균분자량 350) 70g(알릴기 0.20mol)을 톨루엔 70ml에 용해시킨 것을 0.5시간 걸려 적하하고, 종료후 80℃에서 그대로 2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는 것에 의해 무색 투명 액체를 얻었다. 이 액체는1H-NMR의 측정에 의해 폴리알킬렌옥시드로 변성한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인 것이 확인되었다(B-1).
합성예 5
합성예 4에 준해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120g, 스티렌 52g(0.5mol)을 사용하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스티렌으로 변성한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을 무색 투명의 점액액체로서 얻었다(B-2).
합성예 6
200ml의 4개 구멍의 플라스크에 삼방향 코크 냉각관, 균압 적하 로트, 온도계, 마그네틱칩, 유리스토퍼를 부착하고 고리형상 폴리하이드로겐실록산(신월화학가부시키가이샤제, LS8600) 12.03g 및 톨루엔 20ml를 플라스크내에 넣은 후 질소 치환하였다.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하고 적하로트에서 염화백금산촉매용액(H2PtCl6·6H2O 1g을 에탄올 1g, 1, 2-디메톡시에탄 9g에 용해한 용액) 20μl, 톨루엔 30ml 및 1,9-데카디엔 2.76g의 혼합액을 플라스크내로 2시간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50℃로 또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100ml×2), 이온교환수(100ml×1)로 세정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휘발분을 제거하여 무색투명의 액체를 얻었다. 이 액체는 NMR 등에 의해 데카디엔의 양 말단이 고리형상 폴리실록산으로 변성된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다(B-3).
실시예 1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비스페놀(A-1) 15.4g에 백금 비닐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6g, HCFC141b 6.0g을 더해 교반한 조성물과 합성예 4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1.0g을 실온에서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 배율 약 6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2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비스페놀(A-1) 15.4g에 백금 비닐 실록산의 크실렌 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1g을 가해 교반한 조성물과 합성예 5에서 제조한 스티렌 변성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2) 20.4g과 HCFC141b 4.0g을 실온에서 빨리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 배율 약 5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3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비스페놀(A-1) 15.4g에 백금 비닐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6g, 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 10.0g을 가해 교반한 조성물과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1.0g을 실온에서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하고 발포배율 25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4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비스페놀(A-1) 10.8g에 백금 비닐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15g, 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 3.2g을 가하여 교반한 조성물과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0.6g을 실온에서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하여 발포배율 26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5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 비스 페놀(A-1) 10.8g에 백금-비닐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15g, 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 2.0g을 오토크레이브내에서 혼합한 조성물과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0.6g을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하고 발포배율 25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6
합성예 3에서 제조한 O-알릴화노볼락형 페놀수지(알릴에테르형)(A-2) 17.0g에 백금-비닐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6g, 시클로펜탄 5.0g을 가해 교반한 조성물과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0.7g을 실온에서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배율 약 6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7
합성예 2에서 제조한 C-알릴화 비스페놀(A-1) 15.4g에 백금-비닐 실록산의 크실렌용액(백금원자로 1.9중량%) 0.1g을 가해 교반한 조성물을 100mL의 스텐레스제 오토크레이브에 넣어 교반하면서 이산화탄소로 10kgf/㎠로 가압하였다(A액).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 메틸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1.0g을 다른 오토크레이브에 넣어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로 10kgf/㎠로 가압하였다(B액). A액과 B액을 히터로 온도 조절하면서 서서히 토출한 결과 발포 배율 약 5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 기재된 C-알릴화 비스 페놀, 백금-비닐실록산용액, 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의 혼합물 14.2g과 변성 메틸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B-1) 10.6g을 스태틱믹서에 의해 혼합하고 덮개가 있는 알루미제 용기(세로 15㎝, 가로 15㎝, 깊이 2.5㎝)에 주입한 바, 용기내에서 발포가 생기고 상기 크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9
실시예 4에 기재한 C-알릴화비스페놀, 백금-비닐실록산용액, 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의 혼합물 14.2g과 변성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B-1) 10.6g을 각각 질소에 의해 가압하고 충돌 혼합시켜 스프레이간에서 토출시켜 수직인 콘크리트면에 분사하였다. 토출된 혼합물은 흘리지 않고 발포한 후 경화하는 것에 의해 표면이 평탄하고 균일한 두께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10
표면을 깨끗하게 닦은 냉열강판편을 실험예 1에서 제작한 발포체에 넣고 온도 35℃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중에 1주간 방치한 후 채취하여 관찰하였지만 녹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1
