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42A -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 Google Patents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42A
KR19990029742A KR1019980037608A KR19980037608A KR19990029742A KR 19990029742 A KR19990029742 A KR 19990029742A KR 1019980037608 A KR1019980037608 A KR 1019980037608A KR 19980037608 A KR19980037608 A KR 19980037608A KR 19990029742 A KR19990029742 A KR 1999002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wash plate
motor
pump
cylin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255B1 (ko
Inventor
츠토무 하야시
요시히로 나카지마
히데오 오쿠자키
마사코 다카하시
히로아키 가야마
겐지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85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31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85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63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85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63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079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393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2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9/00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 F16H39/04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 F16H39/06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 F16H39/08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 F16H39/10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with cylinders arranged around, and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gearing
    • F16H39/14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with cylinders arranged around, and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gearing with cylinders carried in rotary cylinder blocks or cylinder-bear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9/00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 F16H39/04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 F16H39/06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 F16H39/08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 F16H39/10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with cylinders arranged around, and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gearing
    • F16H2039/105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with liquid motor and pump combined in one unit pump and motor being of the same type each with one main shaft and provided with pistons reciprocating in cylinders with cylinders arranged around, and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gearing at least one pair of motors or pumps sharing a common swash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경사판이 직립한 상태에서 심지어 어떤 특별한 연동 장치의 사용없이도, 제2분배 밸브가 이의 중간행정위치에서 모터 포트를 단절시키도록 멈추는 잠금상태를 자동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2분배 밸브는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시키기 위해 축(X)에 평행하게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고; 밸브 경사판이 상기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서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모터 포트가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모터 경사판이 직립한 위치일 때,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중간행정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경사판식 유압펌프 또는 유압모터와 같이 사용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서, 충분한 플런저행정거리를 보장하는 반면에, 유압 유니트의 반경방향의 크기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본 발명은 경사판식 유압펌프와 가변위식 유압모터가 폐쇄된 유압서키트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된 경사판을 갖춘 유체정역학적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축의 둘레에서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서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져,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펌프 경사판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모터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져,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실린더 블럭축에 대해 직교하면서 왕복운동하는 행정거리를 영으로 하는 직립위치와 왕복운동하는 행정거리를 최대화하는 최대 경사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수 있다.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는 상기 실린더 블럭축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는 양쪽 오일통로로부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차단시키는 중간행정위치에서 상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게 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무단변속기는 모터 포트를 차단하기 위해 모터 경사판이 직립한 상태일 때 유압전달효율을 향상시키는 잠금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경사판식 유압펌프 또는 유압모터로서 사용하기 위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축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로 구성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플런저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플런저의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플런저 경사판은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한다.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는 상기 실린더 블럭축을 둘러싸는 제2피치원상에서 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열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 밸브는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대해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장착되고; 밸브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분배 밸브의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밸브 경사판은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져, 상기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경사판식 유압펌프 또는 유압모터로서 사용하기 위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플런저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게 하고;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상기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열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가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대해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장착되고; 밸브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유체정역학적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축의 둘레에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는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는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펌프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하게 한다. 모터 경사판은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하게 한다.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저압 오일통로는 상기 실린더 블럭축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는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면서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시키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고 평6-89828호에는 경사판을 갖춘 유체정역학적 무단변속기가 게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63-203959호에는 이전의 유사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가 게재되어 있다.
이전에는, 유사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는 다수개의 제1 및 제2분배 밸브가 실린더 블럭의 반경방향으로 배열(일본특허공개 소63-140164호 참조)된 (1)의 경우와, 제1분배 밸브는 실린더 블럭의 축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반면에, 제2분배 밸브는 상기 실린더 블럭의 반경방향으로 배열(일본특허공개 소63-203959호 참조)된 (2)의 경우로 게재되어 있었다.
상기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2분배 밸브는 실린더 블럭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제2분배 밸브를 펌프실린더의 회전과 함께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편심링이 변속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변속기에 잠금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편심링은 모터 경사판과 연동되어 편심링의 편심양은 상기 모터 경사판이 직립상태일 때 영이 되어져, 상기 제2분배 밸브는 모터 포트를 단절시키기 위해 이의 중간행정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운동을 하는 상기 모터 경사판과 편심링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존재는 상기 무단변속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변속기의 크기축소를 저해시켰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모터 경사판이 직립상태일 때 어떤 특별한 연동 장치(Interlocking Mechanism)의 사용없이도 자동적으로 모터 포트를 단절시키기 위해 중간위치에서 멈추는 제2분배 밸브와 함께 잠금상태를 얻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컴팩트한 크기의 경사판식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실린더 블럭축의 둘레에서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서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져,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펌프 경사판;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져,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고, 축에 대해 직교하면서 왕복운동하는 행정거리를 영으로 하는 직립위치와 왕복운동하는 행정거리를 최대화하는 최대 경사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수 있는 모터 경사판; 상기 축의 양쪽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면서 양쪽 오일통로로부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차단시키는 중간행정위치에서 상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게 하도록 장착된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로 구성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 밸브가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시키기 위해 축에 평행하게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된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경사면상에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가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밸브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이 직립한 위치일 때,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중간행정위치에서 멈추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밸브 경사판이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외주방향에서 위상이 90°로 각각 다른 위치에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되고, 그리하여 상기 모터 경사판이 경사질 때 동시에 이와 함께 경사지는 밸브 경사판은 왕복운동을 제2분배 밸브에 부여하여, 확장행정에서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응하는 모터 포트는 고압 오일통로와 정확하게 교통되는 반면에, 축소행정에서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응하는 모터 포트는 저압 오일통로와 정확하게 교통되어져, 유압전달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모터 경사판이 직립상태일 때, 상기 모터 경사판과 함께 직립하게 되는 밸브 경사판은 이의 중간행정에서 상기 제2분배 밸브를 고정시켜, 이에 의해 모든 모터 포트가 양쪽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되는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잠금상태를 자동적으로 얻기 위한 특별한 연동 장치의 사용이 불필요해지게 된다.
