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89A -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889A
KR19990035889A KR1019980700550A KR19980700550A KR19990035889A KR 19990035889 A KR19990035889 A KR 19990035889A KR 1019980700550 A KR1019980700550 A KR 1019980700550A KR 19980700550 A KR19980700550 A KR 19980700550A KR 19990035889 A KR19990035889 A KR 1999003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tainer
stack
shelf
collection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 하젤 브랜드 반
Original Assignee
더블유. 맹거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맹거,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filed Critical 더블유. 맹거
Publication of KR1999003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품(S), 예를 들면 달걀박스 또는 달걀트레이의 스택을 컨테이너(1)에 싣고 및/또는 내리는 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1)는 차례로 상향 배열되고 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컨테이너선반(2)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컨테이너 배치장소(28)와, 상기 포장품(S)의 스택을 컨테이너선반(2)상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6, 14, 16)과, 일측이 컨테이너 배치장소를 대면하고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여 연장하는 최소한 두 개의 이음매없는 제1 컨베이어(7, 8)를 구비하고 타측은 후속 컨베이어(10)를 대면하고 단일의 이음매없는 제2 컨베이어(9)를 구비하는 이음매없는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와,를 포함하고, 아울러 최소한 상기 제2 컨베이어(9)의 운반표면 위에 이송대상인 스택(S)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수단(12, 15)이 배설된다.

Description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본 발명과 관련되는 그러한 장치는 유럽특허 제 EP-B-O 534 558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는 상하운동을 하도록 배열된 수집테이블 및 상호 직교하여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푸셔(pusher)플레이트로 형성된 이송수단을 구비한 적재장치이다. 이러한 공지의 적재장치가 가지는 주요 문제점은 처리용량이 너무 적다는 것이다. 달걀트레이의 보관용으로 적합한 종래의 컨테이너로서, 각각의 컨테이너선반에 달걀트레이의 여섯 스택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시간당 약 60,000개의 달걀을 처리하는 용량이 달성된다. 여타의 달걀 처리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훨씬 큰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그러한 컨테이너를 언로딩(unloading)하는 공지의 장치는 기계장치내의 병목부분이 된다.
공지의 장치가 가지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젖어 있거나 습기찬 달걀트레이들이 컨테이너선반으로부터 미끄러질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종종 손상된다는 것이다.
또한, 수집테이블의 높이조절은 컨테이너선반의 높이를 기초로 하여 제어됨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그 컨테이너 선반이 완전히 평탄하지 않고 수집테이블의 위치결정을 위한 높이측정이 컨테이너선반의 낮은 부분에서 이루어지지 때문에, 수집테이블이 국부적으로 컨테이너선반보다 약간 높거나 낮게 위치하는 일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달걀트레이가 수집테이블로부터 컨테이너선반상으로 미끄러질 때, 이들 트레이의 바닥은 컨테이너선반의 모서리에 충돌함으로써 또한 손상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의 특히 낮은 용량을 야기하는 중요한 지연요인은, 추가의 컨베이어에 의해 잇달아 공급되는 스택이 컨테이너선반상에 병치(竝置)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상호 직교하여 운직일 수 있는 두 개의 푸셔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제1 푸셔플레이트는 두 개의 스택을 후속 컨베이어로부터 수집테이블로 밀어주고, 상기 제1 푸셔플레이트는 후속하여 제2 푸셔플레이트가 두 개의 스택을 수집테이블로부터 컨테이너선반상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철수한다. 이것은 컨테이너선반을 채우는 데 있어서 시간이 걸리는 방식으로서, 여기서 매 경우마다, 잇달아 위치한 두 개의 스택이 후속 컨베이어로부터 수집테이블상으로 이송되고, 수집테이블은 소망의 컨테이너선반으로 이동되며, 이후에 상기 잇달아 위치한 두 개의 스택은 수집테이블로부터 밀려나가는 사실 때문에 시간이 낭비된다. 각각의 컨테이너선반에 있어서, 이러한 작동은 여섯 개의 포장물 스택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회 반복되어야 한다. 또한 공지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스택들은 운동방향을 2회 바꿔야 하고, 그 결과 컨베이어의 정지가 2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언로딩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적재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언로딩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언로딩장치의 평면도.
