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61A -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61A
KR19990063861A KR1019980702333A KR19980702333A KR19990063861A KR 19990063861 A KR19990063861 A KR 19990063861A KR 1019980702333 A KR1019980702333 A KR 1019980702333A KR 19980702333 A KR19980702333 A KR 19980702333A KR 19990063861 A KR19990063861 A KR 1999006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roller
forming substrate
core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피. 테스첸돌프
트루만 에프. 켈리
에드워드 제이. 모에
더블유. 블레이크 콜브
조셉 티. 브로피
토마스 엠. 밀보우른
아서 브이. 랭
도날드 에이치. 라슨
알버토 고에나가
스티븐 씨. 젠센
존 디. 왓슨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6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for wetting th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현상 롤러와 같은 현상기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와,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drip line)" 현상제 액체 및/또는 "포위(wrap-around)"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압착 장치를 포함한다. 압착 장치는 크라운 형상을 갖는 압착 롤러와 이 압착 롤러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형성된 가압 닙부를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한 부하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하 인가 기구를 포함한다. 클리닝 롤러는 섬유 클리닝 매체와 이 클리닝 매체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분출시키기 위한 유체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현상 장치는 또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이 화상 형성 기판과 접촉되지 않게 하면서 이격시키는 수단도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의 교란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액체가 공급되어서 잠상을 현상하게 되는 화상 형성 기판을 포함한다.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기판으로서 유전체 또는 수광기를 포함한다. 수광기는 광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잠상은 복사 패턴으로 수광기를 선택적으로 방전시킴으로써 수광기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면에 잠상은 정전 철필(stylus)로 유전체를 선택적으로 방전시킴으로써 유전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대개 수광기, 제거(erasure) 스테이션, 대전 스테이션, 노출 스테이션, 현상 스테이션, 화상 건조 스테이션, 및 전사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수광기는 수광기 벨트, 수광기 드럼, 또는 수광기 시트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화상 형성 작동을 위해, 수광기는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을 통과하게 된다.
제거 스테이션은 이전의 화상 형성 작동으로부터 잔류해 있는 어떠한 정전하도 균일하게 방전시키기에 충분한 복사(radiation)를 제거하기 위해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대전 스테이션은 수광기의 표면을 정전적으로 대전시킨다. 노출 스테이션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수광기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선택적으로 방전시킨다.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다수의 잠상을 현상하는 몇몇 노출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각각의 잠상은 재생할 다색 원본 화상을 위한 다수의 색분리 화상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잠상이 형성될 때, 현상 스테이션은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에 도포한다.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다수의 현상 스테이션의 각각은 대응 칼라 분리 화상의 중간 표시를 위해 거의 근사 칼라의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에 도포한다. 건조 스테이션은 현상 스테이션 또는 스테이션들에 의해 도포된 현상제 액체를 건조시킨다. 그후 전사 스테이션은 가시적 본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현상 스테이션에 의해 도포된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로부터 용지 시트나 필름과 같은 출력 기판으로 전사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다색 원본 화상을 유형 표시물(visible representation)로 만드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그러나 그 화상의 화질은 여전히 계속되는 관심 사항이다. 또한, 현상제 액체를 경제적으로 소비해서 현상제의 단위 체적 당 형성되는 화상의 수를 최대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액체의 교차 오염을 피하는 것도 관심 사항이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구성 부재는 일치되는 화질을 유지하기 위해 보다 자주 보수 유지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이 교란되어서 불일치 노출 및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현상 스테이션과 관련된 다수의 문제점들로 인해, 화상의 화질 저하, 현상제 액체 소모율의 증가, 현상제 액체의 교차 오염, 짧아진 보수 유지 주기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운동 상태의 질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몇 가지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첫번째 예로서, 현상 스테이션은 화상 형성 기판 상에 과도한 현상제 액체를 남길 수 있다. 현상 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현상 롤러 또는 벨트와 같은 현상 장치와, 압착 롤러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의 사용에 대해서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 설명한다. 현상 롤러는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반면에, 압착 롤러는 통상적으로 수광기에 의해 피동된다. 편의된 회전 현상 롤러는 수광기의 화상 형성 영역의 표면에 현상제 액체를 가하여서 잠상 화상을 현상한다. 압착 롤러는 건조 및 전사 스테이션을 수광기에 적용하기 전에 현상된 화상을 부분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수광기로부터 잉여 현상제 액체를 제거한다. 바람직하지 않게도, 작동 중에 현상 롤러와 압착 롤러는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에 남겨 놓을 수 있다.
첫 번째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는 잠상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에 의해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중에 형성된다. 특히, 현상 롤러는 잠상 화상을 현상하는 데 필요한 양을 초과하는 양의 현상제 액체를 가한다. 피동 압착 롤러는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첫 번째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 롤러는 수광기에 대해서 가압되어서 이 수광기와 함께 과잉 현상제 액체가 하류측으로 지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닙부를 형성한다. 수광기는 지지 롤러에 의해 닙부에 지지된다. 압착 롤러는 통상적으로 코어 둘레에 장착되는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수광기로부터 제거된 과잉 현상제 액체는 닙부의 상류측에 억류 체적(hold-up volume)을 형성한다.
두 번째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는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공급이 중지될 때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공급은, 일례로 현상 롤러를 수광기와의 근접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거나, 현상 롤러로의 현상제 액체의 공급을 중지시키거나, 혹은 현상제 액체가 현상 롤러로부터 수광기로 가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중지된다. 그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수광기와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에 남아 있는 과잉 현상제 액체의 일부분은 수광기 상에 남아 있게 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로 인해 수광기 상에 두 번째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가 형성되게 된다. 압착 롤러도 결합 해제된 경우에는, 첫 번째의 과잉의 현상제 액체도 수광기 상에 남아 있게 된다. 수광기 상에 남아 있는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는 때로는 "적하선(drip line)"이라고도 한다.
과잉 현상제 액체가 수광기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과정 중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우선,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과잉의 현상제 액체는 여러 가지 현상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된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액체들의 교차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교차 오염은 소정의 시간 주기에 걸쳐서 후속하는 화상의 화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둘째로, 수광기 상의 과잉 현상제 액체는 형성되고 있는 화상을 오염시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수광기로부터의 불완전한 화상 전사와 화상 얼룩이 야기된다. 셋째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 부재들은 현상제 액체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염은 전체 장치를 적극적으로 클리닝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넷째로, 현상 스테이션의 액체 복귀 시스템으로 바로 복귀하지 않는 현상제 액체는 모두 소모되어 버린다. 이렇게 소모되는 현상제 액체의 양은 결과적으로 현상제 액체의 과도한 소비를 야기하게 되어서 소정 체적의 현상제 액체로 형성될 수 있는 화상의 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수광기와 같은 화상 형성 기판 상에 과도한 현상제 액체가 형성되게 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과잉 현상제 액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된 향상된 현상 스테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두 번째 예로는, 계속되는 화상 형성 공정 중에, 압착 롤러의 닙부의 억류 체적에 있는 현상제 액체의 양이 증가하는 것이다. 압착 롤러의 닙부 내에서의 현상제 액체의 유동과 분배는 필적하는 수력학적 힘이 조정한다. 일례로, 중력은 현상제 액체를 압착 롤러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하향으로 해서 닙부 밖으로 끌어낸다. 압착 롤러와 수광기의 이동을 일으키는 점성력은 중력에 대항하여서 현상제 액체를 닙부 안에 유지시키게 된다. 습식 액체에 있어서, 압착 롤러의 닙부에 유지될 수 있는 액체의 최대량은 궁극적으로는 점성력과 중력 간의 평형에 의해 결정된다.
닙부 첨단 내의 모세관력 또는 표면 장력은 현상제 액체를 압착 롤러의 양 단부를 향한 측방향 외향으로 흡인하는 작용을 한다. 압착 롤러의 양 단부 구역은 수광기의 화상 형성 구역의 외부에 있으므로, 실제로 현상제 액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공정이 진행될 때, 현상제 액체는 건조 단부 구역에 도달하여 흡인되거나, 또는 하류측의 압착 롤러 주위에 "포위(wrap)" 된다. 하류측으로의 현상제 액체의 운동은 때에 따라 "현상제 액체 포위(wrap-around)"라고도 한다. 현상제 액체는 점차적으로 압착 롤러의 중앙을 향해 측방향으로 침입한다. 압착 롤러의 하류측 상의 모세관력과 유체역학적 힘 사이의 평형은 압착 롤러의 중앙을 향한 포위 현상제 액체의 전진을 제한한다.
포위 현상제 액체는 압착 롤러의 하류측 상에 현상제 액체의 밴드를 형성한다. 압착 롤러는 현상제 액체의 밴드를 수광기에 전사시킨다. 현상제 액체의 밴드는 인쇄된 면의 가장자리에 과잉 현상제 액체를 생성하여 화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스럽지 않다. 포위 현상제 액체는 또한 상이한 색상의 현상제 액체 및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요소를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포위 현상제 액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을 위해 회수될 수 없어, 현상제 액체가 과도하게 소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제 액체 포위(developer liquid wrap-around) 문제점에 의해 야기되는 화질에 관한 사항, 현상제 액체의 오염에 관한 사항, 그리고 현상제 액체의 소모에 관한 사항을 고려할 때, 현상제 액체 포위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향상된 현상 스테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세 번째 예로서, 압착 롤러는 과잉 현상제 액체를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압착 롤러의 길이는 적어도 광전도체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만큼 길어야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압착 롤러의 직경은 전체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공간 제약으로 인해 최소화 되어야 한다. 압착 롤러는 코어의 양 단부에 부하력을 가함으로써 광도전체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된다. 코어의 양 단부에 부하력을 가하게 되면, 압착 롤러가 광도전체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될 때에 진원(right circular) 원통 코어의 축 방향 처짐이 야기된다.
축 방향 처짐은 부하력이 압착 롤러와 광도전체 사이의 닙부를 따라서 균일하지 않게 한다. 일례로, 압착 롤러의 중간 지점에서의 부하력은 압착 롤러의 양 단부에서의 부하력에 비해 상당히 작다. 압착 롤러의 직경 대 길이의 비로 인해, 이러한 불균일성은 강조된다. 압착 롤러의 길이를 따르는 불균일한 부하력은 과잉 현상제 액체가 광도전체로부터 불균일하게 제거되게 한다. 특히, 닙부의 중앙에서의 화상 형성 구역은 측방향 구역에서보다 더 습하다. 이와 같은 습한 구역은, 중간 롤러로 전사되며 궁극적으로는 인쇄 기판 상으로 전사되는 현상 화상의 전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화상 영역의 폭을 따른 압착 롤러의 불균일한 작동은 현상 화상의 가시적인 불균일성을 야기하여 궁극적으로 인쇄되는 화상의 화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불균일성에 의해 야기된 화질에 관한 문제를 고려할 때, 압착 롤러의 길이부를 따라서, 그리고 그에 따라 광도전체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을 따라서 보다 균일한 부하력을 얻을 수 있는 압착 장치를 결합시킨 향상된 현상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네 번째 예로서, 현상 스테이션의 작동 중에 백-플레이트(back-plated) 현상제 입자가 현상 롤러의 표면 상에 축적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라는 용어는 광도전체의 표면과 현상 롤러의 표면 간의 전위차로 인해 현상 롤러 상에 현상되는 현상제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회전하는 현상 롤러 상의 현상제 액체는 광도전체의 표면을 적셔서 현상 닙부를 형성한다. 광도전체의 화상 형성 영역이 현상 닙부 안으로 들어갈 때에, 화상의 배경 구역은 현상 롤러 편의에 비해 약간 더 큰 전위에 있게 되고, 잠상은 현상 롤러 편의에 비해 상당히 낮은 전위에 있게 된다.
현상 롤러 편의와 잠상 간의 전위차는 현상제 액체가 잠상에 대해서 "포워드 플레이트 되게(forward-plating)" 한다. 배경 구역과 현상 롤러 편의 간의 전위차는 현상제 액체가 현상 롤러의 표면에 대해 "백-플레이트 되게(back-plating)" 한다.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축적이 허용된 경우에 적절한 화상 현상에 필요한 현상 벡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작은 전하를 유지한다. 백 플레이트 현상제의 축적은 현상제 액체가 수광기의 표면에 대해 불일치 전사되게 한다. 또한,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현상 스테이션의 다른 구성 부재 상에도 축적될 수 있는데, 이는 현상 롤러로의 현상제 액체의 공급에 영향을 미친다.
현상 롤러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액체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제거 장치는 일반적으로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롤러를 포함한다. 클리닝 블레이드는 현상제를 현상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긁어낸다. 클리닝 롤러는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현상 롤러로부터 제거하도록 회전한다. 제거된 현상제는 클리닝 롤러의 표면에 의해 반송해 나간다.
