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125A - 내비케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내비케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125A
KR19980025125A KR1019970049832A KR19970049832A KR19980025125A KR 19980025125 A KR19980025125 A KR 19980025125A KR 1019970049832 A KR1019970049832 A KR 1019970049832A KR 19970049832 A KR19970049832 A KR 19970049832A KR 19980025125 A KR19980025125 A KR 1998002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iority
output
navigation apparatu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오무라
고지 호소다
히데아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헨리.디.지. 월레스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899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89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899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3047B2/ja
Application filed by 헨리.디.지. 월레스,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헨리.디.지. 월레스
Publication of KR1998002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Guidance using head up displays or projectors, e.g. virtual vehicles or arrows projected on the windscreen or on the road itse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5Timing of guidance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도하게 정보가 제공되는 일없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제공해야 할 정보가 다수 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도 6의 PR 또는 RK)에 따라 랭크가 높은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정보를 선택된 순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성정보 등을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정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정말로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이고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정보의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자동차에도 급속히 멀티미디어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보의 종류에는 내비게이션정보, VICS정보, 오디오 비쥬얼정보, 라디오, 차재(車載)전화, 문자방송, 차량 시스템 등이 있다.
정보의 멀티미디어화에 있어서 최대의 문제는 대량정보의 동시 발생에 있다. 특히, 운전자가 관여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VICS정보나 음성다중방송 등으로부터의 정보 등이 대량으로 이송되어 온다. 자동차의 멀티미디어화에 있어서의 현저한 특징은, 영상정보는 운전자가 그 영상에 관심을 보이지 않거나, 또는 그 영상의 방향으로부터 시선을 돌리면 대량의 정보가 흐르더라도 운전자의 운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음성정보는 유용한 정보와 무용한 정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 유용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려면 운전자에게 의식을 집중할 것을 강요한다. 또, 건성으로 듣는 것도 상당히 곤란하고, 예를 들면 운전자가 긴급회피동작을 하고 있을 때, 그다지 필요성도 없는 음성이 흘러나왔을 때는 그와 같은 음성정보는 운전자의 운전조작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음성정보의 출력규제에 대해 종래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142994호, 5-203458호, 5-332778호에서는 주로 음성정보출력시의 음량을 제어하고 있다. 그렇지만, 음량을 제어하면 작은 음량의 정보는 오히려 운전자에게 긴장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2-114117호에서는 운전자가 음성에 의한 내비게이션을 원하는 루트를 운전자 자신이 미리 다수 개소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어 불필요한 음성에 의한 유도를 배제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4-1898호에서는 차량속도에 따라 안내문의 음성정보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목표지점근방을 통과하는 시점과 안내정보의 출력이 종료하는 시점을 동기시킴으로써, 안내의 내용과 대상물의 관련을 취하기 쉽게 한 것이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평 5-118866호는 주행횟수를 누적함으로써 각 도로에 대한 숙지도를 판정하고, 숙지도에 따라 음성정보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숙지하고 있는 도로에서는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불필요하므로, 음성정보를 커트하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 2-114117호의 수법에서도 운전자 자신이 음성유도를 설정한 곳에서 멀티미디어정보가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음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동 특개평 4-1898호와 같이, 차량속도에 따라 안내문의 음성정보길이를 제어하여 비록 길이를 짧게 했다고 해도, 다수의 정보가 동시에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목표지점을 지나친 시점에서 그 목표의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동 특개평 5-118866호의 수법은 숙지하고 있지 않은 도로를 주행중에 다수의 음성정보가 동시에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모든 음성정보가 출력되게 되므로, 역시 불필요한 정보가 흘러나오게 되어, 정말로 필요한 정보가 뒤로 미루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 전부는 다수의 정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의식되지 않으므로, 바꾸어 말하면 자동차 멀티미디어시대의 도래를 예기하고 있지 않으므로, 정말로 옥석이 뒤섞인 상태에서 정보를 늘어 놓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과도하게 정보가 제공되는 일없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중요한 정보를 빠뜨리고 듣지 못하는 일이 없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멀티미디어형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주요부분을 차내에서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접속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도 2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접속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3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접속된 각종 미디어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관계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맵의 명칭 및 각 맵에 있어서 참조되는 항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경우의, 각종 정보에 할당되는 속성정보(우선순위, 랭크치, 기억 용량 등)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기억영역의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기억영역의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입력정보 큐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1실시형태에 관계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순서의 메인 루틴를 위한 플로챠트,
도 11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출력 타이밍 레벨LVL의 설정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레벨LVL의 값에 따른 제어동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주행상태의 상위에 의해, 정보제공이 허가되는 랭크의 하한 RKLMT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낸 테이블 도면,
도 14는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정보입력 인터럽트」 루틴의 플로챠트,
도 15는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맵보정」 루틴의 플로챠트,
도 16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맵선택」 루틴의 플로챠트,
도 17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정보제공제어」 루틴의 플로챠트,
도 18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우선도에 따른 처리」 루틴의 플로챠트,
도 19는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출력」 루틴의 플로챠트,
도 20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출력완료」 루틴의 플로챠트,
도 21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에서 이용되는 변수 「제한횟수LMT」의 정의를 주는 테이블 도면,
도 22는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횟수 체크」 루틴의 플로챠트,
도 23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소거」 루틴의 플로챠트,
도 24는 제22도의 「횟수 체크 루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시스템에 쓰이는 음성정보가 음성으로서 출력되지 않은 경우의 2개의 옵션을 지시하는 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주행환경-액선분류를 정의하는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주행환경-액선분류CL의 값에 의해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우선도에 따른 처리」 루틴의 플로챠트,
도 32는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특유한 「예외정보의 처리」 서브루틴의 플로챠트,
도 33은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도 34는 제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도 35는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분류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6은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에 관한 메인루틴을 나타낸 플로챠트,
도 38은 도 37의 플로챠트중「정보제공제어」 루틴의 상세한 플로챠트,
도 39는 도 37의 플로챠트중의 「정보입력」 루틴의 상세한 플로챠트,
도 40은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맵보정」 루틴의 플로챠트,
도 41은 제3실시형태이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맵선택」 루틴의 플로챠트,
도 42는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우선도에 따른 처리」 루틴의 플로챠트,
도 43은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출력」 루틴의 플로챠트,
도 44는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출력완료」 루틴의 플로챠트,
도 45는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소거」 루틴의 플로챠트,
도 46은 제3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횟수 체크」 루틴의 플로챠트,
도 47은 제22도의 「예외정보의 처리」의 동작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제3변형예(제3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의 제어에 이용되는 CL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9는 제3변형예(제3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의 제어에 이용되는 CL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0은 제4변형예(제3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1은 제4변형예(제3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2는 제4변형예(제3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3은 제4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4는 제5변형예(제4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 순서의 일부 플로챠트,
도 55는 제5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6은 제5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테이블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7은 제5변형예(제5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이용되는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8은 제5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59는 제6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유지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0은 제6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1은 제7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2는 제7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63은 제7변형예(제7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4는 제7변형예(제7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65는 제8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6은 제8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67은 제1변형예(제1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제어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8은 제1변형예(제1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69는 제2변형예(제2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의 제어에서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0은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챠트,
도 71a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1b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1c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1d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1e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1f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시간간격의 산출원리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2는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73은 제9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74는 제9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변형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5는 제10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6은 제10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7은 제6실시형태의 제어를 일부변형한 예의 플로챠트,
도 78은 제7실시형태의 제어를 일부변형한 예의 플로챠트,
도 79는 전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0은 전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1은 제1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2는 제1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3은 제1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4는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5는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6은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에 이용되는 테이블 도면,
도 87은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8은 제12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일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89는 제13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차체2:집중제어유닛
3:차재LAN유닛4:RAM 카드 드라이브
5:데이터 운전자6:음성 가이드용 스피커
7:마이크8:디스플레이
9:휴대전화10:조작스위치
11:GPS안테나12:FM안테나
13:전화안테나14:전파 비컨 안테나
15:광 비컨 안테나16:FM 튜너
17:내비게이션 컨트롤러18:비컨신호수신기
19:CD-ROM 체인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제공해야 할 정보가 다수 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랭크가 높은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정보를 선택된 순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자동차의 내비게이션에 적용한 각종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후술하는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자동차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비행기나 선박 등의 이동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우선,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및 그것들의 변형예)에 관계된 내비게이션 장치에 공통인 시스템구성을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운전석에서 본 전방시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2는 집중제어유닛TWS으로, 주행상태에 관한 각종 데이터(연료잔량, 편균연료소비율, 평균차속등)의 산출이나, 이하의 각 구성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3은 차재LAN유닛인데, 예를 들면 앤티 로크 브레이크 시스템ABS이나 4륜구동제어 등의 제어에 필요한 도시하지 않은 센서 및 구동부와 집중제어유닛(2)과의 소위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통신을 제어한다. 4는 RAM카드 드라이버로서, 예를 들면 시트위치, 밀러위치 등 운전자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RAM카드의 데이터판독/기록장치이다. 5는 데이터 드라이버로서, 예를 들면 FD(플로피 디스크), MD(광자기 디스크), PD(상전이 형광디스크) 등의 데이터 기억매체에 기억한 각종 정보의 판독/기록장치이다. 6은 음성 가이드용 스피커로서, 내비게이션 컨트롤러(17)부터의 음성정보가 집중제어유닛(2)내의 음성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다. 7은 마이크로서, 조작자의 음성에 의한 지시가 집중제어유닛(2)내의 음성인식 인터페이스(도시생략)를 통해 내비게이션 컨트롤러(17)에 입력된다. 8은 액정표시등의 디스플레이로서 내비게이션 화면, 각종 입력조작용 화면, 차량의 상태(차속, 공조설정 등)가 표시된다. 또, 디스플레이(8)의 전면에는 그 표시에 따 라 터치조작에 의한 입력조작이 가능한 정전용량방식이나 적외선방식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9는 휴대전화로서 전화 안테나(13)가 접속된다. 10은 조작 스위치로서, 집중제어유닛(2) 및 내비게이션 컨트롤러(17)에 대한 입력 조작을 한다. 17은 내비게이션 컨트롤러로서,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안테나(11)로부터의 위치정보와 CD-ROM 체인저(19)에 탑재된 CD-ROM의 지도정보에 의거해서 조작자가 조작스위치(10) 등에 의해 지정한 목적지까지의 적당한 경로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8)상의 표시 및 음성 가이드용 스피커(6)로부터의 음성출력에 의해 유도를 한다. CD-ROM 체인저(19)에 의해 판독되는 CD-ROM의 지도 정보는 디스플레이(8)에 표시한 경로정보의 기본 정보이다.
