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52A -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52A
KR19980064652A KR1019970073874A KR19970073874A KR19980064652A KR 19980064652 A KR19980064652 A KR 19980064652A KR 1019970073874 A KR1019970073874 A KR 1019970073874A KR 19970073874 A KR19970073874 A KR 19970073874A KR 19980064652 A KR19980064652 A KR 1998006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serial bus
data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037B1 (ko
Inventor
요시오 오사카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6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2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in a remote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uning resonant circuits and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23Remote control device with display show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서 송신된 예컨대 DVD(24)의 재생을 지시하는 리모콘 신호는 디지털 TV(21)에 의해 해독되고 IEEE-1394 직렬 버스(26)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후, DVD(24)에 전송된다. DVD(24)는 수신한 리모콘 신호에 대한 응답을 디지털 TV(21)에 반송하는 동시에 재생 동작을 개시한다. 재생된 신호는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TV(21)에 공급된다. 디지털 TV(21)는 DVD(24)에서의 응답에 대응하는 신호를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송신하는 동시에 재생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을 적용한 AV 시스템의 1 실시예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아이소크로너스의 데이터와 비동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디지털 TV(21)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write request for data block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write request for data quadlet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FCP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리모트 커맨더에서 기기에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기기에서 리모트 커맨더에 반송되는 리모콘 신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디지털 TV의 화면에 표시된 리모트 커맨더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리모트 커맨더의 LCD 화면에 표시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키를 써서 선택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디지털 TV(21)의 화면에 표시된 리모트 커맨더(51)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리모트 커맨더에 설치된 화살표 키를 써서 선택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리모트 커맨더를 써서 기기를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1개의 리모트 커맨더를 써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지 3, 11 : 리모트 커맨더6 : LD 플레이어
21 : 디지털 TV22 : IRD
23 : DVCR24 : DVD
25 : 디지털 캠코더26 : IEEE-1394 직렬 버스
27 :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31 :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
32 : 키입력부
33 : CPU(응답수단, 제 1 의 제어수단, 제 2 의 제어수단)
34 : 디스플레이35 : 디코더
36 : LINK-IC(변환수단)
37 : PHY-IC(전송수단, 수신수단, 리모콘 데이터 수신수단, 응답 수신수단)
41 : 리모트 커맨더42 : LCD(표시수단)
43 : 조작 키(선택수단)
44, 54 : 송수신부(수신수단, 제어 커맨드 송신수단)
51 : 리모트 커맨더52A 내지 52D : 화살표 키
53 : 확인 키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예컨대, 리모콘 신호를 양방향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간에서 리모콘 신호의 전송을 행하게 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래, 적외선 등에 의해서 커맨드를 송신하는 리모트 커맨더(이하, 적의(適宜) 리모콘이라 함)를 써서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일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도 11은 복수의 기기를 리모트 커맨더를 써서 제어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선 텔레비젼 수상기(TV)(4)는 그것에 부속하고 있는 리모콘(1)을 써서 조작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5)는 그것에 부속하고 있는 리모콘(1)을 써서 조작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15)는 그것에 부속하고 있는 리모콘(2)을 써서 조작된다. 또, LD 플레이어(6)는 그것에 부속하고 있는 리모콘(3)을 써서 조작된다.
이와 같이, 각 기기를 리모콘 조작하는 경우, 각 기기에 부속하고 있는 리모콘을 쓰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 영상 음향기기나 에어콘 등의 가정용 전자제품의 대부분의 경우, 리모콘을 부속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가정내에 많은 리모콘이 범람하게 된다. 그 결과 조작하려는 기기에 부속하고 있던 것과는 다른 리모콘을 써서 기기를 조작하는 등으로 해서 기기가 오동작하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12에 도시하듯이 1개의 리모콘(11)에 복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하고 이용자가 지정한 기기에 그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게 할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리모콘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오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1개의 리모콘으로 복수의 기기에 대응한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한 경우에도 조작 대상인 기기(이 예에선 TV(4), VCR(5), 및 LD 플레이어(6)가 리모콘(11)에서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 되며, 예컨대, 소정의 방에서 다른 방에 있는 기기를 리모콘 조작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예컨대 이용자가 리모콘(11)을 써서 VCR(5)을 조작한 경우, VCR(5)가 이용자가 리모콘 조작을 지령한 동작을 바르게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경우, VCR(5)의 표시부를 보거나 실제로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번잡한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복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콘을 써서 각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기기의 설치 장소에 관한 제한을 완화하는 동시에, 리모콘을 써서 각 기기에 지령한 동작을 그 기기가 실제로 행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리모콘 신호가 그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방법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리모콘 신호가 그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그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은,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간에서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신된 리모콘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이며, 각 기기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과, 리모콘 신호가 그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리모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이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리모콘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다른 소정의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그 다른 기기로부터의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과, 이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직렬 버스를 거쳐서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응답 수단과, 상기 다른 기기의 응답 수단에 의해서 직렬 버스를 거쳐서 전송된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수단과, 상기 응답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발생하고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송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수단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변환 수단은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전송 수단은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통해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기는 변환 수단이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리모콘 데이터로 변환하며, 전송 수단이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리모콘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다른 소정의 기기에 전송하며,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이 다른 기기로부터의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응답 수단이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데이터에 대한 반응율을 직렬 버스를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응답 수신 수단이 다른 기기의 응답 수단에 의해서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 응답을 수신하고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이 응답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발생하고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송신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그전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각 수단과 이하의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각 수단 뒤의 괄호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단, 1 예)를 부가하고 본 발명의 특징을 기술하면 다음같이 된다.
