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42Y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42Y1
KR200167542Y1 KR2019950052653U KR19950052653U KR200167542Y1 KR 200167542 Y1 KR200167542 Y1 KR 200167542Y1 KR 2019950052653 U KR2019950052653 U KR 2019950052653U KR 19950052653 U KR19950052653 U KR 19950052653U KR 200167542 Y1 KR200167542 Y1 KR 200167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ounting
boot
sea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568U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52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42Y1/ko
Publication of KR970028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60G2202/312The spring being a 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60G2204/4104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in a shell for being loaded mainly in axial direction, e.g. piston rod mounts, longitudinal push-pull rod 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러버부트와 러버시트를 일체화시킨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현가 장치 조립방식에서는 러버마운팅(5)에 조립되는 부품이 러버부트(7), 댐퍼스토퍼(8), 러버시트(6)등이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고, 특히 러버부트(7)가 러버 마운팅(5) 저면에 밀착체결되기 위해서는 러버마운팅(5) 저면 형상대로 일치되게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 댐퍼 스토퍼(8)도 그 조립상부가 동일형상으로 제작되고 조립되어야만 현가장치의 작동이 원활해지게 되고 작동중 소음이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품을 각각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은 조립공정이 늘어나는 단점 이외에도 작업성이 복잡하고 부품가격이 상승되며, 그 만큼 고장이 많은 폐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간단히 제작하여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키게 되며 작업성향상과 코스트 다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댐퍼스토퍼(8)가 끼워진 댐퍼(11)를 러버마운팅(5)에 직접 결합시키고, 러버부트(7) 상부에 러버시트(6)가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제작하며, 상기 러버시트(6)는 코일스프링(9)상부가 접촉되는 러버마운팅(5)에 결합되게 구성시키며, 특히, 하부쉬트(13)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안착부(14)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 경우 안착부(14)는 하부쉬트(13)내에 충만되어지므로 제4도와 같이 러버시트(6)가 단순히 코일스프링(9)과 하부쉬트(13) 사이에만 끼워져 지지되는데 따른 취약성을 보강시켜주고, 결국 러버부트(7)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러버부트가 러버시트와 일체로 성형되어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러버부트를 댐퍼에 조립하고 댐퍼스토퍼와 함께 체결시키던 조립상의 번거로움과 복잡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러버부트의 상부를 연장하여 안착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장착후의 작동중에 생길 수도 있는 러버시트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러버 시트가 마모에 의해 분리되더라도 안착부가 하부쉬트에 끼워져 있어서 이탈방지기능을 겸하게 한 것은 본 고안의 실용성을 배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제1도는 현가장치의 구성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종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현가장치부품이 결합된 구성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러버부트에 대한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와 다른 예의 러버부트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의 러버부트가 설치된 현가장치의 구성도면.
제7도는 제5도의 러버부트가 설치된 현가장치의 구성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너트
3 : 와셔 4 : 쉬트
5 : 러버마운팅 6 : 러버시트
7 : 러버부트 8 : 댐퍼 스토퍼
9 : 코일스프링 10 : 러버시트
11 : 댐퍼 12 : 지지브라켓
13 : 하부쉬트 14 : 안착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러버부트와 러버시트를 일체화 시킨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구이다.