또, 내비게이션 컨트롤러(17)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FM안테나(12)로부터의 VICS 대응의 FM 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FM튜너(16), 그리고 전파비컨안테나(14) 및 광비컨안테나(15)로부터의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비컨 신호 수신기(18)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것들에 의해 얻어지는 VICS신호 및/또는 비컨 신호를 교통규제정보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8)에 표시하여 경로유도시의 경로검색의 조건(제약조건)으로 사용한다. 또, 주행경로 주변의 지역정보를 데이터 드라이버(5) 등으로부터 입력하여 표시정보에 이용해도 좋다. 한편, GPS에 의한 자차 위치의 검출수법은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부터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불필요하거나, 또는 너무 다량이어서 불쾌감을 줄 지도 모르는 정보(특히 음성정보)는 그 제공을 억제하거나, 혹은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특히 다수의 음성정보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라도, 일시적으로는 1개만의 음성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본질이니까. 1개의 음성정보만을, 즉 상기 다수의 음성정보중에서 특정한 1개의 정보만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그 1개의 음성정보는 정보 자체가 가진 우선순위와, 정보와는 독립된 주행조건(주행상태, 주행환경, 주행시간대, 주행목적 등)과의 관련성에서 생기는 그 정보는 「중요성」에 의거해서 선택된다. 또, 상술한 경합이 있었을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이 갖추어지면 소거되는 정보도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는 소거되는 취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혹은 그 음성정보가 대신에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도 1에 나타낸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8)에는 터치 채널이 설치된다.
도 79는 그 터치 패널을 통해 설정된 정보를 요구하는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시스템에는,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뉴스」 「날씨」 「스포츠」 「교통정보」 「가솔린」(GAS)등 6가지 쟝르의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79는 그들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기능버튼(터치패널을 통한 스위치)을 나타낸 것이다. 특정한 스위치를 누르면 눌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만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정보쟝르스위치(도 79)는 현시점의 주행상태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쟝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GAS」의 쟝르는 남은 가솔린이 적다는 차량정보를 TWS컨트롤러가 받고, 이것에 응답하여 「GAS」 메뉴를 표시한 것이다. 이 표시는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각종 정보로부터 판단하여 표시를 결정한 것이다. 도 79의 또 다른 예에서 웨이퍼가 동작하면 시스템은 비가 내린다고 판단하고, 「날씨」 메뉴를 표시한 것이다.
도 80은 이 시스템에 준비된 각종 기능을 요구하는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캔슬」 스위치는 지금 선택중인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캔슬하는 것이다. 「리피트」 스위치는, 현재 안내중인 정보(데이터 드라이브장치(5)에 기억되어 있다)를 최초의 항목으로부터 재생한다. 「음성 메인」 스위치는 음성으로의 정보를 안내할지의 여부를 전환한다.
「음성요구」 스위치는, 본 시스템에 특유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를 누르면, 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멀티미디어정보를 소정의 순서대로 제공한다.
「스킵」 스위치는, 항목 또는 쟝르를 1개 건너뛰는 기능을 갖는다.
「선택」 스위치는, 정보의 쟝르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펑션」 스위치는 특정한 항목을 기억시키고, 그 정보만을 직접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미디어 및 정보의 종류)
도 1∼도 3 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대상이 되는 정보는 미디어는 NAVI. VICS, 오디오, 라디오, 차재전화, 문자방송, 차량 시스템 등이다. 그리고, 이들 미디어로부터의 정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정보, NAVI정보, VICS정보, 오디오, 차재전화정보, 문자방송정보 등이 있으며, 이들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다.
(우선순위, 주행조건에 의한 정보제공의 규제)
본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차량정보, NAVI정보, VICS정보, 오디오, 차재전화정보, 문자방송정보 등을 내비게이션에 필요한 정보로서 이용한다. 그렇지만,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제공해야 할 정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정상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동시다발의 정보제공은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쉽고, 나아가서는 대응할 수 없는 정보제공은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정보가 음성정보일 때에는 특히 그렇다.
그래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동시에 정보가 존재할 때 중요한 정보에 우선순위를 주거나 혹은 소정의 조건에 있어서 불필요하다라고 생각되는 미디어로부터의 정보를 규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이제부터 설명하는 각종 실시형태에 있어서, 운전자가 선택가능한 맵의 에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주행조건(예를 들면, 차속, 차간거리, 오토크루즈상태 등)이 여러가지로 변화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주행조건의 변화에 따라 정보 규제의 상태를 달리 한 것이다. 단, 멀티내비게이션에서는 정보란, 규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긴급성이 높은 긴급정보(사고정보)로부터 음악프로그램의 타이틀 등과 같이 전혀 긴급성이 없는 정보까지 다방면에 걸친다. 정보제공의 규제는 제공시의 주행조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그 때문에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주행조건의 변화에 따라 정보규제의 상태를 다르게 한 것이다. 단, 주행조건이라고 하더라도 각 운전자에 의해서, 또 운전자가 주행하고 있는 도로 등에 따라서 가지각색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조건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상태」, 「주행상태」, 「주행환경」, 「주행목적」, 「시간대」, 「운전자의 상태」, 「정보의 정밀도」라는 7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즉, 주행조건을 7종류로 분류하여, 각 주행조건에 대해 정보의 규제상태를 규정하는 맵을 설정한다. 한편, 운전자에 대해서는 각 주행조건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참조항목을 운전자에게 표시(디스플레이(8)에)함으로써, 어떤 맴을 선택하면 어떠한 정보규제가 행해지는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맵의 선택은 도 16의 제어순서(후술)에 따라 행해진다.
(데이터, 테이블 등의 정의)
먼저, 「주행상태」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를 제1실시형태로서 도 4∼도 23 등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1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또다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종류 및 정보의 종류에 미리 주어져 있는 갖종 속성을 정의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정보의 종류로서 「긴급정보」, 「차량정보」, 「VICS정보」, 「교통정보」, 「NAVI정보」, 「날씨정보」, 「뉴스」, 「스포츠정보」, 「이벤트정보」, 「음악 타이틀」이라는 10종류를 설정하고 있다. 특히, 도 6의 테이블은 각 종류의 정보에 대해 「종류KND」, 「우선순위」 PRD, 「랭크(디폴트값)」 RKD, 「랭크(보정치)RKC」, 「용량(D값)」 CAPD, 「용량(변경치)」 CAPC, 「잔량」 REM, 「포인터」를 정의한다.
각 미디어로부터 입력된 정보에는그 정보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PRD, 「랭크(D값)」 RKD, 「랭크(보정치)RKC」, 「용량(D값)」 CAPD. 「용량(변경치)」 CAPC, 「잔량」 REM이 붙여져서 예정된 메모리에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정보에는 그 종류를 표시하는 식별자KND가 붙여진다. 예를 들면 KND=3의 정보는 VICS정보이다, 또한, 각 종류의 정보에는 미리 「우선순위」 PRD가 설정되어 있다. 「우선순위」 PRD의 값은, 그 정보를 제공할 때의 우선순위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VICS미디어로부터 입력된 정보에는 KND=3의 식별자가 주어지고, 그 우선순위PR의 값은 “3”개이다. 우선순위는 그 값이 작을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따라, 차량화재나 터널사고 등의 「긴급정보」 (KND=1)가 가장 높은 우선도가 주어진다. 도 6에 나타낸 「우선순위」 PRD는 디폴트값을 의미하며, 그 디폴트값으로부터 운전자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우선순위치 PRC는 도 6의 테이블의 PRC에 기억된다.
「랭크」 RKD란 우선순위의 랭크값(단 디폴트값)을 의미하며, 값으로서 “A” “B”∼“E”가 일례로서 설정되어 있다. 「랭크」는, 우선도의 기준을 나타내는데, 도 6의 예에서는 「VICS정보」 (PRD=3), 「교통정보」 (PRD=4), 「NAVI정보」 (PRD=5)에는 같은 「랭크치」 (=C)가 주어지고 있다. 랭크치가 어떻게 제어에 활용되는지는 제어순서의 설명으로 분명해진다.
「용량」 CAPD란, 그 종류의 정보에 허용되고 있는 기억영역의 용량값(디폴트값)을 의미한다. 도 7은 메모리영역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각종 정보에는그 정보에 따라 기억 용량의 제한은 있지만, 긴급정보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정보만은 「긴급정보」에 주어진 용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프리영역」 (도 7중 4MB의 영역(7))으로 대피가능하다.
각종 정보로 설정된 용량CAP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경가능하다. 도 8은 변경화면을 나타낸다. 변경된 용량치는 도 6의 테이블의 CAPC에 기억된다.
도 6의 테이블의 「잔량」REM은 대응하는 종류의 정보에 대하여 남아 있는 기억영역의 잔량을 기억한다. 만약에 잔량을 초과한 정보가 입력되려고 할 때에는 그 정보가 긴급정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자정보(변환이 가능하면)로 변환되어 기억되지 않는다.
포인터PTR는 입력정보가 맞으면 그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9은 입력된 정보 및 출력할 예정인 정보의 리스트를 나타내며, 큐테이블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시간t3에 있어서 그 시간t3까지 입력된 정보가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시간t1에 데이터=X의 차량정보(KND=2)가, 시간t2에 데이터=Y의 교통정보(KND=4)가, 시간t3에 데이터=Z의 긴급정보(KND=1)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정보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포인터(r)에 의해 표시된 위치의 테이블안에 격납된다.
도 9의 「입력큐」 IQ는 정보의 입력이 있고, 이 정보의 처리의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출력중」 그래프OUTP가 “1”인 것은, 이 정보가 현재출력(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출력큐」 플래그OUTQ가 “1”인 것은 대응하는 정보가 출력되기 위해 큐닝되고 있음(아직 출력되고 있지는 않다)을 나타낸다.
(제1실시형태)…주행상태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
우선, 「주행상태」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를 제1실시형태로서 도 4∼도 23 등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1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메인루틴을 나타낸다.
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도시하지 않은 언에이블 스위치(EN-SW)의 온/오프에 의해서 그 동작의 부세(스텝S100)/소세(스텝S700)를 규정한다. 즉, EN-SW가 온되어 있는 한은 스텝S101∼스텝S600의 메인루틴이 실행된다.
스텝S101은 여러가지 정보의 입력 루틴이다. 즉, 스텝S101에서는, 각종 멀티미디어로부터의 정보입력(스텝S300=도 14)이나, 운전자가 맵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의 입력 루틴(스텝S200=도16)이나, 선택한 맵중의 데이터를 보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정보으 입력 루틴(스텝S400=도15)이 실행된다.
스텝S120에서는, 입력정보 테이블(도 9)을 스캔하여 입력플래그IQ가 “1”로 되어 있는 정보(음성정보로서 처리되어야 할 정보)를 찾는다. 그와 같은 정보가 발견되면 스텝S500으로 진행하고, 그 정보를 제공해야 할지 아닐지에 대한 제어동작을 한다. 스텝S500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8에 나타냈다.
제1실시형태의 제어특징은 도 13과 도 11의 테이블에 의해 표시된다.
즉, 도 13에 나타낸 우선도 하한테이블은 음성으로서 제공해야 할 정보가 있을 때, 그 제공시점에서의 차량의 주행상태STAT와, 그 정보의 랭크값RKC을 규제하는 하한치RKLMT와의 관계를 정의한다.
