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093B1 -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093B1
KR100358093B1 KR1020010008034A KR20010008034A KR100358093B1 KR 100358093 B1 KR100358093 B1 KR 100358093B1 KR 1020010008034 A KR1020010008034 A KR 1020010008034A KR 20010008034 A KR20010008034 A KR 20010008034A KR 100358093 B1 KR100358093 B1 KR 10035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ransfer roller
roller
cleaning mean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737A (ko
Inventor
최삼석
김종우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0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2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the char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5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provided with means for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apparatus, e.g. cleaning devices, ozone removing devices G03G15/0225, G03G15/0291 takes precede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재 전사시켜주는 전사롤러를 크리닝하기 위한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사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크리닝하는 제1크리닝수단과;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며, 전사롤러 및 제1크리닝수단을 동시에 크리닝하는 제2크리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Apparatus for cleaning a transfer roller for liquid type image forming devic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습식 화상형성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로부터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를 크리닝하기 위한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리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기는, 현상 방식에 따라 분말토너(toner)를 현상제로 사용하는 건식과, 노파(nop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에 토너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습식으로 구분된다. 이 두 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소정 화상을 현상한 뒤, 그 감광벨트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서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인쇄시킨다. 최근에는 습식 현상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칼라화상형성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칼라화상형성기는 복수의 지지롤러(11)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는 감광벨트(10)와, 상기 감광벨트(10)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유닛(LSU;13)과, 상기 감광벨트(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캐리어와 소정 칼라를 가지는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여 소정 화상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14)와, 상기 현상기(14)를 통과한 후 감광벨트(10)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유닛(15)과,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화상을 용지(P)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유닛(16) 및 상기 전사유닛(16)을 크리닝하기 위한 크리닝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유닛(16)은 감광벨트(10)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감광벨트(10)로부터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17)와, 상기 전사롤러(17)에 접촉회전되는 정착롤러(18)를 구비한다. 상기 정착롤러(18)는 전사롤러(17)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를 압착하여 전사롤러(17) 표면의 화상이 용지(P)로 옮겨지게 한다.
상기 크리닝장치는 전사롤러(17)에 접촉회전되는 크리닝롤러(19)를 구비한다. 상기 크리닝롤러(19)는 전사롤러(17)에서 용지(P)로 미쳐 옮겨지지 않은 잔류화상이나, 잼발생시 용지(P)로 옮겨지지 않은 화상을 제거함으로써, 다음에 연속해서 공급되는 용지가 잔류화상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크리닝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잼 발생시에 전사롤러(17)에 그대로 남아있는 화상은 많은 양의 토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화상을 크리닝롤러(19)를 이용하여 크리닝 할 경우, 그 크리닝롤러(19)도 쉽게 오염되어 정상적인 크리닝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크리닝롤러(19)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사롤러를 효과적으로 크리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화상형성기의 크리닝장치 및 이를이용한 크리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화상형성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를 이용한 크리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내지 도 9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크리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벨트 17..전사롤러
18..정착롤러 20,30..제1 및 제2크리닝수단
21..크리닝롤러 23..히터
34..크리닝웹 35..프레임
36..구동부 37..구동원
38..스프링 39..편심캠