현상 롤러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클리닝 블레이드나 혹은 클리닝 롤러 상에 축적된다.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일반적으로 슬러지와 유사한 점도를 가지는데, 클리닝 블레이드나 클리닝 롤러의 클리닝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축적이 과다한 경우에,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롤러는 축적된 현상제의 일부를 다시 현상 롤러로 이송하게 되어서 현상제 제거 장치의 효과를 완전히 약화시키게 된다. 백 플레이트 현상제의 과잉 축적은 현장 서비스 기술자에 의한 클리닝 블레이드 또는 클리닝 롤러의 교체 또는 클리닝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보수 유지 작업의 수를 줄이고, 보수 유지 작업 간의 시간을 연장하고, 또한 백 플레이트 현상제와 관련된 화질의 문제점들을 일반적으로 피하기 위해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현상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향상된 현상 스테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상 롤러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의 효과적인 제거를 연장된 시간 동안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현상 스테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다섯 번째 예로서, 기존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기판과 현상 장치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얻는 데에는 간격 롤러(gapping roller)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격 롤러는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간격 롤러는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및/또는 배향을 교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란은 노출 스테이션과 화상 형성 기판 간의 불일치하는 공간적 관계로 인해 잠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란은 현상 장치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의 불일치하는 공간적 관계로 인해 현상된 화상에 불균일성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교란은 화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간격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화질의 문제와 관련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을 교란시키기지 않으면서도 현상 장치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는 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향상된 현상 스테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기술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포함되어 있고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그에 포함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 명세서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예시적인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선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3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4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4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5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1 압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6 작동을 예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위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2 압착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도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제2 압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압착 장치의 부품을 구성하는 압착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13은 도12에 도시된 압착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14는 도12에 도시된 압착 롤러를 클리닝하는 블레이드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형상을 구비하는 압착 롤러에 대한 선도이다.
도16은 기존의 압착 롤러를 이 압착 롤러에 따르는 부하력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와 함께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17은 도15의 압착 롤러를 이 압착 롤러에 따르는 부하력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와 함께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18은 도15의 압착 롤러의 축과 코어에 대한 선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축과 코어 둘레에 탄성 재료가 형성된 후의 도15의 압착 롤러에 대한 선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는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에 도시된 장치의 부품을 구성하는 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2는 종축선 A-A'에 수직한 제1 평면을 따라서 취한 도21에 도시된 축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23은 종축선 A-A'에 수직한 제2 평면을 따라서 취한 도21에 도시된 축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20의 장치의 부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7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압착 보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8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보조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현상 장치를 위치시키는 기구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30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코로나 보조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1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액체 회수 보조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현상 스테이션들을 지지 및 작동시키는 다색 현상제 장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 롤러와 같은 현상 장치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한다. 클리닝 롤러는 섬유 클리닝 매체와 이 섬유 매체로부터 나온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분출시키는 유체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적하선(drip line)" 현상제 액체 및/또는 "포위(wrap-around)"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압착 장치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는 또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압착 롤러와 이 압착 롤러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형성된 가압 닙부를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한 부하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하 인가 기구를 구비한 압착 장치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는 또한, 화상 형성 기판과 접촉함이 없이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를 이격시키는 수단도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이 교란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장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계속되는 설명에 일부가 기재되어 있으며, 그 설명으로부터 그 장점을 일부 알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뿐만 아니라 특히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지적된 수단에 의해 실현되고 습득될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일반적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롤러 장치가 결합된 예시적인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를 도시한 선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는 광도전체의 경로를 따라서 분포된 다수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을 포함한다. 현상 장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서, 장치(10)는 화상 형성 기판으로서의 수광기(20)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다. 장치(10)는 이 장치에 결합된 수광기(20)의 단일 패스(pass) 내에서 다색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단일 패스 장치(10)는 다색의 화상이 매우 고속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1에서 다색/단일 패스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단색의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다색/멀티 패스(multi-pass)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모두에서 수광기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수광기가 수광기 벨트, 수광기 드럼, 또는 수광기 시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장치에서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유전성 벨트, 드럼, 또는 시트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서 결합한 다색/다중 패스, 다색/단일 패스, 또는 단색 전자 사진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특정된 도1의 다색, 단일 패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에 결합시키는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제2 및 제3 벨트 롤러(22, 24, 26) 주위에 장착된 연속 수광기 벨트 형태의 수광기(20)와, 제거 스테이션(28), 대전 스테이션(30), 다수의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 다수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건조 스테이션(44), 및 전사 스테이션(42)을 포함한다. 장치(10)의 작동 시에, 수광기(20)는 화살표 44로 나타낸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광기(20)는 일례로 벨트 롤러(22, 24, 26) 중 하나와 결합된 회전자 축에 결합된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수광기(20)가 제1 방향(44)으로 이동할 때, 제거 스테이션(28)은 이전의 화상 형성 작동으로부터 잔류한 모든 정전 전하를 균일하게 방전시키도록 복사를 제거하기 위해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그 후 대전 스테이션(30)은 수광기(20)의 표면을 소정 수준으로 대전시킨다.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형태(imagewise)의 패턴으로 대전된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구역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는 복사 비임(46, 48, 50, 52)을 방사한다. 각각의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은 일례로 스캐닝 레이저 모듈을 포함한다. 다색 화상의 경우에, 각각의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은 재생할 원본 화상의 다수의 색상 분리 화상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잠상을 형성한다. 색상 분리 화상을 조합함으로써 본래 화상의 전체적인 다색 표시를 생성하게 된다.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은 수광기(20)의 동일 화상 형성 구역에서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복사 비임(46, 48, 50, 52)을 각각 방사한다. 따라서, 각각의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은 화상 형성 구역이 각각의 노출 스테이션을 통과할 때 수광기(20) 상에 잠상을 형성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은 현상 롤러(56)와 같은 현상기, 제1 압착 롤러(56), 제2 압착 롤러(58),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 현상제 액체를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플리넘(62), 현상 롤러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64), 제1 압착 롤러(56)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1 블레이드 기구(66), 및 제2 압착 롤러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 블레이드 기구(68)를 포함한다. 제1의 3개의 현상제 스테이션(12, 14, 16)은 또한 코로나(도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현상 롤러(54)는 플리넘(62)을 통해 현상될 특정 색상 분리에 대응하는 다수의 상이한 색상의 현상제 액체 중 하나의 공급원(source)과 유체 연통한다. 현상제 액체는 현상 롤러(54)의 표면에 적용하기 위해 공급원으로부터 플리넘(62)으로 펌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현상 롤러(54)의 표면은 현상제 액체의 공급원에, 또는 현상제 액체를 전달하는 또 다른 롤러에 접촉 배치될 수 있어, 펌프 및 플리넘(62)을 필요 없게 한다. 상이한 색상의 현상제 액체는 일례로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 색상 각각에 해당한다.
본 설명에서, 대개 "현상제 액체"라는 용어는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수광기(20)와 같은 화상 형성 기판에 적용되는 액체를 말하게 된다. "현상제 액체"는 토너 입자가 분산되는 토너 입자와 캐리어 액체 모두를 포함한다. 적절한 캐리어 액체로는 일례로 액슨(Exxon)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노파(NORPAR: 상표명) 또는 아이소파(ISOPAR: 상표명) 용제와 같은 탄화 수소 용제가 있다.
현상 롤러(54)는 일례로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은 수광기의 화상 형성 구역 내에 적절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롤러(54)를 수광기(20)에 근접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절한 결합 수단은 일례로 현상 롤러(54) 및 수광기(20) 중 하나 또는 그 모두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임의의 다양한 캠 작동(camming) 또는 기어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중에, 현상 롤러(54)는 수광기(20)의 표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간극을 형성한다. 또한, 현상 롤러(54)는 일례로 현상 롤러에 결합된 회전자 축에 결합된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방향(44)으로 이동된다. 현상 롤러(54)는 현상제 액체의 균일한 박막 층을 간극을 가로질러서 수광기(20)로 공급한다.
현상제 액체의 현상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은 또한 현상 롤러(54)와 수광기(20) 사이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한다. 전계는 현상 롤러(54)에 의해 적용되는 현상제 액체를 가지고 각각의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에 의해 이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한다. 전기 바이어스 수단은 전계를 유발하는 대전체를 현상 롤러(54)의 표면에 이용하는 대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 롤러(54)는 단지 수광기의 화상 형성 구역을 현상하기에 충분한 길이 만큼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에 적용시킨다. 화상 사이클의 완료 및 현상 롤러(54)를 지나 수광기(20)의 비화상 형성 구역의 이동 완료 시에,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적용은 종결된다. 현상제 액체의 적용은 일례로 현상 롤러(54)를 수광기(20)와의 근접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현상 롤러로의 현상제 액체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현상 롤러로부터의 현상제 액체를 블레이드 또는 다른 방해 요소에 적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종결될 수 있다. 결합 해제에 의한 현상제 액체 적용의 종결을 위해, 현상 롤러(54)는 결합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기구를 역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서 결합 해제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 내의 현상 롤러(54)는 과도한 양의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 내의 제1 압착 롤러(56)는 현상 화상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닙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례로 스프링 기구로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한다.이동하는 수광기(20)는, 제1 압착 롤러(56)를 화살표(44)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찰에 의해 구동시킨다. 회전하는 제1 압착 롤러(56)는 과잉 현상제 액체가 닙부 및 수광기(20)의 하류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1 압착 롤러(56)에 의해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수광기(20) 상에서 현상된 화상을 부분적으로 건조시킨다.
수광기(20)를 이동시킴으로써 현상 롤러(54)에 의해 적용된 상이한 색상의 현상제 액체로의 현상을 위해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을 지나 화상 형성 구역 내에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이 노출 스테이션(32, 34, 36, 38)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잠상을 현상한 후에, 이동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구역은 건조 스테이션(40)과 만나게 된다. 건조 스테이션은 벨트 롤러(26)로 닙부를 형성하는 가열된 롤러(70)를 포함한다. 가열된 롤러(70)는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에 의해 적용된 현상제 액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열을 수광기(20)에 가하게 된다.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은 이어서 전사 스테이션(42)에 도착하게 된다. 전사 스테이션(42)은 벨트 롤러(22) 위에서 수광기(20)와 함께 닙부를 형성하는 중간 전사 롤러(72)와, 중간 전사 롤러와 닙부를 형성하는 가열 가압 롤러(74)를 포함한다. 수광기(20) 상의 현상제 액체는 선택적인 접착에 의해 수광기 표면으로부터 중간 전사 롤러(72)로 전사된다. 가열 가압 롤러(74)는 압력 및/또는 열을 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롤러(72) 상의 화상을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출력 기판(76)은 일례로 종이 또는 필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 스테이션(42)은 출력 기판(76) 상에 다색 원본 화상의 유형 표시물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작동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색 원본 화상의 유형 표시물을 형성하는 데 있어 일반적으로 유효하다. 그러나 화상의 화질은 여전히 계속되는 관심 사항이다. 또한, 현상제 액체를 경제적으로 소비해서 현상제의 단위 체적 당 형성되는 화상의 수를 최대화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액체의 교차 오염을 피하는 것도 관심 사항이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구성 부재는 일치되는 화질을 유지하기 위해 보다 자주 보수 유지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화상 형성 기판의 운동 상태의 질이 교란되어서 불일치 노출 및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현상 스테이션과 관련된 다수의 문제점들로 인해, 화상의 화질 저하, 현상제 액체 소모율의 증가, 현상제 액체의 교차 오염, 짧아진 보수 유지 주기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운동 상태의 질이 떨어진다.
화질과, 현상제 소모 및 현상제 오염에 관한 문제는 특히 수광기(20)의 표면 상에 과잉 현상제 액체가 형성됨에 따라 야기되고 있다. 제1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는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54)에 의해서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중에 수광기(20) 상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상 롤러(54)는 잠상을 현상하는 데 소요되는 양을 초과하는 양으로 현상제 액체를 공급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제1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는 현상 롤러(54)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공급이 중단될 때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54)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공급은 일례로, 현상 롤러를 수광기(20)와의 근접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거나, 현상 롤러로의 현상제 액체의 공급을 중지시키거나, 혹은 현상제 액체가 현상 롤러로부터 수광기로 가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중지된다. 그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수광기(20)와 현상 롤러(54) 사이의 간극에 남아 있는 과잉 현상제 액체의 일부분은 수광기 상에 남아 있게 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로 인해 수광기 상에 제2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가 형성되게 된다. 제1 압착 롤러(56)가 현상 롤러(54)와 결합 해제된 경우에는, 제1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도 수광기(20) 상에 남아 있게 된다. 다중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에 의하면, 과잉 현상제 액체의 양이 증가될 수 있고 교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은 현상 롤러(54)에 의해 형성된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1을 다시 참고하면,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압착 롤러(56)와 이 제1 압착 롤러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게 한다. 현상제 액체 제거 수단은 일례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블레이드 기구(66), 공간부, 또는 롤러를 포함한다. 제1 압착 롤러(56)와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과 결합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순응성 재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는 장치(10)에 사용되는 현상제 액체에 대해 불활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일례로,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또는 강성 플라스틱 코어 둘레에 장착된 우레탄 또는 니트릴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재료는 일례로, 약 10 내지 90, 바람직하기로는 50 내지 70 듀로미터 쇼어 A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제1 압착 롤러(56)를 수광기(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을 사용하게 하는데, 상기 압착 롤러는 수광기에 의해 제1 방향(44)으로 구동된다. 제1 압착 롤러(54)는 일례로, 압착 롤러를 수광기와 접촉하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나 혹은 스프링 편의력에 의해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한다. 어느 경우에나, 현상제 액체 박막이 통상적으로 제1 압착 롤러(56)와 수광기(20)를 분리시키게 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제1 방향(44)으로 이동하는 중에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에 의해 가해지는 현상제 액체의 제1 과잉 체적을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와 같은 제1 방식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20)에 의해 운반되는 현상제 액체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여, 현상된 화상이 건조 스테이션(40)에 의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현상 롤러(54)에 의해 수광기(20)로 초기에 공급된 현상제 액체 부분만을 포함하는 현상제 액체 막을 형성한다.
제1 압착 롤러(56)를 지지하는 회전자 축의 각 단부에 가해지는 부하력이 일례로, 약 2.3 내지 6.9Kg(5 내지 15lb)이면, 압착 롤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현상제 액체의 막 형성과 과잉 현상제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압착 롤러(56)에 대향된 수광기(20)의 한 측면 상의 지지 롤러 또는 고정 지지 슈우(shoe)(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 또는 슈우는 제1 압착 롤러(56)의 부하 인가에 응답하여 수광기(20)를 지지한다.
