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798A -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798A
KR19980042798A KR1019970063246A KR19970063246A KR19980042798A KR 19980042798 A KR19980042798 A KR 19980042798A KR 1019970063246 A KR1019970063246 A KR 1019970063246A KR 19970063246 A KR19970063246 A KR 19970063246A KR 19980042798 A KR19980042798 A KR 1998004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lumn
goods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373B1 (ko
Inventor
미요시히로유키
미야모토아키후미
세키구치유타카
코스게마사히토
Original Assignee
미즈노마사루
니혼타바코산교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마사루, 니혼타바코산교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마사루
Publication of KR1998004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필요한 공간을 생략해서 안길이 치수를 짧게하고, 상품의 불출의 안정화와, 상품 칼럼에 대한 상품의 장전작업성의 용이화를 도모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특히 복수열의 상품 칼럼을 구비한 복수의 상품수납부를 본체와 도아와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 상품수납부에 그 전면을 덮는 상품안내문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도아가 닫혀있을 때 본체측의 상품 수납부와 도아측의 상품수납부와의 서로 대치하는 상품안내문 사이에 각 상품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자유낙하시키기 위한 상품통로를 형성한다. 또 도아가 열려있을때는 상품 통로를 없애서 각 상품수납부의 전면을, 예를들면 상품의 장전작업을 위한 공간으로서 개방한다.

Description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본 발명은, 담배 등의 패키지화 된 상품의 자동판매기와 관련하여, 특히 상품 칼럼(column)에 대한 상품의 장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한 상품을 안정하게, 동시에 확실하게 상품 취출구로 인도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담배 등 패키지화 된 상품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종류별로 대응하는 복수열의 상품 칼럼을 구비하고, 각 상품 칼럼에 각각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용한다. 각 상품 칼럼에 각각 수납된 상품은 상품 선택 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서 그 상품선택스위치에 대응하는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다. 상품 칼럼에서 불출된 상품은 상품취출구로 인도되어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21은, 종래의 대표적인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자동판매기는 등을 맞대고 2중으로 배치한 복수의 상품 칼럼(1)을 다단으로 구비하고 있다. 안쪽에 배치된 상품 칼럼(1)은, 본체(2)의 배면판측(뒤쪽)으로상품을 불출하고, 또한 앞쪽에 배치된 상품 칼럼(1)은 도아(4)측(앞쪽)으로 상품을 불출하도록 구성된다. 안쪽의 상품 칼럼(1)에서 불출된 상품은 본체(2)의 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품통로 유니트(3)를 통해서 상품 취출구(6)로 인도된다. 또한 앞쪽의 상품 칼럼(1)에서 불출된 상품은 도아(4)에 만들어진 상품통로 유니트(5)를 통해서 상품취출구(6)로 인도된다.
또, 도 22에 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자동판매기는 전후 2열로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는 형식의 더블(double) 칼럼 구조의 상품 칼럼(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품 칼럼(1)에 수납된 상품은 그 앞쪽으로 순서적으로 불출된다. 이러한 더블 칼럼 구조의 상품 칼럼(1)을 구비한 자동판매기는, 도 21에 나타낸 구성의 자동판매기와 비교해서 안쪽의 상품 칼럼(1)과 본체(2)의 배면판과의 사이에 상품통로 유니트(3)을 설치하지 않는 만큼 그 안길이 치수가 짧다. 또한 도면중 7은 각 상품 칼럼(1)의 아래쪽에 각각 설치된 상품 불출기구이다.
도 21에 나타낸 구성의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전면측에 위치하는 상품 칼럼(1)을 본체(2)의 앞쪽으로 끌어내지 않으면, 안쪽의 상품 칼럼(1)에 상품을 장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자동판매기는 상품의 장전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상품 칼럼(1)의 안쪽과 앞쪽에 동시에 상품을 장 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 자동판매기는 안쪽부분에의 상품의 장전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각 상품 칼럼(1)에는 상품가이드기구로서 안길이 조절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 안길이 조절부재는 상품 칼럼(1)의 최상위치 또는 최하위치에 설치된 상품불출부로 인도한 상품의 수납자세를 규제하고, 이에 따라 상품의 불출을 확실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안길이 조정부재는, 상품 사이즈에 따라서 상품 칼럼(1) 마다에 조정되는 것으로, 그 조정부는 통상 상품 칼럼(1)의 상품 불출구의 상부에 위치해서 상품 칼럼(1)의 전면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된다.
상품 칼럼(1)에서 불출된 상품을 상품취출구로 인도하는 상품통로 유니트(5)는 상기 상품 가이드 기구의 조정부를 피해서 도아(4)의 이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품 통로 유니트(5)는 자동판매기의 안길이치수를 될 수 있는 한 짧게 하기 위해, 상품의 두께폭을 가지는 박형의 상품 낙하 슈트로서 실현된다. 이러한 좁은 폭의 상품통로 유니트(5)내로 상품 칼럼(1)에서 불출한 상품을 확실하게 인도하기 위해, 각 상품 칼럼(1)의 상품 불출구와, 상품 통로 유니트(5)의 상품 수입구에는 상품 자세교정 가이드가 설치된다. 이 상품자세 교정가이드는 상품 칼럼(1)의 상품 불출구와 상품통로 유니트(5)와의 연결부재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판매기는 상품통로 유니트(5)와 상품 칼럼(1)의 전면측과의 사이에, 상품가이드 기구의 조정부를 피해서 넓은 공간을 가진다. 이 공간은 자동판매기의 기능상 이용되지 않는 쓸모없는 공간이 된다. 또, 상기 상품통로 유니트(5)내에는 상품의 반송(搬送,낙하) 자세를 규제해서 상품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고안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상품통로 유니트(5)의 구성 뿐만 아니라, 상품 칼럼(1)과 상품통로 유니트(5)와의 연결부의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품 칼럼에 대한 상품의 장전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복수의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되는 상품의 상품취출구로의 안정한 이송을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내의 쓸모 없는 공간을 없애서 그 안길이 치수를 짧게 한 간단한 구조의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박형이고, 복잡한 구성의 상품통로 유니트를 구비하지 않고, 또 당연한 것이지만, 상품통로 유니트와 상품칼럼의 상품불출구와의 연결도 불필요한 간단한 구조의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아부를 연 상태에서의 본체측 및 도아부의 이면(裏面)에 각각 짜 넣은 상품수납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3에 나타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본체측에 조립된 상품수납부와 상품 칼럼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상품안내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도아측에 조립된 상품수납부와 상품 칼럼의 전면에 설치된 상품안내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자동판매기에서의 본체측 및 도아측에 각각 조립된 상품수납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상방을 향해서 열려진 상품안내문과 그 로크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c는 도 7a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닫을 때의 로크기구에 의한 상품안내문의 로크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하방으로 향해서 열려진 상품안내문과 그 로크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c는 도 8a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닫을 때의 로크기구에 의한 상품안내문의 로크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수납부와 상품통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칼럼과 그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자동판매기의 상품 칼럼의 전면에 조립된 상품안내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a는 도 14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의 평면도,
도 15b는 도 14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의 A-A에서 본 본체부의 단면도,