즉, 제 1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예컨대 도 3)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 31)과 리모콘 신호가 자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예컨대 도 3)의 LINK-IC 36)과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예컨대, 도 3 의 PHY-IC 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는 비동기 패킷을 수신한 기기의 소정의 것에서 반송된 비동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예컨대, 도 3의 PHY-IC37)과 반송된 비동기 패킷을 리모콘 신호로 변환하고 발생하는 발신 수단(예컨대, 도 3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 3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은 각 기기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예컨대, 도 3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와,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리모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예컨대, 도 3의 LINK-IC(36))와,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리모콘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거쳐서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다른 소정의 것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예컨대, 도 3의 PHY-IC(37))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예컨대 도 3의 PHY-IC(37))과,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직렬 버스를 거쳐서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응답 수단(예컨대 도 3의 CPU(33))과, 다른 기기의 응답 수단에 의해서 직렬 버스를 거쳐서 전달된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수단(예컨대 도 3의 PHY-IC(37))과, 응답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발생하고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송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예컨대 도 3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제 7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은 리모콘 신호 발생기는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예컨대 도 9의 송수신부(44), 도 10의 송수신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기기는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모드를 가지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의 개수를 제한하는 제 1의 제한수단(예컨대 도 3의 CPU(33))과, 리모콘 신호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기의 수를 제한하는 제 2의 제한수단(예컨대 도 3의 CPU(33))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은 리모콘 신호 발생기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심볼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예컨대 도 9의 LCD(42))와, 표시수단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예컨대 도 9의 조작키(43))과,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심볼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커맨드 송신수단(예컨대, 도 9의 송수신부(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러한 기재는 각 수단을 그 기재된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을 적용한 AV(Audio Visual) 시스템의 1 실시예의 형태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TV(21), 종합 수신기/디코더(IRD : integrated receiver-decoder)(22), DVCR(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3), DVD(디지털 버서 타이틀 디스크), 디지털 캠코더(25)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1394 고성능 직렬 버스(이하 IEEE-1394 직렬 버스라고 한다)(26)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는 소정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디지털 TV(21) 등에서 송신된 제어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모콘 신호 수신 회로를 내장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지털 TV(21)에 소정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 디지털 TV(21)은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다. 디지털 TV(21)는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로부터의 리모트 신호를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소위 IEEE로 규정되고 있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IEEE-1394 직렬 버스의 데이터 전송엔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비동기 모드)와, 버스의 사이클 마스크가 되며 기기가 발생하는 8KHz(125㎲)의 아이소크로너스 사이클(이하, 사이클이라고 한다)에 동기하는 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아이소크로너스 모드)가 있다.
비동기 모드는 일반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이 아닌 모드로 전송하거나 기기의 제어 신호나 제어 커맨드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한편, 아이소크로너스 모드는 동화상의 데이터, 및 음악이나 악기 연주 등의 오디오 데이터 등 같이 실시간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도 2는 신호 스트림을 아이소크로너스 모드로 제어 커맨드를 비동기 모드로 다중해서 IEEE-1394 직렬 버스를 거쳐서 전송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신호 스트림 A은 IEEE-1394 직렬 버스상의 아이소크로너스 모드로 패킷(PAa, PAb, PAc, PAd, PAe)로서 전송된다. 또, 커맨드 C의 패킷(C1, C2)은 IEEE-1394 직렬 버스상의 비동기 모드로 패킷(PCa, PCb)로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신호 스트림 B은 IEEE-1394 직렬 버스상에서의 아이소크로너스 모드로 패킷(PBa, PBb, PBc)으로서 전송된다. 또, 커맨드 D의 패킷(D1, D2)는 IEEE-1394 직렬 버스상의 비동기 모드로 패킷(PDa, PDb)으로서 전송된다. 아이소크로너스 모드에서 각 패킷은 IEEE-1394 직렬 버스상에서 125㎲의 사이클로 전송된다. IEEE-1394 직렬 버스의 전송 속도는 100Mbps(메가비트/초), 300Mbps, 및 400Mpbs(26)가 가능하다.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각 기기는 고속으로 영상이나 음성, 및 제어 커맨드를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IEEE-1394 직렬 버스의 전송 거리는 기기간이 현 상황에선 4, 5 미터인데, 100 미터 이상의 장거리에 대한 검토도 행해지고 있다.
도 1은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서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에서 후술하듯이,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상대방의 기기를 도시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디지털 캠코더(25)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있는 경우,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TV(21)는 그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IEEE-1394 직렬 버스(26)의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하고 IEEE-1394 직렬 버스(29)를 거쳐서 디지털 캠코더(25)에 전송한다.
디지털 캠코더(25)는 디지털 TV(21)에서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비동기 패킷으로 전달된 제어 커맨드를 받고, 그 받은 제어 커맨드에 대한 응답(응답)을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TV(21)에 반송한다.
디지털 캠코더(25)로부터 응답을 받은 디지털 TV(21)는 받은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반송한다.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는 디지털 TV(21)에서 반송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캠코더(25)로부터의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LCD 등의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다음에 디지털 TV(21)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디지털 TV(21)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는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서의 소정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게 되어 있다.