40..수분공급부 41..분사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는,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재 전사시켜주는 전사롤러를 크리닝하기 위한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크리닝하는 제1크리닝수단과;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동시에 크리닝하는 제2크리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은, 감광벨트에 접촉회전하는 전사롤러에 접촉 및 이격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전사롤러를 각각 크리닝하는 제1 및 제2크리닝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에 있어서, 홈모드 상태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상기 전사롤러를 접촉회전시키는 초기 구동단계와; 상기 초기 구동단계시에 상기 전사롤러에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접촉시켜 상기 전사롤러의 표면에 잔류하는 초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1크리닝단계와; 상기 전사롤러에 정착롤러를 접촉시킨 상태로 프린팅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전사롤러에서 용지로 옮겨지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2크리닝단계와; 상기 프린팅모드가 중단된 뒤 또는 잼 발생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사롤러를 제거하는 제3크리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는, 감광벨트(10)에 접촉회전되는 전사롤러(17)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크리닝수단(20)과, 상기 전사롤러(17)와 제1크리닝수단(20)을 크리닝하는 제2크리닝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전사롤러(17)는 감광벨트(10)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전사롤러(17)는 프린팅시, 감광벨트(10)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정착롤러(18)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P)로 전사받은 화상을 재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롤러(18)는 미도시된 가압수단에 의해 전사롤러(17)를 접촉가압하여 함께 회전된다. 또한, 정착롤러(18)는 전사롤러(17)에 접촉 및 이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크리닝수단(20)은 전사롤러(17)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롤러(21)와, 상기 크리닝롤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크리닝롤러(21)를 가열하는 히터(23)를 구비한다. 상기 크리닝롤러(21)는 미도시된 캠부재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전사롤러(17)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그리고, 크리닝롤러(21)는 전사롤러(21)는 전사롤러(17)에서 용지(P)로 미쳐 전사되지 못하고 소량으로 잔류하는 토너입자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크리닝롤러(21)는 히터(23)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됨으로서, 전사롤러(17) 표면의 이물질이 소위 표면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크리닝롤러(21)로 효과적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러한, 크리닝롤러(21)는 전사롤러(17)에 접촉되어 피동되거나 소정의 구동원에 의해 강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크리닝수단(30)은 공급롤러(31)로부터 공급되어 회수롤러(32)로 회수되어 감기는 크리닝웹(34)과, 상기 공급롤러(31)와 회수롤러(32)가 지지되는 프레임(35)과, 상기 프레임(35)을 왕복이동시켜 상기 크리닝웹(34)을 전사롤러(17)에 접촉 및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부(36)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롤러(32)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면서 공급롤러(31)에 감긴 크리닝웹(34)을 소정 주행속도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크리닝웹(34)은 지지롤러(33)에 지지되어 주행되면서 전사롤러(17)에 접촉되어 주행된다. 이 때, 상기 전사롤러(17) 상의 이물질이 크리닝웹(34)에 의해 깨끗하게 닦여질 수 있도록, 크리닝웹(34)은 예컨대 헝겊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5)은 크리닝웹(34)이 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게 소정 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크리닝웹(34)은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때, 전사롤러(17)에 접촉되고, 이 때 전사롤러(17)에서 이격된 크리닝롤러(21)에도 동시에 접촉된다. 따라서, 크리닝웹(34)은 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를 동시에 크리닝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는 구동원(37)과, 프레임(35)을 전사롤러(17)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8)과, 상기 구동원(37)에 의해 구동되면서 프레임(35)을 전사롤러(17) 측으로 밀어내는 편심캠(39)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5)은 구동원(37)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편심캠(39)의 자세에 따라 전사롤러(17) 측으로 이동되거나 멀어지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크리닝수단(30)은 크리닝웹(34)에 수분을 공급하여 그 크리닝웹(34)을 적셔주는 수분공급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지지롤러(33)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크리닝웹(34)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1)과, 상기 분사노즐(41)로 물탱크(43)의 물을 펌핑시키기 위한 펌프(45) 및 상기 분사노즐(41)을 감싸며 크리닝웹(34)에 접촉되는 스폰지부재(47)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41)은 긴 파이프형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분사구가 마련되며, 그리닝웹(34)의 폭길이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47)는 프레임(35)에 지지되는 소정 캐비넷(49) 내에 설치되어 수분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크리닝웹(34)에 수분을 공급하여 크리닝웹(34)을 적셔줌으로써, 크리닝웹(34)이 전사롤러(17)에 접촉시 전사롤러(17)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들, 특히 잼 발생시 다량의 고착토너를 수분으로 부풀려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를 이용하여 전사롤러를 크리닝하는 방법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 즉, 홈모드(S10)에서는 도 6과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즉, 크리닝웹(34)과 크리닝롤러(21)가 전사롤러(17)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전사롤러(17)는 감광벨트(10)와 정착롤러(18) 각각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린팅명령이 입력되면, 초기 모드 즉, 워밍업모드(S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워밍업모드(S30)에서는 먼저 전사롤러(17)를 감광벨트(10)에 접촉시킨다(S11). 