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15Y1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515Y1 KR200483515Y1 KR2020160000717U KR20160000717U KR200483515Y1 KR 200483515 Y1 KR200483515 Y1 KR 200483515Y1 KR 2020160000717 U KR2020160000717 U KR 2020160000717U KR 20160000717 U KR20160000717 U KR 20160000717U KR 200483515 Y1 KR200483515 Y1 KR 2004835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late
- elastic member
- vehicle seat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54—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쿠션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어 상기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브래킷측 볼트가 삽입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측 볼트와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면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저면에 볼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용하며, 하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측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에 체결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하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과 이를 차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주는 어퍼레일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하방향의 충격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1)의 하부가 레일(12, 13)을 통해 하부의 차체측에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시트쿠션(1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브래킷(11a)을 통해 어퍼레일(12)에 볼트체결되고, 어퍼레일(12)은 하부의 로어레일(13)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로어레일(13)은 전후단부를 통해 하부의 차체측에 고정되게 볼트체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시트(10)의 구조에 의하면,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충격은 오로지 시트쿠션(11)에 의해서만 완충되는 방식을 취하는 관계로 시트쿠션(11)의 완충기능이 떨어지거나 완충한도를 초과하는 충격량을 받는 경우에는 착석자에게 불편과 피로감을 주며, 심한 경우에는 디스크와 같은 척추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하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시트쿠션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어 상기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브래킷측 볼트가 삽입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측 볼트와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면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저면에 볼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용하며, 하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측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에 체결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상부커버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커버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시트쿠션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어 상기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 나사공을 통해 상기 브래킷측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하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 나사공을 통해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상기 어퍼레일에 체결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차량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운행중 발생하는 상하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트쿠션의 완충기능이 부족하거나 그 완충한도를 초과하는 충격량을 받는 경우에도 이를 완화시킴으로써 착석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주고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장시간 운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디스크와 같은 척추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가 도 1의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가 도 1의 차량용 시트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 상부 플레이트(22), 탄성부재(23), 하부 플레이트(24) 및 하부커버(25)를 포함한다.
상부커버(2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상부의 판면에는 제1 관통공(21a)이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22)는 상부커버(21)의 내측에 수용되며 중앙에 관통공(도 3의 22a)이 형성되며, 저면으로는 상기 관통공(22a)과 일치하도록 너트부(22b)가 형성된다.
탄성부재(23)는 상부 플레이트(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플레이트(24)는 탄성부재(2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면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23)를 지지하며 하부커버(25)의 내측에 수용된다. 하부 플레이트(24)의 저면으로는 중앙에 볼트(24a)가 돌출 형성된다.
하부커버(25)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하부의 판면에는 제2 관통공(25a)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5)의 사이에서 상부 플레이트(22), 탄성부재(23) 및 하부 플레이트(24)가 수용되며, 하부커버(25)의 제2 관통공(25a)을 통해서는 하부 플레이트(24)측 볼트(24a)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을 취한다.
하부커버(25)는 상부커버(2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커버(21) 내측에 수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4)는 각각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5)를 관통하여 시트쿠션(11)측과 어퍼레일(12)측에 체결되는바, 탄성부재(23)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23), 즉 코일스프링의 상단부(23a)가 상부 플레이트(22)의 저면에 용접결합하고 하단부(23b)가 하부 플레이트(24)의 상면에 용접결합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2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도 1에서 시트쿠션(11)측 브래킷(11a)과 어퍼레일(12)간의 볼트결합을 해제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의 제1 관통공(21a)을 통해 브래킷(11a)측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11b)가 삽입된 후 상부 플레이트(22)측 관통공(22a)에 삽입되어 상대회전함으로써 저면의 너트부(도 2의 22b)에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4)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볼트(24)는 하부커버(25)를 관통하여 하부의 어퍼레일(12)측 체결공(12a)에 삽입된 다음 너트(12b)를 통해 체결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20)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1)측 브래킷(11a)과 어퍼레일(12)의 사이에 완충부재(20)가 개재됨으로써 하부의 차체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은 일차적으로 완충부재(20)에 의해 완화된다.