키 입력부(32)는 키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CPU(33)는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에서의 제어 커맨드, 및 키 입력부(32)에서의 제어 커맨드를 LINK-IC(36)에 공급하거나 LINK-IC(36)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제어 커맨드로 변환하고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LINK-IC(36)의 아이소크로너스부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 스트림을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입력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디지털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되어 있다. 디코더(35)는 LINK-IC(36)의 아이소크로너스부로 부터 공급된 디지털 신호 스트림을 영상이나 음성의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하게 되어 있다.
PHY-IC(37)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프로토콜을 따라서 IEEE-1394 직렬 버스(26)와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고 LINK-IC(36)의 아이소크로너스부에서 공급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IEEE-1394 직렬 버스(26)에 송출하거나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공급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LINK-IC(36)의 아이소크로너스부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LINK-IC(36)의 비동기부는 CPU(33)에서 공급된 제어 커맨드를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PHY-IC(37)에서 공급된 비동기 패킷을 디지털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키 입력부(32)가 조작되고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문자열이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의 내장하는 수신부에 입력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는 CPU(33)에서 해독된다. 그리고 해독된 제어 커맨드는 그 내용에 따라서 디스플레이(34)에 공급되며 대응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지시한 제어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처로서 도 1의 IEEE-1394 직렬 버스(26)에 접속되고 있는 디지털 캠코더(25)를 지정하고 재생의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경우, CPU(34)는 이 제어 커맨드를 IEEE-1394 직렬 버스(26)의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Destination-ID에 디지털 캠코더(25)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LINK-IC(36)의 비동기부는 이 데이터를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하고 PHY-IC37에서 IEEE-1394 직렬 버스(26)상에 전달한다. 디지털 캠코더(25)는 필요에 따라서 제어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으로 디지털 TV(21)에 반송한다.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반송된 디지털 캠코더(25)로부터의 응답에 대응하는 비동기 패킷은 PHY-IC(37)를 거쳐서 LINK-IC(36)의 비동기부에 입력되고 디지털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된 후, CPU(33)에 공급된다. CPU(33)는 디지털 신호 스트림을 디지털 캠코더(25)의 응답에 대응하는 정보로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거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를 거쳐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반송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34)에 공급하고 대응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디지털 캠코더(25)가 제어 커맨드를 정상적으로 받았는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재생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받은 디지털 캠코더(25)는 재생 처리를 개시하고, 재생된 디지털의 영상 음성 신호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TV(21)에 전송한다.
디지털 캠코더(25)에서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TV(21)에 전송된 재생된 영상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은 PHY-IC(37)을 거쳐서 LINK-IC(36)의 아이소크로너스부에 공급되며 디지털의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코더(35)에 공급되고 화상이나 음성 신호를 압축하는 방식, 예컨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나 DVCR의 SD(Super Density)포맷 등의 방식에 대응한 디코드 처리가 행해지며 압축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신장되고 원래의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원래의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34)에 공급되어 표시된다. 또, 음성 신호는 도시생략된 스피커 등에 공급되어 출력된다.
이같이 해서 디지털 TV(21)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리모콘 신호를 IEEE-1394 직렬 버스(26)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디지털 캠코더(25)와 디지털 TV(21)가 다른 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이용자는 디지털 TV(21)이 있는 방에서 디지털 캠코더(25)를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를 써서 제어할 수 있다. 또, 디지털 TV(21)은 수신한 리모콘 신호가 자기 자신에 대한 것일 때, CPU(33)의 제어에 의해서 리모콘 신호에 따른 처리, 예컨대 채널의 전환이나 음량 조절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가정내에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는 많다. 도 1의 예에서도 복수의 기기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IEEE-1394 직렬 버스(26)상에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버스가 폭주하고 오제어와 응답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된다. 그래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 후, 그 리모콘 신호를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의 포맷으로 변환해서 IEEE-1394 직렬 버스(26)상에 전달하는 것이 허용되는 기기의 개수를 제한하게 된다. 이것은 각 기기에 구비된 CPU가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기기에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반송하면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는 그것들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IEEE-1394 직렬 버스(26)상에 응답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는 기기의 개수를 제한한다. 이 처리도 각 기기에 구비된 CPU가 행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버스의 폭주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리모콘 신호를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패킷에 얻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펑션 콘트롤 프로토콜(FCP)에 의해서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하는 기기를 콘트롤 한다. FCP를 비동기 패킷에 의해서 제어 커맨드 응답을 전송한다.
도 4는 L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모드의 Write request for data block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Write request for data quadlet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Destination_ID에는 패킷을 송신하는 곳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TL(transaction label)엔 복수의 트랜잭션이 발생했을 때 그것들을 구별하기 위한 레이블이 세트된다. Rt(retry code)에는 트랜잭션의 발행에서 실패했을 때 리트라이의 방법을 나타내는 코드가 세트된다. tcode에는 트랜잭션의 종류가 세트된다. Pri(Priority)에는 트랜잭션의 프라이오리티가 세트된다. Destination_offset 에는 후술하는 FCP 프레임에 대응하는 레지스터의 번지가 세트된다. 또, Data_length 에는 데이터 길이가 세트되며, Extended_Code 에는 확장된 tcode 가 세트된다. 또한, Header_CRC(Cyclic Redundancy check ; 순회 용장부호)에는 헤더부의 오류 정정 제어를 행하기 위한 순회 용장 부호가 세트된다.