상기 언급한 종래의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서, 상기 플런저의 행정거리의 증가는 유압 유니트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반면, 유압 유니트의 반경방향의 크기의 감소를 위해서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미심사된 공보에 게재된 유압 유니트에서, 일련의 분배 밸브는 일련의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플런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배 밸브그룹은 유압 유니트의 반경방향의 크기감소를 저해시켰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련의 플런저내에 있는 쓸모없는 공간을 이용하여 충분한 플런저 행정거리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효과적으로 반경방향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일련의 분배 밸브가 배열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와,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플런저의 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플런저 경사판;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상기 축을 둘러싸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열되어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대해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장착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분배 밸브의 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장착된 밸브 경사판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밸브의 직경은 플런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피치원의 직경은 제1피치원의 직경 보다 작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배 밸브그룹이 플런저그룹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있는 쓸모없는 공간내에 배열되므로, 비록 상기 제1피치원이 펌프 경사판으로부터 각플런저에 부여되는 충분히 큰 행정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충분히 크게 설정되더러도, 상기 분배 밸브그룹의 존재는 실린더 블럭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유압 유니트의 반경방향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배 밸브가 플런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배 밸브그룹은 플런저그룹내측에 쉽게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각 밸브 경사판이 연관된 플런저 경사판과 같이 동일한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플런저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개의 경사판을 사용함에 따라 기인되는 유압 유니트의 축방향 크기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이 서로 쉽게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배 밸브가 이의 중간왕복행정에서 양쪽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포트를 단절시키고, 플런저가 이의 전진 및 후진운동의 한계에 도달하면, 비록 각 플런저 경사판과 이에 연관된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경사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열되더라도, 대응하는 포트는 양쪽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되므로, 상기 플런저가 이의 운동을 후진 및 전진으로 연속적으로 전환하면, 상기 언급한 포트는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와 정확히 교통되는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종래의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서,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이 서로 상기 실린더 블럭축에 대해 위상이 90°로 다르게 배열됨에 따라, 상기 경사판들을 효과적으로 가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대량 생산성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비록 플런저와 분배 밸브가 상기 펌프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수용되기 위해 복원 스프링을 구비하더라도, 상기 복원 스프링의 특성으로 인해 고속동작중에 상기 경사판들에 대한 플런저와 분배 밸브의 지연이 수반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고도의 생산성을 보장하고, 플런저와 분배 밸브를 고속동작중에도 상기 경사판들에 정확하게 뒤따를 수 있게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는 플런저 경사판;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상기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열되어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대해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장착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장착된 밸브 경사판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경사판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상호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를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수용시키기 위한 공통의 리테이너판이 각각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각 플런저 경사판과 이에 연관된 밸브 경사판은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열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은 동시에 경사판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각각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된 리테이너판에 의해서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수용된 위치에 항상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를 고속동작중에도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강제로 뒤따를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왕복운동이 보장된다. 게다가, 상기 하나의 공용 리테이너판이 각 플런저와 분배 밸브그룹에 사용되므로 단순한 구조를 얻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목부를 매개로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수용되는 구형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테이너판은 플런저와 분배 밸브의 목부에 각각 꼭 맞게 끼워지면서 구형 단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제1 및 제2지지구멍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목부가 지나가는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리테이너판의 주변 모서리와 개구되는 제1 및 제2절개부위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급한 특징과 연관되어,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위중 적어도 하나가 리테이너판의 외주 모서리와 개구되는 대신, 리테이너판내에 구형 단부와 대응해서 직경이 크게 형성된 삽입구멍과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의 목부가 리테이너판의 제1 및 제2절개부위를 지나서 제1 및 제2지지구멍내에 꼭 맞게 끼워지고 나서,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실린더 블럭에 장착되고, 상기 리테이너판운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된다. 이러한 단순한 작용에 의해, 상기 목부와 지지구멍 사이의 꼭 맞게 끼워진 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각 목부가 이와 연관된 지지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별한 스톱퍼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더욱 진전된 구조의 단순화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리테이너판이 원형클립을 매개로 경사판 조립체의 실린더 보어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각 리테이너판은 원형클립과 같이 단순한 부품의 사용으로 쉽게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각각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배 밸브는 왕복행정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 포트를 양쪽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시키고, 비록 상기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더라도, 플런저가 이의 전진 및 후진운동의 한계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대응되는 포트는 양쪽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되므로, 상기 플런저가 이의 운동을 후진 또는 전진으로 연속적으로 전환하면, 상기 언급한 포트는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와 정확히 교통되는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종래의 변속기 (1)에서,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가 방사상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1 및 제2밸브 구멍은 제1 및 제2분배 밸브의 상기 제1 및 제2밸브 구멍내로의 삽입을 위해 평행한 다축(Multi-Spindle)공구를 매개로 빠르게 가공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언급한 종래의 변속기 (2)에서,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는 서로 적절한 각도로 배열됨에 따라, 양쪽 제1 및 제2밸브 구멍을 동시에 가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종래의 양측 변속기들은 대량생산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변속기 (1)에서는, 상기 실린더 블럭의 외주상에 배열된 제1 및 제2분배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편심링이 필요로 하였고, 또한 종래의 변속기 (2)에서도, 상기 실린더 블럭의 외주상에 배열된 제1 및 제2분배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편심링이 필요로 하였다. 그 결과로, 각 변속기의 반경방향의 크기의 증가를 피할 수 없었으며, 축방향의 길이의 감소도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와 같이, 내부에 꼭 맞게 끼워진 제1 및 제2분배 밸브를 갖춘 제1 및 제2밸브 구멍이 실린더 블럭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어 반경방향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된 평행한 다축공구의 사용으로 빠르면서도 용이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축의 둘레에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되게 하는 펌프 경사판;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되게 하는 모터 경사판; 상기 축의 양쪽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저압 오일통로;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면서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시키도록 장착된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로 구성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가 실린더 블럭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가 각각 다수개의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은 실린더 블럭내에 형성되어져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면에 양쪽 오일통로와는 교차되며; 1밸브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이 각각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되어져,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제1밸브 구멍 및, 제2밸브 구멍이 모두 상기 실린더 블럭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됨에 따라, 이들은 다축 천공기계를 매개로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실린더 블럭내에서 가공될 수 있게 되고, 그리하여 이들의 대량 생산성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사이의 유압의 공급 및 회수는 상기 실린더 블럭축에 평행한 제1 및 제2분배 밸브의 왕복운동에 의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를 각각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밸브 경사판은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과 같이 실린더 블럭의 양측 선단부에 배열됨에 따라, 상기 무단변속기의 반경방향의 크기는 크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는 일련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일련의 모터 실린더 보어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의 전체길이가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어서, 양쪽 통로의 체적감소와 양쪽 통로내의 오일에 있는 기포의 절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유압전달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언급한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는 실린더 블럭축을 감싸는 제1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는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으면서 직경이 작은 제2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그룹이 실린더 블럭내에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그룹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므로, 비록 상기 제1피치원이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에 의해 각각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에 가해지는 충분한 왕복행정거리를 보장하는데 충분히 큰 크기로 설정되더라도, 상기 무단변속기는 분배 밸브가 존재하는 실린더 블럭의 반경크기를 증가시킴없이 반경방향으로 더욱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가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는 플런저그룹내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는 물론 제1 및 제2분배 밸브가 실린더 블럭의 외주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블럭의 축방향의 크기축소와 심지어 무단변속기의 축방향의 크기축소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언급한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밸브 경사판은 펌프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펌프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밸브 경사판은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 경사판과 제1밸브 경사판이 서로 용이하게 일체로 되어 상기 모터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도 일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무단변속기의 축방향 크기의 축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언급한 특징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각 펌프 실린더 보어의 펌프 포트는 펌프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제1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각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각 분배 밸브는 이의 중간행정위치에서 대응하는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시키도록 하고, 각 플런저가 이의 전진한계와 후진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펌프 경사판과 제1밸브 경사판은 물론 상기 모터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도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대응하는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는 양쪽 저압 및 고압 오일통로로부터 단절된다. 그러므로, 각 플런저가 이들의 운동을 후진 또는 전진운동으로 전환하게 되면, 각 포트는 저압 오일통로 또는 고압 오일통로와 정확히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범주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예시된 상세한 설명과 특정한 예는 단지 상술된 예로서만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져야만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실시가 상기 상세한 설명에 의해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로부터 명백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단변속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5-5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6-6선 단면도,
도 8은 실린더 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펌프 플런저와 제1분배 밸브의 작동시기를 나타낸 도식도,
도 10은 모터 플런저와 제2분배 밸브의 작동시기를 나타낸 도식도,
도 11은 모터 경사판의 직립상태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변속기 케이스 2-출력축
4-실린더 블럭 8-경사판 고정부재
9-제1경사판 조립체 9a-펌프 경사판
9b-제1밸브 경사판 19-제2경사판 조립체
19a-모터 경사판 19b-제2밸브 경사판
25-펌프 실린더 보어 26-제1밸브 구멍
27-펌프 플런저 28-제1분배 밸브
29a,30a-구형 단부 29b,30b-구형 수용홈
39-모터 실린더 보어 40-제2밸브 구멍
41-모터 플런저 42-제2분배 밸브
43a,44a-구형 단부 43b,44b-구형 수용홈
47-고압 오일통로 48-저압 오일통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한 실시예로서 서술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출력축(2)은 T로 지시된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적용되는 변속기 케이스(1)의 좌/우측 선단벽내에 있는 볼 베어링(3,3)을 매개로 지지되고, 입력 기어(5a)를 고정하고 있는 입력 부재(S)는 변속기 케이스(1)의 좌측 선단벽에 인접한 위치에서 앵귤러 접촉 베어링(6)을 매개로 상기 출력축(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엔진의 동력(도시안됨)은 상기 입력 기어(5a)로 입력되어, 출력축의 우측 선단부로부터 부하(도시안됨), 즉 이륜구동 차량에서의 구동 유니트로 출력된다.
상기 입력 부재(5)는 출력축(2)상에서 니들 베어링(7)을 매개로 지지된 경사판 고정부재(8)와 일체를 이루고, 제1경사판 조립체(9)는 경사판 고정부재(8)에 의해 볼 베어링(10)과 앵귤러 접촉 베어링(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경사판 조립체(9)는 펌프 경사판(9a)과, 이 펌프 경사판과 같이 동일하게 경사진 면상에 배치되면서 이와 함께 마감되는 제1밸브 경사판(9b)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 고정부재(8)는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을 상기 출력축(2)의 X축상에 대해 결정된 각도에서 경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되어진다.
