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51B1 -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51B1
KR101886351B1 KR1020170147895A KR20170147895A KR101886351B1 KR 101886351 B1 KR101886351 B1 KR 101886351B1 KR 1020170147895 A KR1020170147895 A KR 1020170147895A KR 20170147895 A KR20170147895 A KR 20170147895A KR 101886351 B1 KR101886351 B1 KR 10188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lt
crossbar
vehicle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로
Original Assignee
김용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로 filed Critical 김용로
Priority to KR102017014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 상기 차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차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레임을 관통하는 차체 볼트; 상기 차체 볼트에 결합되는 완충구; 및 상기 완충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 볼트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는 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크로스바를 통해 차체와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기존에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Car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와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 프레임 하부에는 차체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바디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바디는 차체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프레임 마운팅 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프레임 마운팅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바디를 설치할 경우에 프레임 마운팅 볼트를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바디의 하부로부터 차체 프레임 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키는데, 이때 프레임 마운팅 볼트가 고정 결합되는 홀더 너트가 작업자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서 체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체 프레임과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바디 사이에 별도의 완충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차량의 NVH 및 충돌 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5386호(2005.05.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212호(2016.06.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크로스바를 통해 차체와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체 볼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 고정구를 통해 완충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는 차체; 상기 차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차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레임을 관통하는 차체 볼트; 상기 차체 볼트에 결합되는 완충구; 및 상기 완충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 볼트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는 차체 볼트에 결합되면서 완충구를 고정하는 크로스바 고정구; 및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고, 외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차체 볼트와 결합되고 결합공이 구비된 볼트부와 프레임과 결합되고 결합공이 구비된 프레임부 및 상기 볼트부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 또는 분리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를 구성하는 볼트부와 프레임부 및 연결부는 수평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는 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크로스바를 통해 차체와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기존에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 볼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 고정구를 통해 완충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를 구성하는 연결바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300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며,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를 구성하는 연결바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10)는 차체(20), 상기 차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30), 상기 차체(20)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레임(30)을 관통하는 차체 볼트(40), 상기 차체 볼트(40)에 결합되는 완충구(50), 상기 완충구(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 볼트(40)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프레임(30)에 고정되는 크로스바(100)를 포함한다.
즉, 본원발명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10)는 차체(20)와 프레임(30)을 차체 볼트(40)에 체결되는 완충구(50)를 통해 고정하면서도 크로스바(100)를 이중으로 고정하여 차체와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10)는 크로스바(100)를 제외한 차체(20), 프레임(30), 차체 볼트(40), 완충구(5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차량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100)를 제외한 차체(20), 프레임(30), 차체 볼트(40), 완충구(5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100)는 차체 볼트(4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 고정구(200) 및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은 프레임(30)에 고정되는 연결바(300)로 대별된다.
즉, 상기 크로스바(100)는 차체 볼트(40)에 크로스바 고정구(200)를 나선결합하고,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의 하부에 연결바(300)의 일 측을 너트 등의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하며, 반대 측은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구(400)를 통해 프레임(3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바(100)를 구성하는 크로스바 고정구(200)와 연결바(300)는 일체 또는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크로스바(100)를 구성하는 크로스바 고정구(200)와 연결바(300)는 분리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나선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외면(220)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3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는 외면(220)의 회전작동시 중앙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공(210)이 차체 볼트(40)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30)는 완충구(50)와 크로스바 고정구(200)의 사이와 크로스바 고정구(200)와 연결바(30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20)와 프레임(30) 또는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30)의 내부에는 충격 및 완충의 흡수를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완충공(2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300)는 크로스바 고정구(200)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바(300)는 크로스바 고정구(200)의 하부에 일 측이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되고, 반대 측은 프레임(30)에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400) 또는 고정바 등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00)는 차체 볼트(40)와 결합되는 볼트부(310)와 프레임(30)과 결합되는 프레임부(320) 및 상기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가 일체 또는 분리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바(300)는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 및 연결부(330)를 일체 또는 개별구성하여,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를 고정하면서도 프레임(30)에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바(300)는 도시된 도 9 내지 11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되고, 차량에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먼저, 도시된 도 9의 연결바(300)는 측면상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연결바(300)는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 및 연결부(330)가 동일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과 결합되는 프레임부(320)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의 내부에는 차체 볼트(40)의 위치에 따라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구간을 가지는 결합공(34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20)의 돌출높이와 형상은 차체(20) 또는 프레임(30)의 위치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0의 연결바(300)는 다단 절곡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연결바(300)는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 및 연결부(330)가 동일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310)와 연결부(330) 및 연결부(330)와 프레임부(320)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310)에는 차체 볼트(40)와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의 결합공(34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320)에는 두 개의 고정바와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결합공(340)에 소정구간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20)에는 고정바의 결합위치를 한정할 수 있도록 지지턱(3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320)는 두 개의 결합공(340) 및 체결구(400)를 통해 두 개의 고정바를 고정하면서도 지지턱(322)을 통해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30)의 내부에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충격 완충공(33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1의 연결바(300)는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연결바(300)는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 및 연결부(330)가 동일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30)를 기준으로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가 대칭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310)에는 차체 볼트(40)와 너트 등의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의 결합공(34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320)에는 너트 등의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의 결합공(3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30)의 내부에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충격 완충공(33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나선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외면(220)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3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크로스바 고정구(200)와,
차체 볼트(40)와 결합되는 볼트부(310)와 프레임(30)과 결합되는 프레임부(320) 및 상기 볼트부(310)와 프레임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바(300)를 다수개수 형성한다.
그리고 차체(20)의 하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차체 볼트(40)를 고정장착한 후, 상기 차체 볼트(40)와 대응하는 부분에 볼트 결합부(32)가 형성되는 프레임(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20)의 차체 볼트(40)에 프레임(30)의 볼트 결합부(32)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차체 볼트(40)에 금속과 합성수지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완충구(50)를 각각 끼움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완충구(50)가 끼움 결합된 차체 볼트(40)에 크로스바 고정구(200)를 나선 결합한 후,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200)가 장착되는 차체 볼트(40)에 볼트부(310)를 끼움 결합한 후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하고, 프레임부(320)를 체결구(400)를 통해 고정하면 크로스바(100)의 일 측 조립은 완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차체 볼트(40) 및 프레임(30)에 크로스바(100)를 결합하면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는 차체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크로스바를 통해 충격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20 : 차체 30 : 프레임
40 : 차체 볼트 50 : 완충구
100 : 크로스바 200 : 크로스바 고정구
210 : 나선 결합공 220 : 외면
230 : 완충부재 232 : 완충공
300 : 연결바 310 : 볼트부
320 : 프레임부 330 : 연결부
340 : 결합공 400 : 체결구