수광기(20)의 비화상 형성 영역이 제1 압착 롤러(56)를 지나서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방향(44)에 대향된 제2 방향으로 압착 롤러를 능동적으로 구동시키는 작동을 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일례로, 압착 롤러와 결합된 회전자 축에 결합된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까지, 수광기(20)의 비화상 형성 영역은 제1 압착 롤러(56)를 지나게 되고, 압착 롤러로부터 상류 측에 배치된 현상 롤러(54)로부터의 현상제 액체의 적용은 중단된다. 따라서, 비화상 형성 영역은 상기와 같은 현상제 액체 적용의 종지에 의해서 수광기(20) 상에 남아 있는 제2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1 압착 롤러(56)로 이송한다. 제2의 과잉 체적은 때로는 "적하선"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제2 방식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56)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제1 방향으로의 피동적 이동 중에 제1 압착 롤러(56)의 회전자 축의 단부에 가해진 부하력은 압착 롤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유지될 수 있다. 제1 압착 롤러(56)의 회전자 축의 각 단부에 가해지는 부하력이 일례로, 약 0.45 내지 1.35Kg(1 내지 3lb)이면, 압착 롤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현상제 액체를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보다 적은 부하력이나 보다 큰 부하력이 제1 압착 롤러(56)에 가해져도 상기와 유사한 효과적인 현상제 액체 제거가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부하력이 과도하면 수광기(20)의 해제 층 상에 과도한 마멸이 발생되고, 또한 제1 압착 롤러(56)의 구동이 보다 더 곤란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제1 압착 롤러(56)는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에 이미 마련된 압착 롤러를 수광기(20) 상의 현상제 액체의 두께를 조절하게 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제1 압착 롤러(56)를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와 구동 기구가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부재를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비용이 적게 들며 전체의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추가 공간을 덜 사용하게 되고, 기존의 화상 형성 장치에 비해 화질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비용 추가와 공간 보존이 중요한 사항이 아닌 경우라면,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에 추가의 압착 롤러를 결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독창적인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20)에 의해 제1 방향(44)으로 피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1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에, 추가의 압착 롤러는 제2 방향 즉, 역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2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또 다른 선택적 예로서, 현상제 액체의 회수에 관심이 없는 경우라면, 단일의 압착 롤러를 최종 현상 스테이션(18) 뒤에 배치하여서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모두에 의해 형성된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9는 수광기(20) 상의 과잉 현상제 액체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을 다시 더 예시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도2는 수광기(20)와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중 하나의 현상 스테이션만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1의 예로서, 도2의 현상 스테이션은 현상 롤러(54), 제1 압착 롤러(56) 및 제1 블레이드 기구(66) 형태의 현상제 액체 제거 수단을 결합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기(20)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방향(44)으로 이동한다. 비화상 형성 영역(78)의 이동 중에, 현상 롤러(54)와 제1 압착 롤러(56) 각각은 수광기와의 근접부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그리고 수광기와 접촉한다. 결합 해제 중에, 현상 롤러(54)로의 현상제 액체의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54)는 플리넘(62)(도2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받은 얇고 균일한 현상제 액체 층(80)을 보유 지지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클리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82)이 현상 롤러(54)를 지나는 이동을 하기에 앞서, 현상 롤러는 수광기와의 근접부에 결합되어서 작은 간극(84)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54)는 간극(84)을 가로질러서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82)에 가한다. 현상 롤러(54)에 결합된 전기적 편의 수단이 작동하여서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전기장은 현상 롤러에 의해 적용된 현상제 액체로 화상 형성 영역(82)에 잠상을 현상시킨다. 현상 롤러(54)가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82)과의 근접부에 결합됨에 따라서,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게 된다. 제1 압착 롤러(56)가 수광기(20)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게 되면 닙부(86)가 형성되는데, 이 닙부에는 현상제 액체 막이 형성된다. 수광기(20)의 제1 방향(44)으로 이동은 제1 압착 롤러(56)를 마찰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현상 롤러(54)에 의해 공급된 후에 수광기(20) 상에 남게 되는 현상제 액체(88)의 양을 조절하도록 위치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클리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작동을 다시 더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영역(82)은 현상제 액체(88)를 닙부(86) 안으로 이송하여서 제1 방향에 대한 제1 압착 롤러(56)의 상류측에 억류 체적(90)을 형성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일반적으로 수광기(20)와 함께 억류 체적이 하류측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영역(82) 내에 현상된 잠상에 의해 보유되는 현상제 액체(88)의 양이 감소된다. 그러나 막 형성 현상제 액체의 부분적인 양은 화상이 현상됨에 따라서 제1 압착 롤러(56)를 통과하여서 수광기(20)의 표면을 지난다. 이와 같은 제2 작동 전체에 걸쳐,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피동적으로 구동되는 제1 압착 롤러(56)로부터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바람직하게 유지한다. 제1 블레이드 기구(66)가 제1 압착 롤러(56)와 결합되는 경우, 블레이드의 힘은 수광기에 대하 부하 인가에 응답하여서 압착 롤러의 수동 이동을 바꾸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로부터 클리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3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제3 작동에 있어서, 수광기(20)의 비화상 형성 영역(92)의 현상 롤러(54)를 지나는 이동 시에,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인가는 일례로, 수광기(20)와의 근접부로부터의 현상 롤러의 결합 해제에 의해서 종결된다. 현상 롤러(54)가 결합 해제되면, 수광기(20) 상에는 때에 따라 "적하선"이라고도 하는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94)가 남게 된다. 화상 형성 영역(82)이 제1 압착 롤러(56)를 지나는 이동을 하는 중에, 제1 압착 롤러는 수광기(20)의 이동에 의해 피동적으로 계속 구되어서 억류 체적(90)을 계속 형성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클리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4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기(20)의 비화상 형성 영역(92)이 제1 압착 롤러(56)를 지나는 이동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 방향(44)에 반대되는 제2의 역 방향으로 제1 압착 롤러를 능동적으로 구동시키는 작동을 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화상 형성 영역(82)이 압착 롤러에 의해 통과한 후에만 반대 방향(96)으로 구동된다. 압착 롤러(56)가 화상 형성 영역(82)의 통과 중에 반대 방향(96)으로 구동된다면, 제1 압착 롤러는 현상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제 액체의 부분을 닦아 내서 화질을 상당히 열화시키게 된다.
제1 압착 롤러(56)의 역방향 구동 작동은 현상 롤러(54)에 의해 수광기 표면 상에 남아 있게 된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94)를 수광기(20)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압착 롤러(54)는 보다 큰 억류 체적(98)을 형성하는데, 이 억류 체적은 현상 공정 중에 가해진 제1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와 현상 롤러(54)에 의한 현상제 액체의 적용 중단 시에 형성된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 모두를 수용한다. 역 방향 구동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2)와의 하류측의 억류 체적(98)의 지속적인 통과를 방지한다. 또한, 제1 압착 롤러(56)의 역방향 구동 작동은 억류 체적(98) 내의 현상제 액체를 제1 압착 롤러의 상류측 상에서 도면 부호 1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으로 보낸다. 현상제 액체가 수광기(20)로부터 제거되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제1 압착 롤러(56)의 표면에 대한 수광기 표면의 속도 비, 압착 롤러의 길이 및 압착 롤러의 직경의 함수가 된다. 현상제 액체 제거 속도는 또한 제1 압착 롤러(56)를 형성하는 재료의 표면 특성과 현상제 액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는 또한 제1 블레이드 기구(66)이나 선택적인 현상제 액체 제거 수단을 도면 부호 1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착 롤러(56)와 접촉되게 결합시키는 작동도 한다. 제1 압착 롤러(56)의 역방향 이동은 억류 체적(98)의 현상제 액체를 닙부(86)로부터 취해서 그 현상제 액체를 하향으로 이송한다.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압착 롤러에 의해 수광기(20)로부터 제거된 현상제 액체를 제1 압착 롤러(56)로부터 제거하여, 현상제 액체를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도6에는 도시되지 않음)로 배출되게 흐름을 전환시킨다. 제1 블레이드 기구(60)는 제1 압착 롤러(56)에 이어지는 압착 롤러의 회전 시에 수광기(20)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깨끗한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제1 압착 롤러(56)가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원통형 제1 압착 롤러(56)의 측방향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한 접촉 압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왜곡 및 팽창을 피할 수 있도록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리닝 제1 블레이드 기구966)의 형성을 위한 적절한 재료의 예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한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메뉴팩추어링 캄파니(3M)로부터 입수 가능한 플루오로엘라스토머 에프시 2174(Fluoroelastomer FC 2174)가 있다.
한 예로서, 약 50 내지 70 듀로미터 쇼어 A의 니트릴 외부 층과 약 1.54cm의 직경과 약 23cm의 길이를 갖는 제1 압착 롤러(56)가, 초 당 약 20.32cm로 제2 방향으로 구동되고, 초 당 10.16cm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광기(20)에 대해서 압착 롤러의 회전자 축의 각 단부에 가해지는 0.45 내지 1.3Kg의 부하력으로 부하를 가하게 되면,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제거 속도는 초 당 1.6cm3정도인 것으로 예상된다. 제1 압착 롤러(56)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제1 블레이드 기구(66)를 적용하는 것은 시간 경과에 따라 제거 속도를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제1 압착 롤러(56)의 표면 속도의 증가는 현상제 액체 제거 속도를 더 증가시키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클리닝하는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4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특히, 도7은 클리닝 제1 블레이드 기구(66)의 클리닝 작동도 나타낸다. 제1 압착 롤러(56)가 계속해서 제2 방향(96)으로 이동하여서 수광기의 비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클리닝하게 됨에 따라,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도면 부호 1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 롤러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한다.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제1 압착 롤러(56)로부터 제거된 현상제 액체를 도면 부호 1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으로 보내서 특정의 현상 스테이션과 결합된 저장조(60)에 수집되게 한다. 저장조(60)(도7에 도시되지 않음)에 회수된 현상제 액체는 재생되며, 이에 의해 전 장치에서의 현상제 액체의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5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특히, 도8은 제1 및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가 제거된 후 제1 압착 롤러(56)와 수광기(20)와의 접촉의 결합 해제와, 결합 해제 후 제1 블레이드 기구(66)와 압착 롤러와의 접촉 지속 결합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56)는 제2 방향(84)으로 계속해서 구동되고,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남아 있는 현상제 액체를 저장조(60)에 의한 회수를 위해 도면 부호 104 및 1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광기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가 결합된 현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6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제1 압착 롤러(56)는 결합 해제 시에 수광기(20)로부터 제1 및 제2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거한다. 그러나 소량의 현상제 액체가 압착 롤러/클리닝 블레이드 닙부(102)에서의 표면 장력에 의해 제1 압착 롤러(56)에 들러붙을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은 제1 블레이드 기구(66)와 제1 압착 롤러(56)와의 접촉을 해제시키고 또한 블레이드와 압착 롤러를 재결합시키는 것을 수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로, 제1 블레이드 기구(66)의 가장자리는 도면 부호 10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착 롤러(56) 상으로 및 밖으로 수회 펄스를 가하면서 압착 롤러의 각 회전마다 현상제 액체의 추가적인 양을 제거하게 된다. 전체 공정이 종료되면, 제1 압착 롤러(56)는 클리닝되어서 다음의 화상 형성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압착 장치는 바람직하기로는 각기 다른 색상의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선택적으로, 압착 장치는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에 의해 적용된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하나의 위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에 의하면 과잉 현상제 액체에 의해 기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극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과잉 현상제 액체의 형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액체의 유의적인 교차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형성되는 화상을 오염시킬 수 있는 과잉 체적의 현상제 액체가 수광기 상에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광기로부터의 화상 전사가 불완전한 문제점과 화상 얼룩의 문제점이 완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 부재들의 오염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빈번한 클리닝 주기의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과잉 현상제 액체가 재사용되게 하므로, 소정 체적의 현상제 액체를 가지고 형성할 수 있는 화상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화질과 현상제 소모와 현상제 오염과 관련된 사항들은 또한 과잉 현상제 액체가 제1 압착 롤러(56)의 하류측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때로는 "현상제 액체 포위(developer liquid wrap-around)"라고도 한다. 포위 현상제 액체(wrap-around developer liquid)는 인쇄되는 면의 가장자리에 과잉 현상제 액체를 형성시켜서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포위 현상제 액체는 또한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액체와 다색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구성 부재의 오염을 야기한다. 또한, 포위 현상제 액체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한 사용을 위해 회수될 수 없게 되므로, 현상제 액체가 과도하게 소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액체 포위에 의해 야기된 과잉 현상제 액체를 수광기(2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압착 롤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10 내지 도14는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롤러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롤러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러 장치는 제1 압착 롤러(56)와, 제2 압착 롤러(14), 및 제2 블레이드 기구(68)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압착 롤러(56)는 제1 현상제 액체 제거 기구로서 제공되고, 제2 압착 롤러(58)는 수광기(20)로부터 포위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2 현상제 액체 제거 기구로서 제공된다. 제2 블레이드 기구(68)는 제2 압착 롤러의 외부면을 청정 유지시키고 제2 압착 롤러(58) 상의 현상제 액체 포위를 차단하기 위해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2 압착 롤러(58)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블레이드 기구(68) 대신에, 회전 롤러, 벨트 또는 진공 장치가 제2 압착 롤러(58)를 청정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작동 시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54)는 수광기(20)에 근접 배치되어 간극(84)을 형성한다. 현상제 액체의 균일한 박막층(80)은 현상 롤러가 화살표(1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기(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현상 롤러(54)의 상류측에 도포된다. 현상제 액체는 도면 부호 1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롤러(54)로부터 수광기(20)로 전사된다. 현상제 액체의 일부는 현상 롤러(54) 상에 잔류하고 도면 부호 1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의 하류측 하방으로 운반된다. 현상제 액체의 또 다른 부분은 수광기(20)로 전사되나, 도면 부호 8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된 화상과 함께 제1 압착 롤러(56) 쪽으로의 하류측 이송된다.
