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98B1 -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98B1
KR102451898B1 KR1020170184101A KR20170184101A KR102451898B1 KR 102451898 B1 KR102451898 B1 KR 102451898B1 KR 1020170184101 A KR1020170184101 A KR 1020170184101A KR 20170184101 A KR20170184101 A KR 20170184101A KR 102451898 B1 KR102451898 B1 KR 10245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frame
mounting unit
coupling member
rear 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506A (ko
Inventor
김현식
박지웅
신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향 절곡 성형되어 선단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 일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내측에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양 측면에 접합되는 멤버 보강판, 마주보는 양측이 관통된 외측 관재, 상기 외측 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관재, 및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멤버 보강판과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MOUNTING UNIT FOR SUB FRAME}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 충돌 시, 서브 프레임의 조기 이탈을 유도하여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브 프레임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차체의 전방 저면에 설치되어 엔진 룸에 탑재되는 엔진이나 변속기와 같은 동력전달계통의 부품 및 서스펜션 등을 지지하며, 정비 편의성, 충돌 성능 및 NVH 성능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은 전방과 후방 양측이 마운팅 유닛을 통해 양측 각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 용접 고정되는 마운팅 너트와, 상기 서브 프레임에 끼워져 상기 마운팅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정면 충돌 시, 상기 서브 프레임의 좌굴에 의한 엔진의 드롭을 유도하여 엔진이 강체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그 충돌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서브 프레임은 전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변형력에 의해, 크로스 멤버와 함께, 차실 측으로 밀려들어감으로써, 탑승자자의 다리부 상해치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후방 측의 마운팅 부를 개선하여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조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브 프레임이 차실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향 절곡 성형되어 선단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 일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내측에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양 측면에 접합되는 멤버 보강판, 마주보는 양측이 관통된 외측 관재, 상기 외측 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관재, 및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멤버 보강판과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버 보강판은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이 접촉되도록 평평한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버 보강판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관재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주면은 정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 리브는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한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내측 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너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너트는 상기 내측 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외주면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양측 선단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내측 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에 끼워져 별도의 너트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볼트헤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을 통해 끼워진 상태로, 상기 내측 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에 적용되는 마운팅부 중, 후방에 위치한 마운팅부를 개선하여 전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조기 이탈 시킴으로써, 차실 측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이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차체에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결합부재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볼트부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차체에 적용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볼트부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1)에 서브 프레임(미도시)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이때, 상기 서브 프레임은 전방과 후방 양측이 마운팅 유닛을 통해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에 각각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상기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1)에 대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구성된 전방과 후방의 마운팅부 중, 후방 마운팅부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1)의 후방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지만, 설명의 편의 상, 일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리어 로워 멤버(10), 멤버 보강판(20), 결합부재(30), 마운팅 브라켓(40), 및 볼트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상기 볼트부재는 편의 상, 본 발명의 실시 예와는 무관한 기본적인 볼트 형상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는 한장의 패널을 이용하여 길이방향 양단부를 상향 절곡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는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리어 로워 멤버(10)는 전방 선단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의 후단부 일측에 접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는 일측에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은, 이하에서 설명할, 결합부재(30)가 끼워지는 홀이다.
그리고 멤버 보강판(20)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의 내측에 접합된다.
상기 멤버 보강판(20)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와 동일하게, 한장의 패널을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다단 절곡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멤버 보강판(20)은 상기 결합부재(30)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평평한 접촉면(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면(21)은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면 형상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외측 관재(31), 내측 관재(33), 및 연결 리브(35)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30)의 형상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외측 관재(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측 관재(3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 관재(31)는 일측에 상하??항으로 절개된 절개부(3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37)는 충돌 시, 분리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이탈을 좀더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외측 관재(31)의 내부에서 정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 관재(33)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 관재(33)는 외형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관재(33)의 내주면은 정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관재(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 리브(35)는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31, 33)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부재(30)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관재(31), 내측 관재(33), 및 연결 리브(35)가 일체로 성형되어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0)는 상기 멤버 보강판(20)에 상면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멤버 보강판(20)에 대하여 용접 접합 되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멤버 보강판(20)에 대하여 용접 접합될 경우, 상기 연결 리브(35)에 대응한 상기 멤버 보강판(20)의 상면에 스폿 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멤버 보강판(2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합될 경우, 상기 연결 리브(35)의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외측 관재(31)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관재(33)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31, 33) 사이 양측에 차폭방향으로 2개씩의 연결 리브(35)가 차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외측 관재(31)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내향 곡선부(3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내측 관재(33)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31, 33) 사이 양측에 차폭방향으로 2개씩의 연결 리브(35)가 차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외측 관재(31)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주보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태로, 차폭방향의 양측면과 내측 관재(33)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 리브(35)가 차체길이방향으로 각 한 개씩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30)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성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성형방법은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의 하측에 접합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양단이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의 양측면에 접합된 상태로,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공간부(41)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41)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3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는 상기 멤버 보강판(20)의 접촉면(2)1과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면을 지지하는 안착면(4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43)은 상기 결합부재(3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부재(50)는 상기 서브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 상기 결합부재(30)의 내측 관재(33)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50)는 상기 내측 관재(33)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너트(55)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너트(55)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너트(55)는 상기 내측 관재(33)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외주면 일정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50)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너트(55)는 상기 내측 관재(22)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그 내부에 볼트부재(5)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너트(55)는 상기 내측 관재(33)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측 관재(33) 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너트(55)는 상기 볼트부재(50)를 교체할 경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볼트부재(50)는 도 5(A)와 같이, 양측 선단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재(50)는 상단부가 상기 내측 관재(33)의 나사산에 체결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에 관통 설치되어 별도의 너트(51)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5(B)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50)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볼트헤드(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재(50)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볼트헤드(53)를 통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내측 관재(33)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전방 충돌 시, 서브 프레임의 일측이 꺾이면서 후방의 마운팅 유닛에 모멘트힘 및 종방향 하중이 발생한다. 이때, 알루미늄의 취성으로 결합부재(30)가 쉽게 파단되어 상기 볼트부재(50)가 결합부재(3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리어 로워 멤버(10), 멤버 보강판(20) 및 마운팅 브라켓(40)으로부터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 프레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도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후방에 구성되는 마운팅 유닛이 파단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물 들의 드롭(drop)을 유도하여 탑승자의 상해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전방 충돌 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로부터 서브 프레임의 조기 이탈을 유도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이 대시 패널 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경량소재인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를 적용함으로써,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프론트 사이드 멤버 10: 리어 로워 멤버
11: 관통홀 20: 멤버 보강판
21: 접촉면 30: 결합부재
31: 외측 관재 31a: 내향 곡선부
33: 내측 관재 35: 연결 리브
37: 절개부 40: 마운팅 브라켓
41: 공간부 43: 안착면
50: 볼트부재 51: 너트
53: 볼트헤드 55: 보조너트