상기 출력축(2)과 동심축상의 실린더 블럭(4)은 출력축의 중간부분에 스플라인 결합되면서 출력축상의 플랜지(12)와 슬리브(13)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 블럭(4)에 대해 제1경사판 조립체(9)의 대향된 측부상에서 볼트(14)로 변속기 케이스(1)에 고정된 경사판 앵커(15)는 앵귤러 접촉 베어링(16)을 관통한 출력축(2)상에 지지되고, 상기 출력축(2)의 X축에 대해 직교하는 Y축을 갖춘 반원통형상의 트러니언(18)은 결정된 각도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경사판 앵커(1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트러니언(18)의 중심은 볼 베어링(20)과 앵귤러 접촉 베어링(21)을 관통한 제2경사판 조립체(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경사판 조립체(19)는 모터 경사판(19a)과 이 모터 경사판(19a)과 같이 동일하게 경사진 면상에 배치되면서 이와 함께 마감되는 제2밸브 경사판(19b)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트러니언(18)은 이의 일축 선단에 액츄에이팅아암(도시안됨)을 구비한다. 상기 트러니언(18)은 액츄에이팅아암에 의해 회전되어져, 상기 출력축(2)의 X축에 대해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의 경사각은 액츄에이팅아암에 의해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볼 베어링(31)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블럭(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고정부재(17)는 볼트(38)를 매개로 경사판 앵커(1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축(2)상에 장착된 좌측 앵귤러 접촉 베어링(6)은 입력 부재(5)와 제1경사판 조립체(9)를 지지하고, 상기 출력축(2)상에 장착된 우측 앵귤러 접촉 베어링(16)은 경사판 앵커(15)를 지지한다. 상기 출력축(2)상에 형성된 한쌍의 고리형상의 홈(22,22)에 삽입된 이중으로 분할된 쐐기(23,23)(Bisplit Cotters)는 각 쐐기(23)의 외주상에 꼭 맞게 끼워진 리테이너링(24)과 함께 각각 좌/우측 앵귤러 접촉 베어링(6,16)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무단변속기(T)의 동작중에, 상기 제1경사판 조립체(9)와 실린더 블럭(4) 사이에서 발생하는 축하중(Thrust Load)은 좌/우측 앵귤러 접촉 베어링(6,16)을 관통하고 나서 상기 좌/우측의 쐐기(23,23)를 관통한 출력축(2)에 의해 지탱되어지고, 상기 경사판 앵커(15)와 실린더 블럭(4) 사이에서 발생된 축하중은 플랜지(12)와 우측의 쐐기(23)를 관통한 출력축(2)에 의해 지탱되어져, 상기 변속기 케이스(1)상의 축하중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 블럭(4)내에서, 다수개의 홀수개(실시예에서 5개로 도시되어 있음)의 펌프 실린더 보어(25)는 실린더 블럭(4)에 동심축상으로 있는 제1피치원(C1;도 2에 도시됨)상에 고리형상의 배열상태로 형성된다. 게다가, 제1밸브 구멍(26)은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같은 수량이면서 제1피치원(Cat)과 동심축상이면서 이보다 작은 직경인 제2피치원(C2)상에 고리형상의 배열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의 일선단은 실린더 블럭(4)의 좌측선단면과 개구되어 있으며, 이의 다른 단부는 막혀져 있다. 상기 제1밸브 구멍(26)은 펌프 실린더 보어(2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실린더 블럭(4)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펌프 플런저(27)와 스풀식 제1분배 밸브(28)는 각각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제1밸브 구멍(26)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의 전방선단은 각각 실린더 블럭(4)의 좌측 선단면으로부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에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입력 부재(5)가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은 각각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에 축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부여함으로써, 경사판식 유압펌프(P)가 구성된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의 전방선단에는 각각 구형 단부(29a,30a)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내에는 구형 단부(29a,30a)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형 단부(29a,30a)보다 큰 직경으로 된 구형 수용홈(29b,30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펌프 플런저(27)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의 미끄럼과 상기 제1밸브 경사판(9b)과 제1분배 밸브(28)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의 미끄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상에서 각각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과 연관되어 이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는 굽힘 응력(Bending Moment)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리테이너판(32)은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의 구형 수용홈(29b,30b)에 대응하여 수용된 상태인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의 구형 단부(29a,30a)를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클립(33)(Cir-clip)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제1경사판 조립체(9)에 조립되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경사판 조립체(9)에는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의 외주부에 인접한 원통형상부(9c)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원형클립(33)은 내주면내에 꼭 맞게 끼워지는 리테이너판(32)을 지지하도록 원통형상부(9c)의 내주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판(32)내에는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펌프 플런저(27)와 동일한 수량으로 대응되는 플런저 지지구멍(34)과,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제1분배 밸브(28)와 동일한 수량으로 대응되는 밸브 지지구멍(35)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플런저 지지구멍(34)은 각 펌프 플런저(27)의 구형 단부(29a) 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구형 단부(29a)의 목부(29a1)보다 큰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면서 절개부위(36)를 매개로 리테이너판(32)의 외주와 각각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위(36)의 폭은 목부(29a1) 보다 약간 더 크다. 상기 펌프 플런저(27)의 목부(29a1)가 절개부위(36)를 매개로 플런저 지지구멍(34)내에 꼭 맞게 된 다음, 상기 펌프 플런저(27)는 펌프 실린더 보어(25)내로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리테이너판(32)는 제1경사판 조립체(9)에 결합되어져, 상기 목부(29a1)는 절개부위(36)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형 단부(29a)는 플런저 지지구멍(34)에 의해 구형 수용홈(29b)내에 수용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실린더 블럭(4)이 상대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 플런저(27)는 강제적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펌프 플런저(27)를 돌출위치로 몰아내기 위한 복원 스프링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밸브 지지구멍(35)은 각 제1분배 밸브(28)의 구형 단부(30a)보다 작으면서 구형 단부(30a)의 목부(30a1)보다 큰 직경으로 각각 형성되면서 절개부위(37)를 매개로 리테이너판(32)의 내주와 각각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위(37)의 폭은 구형 단부(30a)의 목부(30a1) 보다 약간 더 크다. 그러므로, 상기 펌프 플런저(27)를 케이스에 조립하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목부(30a1)는 절개부위(37)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면서 구형 단부(30a)는 구형 수용홈(30b)과 더불어 삽입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상기 제1분배 밸브(28)는 제1밸브 경사판(9b)과 실린더 블럭(4)의 상대회전과 함께 강제적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의 목부(29a1,30a1)가 각각 절개부위(36,37)를 매개로 리테이너판(32)내의 플런저 지지구멍(34)과 밸브 지지구멍(35)에 삽입된 다음에,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는 각각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제1밸브 구멍(26)내로 삽입되고 나서, 상기 리테이너판(32)은 제1경사판 조립체(9)에 조립되어진다. 선택적으로, 먼저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를 내부에 수용한 리테이너판(32)이 제1경사판 조립체(9)에 조립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가 각각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플런저 지지구멍(34)내에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목부(29a1,30a1)는 절개부위(36,37)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형 단부(29a,30a)는 플런저 지지구멍(34)과 밸브 지지구멍(35)을 매개로 구형 수용홈(29b,30b)에 각각 수용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실린더 블럭(4) 사이의 상대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는 강제적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다. 즉 바꾸어 말하면,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를 각각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몰아내는데 사용되는 복원 스프링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경사판 조립체(9)에 리테이너판(32)의 조립을 위해 특정한 회전저지부재의 사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판(32)의 장착은 간단한 구조의 원형클립(33)의 사용을 허용하게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로 하면, 상기 실린더 블럭(4)내에서 모터 실린더 보어(39)는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동일한 수량이면서 일련의 펌프 실린더 보어들이 있는 제1피치원(C1)상에서 펌프 실린더 보어와 교대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와 동일하게 제2밸브 구멍(40)은 모터 실린더 보어(39)와 동일한 수량이면서 일련의 제1밸브 구멍(26)이 있는 제2피치원(C2)상에서 제1밸브 구멍(26)과 교대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의 일선단은 실린더 블럭(4)의 우측선단면과 개구되는 반면에, 이의 다른 단부는 막혀져 있다. 상기 제2밸브 구멍(40)은 모터 실린더 보어(39)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럭(4)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모터 실린더 보어(39)가 동일한 직경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밸브 구멍(26)과 제2밸브 구멍(40)의 직경도 동일하다. 이리하여 상기 제2밸브 구멍(40)의 직경은 모터 실린더 보어(39)의 직경보다 작다.