도 15c는 도 14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의 B-B에서 본 선반부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각기 구비한 복수열의 상품 칼럼으로 된 상품 수납부의 구성을 도시한 대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도 14에 나타낸 상품안내문을 구비한 상품 칼럼에의 상품의 장전 작업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4에 나타낸 구성의 상품안내문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4에 나타낸 구성의 상품안내문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4에 나타낸 구성의 상품안내문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서의 복수의 상품 칼럼과 상품통로 유니트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다른 자동판매기에서의 복수의 상품 칼럼과 상품 통로 유니트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11a, 11b 상품 칼럼
2, 14 본체
3, 5 상품 통로 유니트
4, 15, 도아
6, 16 상품 취출구
7, 12 상품 불출기구
10 상품
12a 푸셔
12b 무단상 벨트
13 상품 수납부
13a 측벽
17, 45 상품안내문
18 자유낙하통로
21 압출부재
22 매진검출 스위치
31 장공
32 회동핀
33 계지부
34 절단홈부
35 계지편
36 탄성편
37 체인
38 인장스프링
40, 42 임절판
41 안내부
42a 돌기
42b 고정편
44 스토퍼부
45a 주체부
45b 지지편
45c 지지핀
45d 핀
45e 가이드부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 패키지화된 상품의 자동 판매기는 그 본체에 복수의 상품수납부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있고, 각 상품수납부는 복수열의 상품칼럼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상품 칼럼은,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고, 그 최상위치 또는 최하위치의 상품부터 순서대로 불출한다. 그리고 상기 각 상품수납부는 상기 각 상품칼럼의 전면을 덮어서 개폐자재로 설치한 상품안내문로서, 상기 각 상품 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그 상품 칼럼의 상품 불출부로 안내하는 상품안내문을 구비한다. 또 이 상품안내문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아가 닫혀져 있을 때 그 상품안내문과 상기 도아의 이면과의 사이에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통로를 형성한다. 이 상품통로를 이루는 공간은 도아를 열면 개방되고 따라서 상품통로는 소멸한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의하면, 패키지화 된 상품의 자동판매기는 그 본체와 도아에 각각 복수의 상품수납부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수납부는 도아가 닫혀 있을 때,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대치한다. 또 각 상품수납부는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고 그 최상위치 또는 최하위치의 상품부터 순서대로 불출하는 복수열의 상품칼럼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상품 수납부는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을 덮어서 개패자재로 설치한 상품안내문로서, 상기 각 상품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그 상품칼럼의 상품불출부로 안내하는 상품안내문을 구비한다. 또, 상품안내문은 상기 도아가 닫혀 있을 때, 본체에 설치된 상품수납부 및 도아에 설치된 상품수납부의 서로 대치하는 상품안내문의 사이에서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통로를 형성한다. 이 상품통로를 이루는 공간은 도아를 열면 개방되고 따라서 상품통로는 소멸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상품 칼럼에서 불출된 상품을 상품 취출구로 인도하기 위해 좁은 폭의 상품통로 유니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자동판매기는 도아가 닫혀 있을 때 본체측의 복수의 상품수납부가 각각 구비한 상품안내문과 도아의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시킨 공간부, 혹은 본체 및 도아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가 구비한 상품안내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상품통로로 하고 있다.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은 상기 상품통로내를 낙하하는 것으로 상품취출구에 인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가 각각 구비한 상품안내문은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어 상품통로의 하나의 상품안내벽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아에 설치된 복수의 상품 수납부가 각각 구비한 상품안내문은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어 상품통로의 하나의 상품안내벽면을 형성한다. 상품통로의 폭은 상품안내문이 형성하는 상품안내 벽면과 도아의 이면과의 공간폭, 혹은 본체측 및 도아측의 각 상품안내문이 각각 형성하는 상품안내벽면의 공간폭으로서 규정된다. 이 상품통로의 폭은 상품의 최대 대각선 길이보다 약간 넓게 설정된다. 이 결과, 상품칼럼에서 불출된 상품은 그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상품통로 내를 자유롭게 낙하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본체 및 도아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된 상품수납부는 본체측과 도아측에 있어서 그 상품 불출부의 높이위치를 서로 다르게 해서 설치한다. 이 결과 본체측 혹은 도아측의 한쪽의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은 다른쪽의 상품수납부에 있는 상품불출부에 충돌하지 않고, 그 다른쪽 상품수납부의 상품안내문에서 안내되어 상품 통로내를 낙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상품안내문은 투명판재 또는 투공(透孔)을 구비한 판재로서 실현된다. 이 결과 상품안내문을 열 것도 없이 그 상품안내문을 통해서 상품 칼럼내에 있는 상품의 수납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품수납부를 이루는 복수열의 상품 칼럼 각각이 횡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품안내문과 이 상품안내문을 각각 회동되게해서 그 상품안내문을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상품안내문은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시킨 상품을 상품 취출구에 인도하기 위한 상품통로의 벽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품 칼럼의 전면에 각각 설치된 상품안내문은 상품 칼럼의 폭보다도 좁은 폭의 문체로 되어 그 회동단과 상품 칼럼의 측벽면 전단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해서 그 상품 칼럼의 전면에 위치된다. 또 상품안내문의 이면(裏面)에는 그 회동단보다도 상기 상품 칼럼의 안쪽에 위치해서 상기 상품 칼럼에 수납된 상품의 전단부를 위치규제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또 각 상품안내문의 표면은 다단으로 설치된 상품수납부의 각 상품 칼럼 사이에 있어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시켜져 상품통로의 안내벽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개략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전면(前面)을 개방한 상자모양의 본체(14)의 내부에 복수의 상품수납부(13)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있다. 각단의 상품수납부(13)는 각각 복수열의 상품 칼럼(11)을 구비하고 있고, 각 상품 칼럼(11)은 담배 등 패키지화된 복수의 상품(10)을 포개어 쌓아서 수용한다. 또, 각 상품 칼럼(11)의 하부에는 상품 불출기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품불출기구(12)는 상품 칼럼(11)내에 포개어 쌓여서 수납된 상품(10)중 제일 아래에 있는 상품부터 순서대로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으로 불출된다.
각 상품수납부(13)는 각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을 일괄적으로 덮은 상품안내문(17)를 각각 개폐 자재로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품안내문(17)는 각 상품수납부(13)의 전면에 각각 위치되어 각 상품 칼럼(11)내의 상품(10)을 그 상품 불출부(상품 불출기구 12의 상면)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각 상품 수납부 (13)의 전면에 위치한 상품안내문(17)는 서로 요철없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상품통로의 안내벽으로서 기능한다.
상품 칼럼(11) 내로의 상품(10)의 장전은 상품안내문(17)를 열고 상품 칼럼 (11)의 전면을 개방해서 행해진다. 이 상품안내문(17)는, 예를 들면 투명한 평판재로 되어, 그 상품안내문(17)를 닫은 상태 그대로 상품 칼럼(11)내에 있는 상품( 10)의 수납상태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품안내문(17)는 그 이면측의 상품 칼럼(11)의 내부에 있는 상품(10)의 수납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한 슬릿(slit) 구멍이나 펀칭(punching) 구멍을 구비한 판재이어도 좋다.
상기 각 상품수납부(13)에 각각 설치된 상품안내문(17)는 도아(15)가 닫혀진 상태로 있을 때,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그 도아(15)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치한다. 상품안내문(17)와 도아(15)의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예를 들면 상품(10)의 최대 대각 길이보다도 약간 긴폭을 가지고, 상품 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의 자유낙하통로(상품통로, 18)로서 이용된다.
덧붙이면 도아(15)의 전면측에는 상품견본의 진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또한 상품(10)을 선택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선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상품 견본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더우기 도아(15)의 하부 위치에는 상품 취출구가 설치된다.