제1 압착 롤러(56)는 닙부(86)가 형성되도록 수광기(20)에 대해서 부하를 가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이동하는 수광기(20)와의 마찰 접촉에 의해 피동적으로 구동된다. 결국, 제1 압착 롤러(56)는 화살표(1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기(20)와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현상된 화상을 운반하는 수광기(20)의 구역이 닙부(86)와 만나게 될 때,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의 일부를 제거하고, 현상된 화상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도록 수광기(20) 상에 잔류해 있는 현상제 액체를 부분 건조시키고 막 성형을 위해 제공된다. 수광기(20)로부터 제거된 과잉 현상제 액체는 닙부(86)와 제1 압착 롤러(56)의 상류측에서 억류(holdup) 체적(90)을 형성한다.
점성력과 중력 사이의 평형은 억류 체적(90) 내의 액체의 최대량을 결정한다. 억류 체적(90)이 최대에 이르게 될 때, 억류 용적 안으로 들어가는 어떠한 추가 현상제 액체는 도면 부호 118로 나타낸 대로 제1 압착 롤러(56)의 상류측 하방으로 흐르는 액체로 된다. 압착 롤러(56)의 상류측 하방으로 흐르는 현상제 액체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현상제 액체 공급의 추가를 위해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 안으로 떨어지는 적하 공간(120)으로 축적된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압착 롤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54), 제1 압착 롤러(56), 및 제2 압착 롤러(58)는 화살표(44)로 나타낸 바와 같은 운동 방향으로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구역(122)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54)는 축 단부(124, 126)를 포함하고, 제1 압착 롤러(56)는 축 단부(128, 130)를 포함하고, 제2 압착 롤러(58)는 축 단부(132, 134)와 중앙 축 부분(136)을 포함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대개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압착 롤러 닙부(86)의 억류 체적(90) 내의 현상제 액체의 양은 과도하게 되어, 도11에 도시된 대로 현상제 액체의 "포위" 문제를 가져온다.
현상제 액체의 포위 문제는 억류 체적(90)으로부터 제1 압착 롤러(56)의 양 단부를 향한 측방향 외향으로 현상제 액체를 흡인하도록 작용하는 닙부(86) 내의 힘에 의해 부분적으로 야기된다. 도11에서,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운동은 도면 부호(138, 140)로 나타낸다. 화상 형성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현상제 액체는 건조 단부 구역에 도달되고 흡인되거나, 또는 도면 부호(142, 144)로 나타낸 대로 하류측으로의 제1 압착 롤러(56) 주위로 "포위된다". 포위 현상제 액체(142, 144)는 제1 압착 롤러(56)의 하류측 상에 액체 밴드를 형성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액체 밴드를 수광기(20)에 전사시킨다. 점검되지 않은 채로 있다면, 포위 현상제 액체(142, 144)는 수광기(20)의 하류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2 압착 롤러(58)는 본 발명에 따라 수광기(20)로부터 포위 현상제 액체(142, 144)를 제거하는 제2 현상제 액체 제거 기구로서 제공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압착 롤러(58)의 정면도이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착 롤러(58)는 제1 압착부(146)와 공통축(136) 주위에 장착된 제2 압착부(14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는 축(136) 상의 강성 코어부 주위에 장착된 일례로 폴리우레탄이나 니트릴과 같은 중합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압착부(146)는 축 단부(132)에 인접 장착되고 제2 압착부(148)는 축 단부(108)에 인접 장착된다. 제2 압착 롤러(58)는 제1 압착 롤러(56)의 하류측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다.
제1 압착부(146)와 제2 압착부(148)는 수광기에 깊이 접촉하도록 수광기(20)에 대해 가볍게 부하를 가하여서, 닙부(150, 152)를 형성한다. 제1 압착부(146)와 제2 압착부(148)는 포위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수광기(20)의 표면과 단지 충돌할 필요가 있다. 제1 압착 롤러(56)와 함께, 제2 압착 롤러(58)의 축 단부(132, 134)는 베어링 장착부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스프링 부하 기구와 같은 부하 인가 수단으로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할 수 있다. 또한, 캠 작동 또는 기어 구동 기구는 제2 압착 롤러(58)를 수광기(20)에 근접하도록 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압착 롤러(56)와 제2 압착 롤러(58)는 동일한 부하 인가 수단으로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압착 롤러(58)는 제1 압착 롤러(56)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어서, 제2 압착 롤러에 스프링 부하 기구가 필요 없게 된다.
구동 기구는 축 단부(106, 108)의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기구는 화살표(15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압착 롤러(58)를 수광기(20)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구동 기구는 일례로 모터 또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나 기어를 포함한다. 제2 압착 롤러(58)의 역 작동은 제1 압착부(146)와 제2 압착부(148)가 수광기(20)로부터 포위 현상제 액체(142, 144) 각각을 제거할 수 있게 하며, 도10에서 도면 부호 156으로 나타낸 대로 포위 현상제 액체를 하방으로 운반한다.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는 화상 형성 구역(122)의 약간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가 화상 형성 구역(122)의 외부에 배치되면, 압착부의 역 작동은 현상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제 액체의 일부를 긁어내어, 화질을 상당히 저하시킨다.
일례로 각각의 축 단부(132, 134)에 인가된 약 0.5Kg의 부하력은 화살표(154)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의 제2 압착 롤러(58)의 운동 중에 현상제 액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준수된다. 효과적인 현상제 액체 제거는 제2 압착 롤러(58)에 인가된 더 적은 부하력이나 더 큰 부하력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과도한 부하력은 수광기(20)의 방출(release)층 상에 과도한 마모를 생성하여 압착 롤러(56)의 구동을 더 어렵게 한다. 현상제 액체가 수광기(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비율은 대개 수광기 표면 대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의 표면의 속도비와, 제1 및 제2 압착부의 길이, 및 제1 및 제2 압착부의 직경의 함수이다. 현상제 액체 제거율은 또한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를 형성하는 재료의 표면 특성과 현상제 액체의 유체 특성에 좌우된다.
예로서, 약 50 내지 60 듀로미터 쇼어 A(durometer Shore A)의 외부 니트릴층과, 약 1.0cm의 직경과, 약 3.2cm의 길이를 구비한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가 초당 약 5.1cm의 속도로 도면 부호 154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각각의 축 단부(132, 134)에 인가된 약 0.3 내지 0.7Kg의 부하력으로 초당 약 7.6cm 만큼 제1 방향(48)으로 이동하는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되면, 수광기의 표면으로부터 포위 현상제 액체의 적절한 제거를 기대할 수 있다.
제1 압착부(146)와 제2 압착부(148)에 의해 하방으로 운반된 현상제 액체(156)는 제2 블레이드 기구(68)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 기구(68)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 액체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현상제 액체 공급부 안으로 재유입시키기 위해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 안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 기구(68)는 수광기(20)로부터 포위 현상제 액체의 연속 제거를 위해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의 외부면을 청정 유지시킨다. 제2 블레이드 기구(68)를 결합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의 현상제 액체 제거율을 연장 시간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데 중요하다. 도12 내지 도14는 제2 블레이드 기구(68)를 또한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제2 블레이드 기구(68)를 갖춘 제2 압착 롤러(58)의 측면도이다. 일례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 기구(68)는 제1 압착부(146)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장착된 제1 블레이드 부재(68a)와 제2 압착부(148)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 부재(68b)를 포함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 부재(68a)는 블레이드 장착부(158) 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12를 참고로 하면, 제2 블레이드 부재(68b)는 블레이드 장착부(160) 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제2 압착 롤러(58)의 회전 방향의 트레일링(trailing) 모드로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를 따라 연장하도록 장착된다.
도14는 도4의 블레이드 부재(68a)의 정면도이다.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제2 압착 롤러(58)에 근접된 회전으로 수광기(20)로부터 추가의 현상제 액체의 제거를 위해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에 깨끗한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제2 압착 롤러(58)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 각각의 전체 횡방향 폭 간의 접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뒤틀림이나 팽창되는 것을 피하도록 선택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압착부(146, 148) 각각에 일정한 접촉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또한 제2 압착 롤러(58)로부터 제거된 현상제 액체에 화학적으로 화학 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야 한다. 블레이드 부재(68a, 68b)를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의 예로서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캄파니("3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플루오로엘라스토머 FC 2174가 있다.
압착부(146, 148)와 블레이드 부재(68a, 68b)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닙부에서 발생하는 제2 현상제 액체 포위의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블레이드 부재는 압착부의 양 단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부재(68a)는 절개부(162)와 단부(164, 166)를 포함한다. 절개부(162)는 제1 압착부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압착부(146)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단부(164, 166)는 상향 연장하여 제1 압착부와 절개부(162) 사이에 형성된 닙부로부터의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운동을 막기 위해 제1 압착부(146)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부재(68a)는 제1 압착부(146)의 단부 후방의 블레이드 부재로부터의 현상제 액체의 제2 포위를 차단한다.
화질과 관련된 문제는 또한 제1 압착 롤러(56)의 길이를 따르는 불균일한 부하력에 의해 야기된다. 불균일한 부하력은 제1 압착 롤러(56)와 수광기(20) 사이에 형성된 닙부를 따라서 불균일한 압력이 발생하게 한다. 불균일한 압력으로 인해, 제1 압착 롤러(56)는 과잉 현상제를 수광기(20)로부터 현상된 화상의 폭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제거한다. 불균일성은 현상된 화상의 불균일성을 눈에 보이게 하므로, 궁극적으로는 인쇄된 화상의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롤러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부하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수광기(20)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을 따라서도 균일할 부하력을 얻을 수 있는 제1 압착 장치(56)와 결합된 현상 장치도 또한 마련된다. 이 결과, 압착 장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물림력(nip pressure)을 마련하여서, 수광기로부터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제거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한다. 수광기로부터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균일한 제거는 현상된 화상의 균일성과 인쇄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킨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으로 균일한 물림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압착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압착 롤러(56)에 대한 선도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 롤러(56)는 중앙 종축선 A-A'를 갖는 축(168)을 구비한다. 축(168)은 제1 단부(128), 제2 단부(130)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중앙 종축선 A-A'를 따라서 연장되는 코어(170)를 구비한다. 제1 단부(128), 제2 단부(170) 및 코어(170)는 종축선 A-A'을 중심으로 해서 동심을 이룬다. 엘라스토머 재료(172)가 코어(170) 둘레에 형성된다. 코어(170)는 종축선 A-A'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고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다.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코어(170)의 변화하는 단면은 부분적으로는 제1 압착 롤러(56)가 부하력을 그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압착 롤러(56)는 도1의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안이나 혹은 그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 각각에 부하력 F를 가하기 위한 부하 인가 기구가 마련된다. 부하력 F의 방향은 제1 압착 롤러(56)의 코어(170)가 수광기(20)에 대해 부하를 가하도록 배향되는데, 이에 의해 엘라스토머 재료(172)와 수광기 사이에 가압 닙부(86)가 형성된다. 닙부(86)에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 압착 롤러(56)에 대향된 수광기920)의 측면 상에 지지 롤러나 혹은 고정 지지 슈우를 마련할 수 있다.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가 안에 장착되는 베어링 장착부에 적용될 수 있다. 베어링 장착부는 축(168)이 수광기(2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에 응답하여서 종축선 A-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제1 압착 롤러(56)는 수광기(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닙부(86)의 상류측 상에 현상제 액체의 억류 체적이 마련되게 된다.