모터 플런저(41)와 스풀식 제2분배 밸브(42)는 각각 모터 실린더 보어(39)와 제2밸브 구멍(40)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의 전방 선단은 각각 실린더 블럭(4)의 우측 선단면으로부터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에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럭(4)이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은 축방향의 왕복운동을 각각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에 부여하여 유압모터(M)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의 전방 선단은 각각 구형 단부(43a,44a)로 형성되고, 이 구형 단부(43a,44a) 보다 직경이 크면서 이를 수용하는 구형 수용홈(29b,30b)은 각각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내에 형성되어져,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모터 플런저(41) 사이의 미끄럼과, 상기 제2밸브 경사판(19b)과 제2분배 밸브(42) 사이의 미끄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상에서 각각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과 연관되어 이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는 굽힘 응력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고리형상의 리테이너판(45)은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의 구형 수용홈(43b,44b)에 대응하여 수용된 상태인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의 구형 단부(43a,44a)를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클립(46)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제2경사판 조립체(19)에 조립되어진다. 상기 리테이너판(45)을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리테이너판(32)를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에 결합시키는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실린더 블럭(4)내에서 제1밸브 구멍(26)과 제2밸브 구멍(40)에 교차되는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47)와 저압 오일통로(48)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방식으로 형성되어진다. 게다가 상기 실린더 블럭(4)의 내부에는 펌프 실린더 보어(25)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실린더 블럭(4)의 회전방향(도 2에서 실린더 블럭의 회전방향으로 지시된 화살표 R)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제1밸브 구멍(26)에 도달하는 다수개의 펌프 포트(25a)와 함께,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실린더 블럭(4)의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제2밸브 구멍(40)에 도달하는 다수개의 모터 포트(3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분배 밸브(28)는 이의 구형 단부(29a)의 측부로부터 제1랜드부(28a)와, 제1고리형홈(28d), 제2랜드부(28b), 제2고리형홈(28e) 및, 제3랜드부(28c)를 연속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분배 밸브(28)가 제1밸브 경사판(9b)에 의해 이의 가장 우측 한계위치에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고리형홈(28d)은 상호 연관된 펌프 포트(25a)와 고압 오일통로(47) 사이를 교통시키고, 상기 제2랜드부(28b)는 펌프 포트(25a)와 저압 오일통로(48) 사이의 교통을 단절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분배 밸브(28)가 가장 좌측 한계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2고리형홈(28e)은 상호 연관된 펌프 포트(25a)와 저압 오일통로(48) 사이를 교통시키고, 상기 제2랜드부(28b)는 펌프 포트(25a)와 고압 오일통로(47) 사이의 교통을 단절시킨다. 또한 상기 제1분배 밸브(28)가 중간행정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랜드부(28a)와 제2랜드부(28b)는 펌프 포트(25a)를 양쪽 오일통로(47,48)로부터 고립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분배 밸브(42)는 이의 구형 단부(44a)의 측부로부터 제1랜드부(42a)와, 고리형홈(42c) 및, 제2랜드부(42b)를 연속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분배 밸브(42)가 제2밸브 경사판(19b)에 의해 가장 좌측 한계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고리형홈(42c)은 상호 연관된 모터 포트(39a)와 저압 오일통로(48) 사이를 교통시키고, 상기 제2랜드부(42b)는 모터 포트(39a)와 고압 오일통로(47) 사이의 교통을 단절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분배 밸브(42)가 가장 우측 한계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고리형홈(42c)은 상호 연관된 모터 포트(39a)와 고압 오일통로(47) 사이를 교통시키고, 상기 제1랜드부(42a)는 모터 포트(39a)와 저압 오일통로(48) 사이의 교통을 단절시킨다. 또한 상기 제2분배 밸브(42)가 중간행정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랜드부(42a)와 제2랜드부(42b)는 모터 포트(39a)를 양쪽 오일통로(47,48)로부터 고립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용 오일통로(50)가 상기 출력축(2)의 중심축상에 형성되는데, 이 오일통로(50)는 엔진(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는 보충용 펌프(49)의 배기구측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연통 구멍(51)과 제2연통 구멍(52)이 상기 보충용 오일통로(50)와 고압 및 저압 오일통로(47,48) 사이를 교통시키기 위해 출력축(2)내에 형성되고, 제1체크 밸브(53)와 제2체크 밸브(54)가 각각 제1연통 구멍(51)과 제2연통 구멍(52)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체크 밸브(53)는 보충용 오일통로(50)로부터 저압 오일통로(48)에 이르는 일방향으로만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제2체크 밸브(54)는 보충용 오일통로(50)로부터 고압 오일통로(47)에 이르는 일방향으로만 오일의 유동을 허용한다.
도 3과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블럭(4)은 실린더 블럭축 X(상기 출력축(2)의 축 X과 동일함)에 직교하도록 분할된 면을 갖추고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분할된 블럭 판(41내지 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 판(41내지 45)은 각각 프레스가공에 적합한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블럭 판(41내지 45)의 결합에 대한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이후로부터 상기 다섯 개의 블럭 판은 도 3의 좌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으로 언급될 것이다.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모터 실린더 보어(39), 제1밸브 구멍(26) 및, 제2밸브 구멍(40)은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각 펌프 실린더 보어(25)는 내부에 연관된 펌프 플런저(27)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1블럭 판(41)과 제2블럭 판(42)을 관통하여 형성된 흡기 구멍(25i)과, 상기 흡기 구멍(25i)보다 직경이 다소 큰 내측구멍(25o)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 구멍(25o)은 오일실을 펌프 플런저(27)의 블럭 판과 내측 선단면 및 외주면 사이에서 한정하기 위해 제3블럭 판(43)에서부터 제5블럭 판(45)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모터 실린더 보어(39)는 내부에 연관된 모터 플런저(41)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4블럭 판(44)과 제5블럭 판(45)을 관통하여 형성된 흡기 구멍(39i)과, 상기 흡기 구멍(39i)보다 직경이 다소 큰 내측 구멍(39o)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 구멍(39o)은 오일실을 모터 플런저(41)의 블럭 판과 내측 선단면 및 외주면 사이에서 한정하기 위해 제1블럭 판(41)에서부터 제3블럭 판(43)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각 펌프 포트(25a)는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연관된 내측 구멍(25o)의 내주면에 형성된 축방향의 홈(25)과, 상기 제2블럭 판(42)의 측부에 위치한 제3블럭 판(43)의 분할된 면에 형성된 만곡진 홈(25a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만곡진 홈(25a2)은 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내측 구멍(25o)으로부터 90°로 변환된 위치에 있는 제1밸브 구멍(26)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모터 포트(39a)는 모터 실린더 보어(39)와 연관된 내측 구멍(39o)의 내주면에 형성된 축방향의 홈(39a1)과, 상기 제4블럭 판(44)의 측부에 위치한 제3블럭 판(43)의 분할된 면에 형성된 만곡진 홈(39a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만곡진 홈(39a2)은 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내측 구멍(39o)으로부터 90°로 변환된 위치에 있는 제2밸브 구멍(40)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상기 고압 오일통로(47)는 제2블럭 판(42)의 꼭 맞게 형성된 면과 출력축(2) 사이에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저압 오일통로(48)는 제4블럭 판(44)의 꼭 맞게 형성된 면과 출력축(2) 사이에서 형성된다.
적어도 두 개(실시예에서는 네 개로 예시됨)의 위치결정용 구멍(55)이 실린더 블럭축 X의 둘레로 90°의 간격을 두고서 제1블럭 판(41)에서부터 제5블럭 판(45)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55)내에 위치결정용 핀(56)이 삽입되어짐에 따라;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모터 실린더 보어(39), 제1밸브 구멍(26) 및, 제2밸브 구멍(40)이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의 내부에서 각각 일직선상태로 정렬되어진다.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55)과 위치결정용 핀(56)은 위치결정용 수단(58)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의 외주 모서리는 모따기가 되어 있어 제1 내지 제5블럭 판이 일체로 포개질 때 블럭 판의 홈은 각각 분할된 면끼리 면착되어 이들의 외주상에서 고리형상의 홈(59)을 형성한다.
상기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이 위치결정용 핀(56)과 함께 서로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호 포개져 일체로 결합됨에 있어, 직선의 접합부재(m)는 고리형상의 홈(59)의 둘레로 각각 감겨지게 되고, 이후 상기 제1 내지 제5블럭 판이 상호 접촉되게 압력을 받는 동안에 가열되어 용융되는데, 상기 접합부재가 용융됨에 따라 블럭 판의 분할된 면들 사이와, 위치결정용 핀(56)과 위치결정용 구멍(55) 사이는 모세관 현상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응결은 상기 블럭 판들을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블럭 판(41내지 45)이 서로끼리는 물론 위치결정용 핀(56)과 접합되면, 상기 위치결정용 핀(56)은 결합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력한 결합력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내지 제5블럭 판이 서로 접촉되게 압력을 받음에 따라, 인접한 블럭 사이의 틈새는 지극히 미세하게 되므로, 모세관 현상의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다양한 부분에 가해지는 접합부재의 침투는 증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가 고리형상의 홈(59)내로 주입되어 용융되면, 상기 접합부재가 고리형상의 홈에 의해 접합된 부분외에 다른 부분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값비싼 접합부재의 영역은 매우 고품질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접합공정 이전에, 각 위치결정용 핀(56)의 각 선단부(56a,56a)는 코킹(caulking)되어질 수 있어, 제1 내지 제5블럭 판(41내지 45)은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져, 상기 핀(56)은 연관된 위치결정용 구멍(55)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블럭 판을 적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어떤 특별한 지그의 사용없이도 만족스러운 접합상태를 얻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경사판 조립체(9)가 모터 경사판(19a)이 어떤 경사각으로 고정되는 동안에 엔진(도시안됨)의 동력으로 입력 기어(5a)를 매개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은 리테이너판(32)과 함께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의 상호작용에 의해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에 강제적으로 부여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제1분배 밸브(28)의 적절한 왕복운동은 고속의 동작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 플런저(27)가 흡입영역(S)을 지나가는 동안에,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내에 한정되는 오일실은 확장되고, 상기 제1분배 밸브(28)는 펌프 포트(25a)를 저압 오일통로(48)와 교통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저압 오일통로(48)내에 있는 오일은 펌프 실린더 보어(25)내의 오일실내로 흡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펌프 플런저(27)가 배출영역(D)을 지나가는 동안에,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내에 한정되는 오일실은 축소되고, 상기 제1분배 밸브(28)는 펌프 포트(25a)를 고압 오일통로(47)와 교통되게 함에 따라,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내에 고압으로 있는 오일은 고압 오일통로(47)로 배출된다.
