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93Y1 -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93Y1
KR200147793Y1 KR2019970017814U KR19970017814U KR200147793Y1 KR 200147793 Y1 KR200147793 Y1 KR 200147793Y1 KR 2019970017814 U KR2019970017814 U KR 2019970017814U KR 19970017814 U KR19970017814 U KR 19970017814U KR 200147793 Y1 KR200147793 Y1 KR 200147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oller
squeeze roller
photosensitive bel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624U (ko
Inventor
노광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7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9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161Structure having belt or drum with holes filled with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41J2/3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from ink roller

Landscapes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스퀴즈롤러의 형상이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롤러와,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1차 스퀴즈롤러와,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1차 스퀴즈롤러의 양단부를 돌아 넘어온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감광벨트로부터 제거된 현상액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는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감광벨트에 부착된 여분의 현상액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본 고안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퀴즈롤러의 형상이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레이저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 레이저 프린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이용하는 습식 레이저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 레이저 프린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한 종류로서 습식 레이저 프린터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레이저 프린터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이 감광벨트(110)를 주어진 경로에서 순환시키는 1차 롤러(121),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의 세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 개의 롤러(121,122,123)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의 무한궤도가 유지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3차 롤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체이고, 2차 롤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롤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주어진 데이터에 해당되는 부분의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110)의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칼라 프린터인 경우에는 색상의 조합을 위해 다수개의 LSU(130)와 다수의 색상을 가진 현상액을 각각 분리하여 담고 있는 다수개의 현상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의해 기록지(126)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126)는 상기 전사롤러(12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압롤러(125)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지(126)에 전사된 토너상은 별도의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현상장치(140)는 감광벨트(110)의 직하부에 설치된다. 현상장치(140)의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체케리어로 된 현상액(148)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롤러(141)와 크리닝롤러(142) 및 스퀴즈롤러(144,1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롤러(Developer roller, 141)는 LSU (130)에 의해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현상액(148)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현상액(148)은 현상액 공급장치(143)에 의해 현상롤러(141)의 표면에 공급된다. 상기 크리닝롤러(Cleaning roller, 142)는 현상롤러(141) 표면에 잔존된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퀴즈롤러(Squeegee roller, 144,146)는 1차 스퀴즈롤러(144)와 2차 스퀴즈롤러(146)로 구성되며,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중 상기 정전잠상의 현상에 사용되고 남은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액(148)은 스퀴즈롤러(144,146)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시 스퀴즈롤러(144,146)의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Blade, 145)와 2차 블레이드(147)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장치(14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은 스퀴즈롤러(144,146)를 통과하며 정전잠상의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제거되어 얇은 현상액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현상액막에는 현상에 불필요한 액체케리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액체케리어의 제거는 3차롤러(12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별도로 마련된 히트롤러(Heat roller,152)에 의해 가열되는 드라이롤러(Dry roller, 151)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드라이롤러(151)는 감광벨트(110) 표면의 액체케리어를 흡수하여 상기 현상액막을 건조시킴으로써 정전잠상에는 토너만 남게 되고 이로써 현상은 완료된다. 여기에서 드라이롤러(151)에 흡수된 액체케리어는 상기 히트롤러(152)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 제거된다.
도 3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시스템 개요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1차 스퀴즈 롤러 표면의 현상액을 제거하는 동작을 나타낸 부분 개요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롤러(141)는 감광벨트(1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에 공급된 현상액(148)을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은 감광벨트(110)를 따라 진행 중에 1차 스퀴즈롤러(144)에 의해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대부분이 제거된다. 1차 스퀴즈롤러(144)는 현상중에는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현상액(148) 중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여 얇은 현상액막(149)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현상액(148) 중 일부는 제거되지 않고 1차 스퀴즈롤러(144)의 양단부를 둘러 2차 스퀴즈롤러(146) 쪽으로 넘어가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넘어온 현상액(148)은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2차 스퀴즈롤러(146)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시 2차 스퀴즈롤러(146)의 표면과 접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2차 블레이드(147)에 의해 제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롤러(141)에 의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은 1차 스퀴즈롤러(144)에 의해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거되는 현상액(148)은 1차 스퀴즈롤러(144)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 완료후에는 많은 양의 현상액(148)이 1차 스퀴즈롤러(144)의 표면에 묻어있게 된다. 