Claims (14)

  1.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향 절곡 성형되어 선단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 일측에 접합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리어 로워 멤버;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내측에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양 측면에 접합되는 멤버 보강판;
    마주보는 양측이 관통된 외측 관재, 상기 외측 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관재, 및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멤버 보강판과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측에 접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 보강판은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보강판은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이 접촉되도록 평평한 접촉면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재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주면은 정원형으로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 리브는
    상기 외측 및 내측 관재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성형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한 안착면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상기 리어 로워 멤버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장착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내측 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너트를 통해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너트는
    상기 내측 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외주면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양측 선단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내측 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에 끼워져 별도의 너트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볼트헤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체결홀을 통해 끼워진 상태로, 상기 내측 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는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20170184101A 2017-12-29 2017-12-29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245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01A KR102451898B1 (ko) 2017-12-29 2017-12-29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01A KR102451898B1 (ko) 2017-12-29 2017-12-29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06A KR20190081506A (ko) 2019-07-09
KR102451898B1 true KR102451898B1 (ko) 2022-10-06

Family

ID=6726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01A KR102451898B1 (ko) 2017-12-29 2017-12-29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0599B2 (ja) * 1994-08-08 2002-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20130043902A (ko) * 2011-10-21 2013-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101685397B1 (ko) * 2014-12-29 2016-12-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06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565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990243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5346276A (en) Bearing structure for the bodywork of a passenger car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855766B1 (ko) 엔진룸 보강유닛
US20170043810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20130056959A1 (en) Rear attachment unit for a motor vehicle
KR20170070571A (ko) 전방 차체 구조
JP4797704B2 (ja) 車体前部構造
CN109398057A (zh) 车辆
JP2017030602A (ja) 車体構造
KR102451898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16037084A (ja) インパネリインフォースの取付構造
KR101085819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구조
JP2022511705A (ja) 自動車用エネルギー吸収装置、エネルギー吸収要素およびそれに対する強化要素
KR20130027247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7230489A (ja) 車体前部構造
CN106274769B (zh) 用于车辆的保险杠支架
CN112829833B (zh) 机动车
JP4069833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の車体前部構造
JP2015193282A (ja) 車両用バンパー装置の補強部材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JP5970728B2 (ja) 自動車のfrp製キャビン
JP6686688B2 (ja) フェンダブラケット構造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