도 7은 언로딩장치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언로딩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제1 위치에서의 슬라이드수단과 리테이닝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슬라이드수단과 리테이닝부재의 제2 위치에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내포함이 없이, 전제부에 제시된 형태의 포장품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및/또는 내리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구항 1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그와 같이 설계된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언로딩장치의 경우에,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으로서 복수의 병치된 스택은,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제1 컨베이어중 하나를 먼저 구동한 후, 상기 박스들이 배출되면 상기 두 개의 이음매 없는 컨베이어중 다른 하나를 구동함으로써, 단순히 잇달아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언로딩 장치가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가이드부재가 깔대기 방식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호간의 거리는 제2 컨베이어의 제1 단(端)으로부터 제2 단으로의 이송방향에서 볼 때 감소하며, 제2 컨베이어의 제1 단에서의 가이드부재들 사이의 거리는 최소한 처리대상인 포장품 스택의 폭의 두배에 상응하고, 반면에 제2 컨베이어의 제2 단에서의 거리는 처리대상인 포장품 스택의 폭보다는 크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두배보다는 좁다.
적재장치의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재들은 피벗(pivot)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2 컨베이어의 제2 단으로부터 볼 때, 제1 스위블(swivel) 위치에서는 이송경로를 제1 컨베이어의 일측으로 인도하고, 제2 스위블 위치에서는 제1 컨베이어의 타측으로 인도하고, 중립위치에서는 직선방향으로 인도하도록 이송경로를 제한한다. 컨테이너선반에 적재하는 동안, 잇달아 공급되는 스택들은 우선 제1 컨베이어의 일측에 놓이고 다음에 가이드부재들은 다른 위치로 옮겨지고 후속하는 스택들은 제1 컨베이어의 타측상에 놓인다. 이후에,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제2 컨베이어도 또한 스택들로 채워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다음으로, 상이한 컨베이어상에 위치한 스택들이 한 번의 이송패스로 컨테이너선반에 이송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변형을 가진다. 그 첫 번째 변형은 청구항 2에 개시한 특징을 가진다. 이 변형은 컨테이너 배치장소와 후속 컨베이어 사이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만 위치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며,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는 제1 컨베이어의 제1 단에 의해 컨테이너선반에 접속가능하고 제2 컨베이어의 제2 단에 의해 후속 컨베이어에 접속가능하다. 이러한 장치는 적은 부분품만을 포함하므로 상대적으로 저가이다.
더욱 큰 용량이 소망되는 경우에는, 청구항 6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제2의 대안이 최선의 선택이다. 수집테이블이 배설되어 있음으로 해서 스택들은 후속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어셈블리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으며, 동시에 컨테이너선반과 수집테이블 사이에서 이송된다. 이와 관련하여, 만일 수집테이블이 단일 컨테이너선반의 모든 스택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경우는 특히 유리하다. 실제로 그와 같은 구조로써, 두 개의 이송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즉, 하나의 이송에서 후속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또 하나의 이송에서 컨테이너선반이 사용되어, 그 결과 상당한 용량의 증가가 얻어진다.
그 뿐 아니라, 두 가지 대안에는 매우 중요한 여러 가지 상이한 장점이 첨가된다.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와 수집테이블은, 존재할 경우에, 이음매 없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므로, 그 표면상에서의 포장품 스택의 이동은 적어도 마찰을 더 이상 포함하지 않는다. 결국, 스택의 최하단 포장품의 바닥은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이동하는 표면에 상대적으로 정지상태이다. 포장품의 스택이 슬라이드수단에 의해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상으로 약간 미끄러짐과 동시에, 상기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컨베이어는 스택의 운반을 인계받고, 그 결과, 이송대상인 스택의 대열로부터 후속하는 포장품의 스택에 작용하게 되는 압력은 스택의 열로부터 선행하는 스택의 운반이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컨베이어에 의하여 진행되는 즉시 감소하는 사실을 통하여 감소한다.
