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66B1 - 엔진룸 보강유닛 - Google Patents

엔진룸 보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66B1
KR101855766B1 KR1020160052294A KR20160052294A KR101855766B1 KR 101855766 B1 KR101855766 B1 KR 101855766B1 KR 1020160052294 A KR1020160052294 A KR 1020160052294A KR 20160052294 A KR20160052294 A KR 20160052294A KR 101855766 B1 KR101855766 B1 KR 10185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unting bracket
vehicle body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084A (ko
Inventor
안병도
박태완
이강철
안용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66B1/ko
Priority to US15/228,312 priority patent/US9868471B2/en
Priority to DE102016219634.0A priority patent/DE102016219634A1/de
Priority to CN201621265784.1U priority patent/CN206317891U/zh
Publication of KR2017012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엔진룸 보강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은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브라켓;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카울에 장착되는 제2 장착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연결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연결 브라켓;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연결멤버; 및 상기 제1 연결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이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연결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룸 보강유닛{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본 발명은 엔진룸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엔진룸의 강건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여 엔진룸을 형성하는 골격 구조로서, 엔진룸의 전방을 형성하고 쿨링 모듈과 헤드 램프 등이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엔진룸의 좌우 양측부를 형성하고 현가장치가 장착됨과 더불어 차륜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프론트 펜더 에이프런 멤버, 엔진룸의 후방에 위치되어 승객실과 엔진룸을 구획짓는 대시 패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엔진룸의 하부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키고, 엔진룸에 설치되는 엔진과 트랜스 미션 뿐만 아니라 현가장치 등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엔진룸은 하부가 차체와 연결되는 반면, 상부가 차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엔진룸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취약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엔진룸의 상부에서는 차체 사이의 연결성 저하로 인해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룸의 상부에서 횡 굽힘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을 일체로 연결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하도록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은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브라켓;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카울에 장착되는 제2 장착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연결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연결 브라켓;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연결멤버; 및 상기 제1 연결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이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연결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멤버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멤버는 그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일정부분 삽입되며,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멤버의 양단은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 각각 볼팅 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멤버는 상기 카울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삽입되고, 그 상부 외주면이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의 상부 내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고, 그 하부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미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너트를 통하여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중앙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1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은 상기 제1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소켓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중앙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은 상기 제2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멤버와 상기 제2 연결멤버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멤버와 상기 제2 연결멤버는 그 재질이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의하면, 개방된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을 일체로 연결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의 연결성 및 강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횡 방향 하중에 대한 엔진룸 상부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차체로 입력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차체에 분산하여 전달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에서 횡 굽힘 비틀림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전방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전방 평면도 및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D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체(10)는 카울(cowl, 12),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fender apron upper member, 14),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16), 프런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18), 및 쇽업쇼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 19)을 포함한다.
상기 카울(12)은 자동차의 프런트 글라스(front glass)의 전방에 연결되는 패널(panel)이다. 또한, 상기 카울(12)은 대시보드(dashboard)로부터 연장되거나, 상기 대시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는 펜더 에이프런(fender apron)의 상부 멤버이다. 즉,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는 펜더(fender)의 안쪽에서 휠(wheel)과 엔진룸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펜더 에이프런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6)은 상기 차체(10) 전면의 여러 부품을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한 멤버이다. 즉,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6)은 상기 프런트 보디의 최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8)는 프런트 플로어(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대시보드의 하부에서 차체(10)의 종방향을 그 길이방향으로 하여 구비되며, 프런트 보디(front body)의 골격을 형성하는 빔(beam)이다.
그리고 상기 쇽업쇼버 하우징(19)은 쇽업쇼버(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8)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런트 보디를 구성하는 상기 차체(10)의 멤버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100)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0)의 엔진룸 상부에 장착되며, 제1 장착 브라켓(110), 제2 장착 브라켓(120), 제1 연결 브라켓(130), 제2 연결 브라켓(140), 제1 연결멤버(150), 및 제2 연결멤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10)은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6)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장착 브라켓(110)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6)에 볼트 체결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은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10)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상기 카울(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장착 브라켓(120)은 상기 카울(12)에 볼트 체결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은 상기 차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19)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은 상기 차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19)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130, 140)은 상기 차체(1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쇽업소버 하우징(19)에 볼트 체결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연결멤버(150)의 중앙은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1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연결멤버(150)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의 일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멤버(150)의 타단은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의 일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멤버(150)는 중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멤버(150)의 양단부는 상기 차체(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멤버(150)가 중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보강 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멤버(15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10)에 일정부분 삽입된다. 이러한 제1 연결멤버(150)는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멤버(150)의 양단은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에 각각 볼팅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멤버(160)는 상기 제1 연결멤버(150)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연결멤버(160)의 중앙은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멤버(160)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의 타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멤버(160)의 타단은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의 타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멤버(160)는 중앙부(162), 제1 절곡부(164), 및 제2 절곡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중앙부(162)는 상기 카울(12)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162)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판넬로 분리 구성되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삽입된다. 상기 중앙부(162)의 상부 외주면은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의 상부 내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또한, 상기 중앙부(162)의 하부 외주면은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미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162)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너트(122)를 통하여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너트(122)는 2 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파이프 너트(122)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상기 차체(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부(162)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120)에 접착제와 상기 파이프 너트(122)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곡부(164)는 상기 중앙부(16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을 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절곡부(166)는 상기 중앙부(162)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을 향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절곡부(164)와 상기 제2 절곡부(166)는 상기 차체(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는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가 CFRP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162)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제1 절곡부(164)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1 소켓(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절곡부(164)의 타단은 상기 제1 소켓(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소켓(13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에는 상기 중앙부(162)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제2 절곡부(164)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 소켓(14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2 절곡부(166)의 타단은 상기 제2 소켓(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2 소켓(14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멤버(150)와 상기 제2 연결멤버(160)는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30)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140)을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된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멤버(150)와 상기 제2 연결멤버(160)는 상기 차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엔진룸의 상부에서 상기 카울(12),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6), 및 쇽업소버 하우징(19)을 마름모형 구조로 연결하여 연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입력되는 하중의 입력점이 상기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110, 120)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130, 140)을 통해 일체화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를 통해 차체(10)의 각 구성요소로 하중을 분산하여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룸 상부에서 횡 방향 하중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켜 엔진룸 상부의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110, 120)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130, 140)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를 삽입 또는 감싸는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의 단면 형상 유지가 가능해지고,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멤버(150, 160)로 입력된 하중을 차체의 각 구성요소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100)을 적용하면, 개방된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을 일체로 연결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의 연결성 및 강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횡 방향 하중에 대한 엔진룸 상부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체(10)로 입력되는 횡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차체에 분산하여 전달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에서 횡 굽힘 비틀림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엔진룸 보강유닛
110 : 제1 장착 브라켓
120 : 제2 장착 브라켓
122 : 파이프 너트
130 : 제1 연결 브라켓
132 : 제1 소켓
140 : 제2 연결 브라켓
142 : 제2 소켓
150 : 제1 연결멤버
160 : 제2 연결멤버
162 : 중앙부
164 : 제1 절곡부
166 : 제2 절곡부