지금, 예를 들면 도 9와 같은 입력정보(X, Y, Z)가 제공되어야 할 음성정보로서 메모리에 기억되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현재의 차량이 급제동상태일 때에는 하한치RKLMT는 A이기 때문에, 랭크치가 A 이상의 우선도를 가진 정보반이 제공되어야 할 정보로서 인식된다. 따라서, 이 때는 랭크치가 각각 “B” 및 “C”인 정보 X와 Y는 음성정보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한편, 현재의 차량이 후퇴상태일 때에는 하한치RKLMT는 “C”이기 때문에 랭크치가 “C” 이상의 우선도를 가진 정보만이 제공되어야 할 정보로서 인식된다. 따라, 이 때는 랭크치가 각각 “A” 및 “B” 및 “C”인 정보 X와 Y와 Z 전부(도 9의 예에서는 전부)가 음성정보에서 제공된다.
이렇게 해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음성정보로서 제공해야 할 정보가 동시에 다수 존재할 경우, 주행상태(도 13의 STAT로 표시된 예를 들면 7가지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우선도한도RKLMT(우선순위의 정도)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선별된다.
우선도한도RKLMT(우선순위의 정도)에 의한 정보제공의 규제는, 우선도한도RKLMT 이상의 랭크를 갖는 정보가 다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의 제공에 우선순위를 줄 수 없다. 그래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우선도한도RKLMT에서는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간에 절대적인 우선순위를 줄목적으로, 정보의 종류KND에 일의적으로 할당되고 있는 우선순위PRC에 따라 정보의 제공에 일의적인 순서관계를 주는 것이다.
우선도한도RKLMT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를 행함으로써, 주행상태에 따라는 당연히 고려할 필요가 없는 정보를 제어대상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우선순위PRC(또는 PRD)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를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도 23을 이용해서 제1실시형태의 정보입력제어, 정보제공제어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어떠한 입력이 있을 때에는 도 10의 스텝S101에서 그 입력은 멀티미디어정보의 입력인지, 맵을 선택하기 위한 운전자에 의한 입력인지, 맵의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운전자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입력항목의 선택은 디스플레이(8)상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스위치의 선택을 조작스위치(10)를 통해 행함으로써 실현되고, 이 아이콘의 제어는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맵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맵선택 메뉴의 선택)이 있을 때에는, 도 16의 스텝S204에서 선택가능한 맵의 항목을 디스플레이(8)상에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표시한다. 운전자(유저)는 디스플레이(8)의 표시화면상에 있어서 조작스위치(10)를 조작하여 원하는 맵을 선택한다. 시스템은 스텝S206에서 유저가 지정한 맵의 식별자ID를 입력하여, 스텝S208에서 선택된 맵을 표시한다. 유저가 만일 ID=2의 「주행상태」를 선택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행상태에 대응하는 우선도하한의 정의테이블」이 표시될 것이다.
유저가 스텝S101에서 맵의 보정을 선택하면, 도 15의 스텝S400 이하가 실행된다. 즉, 스텝S400에서 레지스터ID에 유지되어 있는 값에 대응하는 맵이 디스플레이(8)상에 표시된다. 스텝S402에서는 유저가 입력한 맵데이터의 보정치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도 13의 맵에 있어서 주행상태 「후퇴」의 하한치RKLMT를 현지의 “C”에서 “B”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404에서는, 데이터의 보정과 기존 데이터와의 정합성 체크를 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도 13의 맵에 있어서 주행상태 「후퇴」의 하한치RKLMT를 현재의 「C」에서 「E」로 변경한 경우, 「후퇴」의 하한치RKLMT에 “E”가 있을 수 없다고 한 경우에는 에러로서 인식된다. 스텝S406에서는 보정후의 데이터에 의해서 맵을 갱신한다.
스텝S101에서 멀티미디어정보가 입력된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도 14의 스텝S302 이하를 실행한다. 즉, 스텝S304에서 해당 입력정보의 종류 KND를 인식하다. 정보의 종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정보」 등 10종류를 설정하고 있지만, 집중제어유닛(2)은 정보의 소스에 따라 그 소스로부터의 정보에 종류KND를 할당한다. 또한, 정보에 따라는 정보중 특정한 필드에 미리 정해진 정보의 종류를 나타낸 식별자를 갖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는 그 정보 자신이 나타내는 그 종류를 우선해서 할당한다. 스텝S306에서는 해당 종류의 정보KND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면 「우선순위」 PRD 및 「랭크치」 RKC를 도 6의 테이블로부터 참조하여 도 9의 정보입력 테이블에 받아들인다. 스텝S308에서는 당해 입력된 정보의 데이터량DV를 조사한다. 스텝S310에서는 데이터량DV와, 이 종류의 정보로 허용되고 있는 기억영역의 잔량REMKND을 비교하고, 기억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DVREMKND (스텝S310에서 NO)이면 해당 정보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드라이브(5)중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 스텝S322에서는, 데이터 드라이브(5)중에 있어서의 다음 기억영역을 나타내기 때문에 포인터 PTR를 갱신하다. 그리고, 스텝S324에서는 정보테이블(도 9)중의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큐 플래그IQ(도 9 테이블중에서 포인터r에 의해서 참조된다)를 “1”에 세트함으로서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고, 해당 정보의 처리를 요구한다. 스텝S326에서는 포인터r를 갱신한다.
DVREMKND라고 한 것은 그 정보를 기억하는 만큼 기억영역에 잔량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스텝S328에서 해당 정보가 긴급정보인지의 여부를 그 정보의 KND에 의거해서 조사한다. 긴급정보이면 스텝S340에서 프리영역(도 7 참조)에 긴급정보를 대피시킨다. 스텝S342에서는 해당 정보(긴급정보)를 위한 기억영역을 나타낸 포인터 PTR를 그것이 다음 격납위치를 나타내도록 갱신한다. 그리고, 스텝S342에서는 정보테이블(도 9)중의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큐 플래그IQ(도 9 테이블속에서 포인터r에 의해 참조된다)를 “1”에 세트하여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고, 해당 정보의 처리를 요구한다. 스텝S344에서는 포인터r를 갱신한다.
또, 기록영역을 절약하기 위해 불필요해진 정보는 정기적으로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여리서 「불필요해진 정보」란, 일정시간 경과한 정보, 이미 통과해 버린 지점에 관한 교통정보, 라디오를 듣고 있지 않을 때의 곡명 등이다.
긴급정보가 아닌 정보가 입력되었지만, 기억 잔량이 모자라는 경우에는(스텝S328에서 NO) 스텝S330에서 표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표시모드 스위치는, 식별자ID=8의 스위치로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제공이 규제될 예정인 음성정보를 대신에 표시장치(도 1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지, 음성정보가 규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지를 지정할 수 있다. 도 24중의 EN스위치를 선택하면, 음성정보가 규제된 경우에 대체표시를 유저가 바라고 있는 것이 시스템에 통지된다. 「변환표시」가 선택되면, 음성정보가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대체출력되는 모드가 선택되고, 「메시지표시」가 선택되면 음성정보가 규제된 것을 의미하는 문자 메시지에 의한 대체표시가 행해진다. 「변환표시」 모드로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S338에서 해당 음성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8)에 표시하지 않고,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은, 운전자가 「표시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것은, 정보가 비록 중요하지 않은 것이더라도 완전히 통지되지 않은 것을 운전자가 원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고, 운전자의 주의를 보다 환기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메시지표시」 모드가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S332에서 기억되지 않은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8)에 표시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은 것은, 「표시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것은, 운전자가 표시에 의해서 번거로워지고 싶지 않은 것을 의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미디어 별로, 나아가서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기억영역을 설정함으로써, 발생빈도가 높은 정보(중요도는 낮을지도 모른다)에 의해서 데이터 기억장치(5)가 특정한 정보에 의해 점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기억영역을 유저가 지정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그 유저에게 있어서 보다 중요한 정보에는 보다 많은 영역을 할당시킴으로써, 중요한 정보가 기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긴급정보에는 특별한 영역(프리영역)을 마련함으로서 긴급정보의 수신에 대비할 수 있다.
도 14의 플로챠트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의 입력이 있으면 그 정보에는 처리될 것을 요구하는 플래그IQ가 “1”에 세트되어 있다. 스텝S120에서는 데이터기억장치(5)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플래그(IQx)의 셋트상태를 조사한다. 즉, 스텝S120에서는 모든 정보에 대해, IQx=0인지, IQx=1인 모든 정보는 이미 출력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즉 IOX=1인 모든 정보 x에 대해 OUTPx=1이면, 스텝S500, 스텝S600은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스텝S120에서, IQx=1이고, 또 OUTPx=0인 정보x가 존재할 경우에는 스텝S500의 「정보제공제어」(상세한 것은 도 17) 순서를 실행한다.
도 17의 스텝S502에 있어서, 해당 정보의 인수(引數)x를 레지스터n에 대피한다. 스텝S504에서는 차량의 주행상태STAT를 조사한다. 차량의 주행상태STAT로는 「급선회」 「급제동」 「후퇴」 「차선변경」 「좌우회전」 「급가속」 「통상」의 7종류를 상정하고 있다. 스텝S506에서는 검출한 주행상태STAT에 따라 「우선도 하한치RKLMT의 정의테이블」 (도 13)로부터 하한치RKLMT를 판독한다. 스텝S508에서는 요구된 정보의 랭크치RKC와 하한치RKLMT를 비교하여, RKCnRKLMT인 정보만을 스텝S520에서 정보제공의 고려대상으로 한다. 따라, RKCnRKLMT인 정보n는 정보제공이 연기된다. 즉, 스텝S510로 진행하여 도 9의 대기행렬을 갱신한다. 이 갱신은 스텝S508에서 일단 체크된 정보n는 대기행렬의 마지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같은 정보가 연속해서 도 17의 처리 대상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스텝S510에서의 처리로서, 정보제공(즉, 음성출력)을 대기시키는 제어 대신에 해당 정보를 클리어하도록 해도 된다.
도 26에 어떤 주행상태(급선회)중에 발생한 정보가 그 주행상태가 해제(예를 들면, 통상주행으로의 이행)될 때가지 정보제공이 연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정보가 제공해야 할 것으로서 동시에 다수 존재할 경우, 주행상태에 따라 적정한 정보(RKCRKLMT)만을 선별하여 정보제공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정말로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스텝S508에서 RKCnRKLMT라고 판정하면, 해당 정보n는 정보제공의 고려대상이기 때문에, 스텝S520에서 이 정보n가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이 판단은 우선도PR와 랭크치RK에 따라 실시한다.
다음에, 스텝S520에서 행해지는 「우선도에 따른 정보의 제공」 서브루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서브루틴은 도 18에 의해 표시되며, 제어의 개략은 도 12에 의해 설명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 13의 테이블RKLMT은 주행상태에 따라 제공이 필요한 정보와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별하는 것이다. 이 하한치RKLMT만으로는 같은 랭크치RKC를 갖는 정보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에, 그들 정보의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없다. 그래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출력 타이밍의 긴급도레벨LVL이라는 것을 그 정보의 랭크치PRC와 그 시점에서의 주행상태STAT의 의거해서 정의하며, 이 레벨치LVL(=1∼3)에 의거해서 경합하는 정보를 조정한다.