또한, 컨테이너선반에 접속될 수 있는, 수집테이블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말단은 역회전롤러에 의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컨테이너선반에 대한 높이조절은 더 이상 별로 중요하지 않다. 결국,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가 컨테이너선반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는 경우, 수집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컨베이어의 운반동작이 있기 때문에, 스택이 컨테이너선반으로부터 이송되어 와서 상기 역회전롤러에 충돌하게 되어도 손상됨이 없이 무난히 받아들여 진다.
그러나, 공지의 장치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가지는 주요 장점은 높은 처리용량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용량의 증가는 특히 스택에 의해 설명된 보다 유리한 동작패턴에 의하여 구현되며 또한 컨베이어 어셈블리가 컨테이너선반 하나에 적재될 수 있는 스택수 전체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점이 시간당 약 120,000개의 달걀처리 용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특징은 후속하는 청구항에 기술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네 개의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된다.
예시된 실시예는 모두, 예를 들면 달걀박스 또는 달걀트레이와 같은 포장품 5의 스택을 컨테이너 1에 싣고 및/또는 내리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1은, 하나씩 위로 배열되고 프레임 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선반 2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선반 2는 세 개의 열 S1, S2, S3로 배치된 여섯 개의 포장품 스택을 수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 1의 모서리지점에 위치한 프레임 3의 수직 지주(支柱)들은 일반적으로 L-형상의 앵글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포장품 S의 스택은 그 스택의 탑재 또는 제거시에 우선 컨테이너선반 2 위의 제1 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포장품 S의 스택들을 L-형상의 모서리에 정확히 탑재하거나 또는 거기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하려면 이와 같이 할 필요가 있다. 예시된 장치들은 모두 컨테이너 배치장소 28과 포장품 S의 스택들을 컨테이너선반 2 상에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수단 6, 14, 16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수단 6, 14, 16은 컨테이너 1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테이너 1을 로딩 및/또는 언로딩하기 위하여, 포장품 S의 스택은 잇달아 후속 컨베이어 10에 실려 공급되거나 또는 배출된다. 예시되는 모든 장치는 포장품 S의 스택을 상기 후속 컨베이어 10과 컨테이너 1 사이에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송하도록 의도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해 모든 실시예는, 그 측면이 컨테이너 배치장소 28에 대면하는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를 포함하고, 이들중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고 서로 인접하여 연장하는 최소한 두 개의 이음매없는 제1 컨베이어 7, 8과, 후속 컨베이어 10을 대면하는 그 측면에 단일의 이음매없는 제2 컨베이어 9가 배설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7, 8의 제2 단(端) 7b, 8b는 제2 컨베이어의 제1 단 9a에 접속된다. 최소한 제2 컨베이어 9의 운반표면 위에는 이송대상인 스택 S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12, 15가 배설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를 사용하여 잇달아 공급되는 스택들 S는 즉시 병치될 수 있으며, 또는 반대방향으로 나란히 공급되는 스택들 S는 즉시 잇달아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상호 직교하여 운동하는 푸셔플레이트(pusher plate)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품 스택에 대한 손상위험을 최소로 하면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에 관하여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상이한 실시예는 로딩 또는 언로딩장치의 많은 변형을 나타낸다. 상이한 변형들은 용량의 차이 및 구성요소 수의 차이에 의해 구별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언로딩장치의 실시예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 및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배열된 수집테이블 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로딩장치의 실시예도 또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 및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배열된 수집테이블 4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언로딩장치의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는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수집테이블 4만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온로딩장치의 실시예에서, 수집테이블은 없고, 오직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만 컨테이너 배치장소 28과 추가컨베이어 10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 실시예에서의 용량은 가장 낮은 바, 그 이유는 스택 S를 컨테이너선반 2와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의 사이에 이송하는 동안에 후속 컨베이어 10으로는 스택 S가 전혀 이송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비교적 단순하고 그 때문에 경제적 관점에서 특히 흥미로운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는 매우 높은 용량의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는, 가이드휠을 경유하여 지주 2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 22에 의해 지지된다. 