종축선 A-A'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된 코어(17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어(170)의 원형 단면은 종축선 A-A'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갖는다. 코어(170)는 종축선 A-A'을 따른 코어의 중간부(B-B')에서의 횡단면의 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170)의 횡단면과 제1 단부(128) 및 제2 단부(130)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 F는 닙부(86)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선택된다. 이에 따라 닙부(86)를 따라서 제1 압착 롤러(56)에 의해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은 수광기(20)로부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제거하고, 결국은 현상된 화상과 궁극적으로는 인쇄된 화상의 화질을 상당히 향상시키게 된다. 진원 원통형 코어의 중간부(B-B')에서의 힘은 단부에 인가된 힘에 따른 축(128)의 축 방향 처짐으로 인해 코어의 양 단부에서의 힘보다 작다. 중간부(B-B')에서의 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코어(170)의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중간부에서의 힘은 코어의 양 단부에서의 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중간부(B-B')로 갈수록 코어(170)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되면 가압 닙부(86)를 따라서 보다 균일한 힘의 분배가 이루어진다. 코어(170)의 직경을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변화시키면서 중간부(B-B')에서의 직경을 최대로 하면, 결과력 분배는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에 가해지는 어떤 특정의 힘 F에서는 일정하게 된다. 닙부(86)를 따라서 일정한 힘의 분배가 발생되게 하기에 충분한 특정의 힘 F는 코어(17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축(168)의 계수, 축의 길이,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계수 및 엘라스토머 재료의 두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상기 파라미터의 선택이 주어지면, 닙부(86)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얻기에 충분한 부하력 F가 이론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닙부(86)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힘을 얻을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부하력은 또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16은 기존의 압착 롤러를 따라서 부하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와 함께 기존의 제1 압착 롤러(56')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 롤러(56')는 종축선 A-A'을 따라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원통형 코어(170')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 각각과 제1 압착 롤러(56')에 가해지는 부하력 F는 닙부(86')를 따르는 부하력의 분포를 균일하지 않게 한다. 특히, 도16의 그래프에서의 곡선(174)은 코어(170')의 중간부(176)에서의 부하력이 코어의 양 단부(178, 180)에서의 부하력보다 현저히 작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코어(170')의 중간부를 향하여 가면서 부하력이 감소되면 수광기(20)의 폭을 따른 현상제 액체의 제거가 불균일하게 된다. 결국, 현상된 화상은 가장자리에서보다 중간부에서 더 습하다. 습한 구역은 현상된 화상의 중간 롤러로의 전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인쇄 기판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도17은 압착 롤러를 따르는 부하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와 함께 도15의 제1 압착 롤러(56)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17에 도시되고 또한 도1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 롤러(56)는 종축선 A-A'을 따라서 직경이 변화하는 코어(17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 각각에 부하력 F가 가해지면, 제1 압착 롤러(56)는 부하력의 분배가 닙부(86)를 따라서 보다 균일하게 한다. 특히, 도17의 그래프의 곡선(182)은 중간부(184)와 양 단부(186, 188)를 포함해서 코어(170)를 따라서 부하력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코어(170)를 따르는 부하력이 일정하면, 현상제 액체의 제거가 수광기(20)의 폭을 따라 균일해지게 되어 화질이 향상된다.
도18은 엘라스토머 재료(172)를 형성하기 전 상태의, 코어(170)와 제1 및 제2 단부(128, 130)를 구비하는 도15의 제1 압착 롤러(56)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축(168)은 금속이나 혹은 강성 플라스틱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168)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강, 스테인레스 강,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콜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틸 및 탄소 충전 섬유 유리가 있다. 금속 또는 비금속 축(168)을 절삭 가공해서 제1 단부(128), 제2 단부(130) 및 코어(170)를 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나 축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축(168)을 주형으로 주조하여서 제1 단부(128), 제2 단부(130) 및 코어(170)를 한정할 수 있다. 코어(170)의 크라운 형상은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성형 작업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코어(170) 둘레에 엘라스토머 재료(172)를 성형한 후의 상태에서, 도15의 제1 압착 롤러(56)를 도시한 선도이다. 수광기(20)와의 접촉에 따른 엘라스토머 재료(170)의 변형은 제1 압착 롤러(56)가 수광기(20)에 대응하게 하므로, 비엘라스토머 재료에 비해 닙부(86)를 따르는 압력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엘라스토머 재료(172)는 일례로, 폴리우레탄, 니트릴, 네오프렌,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변형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 중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 액체 제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재료(172)는 10 내지 90 쇼어 A, 바람직하기로는 50 내지 70 쇼어 A의 듀로미터를 갖는다. 엘라스토머 재료(172)는 축(168)의 적어도 일부분을 주형으로 교체함으로써 코어(170)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액상의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형 안으로 주입하여서 고화시킨다. 이어서 코어(170) 위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층을 구비한 축(168)을 주형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제1 압착 롤러(56)가 마련된다.
균일한 현상제 액체 제거를 위해,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외부 표면은 일관된 조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형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표면 상에 분할 이음부가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진원 원통형 주형을 사용하여 코어(170) 위에 엘라스토머 재료(172)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진원 원통형 주형을 사용하게 되면, 제1 압착 롤러(56)는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표면을 따라서 주형을 분할시키지 않아도 축(168)의 종축선 A-A'을 따르는 방향에서 주형의 한 단부에 있는 원형 개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주형의 단부 개방부로부터 제1 압착 롤러(56)를 제거하게 되면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외부 표면에는 이음매가 없게 된다.
진원 원통형 주형은 코어(170)의 크라운 형상에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 중에 코어(170)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액체 상태에서의 두께는 코어의 길이를 따라서 변화하게 되는데, 중간부에서의 두께는 최소가 되고 양 단부에서의 두게는 최대가 된다. 엘라스토머 재료(172)가 주형으로부터 제거되어서 냉각된 후에, 엘라스토머 재료는 크라운 형상을 취하게 될 것이다. 엘라스토머 재료(172)는 냉각 중에는 액체 상태의 두께에 비례하여 액체를 수축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최대 두께 영역은 최대 수축 액상화를 받게 되고, 그 결과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된 코어(170) 둘레에 실질적으로 크라운형 외형이 생긴다.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크라운형 외형이 유지된다.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크라운형 외형이 유지되면, 엘라스토머 재료(172)와 코어(170)는 모두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선(190, 19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종축선 A-A'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된 단면부를 갖게 된다. 선택적으로, 엘라스토머 재료를 일례로 그라인딩과 같은 사후 주형 표면 가공 작업하여 엘라스토머 재료(72)의 표면에 조직을 부부여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표면은 크라운형 외형이나 혹은 진원 원통형 형상으로 가공 처리할 수 있다. 원통형 형상을 그라인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원통형 형상을 그라인딩하는 것에 비해 어렵지 않으므로 반복성이 향상된다.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크라운형 외형이 진원 원통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 가공 처리에 의해 제거되면, 일례로 엘라스토머 재료와 코어(68)는 모두 도19에 선(194, 19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축선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종축선 A-A'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된 횡단면을 갖게 된다.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진원 원통형 주형에 대한 선택적인 것으로서, 엘라스토머 재료(172)는, 엘라스토머 재료(172)에 크라운형 형상을 부여하도록 성형된 진원 원통형 클램-셀(clam-shell) 주형이나 클램-셀 주형을 사용하여 코어 둘레(170)에 형성시킬 수 있다. 클램-셀 주형은 엘라스토머 재료(172)와 코어(170)를 제거하기 위해 분할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구비한다. 클램-셀 주형은 엘라스토머 재료(172) 상에 분할 이음매를 남긴다.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172)의 크라운형 형상은 반복 재현이 다소 곤란하다. 분할 이음매는 그라인딩과 같은 사후 주형 표면 가공 처리 작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표면 가공 처리 작업은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172)를 소정의 형상과 직경으로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화질과 보수 유지와 관련된 문제점은 현상 롤러(54)의 표면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가 축적됨에 따라 발생된다. 축적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현상 롤러954)의 현상 특성을 바꾸게 되고, 이에 따라 수광기(20) 상에는 현상제 액체가 불일치되게 현상된다. 현상의 불일치는 현상 롤러(54)의 보수 유지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54)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0 내지 도24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현상 롤러(54)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0은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중 어느 하나 내에 있는 현상제 보조 조립체(198)의 사시도이다. 현상 부분(198)은 본 발명에 따른 백 플레이트 현상제 제거 장치의 부품으로서 작동하는 클리닝 롤러(64)를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 현상제 제거 장치는 축(200)과 이 축의 외부 표면 둘레에 장착된 클리닝 매체(202)를 포함한다. 축(200)과 클리닝 매체(202)는 모두 클리닝 롤러(64)를 형성한다. 축(200)은 제1 브라켓(206) 내의 제1 베어링 장착부(20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단부와, 제2 브라켓(210) 내의 제2 베어링 장착부(20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단부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54)도 이와 유사하게 제1 브라켓(20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단부와 제2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축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78) 및 제2 브라켓(80)은 도1의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안에 장착된다.
클리닝 롤러(64)와 현상 롤러(54)는 클리닝 매체(202)가 현상 롤러의 외부 표면에 대해 부하를 가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장착된다. 클리닝 롤러(64)는 일례로 스프링 장착 기구에 의해 현상 롤러(54)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리닝 롤러(64)는 현상 롤러(54)에 대해 지지되도록 견고하게 장착된다. 축(200)과 기어(212, 214, 216, 218)를 거쳐서 현상 롤러(54)의 축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설치된다. 일례로, 모터는 기어(212)가 위에 장착되는 축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212)는 모터로부터 기어(214, 216, 218)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클리닝 롤러(64)와 현상 롤러(54)는 클리닝 롤러가 현상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기어(212, 214, 216)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현상 롤러(54)와 클리닝 롤러(64) 간의 표면 속도의 차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클리닝 롤러(64)는 현상 롤러(54)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데, 클리닝 롤러가 고속 또는 저속으로 기어 결합된 경우에 그렇다.
도21은 클리닝 매체(202)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축(200)의 사시도이다. 도22 및 도23은 종축선 A-A'에 수직한 축(200)의 다른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00)은 축의 종축선 A-A'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을 포함한다. 도21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에 연결되는 축(200)의 제1 단부(224)에 있는 구멍(222)을 나타내는 것이다. 축(200)의 제1 단부는 제1 브라켓(206)의 베어링 장착부(204)에 장착된다. 도21을 다시 참고하면, 축(200)의 제2 단부(226)는 제2 브라켓(210)의 베어링 장착부(208)에 장착되고 핀(228)에 의해 기어(216)에 결합된다.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00)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도 포함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은 축의 외부 표면 안에 형성된 구멍(232)으로 이어진다.
축(200)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과,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과, 구멍(232)은 일례로 절삭 가공 금속 또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축(200)은 필요에 따라 비원형 단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21,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축(200)은 6각형 단면부를 가질 수 있다. 6각형 단면부는 편평한 표면(240, 242, 244)을 구비하는 축(20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구멍(232) 각각은 편평한 표면(234, 236, 238, 240, 242, 244) 중 어느 한 표면에 형성된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은 3개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이 축(200)의 길이를 따라서 다수의 위치 각각에서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의 공통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분배된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은 번갈아 있는 편평한 표면(234, 236, 238, 240, 242, 244)에 형성된 구멍(232)에서 종결된다. 일례로, 도22는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이 번갈아 있는 편평한 표면(236, 240, 244)에 형성된 구멍(232)에 이르게 되는 축(200)의 길이를 따르는 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200)의 길이를 다른 다른 위치에서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은 번갈아 있는 편평한 표면(234, 238, 242)에 형성된 구멍(232)에 이르게 된다.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축(200)의 제1 단부(224) 둘레에 장착된 회전 유니온 조립체를 거쳐서 세척액을 받는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은 세척액을 축(200)의 외부 표면으로 구멍(232)을 경유하여 공급한다. 클리닝 매체(202)는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과 구멍(232)으로부터 세척액을 받는다. 클리닝 매체(202)는 현상 롤러(54)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여서 현상 롤러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한다. 클리닝 매체(202)는 탄성적 순응성 재료(resiliently compliant material)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적 순응성은 클리닝 매체(202)가 현상 롤러(54)와 접촉할 때에 변형 및 회복이 가능하게 하여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현상 롤러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전단 작용이 일어나게 한다. 특히, 전단 작용은 현상제 액체 공급부 안으로의 재분산을 위하여 백 플레이트 현상제 "슬러지(sludge)"를 파쇄한다. "재분산(redispersion)"이라는 용어는 백 플레이트 현상제 슬러지를 현상제 액체 내의 원래의 현상제 입자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은 현상제 입자로 파쇄하여서, 그와 같은 작은 현상제 입자를 운반 액체(carrier liquid) 안으로 재도입시키는 작동을 말하는 것이다. 재분산은 백 플레이트 현상제의 회수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에 의해 현상제 액체의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클리닝 매체(202)의 탄성적 순응성 재료는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도록 충분히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은 클리닝 매체(202)가 축(200)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액을 받고 또한 내보낸다. 특히, 클리닝 매체(202)가 현상 롤러(54)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함에 따라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로부터 받게 되는 세척액은 제거된 현상제를 유동 경로를 거쳐서 클리닝 매체 안으로 분출시키게 된다. 축(200)을 통해서 유체를 공급하는 대신에, 클리닝 롤러(64)를 세척액 안에 침지시키는 것과 같은 선택적인 유체 유동 수단에 의해서나 혹은 클리닝 롤러 위에 세척액을 커텐식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서 클리닝 매체(202)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장치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현상제 액체를 클리닝 매체(202)로부터 분출시키기 위한 유체 유동을 제공하지 않고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효과적인 클리닝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재료가 탄성적 순응성 및 다공성인 것 외에, 재료는 통상적으로 현상 롤러(54) 상의 전하를 변경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절연성이어야 하며 화상 형성 장치(10)에 사용된 현상제 액체에 대해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야 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매체(202)는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로 제조된 다수의 링(246)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링(246)은 축(200)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게 장착된다. 링(246)은 인접하는 링 사이에 실질적으로 간극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링(246)은 연속적인 클리닝 매체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링(246)은 일례로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의 판으로부터 원형 디스크를 펀칭 가공하고 디스크 내에 장착 구멍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 형성된 링(246)은, 축이 링의 장착 구멍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도록 축(200)의 길이를 따라서 적층된다. 축(200)의 6각형 단면부는 링(246)이 축을 중심으로 해서 자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를 한다. 선택적인 것으로서, 클리닝 블레이드(202)는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의 연속 슬리브를 축(200) 둘레에 장착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것으로서,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의 연속 길이부를 축(200)의 외부 표면 둘레에 촘촘한 나선 형상으로 둘러싸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클리닝 매체(202)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클리닝 매체(202)의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는, 일례로 재료 내의 구멍을 통과하는 세척액의 유동이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픈-셀 폼(open-cell foam) 또는 직물 재료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리닝 매체(202)를 형성하는 탄성적 순응성 다공성 재료는 에어-레이드 부직 섬유(non-woven air-laid fiber) 재료나 취입 미크로 부직 섬유(non-woven blown micro fiber) 재료에 의해 실현된다. 클리닝 매체(202)의 제조에 적합한 에어-레이드 부직 섬유 재료의 예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한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캄파니(3M)에서 입수 가능한 스카치브라이트 티-탈크(SCOTCHBRITE T-TALC: 상표명)가 있다. 이와 같은 에어-레이드 섬유 재료는 현상 롤러(54)와 접촉 할 때에 변형 및 회복이 되게 하기에 충분한 탄성적 순응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에어 레이드 섬유 재료는 구멍(232)으로부터 나오는 세척액의 유동이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분출시키도록 하기에 충분한 다공성도 갖는다.