도 11은 정보(입력정보 또는 출력중인 정보)의 랭크와, 그 시점의 주행상태STAT에 의거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해당 정보의 출력타이밍(출력의 긴급도)을 나타내는 레벨LVL의 생성논리를 설명한다. 이 레벨LVL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출력(제공)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데 쓰인다. 즉, LVL은 정보(이제부터 출력되어야 할 정보, 또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큐잉되어 존재할 때, 그 정보는 그 정보가 갖는 랭크치RKC와 그 시점의 주행상태에 비추어 봐서 그 정보가 이제부터 출력되어야 할 정보라면 출력을 해야할지 혹은 대기시켜야 하는지를 판다하거나, 또는 그 정보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정보라면 그 출력을 계속시켜야 할지 중단시켜야 할지를 판정하는 데 쓰인다.
도 12는 도 18에 있어서 제어순서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벨LVL은 이미 출력되고 있는 정보(편의상, 「출력중 정보」라고 한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다. 즉, LVL은 「출력중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한창일 때 「입력정보」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입력정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판단하는 데 쓰인다. 또한, 「출력중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LVL은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을 중지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에 쓰인다.
출력중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스텝S522에서 NO라고 판단된다. 다음에, 스텝S550에서 입력정보n의 레벨LVLn값을 조사한다. LVLn값이 “1”일 때에는 스텝S554로 진행하여 그 입력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S554에서 해당 정보n의 출력큐 플래그OUTQn를 “1”로 한다. 이에 따라, 레벨LVLn이 “1”인 입력정보는 출력되게 된다. LVLn이 “1”인 입력정보란, 예를 들면 모든 주행상태에 있어서 랭크가 “A”인 정보를 랭크가 “B” 또는 “C”에 대해서는 주행상태가 「후퇴」 「차선변경」 「좌우회전」 「급가속」 「통상」 뿐인 경우에 있어서는 정보를, 랭크 “D”에 대해서는 주행상태가 「차선변경」 「좌우회전」 「급가속」 「통상」 뿐인 경우에 있어서의 정보를, 랭크 “E”에 대해서는 통상주행상태 뿐인 정보를 말하기로 한다.
입력정보의 레벨이 “2”일 때에는 도 18의 제어순서는 아무것도 실시하지 않는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레벨이 “2”인 정보란, 「급선회」 「급제동」 및 「경로유도중」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B” “C” “D”인 정보를, 「후퇴」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D”인 정보를, 「좌우회전」 「급가속」 「경로유도중」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E”인 정보를 말한다. 레벨 “2”의 정보, 예를 들면 급선회중이나 급제동중의 「차량정보」 등은 긴급성이 없기 때문에 제공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그와 같은 입력정보는 대기하기 위해 스텝S552에서 원래의 루틴으로 리턴하는 것이다. 또, 대기된 입력정보는 주행조건이 변화하면, 예를 들면 「급제동중」 상태이기 때문에 대기된 「차량정보」는 차량이 「차선변경」 상태로 이행하면, 대기는 해제되어 출력(그 밖에 경합하는 정보가 없으면)돠게 된다.
도 27에는 LVL=2의 정보가 대기되는 예를 나타냈다.
한편, 입력정보가 레벨 “3”의 정보였을 경우에는 스텝S560 이하로 진행한다. 레벨 “3”의 정보란, 「급선회」 「급제동」 「후퇴」 상태에 있어서의 랭크 “E”의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레벨의 정보는 긴급성이 없기 때문에 제공은 금지되고, 정보자체도 클리어된다. 즉, 스텝S560에 있어서, 해당 정보n의 큐 플래그IQn는 리세트되어 (도 9의 큐테이블로부터도 삭제된다), 스텝S562에서 음성 데이터자체도 클리어된다. 우측(564)에서는 음성정보가 클리어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8)에 표시된다.
출력중 정보가 있는 경우(스텝S522에서 YES의 판단)에는 스텝S524로 진행하여 그 출력정보의 인수x를 레지스터k에 대피시킨다. 스텝S528에서 그 출력중 정보의 레벨LVLk값을 조사한다.
출력중 정보의 LVLk값이 “1”일 때에는 원래의 루틴으로 리턴한다. 즉, 출력중 정보의 레벨이 “1”인 경우에는,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도 계속되지만, 입력정보에 대해서는 그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대기되게 된다. LVLn이 “1”인 출력중 정보란, 도 11의 정의 에 따르면 「급선회」 「급제동」 「경로유도범위」의 주행상태에 있어서는 랭크 “A”의 경로를, 「후퇴」시에 있어서는 랭크 “C” 이상의 정보를, 「차선변경」 「좌우회전」 「급가속」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 “D” 이상의 정보를, 「통상」 상태에서는 모든 랭크의 정보를 의미한다. 레벨 “1”의 출력중 정보는 이와 같이 긴급성이 있는 정보 또는 해당하는 주행상태에 있어서 출력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을 게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레벨 “1”의 상태에 있어서 출력중 정보가 존재하고 있을 때 랭크 “A”의 입력정보(예를 들면 「긴급정보」)가 발생한 경우가 문제가 된다. 특히, 그 출력중 정보의 랭크가 “A”보다도 낮은 “B”와 같은 경우에는, 이 랭크 “A”의 입력정보가 대기될 가능성이 있는 때문이다. 도 11의 레벨설정에 따르는, 그 랭크 “A”의 입력정보가 대기되는 것은, 그 랭크 “B”의 출력중 정보가 「긴급선회」 도 「긴급제동」도 아닌 주행상태에서 출력되고 있을 때이다. 따라, 「긴급선회」도 「긴급제동」도 아닌 주행상태에 있어서, 랭크 “A”의 입력정보가 대기되더라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텝S508(도 17)의 동작에 의해, 「긴급선회」 「긴급제동」 중에는 랭크 “A” 이외의 입력정보가 출력되기 때문에 처리되는 일은 없다. 따라, 「긴급선회」 또는 「긴급제동」 중에 있어서 랭크 “A”의 입력정보가 발생했을 때 랭크 “B” 이하의 정보가 이미 출력되어 있다는 사태는 제1실시형태에 의해서는 발생할 수 없다.
스텝S528에 의해 출력중 정보가 레벨 “2”의 정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530에 있어서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플래그OUTRk를 리세트하고, 스텝S532에서 있어서, 그 출력중인 정보k를 출력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플래그IPk를 “1”에 세트한다. 출력을 중단한 정보가 다음에 출력되는 것은 중단의 원인이 된 주행상태가 변화한 경우이다.
여기서, 레벨이 “2”인 출력중 정보란, 도 11로부터, 「급선회」 「급제동」 및 「경로유도중」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D” 이상인 정보를, 「후퇴」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D” 이상인 정보를, 「좌우회전」 「급가속」 「경로유도중」 상태에 있어서는 랭크가 “E” 이상인 정보를 말한다. 레벨 “2”의 정보는, 그 출력이 중단되더라도 긴급성은 낮으니까 문제가 없다.
도 28에는 급선회중에 출력되었던 정보k가 다른 정보n가 발생했기 때문에 LVL=2로 변화되어 출력을 중단하고, 그 후에 주행상태의 변화에 의해 제공이 재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스텝S528에서 출력중 정보가 레벨 “3”의 정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542로 진행하고, 해당정보k의 플래그OUTPk를 리세트함으로써,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 스텝S544에서 해당 정보의 데이터를 클리어하기 때문에, 그 정보가 장래 출력되는 일은 없다. 스텝S546에서는 데이터가 클리어됨었음을 통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8)에 표시한다.
또, 데이터를 클리어하는 일 없이, 단지 큐 플래그를 리세트한 채로 남겨 두어도 좋다. 상술한 리피트 스위치(도 80)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우선도랭크에 따라, 주행상태에 따라, 정보의 경합상태에 따라, 입력된 정보가 출력 큐로 복귀되거나(OUTQ=1), 또는 출력중인 정보가 출력을 중지하고 출력 큐로 복귀된 경우에는 스텝S600(상세한 것은 도 19)의 출력 루틴에 의해서, 큐에 받아들인 출력요구는 운전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9의 스텝S602에서는 출력 큐에 들어가 있는 정보가 취출된다. 출력 큐에 들어가 있는 정보의 번호는 레지스터x에 격납된다. 스텝S604에서는 연속적으로 출력된 정보의 횟수가 체크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속출력의 횟수 리미트내이면 스텝S606에서 다른 정보가 출력으로 큐잉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스텝S608, 스텝S610에서 해당 정보 m를 출력중이라 마크한다(OUTPm=1). 그리고, TWS컨트롤러(2)내의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에 음성으로 그밖의 것을 출력하여 음성으로서 제공한다. 스텝S614는 정보의 출력개시시각을 레지스터 TMST에 격납한다. 스텝S614로부터 메인 루틴(도 10)의 스텝S700으로 리턴한다.
DSP를 통한 음성정보출력은 얼마 안 있어 종료한다. 그 종료는 인터럽트로서 검지된다. 출력완료 인터럽트가 있으면, 20의 제어순서가 기동된다. 동 도면의 스텝S802에 있어서, 출력중인 큐가 적어도 1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다. 스텝S804에서 출력중인 큐 정보의 번호를 레지스터q에 격납한다. 스텝S806에서는 출력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출력 큐(OUTP)를 리세트한다. 스텝S808에서는 출력이 종료한 시각을 레지스터 TMED에 큐잉한다.
여기서, 도 19의 횟수 체크 루틴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보, 특히 음성정보가 연속해서 출력되는 것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불유쾌한 것이 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연속해서 발생한 음성정보는 cut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지 않은 편이 바람직하다. 단, 규제해야 할 연속횟수는 주행상태에 따라 변화해야 하니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한횟수LMT를 정의하고 있다.
도 2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속출력」의 정의를 설명한다.
운전자가 출력이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느끼는 것은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가지 정보의 출력의 종료시점(=TMED)부터 다음 정보의 출력의 개시 시점(TMST)까지의 시간차가 작은 경우이다. 시간차의 스레솔드치를 δ라 하면, TMST-TMEDδ인 정보의 출력 시퀀스가 LMT회 겹치면 불유쾌하게 느끼는 것이라 정의한다. 그래서, LMT회만 연속해서 정보가 출력되면 그 이후에 큐잉되고 있는 입력정보는 큐로부터 제거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한다. 단, 제한횟수LMT는 주행상태에 따라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한횟수LMT를 주행상태에 따라 차이가 나게 한다. 즉, 차량이 급동작(급선회나 급제동)을 하고 있을 때는 정보는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급선회나 급제동상태에서는 LMT에 제한은 두지 않으나, 운전상태가 통상상태에 가까우면 가가울수록 운전자는 보다 여유를 가지고 운전을 하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정보제공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정보는 보다 줄기 때문에, 제한횟수LMT를 보다 큰 값으로 한다.
횟수의 체크는 출력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하면 된다. 즉, 도 19의 출력 루틴가 실행될 때마다 스텝S604(상세한 것은 도 22)가 실행된다. 도 22의 스텝S572에 있어서, TMST-TMED가 연산된다. 스텝S574에서는 이 차가 스레솔드치 δ보다 큰지가 체크된다. 큰 경우에는 그때까지의 연속출력은 문제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스텝S582에서 연속출력의 횟수를 기억하는 카운터 CNTR를 리세트한다.