시판되는 레졸형 페놀수지 20.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4g, HCFC 141b 1.0g을 혼합한 것에 파라톨루엔설폰산 70% 수용액 1.4g을 첨가하여 혼합한 바, 발열과 함께 발포 배율 약 6배의 발포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온도 35℃ 상대습도 60%의 분위기중에 1주일간 방치한 바, 녹이 전면에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상온 또는 비교적 저온의 가열하에서 발포 경화시킬 수 있고, 또 저부식성, 저독성이기 때문에 방음, 단열, 지수, 기밀, 제진, 보호, 쿠션, 장식 등의 용도에 폭넓게 사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차량용 쿠션재, 천정재, 도어트림중재, 플로어쿠션 제진 흡음재, 카크라 단열재, 댐퍼용 에어시일재, 방수재, 가스켓, 에어필터, 센터피러카닛슈, 헤드라이너, 쿼터 트림, 더스트카바, 연료탱크내 세이프티폼, 오일필터, 플렉시블콘테이너, 크래슈패드, 선바이저, 헤드레스트, 인슐레이터, 대시보드, 도어패널, 피라, 콘솔박스, 에너지 흡수 범퍼, 냉동차·보냉차·탱크로리차·냉동콘테이너차 등의 단열재, 카바 방음재 등, 선박용 단열재, 부력재, FRP보드심재, 부이 등, 침장품용 쿠션재 등, 가구 등의 쿠션재, 패킹재 등, 전기·전자기기용 필터, 흡음 단열재, 프린터 흡음재, 헤드폰이어패드 등, 포장용 완충재, 건축용으로는 기둥·천정·벽·마루의 단열재, 수도배관 등의 카바, 도어패널, 사이징패널, 금속·사이징패널 등의 심재, 간막이 패널의 심재, 다다미·맹장재 심재, 바스탭 등의 단열 보온 심재, 목지재, 실링재, 케이블시일, 접착제, 시스템 천정 단열 패널, 옥상 단열 방수재, 냉동 창고·기밀 창고 등의 기밀 단열재, 플랜트의 탱크·배관의 보온·보냉재 등, 가전용으로는 냉장고·냉동고·전자자 등의 단열재, 룸쿨러의 결로방지제, 또 스포츠용품이나 의료품 및 화장용 퍼프, 어깨 패드, 슬리퍼, 샌들, 침봉, 완구 등 생활용품 용도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은 주형법에 있어서 물품 형상의 형을 만들거나 틀에서의 모델샘플 제작이나 장식품 제작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A)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페놀계 화합물,
    (B)SiH기를 갖는 화합물 및
    (C)발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D)성분으로서 히드로시릴화 반응촉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인 페놀계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화학식 3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구조를 분자 골격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2, R3은 탄소수 1∼6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R4, R5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내며, n, m, l은 1∼300의 정수, p, q는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6, R7, R8은 탄소수 1∼6의 2가치환기를 나타내며, R9, R10, R11은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6의 1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고, n, m, l, s는 1∼300의 정수, p, q, r은 0∼3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12는 탄소수 0∼6의 2가 치환기를 나타내며, R13, R14는 수산기 및/또는 탄소수 0∼10의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X, Y는 탄소수 0∼10의 2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n,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인 SiH기를 가진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m≥2, n, l, p≥0, 10≤(m+n+1)×p≤80이고, R16, R17, R18, R19는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로서, 1개 이상의 페닐기를 함유해도 좋다. R15는 실질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 및/또는 히드로시릴기와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인 발포제가 비점 100℃ 이하의 휘발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화합물이 탄화수소, 프론, 이산화탄소, 공기, 질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의 (A)성분 및 (B)성분의 각각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2종류 이상의 조성물을 조제한 후, 그것들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의 (A)성분 및 (B)성분의 각각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2종류 이상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들을 사용 직전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기재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주입하여 발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KR1019980709299A 1996-05-15 1997-05-14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KR20000011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31896 1996-05-15
JP8-120318 1996-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139A true KR20000011139A (ko) 2000-02-25

Family

ID=1478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299A KR20000011139A (ko) 1996-05-15 1997-05-14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31012A (ko)
EP (1) EP0899291B1 (ko)
KR (1) KR20000011139A (ko)
CN (1) CN1098297C (ko)
AT (1) ATE247149T1 (ko)
AU (1) AU2788197A (ko)
CA (1) CA2254916C (ko)
DE (1) DE69724117T2 (ko)
WO (1) WO19970433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68B1 (ko) * 2016-05-13 2016-08-10 (주)씽크에이티 이중 인증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4500A1 (fr) * 1997-11-06 1999-05-20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sine expansibl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mousse
US6271309B1 (en) * 1999-07-30 2001-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the hydrosilation product of olefin-containing polymers and organosiloxane hydrides, cured composition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60922A1 (de) * 2002-12-20 2004-07-15 Schmidt, Axel H. Dämpfungsmaterial und Grundstoff zu dessen Herstellung
JP2007504304A (ja) * 2003-08-29 2007-03-01 バテル・メモリアル・インスティテュート 増加した弾性率を有する構造コンポジット
US7686978B2 (en) * 2003-09-24 2010-03-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active materials onto active surfaces and devices made with such methods
JP2007517118A (ja) * 2003-12-24 2007-06-2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リーラジカルにより開始されるポリマーの架橋