다른 한편, 유압모터(M)의 내부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플런저(41)가 확장영역(Ex)내에 있는 동안에,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내에 한정되는 오일실은 확장되고, 상기 제2분배 밸브(42)는 모터 포트(39a)를 고압 오일통로(47)와 교통되게 하는 한편, 상기 모터 플런저(41)가 축소영역(Re)내에 있는 동안에,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내에 한정되는 오일실은 축소되고, 상기 제2분배 밸브(42)는 모터 포트(39a)를 저압 오일통로(48)와 교통되게 함에 따라,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펌프 실린더 보어(25)로부터 고압 오일통로(47)로 배출된 고압의 오일은 확장영역(Ex)내에 있는 모터 플런저(41)의 모터 실린더 보어(39)로 이송되는데, 이에 따라 추력이 모터 플런저(41)에 부가된다. 상기 축소영역(Re)내에 있는 모터 플런저(41)가 축소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오일을 모터 실린더 보어(39)로부터 저압 오일통로(48)로 배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내에 있는 고압의 오일에 의해 밀린 모터 플런저(41)는 모터 경사판(19a)을 가압하여 이에 회전토오크를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반작용토오크와 더불어 상기 실린더 블럭(4)은 입력 기어(5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토오크는 상기 출력축(2)에 외부부하로 전달된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모터 플런저(41)와 제2분배 밸브(42)의 왕복운동은 강제적으로 실시되면서 리테이너판(45)을 갖춘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확한 시점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동작에서, 상기 저압 오일통로(48)의 압력이 실린더 블럭(4)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오일압력의 누설로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1체크 밸브(53)가 개방되면서 오일이 보충용 오일통로(50)로부터 저압 오일통로(48)로 보충되어진다. 엔진브레이크가 사용되면, 상기 고압 오일통로(47)의 압력은 낮아지면서 저압 오일통로(48)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누설된 오일에 대한 보충이 된다. 이때 압력은 제2체크 밸브(54)를 통해 보충되어진다.
상기 유압펌프(P)는 펌프 경사판(9a)의 경사각이 고정되는 고정변위식인 반면에, 상기 유압모터(M)는 모터 경사판(19a)의 경사각이 가변되는 가변변위식인데, 이로서 상기 입력 부재(5)와 출력축(2) 사이의 속도비는 유압모터(M)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줄이기 위해 모터 경사판(19a)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경사판(19a)의 위치를 최대 경사위치(실린더 블럭축 X에 수직한 면으로 가장 경사진 위치)로 변화함에 따라 이 위치에서 유압모터(M)의 용량은 최대가 되고, 상기 모터 경사판(19a)의 위치를 직립위치(실린더 블럭축 X에 수직한 위치)로 변화함에 따라 이 위치에서 유압모터(M)의 용량은 제로가 되는데, 이에 따라 속도비를 저속비에서 고속비인 1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을 모터 경사판과 같이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시키면서 이들을 일체로 하여 제2경사판 조립체(19)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2밸브 경사판(19b)은 모터 경사판(19a)과 함께 변위되는데, 이는 상기 모터 경사판(19a)이 직립한 위치에 도달하게 하면서 상기 제2밸브 경사판(19b)도 역시 직립하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 경사판(19b)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분배 밸브(42)는 중간행정위치에서 모터 포트(39a)를 양쪽 고압 및 저압 오일통로(47,48)로부터 단절시키도록 고정되어져, 상기 유압펌프(P)와 유압모터(M) 사이에서 교통이 단절되는 소위 잠금상태가 오일통로에서 초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압펌프(P)와 교통되는 오일통로의 용적은 반으로 감소되면서 이 오일통로내에 있는 오일의 비압축성은 증진된다.(이는 오일통로의 용적감소와 이에 따른 오일내에 포함된 기포의 전체량이 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M)내에서 오일의 누설이 더 이상 유압전달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입력 부재(5)와 출력축(2) 사이의 상대회전은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으면서 이로써 상기 유압전달효율을 최고의 비율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일체의 제2밸브 경사판(19b)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분배 밸브(42)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2밸브 경사판(19b)의 작동을 위한 전용의 연동 장치(Interlocking Mechanism)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로서 구조의 단순화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단변속기의 구조에서, 상기 고압 오일통로(47)와 저압 오일통로(48)는 실린더 블럭(4)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는 실린더 블럭(4)내에서 이의 축(X)과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양 오일통로(47,48)와 교차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제1밸브 구멍(26)와 제2밸브 구멍(40)에 각각 미끄럼가능하게 꼭 맞게 끼워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든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및 제1 및 제2밸브 구멍들은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 블럭(4)내에서 다수개의 평행한 다축(Multi-Spindle)공구를 통해 용이하면서도 빠르게 가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블럭(4)에 대해 상대회전으로 각각 제1 및 제2분배 밸브(28,42)를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밸브 경사판(9b,19b)은 실린더 블럭의 양쪽 선단부상으로 펌프 및 모터 경사판(9a,19a)과 같이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블럭(4)의 둘레로 배치되는 이들 부품의 수량은 더욱 작게 되며, 이에 따라 무단변속기의 반경상으로의 크기감소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실린더 블럭(4)내에서,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가 제1피치원(Cat)상으로 배열되고, 이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의 직경보다 작은 상기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가 제1피치원(Cat) 보다 작은 직경의 제2피치원(C2)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가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의 반경방향으로의 내측에 형성된 쓸모없는 공간내에 배열됨으로 인해, 비록 상기 제1피치원(Cat)이 펌프 및 모터 경사판(9a,19a)에 의해 펌프,모터 플런저(27,41)로 충분한 왕복행정을 보장할 수 있는 충분히 큰 크기로 정해지더라도, 상기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의 존재는 실린더 블럭(4)의 크기증가를 초래하지 않게 하므로, 상기 무단변속기(T)의 반경방향의 크기의 감소를 허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가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배 밸브는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내에 쉽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가 동일한 제1피치원(C1)상에 교대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블럭(4)은 이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축방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무단변속기(T)는 이의 반경방향과 축방향의 양방향으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 오일통로(47)와 저압 오일통로(48)가 일련의 양측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양쪽 고압,저압 오일통로(47,48)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양쪽 오일통로내에 있는 오일에 포함된 기포의 절대량은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압의 전달효율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경사면상으로 배치된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은 제1경사판 조립체(9)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경사면상으로 배치된 상기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이 제2경사판 조립체(19)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경사판의 존재에 의해 기인되는 상기 무단변속기(T)의 축방향으로의 크기의 증가는 배제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은 제1경사판 조립체(9)와 동시에 가공될 수 있으면서 또한,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도 제2경사판 조립체(19)와 동시에 가공될 수 있어서 대량생산을 위한 고도의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분배 밸브(28)와 제2분배 밸브(42)가 이들의 왕복행정중 중간위치에서 양쪽 고압 오일통로(47)와 저압 오일통로(48)로부터 포트(25a,39a)를 단절시키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의 펌프 포트(25a)는 실린더 블럭(4)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위상이 90°로 다른 제1밸브 구멍(26)과 연통되고,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39)의 모터 포트(39a)는 실린더 블럭(4)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위상이 90°로 다른 제2밸브 구멍(40)과 연통된다. 그러므로, 비록 상기 펌프 경사판(9a)과 제1밸브 경사판(9b)과, 모터 경사판(19a)과 제2밸브 경사판(19b)이 동일하게 경사진 상태로 배열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가 이들의 전진 및 후진운동의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대응되는 포트(25a,39a)는 양쪽 고압,저압 오일통로(47,48)로부터 단절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펌프 플런저(27)와 모터 플런저(41)가 이들의 운동을 전진 및 후진운동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포트(25a,39a)가 저압 오일통로(48)나 고압 오일통로(47)와 정확하게 교통되는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블럭(4)은 이 실린더 블럭의 축에 대해 각각 직교하는 분할면을 갖춘 분할된 면으로서 가압에 의해 형성된 제1 내지 제5블럭 판(41내지 45)이 함께 접합됨에 따라 구성된다. 이 경우에, 각 펌프 실린더 보어(25)의 흡기측 절반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구멍(25i)은 제1 내지 제2블럭 판(41내지 42)내에 형성되고, 각 펌프 실린더 보어(25)의 내측 절반에 대응하면서 상기 흡기 구멍(25i)의 직경보다 큰 상기 내측 구멍(25o)은 제3 내지 제4블럭 판(43내지 45)내에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각 모터 실린더 보어(39)의 흡기측 절반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구멍(39i)은 제4 내지 제5블럭 판(44내지 45)내에 형성되고, 각 모터 실린더 보어(39)의 내측 절반에 대응하면서 상기 흡기 구멍(39i)의 직경보다 큰 상기 내측 구멍(39o)은 제1 내지 제3블럭 판(41내지 43)내에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블럭 판(41내지 45)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기 구멍(25i,39i)이나 내측 구멍(25o,39o)은 각각 용이하게 가공된 많은 구멍을 갖춘 블럭 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대량 생산된다. 