Claims (14)

  1.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브라켓;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 카울에 장착되는 제2 장착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연결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연결 브라켓;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연결멤버; 및
    상기 제1 연결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이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연결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멤버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멤버는 상기 카울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삽입되고, 그 상부 외주면이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의 상부 내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고, 그 하부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미 적용되고,
    상기 제1 연결멤버와 상기 제2 연결멤버는 그 재질이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멤버는
    그 중앙이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일정부분 삽입되며,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멤버의 양단은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 각각 볼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너트를 통하여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중앙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1 소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은
    상기 제1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1 소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중앙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 소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은
    상기 제2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멤버와 상기 제2 연결멤버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14. 삭제
KR1020160052294A 2016-04-28 2016-04-28 엔진룸 보강유닛 KR10185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94A KR101855766B1 (ko) 2016-04-28 2016-04-28 엔진룸 보강유닛
US15/228,312 US9868471B2 (en) 2016-04-28 2016-08-04 Reinforcement unit of engine room
DE102016219634.0A DE102016219634A1 (de) 2016-04-28 2016-10-10 Verstärkungseinheit eines motorraums
CN201621265784.1U CN206317891U (zh) 2016-04-28 2016-11-24 发动机室的加强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94A KR101855766B1 (ko) 2016-04-28 2016-04-28 엔진룸 보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84A KR20170123084A (ko) 2017-11-07
KR101855766B1 true KR101855766B1 (ko) 2018-05-09