한편, 스레솔드치 δ를 넘흔 시간차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S576으로 진행하여 카운터 CNTR를 잉크리멘트한다. 스텝S578에서는 계수치CNTR와 현시점에서의 주행상태STAT에 따른 제한횟수LMT를 비교하고, 계수치CNTR가 LMT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S580에서 출력 테이블에 큐잉되어 있는 정보출력요구(IQ=1)를 탐색한다. 그리고 스텝S590에서 정보출력의 큐를 리세트한다.
스텝S590의 소거 루틴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3에 표시되어 있다. 즉, 스텝S592에서 현재의 주행상태가 급선회 또는 급제동상태일 때에는 원래의 도 22의 루틴으로 리턴하기 때문에 큐의 리세트는 행해지지 않는다. 급선회 또는 급제동상태일 때에는 정보의 소거는 하지 않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급선회 또는 급제동상태가 아닐 때에는 스텝S594에서 그 때의 주행상태에 따라 큐를 리세트한다. 또, 스텝S594에서의 큐의 소거는 랭크가 “A”인 입력정보로는 행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특히 음성정보의 입력원을 멀티미디어로 함으로써, 풍부한 정보량이 보증되어 경로유도지시가 보다 적절한 것이 된다.
①-1:음성정보가 멀티미디어화하면 과도하게 대량의 음성정보 제공이 행해져서 반대로 불쾌감을 주거나, 중요한 정보를 빠뜨리고 듣게 되는 사태의 발생이 걱정되지만, 제1실시형태에서는 미디어마다 정보제공의 규제 수법을 달리 하고 있으므로(미디어마다 우선순위PR, 우선순위RK), 그 정보의 소스인 미디어에 적합한 정보제공의 규제를 할 수 있다.
①-2:현재의 주행상태에 따른 정보제공의 규제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주행상태에 가장 적합한 양 또는 종류의 정보가 정확하고 확실하게 운전자에게 주어진다.
특히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상태에 따라는 불필요한 정보를 미리 커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상태 STAT와 정보랭크RK의 쌍방에 의거해서 정보 출력의 타이밍의 긴급도 레벨LVL을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상태STAT만 혹은 정보랭크RK에만 기초를 둔 정보제공 타이밍의 획일화가 방지된다. 정보의 제공은 정보의 성질(랭크, 즉 중요성)과 현재의 주행상태(긴급성)의 쌍방에 의거해서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출력에 제한을 둠으로써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했다. 또, 그 제한횟수를 주행상태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주행상태에 따라 중요해지는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②:제1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다른 정보가 다수 동시에 발생했을 때, 우선도(랭크)에 의거해서 출력랭크가 결정되고 있다.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내비게이션정보가 운전자에게 적절히 제공되게 된다.
②-1:우선순위가 낮은 정보는 제공을 중지(도 13의 RKLMT에 의한 규제 및 도 12의 레벨(3) 정보의 출력금지)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한 제공정보(②-2:우선순위를 정의한 테이블을 보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의 기호에 맞춘 내비게이션정보의 제공이 달성된다.
③:제공을 중지한 음성정보는, 정보 그 자체를 또는 중지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정보의 소실방지와 불쾌감의 감쇄를 양립했다. 이 대체표시도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부세(가압) 혹은 소세 가능하게 했다.
④: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디어마다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량으로 발생하는(불필요한) 정보에 의해 메모리의 기록영역이 꽉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용량을 유저가 설정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중요한 정보(긴급정보)에 대해서는 별도로 유저가 관여할 수 없는 영역에 특별한 기억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그와 같은 정보가 기억영역부족에 의해 기억되지 않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변형)…제1변형예(음성데이타-표시데이터)
이 제1변형에는, 상기 제1실시형태의 제어(도 10∼도 28)에 대하여 변형을 가한 것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급선회상태 또는 급제동상태시에 랭크 “B”의 음성정보(차량에 관한 정보)가 발생하면, 랭크 “B”의 정보는 비교적 중요도가 높다는 것으로, LVL=2가 주어지고, 다른 정보와의 경합 여하에 따라는 그 음성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제1변형예는 급선회상태 또는 급제동상태에 있어서, 랭크 “B”의 정보가 발생했을 때에는 그 랭크 “B”의 정보가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점에 비추어 봐서 LVL=1의 제공타이밍레벨을 줌으로써 확실하게 정보로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보증하면서도, 그 랭크 “B” 정보가 문자정보이면 음성정보로 변환하지 않거나 또는 음성정보이면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급선회상태 또는 급제동상태에 있어서 음성에 의해 운전작의 주의력을 산만하게 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67은 제1변형예의 제어에 이용되는 제공타이밍레벨의 설정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형태의 그것(도 11)과 다른 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선회상태 또는 급제동상태에서는 랭크 “B” 정보에 대하여 LVL=1를 주지만, 제공형태는 어디까지나 표시로 머물게 한다는 점에 있다.
제1변형예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원용하지만, 제1실시형태의 「우선도에 따른 처리」 루틴(도 18)을 도 68의 제어순서로 바꾼다. 즉, 이 제1변형예의 제어는 LVL=1의 레벨정보가 검출되면, 랭크가 “B”인 정보가 급선회 또는 급제동중에 발생하면, 문자 데이터로 변환(또는 문자 데이터의 상태)하여 디스플레이(8)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변형예에서는 랭크 “B”의 차량정보에 대해 음성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으나, 급제동이나 급선회상태에서는 랭크 “A”의 음성정보도 운전자에게 번거로울 때가 있는데, 그래서, 랭크 “A”의 음성정보도 표시안되도록, 제1변형예를 좀더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실시형태)…주행환경의 고려
상술한 제1실시형태는 정보제공타이밍을 특히 2개의 정보가 경합된 경우에 있어서의 정보제공타이밍을, 긴급도 레벨LVL(도 11)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결정하고 있다. 이 레벨LVL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도랭크RK와 주행상태 STAT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에 제안하는 제2실시형태는, 우선순위의 상하관계와 주행환경에 따라 경합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도 18의 플로챠트 대신에 도 31의 플로챠트를, 도 11의 테이블 대신에 주행환경ENV을 고려한 도 29의 테이블을 이용한다. 그 밖의 플로챠트 및 테이블은 제1실시형태의 것을 그대로 원용한다.
도 29는 대상의 정보종류KND에 대한 그 때의 주행환경ENV을 고려한 우선순위결정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우선순위는 우선순위결정후에 있어서 제어 액션의 분류를 나타내므로, 제1실시형태의 「레벨LVL」과 구별하는 의미에서 편의상 「분류CL」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주행환경으로서 산악로와 자택 근방과 지체로라는 3종류의 주행환경을 설정하고 있다. 도 29에 따르면, 같은 종류의 정보라도 주행환경이 다르면 운전자에게 있어서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 변화에 따라 우선순위, 즉 분류 CL의 값도 다르게 된다. 분류 CL의 값은 중요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을 할당하였다. 예를 들면, NAVI정보는 지체로에서는 중요도는 높지만(값은 “2”), 산악로에서는 중요도가 중간 정도(값은 “3”)이고, 자택 근방에서는 지리에 정통하기 때문에 중요도는 낮아진다(값은 “4”). 또,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분류치CL가 “1”인 정보는 항상 출력되는 것으로 하고, “4”의 정보는 출력제외라고 되어 있다.
도 31은 제1실시형태의 도 18의 플로챠트 대신 제2실시형태를 위한 제어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1의 제어순서를 실행할 때에는 도 10의 메인루틴을 실행중에 1개의 정보x가 큐잉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여 스텝S500의 「정보제공제어」 서브루틴(상세한 것은 도 17)을 기동하고, 「정보제공제어」 서브루틴(도 17)을 실행하여 스텝S520을 실행하는 것이 기동된 경우이다.
즉, 도 31의 스텝S700을 실행하는 시점에서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정보의 번호x는 레지스터n에 이관되어 있다. 그래서, 스텝S700에서는 정보n를 처리할 때 이미 정보제공중(편의상, 제1실시형태와 같이 출력중이라고 한다)인 정보x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출력중인 정보x가 존재하지 않으면(경합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큐잉되어 있는 정보n는 출력되어도 되기 때문에, 스텝S736으로 진행하여 정보n를 출력 큐에 넣는, 즉 플래그OUTQn를 “1”에 세트한다.
출력중인 정보x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S702에서 그 인수x를 레지스터k에 이관하고, 스텝S703의 「예외정보처리」를 실행한다. 이 예외정보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32에 나타냈다.
도 32의 스텝S800에 있어서, 출력중 정보k의 종류 KND가 긴급정보(KND=1)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출력중 정보가 긴급정보이면 그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제어는 스텝S800으로부터 원래루틴의 스텝S704로 리턴하는 것이 아니라, 도 31의 루틴의 최종 스텝(리턴스텝)으로 EXIT하는, 즉 도 17의 스텝S520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정보의 경합이 있더라도 출력중 정보가 긴급정보이면 그 긴급정보의 출력이 확보된다. 또, 긴급정보k의 출력중에 긴급정보n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도 32의 제어순서에 따르면 긴급정보k의 출력이 종료된 후에 긴급정보n가 출력된다.
스텝S800에서 출력중 정보k가 긴급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S802에서 입력된 정보n의 분류 클래스CL가 “4”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제2실시형태에서 정의한 주행환경에서는 분류치CL=4인 정보는 처리대상제외라고 하고 있다. 그래서, 스텝S804로 진행하여 그 정보n의 큐 플래그IQn를 리세트하고, 아울러 데이터도 클리어한다. 그리고, 정보의 처리가 종료한 것으로 하여, 도 31의 루틴의 최종 스텝(리턴 스텝)으로 EXIT하는, 즉 도 17의 스텝S520을 종료한다.
한편, 출력중 정보k가 긴급정보도 아니고, 입력정보n가 CL=4도 아닌 경우에는 이 입력정보n를 처리하기 위해 도 31의 스텝S704로 리턴한다.
스텝S704에서 그 출력중 정보k와 출력예정외 정보n끼리 우선도랭크RKC를 조사한다.
출력중 정보k의 랭크치RKCk가 출력예정정보n의 랭크치RKCn와 동등한지 또는 하위(스텝S704에서 YES)일 때에는 그 하위랭크의 출력중 정보는 그 제공을 중지하기 위해 스텝S706으로 진행하고, 출력중 플래그OUTPk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스텝S708에서 도 29의 테이블에 따라 출력중인 정보의 k에 관해 환경분류CL를 결정한다. 분류치CL의 값에 따라 제어는 다르다. 또, 긴급정보(CL=1) 및 CL=4의 정보는 스텝S703의 스텝에서 이미처리되어 있다.
출력을 정지한 정보k의 분류치CL가 “2”의 경우의 스텝S710에 있어서 해당 정보k의 큐플래그IQk를 “1”에 세트한다. 이것은, 분류치CL=2의 정보k가 현재의 주행환경하에서는(CL=2에 비해) 출력하는 중요성이 CL=3의 정보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점에 비추어 봐서, 나중에 재제공되도록 스케줄하기 위함이다. 스텝S712에서는 출력을 정지된 정보k 대신 정보n를 바로 출력하기 위해 플래그IQn를 “1”에 세트한다.