그러므로, 상기 블럭 판(41내지 45)이 위치결정용 수단(58)을 통해 위치가 고정되는 동안에 상호 접합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블럭(4)은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록 가공이나 조립과정에서 사소한 오류가 있더라도, 이러한 오류는 상기 흡기 구멍(25i,39i)과 직경이 큰 내측 구멍(25o,39o) 사이의 직경차이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서, 상기 플런저(27,41)의 미끄럼운동에는 아무런 장애가 없으면서 대량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은 내측 구멍(25o,39o)의 기계가공상의 정밀도를 완화시킴으로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각 내측 구멍(25o,39o)에는 플런저(27,41)면과 연관된 내측 선단면과 외주면에 오일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런저(27,41)의 미끄럼면은 오일실내에 있는 오일에 의해 항상 충분히 윤활되어져, 상기 플런저의 부드러운 동작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 포트(25a)와 모터 포트(39a)의 만곡진 홈(25a2,39a2)은 모양이 상대적으로 복잡하지만, 상기 만곡진 홈은 제3블럭 판(43)의 분할된 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홈은 제3블럭 판을 프레스가공하면서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를 고압 및 저압 오일통로와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분배 밸브는 실린더 블럭내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된 밸브 경사판은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일체로 결합되며,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한 실린더 블럭의 원주방향에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 있는 각각의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밸브 경사판이 모터 경사판과 함께 직립한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중간행정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 경사판이 직립한 위치에 있으면, 상기 밸브 경사판은 어떤 특별한 연동 장치의 사용없이도 동시에 직립하게 될 수 있으며, 중간위치에서 고정되는 제2분배 밸브를 자동적으로 잠금상태로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하여, 잠금기능을 갖춘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과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블럭(4)은 이의 축(X)에 대해 직교하는 각각 분할면을 매개로 다섯 개의 블럭 판으로 분할된다. 이후로 상기 분할된 블럭 판은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과 같이 언급될 것이다.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와, 모터 실린더 보어(39), 제1밸브 구멍(26) 및, 제2밸브 구멍(40)은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펌프 포트(25a)는 제3블럭 판(43) 내지 제5블럭 판(45)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 포트(39a)는 제1블럭 판(41) 내지 제3블럭 판(43)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압 오일통로(47)는 제2블럭 판(42)과 출력축(2) 사이의 면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저압 오일통로(48)는 제4블럭 판(44)과 출력축(2) 사이에서 형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5)이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위치결정용 핀(56)은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55)내에 꼭 맞게 끼워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1블럭 판(41) 내지 제5블럭 판(45)의 분할된 면은 함께 접합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용 핀(56)도 역시 위치결정용 구멍(55)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접합공정의 이전에, 상기 위치결정용 핀(56)의 양측 선단은 핀(56)이 위치결정용 구멍(5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킹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후술되는 접합공정을 용이하게 해 준다.
이 경우에, 상기 실린더 블럭(4)은 다수개의 블럭 판(41내지 44)으로 분할되고, 상기 고압 및 저압 오일통로(47,48)와 펌프 포트(25a) 및 모터 포트(39a)는 기 결정된 방법으로 분할된 블럭 판내에 형성되며, 심지어 상기 복잡한 오일통로를 갖춘 블럭 판이 프레스나 캐스팅제조에 의해 쉬우면서도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 실시예에서는 단지 경사판식 유압펌프(P)에 적용되는 것인 데, 적절하게 고정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펌프케이스(160)는 컵형상의 케이스바디(160a)와, 상기 케이스바디의 개구된 선단에 볼트(165)로 체결되는 커버(160b)로 이루어진다. 엔진(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는 입력축(161)은 상기 케이스바디(160a)의 선단벽내에 있는 한쌍의 앵귤러 접촉 베어링(162,162')을 매개로 지지된다. 흡입 파이프(163)와 배기 파이프(164)가 상기 커버(160b)에 조립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163)는 오일저장통이나 저압의 오일통로(도시안됨)와 연통되는 반면에, 상기 배기 파이프(164)는 부하로서 작용하는 유압장치(도시안됨)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160)내에서, 경사판 고정부재(108)는 상기 입력축(161)에 볼트(166)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경사판 고정부재(108)의 외주상에는 볼 베어링(110)과 앵귤러 접촉 베어링(111)을 매개로 경사판 조립체(10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경사판 조립체(109)가 이전 실시예의 경사판 조립체와 동일함에 따라,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경사판 조립체(109)도 역시 펌프 경사판(109a)과 밸브 경사판(109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블럭(104)은 볼트(167)로서 커버(160b)에 고정되어서, 입력축(161)과 동축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실린더 블럭(104)의 내에서 이전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압펌프(P)의 레이아웃과 같이, 다수의 홀수개(참조된 실시예에 예시된 다섯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125)와 밸브구멍(126),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125)에 연결된 펌프 포트(125a), 및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148)가 각각 펌프 플런저(127)와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125)에 꼭 맞게 끼워진 분배 밸브(128) 및 밸브구멍(126)에 형성된다.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147)는 실린더 블럭(104)과 커버(160b) 사이의 결합면에 형성된다. 상기 저압 오일통로(148)와 고압 오일통로(147)는 각각 흡입 파이프(163)와 배기 파이프(164)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펌프 플런저(127)와 분배 밸브(128)의 구형 단부(129a,130a)는 각각 펌프 경사판(109a)과 밸브 경사판(109b)의 구형 수용홈(129b,130b)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럭(104)은 축방향으로 분할된 네 개의 블럭 판(1041내지 1044)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25)는 좌측으로부터 제1 내지 제3블럭 판(1041내지 1043)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1블럭 판(1041)은 다른 블럭 판 보다 두께가 두껍고, 이의 내부에 형성된 펌프 실린더 보어(125)는 고정밀도로 마무리 가공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 내지 제3블럭 판(1042내지 1043)에 형성된 펌프 실린더 보어(125)는 제1블럭 판(1041)의 보어보다 약간 더 크면서 거칠게 가공되어 있다. 상기 저압 오일통로(148)는 제1블럭 판(1042)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펌프 포트(125a)는 제3블럭 판(1043)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블럭 판(1044)은 다른 블럭 판 보다 큰 직경이면서 이의 외주부는 볼트(167)로서 커버(160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블럭 판(1041내지 1044)을 얇게 할 수 있으면서 프레스가공은 고도의 대량생산으로 실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블럭 판(1041내지 1044)은 위치가 결정되고 나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에 대해 접합되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갖춘 실린더 블럭과;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와;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플런저의 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플런저 경사판;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상기 축(X)을 둘러싸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열되어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대해 선택적이면서 교대로 교통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장착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 상기 실린더 블럭의 일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분배 밸브의 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장착된 밸브 경사판으로 구성된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분배 밸브의 직경은 플런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피치원의 직경은 제1피치원의 직경 보다 작게 설정된 것을 제1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록 상기 제1피치원이 플런저 경사판으로부터 각 플런저에 충분히 큰 행정거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분배 밸브그룹의 존재는 실린더 블럭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유압 유니트의 반경방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분배 밸브는 플런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배 밸브그룹은 플런저그룹내에 훨씬 더 쉽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밸브 경사판이 플런저 경사판과 같이 동일한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플런저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경사판 사용에 의해 기인되는 유압 유니트의 축방향 크기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양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은 각각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비록 상기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분배 밸브의 작동은 플런저의 왕복운동위치에 대응하여 정확한 시점에서 정확히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판(32)과 개구되는 절개부위(36,37)를 대신하여, 이 절개부위는 상기 리테이너판(32)에 형성된 삽입구멍(57)과 개구될 수 있는데, 이 삽입구멍(57)은 구형 단부(29a,30a)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서, 각 플런저 경사판과 이에 연관된 밸브 경사판은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경사판 조립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플런저와 분배 밸브를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수용하게 하는 공용의 리테이너판이 상기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된다. 그러므로, 상기 양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은 동시에 경사판 조립체에 형성될 수 있어서, 높은 대량 생산성을 보장하게 된다. 