JP3932293B2 (ja) * 2005-09-08 2007-06-20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発泡性レゾール型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および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
US8631586B2 (en) * 2006-03-31 2014-01-21 Pierre Carol Leroy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and child safety barrier therefor
US9752004B2 (en) * 2006-06-22 2017-09-0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Cell size enlargers for polystyrene foams
US8084765B2 (en) * 2007-05-07 2011-12-27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electric layer
JP2010540752A (ja) * 2007-10-08 2010-12-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ェノールノボラック発泡体及びこれらの製造用組成物
US8003730B1 (en) 2008-12-16 2011-08-23 Sandia Corporation Process for epoxy foam production
US8193256B1 (en) 2009-07-29 2012-06-05 Sandia Corporation Method for epoxy foam production using a liquid anhydride
US8470948B2 (en) * 2009-08-28 2013-06-25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s
US9914807B2 (en) 2013-11-18 2018-03-13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Thiol-ene polymer metal oxide nanoparticle high refractive index composites
US11518843B1 (en) * 2018-02-26 2022-12-06 Westlake Royal Building Products Inc. Polymeric materials with improved environmental durability
US11634553B2 (en) 2018-06-29 2023-04-25 Westlake Royal Building Products (Usa) Inc. Foam composit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464B2 (ko) * 1975-02-18 1977-12-09
US4018725A (en) * 1976-08-09 1977-04-19 H. H. Robertson Company Phenolic foam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596230A (ja) * 1982-07-05 1984-01-13 Chugoku Kako Kk 低腐蝕性及び低吸水性レゾ−ル型フエノ−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S6225690A (ja) * 1985-07-24 1987-02-03 ミクストン株式会社 回転昇降扉の取付片
JPH0627169B2 (ja) * 1988-06-15 1994-04-1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の製造法
JPH03188166A (ja) * 1989-12-15 1991-08-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貯蔵安定性の優れた硬化性組成物
JP2809885B2 (ja) * 1990-12-25 1998-10-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
JPH05194782A (ja) * 1991-08-27 1993-08-03 Kubota Corp フェノール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7783B2 (ja) * 1992-03-24 2000-10-1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JP6225690B2 (ja) * 2013-12-18 2017-1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断層画像生成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68B1 (ko) * 2016-05-13 2016-08-10 (주)씽크에이티 이중 인증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17195955A1 (ko) * 2016-05-13 2017-11-16 씽크에이티 주식회사 이중 인증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1012A (en) 2000-02-29
JP4001245B1 (ko) 2007-10-31
CA2254916C (en) 2004-09-21
WO1997043333A1 (fr) 1997-11-20
CN1098297C (zh) 2003-01-08
DE69724117T2 (de) 2004-06-03
DE69724117D1 (de) 2003-09-18
EP0899291A1 (en) 1999-03-03
EP0899291B1 (en) 2003-08-13
CA2254916A1 (en) 1997-11-20
CN1218486A (zh) 1999-06-02
AU2788197A (en) 1997-12-05
ATE247149T1 (de) 2003-08-15
EP0899291A4 (en) 199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9919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11139A (ko)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와 그 제조방법
KR20120067952A (ko) 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용 실리콘 안정화제
MX2011013836A (es) Estabilizadores de silicio para espumas rigidas de poliuretano o poliisocianurato.
DK2731984T3 (en) Increasing sound absorption in foam insulation materials
JP2017532423A (ja) 変性フェノール樹脂添加剤を含む剛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WO1999024509A1 (fr) Durcisseur, composition reticulable et composition de resine expansible contenant toutes deux ledit durcisseur, mousse fabriquee a partir de ladite composition de resine expansi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KR100585531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냉재
JP3600884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0302976A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性樹脂組成物
JP4037579B2 (ja) 硬化性組成物
JP2000080192A (ja) 発泡性樹脂組成物
JPH09302095A (ja) 硬化性組成物、成形体及び製造方法
JP3831834B2 (ja) 硬化剤、該硬化剤を用いた硬化性組成物及び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該発泡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EP1029888A1 (en) Foamabl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foam
JP2000080279A (ja) 硬化性組成物および発泡性組成物
JP4001245B2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9116551A (ja) 発泡性耐火塗料
JPH1160780A (ja) 板状体又は成形体及びその製造法
JP2000309708A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性樹脂組成物
JP2000302975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発泡性樹脂組成物
JP2000026638A (ja)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2001089485A (ja) 硬化剤、硬化剤の製造方法、および硬化性組成物
JP2001131320A (ja) ゴム系発泡材料及びその発泡体
JP3385083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