도 2는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자동판매기는 본체(14)에 다단으로 설치한 복수의 상품수납부(13)에 더해서, 도아(15)의 이면측에도 복수의 상품 수납부(13)를 다단으로 구비해 구성된다. 이들 각 상품 수납부(13)의 전면에는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덮은 상품안내문(17)가 각각 설치된다. 본체(14)측에 설치한 상품 수납부 (13)와 도아(15)측에 설치한 상품 수납부(13)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도아(15)가 닫힌 상태로 있을 때 그 사이에 소정폭의 공간을 형성해서 평행하게 대치한다. 이 공간도 또한 각 상품 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의 자유낙하 통로(상품통로, 18)로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상품 칼럼(11)에서 불출된 상품(10)을 상품 취출구(16)로 인도하기 위한 상품 통로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도아(15)를 닫았을 때, 본체(14)측의 상품 수납부(13)와 도아(15)의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그대로 상품 (10)의 자유낙하 통로(18)로서 기능한다. 이때, 각 상품수납부(13)에 설치한 상품안내문(17) 및 도아(15)의 이면은 상기 자유낙하통로(18)의 서로 대향하는 안내벽으로서 이용된다. 혹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도아(15)를 닫았을 때, 본체(14)측의 상품수납부(13)과 도아(15)측의 상품수납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상품 (10)의 자유낙하 통로(18)로서 기능하다. 그때, 본체(14)측 및 도아(15)측의 각 상품수납부(13)에 각각 설치되어 평행하게 대치하는 상품안내문(17)는 상기 자유낙하 통로(18)의 안내벽으로 이용된다.
한편 도아(15)를 열었을 때는 상품수납부(13)의 전면측, 주로 상품안내문 (17)에 의해 구성된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이 개방된다. 이 결과, 도 1에 나타낸 구조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본체(14)측의 상품 수납부(13)와 도아(15)의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로 된 자유낙하통로(18)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품수납부(13)의 전면측은 전기 각 상품 칼럼(11)에 상품(10)을 장전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구조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도아(15)를 열면 본체(14)측의 상품수납부(13)와 도아(15)측의 상품수납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공간부인 자유낙하 통로(18)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각 상품수납부(13)의 전면측은 각각 각 상품 칼럼(11)에 상품(10)을 장전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된다. 결국 도아(15)를 닫아서 자동판매기를 작동시킬 때에만 자유낙하통로(18)가 형성되고 상품 칼럼(11)에서 불출된 상품(10)은 그 불출자세에 구애됨이 없이 상기 자유낙하통로(18)를 낙하해서 상품 취출구(16)로 인도된다.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것에 따라 구성되는 자동판매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도아(15)를 연 상태에서의 본체 (14)측 및 도아(15)의 이면에 각각 형성된 상품수납부(13)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4는 본체(14)측에 형성된 상품수납부(13)에 있는 상품 칼럼(11)과 상품안내문(17)의 모양을, 도 5는 도아(15)의 이면에 조립된 상품수납부(13)에 있는 상품 칼럼(11)과 상품안내문(17)의 모양을 각각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본체(14)측 및 도아(15)의 이면에 그 폭방향으로 10열의 상품 칼럼(11)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본체(14)측에 있는 좌 3열의 상품 칼럼(11) 및 도아(15)측에 있는 우 3열의 상품 칼럼(11)은 대량판매 상품용의 장척(長尺)용 상품칼럼(11a) 이다. 또 본체(14)측에 있는 우 7열의 상품 칼럼(11) 및 도아(15)측에 있는 좌 7열의 상품칼럼(11)은 각각 다단으로 구분되어, 각 단마다 길이를 다르게 한 복수의 단척(短尺)용 상품 칼럼(11b)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이들 단척 상품 칼럼(11b)은 다품종 소량 판매 상품용의 상품 칼럼 이다.
장척(長尺) 및 단척(短尺)의 각 상품칼럼(11a, 11b)은 그 내부에 담배 등의 패키지화된 상품(10)을 그 상품 종류별로 분류해서 포개어 쌓아서 수납한다. 또 각 상품 칼럼(11)의 아래쪽 위치에는 상품 칼럼(11)내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된 상품(10)의 재치부(載置部)를 이루는 것과 동시에 최하위치의 상품(10)을 그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기구(12)가 형성된다. 이 상품불출기구(12)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종래부터 여러가지로 제창되고 있는 전송나사 기구식의 것이나 무단 벨트(체인)식의 것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가 특징으로 하는 것은 단척 상품 칼럼(11)을 복수열(7열) 구비한 상품수납부(13)가 본체(14)측에 있어서 4단, 또 도아 (15)측에 3단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각 상품 수납부(13)는 그 상품 칼럼(11)의 상품불출구를 제외한 전면측을 일괄적으로 덮는 상품안내문(17)를 각각 개폐자재로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품안내문(17)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들면 평판상의 투명부재로 되어, 주로 상품 칼럼(11)내에 적층해서 수납된 상품(10)을 그 아래쪽 위치의 상품불출기구(12)상에 안정하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상품안내문(17)는 도1에 도시한 것처럼 전체 상품수납부가 닫혀 있을 때, 그 상하에 위치하는 다른 상품수납부(13)의 상품안내문(17)와 함께 동일 평면을 이루어서 위치되어, 전술한 자유낙하 공간(18)에 있는 상품(10)의 안내벽을 형성한다. 덧붙이면, 각 상품 칼럼(11)의 아래쪽에 설치된 상품 분출기구(12)는 그 광체(筐體)의 전단면(前端面)을 상기 각 상품안내문(17)가 형성하는 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자유낙하공간(18)에서의 안내벽의 일부를 이룬다.
상품안내문(17)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열려져 각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을 개방한다. 특히 상단측의 상품수납부(13)의 상품안내문(17)는 그 상단측을 회동지점으로해서 상측을 향해서 열려진다. 또 하단측의 상품 수납부(13)의 상품안내문(17)는 그 하단측을 회동지점으로 해서 하측을 향해서 열려진다. 이처럼 각 상품안내문(17)의 개방방향을 정함으로써 작업자는 무리한 작업자세를 강요당하지 않고 또 발판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각 상품 칼럼(11)에 대한 상품(10)의 장전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체(14)측 및 도아(15)측에 각각 설치된 상품수납부(13)의 각 상품안내문(17)는 도아(15)가 닫혀있을 때,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평행하게 대치한다. 이들 상품안내문(13)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는 상품(10)의 최대 대각치수보다도 약간 넓은 폭을 가지고 상품(10)의 자유로운 자세에 따른 낙하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낙하공간(18)으로 이용된다. 또 본체(14)측 및 도아(15)측의 각 상품수납부(13)는 그 상품불출부(불출개구부)가 반대측의 상품수납부(13)의 상품안내문(17)에 대치하도록 위치 정해져 있다. 즉, 그 상품불출부의 높이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각 상품수납부(13)의 높이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수납부(13)의, 특히 그 상품불출부의 높이 위치의 설정에 의해 한쪽의 상품수납부(13)의 상품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이 여기에 대향하는 다른쪽 상품불출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다른쪽의 상품 수납부(13)의 상품안내문(17)에 의해 위치규제되어 자유낙하공간내(18)로 확실하게 인도된다. 그리고 상품(10)은 그 낙하자세에 구속됨이 없이 상기 자유낙하공간(18)내를 낙하해서 상품취출구(16)로 인도된다.