도 5에 있어선 도 4의 패킷의 헤더부에 있어서의 tcode가 0000 으로 되며 Data_length 와 Extended_tcode 의 부분에 Quadlet_data 가 FCP 프레임으로서 세트된다. tcode 가 0000 의 경우 Extended_tcode 는 불필요하게 된다. 기타의 부분은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2 종류의 패킷의 페이로드를 FCP 프레임이라 부른다. FCP 프레임의 길이가 4 바이트일 때 도 5에 도시한 것 같은 Write request for data quadlet 패킷이 사용된다. Source_ID는 송신후의 어드레스, Destination_ID는 수신후의 어드레스이다. 예컨대 도 1에 있어서 디지털 TV(21)에서 디지털 캠코더(25)에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모드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TV(21)의 어드레스(made_ID)를 source_ID에 또 디지털 캠코더(25)의 어드레스를 Destination_ID 에 지정한다.
도 4에 있어서 FCP 프레임내의 Zero pad bytes 는 FCP 프레임의 데이터 길이가 4 바이트의 정수배로 되게 삽입되는 더미 데이터이다. Data CRC 에는 FCP 프레임의 오류 정정 제어를 행하기 위한 순회 용장 부호가 세트된다.
도 6은 IEEE-1394 직렬 버스의 비동기 데이터 모터 모드의 FCP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CP 프레임의 선두의 4 비트는 커맨드 트랜잭션 세트(CTS : command transaction set)이며 AV/C(Audio Visual/control) 기기용으로서 CTS=0000b(이하, b는 b의 앞의 숫자가 2 진수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0000 는 2 진수임)를 할당한다.
CTS의 다음의 4 비트(CT(Command Type)/RC(Response code)는 Command type(이하, ctype라 함)이다. ctype는 커맨드와 응답의 종류를 표시하고 있으며 4 비트중의 MSB 가 0 인 경우, 그 FCP 프레임이 커맨드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며 ctype의 4 비트중의 MSB 가 1 인 경우, 응답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ctype는 다음과 같이 할당된다.
0000b = CONTROL
0001b = STATUS
0010b = INQUIERY
0011b = NOTIFY
1000b = NOT IMPLEMENTED
1001b = ACCEPTED
1010b = REJECTED
1011b = IN TRANSITION
1100b = IMPLEMENTED/STABLE
1101b = CHANGED
계속하는 5 비트의 subunit_type는, 다음과 같이 할당된다.
00000b = Video monitor
00100b = VCR
00101b = TV tuner
00111b = Video camera
subunit_type 의 5 비트가 모두 1 인 경우, 계속하는 8 비트는 확정 subunit를 나타낸다.
다음의 3 비트의 subunit_number 는 예컨대 더블 카세트 덱 같이 1 대의 기기에 동일한 서브유니트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 2 개의 덱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8 비트의 OPC(오페코드)는 다음같이 할당된다. 여기에서 h 는 그 앞의 숫자가 16 진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00h 내지 0Fh : 유니트와 서브유니트의 커맨드
10h 내지 3Fh : 유니트의 커맨드
40h 내지 7Fh : 서브유니트의 커맨드
A0h 내지 BFh : 유니트의 커맨드
C0h 내지 DFh : 서브유니트의 커맨드
도 7은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에서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할 때의 리모콘 신호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선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서 디지털 캠코더(25)에 재생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디지털 TV(21)에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각 필드엔 다음같은 데이터가 설정된다.
(1) PRE : 프리앰블
(2) Dest._unit : 디지털 캠코더(25)에 상당하는 어드레스
(3) CTS : CTS = 0000b
(4) CTYPE : control = 0000b
(5) subunit_type : VCR = 00100b.
(6) subunit_no. : no. = 000b(싱글덱의 경우)
(7) OPC : PLAY = C3h
(8) OPR : FORWARD = 75h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TV(21)의 리모콘 신호 송신/수신 회로(31)에 의해서 수신되고 CPU(33) 및 Link - IC(36)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것 같은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되고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캠코더(25)에 전송된다.
도 8은 IEEE-1394 직렬 버스(26)에 접속한 기기에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응답을 되돌리는 경우의 리모콘 신호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선 예컨대 도 1의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캠코더(25)가 재생의 커맨드를 받고 커맨드의 실행을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ACCEPTED 의 응답을 디지털 TV(21)에 반송하고 디지털 TV(21)에서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에 응답을 반송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때, 각 필드엔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설정된다.
(1) PRE : 프리앰블
(2) source_unit : 디지털 캠코더(25)에 상당하는 어드레스
(3) CTS : CTS = 0000b
(4) CTYPE : ACCEPTED = 1001b
(5) subunit_type : VCR = 00100b
(6) subunit_no. : no. = 000b(싱글 덱의 경우)
(7) OPC : PLAY = C3h
(8) OPR : FORWARD = 75h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선 예컨대 디지털 캠코더(25)에 직접 재생을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방법과 디스플레이(34)의 화면상에 제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하고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27) 또는 각 기기의 패널상에 설치된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이용자가 희망하는 제어에 해당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선택하고 이용자가 희망하는 제어를 선택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9는 예컨대 디지털 TV(21)의 디스플레이(34)의 화면상에 9 개의 종류의 제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며 그중에서 소정의 제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리모트 커맨더(27)상에 설치된 9 개의 조작 키(43)중의 대응하는 것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선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경우, 리모트 커맨더(41)에 LCD(42) 등의 표시 장치를 두고 그 화면상에 9 개의 조작 키(43)를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게 하고 있다.