전동기 17이 체인 또는 벨트와 연동하여 상기 지주 20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를 상하 이동시킨다.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는, 그의 측면에 컨테이너 배치장소 28을 대면하는 두 개의 제1 컨베이어 7, 8과 후속 컨베이어 10을 대면하는 제2 컨베이어 9를 가진다. 상기 제1 컨베이어 7, 8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9의 위에는 두 개의 가이드부재 12a, 12b가 설치되어 제1 컨베이어 7, 8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스택 S를 제2 컨베이어 9의 중앙으로 인도하는 깔대기형상의 통로를 제한함으로써, 이송대상인 상기 스택들 S가 후속 컨베이어 10 상에 잇달아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는 또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수집테이블 4를 포함하고, 이 수집테이블의 표면은 수집테이블 컨베이어 11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집테이블 4는 두 개의 지주 19를 따라서 수집테이블 4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휠이 구비된 프레임 21에 의해 지지된다. 그 수직방향운동의 구동은 프레임 21 및 그에 따른 수집테이블 4가 매달려 있는 체인 또는 벨트를 구동하는 전동기 5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집테이블 컨베이어 11의 제1 단 11a은 컨테이너선반 2에 접속될 수 있고, 수집테이블 컨베이어 11의 제2 단 11b는 컨베이어 어셈블리의 제1 컨베이어 7, 8의 제1 단 7a, 8a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21은 또한 언로딩되고 있는 컨테이너선반 2의 위에 위치한 컨테이너선반 2가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져서 언로딩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해줄 수 있는 리프트 훅(lifting hook) 13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의 장치는 또한 컨테이너 1에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수단 6, 14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슬라이드수단 6, 14는 지주 24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인도되는 프레임 23과 접속되고, 한편으로, 프레임 23의 수직방향의 이동은 그 프레임 23이 매달리는 체인이 통과하는 두 개의 체인휠을 구동하는 전동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끄럼부재 6, 14는 포장품 S의 스택들을 컨테이너선반 2로부터 수집테이블 컨베이어 11 상으로 밀어주는 미끄럼부재 6과 포장품의 스택의 바깥 열 S1, S3을 서로의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싱부재 14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전자가 로딩장치에 관련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의 제2 컨베이어 9 위에 깔대기형상의 가이드부재 12가 없다. 이러한 가이드부재들 12는 피벗(pivot)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부재 15로서 설계된 가이드부재들 15에 의해 교체되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 15는, 제2 컨베이어 9의 제2 단 9b로부터 볼 때, 제1 스위블 위치에서는 이송경로를 제1 컨베이어의 일측 7로 인도하고, 제2 스위블 위치에서는 제1 컨베이어의 타측 8로 인도하고, 중립위치에서는 직선방향으로 인도하도록 이송경로를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속 컨베이어 10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포장품 S의 스택들은 제1 컨베이어의 일측 7 또는 제1 컨베이어의 타측 8, 또는 직선방향중의 어느 하나로 인도될 수 있다. 나아가서, 로딩장치용 슬라이드수단은 상이하게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싱부재 6 및 14는 배제되어 있고, 상호 병렬로 공급되는 2열의 스택 S1, S3를 컨테이너선반 2 상에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시킬수 있는 푸싱부재 16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포장품 S2의 스택의 제2 열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는,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가 수직방향의 이동을 위해 배열되어 있지 않고 고정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또한, 수집테이블은 도 1의 실시예에 비교할 때 연장되어 있어, 하나의 컨테이너선반 2 상에 수용할 수 있는 스택수 전체가 거기에 놓일 수 있게 한다. 그 뿐 아니라 도 5의 실시예에서, 수집테이블 4의 프레임 상에 장착된 리테이닝부재 2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리테이닝부재 27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와 비교할 때, 이 장치는 더욱 단순하며 또한 더욱 저가인 반면에 용량의 저하는 지극히 적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는 수집테이블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속 컨베이어 10과 컨테이너 배치장소 28의 사이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 만 배치된다. 제1 컨베이어 7, 8의 제1 단 7a, 8a는 컨테이너 1의 컨테이너선반 2에 접속될 수 있고, 한편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의 제2 컨베이어 9의 제2 단 9b는 후속 컨베이어 10의 말단 10a에 접속될 수 있다.