이 자동판매기는 상술한 것처럼 각 상품 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한 상품(10)을 상기 자유낙하공간(18)을 통해 자유로운 자세로 낙하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상품 칼럼(11)의 아래쪽에 각각 설치된 상품불출기구(12)는 특별히 상품의 자세를 규제하는 것 없이 불출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에 따라 상품 칼럼(11)도 그 내부에 수납한 상품의 수납자세를 특별히 규제하는 것 없이 상품안내문(17)에서 간단하게 상품(10)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상기 상품을 상품 불출부(최하위치)에 인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 칼럼에서 불출한 상품을 도아부에 설치한 좁은 폭의 상품낙하 슈트내로 확실하게 인도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상품 사이즈에 따라서 조정되는 상품안내기구를 구비하고, 이 상품 안내기구에 의해 상품 칼럼내에 수납한 상품(10)을 상품 칼럼(11)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그 수납 자세를 규제하고 있다. 더욱이 그 상품의 수납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품 불출기구(12)에 의해 압출(壓出)함으로써 상품불출부에서 불출하는 상품의 자세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칼럼(11)에서 불출한 상품(10)이 자유로운 자세로 자유낙하공간(18)내를 낙하하기 때문에 상술한 상품안내기구가 생략되고 있다. 그리고 상품 칼럼(11)내에 수납된 상품(10)은, 그 전면측에 설치된 상품안내문(17)에 의해 일괄적으로 상품 칼럼(11)내에서의 튀어나오는 것(탈락)이 방지되고 동시에 그 포개어 쌓인 상태가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위치 규제된다. 그리고 상품불출기구(12)는 상품(10)의 자세를 특별히 규제함이 없이 상품 칼럼(11)내의 최하위치의 상품(10)부터 순서대로 상기 자유낙하통로(18)내로 불출한다.
또 상품안내문(17)은 상품 칼럼(11)내에 상품(10)을 수납해서 닫혀져 있을 때 상품 칼럼(11)에서의 상품 불출부만을 연 상태로 상기 상품 불출기구(12)의 광체 전단면과 협동해서 자유낙하공간(18)의 안내벽을 형성하는 플랫한 면을 이룬다. 게다가 이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상품안내기구 자체를 구비하지 않아서, 상품 안내기구의 조정부가 자유낙하공간(18)에 돌출하는 것도 없다. 따라서 자유낙하공간(18)은 상품(10)이 그 자세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는 플랫한 공간으로 실현된다.
덧붙이면 도 6에 있어서 부호 21은 상품불출기구(12)에 형성된 압출부재이다. 이 압출부재(21)는 상품 칼럼(11)내의 최하위치에 있는 상품(10)을 그 후단부측에서 압압해서 상품불출구로부터 자유낙하공간(18)내로 압출한다(불출한다). 또 부호 22는 매진 검출 스위치이다. 이 매진 검출스위치(22)는 상품칼럼(11)내에 수납된 상품(10)의 하중을 받아서 스위치 동작해서 상품매진을 검출한다. 이 스위치(22)에 관해서는, 예를들면 압력센서를 이용해서 상품 칼럼(11)내에 수납된 상품(10)의 총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중량을 상품개수로 환산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스위치(압력센서, 22)를 이용해서 설정치(판정역치) 이하의 상품중량 검출을 하고 그것에 따라 상품(10)의 잔량개수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들면 검출중량이 [0]에서 상품매진의 상태가 검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각 상품수납부(13)에 각각 설치된 상품안내문(17)은 그 상단부를 회동지점으로 해서 상방으로 혹은 그 하단부를 회동지점으로 해서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7A, 7B, 7C 및 도 8a, 8B, 8C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이들 각 상품안내문(17)는 그 회동지점측에 회동핀(32)를 가지고, 이들 회동핀(32)을 상품수납부(13)의 측벽(13a)에 설치된 장공(31)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또 동시에 회동자재로써 지지되어 있다. 또 각 상품안내문(17)의 회동단측에 설치된 계지부(33)는 반원고면(孤面)을 구비하고, 이 계지부(33)는 상기 측벽(13a)에 설치된 절단홈부(34)에 끼워진다. 이 절단홈부(34)에는 계지편(3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편(35)은 상기 계지부(33)과 계합(係合)한다. 이 계지편(35)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되어, 그 기단부에 탄성편(36)을 일체로 구비해서 상방으로 치우친 구조를 가진다. 결국 이 계지편(35)은 상기 상품안내문(17)가 닫혀져 있을 때 그 상품안내문(17)의 회동단측에 설치된 계지부(33)와 계합하고 상기 장공(31)과 협동해서 상품안내문(17)를 전후방향으로 위치규제하여 그 상품안내문(17)을 유지하는 역할을 달성한다.
특히 도 7a, 7B, 7C에 나타낸 구조의 계지편(35)은 상품 칼럼(11)에 있는 상품불출구가 그 최하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품(10)의 불출시에 상품안내문 (17)의 회동단부에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본의 아니게 상품안내문(17)가 열리지 않도록 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8a, 8B, 8C에 나타낸 구조의 계지편(35)은 상품 칼럼(11)에 있는 상품불출구가 그 최상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품(10)의 불출시에 상품안내문(17)의 회동단부에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본의 아니게 상품안내문(17)가 열리지 않도록 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덧붙이면, 상품 칼럼(11)에 있는 상품불출구가 그 최상위치에 있고, 상품안내문(17)가 상방을 향해서 열리는 경우에는 상품(10)의 불출시에 작용하는 힘은 상품안내문(17)의 회동기부(지지부)에 가해지는데 지나지 않으므로 상품안내문(17)의 회동단부에 본의 아닌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7a, 7B, 7C에 나타낸 구조의 스토퍼(계지편 35)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상품 칼럼 (11)에 있는 상품불출구가 그 최하위치에 있고, 상품안내문(17)이 하방을 향해서 열리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도 8a, 8B, 8C에 나타낸 구조의 스토퍼(계지편 35)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하여 상기 상품안내문(17)를 열 경우에는 도 7b 및 도 8b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상품안내문(17)를 상기 장공(31)을 따라서 약간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계지부(33)가 계지편(35)에서 빠지기 때문에 상품안내문(17)의 회동단을 앞쪽으로 당겨 이 상태에서 상품안내문(17)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상품안내문(17)이 열린다.
덧붙이면,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안내문(17)을 윗쪽을 향해서 열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상품안내문(17)에 자석(도시하지 않음)을 설치 이 자석을 상품수납부(13)의 상부에 설치한 마그네트 캐처(도시하지 않음)에 흡착시킴으로써 상품안내문(17)를 그 개방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또 도 8b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안내문(17)를 아래쪽을 향해서 열 경우에는, 예를들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수납부(13)의 측벽(13a)과 그 상품안내문(17)와의 사이에 체인(37)을 설치해 두고, 이 체인(37)을 이용해서 상품안내문(17)의 회동각(열림 각도)을 규제한다. 그리고 이 체인(37)에서 상품안내문(17)을 앞쪽으로 연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윗쪽으로 열린 상품안내문(17)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 캐처의 자기력에 대항해서 상품안내문(17)를 내려 누르면 상품안내문(17)는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서 회동한다. 그러면 상품안내문(17)의 회동에 따라 그 상품안내문(17)의 상기 계지부(33)가 상기 측벽(13a)의 절단홈부(34)에 끼워진다. 그리고 도 7c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계지부(33)가 계지편(35)의 선단에 직접 접해서 그 계지편(35)을 내려누르면서 그 내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계지부(33)는 상기 탄성편(36)에 의해 탄성 복귀한 계지편(35)을 계합(係合)해서 도 7a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 로크(lock)된다.