도 33은 스텝S706∼스텝S712의 대상이 되는 경합하는 2개의 정보k와 n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랭크 “C” 또 분류 “3”의 정보k가 먼저 출력되고 있는 곳에 랭크 “B” 또 분류 “2”의 정보n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정보k의 출력이 중단되어 정보n의 출력이 지체되는 대신, 그 후에 정보k의 출력이 재개되고 있다.
스텝S708에서 분류치가 “3”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즉 출력중 정보k의 랭크치는 입력정보n의 랭크치보다도 낮지만, 출력중 정보k의 분류치가 “3”인 경우에는, 그 출력중 정보k를 클리어하기 위해 스텝S714에서 해당 출력중 정보k의 큐플래그IQK를 리세트하고, 스텝S716에서 데이터를 소거하여 스텝S718에서 정보가 클리어된 취지를 디스플레이(8)에 표시한다. 또한, 스텝S719에서는 입력정보n를 출력 큐에 넣기 위해 플래그OUTQn를 “1”에 세트한다.
경합하는 2개의 정보중 이미 출력중인 정보k의 우선도가 입력정보n의 우선도보다 높은 경우(스텝S704에서 NO)에는 스텝S720에서 입력정보n의 환경분류치CL를 조사한다.
입력정보n의 분류치CL가 “3”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입력정보n의 중요도는 현재의 주행환경에서는 비교적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 랭크치 RK가 높은 현재 출력중인 정보k의 출력을 정지할 필요성은 전혀 없다. 반대로, 출력중 정보k의 랭크치가 입력정보n의 그것보다 높은 것과 입력정보n의 중요도가 현재의 주행환경에서는 비교적 낮다는 점에 비추어 봐서 입력정보n의 제공을 하지 않도록 하는 편이 나중에 발생할 지도 모르는 보다 중요도가 높은 정보에 대비하는 의미에서도 바람직하다. 그래서, 스텝S722에서 해당 입력정보n의 큐 플래그IQn를 리세트하고, 스텝S724에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스텝S726에서 그 취지를 표시한다. 도 34에 예를 나타냈다.
입력정보n의 분류치CL가 “2”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출력중 정보k의 랭크RK가 입력정보n의 랭크보다 높기 때문에 출력중 정보k는 필요없지만, 입력정보n의 중요도는 현재의 주행환경에 비추어 보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입력정보n를 제거할 필요까지도 없다. 따라, 이 경우에는 스텝S720으로부터 원래의 루틴으로 리턴하고, 입력정보n의 출력을 출력중 정보k의 종료를 기다리고 나서, 또는 주행환경의 변화를 기다리고 나서 행하도록 한다.
도 34에 예를 나타냈다. 또한, 도 30에 제2실시형태의 논리를 나타냈다.
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행환경의 예로서 도 29에 3가지를 들었지만, 그 밖에, ①:주행로(평탄로, 산악로, 고속도로, 길폭(좁다/넓다), 유료도로, 지체로), ②:주행장소(자택근방, 시가지, 바다 근처, 관장지, 스키장 근방) ③:날씨(우천, 눈, 외기음)에 따라 맵을 작성해도 된다.
(제2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①:예외정보출력처리(도 31의 스텝 S703, 도 32)를 함으로써, 특수한 정보(항상 중요도가 높은 예를 들면 긴급정보나, 항상 중요도가 낮은 정보(음악 타이틀 등))를 제어대상외로 함으로써, 제어논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②:우선도(RKC)으로 주행환경ENV를 고려하여 경합하는 정보의 출력순서를 결정(스텝S704)한다.
출력중 정보k의 우선도랭크RK가 낮은 경우, 출력중 정보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정지된 정보가 재개되는지의 여부는 주행환경에 따라 결정한다. 즉, 2개의 정보가 경합한 경우에 있어서, 출력중 정보의 출력을 정지할지의 여부는 경합정보간의 우선도에 따라 결정하지만(스텝S704), 출력을 정지한 정보의 재출력은, 그 정보의 주행환경을 고려한 중요성(분류치C L)에 의해서 결정되는 (스텝S708, 스텝S710)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재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정보는 클리어(스텝S714)된다.
한편, 출력중 정보k의 랭크가 높은(스텝S720) 경우에는, 입력정보n의 정보를 제공할지의 여부는 그 입력정보n의 주행환경을 고려한 중요도(CL)에 의해서 결정한다. 즉, 랭크의 높은 출력중 정보k의 출력상태는 유지되지만, 랭크가 낮은 입력정보n는, 그 입력정보n의 환경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어된다.(스텝S722-스텝S724).
상기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에서는 우선도랭크RK의 개념을 도입하여 우선순위를 대략 분류하였지만, 랭크를 자세히 분류하여 1랭크=1랭크라고 설정해도 본 발명은 성립한다. 랭크를 재설정하는 것은 도 5의 표시화면을 이용해서써 간단히 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변형)…제2변형예
이 제2변형예는 제2실시형태의 운선도(PR)으로 분류치(CL)를 이용한 제어수법을 주행상태(차속, 선회속도, 가감속상태, 차선변경, 좌우회전, 전진/후퇴 등)을 고려하여 정보제공을 제어하는 수법(제1실시형태의 수법)에 응용한 것이다.
이 제2변형예의 제어는, 제2실시형태의 제어(도 29∼도 34)를 원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시형태 1변형예에 대해, 제2변형예의 제어논리와 같은 논리변경을 가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 69의 테이블을 제2실시형태의 테이블(도 29)로 바꾸어서 제어에 이용한다. 제2변형예의 제어는 이 테이블을 원용하는 제2실시형태의 제어이다.
(제3실시형태)…주행 모드의 고려
이 제3실시형태는 다수의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주행 모드에 따라 정보제공의 요부(要否), 그위에 정보제공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 35∼도 4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관한 플로챠트 및 그 제어순서에 이용되는 각종 테이블 등을 나타낸다.
제3실시형태는 주행 모드의 차이에 따라 즉 일반주행로(중저속주행)와 고속주행로라는 주행 모드의 상위에 따라 정보제공의 요부, 또 정보제공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들 2개의 모드에 있어서,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정보에 대해 주행 모드에 따른 우선순위PR와 분류CL가 주어지고 있다. 즉, 주행모드가 다르면, 같은 종류의 정보라도 다른 우선순위PR와 다른 분류CL가 주어진다. 예를들면, NAVI정보는 일반주행 모드에서는 PR=3, CL=2이지만, 고속주행 모드에서는 PR=6, CL=3이다. 고속도로에서는 길을 헤매는 일이 적으니까, NAVI 정보는 필요성이 모자라고, 반대로 VICS정보쪽이 필요성이 높다. 이것들의 설정은 제1실시형태와 같이 유저가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5의 테이블에 있어서, 우선순위란에서 “x”라고 되어 있는 것은, 제어대상으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나타낸다. 그와 같은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치=4가 주어지고 있다. 또한, 긴급정보에 대해서는 항상 최고의 우선순위(=1)와 분류(=D1) 주어지고 있다. 따라, 긴급정보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예외정보」로 취급되게 된다. (도 47을 참조).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37은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메인 루틴을 나타낸 것이다. 그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형태의 도 10의 플로챠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의 도 38은 제1실시형태의 도 17에 해당하고, 도 39는 도 14에 해당하며, 도 40은 도 15에 해당하고, 도 41은 도 16에 해당하고, 도 43은 도 19에 해당하고, 도 44는 도 20에 해당하고, 도 45는 도 23에 해당하고, 도 46은 도 22에 해당하고, 도 42는 도 18에 해당하고, 도 47은 제2실시형태의 도 32에 상당한다. 한편, 제3실시형태의 연속출력의 제한의 정의 테이블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그것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의 그것(도 21)을 원용하기로 한다.
제3실시형태의 정보제공제어는 도 38에 의해서 주어진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정보에 랭크치를 주고 있는 제1변형예와 다르고, 주행 모드마다 다른 우선순위를 주고 있기 때문에, 예외정보처리를 도 38의 정보제공제어로 행하고 있다. 이 예외정보처리제어는 스텝S1808에서 행해지지만, 그 내용은 제2실시형태(도 32)와 실실적으로 같으며, 즉, 긴급정보(분류치C L=1)와 분류치C L=4의 정보를 특별히 처리하는 것이다. 이 예외정보처리를 위해, 제1실시형태시와 같이, 「우선도에 따른 처리」에 있어서, 분류치CL가 “2” 및 “3”만의 정보를 처리대상으로 하면 되게 된다.
제3실시형태의 도 42도에 나타낸 처리는, 우선순위(PR)와 주행 모드를 고려하여, 경합한 정보의 출력순서를 결정(스텝S1824)한다. 즉, 각종 주행 모드에 의거한 정보의 출력순 및 정보제공의 요부가 결정된다.
정보의 출력순은 원칙적으로는 제2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특히, 정보제공의 요부의 결정논리에 관해서 언급하면, 출력중 정보k의 우선순위PR가 낮은 경우, 그 출력중 정보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정지된 정보가 재개될지의 여부는 주행 모드에 따라 결정한다. 즉, 2개의 정보가 경합되었을 경우, 출력중 정보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정지된 정보가 재개될지의 여부는 주행 모드에 따라 결정한다. 즉, 2개의 정보가 경합되었을 경우, 출력중 정보의 출력을 정지할지의 여부는 경합정보간의 우선도에 따라 결정(스텝S1824)하지만, 출력을 정지한 정보의 재출력은 그 정보의 주행 모드를 고려한 중요성(분류치CL)에 의해 결정(스텝S1828, 스텝S1820)되어야 한다고 했다. 개재되지 않은 경우, 그 정보는 클리어(스텝S1824)된다.
한편, 출력중 정보k의 우선순위가 높은(스텝S1832) 경우에는, 입력정보n의 정보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그 입력정보n의 주행 모드를 고려한 중요도(CL)에 의해 결정한다. 즉, 우선순위가 높은 출력중 정보k의 출력상태는 유지되지만, 우선순위가 낮은 입력정보n는 그 입력정보n의 주행 모드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어된다(스텝S1834∼스텝S1836).
도 36도에 도 42에 나타낸 제어순서의 결정논리에 대한 개략을 정리하여 나타냈다. 이 논리는 제2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제3변형예(시간대의 고려)
이 변형예는, 정보제공의 순서와 요부의 결정을 운전을 하고 있는 시간대에 따라 정하는 것이다.
도 48에는 제3실시형태의 도 35와 같은 우선순위PR와 분류치CL의 정의 테이블을 나타냈다. 제3실시형태시와 같이 정보의 종류마다 우선순위PR와 분류치CL가 결정되고 있으며(변경가능), 또 같은 종류의 정보라도 시간대의 상위에 의해 다른 값의 우선순위PR와 분류치CL가 주어지는 것은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변형예에서는 시간대의 지정을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칭(예를 들면, 「식사」와 「통근」)으로 지정하는 수법과, 구체적인 시각으로 지정하는 수법(도 49)를 예시한다.