특히 언로딩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선반 2에 접속될 수 있는 컨베이어 11, 7, 8의 운반속도가 컨테이너선반 2로부터 포장품 S의 스택을 미끌어 넣는 푸싱부재의 주행속도 보다 빠른 경우는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푸싱부재 6에 의해 포장품의 스택상에 가해지는 압력은 포장품 S의 스택의 운반이 컨베이어 7, 8, 11로 인계되면 즉각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수집테이블과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도 역시 수평방향으로 적은 범위에서 이동됨으로써 수집테이블 4 또는 컨베이어 어셈블리 7, 8, 9가 각각 컨테이너 1에 반발하는 압력을 받아 컨테이너 1의 안정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컨테이너는 정의된 위치에 고정되고, 그 결과 포장품 S의 스택의 이송은 제어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컨테이너 언로딩장치의 슬라이드수단의 세부를 나타낸다. 슬라이드수단 6은, 컨테이너선반 2로부터 트레이 또는 박스 S2의 스택의 제1 열을 슬라이드 시키도록 왕복식으로 배열된 제1 푸싱부재 6a와, 컨테이너선반 2로부터 트레이 또는 박스 S1, S3의 스택의 제2 열을 슬라이드 시키도록 왕복식으로 배열된 제2 푸싱부재 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수단 6은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를 커플링하거나 커플링을 해제하는 커플링수단 25를 가지며, 따라서, 커플링이 해제된 조건에서만 상기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가 구동유닛 26에 의해 왕복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커플링된 조건에서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는 상기 구동유닛 26에 의해 합동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드수단은 또한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제3 푸싱부재 14를 포함한다. 제3 푸싱부재 14는 바깥쪽에 위치한 박스 또는 트레이 S1, S3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준다. 커플링수단 2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를 공히 구동하는 데에는 하나의 구동메커니즘 26만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여기(勵起)될 수 있는 플러그홀(plug-hole)접속 또는 전기적으로 여기될 수 있는 자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이러한 커플링부재 25는 하나의 모터를 절약해 주고, 이점이 경제적인 이유로 특히 유리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또한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로부터 이격한 컨테이너 배치장소 28의 측방에 위치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는 리테이닝부재 27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리테이닝부재 27은 제1 푸싱부재 6a만 동작할 때에는 제1 위치에 있고 제1 및 제2 푸싱부재 6a, 6b가 공히 동작할 때에는 제2 위치에 있다. 피벗이 가능한 암(arm) 27의 구조를 가지는 리테이닝부재 27의 여기는 예를 들면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 29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바깥쪽 열의 스택 S1, S3이 유지되는 반면에, 제2 위치에서는 컨테이너선반 2의 배출측 전체가 이완되어 상기 바깥쪽 열의 스택 S1, S3이 컨테이너선반 2로부터 슬라이드 이송될 수 있다. 이음매 없는 컨베이어 7, 8, 또는 11에 의해 그 일부가 이미 컨테이너선반 2 상으로 이송된 포장품 S의 스택을 컨테이너선반 2 상에 완전히 슬라이드 이송하기 위한 로딩장치에서, 유사한 리테이닝부재 27은 가압(press-on)부재로서의 역할도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기본틀 내에서 가능함은 즉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6)

  1. 포장품(S), 예를 들면 달걀박스 또는 달걀트레이의 스택을 컨테이너(1)에 싣고 및/또는 내리는 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1)는 차례로 상향 배열되고 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컨테이너선반(2)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컨테이너 배치장소(28)와,
    상기 포장품(S)의 스택을 컨테이너선반(2)상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6, 14, 16)과, 상기 수단(6)은 컨테이너(1)에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포장품(S)의 스택을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후속 컨베이어(10)의 한쪽끝(10a)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7, 8, 9)과,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7, 8, 9)은, 일측이 컨테이너 배치장소를 대면하고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여 연장하는 최소한 두 개의 이음매없는 제1 컨베이어(7, 8)를 구비하고, 타측은 후속 컨베이어(10)를 대면하고 단일의 이음매없는 제2 컨베이어(9)를 구비하는 이음매없는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를 포함하고, 아울러
    제1 컨베이어(7, 8)의 각각의 제2 단(7b, 8b)은 제2 컨베이어(9)의 제1 단(9a)에 접속하고,