또 아래쪽으로 열린 상품안내문(17)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체인(37)에 의해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품안내문(17)를 들어올려서 그 회동 단부를 상기 측벽 (13a)의 절단홈부(34)에 끼워넣는다. 그러면 계지편(35)이 도 8c에 나타낸 것처럼 계지편(35)의 선단에 직접 접해서 그 계지편(35)을 내려누르면서 그 내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계지편(33)은 상기 탄성편(36)에 의해 탄성복귀한 계지편(35)에 계합해서 도 8a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덮은 위치에 로크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수납부(13)의 측벽(13a)과 그 상품안내문 (17)와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38)을 설치해도 좋다. 이 인장스프링은 상기 상품안내문(17)가 닫혀 있는 상태와 전술한 것처럼 열려진 상태와의 중간위치에서 최대로 늘어나고 이 중간위치를 경계로 해서 다른 방향으로 인장작용을 나타내는 반전 스프링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인장 스프링(38)을 설치하면, 그 인장스프링(38)에 대항해서 그 중간위치(중립점)을 넘을 때까지 상품안내문(17)를 여는 것에 의해 그 상품안내문(17)는 인장 스프링(38)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편기되어 머무른다. 그 결과 상품안내문(38)는 상기 체인(36)에 의해 규제되는 열림상태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상품안내문(38)를 상기 열림 상태위치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회동시키면, 상기 인장 스프링(38)의 중립점(최대 신장위치)을 초과한 시점에서 상품안내문(38)는 그 인장스프링(38)의 힘을 받아서 상방으로 회동편기 된다. 이 결과 상품안내문(38)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38)의 스프링력을 이용해서 상품안내문(17)을 가벼운 힘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인장스프링(38)의 장력을 이용해서 상품안내문(17)을 개폐하는 구조로 해두면 상품안내문(17)가 상품수납부(13)의 병렬배치된 복수의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일괄해서 덮은 대형 형상이라고 해도 상품안내문(38)을 용이하게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절단홈부(34)에 형성된 계지편(35)은 그 자신의 탄성편(36)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해서 회동편기해서 상기 상품안내문(17)의 계합부(33)에 계합하고, 상품안내문(17)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로크한다. 그리고 계지편(35)은 장공(31)과 협동해서 상품안내문(17)의 전후 움직임을 규제하므로 상품안내문(17)과 그 지지구조는 굉장히 간단한 구조로 된다.
또 전술한 것처럼 상품안내문(17)가 자중(自重)에 의한 낙하, 혹은 인장 스프링(38)의 장력을 이용해서 닫히는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상품안내문(17)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아(15)가 닫혀지도록 할 때, 그 상품안내문(17)를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약간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고안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상품안내문(17)를 자동적으로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품안내문(17)을 닫는 것을 잊어버린 상태에서 도아를 닫을 때에도 상품안내문(17)를 확실하게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안은, 예를들면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14)의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판(상품수납부 13의 측벽 13a)(40)에 잘라낸 안내부(41)를 설치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 잘라낸 안내부(41)는 도아(15)측의 상품수납부(13)의 열려진 상태에 있는 상품안내문(17)의 상단부(회동단부)에 직접 접한다. 그리고 상품안내문(17)의 상단부를, 잘라낸 안내부(41)의 가이드면을 따라서 상방을 향해서 위치변위시켜, 인장스프링(38)의 힘을 받아서 상품안내문(17)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위치까지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도아 (15)측에도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같은 안내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4)측에 설치된 상품수납부(13)의 열린 상태의 상품안내문(17)의 상단이 상기 안내부재에 직접 접하도록 한다. 이 안내부재는 그 상품안내문(17)를 상방(또는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품안내문(17)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위치까지 가이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본체(14)측의 상품수납부(13)의 전면에 각각 설치된 상품안내문(17)와 도아(15)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품 칼럼 (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의 자유낙하통로(18)로서 이용한다. 또 본체 (14)측 및 도아(15)측의 상품수납부(13)의 전면에 각각 설치한 상품안내문(1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품 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의 자유낙하통로(18)로서 이용한다. 따라서 이 자동판매기는 종래와 같은 좁은 폭의 상품 낙하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구성을 대폭적으로 간략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좁은 폭의 상품 낙하 슈트를 도아(15)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도아(15)의 이면측에도 상품 수납부(13)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품 칼럼 수를 늘이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의 자동판매기는 상품(10)의 자세에 구속됨이 없이, 그 상품(10)을 자유낙하 시켜서 상품 취출구(16)로 인도할 뿐이다. 따라서 이 자동판매기는 상품 칼럼(11)내 및 그 상품불출구에 있어서 상품(10)의 자세를 규제할 필요가 없고, 종래와 같은 상품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상품안내기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자동판매기는 상품(10)의 최대 대각 치수 보다도 약간 넓은 폭의 상기 자유낙하통로(18)를 필요로 하지만, 상기 상품안내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정도 만큼 불필요한 공간을 생략해서 그 안길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상기 상품안내기구의 조정부에 의해 생기는 그 상품 칼럼(11)의 전면측과 상품낙하슈트와의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품 칼럼(11)의 전면측에 설치된 상품안내문(17) 자체를 자유낙하통로(18)의 안내벽으로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그 안길이치수를 짧게 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자유낙하통로(18)는 도아(15)를 닫아서 자동판매기를 기능시킬 때에만 형성되고, 도아(15)를 열었을 때에는 상품 칼럼(11)에 대한 상품 장전 등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 전체적으로는 상품 칼럼(11)에서 불출한 상품을 반송하기 위한 상품 낙하 슈트 같은 특별한 기구부(유니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상품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해서 저 코스트화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체(14)측 및 도아(15)측에 설치한 상품수납부(13)의 단수와 각 상품수납부(13)에 있는 상품 칼럼(11)의 수, 더욱더는 상품 칼럼(11)의 길이를 임의대로 결정해도 좋다. 또 패키지된 상품(10)으로서는 담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른바 소형의 상자형 패키지화된 각종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취급대상으로 하는 상품(10)의 패키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품 칼럼(11)의 사이즈 등을 정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상품 칼럼(11) 내의 상품(10)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품 칼럼(11)은 그 최하위치의 상품(10)부터 순서대로 불출하는 구조에 대해서 예시하였다. 그러나 스프링력 등을 이용해서 각 상품 칼럼 (11) 내의 상품(1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그 최상위치의 것부터 순서대로 불출하는 구조의 상품 칼럼(11)을 구비한 자동판매기에도 같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불출기구(12)는 각 상품 칼럼(11)의 상방위치에 설치되고, 상품 불출기구(12)의 압출부(푸셔)는 하측을 향하도록 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본체(14)측에 설치한 상품 칼럼(11)은 상품(10)을 전후로 2중으로 설치해서 순차적으로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이른바 더불 칼럼 구성의 것도 좋다. 마찬가지로 해서 도아(15)측에 설치한 상품 칼럼(11)에 대해서도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더블칼럼 구성의 것도 좋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상품안내문(17)는 각단의 상품 수납부(13)마다에 설치되어, 각단의 상품수납부(13)을 이루는 복수열의 상품칼럼(11)의 전면을 일괄해서 덮는 것이다. 그러나 개개의 상품 칼럼(11) 마다에 좁은 폭의 상품안내문을 개폐자재로 설치하여 이들 상품안내문로 전술한 상품(10)의 자유 낙하 통로(18)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 13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 칼럼(11)과 그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나타낸 복수열의 상품 칼럼(11)은, 예를 들면 그 폭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판매기 본체의 배면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복수의 칸막이판(42)에 의해 구획된 세로길이의 상품 수납공간으로 실현된다. 이들 칸막이판(42)은, 예를들면 상단을 L자형으로 구부려 꺽어서 형성된 상품 칼럼(11)의 상단판을 일체로 구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칸막이판(42)은 예를들면 그 안쪽끝 하부에 설치한 돌기(42a)를 상기 배면판에 설치한 슬릿공(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넣고, 안쪽끝 상부에 설치한 고정편(42b)을 상기 배면판에 나사 고정하는 것으로 해서 그 배면판에 부착된다.