그리고,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커버(25)가 상부커버(2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부커버(21)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과도한 상하충격 발생 시에도 하부커버(25)가 상부커버(21)의 내측에 포개어질 때까지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완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의 변형례로서, 상부커버(31)의 상부 판면에는 제1 돌출 나사공(31a)이 형성되고 하부커버(35)의 하부 판면에는 제2 돌출 나사공(35a)이 형성됨으로써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달리 상부 플레이트(도 2의 22)와 하부 플레이트(24)가 구비되지 않는 구성을 취한다. 이에 따라, 브래킷(도 3의 11a)측 볼트(11b)는 직접 상부커버(31)의 제1 돌출 나사공(31a)에 삽입 체결되고, 하부커버(35)의 제2 돌출 나사공(35a)으로는 별도의 볼트(도 5의 34)가 삽입 체결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3)는 타 구성요소와 직접적인 결합관계를 취하지 않아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수용하는 상부커버(31)와 하부커버(35) 사이에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부위에 굴곡부(31b, 35b)를 형성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20, 3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 차량용 시트 11: 시트쿠션
11a: 브래킷 11b: 볼트
12: 어퍼레일 13: 로어레일
20: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21: 상부커버 21a: 제1 관통공
22: 상부 플레이트 22a: 관통공
22b: 너트부 23: 탄성부재
24: 하부 플레이트 24a: 볼트
25: 하부커버 25a: 제2 관통공
31a: 제1 돌출 나사공 35a: 제2 돌출 나사공
11a: 브래킷 11b: 볼트
12: 어퍼레일 13: 로어레일
20: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21: 상부커버 21a: 제1 관통공
22: 상부 플레이트 22a: 관통공
22b: 너트부 23: 탄성부재
24: 하부 플레이트 24a: 볼트
25: 하부커버 25a: 제2 관통공
31a: 제1 돌출 나사공 35a: 제2 돌출 나사공
Claims (4)
- 시트쿠션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어 상기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브래킷측 볼트가 삽입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측 볼트와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면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저면에 볼트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커버와 함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용하며, 하부의 판면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측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에 체결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상부커버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커버 내측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0717U KR200483515Y1 (ko) | 2016-02-12 | 2016-02-12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0717U KR200483515Y1 (ko) | 2016-02-12 | 2016-02-12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515Y1 true KR200483515Y1 (ko) | 2017-05-24 |
Family
ID=5902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0717U KR200483515Y1 (ko) | 2016-02-12 | 2016-02-12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51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22405A1 (ko) * | 2017-07-25 | 2019-01-31 | 이보형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KR102594125B1 (ko) * | 2023-01-13 | 2023-10-26 | 주식회사 크로바기계 | 토크암 리본 블랜더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6893U (ko) * | 1997-07-30 | 1999-02-25 | 양재신 |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
KR19990034168A (ko) * | 1997-10-28 | 1999-05-15 | 정몽규 |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레일의 충격 흡수 구조 |
KR19990015735U (ko) * | 1997-10-18 | 1999-05-15 | 정몽규 | 자동차의 시트 요동장치 |
KR200160634Y1 (ko) * | 1995-11-30 | 1999-11-15 | 류정열 | 자동차용 시트의 취부구조 |
-
2016
- 2016-02-12 KR KR2020160000717U patent/KR20048351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0634Y1 (ko) * | 1995-11-30 | 1999-11-15 | 류정열 | 자동차용 시트의 취부구조 |
KR19990006893U (ko) * | 1997-07-30 | 1999-02-25 | 양재신 | 완충장치가 적용된 버스의 승객용 의자 |
KR19990015735U (ko) * | 1997-10-18 | 1999-05-15 | 정몽규 | 자동차의 시트 요동장치 |
KR19990034168A (ko) * | 1997-10-28 | 1999-05-15 | 정몽규 |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레일의 충격 흡수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22405A1 (ko) * | 2017-07-25 | 2019-01-31 | 이보형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KR102594125B1 (ko) * | 2023-01-13 | 2023-10-26 | 주식회사 크로바기계 | 토크암 리본 블랜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01385B2 (ja) |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 |
CN109642631B (zh) | 减振器 | |
US7513568B2 (en) | Bicycle saddle assembly | |
KR200483515Y1 (ko)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
MX2013005033A (es) | Aislador de vibracion anterior-posterior. | |
KR101884912B1 (ko) |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장치 | |
US2892482A (en) | Vehicle seat mounting units | |
JP2010132178A (ja) | 車両用シートレッグ | |
US9586607B2 (en) | Stroller with a dual spring rear suspension | |
ATE416966T1 (de) | Sitzstruktur, insbesondere für fahrrad, mit anpassbarem stossdämpfungselement zwischen der schale und der gabel | |
JP5978295B2 (ja) | 乗り物用座席 | |
KR101059296B1 (ko) | 선박용 좌석의 완충장치 | |
US3061260A (en) | Vehicle seat rebound control | |
US20160355105A1 (en) | Modular Forward and Rearward Seat Position Adjustment System, with Integral Vibration Isolation System | |
KR100934575B1 (ko) | 캠버 조절용 마운트가 형성된 쇽업쇼버 | |
KR101886351B1 (ko) |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 |
JP2010115987A (ja) | 自動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 |
KR200457380Y1 (ko) | 특수차량용 의자높이조절 및 완충장치의 완충조절판 설치구조 | |
JP6696764B2 (ja) | ベビーカー | |
US20080169163A1 (en) | Harmonic dampener | |
EP1977962B1 (en) | Bicycle saddle assembly | |
JP3192072U (ja) | ロアブラケット及びエア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 |
KR20160133858A (ko) | 리프 스프링 충격 저감 장치 | |
KR100559892B1 (ko) | 상용차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톱퍼 | |
KR200477961Y1 (ko) | 차량시트용 완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