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644B1 -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644B1
KR100428644B1 KR10-2002-0003447A KR20020003447A KR100428644B1 KR 100428644 B1 KR100428644 B1 KR 100428644B1 KR 20020003447 A KR20020003447 A KR 20020003447A KR 100428644 B1 KR100428644 B1 KR 10042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eveloper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photosensi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967A (ko
Inventor
신현성
노광호
박근용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레이저 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감광매체와 소정 현상갭을 갖고 회전되면서 액상의 현상제를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현상롤러를 통해 감광매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블레이드와, 현상롤러로 액상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롤러로 옮겨진 현상제가 블레이드의 양측 테두리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Developing apparatus for liquid type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랩어라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 방식에 따라 분말토너(toner)를 현상제로 사용하는 건식과, 노파(nop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에 토너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습식으로 구분된다. 이 두 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소정 화상을 현상한 뒤, 그 감광드럼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서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인쇄시킨다. 최근에는 습식 현상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감광드럼(10)과, 상기 감광드럼(10)에 접촉 회전되는 현상롤러(11)와, 상기 현상롤러(11)를 통해 감광드럼(10)으로 공급될 액체 현상제가 수용된 메니폴드(12)와, 현상롤러(11)를 크리닝하는 크리닝롤러(13)와, 블레이드(14) 및 현상제 공급롤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1)는 메니폴드(12)에 수용된 액체 현상제에 잠긴 상태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감광드럼(10)으로 공급한다. 상기 크리닝롤러(13)는 감광드럼(10)으로 현상제를 공급하고 난 뒤 현상롤러(11)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상기 블레이드(14)는 액체 현상제의 농도와는 무관하게 일정량의 토너를 감광드럼(10)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현상롤러(11)에 과잉으로 묻혀진 현상제를 제거한다. 이 블레이드(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1)보다 길이가 길고, 그 현상롤러(11)와 소정 갭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15)는 소정 전원으로부터 소정 전압을 공급받아 현상롤러(11)와의 사이에 소정 전위차를 발생시켜 현상제를 현상롤러(11)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11)가 메니폴드(12) 내의 현상제에 잠긴 상태로 회전될 때, 현상제가 그 현상롤러(11)의 측면을 타고 올라가서 블레이드(14) 측면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옮겨진 현상제는 다시 블레이드(14)의 뒤쪽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타고 들어와 불필요하게 많은 현상제가 감광드럼(10) 상으로 과잉 공급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소위 랩 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이라고 하며, 감광드럼(10)에 형성되는 화상이 상기 랩 어라운드현상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광드럼(10)의 양측단으로 번진 액체 현상제는 전사시에 용지의 양단에 띠 형태로 오염을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랩 어라운드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감광드럼 21..현상롤러
23..블레이드 31..현상제 공급 메니폴드
33..공급롤러 40..전원
50..현상제 회수 메니폴드 61..보조롤러
63..리프레쉬 롤러 70..크리닝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레이저 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와 소정 현상갭을 갖고 회전되면서 액상의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를 통해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롤러로 액상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로 옮겨진 현상제가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테두리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그 현상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테두리로 이동되는 현상제를 옮겨 받는 한 쌍의 보조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보조롤러로 옮겨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리프레쉬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는 현상제를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잔류현상제를 크리닝하는 크리닝롤러와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그 형상롤러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마련된 형상제 공급구를 가지는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와; 상기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소정 레이저 주사유닛에서 주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20)와, 상기 감광매체(20)에 소정 현상닙을 가지고 회전되는 현상롤러(21)와, 상기 현상롤러(2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23)와, 상기 현상롤러(21)로 액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수단 및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감광매체(20)는 미도시된 대전수단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매체(20)의 표면에는 상기 레이저광에 의해 노광되어 소정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21)는 상기 감광매체(20)와의 사이에 소정 현상닙을 갖도록 설치되며, 그 감광매체(20)와 연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현상닙을 통해 현상롤러(21) 상의 액체 현상제가 상기 감광매체(20)로 옮겨져 현상된다.
상기 블레이드(23)는 현상롤러(21)에서 감광매체(20)로 옮겨지는 액체 현상제의 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현상롤러(21) 상에 과잉으로 공급된 액체 현상제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23)는 현상롤러(2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현상제 공급수단은, 상기 현상롤러(21)로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31)와, 상기 메니폴드(31) 내에 설치되는 현상제 공급롤러(33)를 구비한다. 상기 메니폴드(31)는 소정 현상제 저장탱크로부터 액체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이 메니폴드(31)는 상단부에 상기 현상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현상제 공급구(31a)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메니폴드(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21)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메니폴드(31)는 현상에 사용된 뒤 회수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회수 메니폴드(50) 내에 설치된다. 상기 회수 메니폴드(50) 내로 회수된 현상제는 소정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폐기되거나, 재생된다.
또한, 상기 공급롤러(33)는 상기 메니폴드(31) 내의 액체 현상제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31)에 고정된다. 이 공급롤러(33)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공급롤러(33)는 현상롤러(21)와 소정 가격을 두고 회전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롤러(33) 대신 현상롤러(21)의 원주형태에 대응되는 플레이트형태로 가능하다. 상기 공급롤러(33)는 소정 전원(40)으로부터 소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인가된 전압에 의한 전계력으로 공급롤러(33)로부터 현상롤러(21)로 액체 현상제가 옮겨져 달라붙는다.