그런 다음, 크리닝롤러(2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켜 전사롤러(17)에 접촉시킨다(S12). 이 상태에서 전사롤러(17)를 회전구동시키면, 크리닝롤러(21)는 전사롤러(17)에 접촉되어 피동되면서 전사롤러(17)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3). 그러면, 상기 홈모드(S10) 상태에서 전사롤러(17) 표면에 달라붙어 있던 먼지와 같은 초기 오염과, 감광벨트(10)로부터 옮겨진 심마크(seam-mark)를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전사롤러(17)를 깨끗한 상태로 준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히터(23)로 크리닝롤러(21)를 가열하게 되면, 크리닝롤러(21)의 표면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크리닝롤러(21)가 전사롤러(17)보다 높은 표면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크리닝롤러(21)의 크리닝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워밍업모드(S30)가 종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롤러(18)를 전사롤러(17)에 접촉시킨다(S14). 그리고, 입력된 프린팅명령에 따라 정해진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며, 프린팅을 수행하면서 크리닝롤러(21)를 이용하여 전사롤러(17)를 크리닝한다(S15). 즉, 프린팅동작 중에 전사롤러(17)에서 용지(P)로 전사되지 않고 전사롤러(17)에 잔류하는 소량의 토너입자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크리닝롤러(21)가 제거함으로서, 전사롤러(17)에 이물질이 고착되거나 계속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에도 물론, 크리닝롤러(21)는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상태로 크리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프린팅동작이 종료되거나 또는 프린팅동작 중에 잼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6), 만일 그럴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닝롤러(S21)를 전사롤러(17)에서 이격시킨다(S17). 또한, 전사롤러(17)를 감광벨트(10)로부터 이격시키고(S18), 정착롤러(18)는 전사롤러(17)로부터 이격시킨다(S19). 여기서, 상기 각 단계(S18)(S19)는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고,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어서, 프레임(35;도2참조)을 전사롤러(17) 쪽으로 이동시켜 크리닝웹(34)을 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 각각에 접촉시킨다(S20). 이어서, 크리닝웹(34)을 전사롤러(17)의 회전방행의 반대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S21). 이때, 상기 크리닝웹(34)의 주행속도와 전사롤러(17)의 회전속도는 서로 다르게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크리닝롤러(21)도 크리닝웹(34)의 주행속도와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크리닝웹(34)을 이용하여 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를 크리닝할 때, 상기 수분공급부(40)에서는 크리닝웹(34)으로 물을 분사하여 크리닝웹(34)을 적셔준다. 그러면, 적셔진 크리닝웹(34)은 전사롤러(17) 표면에 고착되거나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잼 발생시 또는 프린팅종료시에 크리닝웹(34)을 이용하여 전사롤러(17)를 크리닝함으로써, 상기 단계(S30)(S15)보다 더 많은 이물질이 잔류하는 전사롤러(17)를 보다 효과적으로 크리닝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크리닝롤러(21)를 이용하여 잼 발생된 전사롤러(17)를 크리닝할 경우, 크리닝롤러(21)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크리닝웹(34)이전사롤러(17)와 크리닝롤러(21)를 동시에 크리닝함으로써, 크리닝롤러(21) 표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전사롤러(17)를 크리닝할 수 있으므로 크리닝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크리닝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전사롤러(17)의 오염에 의해 용지로 전사되는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는, 워밍업시 또는 프린팅동작 중에는 크리닝롤러를 이용하여 전사롤러를 크리닝하고, 그 외 잼 발생시 또는 프린팅완료후에는 상대적으로 많을 이물질을 크리니웹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크리닝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크리닝웹이 전사롤러와 크리닝롤러를 동시에 크리닝함으로써, 크리닝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프린팅시와 워밍업시에 크리닝롤러를 이용한 전사롤러의 크리닝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인쇄되는 화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감광벨트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정착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재 전사시켜주는 전사롤러를 크리닝하기 위한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크리닝하는 제1크리닝수단과;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동시에 크리닝하는 제2크리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리닝수단은,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촉시 상기 인쇄용지로 전사되지 않고 상기 전사롤러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크리닝하는 크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은,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어 회수롤러로 회수되면서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에 접촉되어 그 전사롤러와 제1크리닝수단을 크리닝하는 크리닝웹과;
    상기 공급롤러와 회수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크리닝웹을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에 접촉 및 이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되게 탄성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어 회전시 프레임을 상기 전사롤러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웹은 상기 제1크리닝수단이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된 상태일 때, 상기 전사롤러와 상기 제1크리닝수단에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은,