또 칸막이판(42)에 의해 구획해서 설정된 상품 칼럼(11)의 하부에는 각각 상품 불출기구(12)가 형성된다. 이 상품불출기구(12)는 그 상면을 상품 칼럼(11) 내에 적층해서 수납된 상품(10)의 재치면으로 한 광체를 가지고 상면(재치면)에 돌출해서 상품 칼럼(11)의 안쪽에서 앞쪽으로 이동해서 최하 위치의 상품(10)을 압출하는 푸셔(압압부재, 12a)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이 도 13에 나타낸 상품불출기구(12)는 그 상면을 따라서 주행구동되는 무단상(無端狀) 벨트(12b)에 그 벨트(12b)보다도 폭넓은 푸셔(12a)를 부착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종래부터 제창되고 있는 방식의 상품 불출기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품불출기구(12)의 상면을 상면(床面), 칸막이판(42)을 측벽면으로 해서 그 전면이 개방된 상품수납공간을 형성한 상품칼럼(11)은 그 전면측의 하방 위치에 스토퍼부(44)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스토퍼부(44)의 상방에 위치해서 좁은 폭의 문체로 된 상품안내문(45)를 개폐자재로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44)는 예를 들면 상기 칸막이판(42)의 전단측하부를 횡방향으로 구부려 꺽어서 형성되어 상기 상품 불출기구(12)의 위쪽에 위치된다.
이 스토퍼부(44)는 상품불출기구(12)의 전단측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상품 불출부(상품불출구)를 형성해서 설치된다. 이 스토퍼부(44)는 상기 상품불출기구 (12)의 작동에 의해 최하위치의 상품(10)이 상기 불출구를 통해서 압출될 때, 최하위치의 상품(10)의 위에 포개어 쌓여져 있는 다음 상품(10)의 전단부에 직접 접해서 그 이동을 저지한다. 즉 스토퍼부(44)는 최하위치의 상품(10)의 불출에 따른 다음 상품(10)의 본의 아닌 불출을 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스토퍼부(44)의 폭은 상품 칼럼(11)의 폭보다도 좁게(반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스토퍼부(44)는 상품 칼럼(11)의 전면하부의 전폭을 덮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품 칼럼(11)의 측벽면(임절판 42)과 스토퍼부(14)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극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극간)은 상품 장전시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 공간(극간)은 상품 불출기구(12)상에 남아 있는 상품 (10)이 작을 때에도 그 상품(10)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창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 이 공간(극간)은 작업자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장전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개방자재로 설치된 상품안내문(45)는, 예를들면 투명한 합성수지재를 몰드성형한 세로길이의 문체로 되어, 상기 스토퍼부 (44) 위쪽에 위치된다. 이 상품안내문(45)는 그 우측단부를 회동축으로 해서 상기 상품 칼럼(11)의 전면 일측부에 회동자재로 취부되어 횡방향으로 회동해서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개방한다. 특히 상품안내문(45)는 그 회동축부에 설치된 탄성체, 예를들면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되게 되어 항상 상품 칼럼 (11)의 전면에 위치된다.
또 이 상품안내문(45)도 그 폭이 상기 스토퍼부(14)와 같이 상기 상품 칼럼 (11)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상품안내문(45)는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위치될 때 그 회동단인 좌측단부와 상품 칼럼(11)의 측벽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극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만약에 상품안내문(45)가 불투명하고 상품안내문 (45)가 닫혀진 상태이어도 상기 스토퍼부(14)의 측부에서부터 이어지는 상기 극간을 통해서 상품 칼럼(1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의 상태와 그 상품종류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설치된 상품안내문(45)는, 예를들면 도 14에 그 외관형상을 나타낸 것처럼 대략적으로는 편평한 3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봉형상의 문체로 된다. 덧붙이면 도 8c는 상품안내문(45)의 상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또 도 15b는 상품안내문(45)의 주체부의 횡단면 형상을, 또한 도 15c는 상품안내문(45)의 선반부의 횡단면 형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상품안내문(45)은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길이의 문체로 되어 그 주체부(45a)의 상단 및 하단에 측방(상품안내문 45의 우측단)으로 돌출한 지지편(45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지지편(45b)의 단부에는 상품안내문(45)의 회동축을 이루는 지지핀(45c)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품안내문(45)는 그 우측단을 상기 상품 칼럼(11)의 전면 일측부에 위치시켜 상기 각 지지핀(45C)을 상기 상단판 및 스토퍼부 (44)에 각각 설치된 축받이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는 것으로써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또 주체부(45a)의 상단의 상기 지지핀(45c)과는 반대측의 부위, 즉 상품안내문(45)의 좌측단부위치에 돌출시켜서 설치된 핀(45d)은 상품안내문(45)를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위치될 때 그 상품칼럼(11)의 전술한 상단판의 가장자리와 스토퍼부 (44)의 상측측부에 각각 계합한다. 그리고 핀(45d)은 상품 칼럼(11)의 개방된 전면에 대해서 상기 상품안내문(45)를 위치결정하는 스토퍼체로써 기능한다.
그리고 상품안내문(45)의 주체부(45a)는 상기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위치될 때 그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평행한 수직면을 이루는 표면(전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 그 이면측은 상품 칼럼(11)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한 2개의 경사진 면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이들 2개의 경사진면의 교차부로서 형성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능부(稜部)는 상기 상품 칼럼(11)내에 수납된 상품(10)의 전단부를 위치 규제하는 가이드부(45e)를 이루고 있다. 즉, 가이드부(45c)는 상품안내문(45)의 이면측에 돌출하는 능부로서 형성되고, 이 능부는 그 상품안내문(45)의 표면위치를 규정하는 회동단보다도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품안내문(45)는 개념적으로는 횡단면 3각형의 1개의 정점을 이루는 우측부를 회동축, 또다른 정점을 이루는 좌측부를 회동단으로 하고, 이들 정점을 연결하는 면을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평행한 수직면을 이루는 표면(전면)으로 하고 있다. 또 남은 정점을 그 이면측으로 돌출한 가이드부(45e)로 하고 그 가이드부(45e)와 상기 좌우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경사면을 이면으로 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덧붙이면, 실제로는 상품안내문(45)의 주체부(45a)는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그 표면측에 오목부를 형성한 이른바 상자형상으로서 실현된다. 이 오목부내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한조의 선반부와 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조의 선반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자형상을 이루는 상품안내문(45)의 전체적인 강도를 확보하면서 그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경우, 상품안내문(45)의 표면(전면)은 상기 각 이면의 측부에 연장된 앞가장자리부와 상기 각 잔부의 전단면(前端面)과에 의해서 규정된 면으로서 실현되고, 실질적으로 1개의 평면으로서 간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품안내문(45)의 표면은 선반부에 의해 구획된 오목부를 가지지만 실질적으로 1개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술한 것처럼 상품 칼럼(11)의 전면에 개방가능하게 설치된 상품안내문(45)는 기본적으로는 상품칼럼(11)에 적층해서 수납된 상품의 전단부의 위치를 규제해서 그 상품의 탈락을 빙지함과 동시에 상품 칼럼(11)내의 상품(10)을 상기 상품 불출기구(12) 상에 가이드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 더해서 상기 각 상품안내문(45)는 도 16에 나타난 것처럼 횡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열의 상품 칼럼(11)에 대해서, 더욱이는 다단으로 구성된 상품수납부(13)에 대해서 설정된 1개의 평면의 일부를 이룬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각 상품안내문(45)의 표면(전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1개의 큰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면이 형성되고 이 평면은 각 상품 칼럼(11)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10)을 상품취출구(16)로 인도하기 위한 자유낙하통로(18)의 벽면으로 이용된다. 즉 전술한 상품안내문(17)과 같이, 상품안내문(45)는 자유낙하통로(18)의 벽면을 구성한다.