    이송대상인 스택(S)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최소한 상기 제2 컨베이어(9)의 운반표면 위에 가이드수단(12, 15)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는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7, 8)는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수직방향 이동을 통해 각 컨테이너선반(2)의 배출측에 접속될 수 있는 제1 단(7a, 8a)을 가지고, 상기 제2 컨베이어(9)는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수직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후속 컨베이어(10)의 말단(10a)에 접속될 수 있는 제2 단(9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는 수평방향 이동을 위하여 배설되어,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가 컨테이너(1)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1)의 안정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선행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각각의 이음매 없는 컨베이어(7, 8, 9) 및 후속 컨베이어(10)의 운송방향은 상기 슬라이드수단(6)이 상기 컨테이너선반(2)과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사이에서 포장품의 스택을 이송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선행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7, 8)의 운반속도는 최소한 상기 슬라이드수단(6)의 운동속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는 수직방향의 관점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후속 컨베이어(10)의 말단(10a)에 접속하는 제2 컨베이어의 제2 단(9b)을 가지며,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와 컨베이너 배치장소(28)의 사이에 수집테이블(4)이 배설되고, 상기 수집테이블(4)은 수집테이블(4)을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단을 포함하고, 수집테이블(4)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각 컨베이너선반(2)의 배출측에 접속될 수 있는 제1 단(11a)과, 수집테이블(4)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제1 컨베이어(7, 8)의 제1 단(7a, 8a)에 접속될 수 있는 제2 단(1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테이블(4)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집테이블(4)이 컨베이너(1)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너(1)의 안정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수집테이블 컨베이어(11),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각각의 이음매없는 컨베이어(7, 8, 9), 그리고 후속 컨베이어(10)의 운반방향은 상기 슬라이드수단(6)이 포장품의 스택을 상기 컨테이너선반(2)과 상기 수집테이블(4)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항 내지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테이블 컨베이어(11)의 운반속도는 최소한 상기 슬라이드수단(6)의 운동속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선행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언로딩장치에 관한 장치로서, 상기 슬라이드수단(6)은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트레이 또는 박스(S2)의 스택의 제1 시리즈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배열되는 제1 푸싱부재(6a)와,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트레이 또는 박스(S1, S3)의 스택의 제2 시리즈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배열되는 제2 푸싱부재(6b)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수단(6)과, 상기 제1 및 제2 푸싱부재(6a, 6b)를 커플링 및 커플링해제하는 커플링수단(25)을 구비하여, 커플링해제의 조건에서는 제1 푸싱부재(6a)만 구동유닛(26)에 의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고, 커플링된 조건에서는 상기 구동유닛(26)에 의해 제1 및 제2 푸싱부재(6a, 6b)가 합동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드수단(6, 14)은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푸싱부재(6a, 6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제3 푸싱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푸싱부재(14)는 바깥쪽에 위치한 박스 또는 트레이(S1, S3)의 스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수단(25)은 전기적으로 여기될 수 있는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선행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언로딩장치에 관한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부재(12)는 깔대기형상의 두 개의 가이드부재(12a, 12b)로서 설계되고, 그 양자의 간격은 제2 컨베이어(9)의 제1 단(9a)로부터 제2 단(9b)로의 운반방향으로 볼 때 감소하고, 또한 제2 컨베이어(9)의 제1 단(9a)에 있는 가이드부재(12a, 12b) 사이의 간격은 처리대상인 포장품(S)의 스택 폭의 최소한 2배에 해당하고, 제2 컨베이어(9)의 제2 단(9b)에서의 간격은 처리대상인 포장품(S) 스택의 폭보다는 크지만 어떤 경우에도 그 폭의 2배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컨테이너선반(2)은 3열(S1, S2, S3)로 병치된 포장품(S)의 여섯 개의 스택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컨베이어 어셈블리(7, 8, 9)의 운반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푸싱부재(6a)는 상기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중앙열의 스택(S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푸싱부재(6b)는 상기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바깥쪽 열의 스택(S1, S3)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장치는