Claims (5)

  1. 차체;
    상기 차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차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레임을 관통하는 차체 볼트;
    상기 차체 볼트에 결합되는 완충구; 및
    상기 완충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 볼트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차체 볼트에 결합되면서 완충구를 고정하는 크로스바 고정구; 및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고정구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고, 외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차체 볼트와 결합되고 결합공이 구비된 볼트부와 프레임과 결합되고 결합공이 구비된 프레임부 및 상기 볼트부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 또는 분리형성되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를 구성하는 볼트부와 프레임부 및 연결부는 수평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20170147895A 2017-11-08 2017-11-08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88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95A KR101886351B1 (ko) 2017-11-08 2017-11-08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95A KR101886351B1 (ko) 2017-11-08 2017-11-08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351B1 true KR101886351B1 (ko) 2018-08-09

Family

ID=6325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895A KR101886351B1 (ko) 2017-11-08 2017-11-08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622A (ko) 2021-07-19 2023-01-26 김기원 피충격체의 외부충격 완충과 흡수 및 충격속도 저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69B1 (ko) * 2000-12-05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마운팅러버
KR20050045386A (ko) 2003-11-11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진동저감 구조
KR100802694B1 (ko) * 2006-08-17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동장치의 장착장치
KR101636212B1 (ko) 2015-06-26 2016-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레임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69B1 (ko) * 2000-12-05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마운팅러버
KR20050045386A (ko) 2003-11-11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진동저감 구조
KR100802694B1 (ko) * 2006-08-17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동장치의 장착장치
KR101636212B1 (ko) 2015-06-26 2016-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레임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622A (ko) 2021-07-19 2023-01-26 김기원 피충격체의 외부충격 완충과 흡수 및 충격속도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466B1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
KR101637287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US10005412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US10648526B2 (en)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US9873404B2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external panel components of a vehicle
JP2006160248A (ja) フロア衝撃移動制限装置を備える車両支持構造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US20160068057A1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KR101337963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충돌 완충 장치
KR101085819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구조
KR20130027247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US20050093310A1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2569973B1 (ko) 차량용 스티프너
KR101592115B1 (ko) 자동차용 리어 임팩트 빔 결합구조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2361144B1 (ko)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KR10132839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388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2451898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101506975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유닛
KR101021113B1 (ko) 차량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