그런데 각 상품 칼럼(11)에의 상품(10)의 장전은 전술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맞서서 상품안내문(45)를 횡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상품 칼럼(11)내에 상품(10)을 순차적으로 포개어 쌓아 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후 상품(10)의 장전종료와 함께 상기 상품안내문(45)의 개방위치에서의 유지를 해제하면 상품안내문(45)는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회동부세되게 되어 자동적으로 상품 칼럼(11)의 전면위치로 회동복귀하여 그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닫는다. 따라서 상품(10)을 장전할 때, 예를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상품안내문(45)를 개방위치에 유지해 두지 않는 한, 상품안내문(45)가 닫혀지게 되기 때문에 잊고 닫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한쪽 손으로 상품안내문(45)를 개방위치에 유지하면 그 손을 쓸수가 없으므로 작업자는 한손으로 상품(10)의 장전작업을 진행해야 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나쁘다. 이점은 전술한 구조의 상품안내문(45)에 의하면,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10)의 측부를 상품안내문(45)의 회동단에 걸어 늘어뜨려서 그 상품안내문(45)을 열어둔채로 상품(10)의 장전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품안내문(45)의 회동단(좌측단)은, 그 이면측의 가이드부(45e)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품 칼럼(11)내의 상품(10)의 전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위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품안내문(45)의 폭이 상품 칼럼(11)의 폭보다도 좁고, 그 회동단과 상품 칼럼(11)의 측벽면과의 사이에는 전술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에 상품 칼럼(11)에의 상품(10)의 장전과정을 분해해서 나타낸 것처럼, 우선 경사기울어진 상품(10)의 전단측부를 상품안내문(45)의 회동단에 걸어늘어뜨려 그 상품안내문(45)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다음으로 그 상품(10)을 횡방향으로 조금 움직여 비껴서 상품안내문(45)를 크게 회동시켜서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개방한다. 그리고 그 상품(10)의 측부에서 상품안내문(45)를 개방위치에 유지하면서 그 상품(10)을 상품 칼럼(11)내에 압입한다. 그러면 상품(10)의 압입의 종료와 함께 그 상품에 의한 상품안내문(45)의 개방위치에서의 유지가 해방되므로, 상품안내문(45)는 원위치로 회동복귀해서 상품 칼럼(11)의 전면을 닫게 된다.
이러한 수순을 조작 반복함으로써 상품 칼럼(11)내에 순차적으로 상품(10)을 장전해 갈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상품안내문(45)를 개방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고, 예를들면 양손을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상품의 장전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한손으로 상품 상자(상품이 패키지화된 담배의 경우에는 복수의 담배를 수납한 파셀(parcel))을 껴안은 채로 다른 손으로 거기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10)을 상품 칼럼(11)내에 장전하는 경우에도, 예를들면 팔꿈치로 상품안내문(45)를 개방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장전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이면, 이미 상품 칼럼(11)내에 장전되어 있는 상품(10)을 배제하고, 다른 상품(10)을 장전하는 경우 전술한 것처럼 스토퍼부(44)의 측부에서 상품안내문(45)의 회동단의 측부에 걸쳐서 극간(소정폭의 공간)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품(10)의 배제가 용이하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극간에 손가락을 삽입해서 상품(10)의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집고 이 상태에서 그 상품(10)을 상품안내문(45)의 이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품(10)을 집은채로 손가락을 앞쪽으로 끌어내면 그 상품(10)에 의해 상품안내문(45)가 강제적으로 앞쪽으로 눌려회동하고 상품칼럼(11)의 전면을 개방한다. 이 결과 상품 칼럼(11)에서 어렵지 않게 상품(10)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품(10)의 장전작업 뿐 아니라, 상품 칼럼(11)에서의 상품(10)의 배제작업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품안내문(45)의 폭은 상품 칼럼(11)의 폭의 반정도 내지는 2/3정도면 충분하다. 또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안내문(45)의 전면측에 오목부를 형성해서 경량화를 도모했지만 도 18에 그 개략적인 횡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처럼 중공(中空)형상으로 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간단한 구조의 상품안내부재(45)로서는 도 19 및 도 20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판재를 구부려 꺾어서 그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부(45e)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상품안내문(45)가 합성수지로 되는 경우 이 상품안내문(45)에 탄성체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외 본 발명은 그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상품취출구로 인도하기 위해 상품통로 유니트(상품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품통로 유니트가 없으므로 상품 칼럼에서 상품의 불출자세를 정확하게 규제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상품 칼럼의 전면에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 등도 불필요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상품 칼럼의 전면에 형성된 공간을 상품통로로 적극적으로 이용하므로,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같은 불필요한 공간이 없어진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공간을 없앤만큼 자동판매기의 안거리치수를 짧게 하고, 박형화를 이룰 수 있다. 더해서는 자동판매기의 구성의 대폭적인 간소화와 저 코스트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으로 설치된 상품수납부의 각각에 설치된 상품안내문가, 상품 칼럼에서 인출된 상품의 자유자세에 따른 낙하를 가능하게 하는 상품통로의 안내벽을 형성하므로 그 구성의 대폭적인 간소화를 이룬 자동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도아를 열면 상품통로가 개방되어 상품 칼럼에 상품을 장전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되므로 상품 칼럼에 대한 상품의 장전작업성을 향상시킨 자동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패키지화된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전면(前面)을 해방한 상자형 본체와,
    이 본체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된 도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상품수납부는,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는 복수열의 상품 칼럼과,
    이들 각 상품 칼럼에 각각 설치된 상품 불출기구로서, 그 상품 칼럼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을 그 최상위 또는 최하위에 위치 시킨 상품부터 순서대로 그 상품 칼럼의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기구와,
    그 상품 수납부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되어서,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의 상기 상품 불출기구에 의해 상품의 불출부를 제외한 영역을 덮는 상품안내문으로서, 상기 도아가 닫혀있을 때 그 도아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 통로를 형성하는 상품안내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2. 패키지화된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된 도아부와,
    상기 본체부 및 도아부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되어서 서로 대향배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상품수납부는,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는 복수열의 상품 칼럼과,
    이들 각 상품 칼럼에 각각 설치된 상품 불출기구로서, 그 상품 칼럼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을 그 최상위 또는 최하위에 위치시킨 상품부터 순서대로 그 상품칼럼의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기구와,
    그 상품수납부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되어서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의 상기 상품불출기구에 의해 상품의 불출부를 제외한 영역을 덮는 상품안내문으로서, 상기 도아가 닫혀 있을 때 서로 대향하는 상품수납부 사이에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통로를 형성하는 상품안내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3. 패키지화된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전면을 해방한 상자형의 본체와,
    이 본체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된 도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와를 구비해서 되고, 상기 각 상품수납부는,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서 수납하는 복수열의 상품칼럼과,
    이들 각 상품 칼럼에 각각 설치된 상품불출기구로서, 그 상품 칼럼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을 그 최상위 또는 최하위에 위치시킨 상품부터 순서대로 그 상품 칼럼의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상품불출기구와,
    횡방향으로 회동해서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을 각각 해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상품안내문으로서, 상기 도아가 닫혀 있을 때 그 도아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통로를 형성하는 상품안내문와,
    이들 상품안내문을 각각 회동되게 힘을 가하여 그 상품안내문을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4. 패키지화된 상품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된 도아부와,
    상기 본체부 및 도아부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되어 서로 대향배치되는 복수의 상품 수납부와를 구비해서 되고,
    상기 각 상품 수납부는,
    복수의 상품을 포개어 쌓아 수납하는 복수열의 상품칼럼과,
    이들 각 상품칼럼에 각각 설치된 상품 불출기구로서, 그 상품 칼럼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을 그 최상위 또는 최하위에 위치시킨 상품부터 순서대로 그 상품 칼럼의 전면측으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기구와,
    횡방향으로 회동해서 상기 각 상품 칼럼의 전면을 각각 해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상품안내문으로서, 상기 도아가 닫혀 있을 때 서로 대향하는 상품 수납부 사이에서 상기 각 상품 칼럼에서 선택적으로 불출된 상품을 인도하는 상품통로를 형성하는 상품안내문와,