상기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은, 현상롤러(2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롤러(61)와, 상기 보조롤러(61)에 접촉회전되게 설치되는 리프레쉬 롤러(63)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롤러(61)는 현상롤러(21)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현상롤러(21)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위해, 보조롤러(61)는 현상롤러(21)의 축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보조롤러(61)는 현상롤러(21)를 크리닝하기 위한 크리닝롤러(70)와 연동된다. 즉, 보조롤러(61)와 크리닝롤러(70)는 기어들(71)(73)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보조롤러(61)는현상롤러(2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블레이드(23)의 양측 테두리로 이동되는 현상제를 흡수한다. 이를 위해, 보조롤러(61)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61)는 감광매체(20)에 접촉회전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보조롤러(61)는 현상롤러(21)로 과잉 공급되어 브레이드(23)의 양측을 타고 넘어가는 현상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감광매체(20)의 양측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프레쉬 롤러(63)는 보조롤러(61)에 대응되게 한 쌍이 설치된다. 이 리프레쉬 롤러(63)들은 보조롤러(63)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며, 그 보조롤러(61)에 의해 피동 회전되면서 보조롤러(61)에 흡수된 액체 현상제를 짜낸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동작시 감광매체(20)의 일면에는 레이저 주사유닛에서 주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31)로는 소정 농도를 가지는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고, 공급롤러(33)는 전원(40)으로부터 소정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인가된 전압에 의해 현상롤러(21)와 공급롤러(33) 사이에는 전계가 발생되고, 이 전계에 의해 소정 전하를 띠는 토너를 포함한 액체 현상제가 현상롤러(21)로 옮겨져 달라붙는다.
이와 같이, 액체 현상제가 옮겨지는 현상롤러(21)는 감광매체(2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23)는 현상롤러(21)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소정 갭을 두고 설치된 상태이므로 현상롤러(21)에 과잉으로 옮겨진액체 현상제를 골고루 퍼지게 하고,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조절한다.
상기 과정에서, 과잉으로 옮겨져 블레이드(23)에 의해 제거되는 액체 현상제는 블레이드(23)의 양측 테두리로 옮겨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61)는 블레이드(23)의 양측 테두리에서 넘어오는 액체 현상제를 흡수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블레이드(23)의 테두리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현상롤러(21)에 옮겨진 액체 현상제는 감광매체(20)로 옮겨져 현상되고, 현상롤러(21)는 더 회전되어 크리닝롤러(70)에 의해 크리닝된다.
한편, 상기 보조롤러(61)는 리프레쉬 롤러(63)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리프레쉬 롤러(63)에 눌림으로써 흡수되었던 액체 현상제가 짜내어 진다. 즉, 보조롤러(61)는 회전되면서 액체 현상제를 짜내고, 짜낸부분이 다시 블레이드(23)를 타고 넘어오는 현상제를 다시 흡수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레쉬 롤러(63)에 의해 짜내여진 현상제와 크리닝롤러(70)에 의해 크리닝된 현상제는 회수 메니폴드(50)에서 수거된 뒤 소정의 경로로 회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따르면, 현상롤러와 블레이드 양측의 테두리에서 발생되는 랩어라운드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감광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랩어라운드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사매체를 통해 용지에 전사되는 띠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레이저 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와 소정 현상갭을 갖고 회전되면서 액상의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를 통해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롤러로 액상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로 옮겨진 현상제가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테두리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그 현상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테두리로 이동되는 현상제를 옮겨 받는 한 쌍의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어라운드 방지수단은,
    상기 보조롤러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보조롤러로 옮겨진 현상제를 제거하는 리프레쉬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 회전되게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는 현상제를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잔류현상제를 크리닝하는 크리닝롤러와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그 형상롤러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마련된 형상제 공급구를 가지는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와;
    상기 현상제 공급 메니폴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2002-0003447A 2002-01-21 2002-01-21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42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447A KR100428644B1 (ko) 2002-01-21 2002-01-21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447A KR100428644B1 (ko) 2002-01-21 2002-01-21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967A KR20030062967A (ko) 2003-07-28
KR100428644B1 true KR100428644B1 (ko) 2004-04-28

Family

ID=3221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447A KR100428644B1 (ko) 2002-01-21 2002-01-21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475A (ko) * 1998-12-07 2000-07-0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랩어라운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475A (ko) * 1998-12-07 2000-07-0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랩어라운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967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transfer device
US8224210B2 (en) Image developer for presenting ink to a photoconductor
JP2009157179A (ja) 電子写真印刷機の感光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US6490424B2 (en) Cleaning mechanism for an intermediate transfer body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51659B2 (ja) 電子写真印刷機
KR10042864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547104B1 (ko) 고농도 잉크를 사용하는 습식 현상 장치
JP3702523B2 (ja) 液体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JP2010122252A (ja) 電子写真印刷機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37461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2611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6111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34669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스퀴즈장치
JP3202010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現像液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147793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61102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04287081A (ja) 画像形成装置
JP3857645B2 (ja) 画像形成装置
JP3760107B2 (ja) 湿式電子写真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4098696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JPH02240678A (ja) 印刷装置
JP200902560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