LCD(42)에는 투명 터치 타블렛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용자는 터치 타블렛을 통해서 LCD(42)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따라서 LCD(42)상의 소정의 조작 키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터치 타블렛을 누르므로서 리모트 커맨더(41)는 조작 키(43)중의 어느것이 선택되었는가를 인식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디지털 TV(21)에 송신한다. 이때, 예컨대 눌린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솔을 표시시키는 등에 의해 지금 어느 제어를 선택했는가를 이용자에 명시할 수 있다.
디지털 TV(21)가 리모트 커맨더(41)의 송수신부(44)에서 적외선 등에 의해 송신된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면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되돌린다. 리모트 커맨더(41)는 디지털 TV(21)에서의 응답 수신한 경우, LCD(42)에 표시한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고 소정의 시간내에 디지털 TV(21)에서의 응답을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디지털 TV(21)는 리모트 커맨더(41)에서의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다. 또는 제어 대상의 기기에 제어 커맨드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LCD(42)의 표시를 조작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디지털 TV(21)을 거쳐서 IEEE-1394 직렬 버스(26)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제어 커맨드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아닌지를 손앞에 있는 리모트 커맨더(41)의 LCD(42)의 화면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4 개의 화살표시 키를 구비하는 리모트 커맨더(51)를 써서 디지털 TV(21)의 디스플레이(34)의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제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의 경우, 최초는 예컨대 중앙의 아이콘에 카솔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34)의 화면상에 표시된 카솔을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51)의 4 개의 화살표 키(52A) 내지 (52D)를 조작하므로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제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다음에 확인키(53)를 누름으로서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의 선택을 확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리모트 커맨더(51)의 송수신부(54)에서 소망의 제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가 디지털 TV(21)에 송신된다. 디지털 TV(21)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는 이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제어에 대응하는 기기에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전송되며 선택된 제어가 실행된다.
예컨대 DVD(24)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9 개의 재생 언어 중에서 5 번째의 「일본어」를 선택하는 것을 살펴보면,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41)의 송수신부(44)에서 디지털 TV(21)에 전송되는 리모콘 신호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된다.
(1) PRE : 프리앰블
(2) Dest._unit : 디지털 TV(21)에 상당하는 어드레스
(3) CTS : CTS = 0000b
(4) CTYPE : control = 0000b
(5) subunit_type : Video monitor = 00000b
(6) subunit_no. : no. = 000b(싱글 덱의 경우)
(7) OPC : SELECT = 08h
(8) OPR : 5 = 35h
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TV(21)는 DVD(24)에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일본어」를 선택하게 지시하는 커맨드를 비동기 패킷에 얹어서 전송한다. DVD(24)는 디지털 TV(21)에서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이 커맨드를 수신하면 「일본어」의 선택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받고 커맨드의 실행을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ACCEPTED 의 응답을 IEEE-1394 직렬 버스(26)를 거쳐서 디지털 TV(21)에 비동기 패킷에 얹어서 전송한다.
DVD(24)에서의 응답 「ACCEPTED」를 받은 디지털 TV(21)는 양방향 리모트 커맨더(41)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리모콘 신호를 반송한다.
(1) PRE : 프리앰블
(2) SOURCE_unit : 디지털 TV(21)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3) CTS : CTS = 0000b
(4) CTYPE : ACCEPTED = 1001b
(5) subunit_type : Video monitor = 00000b
(6) subunit_no. : no. = 000b
(7) OPC : SELECT = 08h
(8) OPR : 5 = 35h
디지털 TV(21)에서 이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 리모트 커맨더(41)는 LCD(42)의 화면상에 이 응답에 대응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손앞에 있는 리모트 커맨더의 표시 화면을 보는 것만으로 제어 커맨드를 송신한 기기에서의 응답을 확인할 수 있고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를 간단하게 알 수 있다.
이상같이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선 IEEE-1394 직렬 버스와 같은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된 각 기기안에서, 소정의 기기가 수신한 리모트 커맨더에서 리모콘 신호를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서 가정내에 있는 리모트 커맨더의 개수를 줄이는 동시에 기기를 설치하는 장소나 방 등을 자유로 선택할 수 있다.
또,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서의 응답을 리모트 커맨더에 반송하는 것에 의해서 리모트 커맨더에 설치된 LCD 등의 표시 화면에 응답에 해당하는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리모트 커맨더를 써서 지시한 제어가 바르게 행해지고 있는가를 손앞의 리모트 커맨더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의 커맨드의 포맷과 리모콘 신호의 포맷을 통일하므로서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되며, 리모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기기에 있어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디지털 TV(21)가 리모트 커맨더(27, 41, 51)에서 송신된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것을 IEEE-1394 직렬 버스로 접속된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다른 기기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및 제 5 항에 기재된 리모콘 신호 수신 방법에 의하면,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그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통해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게 했으므로 리모트 커맨더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리모트 커맨더에 의해서 제어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설치 장소를 자유로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6 항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의하면 각 기기는 변환 수단이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그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리모콘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승 수단이 리모콘 데이터를 직렬 버스를 통해 직렬 버스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응답 수신 수단이 다른 기기의 응답 수단에 의해서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 응답을 수신하고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이 응답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발생하고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송신케 했으므로 리모콘 신호 발생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의해서 제어된다.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설치 장소를 자유로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기기의 동작 상황을 손앞에 있는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상기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동기 패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신호는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리모콘 신호를 상기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비동기 패킷을 상기 직렬 버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패킷을 수신한 상기 소정의 기기에서 반송되는 비동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반송된 상기 비동기 패킷을 상기 리모콘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발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
  5.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상기 리모콘 신호를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방법.