제3변형예의 시스템 구성 및 제어순서는 제3실시형태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아도 된다. 이 변형예에 따라 제3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제4변형예(시간대의 고려)
이 제4변형예는 상기 제3변형예의 정보제공의 요부 판정을 더욱 개량한 것이다. 즉, 제3변형예에서는 도 48 또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제공의 요부판정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는 정보(동 도면에서 “x”로 나타내고 있다)는 시스템에 의해서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그 후 유저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변경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요부판정의 대상인 정보는 시간대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바꿔 말하면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 따라, 이 제3변형예에서는 유저가 정의한 시간대에 따라 미리 정해 둔 요부판정대상 제외정보를 테이블(도 50)로서 기억하기로 한다.
도 51은 이 제4변형예에 관한 제어순서의,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대한 변경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 제어순서가 제3실시형태의 스텝S1806과 스텝S1808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4변형예의 제어순서는 완성된다.
즉, 스텝S1806을 실행하고 나서, 주행시각(현재시각)을 판독하고, 그 시각부터 주행시간대를 판단한다. 판단논리의 일례를 도 52에 나타낸다. 이 논리에 의해 현재의 주행시간대를 유저가 수고를 들이지 않고 판정할 수 있다. 시간대가 판정되면 도 50의 논리를 이용해서 정보제공 요부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해야 할 정보를 찾아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동그라미가 매겨져 있지 않은 것이 제외대상이다.
제외대상이 결정되었으면 스텝S1808의 「예외정보의 처리」에 의해 대상외의 정보를 제거한다.
(제4실시형태)…주행목적의 고려
제1실시형태는 주행상태(긴급동작, 브레이크조작, 핸들조작 등)에 의해, 제3실시형태에서는 주행환경(자택주변도로나 산악로 등의 구별)이나 주행 모드(속도의 상위에 의한 구별)에 의해, 정보제공의 요부 및 순서를 결정하고 있었다.
제4실시형태는 주행목적에 따라 정보제공의 요부 및 순서를 결정한다.
도 53은 주행목적에 따라 정보제공의 요부 및 순서의 분류를 결정하는 논리를 표시한 테이블이다. 제4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목적의 예로서 통근, 여행이나 레저, 쇼핑을 들 수 있다.
제4실시형태의 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순서는 제3실시형태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아도 된다. 제4실시형태의 의해서도 제1실시형태∼제3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의 변형)…제5변형예(주행 목적의 추정)
제4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주행목적을 유저인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었지만, 이 변형예는 주행목적을 시스템이 추정하는 것이다.
제5변형예의 시스템이 추정하는 주행목적은 통근, 여행/레저, 영업활동, 쇼핑, NAVI에 의한 유도주행의 5종류로 한다.
도 54에 제5변형예에 관한 제어순서의, 제4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대한 변경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 제어순서가 제4실시형태의 스텝S1806과 스텝S1808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5변형예의 제어순서는 완성된다.
즉, 스텝S1806을 실행하고 나서 주행 추정을 한다. 이 추정논리는 일례로서, 평일에 오전 7시∼9시…통근 휴일에 자택으로부터 반경 50Km 이내…쇼핑, 휴일에 자택으로부터 반경 50Km 이상… 여행/레저, 라고 판정한다. 평일인지 휴일인지는 시스템이 갖는 클록에 의해 거리는 NAVI 시스템이 갖는 거리정보에 의거해서 판단한다.
또, 원하는 추정을 스위치 등에 의해서 행해도 된다. 다음에, 맵(도 55)으로부터 정보제공 요부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해야 할 정보를 찾아낸다. 동도면에 있어서, 동그라미가 매겨지지 않은 것이 제외대상이다.
제외대상이 결정되었으면 스텝S1808의 「예외정보의 처리」에 의해 대상외의 정보를 제거한다.
(제5실시형태)…심리상태의 고려
제5실시형태는 주행조건에 따라 정보제공의 요부의 판단 및 제공의 순서를 결정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제1실시형태∼제4실시형태와 동일한데, 즉 이 제5실시형태는 운전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정보제공 요부의 판단 및 제공의 순서를 결정한다.
제5실시형태의 제어는 제3실시형태의 제어를 원용한다. 도 56은 각종 정보의 중요도(우선순위PR 및 중요도분류CL)가 심리상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을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가 주행 상태에 따른 중요도 테이블(도 35)을 이용하는 것을 유사 수법으로 이용한다. 즉, 제5실시형태의 제어를 위해서는 도 38의 플로챠트의 스텝S1806을,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1806'으로 변경한다. 스텝S1806'는 도 56의 테이블을 참조한다. 또, 제5실시형태에서는 심리상태를 시스템의 연속주행시간, 주행시간대, 브레이크의 밟는 횟수, 주행속도 등으로부터 판단한다.
스텝S1806'를 실행하면, 제5실시형태의 제어는 제3실시형태와 같이 도 38의 스텝S1808의 「예외정보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긴급정보는 예외적으로 항상 제공되도록 처리하고, 도 56의 테이블에서 x라고 마크된 정보에 대해서는 그 시점에서 판단된 심리상태에 따라 「제어제외정보」로서 판단되어 정보제공 대상정보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도 56의 우선순위PR나 분류치CL는, 제5실시형태를 위한 「우선도에 따른 처리」 (제42도 참조)에 있어서 이용된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3실시형태, 제4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실시형태의 변형예)…제6변형예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대상의 정보 구별을, 도 56의 맵에서는 3종류(피로상태, 긴장상태, 평상상태)로 분류한 뒤, x표로 나타내었으나, 이 변형예에서는 좀더 상세하게, 예를 들면 도 57과 같이 분류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6실시형태)…긴급정보의 유저에 의한 지정
제3실시형태의 제어에 있어서는 소위 「긴급정보」는 스텝S1808의 「예외정보처리」 (도 38)에 의해서 예외적으로 처리되며, 그 때문에 확실하고 신속하게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제3실시형태의 「긴급정보」는 시스템이 미리 정해 둔 것이다. 예를 들면, 터널정보, 지진정보, 차량정보(고장경보, 차단거리경보, 펑크경보 등), 교통정보(사고정보, 교통규제정보) 등이다. 그 때문에 「긴급정보」는 고정적이었다. 이 제6실시형태는 「긴급정보」를 유저가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 59는 그 지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즉, 운전자가 디스플레이(8)상의 화면(도 59)에 있어서, 「정보설정의 변경」을 선택하면 도 60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서 현재 「긴급정보」로 선택되어 있는 정보가 검은 원형으로, 긴급정보로서 선택될 수 있는 후보가 백색 원으로 표시된다. 유저는, 「긴급정보」에 추가하고 싶을 때에는 그 정보의 O 부분을 조작장치로 선택하고, 「긴급정보」로부터 제외하고 싶을 때에는 그 정보의 검은원 부분을 조작장치로 선택한다. 이 선택에 의해 O의 흑백은 반전하여, 「긴급정보」에 추가된 것 혹은 제외된 것이 유저에 의해서 확인된다.
제6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대부분은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원용한다.
「긴급정보」로서하여 등록된 정보에는 정보종류로서 KND=1이 등록된다. 이 KND=1은 스텝S1806에서 판독되고, 스텝S1808에서 예외적으로 취급되어 빠르고 확실하게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또, 이 제6실시형태는 본래의 「최우선정보」로서의 「긴급정보」외에 유저가 지정하는 정보를 「긴급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이지만, 제6실시형태의 변형으로서, 예를 들면 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의 긴급정보와, 의제적으로 긴급정보가 된 정보와의 우선순위의 치가 소정치(예를 들면 2) 미만인 것만을 의제적으로 긴급정보로서 취급하는 제어도 제안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우선순위의 자동변경
제1실시형태∼제6실시형태에서는 우선순위 등(우선순위PR 및 랭크RK)는 미리 정해져 있으며, 그 값을 변경할 때에는 변경용 유저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시켜서 그 값을 변경하도록 했다. 바꿔 말하면, 우선순위는 실질적으로 반고정이다. 반고정으로 한 것은 우선순위의 값을 바꾸는 것은 논리의 변경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유저에게 논리의 변화를 배려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선순위 등을 고정적으로 해 둔 것은 주행조건이 여러가지로 변화하는 현재의 교통사정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7실시형태는 시스템이 주행조건의 변화를 감안하면서, 우선순위 등을 적정한 것으로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자동적에 변경하는 것이다.
도 61은 제7실시형태에서 설정된 우선순위 등의 변경논리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7실시형태의 제어는 제3실시형태 제어의 대부분을 원용한다. 도 62에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대한 변경부분을 나타냈다. 이 변경은, 제3실시형태의 스텝S1804(도 38)와 스텝S1806(도 38) 사이에 스텝S2000를 추가하여 수정된다. 이러한 제어순서의 변경에 의해, 제7실시형태의 시스템은 스텝S2000에서 스텝S1804(도 38)에서 판독한 각종 차량 데이터 등으로부터, 도 61에 나타낸 룰을 만족하는 우선순위를 보정한다. 스텝S1806에서는 스텝S200에서 보정된 우선순위PR 등 외에, 분류치CL나 횟수제한치LMT 등을 판독하고, 이 보정치를 이용해서 스텝S1808에서 「우선도에 따른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도 61의 보정조건에서는 차량에 돌발적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차량고장정보의 랭크를 올리는 보정, 또는 고속도로를 주행중에 VICS 정보의 우선순위를 올리는 보정, 또는 산악로주행중(기압계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또는 우천중(웨이퍼의 동작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에는 날씨 정보의 우선도를 높이는 보정, 또는 노이즈 레벨이 높은 정보 혹은 입력하고 나서 시간의 많이 경과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내리는 보정, 주행방향과 다른 방향의 VICS정보의 랭크를 내리는 보정 등.
이렇게 해서, 제7실시형태에 의해서 우선순위가 보다 치밀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현재의 주행조건과 그 정보의 성질에 의거하여 최적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진다.
제7실시형태의 우선순위의 변경 수법은 제3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제1실시형태∼제6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순위의 자동변경은, 경로유도를 실제로 행하고 있을 때에도 유효하다. 즉, 경로유도를 하고 있을 때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내비게이션 컨트롤러는 목표치점까지 도달한 다수의 유도지점에 있어서 유도지점에 근접할 때마다 그 취지를 운전자에게 알리게 되어 있다. 이 정보에 의해 운전자는 자기가 목표지점을 향하여 정확하게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경료유도를 하고 있다는 것은 경로유도지점 근방에서는 어느 정도의 정보가 주어지는 것이라 운전자는 기대하고 있으며, 반대로 유도 지점 이외의 지역에서는 여분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불쾌감을 느낀다.
그래서, 제7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컨트롤러(17)는 도 78에 나타낸 제어순서에 따라 제7실시형태의 TWS컨트롤러에게 NAV1 정보를 우선순위를 부가하여 보낸다. 이 때, NAVI 컨트롤러(17)는 제7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로유도제어가 가동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경로유도제어가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는 경로유도지점에 근접(소정 거리의 반경 원내)해 있을 때에는 NAVI 정보의 우선순위를 올린다.
