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723A -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723A
KR20010048723A KR1019990053523A KR19990053523A KR20010048723A KR 20010048723 A KR20010048723 A KR 20010048723A KR 1019990053523 A KR1019990053523 A KR 1019990053523A KR 19990053523 A KR19990053523 A KR 19990053523A KR 20010048723 A KR20010048723 A KR 2001004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ock absorber
hole
flow prevent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8723A/ko
Publication of KR2001004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쇽 업소버(10)와 상기 쇽 업소버(10)에 결합되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쇽 업소버(10)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을 고정하는 마운틴 블럭(20)과 상기 쇽업소바에 설치되어 스프링(30)의 하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시트(31)와 상기 스프링시트(31) 내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32)에 있어서 상기 돌기(32)에는 홀(33)이 천공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31)에 홀(33)을 천공하여, 체결수단(34)으로 상기 홀(33)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지면의 급격한 요철이나 커브로 인한 범프와 리바운드 발생시 충격을 완화하는 쇽 업소버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여, 쇽 업소버 스프링(30) 이탈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Protuberance for protecting the movement of a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 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 지면의 요철로 인한 범프와 리바운드 또는 코너링시 발생하는 횡력에 의한 쇽 업소 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차축과 차체에 연결되어 차량 주행중 지면의 요철로 인한 충격과 소음이 승객에게 전달 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의 승차감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쇽 업소버는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쇽업소버에 결합되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쇽 업소버에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쇽업소버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마운팅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중 지면의 요철로 인한 범프와 리바운드, 또는 코너링시 발생하는 횡력에 의한 상기 스프링 부재의 유동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은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시트의 내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는 상기 스프링 시트 내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 내측에 삽입되어 차량의 완만한 범프나 리바운드로 인한 스프링부재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었으나, 급격한 범프나 리바운드, 코너링 시에는 스프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즉, 지면의 급격한 요철로 인한 범프나 리바운드 또는 급커브시에는 쇽 업소버의 스프링이 이탈되어 소음과 진동이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의 요철로 인한 차량의 급격한 범프나 리바운드, 코너링 시에 스프링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어 쇽 업소버의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 부재의 이탈을 억제하여 스프링 부재의 이탈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증가를 방지하는 리어 쇽 업소버의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인 쇽 업소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방지용 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쇽 업소버 20 - 블록 마운틴
30 - 스프링 31 - 스프링 시트
32 -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33 - 홀
34 - 체결 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소버에 결합하는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에 홀을 천공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 내측에 삽입되는 돌기에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되는 홀을 천공하여 체결 수단으로 상기 홀을 관통하여 고정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발명인 쇽 업소버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쇽 업소버 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 유동방지용 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고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쇽 업소버(10)와 상기 쇽 업소버(10)에 결합되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쇽 업소버(10)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을 고정하는 마운틴 블럭(20)과 상기 쇽 업소버(10)에 설치되어 스프링(30)의 하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시트(31)와 상기 스프링시트(31) 내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32)에 있어서 상기 돌기(32)에는 홀(33)이 천공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에 홀(33)을 천공하여, 체결수단(34)으로 상기 홀(33)을 관통하여 상기 돌기(32)를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고정 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인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32)는 상기 스프링
(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체결수단(34)을 이용하여 삽입 고정되므로서 급격한 차량의 범프나 리바운드, 코너링으로 인한 상기 스프링 (30)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돌기(32)를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상기 홀(33)을 관통하여 삽입 고정하는 체결하는 수단으로는 볼트, 스크루, 핀 등이 사용 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차량의 주행시 지면의 급격한 요철로 인한 범프와 리바운드에 의해 발생하는 쇽 업소버 스프링의 요동을 억제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다.
둘째, 쇽 업소버(10)의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스프링 (30)의 이탈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승객의 승차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정길이를 가지고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쇽 업소버(10)와;
    상기 쇽 업소버(10)에 결합되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쇽 업소버(10)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을 고정하는 마운틴 블럭(20)과;
    상기 쇽업소바에 설치되어 스프링(30)의 하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시트(31)와;
    상기 스프링시트(31) 내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3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32)에는 홀(33)이 천공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31)에 홀(33)을 천공하여, 체결수단(34)으로 상기 홀(33)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31) 내측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KR1019990053523A 1999-11-29 1999-11-29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KR20010048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23A KR20010048723A (ko) 1999-11-29 1999-11-29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23A KR20010048723A (ko) 1999-11-29 1999-11-29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23A true KR20010048723A (ko) 2001-06-15

Family

ID=1962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523A KR20010048723A (ko) 1999-11-29 1999-11-29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87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491A (ja) * 1982-07-05 1984-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固体撮像装置
KR970000640A (ko) * 1995-06-29 1997-01-21 정몽원 쇽업소버의 일체형 더스트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491A (ja) * 1982-07-05 1984-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固体撮像装置
KR970000640A (ko) * 1995-06-29 1997-01-21 정몽원 쇽업소버의 일체형 더스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8723A (ko) 쇽 업소버 스프링 유동 방지용 돌기
US20020084614A1 (en) Structure for mounting shock abosorber and spring to suspension apparatus
KR10019352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200362004Y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100756732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161609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67540Y1 (ko)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KR0183304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장착구조
KR200161610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53096Y1 (ko)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422482B1 (ko) 차량의 트레일링크 체결구조
KR200141595Y1 (ko) 트럭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20060021995A (ko) 스트러트와 너클 체결구조
KR19990006893U (ko)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8525U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19980063460U (ko) 프로팅 화물차량 캐빈 마운트
KR19990019860A (ko) 너클과 쇽 업소버의 체결구조
KR19980040293U (ko)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KR19980029768A (ko)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48806U (ko) 댐핑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