    제1 및 제2 푸싱부재(6a, 6b)로부터 이격한 컨테이너 배치장소(28)의 측방에 위치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는 리테이닝부재(27)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닝부재(27)는 제1 푸싱부재(6a)만 동작할 때에는 제1 위치에 있고 이 제1 위치에서는 바깥쪽 열의 스택(S1, S3)이 지지되고, 제1 및 제2 푸싱부재(6a, 6b)가 공히 동작할 때에는 제2 위치에 있으며 이 제2 위치에서는 컨테이너선반(2)의 배출측 전체가 이완되어 바깥쪽 열의 스택(S1, S3)은 컨테이너선반(2)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로딩장치에 관한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부재들(15)은 피벗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부재(15)로서 설계되고, 제2 컨베이어(9)의 제2 단(9b)으로부터 볼 때, 제1 스위블 위치에서는 이송경로를 제1 컨베이어의 일측(7)으로 인도하고, 제2 스위블 위치에서는 제1 컨베이어의 타측(8)으로 인도하고, 중립위치에서는 직선방향으로 인도하도록 이송경로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컨베이너선반(2) 상에 놓인 2 열의 스택(S1, S2)을 상호 떨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한 푸싱부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선행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테이블(4)을 대향하고, 적재 또는 언로딩이 진행되고 있는 컨테이너선반(2)의 상부에 위치하여, 컨베이너선반(2)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들어올리는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0550A 1995-07-24 1996-07-24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KR19990035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0879 1995-07-24
NL1000879A NL1000879C2 (nl) 1995-07-24 1995-07-24 Inrichting voor het be- en/of ontladen van een container welke is beladen met stapels verpakkingen, zoals bijvoorbeeld eiertra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89A true KR19990035889A (ko) 1999-05-25

Family

ID=197613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550A KR19990035889A (ko) 1995-07-24 1996-07-24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KR1019960029941A KR970006141A (ko) 1995-07-24 1996-07-24 달걀 트레이들과 같은 다량의 패키지를 실은 컨테이너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41A KR970006141A (ko) 1995-07-24 1996-07-24 달걀 트레이들과 같은 다량의 패키지를 실은 컨테이너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07055A (ko)
EP (2) EP0755882B1 (ko)
JP (2) JPH09188401A (ko)
KR (2) KR19990035889A (ko)
AU (1) AU6534796A (ko)
DE (2) DE69607698T2 (ko)
NL (1) NL1000879C2 (ko)
TW (1) TW330919B (ko)
WO (1) WO1997003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0312B2 (en) * 2000-02-16 2003-02-18 Felsomat Gmbh & Co. Kg Interlinked production system
US6986635B2 (en) * 2003-10-14 2006-01-17 Geo. M. Martin Company Load change safety system
CA2814666A1 (en) 2010-10-15 2012-04-19 Sanofi-Aventis U.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US9090411B2 (en) 2010-10-15 2015-07-28 Sanofi-Aventis U.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JP5872867B2 (ja) * 2011-12-01 2016-03-01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トレイ積み鶏卵の受け入れ保管方法及びその装置
JP7492225B2 (ja) * 2019-11-21 2024-05-29 共和機械株式会社 卵容器移送装置及び卵容器移送システム
JP7490221B2 (ja) * 2020-05-29 2024-05-27 株式会社ナベル 保持システム
GB2613547A (en) * 2021-12-03 2023-06-14 Ocado Innovation Ltd Shelf de-stack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1266A (en) * 1958-07-03 1963-01-01 Gene Olsen Corp Method of handling materials