    상기 크리닝웹을 상기 전사롤러 측에 접촉되게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기 전의 크리닝웹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7. 감광벨트에 접촉회전하는 전사롤러에 접촉 및 이격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전사롤러를 각각 크리닝하는 제1 및 제2크리닝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에 있어서,
    홈모드 상태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상기 전사롤러를 접촉회전시키는 초기 구동단계와;
    상기 초기 구동단계시에 상기 전사롤러에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접촉시켜 상기 전사롤러의 표면에 잔류하는 초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1크리닝단계와;
    상기 전사롤러에 정착롤러를 접촉시킨 상태로 프린팅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전사롤러에서 용지로 옮겨지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2크리닝단계와;
    상기 프린팅모드가 중단된 뒤 또는 잼 발생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사롤러를 제거하는 제3크리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크리닝단계에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은 상기 전사롤러와 함께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동시에 크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크리닝단계는,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착롤러를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크리닝수단을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크리닝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제1크리닝수단 및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크리닝수단를 구동시켜 상기 제1크리닝수단 및 상기 전사롤러 각각으로부터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리닝수단은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 및 이격가능한 크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리닝수단은,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어 회수롤러로 회수되면서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에 접촉되어 그 전사롤러와 제1크리닝수단을 크리닝하는 크리닝웹과;
    상기 공급롤러와 회수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크리닝웹을 상기 전사롤러 및 상기 제1크리닝수단에 접촉 및 이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롤러를 일방향으로 주행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크리닝웹을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시키되,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속도와 다른 주행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기 전의 상기 크리닝웹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방법.
KR1020010008034A 2001-02-17 2001-02-17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KR10035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34A KR100358093B1 (ko) 2001-02-17 2001-02-17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34A KR100358093B1 (ko) 2001-02-17 2001-02-17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737A KR20020067737A (ko) 2002-08-24
KR100358093B1 true KR100358093B1 (ko) 2002-10-25

Family

ID=2769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034A KR100358093B1 (ko) 2001-02-17 2001-02-17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0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737A (ko) 200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12840A (ja) 湿式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用現像装置
KR100395603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세척 기구
US5506669A (en) Cleaning device having potential apply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ciprocating recording material carrying member
KR19990063860A (ko) 화상 형성 재료로부터 현상액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JPH0830120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322563B1 (ko) 습식인쇄기의크리닝장치
KR100358093B1 (ko)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JP2009169194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KR10035406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가지는 인쇄기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200525038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6145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크리닝방법
US5781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veloper liquid from an imaging substrate
JPH047656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7019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03467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KR20000051624A (ko) 인쇄기용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EP0890886B1 (en) Liquid development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54034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8157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KR10042864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