따라서, 현상 완료후에는 1차 스퀴즈롤러(144)는 하강하여 그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145)에 그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역회전함으로써 그 표면에 묻어있는 현상액(148)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종래의 습식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현상횟수가 많아질수록 1차 스퀴즈롤러(144)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액(148)의 양이 많아져서, 차츰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의 제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많은 양을 현상할 때에는 현상 도중에 1차 스퀴즈롤러(144)를 역회전시켜 그 표면에 묻어있는 현상액(148)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중단 없이 한 번에 가능한 현상횟수의 제한이 있게 된다. 또한, 랩-어라운드에 의해 2차 스퀴즈롤러(146) 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액(148)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2차 스퀴즈롤러(146)에 의해서도 현상액(148)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액(148)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고 많은 양이 남게 되면, 드라이롤러(151)와 히트롤러(152)에 의한 건조 과정에서 드라이롤러(151)는 많은 양의 액체케리어를 흡수하여 쉽게 포화되므로 그 이후의 현상액(148)을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하게 된다. 감광벨트(110)에 건조되지 못한 현상액(148)이 남아있게 되면 불완전한 전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색상이 겹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프린터 내부가 오염되고,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액(148)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광벨트에 부착된 여분의 현상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시스템 개요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1차 스퀴즈 롤러 표면의 현상액을 제거하는 동작을 나타낸 부분 개요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에 의한 현상 시스템 개요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1차 스퀴즈 롤러 표면의 현상액을 제거하는 동작을 나타낸 부분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감광벨트 121...1차 롤러
122...2차 롤러 123...3차 롤러
124...전사롤러 125...가압롤러
126...기록지 130...LSU
140,540...현상장치 141,541...현상롤러
142,542...크리닝롤러 143,543...현상액공급장치
144,544...1차 스퀴즈롤러 145,545...1차 블레이드
146,546...2차 스퀴즈롤러 147,547...2차 블레이드
148,548...현상액 149,549...현상액막
151..드라이롤러 152...히트롤러
560...나선형 그루브(Groove) 570...공기분사장치
571...공기공급원 572...공기도입구
573...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는: 그 내부에 현상액을 담고 있으며,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상기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1차 스퀴즈롤러와,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양단부를 돌아 넘어온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제거된 현상액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된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역회전시 상기 그루브를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그루브속에 수용된 현상액을 제거하는 공기분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공급원과, 상기 공기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구와, 상기 공기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그루브를 향해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1차 스퀴즈롤러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중심축보다 아래부분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는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감광벨트에 부착된 여분의 현상액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540)는 감광벨트(110)의 직하부에 설치되며, 현상롤러(541)와, 1차 스퀴즈롤러(544)와, 2차 스퀴즈롤러(546)를 구비한다. 또한, 현상장치(540)의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체케리어로 된 현상액(548)이 담겨져 있고, 이 현상액(548)을 상기 현상롤러(541)에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장치(543)와 현상롤러(541) 표면에 잔존한 현상액(548)을 제거하는 크리닝롤러(542)가 마련된다. 그리고, 1차 스퀴즈롤러(544)와 2차 스퀴즈롤러(546)의 하부에는 상기 스퀴즈롤러(544, 546)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548)을 제거하는 1차 블레이드(545)와 2차 블레이드(54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110)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되며, 그 하부에는 주어진 데이터에 해당되는 부분의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130)가 상기 현상장치(540) 전에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541)는 상기 현상액공급장치(543)로부터 현상액(548)을 공급받아 상기 LSU(130)에 의해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548)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감광벨트(110)에 부착되고 남은 현상액(548)은 상기 크리닝롤러(542)에 의해 제거 회수된다. 상기 스퀴즈롤러(544,546)는 1차 스퀴즈롤러(544)와 2차 스퀴즈롤러(546)로 구성되며,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548)중 여분의 현상액(548)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액(548)은 스퀴즈롤러(544,546)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시 스퀴즈롤러(544,546)의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545)와 2차 블레이드(547)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장치(54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548)은 스퀴즈롤러(544,546)를 통과하며 정전잠상의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제거되어 얇은 현상액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현상액막에는 현상에 불필요한 액체케리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는 종래와 같이 3차롤러(12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드라이롤러(151)에 흡수되고, 별도로 마련된 히트롤러(152)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 제거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는 토너만 남게 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특징부는 다음과 같다.