  6. 양방향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간에서,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신된 리모콘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기는
    상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과;
    상기 리모콘 신호가 자기 기기 이외에 대한 것일 때 상기 리모콘 신호를 상기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의 리모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상기 리모콘 데이터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상기 기기중의 다른 소정의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다른 상기 기기로부터의 상기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리모콘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리모콘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다른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응답 수단과;
    상기 다른 기기의 응답 수단에 의해서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수단; 및
    상기 응답 수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응답에 대응하는 리모콘 데이터를 발생하고,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에 송신하는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는 상기 리모콘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리모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상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상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모드를 가지며,
    상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기기의 개수를 제한하는 제 1 의 제한수단과, 상기 리모콘 신호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콘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기기의 개수를 제한하는 제 2 의 제한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상기 리모콘 신호의 포맷은 상기 직렬 버스의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신호 발생기는 상기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심볼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심볼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심볼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상기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커맨드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다른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기기에서 송신된 응답에 대응하는 심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KR1019970073874A 1996-12-18 1997-12-17 정보처리장치및방법,및리모트콘트롤시스템 KR100494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8031 1996-12-18
JP33803196A JP3612696B2 (ja) 1996-12-18 1996-12-18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52A true KR19980064652A (ko) 1998-10-07
KR100494037B1 KR100494037B1 (ko) 2005-09-02

Family

ID=1831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874A KR100494037B1 (ko) 1996-12-18 1997-12-17 정보처리장치및방법,및리모트콘트롤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00280B1 (ko)
EP (1) EP0849884B1 (ko)
JP (1) JP3612696B2 (ko)
KR (1) KR100494037B1 (ko)
CN (1) CN1191424A (ko)
CA (1) CA2223942A1 (ko)
DE (1) DE6972884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49B1 (ko) * 2002-10-29 2005-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7356T2 (de) * 1997-02-14 2007-11-29 Canon K.K.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nd Vorrichtung zur Bildverarbeitung
JP3656874B2 (ja) * 1997-07-04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再生装置、並びに出力装置
DE69838078T2 (de) * 1997-09-18 2007-11-22 Thomson Inc., Indianapolis Verfahren zum Steuern eines elektronischen Peripherie-Unterhaltungsgeräts
ES2202916T3 (es) * 1997-11-25 2004-04-01 Thomson Licensing S.A. Interoperabilidad de dispositivos que utilizan menus de presentacion en pantalla en forma de mapas de bits.
JP4019481B2 (ja) 1998-01-23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EP0952733B1 (en) 1998-04-24 2006-11-02 Sony United Kingdom Limited Digital multimedia receiver and network including such receiver with IEEE 1394 serial bus interface
GB2336742B (en) * 1998-04-24 2003-03-26 Sony Uk Ltd Digital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relating thereto
DE19964394B4 (de) * 1998-06-19 200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Information über ein Netz
DE19927711B4 (de) * 1998-06-19 200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Information über ein Netz
KR100304644B1 (ko) * 1998-06-19 2001-11-02 윤종용 네트워크를통한정보전송장치및방법
EP0971275A1 (en) * 1998-07-06 2000-01-1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ethod to perform a scheduled action of network devices
US6496862B1 (en) 1998-08-25 2002-12-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an IEEE 1394 bus via a gateway device
US6505255B1 (en) 1999-04-29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Method for formatting and routing data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n internal network
JP2000209220A (ja) * 1999-01-14 2000-07-28 Toshiba Corp コンピュ―タ、ネットワ―ク制御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システム並びにリモ―ト起動方法
CN1148041C (zh) * 1999-01-22 2004-04-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网络控制系统及其控制器、目标及消费器
JP2000287119A (ja) * 1999-01-26 2000-10-13 Canon Inc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記憶媒体
US6687260B1 (en) * 1999-02-12 2004-02-03 Conexant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low control of non-isochronous data
GB9909838D0 (en) * 1999-04-28 1999-06-23 Pace Micro Tech Ltd Broadcast data transmission systems`
US6378000B1 (en) 1999-04-29 2002-04-23 Mitsubish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ddress mapping in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6633547B1 (en) 1999-04-29 2003-10-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mmand and control transfer
US6523064B1 (en) 1999-04-29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geographic data information
KR100633965B1 (ko) * 1999-05-24 2006-10-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전환 장치 및 영상 출력 장치
JP4313894B2 (ja) * 1999-06-01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被制御装置
US7150031B1 (en) * 2000-06-09 2006-12-12 Scientific-Atlant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inders of upcoming rentable media offerings
US7992163B1 (en) 1999-06-11 2011-08-02 Jerding Dean F Video-on-demand navigational system
