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893U -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 Google Patents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893U
KR19990006893U KR2019970020386U KR19970020386U KR19990006893U KR 19990006893 U KR19990006893 U KR 19990006893U KR 2019970020386 U KR2019970020386 U KR 2019970020386U KR 19970020386 U KR19970020386 U KR 19970020386U KR 19990006893 U KR19990006893 U KR 19990006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mounting portion
passenger
bus
passeng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893U/ko
Publication of KR19990006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9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승객용 의자에 충격완충장치가 없음으로써, 발생하였던 승객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객용 의자(2) 저면에 상부고정부재(40)가 장착되고, 이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설치부(46)에 스프링(30)이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승객용 의자(2)에 장착된 완충장치를 버스의 바닥패널(1)에 장착하여, 버스의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스프링(30)이 흡수하여 감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승객용 의자에 완충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고, 탑승객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본 고안은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내버스에 설치되는 승객용 의자의 저부에 스프링이 삽입된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버스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상.하진동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써, 승객에게 보다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버스의 내부 좌.우측에는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용 의자가 바닥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승객용 의자는 탑승한 승객이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승차감을 즐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내버스에 설치된 승객용 의자(A)는 버스의 바닥패널(B)에 그 다리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었고, 상기 의자(A)의 다리는 의자(A) 프레임(C) 저면에 융착되어 있었던 것이며, 이러한 프레임(C)의 상면에는 승객이 착석했을 경우에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폰지(D)가 내장된 쿠션(E)이 장착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레임(C)의 수직부에는 승객이 기댈수 있도록 등받이(F)가 설치되어 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객용 의자(A)는 차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등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가 쿠션(E)에 내장된 스폰지(D)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하여, 버스가 돌출부위가 있는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 그 충격은 차체와 의자(A)의 프레임(C)을 통하여 쿠션(C)에 내장된 스폰지(D)에 전달되었고, 상기 스폰지(D)는 전달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감쇠시키지 못하고 그 충격을 승객에게 전달함으로써,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었다.
이와 같이 차체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승객에게 전달됨으로써, 착석한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는 일도 종종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에 유압댐퍼를 적용한 운전자용 의자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유압댐퍼는 구조가 복잡하였고,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승객용 의자 하나 하나에 이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승객용 의자 저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하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쇠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승객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바닥패널에 고정되는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절개부를 구비한 원통형의 하부설치부가 형성되고, 이 하부설치부 외주면 상단에 하부걸림턱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하부설치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스프링과; 버스의 승객용 의자의 저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 저면에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하부설치부가 삽입되고, 그 내주면 하단에 상기 하부걸림턱이 걸리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된 상부설치부를 구비한 상부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에 설치된 승객용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고정부재와 하부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객용 의자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패널 2 : 승객용 의자
10 : 하부고정부재 12 : 하부플랜지
14 : 절개부 16 : 하부설치부
18 : 하부걸림턱 20 : 고정부재
30 : 스프링 40 : 상부고정부재
42 : 상부플랜지 44 : 상부걸림턱
46 : 상부설치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로, 승객용 의자 저면에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객용 의자의 작동상태 단면도로, 5a는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5b는 승객용 의자에 승객이 착석하고 차체로부터 충격이 전달되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버스의 바닥패널(1)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부재(10)는 상기 바닥패널(1)에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되는 하부플랜지(12)의 상면에 절개부(14)를 구비한 원통형의 하부설치부(16)가 형성되고, 이 하부설치부(16) 외주면 상단에 하부걸림턱(18)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고정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10)와 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40)는 버스의 승객용 의자(2)의 저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42) 저면에 상부설치부(46)가 형성되는데, 이 상부설치부(46)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부걸림턱(4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에 그 하부가 삽입되는 스프링(30)의 하단은 상기 하부설치부(16) 바닥면에 장착된 고정부재(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의 승객용 의자(2)에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고정부재(10)가 버스의 바닥패널(1)에 설치되도록 그 하부에 하부플랜지(1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랜지(12) 상면에는 원통형의 하부설치부(1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설치부(16)에 다수개의 절개부(14)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 상단에는 하부걸림턱(18)을 돌설하며, 하부설치부(16)의 바닥면에는 고정부재(20)를 리벳팅 또는 볼팅하여 장착한다.