이를 위해 현가장치는 그 구조상 일체 차축현가 장치와 독립현가 장치로 구분되며, 본 고안은 이중에서 독립현가 장치를 그 대상으로 하며, 특히 프런트 현가 장치를 그 안출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의 예로써 보편화된 것이 제1도와 같은 이른바 맥퍼슨식 현가장치(이하 “현가 장치”로 약칭함)로, 그 구성은 조향너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쇽업소버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러트 및 보올 이음 콘트롤 아암 및 보올 이음 콘트롤 아암, 그리고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한 분리 도면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캡, 2는 너트, 3은 와셔, 4는 쉬트, 5는 러버마운팅, 6은 러버시트, 7은 러버부트, 8은 댐퍼 스토퍼, 9는 코일스프링, 10은 러버시트, 11은 댐퍼, 12는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며, 이들이 조립된 후 확대단면도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현가 장치는 지지브라켓(12)에 지지되는 것이며, 지지브라켓(12)에는 러버마운팅(5)이 볼트로 체결되고, 이 러버마운팅(5)중심에 체결되는 댐퍼(11)가 러버부트(7) 및 댐퍼 스토퍼(8)와 더불어 결합되며, 러버마운팅 하부쉬트(13)에는 러버시트(6)를 매개로 코일 스프링(9)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조립할때에는 러버마운팅(5) 하부에서 상부로 러버부트(7)를 끼우고, 댐퍼 스토퍼(8)가 끼워진 댐퍼(11)를 러버마운팅(5) 상부 중심에서 너트(2)로 체결하게 되며, 그 다음으로 러버시트(6)를 러버마운팅(5) 저면에 댄상태로 코일스프링(9)을 결합하며, 상부에는 캡(1)을 씌워 이물질 혼입을 방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현가 장치 조립방식에서는 러버마운팅(5)에 조립되는 부품이 러버부트(7), 댐퍼스토퍼(8), 러버시트(6)등이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고, 특히 러버부트(7)가 러버 마운팅(5) 저면에 밀착체결되기 위해서는 러버마운팅(5) 저면 형상대로 일치되게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 댐퍼 스토퍼(8)도 그 조립상부가 동일형상으로 제작되고 조립되어야만 현가장치의 작동이 원활해지게 되고 작동중 소음이 없게 된다.
특히, 러버부트(7)는 어딘가에 지지되어야 하므로 댐퍼(11)에 함께 체결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품을 각각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은 조립공정이 늘어나는 단점 이외에도 작업성이 복잡하고 부품가격이 상승되며, 그 만큼 고장이 많은 폐단이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밀착결합되는 부품의 정밀성이 확보되어야만 작동중에 소음이 없게되며 작동상태도 원활하여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되나, 재질이 다른 여러부품이 조합되면서 상대적인 부품끼리의 열변형이나 마모정도가 다르게 되어 현가 장치의 유지보수에 여러 낭비요소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간단히 제작하여 조립공정도 단순화시키게 되며 작업성향상과 코스트 다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와 작동상 변형이 불가능한 러버마운팅과 댐퍼는 그대로 두고, 러버부트와 러버시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일화시키되, 그 기능은 종래와 같거나 증진되어 여러부품이 조립되므로써 유발되는 각종폐단을 제거시킨 것이다.
즉, 러버부트와 러버시크는 같은 재질인 점에 착안하여 이들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러버마운팅의 하부 형상에 꼭 맞도록 제작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러버부트는 러버시트가 지지되는 기왕의 위치를 활용하여 별도의 지지부분이 없이도 러버부트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러버부트가 장착되는 러버 마운팅의 하부구조와 동일형상으로 맞출필요도 없을 뿐만아니라 댐퍼 스토퍼도 러버부트를 지지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댐퍼의 최대압축범위를 제한하는 기능만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본 고안의 실시예 1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댐퍼스토퍼(8)가 끼워진 댐퍼(11)를 러버마운팅(5)에 직접 결합시키고, 러버부트(7)상부에 러버시트(6)가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제작하며, 상기 러버시트(6)는 코일스프링(9)상부가 접촉되는 러버마운팅(5)에 결합되게 구성된 자동차의 현가장치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구성하는 러버부트(7)의 구성도면이다.
여기서, 러버부트(7)는 러버시트(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러버부트(7) 상부에 러버시트(6)를 형성시킨 표현이 적절하다.
또한, 러버시트(6)는 러버마운팅(5)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9)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는 종래와 동일하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러버부트(7)에 대한 실시예 2를 보이고 있다.