US7010801B1 (en) 1999-06-11 2006-03-07 Scientific-Atlanta, Inc. Video on demand system with parameter-controlled bandwidth deallocation
US6817028B1 (en) 1999-06-11 2004-11-09 Scientific-Atlanta, Inc. Reduced screen control system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
US6704310B1 (en) * 1999-06-30 2004-03-09 Logitech Europe, S.A. Header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based bus
KR100644561B1 (ko) * 1999-07-26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연결 관리방법
JP2001119767A (ja) * 1999-10-19 2001-04-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US6879347B1 (en) * 1999-12-30 2005-04-12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tate information using vertical blanking interval
JP4660877B2 (ja) * 2000-01-11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
GB0003306D0 (en) * 2000-02-15 2000-04-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of interconnected audio/video devices
JP2001282426A (ja) * 2000-03-30 2001-10-12 Canon Inc データ通信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US7200857B1 (en) 2000-06-09 2007-04-03 Scientific-Atlanta, Inc. Synchronized video-on-demand supplemental commentary
US8516525B1 (en) 2000-06-09 2013-08-20 Dean F. Jerding Integrated searching system for interactive media guide
US20020007485A1 (en) * 2000-04-03 2002-01-17 Rodriguez Arturo A. Television service enhancements
US7975277B1 (en) 2000-04-03 2011-07-05 Jerding Dean F System for providing alternative services
US6940562B2 (en) * 2000-04-20 2005-09-06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wo or more controlled devices
JP2001309458A (ja) * 2000-04-20 2001-11-02 Canon Inc 遠隔制御システム
US7934232B1 (en) 2000-05-04 2011-04-26 Jerding Dean F Navigation paradigm for access to television services
KR100374820B1 (ko) * 2000-06-08 200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Iee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디오/비디오기기의제어방법
US8069259B2 (en) 2000-06-09 2011-11-29 Rodriguez Arturo A Managing removal of media titles from a list
US7962370B2 (en) 2000-06-29 2011-06-14 Rodriguez Arturo A Methods in a media service system for transaction processing
JP3480923B2 (ja) * 2000-07-26 2003-12-2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上の機器制御方法およびこの制御方法を用いる映像機器
JP3811608B2 (ja) * 2000-10-03 2006-08-2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US20020049978A1 (en) * 2000-10-20 2002-04-25 Rodriguez Arturo A.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and placement of media content information items on a screen display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FR2816146A1 (fr) * 2000-10-27 2002-05-03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US7340759B1 (en) 2000-11-10 2008-03-04 Scientific-Atlan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pricing in a digital broadband delivery system
US7496945B2 (en) 2001-06-29 2009-02-24 Cisco Technology,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for bidirectional services
US7526788B2 (en) 2001-06-29 2009-04-28 Scientific-Atlanta, Inc. Graphic user interface alternate download options for unavailable PRM content
US7512964B2 (en) 2001-06-29 2009-03-31 Cisco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archiving multiple downloaded recordable media content
US8006262B2 (en) 2001-06-29 2011-08-23 Rodriguez Arturo A Graphic user interfaces for purchasable and recordable media (PRM) downloads
EP2980991B1 (en) * 2001-07-12 2018-10-24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having the same
JP4774642B2 (ja) * 2001-07-16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間制御装置および方法
DE10139922A1 (de) * 2001-08-14 2003-02-27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ebstahlsicherung von an ein Bussystem angeschlossenen elektronischen Geräten
US9135811B2 (en) * 2001-09-27 2015-09-15 Universal Electronics Inc. Two way communication between an appliance and a remote control
US7193661B2 (en) * 2001-09-27 2007-03-20 Universal Electronics Inc. Two way communication using light links
KR100454906B1 (ko) * 2002-02-01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
US7334251B2 (en) 2002-02-11 2008-02-19 Scientific-Atlanta, Inc. Management of television advertising
JP2005525752A (ja) * 2002-05-10 2005-08-2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緊急警報信号を受信可能なテレビ信号受信機用の遠隔制御装置
JP3093974U (ja) * 2002-11-12 2003-05-23 船井電機株式会社 複合av装置
KR100518032B1 (ko) * 2002-11-19 2005-10-04 (주)동원에스앤에스 직렬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기
JP4369214B2 (ja) * 2002-12-11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vシステム
CN100534128C (zh) * 2002-12-11 2009-08-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Av系统
JP4237562B2 (ja) * 2003-07-07 2009-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853352A (zh) * 2003-09-17 2006-10-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源设备和重放设备的系统
KR101121778B1 (ko) * 2004-01-06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으로 영상기기 주변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161388B2 (en) 2004-01-21 2012-04-17 Rodriguez Arturo A Interactive discovery of display device characteristics
WO2005074565A2 (en) * 2004-02-02 2005-08-18 Scope Seven Inc. Simplified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media
JP2005278106A (ja) * 2004-03-26 2005-10-06 Sharp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US8090309B2 (en) 2004-10-27 2012-01-03 Chestnut Hill Sound, Inc. Entertainment system with unified content selection
US20190278560A1 (en) 2004-10-27 2019-09-12 Chestnut Hill Sound, Inc. Media appliance with auxiliary source module docking and fail-safe alarm modes
US7885622B2 (en) 2004-10-27 2011-02-08 Chestnut Hill Sound Inc. Entertainment system with bandless tuning
JP3897258B2 (ja) * 2004-12-15 2007-03-22 船井電機株式会社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ジタル録画装置