    이들 상품안내문을 각가가 회동되게 힘을 가하여 그 상품안내문을 상기 각 상품칼럼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도아에 각각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는 이 상품불출부의 높이위치가 상기 본체측과 도아측과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안내문은 투명판재 또는 투공을 구비한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품 수납부의 전면을 덮어 닫혀있을 때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품 수납부 사이에 있어서, 그 상품안내문의 전면을 1개의 평면상에 위치시켜서 상품통로의 안내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상품안내문은 상기 상품 칼럼의 폭보다도 좁은 폭의 문체로 되어, 그 회동단과 상품 칼럼의 측벽면 전단(前端)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해서 그 상품 칼럼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것이고,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품수납부의 각 상품 칼럼 사이에 있어서 그 상품안내문의 전면을 1개의 평면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상품통로의 안내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칼럼의 폭보다도 좁은 폭의 상품안내문은 그 회동단보다도 상기 상품 칼럼의 내부측에 위치해서 상기 상품 칼럼에 수납된 상품의 전단부를 위치규제하는 가이드부를 그 이면(裏面)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안내문과 도아의 이면측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품통로의 폭은 상품의 최대 대각선 길이보다도 약간 넓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도아측의 각 상품안내문 사이에 형성된 상품통로의 폭은 상품의 최대대각선 길이보다도 약간 넓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불출기구는 각 상품 칼럼의 윗쪽 또는 아래쪽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이들 각 상품 불출기구의 광체(筐體) 전단면(前端面)은 상기 상품안내문과 동일면을 이루어서 상기 상품통로의 안내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품 수납부의 전면에 개폐자재로 설치된 상품안내문은 상품 칼럼의 전면을 해방한 상태에서 도아가 닫혀질 때 개방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되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KR1019970063246A 1996-11-28 1997-11-26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KR100264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8164 1996-11-28
JP31816496 1996-11-28
JP06687897A JP3476648B2 (ja) 1996-11-28 1997-03-19 自動販売機
JP97-66878 1997-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98A true KR19980042798A (ko) 1998-08-17
KR100264373B1 KR100264373B1 (ko) 2000-08-16

Family

ID=2640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246A KR100264373B1 (ko) 1996-11-28 1997-11-26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82578A (ko)
EP (2) EP0855686A3 (ko)
JP (1) JP3476648B2 (ko)
KR (1) KR100264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7749A (zh) * 2019-09-26 2020-05-08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适用于蜂蜜饮品贩卖机的防盗窃系统及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644A (ja) * 1998-11-30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DE60135984D1 (de) 2000-05-23 2008-11-13 Munroe Chirnom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lauchlagerung in einem artikelhandhabungsgerät
US6422417B1 (en) * 2000-08-15 2002-07-23 Slim Line Designs Ltd. Cigarette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dispenser
US6571988B2 (en) * 2001-05-30 2003-06-03 Maytag Corporation Article release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WO2003106311A1 (en) * 2002-06-13 2003-12-24 Munroe Chirnomas Article storage magazine for an article handling device
EP2343688A1 (en) * 2003-10-21 2011-07-13 Asahi Seiko Co. Ltd. Automatic coin alig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228296A (ja) * 2004-01-13 2005-08-25 Sanden Corp 自動販売機
US20060043112A1 (en) * 2004-09-02 2006-03-02 Gilmore Mark J Transport mechanism for automated product dispenser
JP2009187265A (ja) * 2008-02-06 2009-08-2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US20100076596A1 (en) * 2008-09-19 2010-03-25 Richard Daniel Graham Article dispenser
WO2014199238A2 (en) * 2013-05-31 2014-12-18 George Plakas Apparatuses for dispensing objec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JP6841143B2 (ja) * 2017-04-14 2021-03-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タバコ自動払出機
JP2019021030A (ja) * 2017-07-18 2019-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EP3460768B1 (de) * 2017-09-26 2020-01-15 Hesa Innovations GmbH Verkaufsautomat
JP7043926B2 (ja) * 2018-03-29 2022-03-3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9191654A (zh) * 2018-07-18 2019-01-11 赵东 一种集卷烟、彩票、品吸烟功能的售卖终端及使用方法
CN109472927B (zh) * 2018-11-13 2023-08-22 深圳市环阳通信息技术有限公司 自助售卖机
CN113057451B (zh) * 2021-03-08 2022-06-10 焦作大学 一种企业档案储存用的智能化档案柜
CN113066233A (zh) * 2021-04-02 2021-07-02 上海点拾科技有限公司 一种plc智能配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73202A (fr) * 1934-02-19 1934-11-15 Wittenborgs Automatfabrik As Distributeur à pré-paiement à piles.
US2952384A (en) * 1956-12-28 1960-09-13 Nat Vendors Inc Vending machine
US2933217A (en) * 1957-04-22 1960-04-19 Ideal Dispenser Co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US3160315A (en) * 1961-03-30 1964-12-08 Publisher S Vending Services I Book vending machine
US3252617A (en) * 1964-03-27 1966-05-24 Universal Match Corp Dispensing apparatus having means to eject articles alternately from two sources of supply
US3601237A (en) * 1969-04-23 1971-08-24 Walter C Ovsienko Cigaret dispenser with conversion kit
US4664289A (en) * 1985-06-03 1987-05-12 Sanyo Electric Co, Ltd. Drug dispensing apparatus
US4850511A (en) * 1987-04-17 1989-07-25 M&M/Mars Dispensing rack
JPH03251995A (ja) * 1990-03-01 1991-11-11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FR2662002A1 (fr) * 1990-05-14 1991-11-15 Business Brains Ind Sa Distributeur automatique de pellicules photographiques ou d'appareils photographiques a usage unique a prepaiement.
US5065897A (en) * 1990-10-25 1991-11-19 Smith Robert D Universal dispensing apparatus for stacked articles
JPH07262441A (ja) * 1994-03-17 1995-10-13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3360526B2 (ja) * 1995-05-11 2002-12-24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3684460B2 (ja) * 1996-05-07 2005-08-1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自動販売機
US5830055A (en) * 1996-11-07 1998-11-03 Telequip Corporation Coin/token canister and ejection mechanism
JPH10297885A (ja) * 1997-04-25 1998-11-10 Takenaka Komuten Co Ltd 高所作業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7749A (zh) * 2019-09-26 2020-05-08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适用于蜂蜜饮品贩卖机的防盗窃系统及处理方法
CN111127749B (zh) * 2019-09-26 2021-10-08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适用于蜂蜜饮品贩卖机的防盗窃系统及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76648B2 (ja) 2003-12-10
EP0855686A2 (en) 1998-07-29
US6082578A (en) 2000-07-04
EP1956567A1 (en) 2008-08-13
JPH10214372A (ja) 1998-08-11
KR100264373B1 (ko) 2000-08-16
EP0855686A3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373B1 (ko)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US7992747B2 (en) Product dispens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holding product
EP2545814A1 (en) Product dispens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holding product
US5065897A (en) Universal dispensing apparatus for stacked articles
EP1337983B1 (en) Automatic dispenser
JP3945851B2 (ja) 自動販売機
JP3542340B2 (ja) 自動販売機
JP3895820B2 (ja) 自動販売機
JP501176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WO2005002997A3 (en) Newspaper vending machine
KR0130748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US20050274731A1 (en) Refillable article storage device
JP352690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0810657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906359B2 (ja) 直積み式自動販売機
JP311567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3262735B2 (ja) 自動販売機
JP5217817B2 (ja) 商品収容装置
JPH1127295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56674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H11175839A (ja) 自動販売機
JP2001229448A (ja) 商品収納投出装置
JPH0816162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室
JPH09161143A (ja) 商品収納投出装置
JP2000315279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