Family

ID=5926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294A KR101855766B1 (ko) 2016-04-28 2016-04-28 엔진룸 보강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8471B2 (ko)
KR (1) KR101855766B1 (ko)
CN (1) CN206317891U (ko)
DE (1) DE102016219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6878B4 (de) * 2017-03-30 2024-05-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bindungsstruktur zur Anbindung eines faserverstärkten Kunststoffbauteils an ein Anbindungsbauteil und Anordnung eines faserverstärkten Kunststoffbauteils an mindestens einem Anbindungsbauteil
US10144456B1 (en) * 2017-07-20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rut-tower brace
US10703418B2 (en) * 2017-09-11 2020-07-0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Automobile front upper body stablizer
JP7056302B2 (ja) * 2018-03-27 2022-04-1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478062B1 (ko) * 2018-04-11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바
JP6973328B2 (ja) * 2018-08-22 2021-1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586934B1 (ko) * 2018-12-07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CN111391920B (zh) * 2018-12-30 2021-12-1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非承载式车体
CN111376980B (zh) * 2018-12-30 2021-12-1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
JP7221886B2 (ja) * 2020-01-17 2023-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CN112278088B (zh) * 2020-09-15 2021-09-17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发动机舱稳定杆总成及发动机舱
JP2022131228A (ja) * 2021-02-26 2022-09-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FR3142157A1 (fr) * 2022-11-21 2024-05-24 Psa Automobiles Sa Pièce de support anti-fléchissement pour une structure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426A (ja) * 2004-08-03 2006-02-16 Honda Motor Co Ltd タワー連結バ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9719A (en) * 1937-07-12 1940-02-06 Midland Steel Prod Co Automobile frame
US2311880A (en) * 1940-11-12 1943-02-23 Smith Corp A O Automobile frame
US2384096A (en) * 1940-11-14 1945-09-04 Nash Kelvinator Corp Body mount
US2883232A (en) * 1955-01-13 1959-04-21 Gen Motors Corp Vehicle construction
DE1157935B (de) * 1958-03-11 1963-11-21 Daimler Benz Ag Tragwerk eines Kraftfahrzeuges
DE1119132B (de) * 1959-08-28 1961-12-07 Daimler Benz Ag Rahmenbodenanlage fuer Kraftfahrzeuge
JPS52131318A (en) * 1976-04-23 1977-11-04 Nissan Motor Co Ltd Automotive body structure
US4240517A (en) * 1979-04-13 1980-1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train and independent suspension mounting arrangement for front-wheel-drive vehicle
KR19990019853A (ko)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차량의 엔진룸 보강부재의 장착구조
US6428046B1 (en) * 1997-10-17 2002-08-06 The Budd Company Front cradle for a vehicle
KR100333288B1 (ko) * 1999-12-28 2002-04-25 이계안 자동차의 엔진장착부 보강구조
JP3815185B2 (ja) * 2000-06-14 2006-08-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3952686B2 (ja) * 2000-10-31 2007-08-0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900048B2 (ja) * 2001-11-19 2007-04-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321573B4 (de) * 2003-05-14 2008-09-25 Daimler Ag Crashstruktur für eine Kraftwagen-Rohbaustruktur
JP4478654B2 (ja) * 2006-02-13 2010-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4233053B2 (ja) * 2006-04-27 2009-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5001608B2 (ja) * 2006-09-04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EP2048063B1 (en) * 2007-10-10 2009-10-14 HONDA MOTOR CO., Lt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8141904B2 (en) * 2008-08-21 2012-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a vehicle
JP5354154B2 (ja) * 2008-08-21 2013-11-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DE102010019992A1 (de) * 2010-05-10 2011-11-10 Volkswagen Ag Karosseriestruktur, insbesondere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WO2012077690A1 (ja) * 2010-12-06 2012-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構造体
US8365858B2 (en) * 2010-12-27 2013-02-05 Mazda Motor Corporation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US8905466B2 (en) * 2011-01-26 2014-12-09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front of vehicle body
EP2679472B1 (en) * 2011-02-23 2015-12-09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front portion of automobile body
JP5651780B2 (ja) * 2011-07-30 2015-0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IN2014CN03650A (ko) * 2011-11-15 2015-10-09 Honda Motor Co Ltd
US8876132B2 (en) * 2012-09-28 2014-1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ont end assembly for vehicle chassis
US9333825B2 (en) * 2013-03-15 2016-05-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ront suspension lower control arm attachment system
KR101996829B1 (ko) 2013-12-02 2019-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중공 폐단면을 갖는 차체 전방 강성 보강 구조
JP6264352B2 (ja) * 2015-09-29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ロアアームブラケ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426A (ja) * 2004-08-03 2006-02-16 Honda Motor Co Ltd タワー連結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3360A1 (en) 2017-11-02
CN206317891U (zh) 2017-07-11
US9868471B2 (en) 2018-01-16
KR20170123084A (ko) 2017-11-07
DE102016219634A1 (de)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766B1 (ko) 엔진룸 보강유닛
US9751565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6235628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5001608B2 (ja) 後部車体構造
JP5974475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CN104968558B (zh) 车身前部构造
US10604189B2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US9914480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2017019766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JP587067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KR101765637B1 (ko) Cfrp를 이용한 차체구조
JP4923406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4910882B2 (ja) サスクロスメンバ取付け構造
JP2013203242A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JP2017001621A (ja) 車両前部構造
KR101352808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5215917B2 (ja) 車体下部構造
KR102335348B1 (ko) 엔진룸 보강유닛
JP6384562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CN205801245U (zh) 减震器安装支架、后悬安装总成和后悬安装结构
JP4581621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13100108A (ja) 車体下部構造
JP6079752B2 (ja)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KR102371243B1 (ko) 후방 차체 보강 구조
US11787474B2 (en) Vehicle suspension tow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