게다가,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리테이너판에 의하여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을 강제로 따를 수 있어, 고속의 동작중에서도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적절한 왕복운동은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플런저와 분배 밸브가 하나의 공용 리테이너판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의 목부와, 제1지지구멍과 제2지지구멍 사이의 맞춤상태가 단순작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부가 지지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특별한 스톱퍼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리테이너판이 원형클립과 같이 간단한 부품의 사용을 통해 쉽게 이에 연관된 경사판 조립체에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록 각 플런저 경사판과 이에 연관된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더라도, 상기 분배 밸브의 동작은 플런저의 왕복운동위치에 대응하여 정확한 시점에서 정확히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서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가 실린더 블럭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가 각각 다수개의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은 실린더 블럭내에 형성되어져 축(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면에 양쪽 오일통로와는 교차되며; 제1밸브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이 각각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되어져,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와 제1,제2밸브 구멍 모두는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하게 위치되어지므로 평행한 다축공구로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게 되어져, 대량생산의 효과가 증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 블럭축과 평행한 제1 및 제2분배 밸브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사이의 오일압력의 공급 및 회수는 어떤 어려움없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과 같이, 제1 및 제2분배 밸브를 동작하기 위한 제1 및 제2밸브 경사판은 실린더 블럭의 양쪽 선단에 배치되어져, 상기 무단변속기의 반경방향의 크기를 크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가 펌프 실린더 보어그룹과 모터 실린더 보어그룹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양쪽 오일통로의 전체길이는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으며 양 통로의 체적감소와 양 통로내의 오일에 있는 기포의 절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유압전달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는 실린더 블럭축을 감싸는 제1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는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으면서 직경이 작은 제2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된다. 그 결과로,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그룹은 실린더 블럭내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의 반경방향으로의 내측에 형성된 쓸모없는 공간내에 위치됨에 따라, 무단변속기의 반경방향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의 충분한 왕복행정거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가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배 밸브는 플런저그룹의 내부에 쉽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가 실린더 블럭의 외주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고, 제1 및 제2분배 밸브도 또한 실린더 블럭의 외주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블럭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할 수 있으면서 무단변속기의 축방향으로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밸브 경사판은 펌프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펌프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밸브 경사판은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 경사판과 제1밸브 경사판을 서로 일체로 하는 것과 모터 경사판과 제1밸브 경사판을 서로 일체로 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단변속기의 축방향 크기의 축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펌프 실린더 보어의 펌프 포트는 펌프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연관된 제1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각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연관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받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펌프 경사판과 제1밸브 경사판은 물론 모터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및 제2분배 밸브의 동작은 펌프 플런저와 모터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대응하는 적절한 시기에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많은 방법에 의해 동일한 변경실시가 가능함이 자명한데, 이러한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아니고, 당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실시되는 모든 명백한 변형은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0)

  1. 실린더 블럭축의 둘레에서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 및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서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상기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펌프 경사판;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상기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고, 왕복운동 행정이 제로까지 감소되는 상기 축에 교차하는 직립위치와 왕복운동 행정이 최대화되는 최대 경사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수 있는 모터 경사판;
    상기 축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 ;및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면서 상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가 양쪽 오일통로로부터 차단되는 중간 행정지점을 통해 교대로 상기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상기 고압 오일통로와 상기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에 적합한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를 구비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모터 포트를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에 교대로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상기 축에 평행하게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한 밸브 경사판은 동일한 경사면상에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제2분배 밸브에 의해 각각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밸브 경사판이 모터 경사판과 함께 직립한 위치일 때,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중간 행정지점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2. 축(X)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면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측으로 돌출하는 플런저의 단부 부분들과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플런저 경사판;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축(X)을 둘러싸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게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어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교대로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에 적합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 및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측으로 돌출하는 분배 밸브의 단부 부분들과 결합하면서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밸브 경사판을 구비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밸브는 플런저에 비해 직경이 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피치원은 상기 제1피치원에 비해 직경이 더 작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경사판이 형성되며; 청구항에 따라 더 작게 설정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는 플런저 경사판과 같은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플런저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경사판이 플런저 경사판과 같은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플런저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각각의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5. 축(X)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게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포트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는 플런저 경사판;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
    상기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는 제2피치원상에서 실린더 블럭축(X)과 평행하게 고리형상으로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어 실린더 보어의 포트를 저압 오일통로와 고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으로 교대로 연통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에 적합한 다수개의 스풀식 분배 밸브; 및
    상기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는 밸브 경사판을 구비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경사판과 상기 밸브 경사판이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어 경사판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및 분배 밸브를 플런저 경사판 및 밸브 경사판과 결합시키기 위한 공용의 리테이너판이 각각 경사판 조립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와 분배 밸브는 목부를 통해 구형 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구형 단부는 플런저 경사판과 밸브 경사판에 결합하며, 상기 리테이너판은 플런저와 분배 밸브의 목부에 각각 끼워지는 제1 및 제2지지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구멍은 구형 단부 보다 직경이 더 작고, 또한 상기 지지구멍들이 상기 목부가 지나가는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리테이너판의 주변 모서리와 개구되는 제1 및 제2절개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위중 적어도 하나가 리테이너판의 외주 모서리와 개구되는 대신, 리테이너판내에 형성된 삽입구멍과 개구되고, 상기 삽입구멍은 대응한 구형 단부 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판이 원형클립을 통해 경사판 조립체의 실린더 보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판이 원형클립을 통해 경사판 조립체의 실린더 보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판이 원형클립을 통해 경사판 조립체의 실린더 보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각각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각각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의 포트가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각각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유압 유니트.