섬유 재료는 현상 롤러(54)로부터 현상제를 닦아 내는 데 일조를 하는 거친 클리닝 매체(202)를 마련한다. 특히, 그 섬유 재료를 일례로 보다 큰 쉬이트로부터 펀칭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절단하는 경우, 섬유의 털이 클리닝 매체(202)에서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섬유 털은 클리닝 매체(202)의 닦아 내는 작용을 향상시키게 된다. 섬유 재료에는 필요하다면 닦아 내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마 재료를 주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상 롤러(54)의 잠재적 손상을 고려할 때에 연마 재료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섬유 재료는 실질적으로 비연마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의 진원 원통인 축(200) 둘레의 치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링(246)을 표면 연마 가공할 수 있다. 균일한 치수는 링(246)과 현상 롤러(54)와의 균일한 접촉을 향상시킨다.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 및 클리닝 매체(202)를 통하여 유동하는 세척액은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완화시켜서 그 현상제를 클리닝 매체로부터 분출시킨다. 세척액은 일례로 엑손(EXXON)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노파(NOPAR: 상표명) 또는 아이소파(ISOPAR: 상표명)와 같은 용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액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 액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 사용되는 세척액은 노파(NOPAR: 상표명) 또는 아이소파(ISOPAR: 상표명) 용제와 같은 운반 액체 내에 분산되는 현상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 액체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 및 클리닝 매체(202)를 통해서 펌핑되고,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클리닝 롤러(64)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다색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액체는 백 플레이트 현상제와 동일한 색이라야 칼라의 교차 오염을 피할 수 있다. 현상제 회수에 관심이 없는 경우에는, 용제 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는 현상제 액체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 안으로 분출되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용의 현상제 공급부 안으로 재편성된다. 현상제 액체는 스러지형 백 플레이트 현상제 입자에 대해서 용제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다. 현상제 액체의 분출 작용은 클리닝 매체(202)가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하고, 이에 의해 클리닝 롤러(64)의 클리닝 효율이 연장된 시간 동안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21의 장치의 부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4는 클리닝 매체(202)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200) 상에 링(246)을 장착하기 위한 예시적 구조와, 축(200)을 제1 브라켓(206)과 제2 브라켓(210)에 장착하기 위한 예시적 구조와, 세척액을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과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로 보내기 위한 예시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축(200) 상에 링(246)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일례로 링들을 서로 가압식으로 유지시키는 한 쌍의 클립을 포함한다. 도24는 하나의 클립(248)을 도시하고 있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베어링 장착부(204, 208)는 제1 및 제2 브라켓(206, 210)에 장착된다. 제1 베어링 장착부(204)는 축(200)의 제1 단부(224)를 지지하는 반면에, 제2 베어링 장착부(208)는 축의 제2 단부(226)를 지지한다. 축(200)의 제2 단부(226)에 형성된 핀(228)은 기어(216)에 결합되어서 클리닝 작동을 위하여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과,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과, 궁극적으로는 클리닝 매체(202)로 세척액을 보내기 위한 구조는 회전 유니온 조립체(250)를 포함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니온 조립체(250)는 리테이너 하우징(252), 링 스페이서(254), 볼 베어링(256, 258), 클립(260), 시일(262) 및 회전 공급 하우징(264)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하우징(252)과 회전 공급 하우징(264)은 한 쌍의 나사 구멍(266)과 나사를 통해서 서로 결합되어서 링 스페이서(254), 볼 베어링(256, 258), 클립(260) 및 시일(262)을 함께 하우징한다. 축(200)의 제1 단부(224)는 구멍(222)이 회전 공급 하우징(264)의 내부 공동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링 스페이서(254), 볼 베어링(256, 258), 클립(260) 및 시일(262)을 통해서 연장된다. 축(200)은 기어(216)로부터의 회전력에 응답하여 링 스페이서(254), 볼 베어링(256, 258), 클립(260) 및 시일(262)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리테이너 하우징(252)과 회전 공급 하우징(264)은 고정 유지된다.
회전 공급 하우징(264) 내의 (도시되지 않은) 구멍에는 유체 공급 라인이 삽이 장착된다. 유체 공급 라인은 외부 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 하에서 세척액을 회전 공급 하우징(264)의 공동 안으로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세척액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220)을 따라서 구멍(222) 안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2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클리닝 액체는 클리닝 매체(202)의 다공 섬유 재료를 통해서 유동하여서 현상 롤러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유동의 압력은 클리닝 매체(202) 내의 소정의 분출 작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펌프를 거쳐서 조정될 수 있다. 분출 작동은 현상 롤러(54)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현상제 액체 공급부 안으로 재구성되도록 제거한다.
도25 내지 도3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25는 일례로 도1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현상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는 현상 롤러(54), 제1 압착 롤러(56), 제2 압착 롤러(58),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 및 플리넘(62)을 포함한다. 도25는 클리닝 롤러(64)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25는 선택적인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를 도시하고 있다. 현상 롤러(54), 제1 압착 롤러(56), 제2 압착 롤러(58), 저장조(60), 플리넘(62), 클리닝 롤러(64) 및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와 부속된 전기 및 기계적 하드웨어는 모두가 공통의 프레임 조립체(272)에 장착되어서 현상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프레임 조립체(272)는 제1 측면 프레임(274), 제2 측면 프레임(276) 및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교 부재(278)를 포함한다.
도26은 도25의 현상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는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 압착 보조 조립체(282), 현상제 액체 회수 보조 조립체(284) 및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는 현상 롤러(54), 플리넘(62) 및 클리닝 롤러(64)를 포함한다. 압착 보조 조립체(282)는 제1 압착 롤러(56)와 제2 압착 롤러(58)를 포함한다. 현상제 액체 회수 보조 조립체(284)는 저장조(60)를 포함한다.
도27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압착 보조 조립체(282)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압착 롤러(56)와 제2 압착 롤러(58) 외에, 압착 보조 조립체(282)는 제1 측면 판(286), 제2 측면 판(288) 및 조립되었을 때에 제1 측면 판과 제2 측면 판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교 부재(290)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 285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 부재(290)는 압착 조립체(282)의 중앙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가교 부재(290)의 경사 외형은 현상제 액체가 저장조(60)를 향하여 하향으로 배출되게 하는데, 이에 따라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제1 및 제2 측면 판(286, 288) 각각은 스프링(287, 289) 각각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제1 압착 롤러(56)의 제1 및 제2 단부(128, 130)는 제1 및 제2 측면 판(286, 288) 각각에 있는 구멍(292, 294) 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291, 293)이 제1 압착 롤러(56)의 제1 및 제2 단부(128, 130) 각각에 마련되어서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제2 압착 롤러(58)의 제1 및 제2 단부(132, 134)는 제1 및 제2 단부(286, 288) 각각에 있는 구멍(296, 298) 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수광기(20)의 대향 측면 상에 지지 롤러의 축이 잡혀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판(286, 288) 상에 위치 결정 블럭(297, 299)이 설치된다. 위치 결정 블럭(297, 299)은 위치 결정 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29를 참고하여 다시 더 설명한다. 위치 결정 블럭(297, 299)은 수광기(20)와 지지 롤러에 대한 압착 롤러(56, 58)의 위치 결정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위치 결정 블럭(297, 299)은 지지 롤러에 대한 압착 롤러(56, 58)의 배열을 수광기(20)의 길이를 따라서 조절한다. 위치 결정 블럭(297, 299)이 지지 롤러의 축과 접촉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위치 결정 블럭은 임의의 고정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도27을 참고하면, 제2 압착 롤러(58)의 제2 단부(134)는 일련의 기어(302)(도27에는 부분적으로 도시됨)를 거쳐서 모터(300)에 결합된다. 모터(300)는 제2 압착 롤러(58)를 전 시간에 걸쳐서 수광기(20)에 대향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제1 및 제2 압착 부분(146, 148)은 그에 따라 도10 내지 도14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위(wrap-around)"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도록 회전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부재(68a, 68b)는 제1 및 제2 압착 부분(148, 150) 각각에 인접한 장착부(158, 160)에 장착되어서 현상제 액체의 압착 부분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블레이드 장착부(158, 160)는 가교 부재(290)에 장착된다.
제1 압착 롤러(56)의 제2 단부(130)는 기어(302)와 클러치(304)를 거쳐서 모터(300)에 결합된다. 클러치(304)는 도2 내지 도9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하선 현상제 액체의 제거를 위한 선택적인 사항에 의거하여 제1 압착 롤러(56)를 수광기(20)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제1 블레이드 기구(66)는 블레이드 장착부(308)에 장착된 블레이드 부재(306)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장착부(308)의 제1 단부(310)는 제1 측면 판(286) 내의 구멍에 장착된다. 블레이드 장착부(308)의 제2 단부(312)는 제2 측면 판(288)의 구멍에 장착된다. 블레이드 장착부(308)의 제1 단부(310)는 제1 측면 판(286) 상에 장착된 피벗 작동 레버(314)의 자유 단부를 거쳐서 연장된다. 모터(316)는 레버를 이동시키는 캠(318)을 작동시켜서 제1 압착 롤러(56)에 대한 제1 블레이드 기구(66)의 클리닝 작동을 제어한다.
도28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는 롤러(54)와 플리넘(62)과 클리닝 롤러(64)외에 제1 측면 판(320), 제2 측면 판(322) 및 조립되었을 때에 제1 측면 판과 제2 측면 판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교 부재(324)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 3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 부재(324)는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의 중앙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서 현상제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압착 보조 조립체(282)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의 제1 및 제2 측면 판(320, 322) 각각은 스프링(326, 328) 각각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현상 롤러(54)의 제1 및 제2 단부(124, 126)는 제1 및 제2 측면 판(320, 32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325, 327)은 현상 롤러(54)의 제1 및 제2 단부(128, 130) 각각에 마련되어서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클리닝 롤러(64)의 제1 및 제2 단부(224, 226)는 제1 및 제2 측면 판(320, 322) 각각에 장착된 베어링 장착부(204, 208) 안에 장착된다. 링(329, 331)은 또한 클리닝 롤러964)의 제1 및 제2 단부(224, 226) 각각에 마련되어서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지지 롤러의 축이 수광기(20)의 대향 측면 상에 붙잡히게 하거나 혹은 다른 고정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판(320, 322) 상에 위치 결정 블럭(320, 332)이 설치된다. 위치 결정 블럭(297, 299)과 마찬가지로, 블럭(320, 332)은 위치 결정 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29를 참고하여 다시 더 설명한다. 위치 결정 블럭(330, 332)은 수광기의 이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간극 휘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현상 롤러(54)와 수광기(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28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54)의 제2 단부(126)는 일련의 기어를 통해서 모터(334)에 결합된다. 모터(334)는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현상 롤러(54)를 수광기(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플리넘(62)은 나사(336, 338) 각각에 의해 제1 및 제2 단부(320, 322)에 장착된다. 플리넘(62)은 도면 부호 34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의 중앙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측방향 표면을 포함하여 현상제 액체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광기(20)와 같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현상 장치를 위치시키는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341, 343)는 현상 장치에 대향된 수광기(20)의 측면 상에 장착된다. 지지 롤러(341)는 이 지지 롤러에 대해서 제1 압착 롤러의 위치 결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 블럭(297, 299)에 의해 붙잡히는 단부를 구비하는 축(345)을 포함한다. 지지 롤러(341)는 제1 압착 롤러(56)에 의한 부하에 응답하는 수광기(2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지지 롤러(343)는 현상 롤러(54)와 수광기(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 블럭(330, 332)에 의해 붙잡히는 단부를 구비하는 축(347)을 포함한다. 위치 결정 블럭(297, 299, 320, 322)과 지지 롤러(341, 343)는 모두가 위치 결정 기구를 형성한다. 위치 결정 블럭(320, 322)은 수광기와 접촉하지 않고도 수광기(20)에 대한 현상 장치의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위치 결정 기구는 이에 따라 화상 형성 공정 중에 수광기(20)의 운동 상태의 질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0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는 그리드(344)와, 코로나 와이어(346)와, 제1 및 제2 인장 블럭(348, 350)을 구비하는 코로나 와이어 인장 조립체를 포함한다.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를 결합시키는 것은 선택적인 것이지만, 다색 화상 형성을 위한 제1의 3개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각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광기(20)가 노출되고 이에 따라 대전되어서 잠상이 형성되고 현상된 후에,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는 이어지는 노출/현상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위로 수광기(20)를 대전시킨다. 일례로, 제1 노출 스테이션(32)이 수광기(20)를 화상 패턴으로 대전시켜 잠상을 형성시켜서 현상시킨 후에, 제1 현상 스테이션의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는 이어지는 노출 스테이션(34) 및 이어지는 현상 스테이션(14)의 작동에 앞서 수광기를 대전시키게 된다.