또한, 버스의 승객용 의자(2) 저면에 장착된 상부고정부재(4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상기 승객용 의자(2) 저면에 볼팅되도록 상부플랜지(42)를 형성하고, 이 상부플랜지(42) 저면에는 상부설치부(46)를 형성하되, 이 상부설치부(46) 내주면 하단에는 상부걸림턱(44)을 돌설한다.
이와 같이 각각 형성된 완충장치를 승객용 의자(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플랜지(42) 상면을 승객용 의자(2)의 저면에 밀착시킨 후에, 다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부고정부재(40)가 승객용 의자(2) 저면에 장착되면, 상기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에 스프링(30)의 하부를 삽입하되, 이 스프링(30)의 하단을 하부설치부(16)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부재(20)에 삽입시켜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스프링(30)은 견고하게 하부고정부재(10)에 고정되는 것인데, 상기 스프링(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20)를 다수개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설치부(46)의 내경 상면에 스프링(30)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원통형의 스프링(30) 가이드를 상부설치부(46) 내부, 또는 하부설치부(46) 내부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에 스프링(30)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이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를 승객용 의자(2) 저면에 고정된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설치부(46)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설치부(46)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부설치부(16)는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개부(14)가 형성된 관계로 내부로 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설치부(46)에 하부설치부(16)가 삽입될 때, 하부설치부(16)는 그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하부걸림턱(18)의 상면이 상부설치부(46)의 상부걸림턱(44) 저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절개부(14)을 중심으로 한 하부설치부(16) 양측이 내측으로 휘게 되어 상부설치부(46)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부걸림턱(18)이 상부걸림턱(44)으로부터 이탈되면 하부설치부(16)는 그 자체 탄성으로 원상태로 복원되어 하부설치부(16)는 상부설치부(4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가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설치부(46)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하부설치부(16)는 상부설치부(46)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는 상부설치부(46)의 내주면 하단에 상부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어, 이 상부걸림턱(44)과 하부걸림턱(18)이 상호 걸림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승객용 의자(2)에 상부고정부재(40)가 장착되고, 이 상부고정부재(40)의 상부설치부(46)에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설치부(16)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완충장치가 장착된 승객용 의자(2)를 버스의 바닥패널(1)에 설치하기 위하여 하부고정부재(10)의 하부플랜지(12) 저면을 상기 바닥패널(1)의 일정위치 상면에 밀착시키고, 하부플랜지(12)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가 적용된 승객용 의자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는 승객용 의자 저면에 상부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이 상부고정부재의 상부설치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의 하부설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승객용 의자에 장착된 완충장치를 버스의 바닥패널에 장착하여, 버스의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스프링이 흡수하여 감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승객용 의자에 완충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고, 탑승객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버스의 바닥패널(1)에 설치되는 승객용 의자(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에 고정되는 하부플랜지(12)의 상면에 절개부(14)를 구비한 원통형의 하부설치부(16)가 형성되고, 이 하부설치부(16) 외주면 상단에 하부걸림턱(18)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고정부재(20)가 장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설치부(16)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부재(20)에 의해 고정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승객용 의자(2)의 저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42) 저면에 상기 스프링(30)의 상부와 하부설치부(16)가 삽입되고, 그 내주면 하단에 상기 하부걸림턱(18)이 걸리는 상부걸림턱(44)이 형성된 상부설치부(46)를 구비한 상부고정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KR2019970020386U 1997-07-30 1997-07-30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KR199900068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86U KR19990006893U (ko) 1997-07-30 1997-07-30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86U KR19990006893U (ko) 1997-07-30 1997-07-30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93U true KR19990006893U (ko) 1999-02-25

Family

ID=6967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386U KR19990006893U (ko) 1997-07-30 1997-07-30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8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15Y1 (ko) * 2016-02-12 2017-05-24 이은영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15Y1 (ko) * 2016-02-12 2017-05-24 이은영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093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JP5358327B2 (ja) 車両用シート
KR19990006893U (ko)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JP6035354B2 (ja) 車両のシート支持部構造
KR10019352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200161610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61609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JPH074151U (ja) 車両用リヤシートバック
KR200161611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41595Y1 (ko) 트럭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01351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구조
KR100407275B1 (ko) 충격저감용 차량의 시트레그구조
KR200160634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취부구조
JPH04297375A (ja) 車両のフレ−ム構造
KR19980028525U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JP4154141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取付構造
KR970004344Y1 (ko) 차량의 캡마운팅용 링크레버 조립체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2001675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23044Y1 (ko) 소음기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트 쿠션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100578567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20010048723A (ko)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