FR1243245A (fr) * 1958-12-20 1960-10-07 Appareillage automatique pour poser et enlever des objets divers sur des châssis
US3511357A (en) * 1968-04-08 1970-05-12 Scale Specialties Co Conveyor switching device
FR2370664A1 (fr) * 1976-11-12 1978-06-09 Faiveley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ormation et l'empilage de lits de colis
IT1082516B (it) * 1977-01-25 1985-05-21 Bruno & Co Alisyncro Impianto per la distribuzione di prodotti alimentari particolarmente dolciari ad un a pluralita di stazioni di confezionamento poste in serie
US4188861A (en) * 1978-01-16 1980-02-19 Koppers Company, Inc.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stacking of paperboard blanks
DE2802339A1 (de) * 1978-01-20 1979-07-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 Vorrichtung zur zwischenpufferung auf paletten
CH621305A5 (ko) * 1978-06-05 1981-01-30 Sapal Plieuses Automatiques
GB2051722A (en) * 1979-06-15 1981-01-21 Staalkat Bv Apparatus for stacking trays or boxes filled with articles, such as eggs
DE4022163A1 (de) * 1990-07-12 1992-01-16 Licentia Gmbh Vorrichtung zum aus- u. einschleusen von kleingut aus einem transportband
FR2665150B1 (fr) * 1990-07-30 1992-11-27 Soulisse Michel Dispositif pour le chargement ou le dechargement de caissettes.
NL9101633A (nl) * 1991-09-26 1993-04-16 Martinus Wilhelmus Johannus Ke Inrichting voor het beladen en inrichting voor het lossen van een eiercontainer.
NL9200016A (nl) * 1992-01-07 1993-08-02 Food Processing Systems Containerbeladings- en ontladingsinrichting.
US5337880A (en) * 1993-07-23 1994-08-16 Automated Systems, Inc. Article storage carousel with automatic conveyor loading and un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7772T2 (de) 2000-10-19
EP0885161A1 (en) 1998-12-23
JPH09188401A (ja) 1997-07-22
DE69607698D1 (de) 2000-05-18
WO1997003904A1 (en) 1997-02-06
KR970006141A (ko) 1997-02-19
JPH11509505A (ja) 1999-08-24
AU6534796A (en) 1997-02-18
DE69607698T2 (de) 2000-10-26
DE69607772D1 (de) 2000-05-18
EP0885161B1 (en) 2000-04-12
NL1000879C2 (nl) 1997-01-28
EP0755882B1 (en) 2000-04-12
US5807055A (en) 1998-09-15
TW330919B (en) 1998-05-01
EP0755882A1 (en)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890B2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5421686A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NL8801059A (nl) Inrichting voor het stapelen van bundels platgevouwen dozen van golfkarton.
US6220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tems from a conveyor
US6398008B1 (en) Aligning and conveying method of packaged article and apparatus thereof
US4379671A (en) Synchronized bottle unloading system
KR19990035889A (ko)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US4667808A (en) Load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loading or unstable containers
JPH09503470A (ja) ストック製品用のストック及び搬送システム
JPH10236642A (ja) 農産物を載せた受皿の搬送合流装置
KR100215714B1 (ko)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
JP2005022686A (ja) 農産物の箱詰装置
JP3232978B2 (ja) 個装単位切出し装置
JPS5931217A (ja) 魚皿集積体自動形成装置
JP2000043807A (ja) 物品の箱詰装置
CN110203597B (zh) 一种物流用包装盒自动存取设备
JP3495778B2 (ja) 長物野菜の選別箱詰装置
JP2726762B2 (ja) カツプ容器の集積方法及び装置
JPH03256820A (ja) 物品の配列変更機構および該機構を用いた箱詰装置
JPH1143105A (ja) 農産物の箱詰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箱詰装置
JP2606690Y2 (ja) ケース分離装置
JPH082620A (ja) ピッキング装置
JPH07329906A (ja) 長物野菜のパレット詰め装置及び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H05238535A (ja) 薄型方形物の整列装置
JPH04215921A (ja) 自動機よりの製品収納用コンテナー処理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