도31은 도25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액체 회수 보조 조립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액체 회수 저장조(60)는 가교 부재(278) 내의 드레인 구멍(354) 안에 장착되는 드레인(352)을 포함한다. 저장조(60)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회수하기 위해 유체 라인이 드레인(352)과 드레인 구멍(354)에 결합된다. 또한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272)의 제1 및 제2 측면 판(274, 276)은, 도면 부호 35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압착 보조 조립체(282)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과, 도면 부호 35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보조 조립체(280)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과, 도면 부호 36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코로나 보조 조립체(270)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한다. 프레임 조립제(272)는 또한 제1 및 제2 측면 판(274, 276) 각각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안내 판(362, 364)도 포함한다. 안내 판(362, 364) 각각은 현상제 장치 하우징 안의 수직 방향 슬롯 내에서 활주하는 안내 포스트(366, 368)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3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현상 스테이션을 지지하고 작동하기 위한 다색 현상제 하우징(37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2에서는 도시를 쉽게 하기 위해서, 현상제 장치 하우징(370)은 하나의 현상 스테이션(14)을 가지고 도시하였다. 도32의 현상제 스테이션(14)은 도25 내지 도31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에 상응한다.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장치 하우징(370)은 제1 및 제2 측벽(372, 374)을 포함한다. 측벽(372, 374) 각각은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각각에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슬롯(376, 378)을 포함한다. 현상 스테이션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포스트(366, 368) 각각은 슬롯(376, 378) 각각에서 수직 방향으로 활주한다. 현상제 장치 하우징(370)은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을 위한 한 쌍의 캠(382)을 포함하는 캠 작동 기구(380)를 포함한다. 캠(382)은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 상에서 포스트(384)와 결합된다. 캠 작동 기구(380)는 각각의 캠(382)을 회전시켜서 각각의 현상 스테이션(12, 14, 16, 18)을 수광기(20)에 대해 상하향으로 승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롤러(54)는 수광기(20)와의 인접부에 결합되어서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 압착 롤러(56, 58)는 수광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여서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와 기능을 보다 더 예시하기 위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크라운 형상을 갖는 제1 압착 롤러(56)를 현상 장치에 조립 및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길이가 약 26.04cm(10.25인치)이고 직경이 약 1.63cm(0.64인치)인 진원 원통형 금속 축을 절삭 가공하여, 길이가 약 0.95cm(0.375인치)이고 직경이 약 0.5cm(0.2인치)인 제1 단부와, 길이가 약 0.95cm(0.375인치)이고 직경이 약 0.5cm(0.2인치)인 제2 단부와, 축의 중앙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형성하였다. 코어는 약 24.13cm(9.5인치)의 길이를 가지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갖도록 절삭 가공하였다. 코어의 직경은 코어의 중간부에서는 최대이고 코어의 양 단부에서는 최소가 되게 하였다. 특히, 코어는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되는 크라운 형상을 갖도록 절삭 가공하였다.
L = 2[(Dmax - Dmin/2)(2r - (Dmax - Dmin/2))]1/2
여기서, 크라운 형상은 반경이 r인 원의 호에 일치하며, L은 코어의 길이이고, Dmax는 길이를 따르는 코어의 최대 직경으로서 코어의 중간부에서의 코어의 직경이고, Dmin은 길이를 따르는 코어의 최소 직경으로서 코어의 양 단부 각각에서의 코어의 직경이다. 본 실시예에서, r=1371.6cm(540인치), L=24.13cm(9.5인치), Dmax=1.59cm(0.625인치), Dmin=1.44cm(0.565인치)이다.
절삭 가공된 코어를 길이가 약 22.9cm(9인치)이고 직경이 2.16cm(0.85인치)인 진원 원통형 주형 안에 배치하였다. 코어는 주형의 중앙 종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이 되게 하였다. 주형을 밀봉한 후에,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형 안으로 주입하였다. 엘라스토머 재료는 고화된 때에 약 55 내지 65 쇼어 A의 듀로미터를 가졌다. 엘라스토머 재료를 고화시킨 후에, 축과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형의 단부에 있는 원형 개구부를 통해서 주형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얻어진 압착 롤러의 코어와 엘라스토머 재료는 모두 크라운 형상과,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전체가 변화하는 직경을 가졌다. 엘라스토머 재료를 그라인딩하여서, 코어와 엘라스토머 재료 모두가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전체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형성하는, 진원 원통형 압착 롤러를 형성하였다. 코어와 그라인딩된 엘라스토머 재료의 전체 직경은 약 1.98cm(0.78인치)이다. 그라인딩 작업은 엘라스토머 재료에 약 40AA(산술 평균)의 무작위 조도로 특징되는 조직을 제공하였다.
압착 롤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스테이션 안의 베어링 장착부에 배치하였다. 현상 스테이션은 화상 형성 장치 안에서 수광기 무단 벨트를 이송하는 드럼에 인접하게 장착하였다. 스프링 기구를 통하여 베어링 장착부에 부하력을 가하여서 드럼 상에 장착된 수광기 벨트에 대하여 압착 롤러가 부하를 가하게 하였다. 수광기 벨트는 압착 롤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약 27.9cm(11인치)의 폭과 압착 롤러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약 50.3cm(19.8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압착 롤러와 수광기 벨트는, 수광기 벨트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보다 약간 큰, 약 22.9cm(9인치)의 길이를 갖는 가압 닙부를 형성하였다.
드럼은 수광기 벨트가 초 당 약 7.62cm(3인치)의 표면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었다. 압착 롤러는 수광기 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표면 속도로 마찰 구동되었다. 닙부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힘이 형성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부하력을 실험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스프링 기구를 조정하였다. 압착 롤러 축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약 1.8Kg(4lb)의 부하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어진 압착 롤러의 구조에 있어서는 닙부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힘이 형성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약 1.8 내지 2.7Kg(4 내지 6 lb) 범위의 부하력도 역시 현상제 액체의 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면서 양호한 부하의 균일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동 시에, 압착 롤러는 수광기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을 가로질러서 현상제 액체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제거하는 것으로 관측되었고, 그 결과 현상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제 액체의 막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건조되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 클리닝 롤러(64)와 같은, 현상 장치로부터 백 플레이트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의 현상 장치를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21에 도시된 축9200)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제조하기 위하여 황동 편을 절삭 가공하였다. 6각형 단면을 갖는 축 부분은 약 32.0cm의 길이를 갖는다. 축은 약 1.27cm의 6각형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치수를 갖는다. 축 안에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구멍을 형성하였다.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의 직경은 약 0.62cm이고, 길이는 약 30.8cm이다. 축의 6각형 부분에는 102개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을 형성하였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 각각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 내의 구멍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게 하였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과 구멍 각각의 직경은 약 0.26cm이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의 길이는 약 0.3cm 이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축의 6각형 부분의 길이를 따라서 이격시켰다.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의 공통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세트로 분할하였다. 3개 세트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의 각 세트는 축의 길이를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로부터 약 0.64cm만큼 이격시켰다. 각 세트 내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들은, 구멍에서 종결된 채널들이 6각형 축의 번갈아 있는 편평한 표면 안에 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서 약 120°로 형성하였다.
스카치라이트 티-탈크(SCOTCHBRITE T-ALC) 에어 레이드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60개의 링들을 축의 6각형 부분 둘레에 형성하였다. 링 각각은 축 상에서 다른 링과 함께 압축되었을 때에 축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약 0.36cm의 압축 두께를 가지며, 약 0.75cm의 비압축 두께를 갖는다. 링 각각은 약 2.54cm의 총 직경을 갖는다. 장착 구멍이 약 1.27cm의 직경을 갖는 경우, 링 각각의 축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두께는 약 0.64cm이다. 링은 스카치라이트 티-탈크(SCOTCHBRITE T-ALC) 에어 레이드 섬유 재료의 쉬트로부터 디스크를 펀칭 가공하고 디스크 안에 장착 구멍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하였다. 디스크를 축 상에 유지시키는 데에는 클립을 사용하였다. 축은 섬유 링과 함께 각 단부에서의 약 0.68Kg의 부하력으로 현상 롤러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였다.
도5 및 도6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회전 유니온은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 이어지는 개방 구멍을 갖는 축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결합시켰다. 현상제 액체의 공급원을 회전 유니온에 결합시켜서, 펌프로 회전 유니온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 안으로 압송시킨다. 축의 타 단부는 기어에 결합시켰다. 기어는 축이 약 57rpm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모터로 구동시킨다. 펌프는 현상제 액체를 약 0.5ℓ/분의 유량으로 중앙 유체 유동 채널 안으로 압송하도록 조정하였다. 축이 회전함에 따라서, 섬유 링은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현상 롤러로부터 제거하였다. 이와 동시에, 중앙 유체 유동 채널 안으로 압송된 현상제 액체는 섬유 링을 통하여서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 밖으로 압송되어서 제거된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분출시켰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의 내용과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게 되면 또 다른 이점과 수정예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내용과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 사상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Claims (24)

  1.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기판은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제1 압착 롤러와,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현상기에 의해 가해진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하고 또한 화상 형성 기판의 제1 방향의 이동에 대한 제1 압착 롤러의 상류측에서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게 하고 그리고 제1 압착 롤러로부터 화상 형성 기판으로 이송되는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일부는 제1 압착 롤러의 하류측을 지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는 제1 부하 인가 기구와,
    제1 압착 롤러가 현상기에 의한 화상 형성 기판으로의 현상제 액체 적용을 종료함에 따라서 형성되는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제1 압착 롤러를 지나는 화상 형성 기판의 비화상 형성 영역의 이동 시에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압착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 기구와,
    제2 압착 롤러와,
    제1 압착 롤러의 하류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2 부하 인가 기구와,
    제2 압착 롤러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제2 압착 롤러를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제1 압착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된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구와, 제2 압착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된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압착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구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압착 롤러가 공동의 롤러 축 둘레에 장착되는 제1 압착 부분과 제2 압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 부분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제1 압착 롤러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압착 부분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제1 압착 롤러의 제2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현상제 액체는 현상기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 물질을 형성하고, 현상 장치는 또한 축과, 축의 외부 표면 둘레에 장착되는 클리닝 매체와, 클리닝 매체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유체 유동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현상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3 부하 인가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백 플레이트 물질을 현상기로부터 제거하고 세척액이 이렇게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축과 클리닝 매체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 기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기구는,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로 공급하고 상기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축의 외부 표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클리닝 매체는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고, 세척액은 유동 경로를 통해서 전달되어서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롤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축과, 코어 둘레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는,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고,
    엘라스토머 재료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가압 닙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부하력을 가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코어의 단면과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닙부를 따라서 형성되도록 선택되고, 이에 의해 제1 압착 롤러가 제1 및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코어는 코어의 단면이 코어의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며 종축선을 따르는 코어의 중간 지점의 직경은 최대가 되도록 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롤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축과, 코어 둘레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는,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고,
    엘라스토머 재료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가압 닙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부하력을 가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코어의 단면과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닙부를 따라서 형성되도록 선택되고, 이에 의해 제1 압착 롤러가 제1 및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코어는 코어의 단면이 코어의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며 종축선을 따르는 코어의 중간 지점의 직경은 최대가 되도록 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기판은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압착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현상기에 의해 가해진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는 부하 인가 기구와,
    압착 롤러가 현상기에 의한 화상 형성 기판으로의 현상제 액체 적용을 종료함에 따라서 형성되는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압착 롤러를 지나는 화상 형성 기판의 비화상 형성 영역의 이동 시에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압착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 롤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축과, 코어 둘레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는,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고,
    엘라스토머 재료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가압 닙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부하력을 가해서 압착 롤러의 코어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코어의 단면과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닙부를 따라서 형성되도록 선택되고, 이에 의해 압착 롤러가 제1 및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압착 롤러의 코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코어는 코어의 단면이 코어의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며 종축선을 따르는 코어의 중간 지점의 직경은 최대가 되도록 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압착 롤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압착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된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압착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구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기판은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압착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현상기에 의해 가해진 제1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는 제1 부하 인가 기구와,
    압착 롤러가 현상기에 의한 화상 형성 기판으로의 현상제 액체 적용을 종료함에 따라서 형성되는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압착 롤러를 지나는 화상 형성 기판의 비화상 형성 영역의 이동 시에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압착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액체는 상기 현상기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 물질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축과, 축의 외부 표면 둘레에 장착되는 클리닝 매체와, 클리닝 매체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유체 유동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현상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2 부하 인가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백 플레이트 물질을 현상기로부터 제거하고 세척액이 이렇게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축과 클리닝 매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기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기구는,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로 공급하고 상기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축의 외부 표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클리닝 매체는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고, 세척액은 유동 경로를 통해서 전달되어서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압착 롤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압착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된 제2의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압착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구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기판은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제1 압착 롤러와,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현상기에 의해 가해진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하고 또한 화상 형성 기판의 제1 방향의 이동에 대한 제1 압착 롤러의 상류측에서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게 하고 그리고 제1 압착 롤러로부터 화상 형성 기판으로 이송되는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의 일부는 제1 압착 롤러의 하류측을 지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는 제1 부하 인가 기구와,
    제2 압착 롤러와,
    제1 압착 롤러의 하류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2 부하 인가 기구와,
    제2 압착 롤러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의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제2 압착 롤러를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현상제 액체는 현상기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 물질을 형성하고,