이 구성은 제4도와 같은 러버부트이어도 현가 장치의 기능을 발휘하는데는 지장이 없으나, 러버마운팅(5)의 하부쉬트(13)형상이 변형되거나 신축성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하부쉬트(13)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안착부(14)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 경우 안착부(14)는 하부쉬트(13)내에 충만되어 지므로 제4도와 같이 러버시트(6)가 단순히 코일스프링(9)과 하부쉬트(13)사이에만 끼워져 지지되는데 따른 취약성을 보강시켜주고, 결국 러버부트(7)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이루는 러버부트(5)가 설치된 구성을 그린 도면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제4도의 러버부트(7)를 장착한 경우이며, 이 경우 러버부트(7)는 러버시트(6)가 러버마운팅(5)의 하부쉬트(13)와 코일스프링(9)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힘으로 조립되는 것이며, 제7도는 제5도의 러버부트(7)를 조립한 현가장치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안착부(14)는 하부쉬트(13)내의 공간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코일스프링(9)의 유동에도 이탈되거나 마모에 의해 이탈되는 경우에 이를 방지하는 보조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이 적용된 현가장치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을 적용시키므로써 댐퍼스토퍼(8)가 댐퍼(11)의 완충기능만을 담당하게 되며, 러버마운팅(5)의 하부구조에 맞게 설계되지 않더라도 러버재질의 특성상 신축이 되므로 정밀하게 제작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러버부트(7)가 러버시트(10)와 일체로 성형되어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러버부트(7)를 댐퍼(11)에 조립하고 댐퍼스토퍼(8)와 함께 체결시키던 조립상의 번거로움과 복잡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러버부트(7)의 상부를 연장하여 안착부(14)를 형성시킴에 따라 장착후의 작동중에 생길 수도 있는 러버시트(6)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러버 시트(6)가 마모에 의해 분리되더라도 안착부(14)가 하부쉬트(13)에 끼워져 있어서 이탈방지기능을 겸하게 한 것은 본 고안의 실용성을 배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댐퍼스토퍼(8)가 끼워진 댐퍼(11)를 러버마운팅(5)에 직접 결합시키고, 러버부트(7)와 러버시트(6)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며, 상기 러버부트(7)는 러버시트(6)와 더불어 안착부(1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러버부트(7)는 그 상부에 러버시트(6)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러버시트(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러버시트(6)는 코일스프링(9)의 상부가 접촉되는 러버마운팅(5)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14)는 러버마운팅(5)의 하부쉬트(13)에 밀착되도록 끼워짐으로써 러버부트(7)가 하부쉬트(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9950052653U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67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53U KR200167542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53U KR200167542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568U KR970028568U (ko) 1997-07-24
KR200167542Y1 true KR200167542Y1 (ko) 2000-03-02

Family

ID=1944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653U KR200167542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568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114B1 (en) Composite stabilizer bar link
US5192100A (en) Independent suspension with double isolated suspension unit
KR2001675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3983942B2 (ja) チルト式キャブの締結装置
JP2002120535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KR0126352Y1 (ko)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의 개선된 상부장착 구조
JPH09119474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の車体取付部構造
US20040080086A1 (en) Resilient bushing mount for a vehicle suspension
JP4716556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における油圧緩衝器の取付け構造
JP3865168B2 (ja) ストラット取付構造
JP2000074126A (ja) バンパーラバー
JPH0238120A (ja) 車両懸架装置
KR200185454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어셈블리
KR0183304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장착구조
JPS646324Y2 (ko)
KR0157831B1 (ko) 서스펜션 서포터의 댐퍼 이탈 및 회전방지구조
KR19980020410A (ko) 프론트 쇽업소버
KR100488598B1 (ko) 텐션로드를 구비한 차량의 서스펜션
JPH0139202Y2 (ko)
KR0125067Y1 (ko)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KR0177488B1 (ko) 쇽 압소버 로드 회전방지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0126349Y1 (ko)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의 개선된 상부 장착구조
JP2003028230A (ja) 油圧緩衝器のナックル取付構造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