  14. 실린더 블럭축(X)의 둘레에 고리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모터 실린더 보어,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펌프 포트 및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모터 포트를 가지는 실린더 블럭;
    상기 펌프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펌프 플런저;
    상기 모터 실린더 보어내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다수개의 모터 플런저;
    상기 실린더 블럭의 한 단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상기 한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펌프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는 펌프 경사판;
    상기 실린더 블럭의 다른 단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실린더 블럭의 상기 다른 단부면에 대해 상대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모터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는 모터 경사판;
    상기 축(X)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고리형상의저압 오일통로; 및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배치되면서 펌프 포트와 모터 포트를 상기 고압 오일통로와 상기 저압 오일통로에 선택적으로 교대로 연통시키기에 적합한 다수개의 스풀식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를 구비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저압 오일통로가 실린더 블럭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가 각각 다수개의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밸브 구멍과 제2밸브 구멍은 상기 축(X)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실린더 블럭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일통로와는 교차되며;
    제1밸브 경사판과 제2밸브 경사판이 각각 펌프 경사판과 모터 경사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실린더 블럭에 대해 상대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제1분배 밸브와 제2분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고압 오일통로와 상기 고리형상의 저압 오일통로는 일련의 펌프 실린더 보어와 일련의 모터 실린더 보어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플런저와 상기 모터 플런저는 실린더 블럭축(X)을 둘러싸는 제1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펌프 플런저와 상기 모터 플런저 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 상기 제1분배 밸브와 상기 제2분배 밸브는 상기 제1피치원과 동심축상에 있으면서 직경이 작은 제2피치원상에 교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경사판은 상기 펌프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펌프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밸브 경사판은 상기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경사판은 상기 펌프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펌프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밸브 경사판은 상기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경사판은 상기 펌프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펌프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밸브 경사판은 상기 모터 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면상에 배치되면서 모터 경사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펌프 실린더 보어의 펌프 포트는 펌프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각 모터 실린더 보어의 모터 포트는 모터 실린더 보어에 대해 실린더 블럭의 둘레방향으로 위상이 90°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2분배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KR1019980037608A 1997-09-11 1998-09-11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KR100285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85497A JP3923147B2 (ja) 1997-09-11 1997-09-11 斜板式油圧装置
JP24685697A JP3696383B2 (ja) 1997-09-11 1997-09-11 斜板式油圧装置
JP97-246855 1997-09-11
JP97-246854 1997-09-11
JP97-246856 1997-09-11
JP24685597A JP3696382B2 (ja) 1997-09-11 1997-09-11 斜板式無段変速機
JP27079097A JP3853932B2 (ja) 1997-10-03 1997-10-03 斜板式無段変速機
JP97-270790 1997-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42A true KR19990029742A (ko) 1999-04-26
KR100285255B1 KR100285255B1 (ko) 2001-04-02

Family

ID=2747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608A KR100285255B1 (ko) 1997-09-11 1998-09-11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22914A (ko)
EP (4) EP1267099B1 (ko)
KR (1) KR100285255B1 (ko)
CN (1) CN1199013C (ko)
BR (1) BR9803983A (ko)
CA (1) CA2247166C (ko)
DE (3) DE69827979T2 (ko)
ES (3) ES2193452T3 (ko)
ID (1) ID20832A (ko)
TW (1) TW4014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6704A1 (fr) * 2000-07-14 2002-01-2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Transmission hydraulique a variation continue et vehicule machine de chantier
JP3986764B2 (ja) * 2001-04-09 2007-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油圧式無段変速機
ATE410623T1 (de) * 2001-06-28 2008-10-15 Yanmar Co Ltd Hydraulische vorrichtung zur stufenlosen geschwindigkeitsänderung und kraftübertragungsvorrichtung
WO2003006849A1 (fr) * 2001-06-28 2003-01-23 Yanmar Co., Ltd. Transmission hydraulique a changement de vitesses continu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nergie
DE10145990B4 (de) * 2001-09-18 2016-02-11 Linde Hydraulics Gmbh & Co. Kg Hydrostatisches Getriebe
JP2004019836A (ja) * 2002-06-18 2004-01-22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機及び動力伝達装置
JP2004019835A (ja) * 2002-06-18 2004-01-22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機及び動力伝達装置
US7011600B2 (en) 2003-02-28 2006-03-14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247078B2 (ja) * 2003-09-09 2009-04-02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装置
PL1815165T3 (pl) 2004-10-05 2012-09-28 Fallbrook Ip Co Llc Przekładnia bezstopniowo zmienna
JP4514044B2 (ja) * 2005-02-15 2010-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油圧式無段変速機の潤滑構造
KR101327190B1 (ko) 2005-10-28 2013-11-06 폴브룩 테크놀로지즈 인크 전동 드라이브
CN101495777B (zh) 2005-11-22 2011-12-14 福博科技术公司 无级变速器
CA2632751C (en) 2005-12-09 2015-01-13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811202A1 (en) 2005-12-30 2007-07-25 Fallbrook Technologies, Inc. A continuously variable gear transmission
EP2125469A2 (en) 2007-02-01 2009-12-02 Fallbrook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and/or prime mover
CN104121345B (zh) 2007-02-12 2017-01-11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无级变速器及其方法
EP2122198B1 (en) 2007-02-16 2014-04-16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 and assembly
CN105626801B (zh) 2007-04-24 2019-05-28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电力牵引传动装置
CN103697120B (zh) 2007-07-05 2017-04-12 福博科技术公司 无级变速器
CN103939602B (zh) 2007-11-16 2016-12-07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用于变速传动装置的控制器
DK2234869T3 (da) 2007-12-21 2012-10-15 Fallbrook Technologies Inc Automatiske transmissioner og fremngangsmåder dertil
CN102112778B (zh) 2008-06-06 2013-10-16 福博科技术公司 无限式无级变速器,无级变速器,用于其的方法、组件、子组件及部件
JP5230804B2 (ja) 2008-06-23 2013-07-10 フォールブル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連続可変変速機
US8818661B2 (en) 2008-08-05 2014-08-26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and prime mover
US8469856B2 (en) 2008-08-26 2013-06-25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167759B2 (en) 2008-10-14 2012-05-01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L2419658T3 (pl) 2009-04-16 2014-02-28 Fallbrook Ip Co Llc Zespół stojana i mechanizm zmiany biegów do bezstopniowej skrzyni biegów
US8512195B2 (en) 2010-03-03 2013-08-20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methods, assemblies, sub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for
US8888643B2 (en) 2010-11-10 2014-11-18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40114065A (ko) 2012-01-23 2014-09-25 폴브룩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컴퍼니 엘엘씨 무한 가변 변속기, 연속 가변 변속기, 방법, 조립체, 서브조립체 및 그 부품
KR102433297B1 (ko) 2013-04-19 2022-08-16 폴브룩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컴퍼니 엘엘씨 무단 변속기
JP6309377B2 (ja) * 2014-07-04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ジアル・スラスト軸受のプリロード調節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無段変速機
US10400872B2 (en) 2015-03-31 2019-09-03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Balanced split sun assemblies with integrated differential mechanisms, and variators and drive trains including balanced split sun assemblies
US10738757B2 (en) * 2015-12-04 2020-08-11 Regetn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Variable displacement pump-motor
US10047861B2 (en) 2016-01-15 2018-08-14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llback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JP7137475B2 (ja) 2016-03-18 2022-09-14 フォールブル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連続可変変速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023266B2 (en) 2016-05-11 2018-07-17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and automatic calibration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and bicycles hav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11215268B2 (en) 2018-11-06 2022-01-04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synchronous shifting, twin countershaft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ame
WO2020176392A1 (en) 2019-02-26 2020-09-03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Reversible variable driv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CN115855467B (zh) * 2022-12-07 2023-08-29 浙江大学 一种具有往复式回程结构的单柱塞滑靴组件测试试验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02736B (ko) * 1971-03-18 International Harvester Co
GB1053432A (ko) *
GB1053463A (ko) * 1900-01-01
FR2520059A1 (fr) * 1982-01-15 1983-07-22 Leduc Rene Hydro Sa Pompe hydraulique a clapets de refoulement commandes
JPH0689828B2 (ja) * 1986-01-27 1994-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油圧式無段変速機
JPH0749819B2 (ja) * 1986-12-01 1995-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斜板式油圧装置の作動油分配機構
US4854125A (en) * 1987-02-20 1989-08-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drostatically operat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S63203959A (ja) * 1987-02-20 1988-08-23 Honda Motor Co Ltd 斜板式油圧装置の作動油分配装置
US5205123A (en) * 1990-09-06 1993-04-27 Dunstan Phillip E Infinitely variable differential hydrostatic transmission
JP3561348B2 (ja) * 1995-10-09 2004-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油圧式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7166C (en) 2006-05-30
EP1267098A2 (en) 2002-12-18
DE69813704D1 (de) 2003-05-28
EP0902212A3 (en) 2000-07-26
CN1213052A (zh) 1999-04-07
DE69827979D1 (de) 2005-01-05
ES2193452T3 (es) 2003-11-01
CN1199013C (zh) 2005-04-27
US6122914A (en) 2000-09-26
EP1265007A2 (en) 2002-12-11
EP1265007B1 (en) 2004-12-29
ES2230432T3 (es) 2005-05-01
EP1265007A3 (en) 2003-12-10
DE69827979T2 (de) 2005-03-31
BR9803983A (pt) 1999-12-21
EP1267099B1 (en) 2004-12-01
CA2247166A1 (en) 1999-03-11
KR100285255B1 (ko) 2001-04-02
EP0902212B1 (en) 2003-04-23
ES2229035T3 (es) 2005-04-16
DE69828455T2 (de) 2005-06-02
DE69813704T2 (de) 2003-10-16
EP1267099A2 (en) 2002-12-18
DE69828455D1 (de) 2005-02-03
EP0902212A2 (en) 1999-03-17
TW401496B (en) 2000-08-11
EP1267099A3 (en) 2003-12-10
ID20832A (id)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255B1 (ko) 경사판식 무단변속기
JP3724929B2 (ja) 斜板式油圧装置
US7975600B2 (en) Axial piston machine, recoi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oil plate
JP3853932B2 (ja) 斜板式無段変速機
JP3923147B2 (ja) 斜板式油圧装置
EP1515067B1 (en) Hydraulic stepless speed changer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0561920B1 (ko) 유압식 무단변속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JP3696382B2 (ja) 斜板式無段変速機
US7117671B2 (en) Hydraulic stepless transmission and power transmission
JP2003014111A (ja)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JP2002089655A (ja)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作業機車両の変速装置
JPH1182670A (ja) 斜板式油圧装置
JPH0726596Y2 (ja) 斜板式油圧作動装置
US6612222B2 (en)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46954B2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
JP2003014078A (ja)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JPS6128902Y2 (ko)
JPS63140173A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
JPH062647A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0743023B2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