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610Y1 -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610Y1
KR200161610Y1 KR2019960052859U KR19960052859U KR200161610Y1 KR 200161610 Y1 KR200161610 Y1 KR 200161610Y1 KR 2019960052859 U KR2019960052859 U KR 2019960052859U KR 19960052859 U KR19960052859 U KR 19960052859U KR 200161610 Y1 KR200161610 Y1 KR 200161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proof member
vibration
washer
fixing mean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787U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6005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6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97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7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방진고무를 제외한 별도의 충격흡수구조가 없고 반복 진동으로 인해 방진고무가 편심져서 변형되므로 진동의 흡수성이 약해서,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바디(100)와 프레임(200)이 결합되고 진동이 흡수되도록, 바디 패널(110)에 용착된 상부 브라켓트(120)와 프레임(200)에 용착된 하부 브라켓트(210)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1방진부재(310)와, 상기 제 1방진부재(310)에 끼워지는 고정볼트(320)와, 상기 하부 브라켓트(210)의 하면 상에 결합되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단 면상에 제 2와셔(332)가 접설되고 하단 면상에 제 3와셔(334)가 접설된 제 2방진부재(330)가 구비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320)는 상단 머리부에 하단을 향해 만곡된 원판형의 탄성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고정수단(35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와셔(334)는 상면 상에 걸림보스(336)가 돌설되고 하면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350)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걸림홈(338)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바디와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되고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어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이 분리된 프레임형 자동차나 트럭과 같은 차량에서는 두 구조를 결합 고정함과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 고무 재질로 된 다수개의 바디 마운팅 방진고무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임형 자동차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10)는 바디 패널(20)의 하단에 부착된 상부 브라켓트(22)와 프레임(30)에 부착된 하부 브라켓트(32) 사이에 상부 방진고무(12)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방진고무(12)의 상하단에 제 1와셔(12a)가 끼워지며 상기 상부 방진고무(12)를 관통하여 고정볼트(14)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브라켓트(32)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볼트(14)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지며 상하단에 제 2와셔(16a)가 구비된 하부 방진고무(16)가 고정너트(18)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10)의 형상구조는 상기 상부 방진고무(12) 및 하부 방진고무(16)외에 별도의 충격흡수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바디(20)와 프레임(30) 사이에서의 불규칙적인 혼합상대운동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으며, 반복 진동으로 인하여 방진고무(12)(16)가 편심져서 변형되므로 충격이나 진동의 흡수성이 약하여 진동전달을 최소화할 수 없어서 자동차의 바디(20)와 프레임(30)의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될 수 없고,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와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되고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어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이 결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진동이 흡수되도록, 바디 패널의 하단에 용착된 상부 브라켓트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에 용착된 하부 브라켓트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하단 면상에 제 1와셔가 접설된 제 1방진부재와, 상기 제 1방진부재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단을 통하여 삽설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의 하면 상에 결합되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단 면상에 제 2와셔가 접설되고 하단 면상에 제 3와셔가 접설된 제 2방진부재가 구비된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단 머리부에 소정 외경을 갖고 하단을 향해 소정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원판형의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고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 3와셔는 상면 상에 상기 제 2방진부재의 고무층 내부로 끼워지는 소정 형상과 반경을 갖는 걸림보스가 돌설되고, 하면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걸림홈이 요입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수평방향으로 병진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수단걸림홈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이 삽설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하단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걸림편삽입홈 및, 상기 걸림편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편삽입홈의 내부에 삽설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노면으로 부터 소음 및 진동이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 1방진부재는 순간하중을 받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방진부재와 탄성부가 순간하중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제 1방진부재가 순간하중을 받아서 줄어들면 상기 제 2방진부재는 팽창되면서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게 되어 자동차의 바디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므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임형 자동차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디 110: 바디 패널
120: 상부 브라켓트 200: 프레임
210: 하부 브라켓트 300: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310: 제 1방진부재 312: 제 1와셔
320: 고정볼트 330: 제 2방진부재
332: 제 2와셔 334: 제 3와셔
336: 걸림보스 338; 고정수단걸림홈
340; 탄성부 350; 고정수단
352:걸림편 354: 걸림편삽입홈
356:탄성부재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A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100)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진동이 흡수되도록, 바디 패널(110)의 하단에 용착된 상부 브라켓트(120)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200)에 용착된 하부 브라켓트(210)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 외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하단 면상에 원판형의 제 1와셔(312)가 접설된 제 1방진부재(310)와, 상기 제 1방진부재(3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볼트(320)와, 상기 고정볼트(320)의 하단을 통하여 삽설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210)의 하면 상에 결합되며 소정 외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단 면상에 원판형의 제 2와셔(332)가 접설되고 하단 면상에 제 3와셔(334)가 접설된 제 2방진부재(330)가 구비된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320)는 상단 머리부에 소정 외경을 갖고 하단을 향해 소정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원판형의 탄성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고정수단(35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 