DE102005002099A1 (de) * 2005-01-14 2006-07-27 Micronas Gmbh Audio und Kontrolverbindung zwischen Portable Audio Playern (MP3, CD-Audio, DAT, Minidisc o. ä) und Stereoanlagen (Hifi, Boombox, Ministereo) über eine bidirektionale Busverbidnung (USB, Firewire)
JP2006238382A (ja) * 2005-02-28 2006-09-07 Sony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リモートコマンダ及び被制御機器
JP3824004B2 (ja) 2005-03-03 2006-09-2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指令変換装置
US7623042B2 (en) 2005-03-14 2009-11-2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ireless network control for building lighting system
KR20060124594A (ko) * 2005-05-31 2006-12-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원격 제어 장치, 기기 조작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CN100431316C (zh) * 2005-08-04 2008-11-05 宏碁股份有限公司 无线控制系统及方法
US8189472B2 (en) 2005-09-07 2012-05-29 Mcdonald James F Optimizing bandwidth utilization to a subscriber premises
WO2007036872A2 (en) * 2005-09-27 2007-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mmand forwarding from a home device to a portable media player
JP2009065267A (ja) * 2007-09-04 2009-03-26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101409230B1 (ko) * 2007-09-0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와 연계하여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JP4656163B2 (ja) * 2008-02-21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方法および遠隔制御装置
US8364325B2 (en) 2008-06-02 2013-01-29 Adura Technologies, Inc. Intelligence in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devices
US8275471B2 (en) 2009-11-06 2012-09-25 Adura Technologies, Inc. Sensor interface for wireless control
US20100114340A1 (en) * 2008-06-02 2010-05-06 Charles Huizenga Automatic provisioning of wireless control systems
US7839017B2 (en) * 2009-03-02 2010-11-23 Adura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ical load
TW201130304A (en) * 2010-02-24 2011-09-01 Hon Hai Prec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switching TV channels
FR2972062B1 (fr) * 2011-02-28 2013-04-12 Somfy Sas Dispositif de commande comprenant une interface capable de proposer le prochain ordre de commande a transmettre a un equipement domotique
US9192019B2 (en) 2011-12-07 2015-11-17 Abl Ip Holding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commissioning lighting devices
WO2013098991A1 (ja) * 2011-12-28 2013-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外部機器
CN103685904A (zh) * 2012-09-14 201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机的管理方法及设备
KR101693594B1 (ko) 2015-04-08 2017-01-18 디에스에스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용 led 조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895B2 (ja) * 1986-06-02 1995-11-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4855730A (en) * 1987-05-08 1989-08-0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timed control of plural peripheral devices
JPH0523038Y2 (ko) * 1989-04-12 1993-06-14
JP3318897B2 (ja) 1991-01-29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モニタ付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GB9216681D0 (en) 1992-08-06 1992-09-23 D2B Systems Co Ltd Apparatuses interconnected for the communication of control messages
KR940017376A (ko) 1992-12-21 1994-07-26 오오가 노리오 송신 방법, 수신 방법, 통신 방법 및 쌍방향 버스 시스템
US5488357A (en) 1993-01-06 1996-01-30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eature star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dio/visual system
JP3217519B2 (ja) * 1993-02-12 2001-10-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双方向リモコンシステム
JPH07193879A (ja) 1993-12-27 1995-07-28 Alpine Electron Inc 同一アドレスユニットの生残り方法
KR0164089B1 (ko) * 1995-12-20 1998-12-01 양승택 무선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5905442A (en) * 1996-02-07 1999-05-18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etermining the status of electrical devices from remote locations
JPH1028297A (ja) * 1996-07-12 1998-01-27 Toshiba Corp 双方向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49B1 (ko) * 2002-10-29 2005-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8845T2 (de) 2005-03-31
JPH10178686A (ja) 1998-06-30
US6400280B1 (en) 2002-06-04
KR100494037B1 (ko) 2005-09-02
EP0849884A1 (en) 1998-06-24
CN1191424A (zh) 1998-08-26
DE69728845D1 (de) 2004-06-03
JP3612696B2 (ja) 2005-01-19
CA2223942A1 (en) 1998-06-18
EP0849884B1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037B1 (ko) 정보처리장치및방법,및리모트콘트롤시스템
US7319409B2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US6784804B1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US8558676B2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in the home
EP1061490B1 (en) Digital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s entertainment equipment
EP0849913A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s, data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50172332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684110B1 (en)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display characteristics of an operation panel are changeable
JPH09154077A (ja) 複数のav機器と接続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からなるavシステム
JP2001203727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3110961A (ja) 映像表示制御方法及び映像機器
JP3952053B2 (ja) 接続管理プログラム
US6813659B1 (en) Dat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JP4419539B2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H09130688A (ja) 複数の映像機器を備えたavシステム
US20040215352A1 (en) Controlled device in network apparatus, controll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4396011B2 (ja) 情報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制御システム
JP2004229079A (ja) 被制御機器
JP2003078537A (ja) 機器認識方法及び電子機器
JPH09219703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2077750A (ja) 選局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102507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227134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対応のデジタル機器と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