    또한 축과, 축의 외부 표면 둘레에 장착되는 클리닝 매체와, 클리닝 매체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유체 유동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현상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3 부하 인가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백 플레이트 물질을 현상기로부터 제거하고 세척액이 이렇게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축과 클리닝 매체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 기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압착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된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압착 롤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기구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제2 압착 롤러가 공동의 롤러 축 둘레에 장착되는 제1 압착 부분과 제2 압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 부분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제1 압착 롤러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압착 부분은 제1 압착 롤러로부터 이송된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 부분을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제1 압착 롤러의 제2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기구는,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로 공급하고 상기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축의 외부 표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클리닝 매체는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고, 세척액은 유동 경로를 통해서 전달되어서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롤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축과, 코어 둘레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는,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고,
    엘라스토머 재료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가압 닙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부하력을 가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코어의 단면과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닙부를 따라서 형성되도록 선택되고, 이에 의해 제1 압착 롤러가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코어는 코어의 단면이 코어의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며 종축선을 따르는 코어의 중간 지점의 직경은 최대가 되도록 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2.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기판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기판은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현상제 액체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압착 롤러와,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중에 현상기에 의해 가해진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의 화상 형성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압착 롤러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 부하를 가하게 하는 제1 부하 인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 롤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축과, 코어 둘레에 형성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는,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단면을 갖고,
    엘라스토머 재료와 화상 형성 기판 사이에 가압 닙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부하 인가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각각에 부하력을 가해서 압착 롤러의 코어가 화상 형성 기판에 대해서 부하를 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코어의 단면과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닙부를 따라서 형성되도록 선택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과잉 현상제 액체를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고,
    현상제 액체는 현상기 상에 백 플레이트 현상제 물질을 형성하고,
    또한 축과, 축의 외부 표면 둘레에 장착되는 클리닝 매체와, 클리닝 매체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유체 유동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현상기에 대해서 부하를 가하도록 하는 제2 부하 인가 기구와, 클리닝 매체가 백 플레이트 물질을 현상기로부터 제거하고 세척액이 이렇게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축과 클리닝 매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압착 롤러의 코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코어는 코어의 단면이 코어의 종축선을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가지며 종축선을 따르는 코어의 중간 지점의 직경은 최대가 되도록 한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기구는, 축의 종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유체 유동 채널과, 중앙 유체 유동 채널로부터 축의 외부 표면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로 공급하고 상기 반경 방향 유체 유동 채널은 세척액을 축의 외부 표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클리닝 매체는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고, 세척액은 유동 경로를 통해서 전달되어서 클리닝 매체로부터 제거된 백 플레이트 물질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KR1019980702333A 1995-09-29 1996-08-23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KR19990063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36,135 US5576815A (en) 1995-09-29 1995-09-29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US8/536,135 1995-09-29
PCT/US1996/013968 WO1997012294A1 (en) 1995-09-29 1996-08-23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61A true KR19990063861A (ko) 1999-07-26

Family

ID=2413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33A KR19990063861A (ko) 1995-09-29 1996-08-23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576815A (ko)
EP (2) EP0864938A3 (ko)
JP (1) JPH11512840A (ko)
KR (1) KR19990063861A (ko)
WO (1) WO1997012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494A (en) * 1995-08-20 1998-04-14 Ricoh Company, Ltd. Configured to enhance toner collecting efficiency and toner redepositing efficiency
US6091918A (en) * 1995-09-29 2000-07-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queege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WO1997012288A1 (en) * 1995-09-29 1997-04-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colored image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US5576815A (en) * 1995-09-29 1996-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KR19990063858A (ko) * 1995-09-29 1999-07-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9990063863A (ko) * 1995-09-29 1999-07-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이미징 기재로부터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압착 장치 및 방법
WO1997012291A1 (en) * 1995-09-29 1997-04-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WO1997012292A1 (en) * 1995-09-29 1997-04-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removal of back-plated developer from a development device
US5802436A (en) * 1997-03-04 1998-09-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removal of back-plated developer from a development device
KR200172924Y1 (ko) * 1997-08-27 2000-03-02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US5893658A (en) * 1997-10-17 1999-04-13 Kellie; Truman F. Image plane registration system for electrographic systems
KR100265736B1 (ko) * 1997-12-08 2000-09-15 윤종용 전자사진방식프린터
US6049684A (en) * 1998-02-17 2000-04-11 Nec Corporatio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3037264B2 (ja) * 1998-05-18 2000-04-24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湿式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970273A (en) * 1998-07-07 1999-10-19 Imation Corp. Ink cartridge for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devices
US6088560A (en) * 1998-07-07 2000-07-11 Imation Corp. Liquid ink replenishment system for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devices
JP2000112246A (ja) * 1998-09-30 2000-04-2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6034457A (en) * 1998-12-28 2000-03-07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drive apparatus for web transport
KR100571906B1 (ko) * 1999-02-06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스퀴즈장치
KR100366647B1 (ko) * 1999-08-20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스퀴즈롤러
JP2001092261A (ja) 1999-09-21 2001-04-06 Toshiba Tec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液供給ユニット
JP4217355B2 (ja) 1999-09-22 2009-01-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70204B1 (ko) * 1999-10-27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용 감광벨트
KR100369473B1 (ko) * 1999-11-22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징장치
US6180305B1 (en) 2000-02-16 2001-01-30 Imation Corp. Organic photoreceptor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y
US6342324B1 (en) 2000-02-16 2002-01-29 Imation Corp. Release layers and compositions for forming the same
US6324368B1 (en) 2000-02-29 2001-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irst squeeze roller rot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 photosensitive member
US6393240B1 (en) * 2000-09-15 2002-05-2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We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developer image
US7014897B2 (en) * 2002-12-16 2006-03-21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having a textured imaging surface and a phase change ink image producing machine having same
US7437104B2 (en) * 2005-01-07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cleaning
JP4733401B2 (ja) * 2005-01-31 2011-07-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液体画像形成装置
JP3111895U (ja) * 2005-04-15 2005-07-28 株式会社フジコー トナー掻き取り材
US7877046B2 (en) * 2007-12-07 2011-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rd imaging devices and hard imaging methods
CN110168448B (zh) * 2017-01-31 2022-11-25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液体电子照相印刷机中显影器辊的抗摩擦环
WO2019108180A1 (en) * 2017-11-29 2019-06-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s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659A (en) * 1970-05-06 1972-04-11 Clevite Corp Liquid toner clean-off system for high speed operation
US3710469A (en) * 1970-11-04 1973-01-16 N Kitazawa Oiling roller
US3750246A (en) * 1971-09-13 1973-08-07 Gulf & Western Syst Co Composite roll
US3741643A (en) * 1971-11-19 1973-06-26 Savin Business Machines Corp Pneumatic assembly for removing excess developer liquid from photoconductive surfaces
US3955533A (en) * 1972-09-27 1976-05-11 Smith Ian E Squeegee roller system for removing excess developer liquid from photoconductive surfaces
US3815989A (en) * 1972-12-14 1974-06-11 Nashua Corp Electrophotographic copy systems
JPS5520578B2 (ko) * 1973-02-21 1980-06-03
GB1439702A (en) * 1973-06-29 1976-06-16 Xerox Corp Cleaning material from a support surface
US3843407A (en) * 1973-08-24 1974-10-22 Xerox Corp Blade cleaning with reverse movement
US3850099A (en) * 1973-10-24 1974-11-26 Dick Co Ab Washing roller and wiper blade mechanism for duplicating machines
JPS5322435A (en) * 1976-08-13 1978-03-01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CA1098580A (en) * 1977-02-07 1981-03-31 Kenneth W. Gardiner Excess developer removal apparatus
US4181094A (en) * 1977-02-07 1980-01-01 Savin Corporation Excess developer removal apparatus
JPS5515190A (en) * 1978-07-19 1980-02-02 Canon Inc Liquid development process for static latent image
JPS55106480A (en) * 1979-02-08 1980-08-15 Canon Inc Elastic roller
US4325627A (en) * 1979-12-19 1982-04-20 Sav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US4395113A (en) * 1981-10-29 1983-07-26 Nashu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photoconductive members
US4416201A (en) * 1981-11-18 1983-11-22 Monarch Marking Systems, Inc. Ink roller assembly with capillary ink supply
US4669859A (en) * 1982-03-23 1987-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DE3213797A1 (de) * 1982-04-15 1983-10-20 Hoechst Ag, 6230 Frankfurt Elektrofotografisches kopier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der entwicklerfluessigkeit von einer fotoleiteroberflaeche
US4436054A (en) * 1982-08-23 1984-03-13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toner cleaning station
JPS6060678A (ja) * 1983-09-14 1985-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627705A (en) * 1984-07-06 1986-12-09 Savin Corporation Multiple color liquid developer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and liquid distribution system therefor
US4640605A (en) * 1984-10-02 1987-02-03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forming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s through wet-type developing process
USRE34437E (en) * 1984-10-02 1993-11-09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forming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s through wet-type developing process
JPS61124977A (ja) * 1984-11-22 1986-06-1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湿式電子写真複写機
JPH0690560B2 (ja) * 1986-03-24 1994-11-14 株式会社リコー 記録装置
US4728987A (en) * 1986-07-01 1988-03-01 Xerox Corporation Carousel-mounted modular development units for electrographic printer
JPS63266475A (ja) * 1987-04-24 1988-11-02 Ricoh Co Ltd 湿式クリ−ニング装置
US4905047A (en) * 1988-02-12 1990-02-27 Ricoh Company, Ltd. Wet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US4935788A (en) * 1988-06-16 1990-06-19 Xerox Corporation Multicolor printing system
US5220384A (en) * 1988-11-21 1993-06-15 Spectrum Sciences B.V. Liquid developer based imaging machine using a developing electrode
JPH065431B2 (ja) * 1988-12-20 1994-01-19 日東工業株式会社 弾性ロール及びその製造法
JPH02196267A (ja) * 1989-01-25 1990-08-02 Fuji Photo Film Co Ltd 粘着転写方式における乾燥機構
US4990962A (en) * 1989-04-11 1991-02-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et type developing device providing controlled amount of developing liquid
US5195430A (en) * 1989-05-24 1993-03-23 Tektronix, Inc. Dual roller apparatus for pressure fixing sheet material
US5092235A (en) * 1989-05-24 1992-03-03 Tektronix, Inc. Pressure fixing and developing apparatus
US5384225A (en) * 1989-06-30 1995-01-24 Ricoh Company, Ltd. Liquid developer for latent electrostatic images
US5463453A (en) * 1989-08-09 1995-10-31 Ricoh Company, Ltd. Wet-type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978223B2 (ja) * 1989-09-20 1999-11-15 株式会社リコー 湿式現像静電記録装置
US5155534A (en) * 1989-09-29 1992-10-13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forming and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with liquid developer and release agent
US5359398A (en) * 1989-11-09 1994-10-25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copier with a developing device using a liquid developer
US5262259A (en) * 1990-01-03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oner developed electrostatic imaging process for outdoor signs
US5221944A (en) * 1990-04-16 1993-06-22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JPH0469680A (ja) * 1990-07-10 1992-03-04 Brother Ind Ltd 現像タンク交換装置
JPH04125672A (ja) * 1990-09-18 1992-04-27 Brother Ind Ltd 湿式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US5122839A (en) * 1991-04-22 1992-06-16 Xerox Corporation Dual action blade cleaner
JPH0519634A (ja) * 1991-07-09 1993-01-29 Brother Ind Ltd 余剰現像液除去装置
JPH0527653A (ja) * 1991-07-22 1993-02-05 Brother Ind Ltd 余剰現像液除去装置
US5289238A (en) * 1991-09-05 1994-02-22 Spectrum Sciences B.V. Liquid toner developing apparatus having metal blade with insulating coating in contact with developing roller
US5300990A (en) * 1992-06-26 1994-04-05 Hewlett-Packard Company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developer
JPH0695472A (ja) * 1992-09-11 1994-04-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6110288A (ja) * 1992-09-25 1994-04-22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369477A (en) * 1993-12-07 1994-11-29 Hewlett-Packard Company Liquid electrophotography fluid containment and belt tracking device
EP0657786B1 (en) * 1993-12-10 1998-05-20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ringe field edge effect development in liquid toner electrophotography
US5432591A (en) * 1994-02-07 1995-07-11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urpose foam roller in a liquid toner developer
US5420675A (en) * 1994-03-16 1995-05-30 Hewlett-Packard Company Liquid toner fusing/transfer system with a film-forming roller that is absorbent of a low volatility liquid toner carrier
US5420676A (en) * 1994-07-07 1995-05-30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cam-operated transfer roller and developer module
US5576815A (en) * 1995-09-29 1996-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4938A3 (en) 1999-12-22
EP0864938A2 (en) 1998-09-16
US5758236A (en) 1998-05-26
WO1997012294A1 (en) 1997-04-03
JPH11512840A (ja) 1999-11-02
US5576815A (en) 1996-11-19
EP0852755A1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61A (ko) 액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
US5057868A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 toner leakage
KR19990063858A (ko) 화상 형성 기판으로부터 현상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JP3816579B2 (ja) 液体電子写真プリンタ用の発泡体ローラ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KR19990063863A (ko) 이미징 기재로부터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압착 장치 및 방법
JPH11512837A (ja) 画像形成支持体から現像液を除去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486452B1 (ko) 청소체, 청소 장치, 대전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2236308A (zh) 成像设备
KR19990063859A (ko) 현상기로부터 백 플레이트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US5884127A (en) Squeeze roller assembly of wet type develop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091918A (en) Squeege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JPH11161034A (ja) 液体で現像された像の表面から流体を除去する方法と装置
JPH05289528A (ja) 湿式現像装置
KR20010047620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징장치
US5802436A (en) Apparatus for removal of back-plated developer from a development device
KR200168980Y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장치
KR10030461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297751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장치
KR10024798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스퀴지롤러
KR100358093B1 (ko)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JPH0470682A (ja) 現像装置
KR20010002628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