3와셔(334)는 상면 상에 상기 제 2방진부재(330)의 고무층 내부로 끼워지는 소정 형상과 반경을 갖는 걸림보스(336)가 돌설되고 하면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350)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걸림홈(338)이 요입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50)은 수평방향으로 병진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수단걸림홈(338)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편(352)과, 상기 걸림편(352)이 삽설되도록 상기 고정볼트(320)의 하단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걸림편삽입홈(354) 및, 상기 걸림편(352)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편삽입홈(354)의 내부에 삽설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5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보스(336)는 상기 제 3와셔(334)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상부 단면 형상이 열십자 형상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6)는 일정한 탄성반발력을 갖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제 1방진부재(310)를 상부 브라켓트(120)의 하면과 하부 브라켓트(210)의 상면 사이에 협지시키고, 제 2방진부재(330)의 하단 면상에 제 3와셔(334)의 걸림보스(336)를 압입시키서 삽입한 후 상기 하부브라켓트(210)의 하면 상에 상기 제 1방진부재(310)와 동일 직선상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3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수단(350)의 걸림편(352)이 걸림편삽입홈(354) 내부에 삽입되도록 누른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320)를 삽설시키면 상기 고정볼트(320)는 상기 제 1방진부재(310)와 제 2방진부재(330)를 관통하여 삽입되다가 제 3와셔(334)의 하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352)이 탄성부재(356)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3와셔(334)의 고정수단걸림홈(338)에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바디(100)와 프레임(200)은 서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중에 노면으로 부터 소음 및 진동이 상기 프레임(200)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 1방진부재(310)는 순간하중을 받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방진부재(310)는 수축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탄성부(340)도 상기 상부 브라켓트(120)의 상면에 접촉되어 탄발되므로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1방진부재(310)가 순간하중을 받아서 줄어들면 상기 제 2방진부재(330)가 팽창하면서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2방진부재(330)는 상기 걸림편(352)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에 별도의 충격흡수구조가 형성되므로 상하 완충효과가 크고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바디와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되고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어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형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을 결합 고정함과 동시에 진동이 흡수되도록 설치되는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를 바디와 프레임의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되고 진동과 소음의 전달이 최저화 되도록 하므로써 차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바디(100)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진동이 흡수되도록, 바디 패널(110)의 하단에 용착된 상부 브라켓트(120)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200)에 용착된 하부 브라켓트(210)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하단 면상에 제 1와셔(312)가 접설된 제 1방진부재(310)와, 상기 제 1방진부재(3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볼트(320)와, 상기 고정볼트(320)의 하단을 통하여 삽설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210)의 하면 상에 결합되는 원통형 고무층의 상단 면상에 제 2와셔(332)가 접설되고 하단 면상에 제 3와셔(334)가 접설된 제 2방진부재(330)가 구비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320)는 상단 머리부에 소정 외경을 갖고 하단을 향해 소정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원판형의 탄성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고정수단(35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와셔(334)는 상면 상에 상기 제 2방진부재(330)의 고무층 내부로 끼워지는 소정 형상과 반경을 갖는 걸림보스(336)가 돌설되고, 하면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350)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걸림홈(338)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50)은 수평방향으로 병진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수단걸림홈(338)에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편(352)과; 상기 걸림편(352)이 삽설되도록 상기 고정볼트(320)의 하단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걸림편삽입홈(354) 및; 상기 걸림편(352)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편삽입홈(354)의 내부에 삽설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19960052859U 1996-12-20 1996-12-20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61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59U KR200161610Y1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59U KR200161610Y1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87U KR19980039787U (ko) 1998-09-15
KR200161610Y1 true KR200161610Y1 (ko) 1999-12-01

Family

ID=1948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859U KR200161610Y1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6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982B1 (ko) * 2017-06-16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nvh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87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1923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161610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61611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311935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현가장치
KR200161609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100578567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CN220764145U (zh) 座椅的支架总成和车辆
KR200160615Y1 (ko) 쇽업소버의 댐퍼스프링구조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0112541Y1 (ko) 스트러트 범퍼 고정용 브라켓
KR19980055003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 스프링
KR20020004148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0121031Y1 (ko) 자동차 엔진 장착구
JP2895384B2 (ja) チルトキャブトラックのキャブマウント装置
KR19990043216A (ko)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KR19980037803A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19980028525U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41595Y1 (ko) 트럭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9980044088U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 흡수장치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423312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어셈블리
KR19990006893U (ko)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