상기 1차 스퀴즈롤러(544)의 외주면에는 상기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된 현상액(548)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나선형 그루브(560)가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 완료후에 상기 나선형 그루브(560)에 수용된 현상액(548)을 제거하는 현상액 제거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공기의 분사를 통해 상기 나선형 그루브(560)에 수용된 현상액(548)을 제거하는 공기분사장치(5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분사장치(570)는 공기공급원(571)과, 공기도입구(572)와, 노즐(5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공급원(571)은 주로 현상장치(540) 외부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현상장치(540) 내부에 마련된 공기도입구(572)로 공급한다. 공기도입구(572)를 통해 도입된 압축공기는 노즐(573)을 통해 상기 나선형 그루브(560)를 향해 분사되어 현상액(548)을 제거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1차 스퀴즈롤러(544)와 2차 스퀴즈롤러(546)는 감광벨트(110)의 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퀴즈롤러(544,546)의 하부에는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545,547)가 마련된다. 그리고, 1차 스퀴즈롤러(544)의 외주면에는 연속된 나선형 그루브(560)가 형성된다. 나선형 그루브(560)는 하나의 그루브가 1차 스퀴즈롤러(544)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와 같이 연속된 나선형으로 길게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공기분사장치(570)의 노즐(573)은 공기도입구(572)를 통해 도입된 압축공기를 1차 스퀴즈롤러(544)의 길이방향 전부분에 분사할 수 있도록, 그 공기출구의 형상이 높이는 얕고 폭이 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노즐(573)은 1차 스퀴즈롤러(544)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되며, 1차 스퀴즈롤러(544)의 중심축보다 아래부분을 향하여 설치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에 의한 현상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541)는 감광벨트(1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에 공급된 현상액(548)을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548)은 감광벨트(110)를 따라 진행 중에 1차 스퀴즈롤러(544)에 의해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대부분이 제거된다. 1차 스퀴즈롤러(544)는 현상중에는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현상액(548) 중 여분의 현상액(548)을 제거하여 얇은 현상액막(549)을 형성시킨다. 이때 1차 스퀴즈롤러(544)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560)로 인해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된 여분의 현상액(148)을 많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상을 중단하고 1차 스퀴즈롤러(544)의 역회전에 의해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548)을 제거하여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1회 연속하여 현상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1 차 스퀴즈롤러(544)에서 제거되지 않고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2차 스퀴즈롤러(546) 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액(548)의 양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2차 스퀴즈롤러(546) 및 그 하부에 설치된 2차 블레이드(547)에 의해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한 현상액(548)은 그 대부분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드라이롤러(151)와 히트롤러(152)에 의한 건조 과정에서 드라이롤러(151)에 흡수되는 액체케리어의 양은 감소하게 되어 히트롤러(152)에 의해 충분히 증발, 제거되므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막(549)의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액(548)의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되면 현상액(548)의 회수율이 높아지게 되고 현상액막(549)의 건조도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사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보다 품질이 향상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1차 스퀴즈 롤러 표면의 현상액을 제거하는 동작을 나타낸 부분 개요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거되는 필요 이상의 현상액(148)은 1차 스퀴즈롤러(544)의 표면에 부착되고 나선형 그루브(560)에 수용되어 현상 완료후에는 많은 양의 현상액(548)이 1차 스퀴즈롤러(544)의 표면에 묻어있게 된다. 따라서, 현상 완료후에는 1차 스퀴즈롤러(544)는 하강하여 그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545)에 그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역회전함으로써 그 표면에 묻어있는 현상액(548)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 그루브(560)에 수용된 현상액(548)은 1차 스퀴즈롤러(544)의 역회전시 작동되도록 설치된 공기분사장치(570)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공기분사장치(570)의 노즐(573)은 1차 스퀴즈롤러(544)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되며, 1차 스퀴즈롤러(544)의 중심축보다 아래부분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된 공기로 인한 현상액(548)의 비산으로 인해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110)에 제거된 현상액(548)이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는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감광벨트에 부착된 여분의 현상액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현상액의 회수율이 높아지게 되고, 1회 연속하여 현상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게 되며, 현상액막의 건조도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사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보다 품질이 향상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그 내부에 현상액을 담고 있으며,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상기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1차 스퀴즈롤러와, 랩-어라운드 현상에 의해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양단부를 돌아 넘어온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감광벨트로부터 제거된 현상액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현상액 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된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제거수단은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역회전시 상기 그루브를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그루브속에 수용된 현상액을 제거하는 공기분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공급원과, 상기 공기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구와, 상기 공기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그루브를 향해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1차 스퀴즈롤러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1차 스퀴즈롤러의 중심축보다 아래부분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2019970017814U 1997-07-07 1997-07-0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200147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14U KR200147793Y1 (ko) 1997-07-07 1997-07-0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14U KR200147793Y1 (ko) 1997-07-07 1997-07-0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624U KR19990004624U (ko) 1999-02-05
KR200147793Y1 true KR200147793Y1 (ko) 1999-06-15

Family

ID=1950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814U KR200147793Y1 (ko) 1997-07-07 1997-07-0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624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793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3432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200168977Y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611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20000055458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스퀴즈장치
KR10023033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261102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346696B1 (ko) 인쇄기의 에러발생시 감광벨트에 잔류된 잉크의 클리닝방법
US20020025182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k in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rom polluting a roller mounted therein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0428644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26111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30324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2383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200187155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4321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2487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건조 유니트
KR10026108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장치의건조유니트
KR100243120B1 (ko) 습식전자사진프린터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1999000496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