한편, TWS컨트롤러는 NAVI정보 이외의 미디어로부터의 정보에 대해서는 경로유도제어가 가동하고 있어서 경로유도지점에 근접하고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뉴스정보 등의 우선순위를 낮추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에 따라, 경로유도지점근방에서는 NAVI 정보가 우선되고, 반대로 NAVI정보 이외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내려가서 운전자에게 있어서 정말로 필요한 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제7실시형태의 변형)…진부한 데이터의 삭제(제7변형예)
차량속도에는 스스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통정보 등과 같이 짧은 거리의 사이에 같은 정보가 몇번이나 불필요하게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보가 몇번이나 제공되는 것은 불쾌감을 초래한다.
그래서, 이 변형예는 과거에 입력된 정보와 같은 내용의 정보에 대해서는 그 우선순위를 낮춤으로써, 진부한 데이터정보의 반복제공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변형예는 내용이 같은지 아닌지의 판정이 비교적 용이한, 캐릭터 데이터형식으로 보내지는 정보에 대하여 특히 효과가 있다. 진부한 내용의 캐릭터 데이터정보의 우선순위를 낮춤으로써, 그 정보가 제공(표시 또는 음성출력)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내려 가기 때문이다. 또,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캐릭터 데이터정보라도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므로, 진부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음성출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도 운전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킨다.
제7변형예도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일부 원용한다. 즈, 도 38의 제어순서의 스텝S1804와 스텝S1806의 사이에 도 64의 제어순서를 추가하여 수정한다. 또한, 이 제4변형예에서는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록영역을 확보한다. 이 기억영역으에서는, 캐릭터 데이터의 입력시간과, 같은 내용이라고 판단된 횟수와, 그 데이터내용을 기억한다.
도 64의 스텝S2002에서 입력된 정보가 캐릭터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캐릭터 데이터가 아니면 진부한 데이터인지 아닌지의 판단대상을 하지 않는다. 캐릭터 데이터의 경우는, 스텝S2004에 있어서 도 63의 기억영역중에 입력된 정보 데이터와 같은 것인지를 여부를 탐색한다. 같은 내용의 것이 없으면, 그 정보 데이터를 도 63의 영역에 기억한다. 같은 내용의 것이 있으면 스텝S2008에서 시간차를 계산한다. 이 시간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도 작으면 짧은 시간내에 같은 내용의 정보를 받아들인 것이 되기 때문에 스텝S2012에서 그 정보의 우선순위를 낮춘다. 한편, 시간차가 △보다도 크면 전회 데이터를 입력하고 나서 상당한 시간을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그 데이터를 도 63의 기억영역으로부터 소거한다.
이 제4변형예의 수법에 의해서도 같은 진부한 내용의 정보가 반복해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2회째에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8)에 표시하고, 3회째 이후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나온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해도 좋다.
(제8실시형태)…데이터내용에 의한 우선적 처리
제8실시형태는 문자방송으로부터의 정보에 대해 특정한 키워드를 갖는 데이터정보만을 우선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즉, 문자방송은 문자이기 때문에, 그 정보를 표시로 고정시키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의 중지를 강오한다는 점과, 반대로 문자 데이터정보이기 때문에 특정한 키워드를 탐색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제8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도 6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저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8)상의 화면에 표시하여, 통상방송모드와 문자방송모드의 선택을 유저에게 허용한다. 문자방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면, 문자방송정보 데이터중에 탐색해야 할 키워드의 입력이 허용된다. 또한, 문자방송 데이터중에 키워드가 발견되지 않은 정보를 소거할지(도 65에서 “한다”를 선택), 소거하지 않고 문자로서 표시할지를(“하지않는다”를 선택) 선택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8실시형태의 제어순서는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원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38의 플로챠트의 일부(스텝S1804와 스텝S1806의 사이)를 도 66과 같이 변경한다.
정보의 입력이 있으면 스텝S2100에 입력정보가 문자방송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S2101에서는 문자방송 모드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모드가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S2102에서 키워드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키워드가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S2104에서 그 수신데이터중에 키워드를 탐색한다.
키워드를 포함한 것 같은 문자방송 데이터가 발견되면, 스텝S2110에서 그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정보는 제3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따라 다른 정보와 같이 처리된다. 발견되지 않은 정보는 상술의 설정스위치(소거를 한다. 하지 않는다의 설정)에 따라, 표시 데이터로서 처리하거 또는 소거한다.
한편, 키워드에서는 문자방송이 현재 「스포츠정보」와 「일기 예보」와 「이벤트정보」로 장르가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쟝르중 특정한 키워드, 예를 들면 자기가 좋하아는 팀명, 선수명, 혹은 일기 예보를 듣고 싶은 지역의 명칭, 이벤트의 명칭 등을 입력한다.
이 제8실시형태의 제어순서에 의하면 운전자가 흥미가 있는 것(키워드가 일치한 것) 만이 인식하고 이해하기 쉬운 음성정보의 형식으로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일치가 되지 않은 것 같은 정보는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소거되거나 또는 아 버거로움을 주지 않도록 디스플레이(8)에 표시된다.
(제9실시형태)…정보사이의 제공간격의 제어
음성정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음성정보가 재생되는 시간간격도 드라이버에게는 신경쓰이는 요소이다. 이 제9실시형태는 정보제공 간격을 제어한다. 보다 작은 눈의 정보제공쪽이 운전자에게 바람직한 주행환경, 주행상태, 주행시간, 심리상태에서는 정보제공간격을 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제공쪽이 운전자에게 바람직한 주행환경, 주행상태, 주행시간, 심리장은 정보제공간격을 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최적의 정보제공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9실시형태의 「정보간의 제공간격 제어」는 상술의 제1실시형태∼제8실시형태의 모든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제L형태∼제8실시형태의 모든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정보제공간격의 제어」의 원리를 도 70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70에 있어서 시간폭T은 그 때의 조건하에서 운전자에게 최적의 정보간의 시간간격(최소치)이다. 시간폭T의 경시개시시점은 전회 정보의 출력 종료시간(TMED)이다. 따라서, TMED+T의 시각 이후에 다음회의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도 71a∼도 71f에 제공시간간격T의 최소치를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71a∼도 71f도에 의하면, 제공시간간격 T=t0 x t1×t2×t3×t4×t5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시간폭 t0은 도 7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속에 의해 결정되는 제공시간간격의 기본값이다.
원칙적으로는 차속이 오를수록 시간간격은 짧아야 한다. 그러나, 고속같은 도로에서 안정주행을 하고 있을 대에는 차속이 높아도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문제는 없다. 그래서, 도 7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속 80Km/h 이상에서는 t0의 값을 작게 하고 있다.
t1, t2, t3, t4, t5는 각각 보정계수이다.
도 71b에 따르면, 보정계수 t1는 지체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값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지체가 심할 때에는 정보제공의 양을 적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71c에 따르면, 보정계수t2는 도로밀도가 높을수록 값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도로밀도가 높은 일대에서는 보다 많은 경로유도정보 등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71d에 따르면, 보정계수t3는 제공정보량이 많을 수록 값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제공정보량이 많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71e에 따르면, 보정계수t4는 내비게이션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비동작중일 때보다 값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내비게이션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는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정보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71f에 따르면, 보정계수t5는 정보제공의 제한횟수LMT(도 21를 참조)가 클수록 값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도 21에서 알 수 있듯이, 제한횟수LMT는 주행상태가 운전자에게 많은 조작을 필요로 할수록 큰 값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횟수LMT가 클수록 보다 작은 눈의 정보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72, 도 73은 제9실시형태의 시간간격제어를 제1실시형태∼제8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에 필요해지는 제어순서의 변경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2, 도 73은 각각 제9실시형태의 제어를,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적용한 경우에, 제9실시형태를 위한 「출력」 루틴(제1실시형태의 도 19) 및 「출력완료」 루틴(동 도 20)에 대응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의 정보 출력이 종료하면, 도 73의 스텝S2210에서 지연시간T(제공간격)을 도 71a∼도 71f에 따라 계산한다. 스텝S2212에서는 타이머의 시간폭T을 세트하여 기동한다.
그 후에 어떤 음성정보(k라 한다)가 발생하면, 제1실시형태∼제8실시형태의 「정보제공의 요부, 정보제공의 우선순위」의 결정제어가 행해지고, 그 음성정보k에 대해 출력 큐(OUTQk=1)가 설정된다(예를 들면, 도 18의 스텝S554). 그러면, 도 72의 「출력」 루틴에 있어서, 스텝S220에서 그 음성정보k가 긴급경보(KND=1)인지, 또는 현재 지점이 내비게이션의 유도지점(교차점등)에 가까운지를 판단한다. 긴급경보(KND=1)는 제공을 늦춰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내비게이션의 유도지점근방에서는 운전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음성정보k가 긴급경보도 아니고, 현재 지점이 내비게이션의 유도지점근방도 아닌 경우에는 스텝S2202에서, 스텝S2212(도 73)에서 세트한 타이머가 타임 아웃했는지를 조사한다. 타임 아웃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아직 이 음성정보k를 제공하려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스텝S2204에서 이 음성정보k의 출력 큐를 리세트하여 OUTQk-0으로 한다. 이 정보k의 큐를 리세트함으로써, 이 정보k 다음에 발생할 지도 모르는 보다 우선도가 높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확보한다.
이렇게 해서, 제공간격을 제어함으로써 그 시점의 주행조건에 따른 최적의 정보량의 음성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제9실시형태의 변형)…제8변형예
제9실시형태는 앞의 음성정보의 출력이 끝날 때 마다 타이머T를 기동하고 있으나, 이 제8변형에는 앞의 음성정보의 출력이 시작될 때 마다 타이머T를 기동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7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앞의 음성 정보의 제공에 관한 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제10실시형태)…정보종류별 음질 등의 구별
제10실시형태는 상술의 제1실시형태∼제8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각각에 적용가능한 음성정보의 출력형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10실시형태는, 과도한 음성정보가 운전자에게 특히 불쾌감을 주는 점에 비추어 봐서 이루어진 것으로, 입력된 음성정보를 그 시점에서의 상태에 따라 음질을 바꾸거나 혹은 음량을 바꿔서 출력하는 것이다.
제75도는, 음성정보의 출력의 상태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화면의 일례이다. 이 제10실시형태에서는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고정보」, 「진로안내정보」, 「도로교통정보」, 「설비안내정보」, 「고속도로안내정보」, 「현재위치정보」, 「주행환경」, 「주행시간」, 「주행시간대」, 「주행지역」에 따라 음질, 음량을 달리 하고 있다. 달리 한 방법은, 대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종류의 정보에 관해서는 긴장감이 있는 소리, 지시어조의 소리로 설정하고, 반대로 운전자에게 긴장감을 줘서는 안 되는 주행신에서는, 예를 들면 「온화한」 여성에 의한 소리로 안내 어조로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제1실시형태∼제10실시형태)의 시스템의 컨트롤러(2)는, 음성정보의 문자코드를, 남성과 여성과의 어느쪽 음성으로도 발성할 수 있는 음성합성데이터를 기억하는 ROM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문법룰을 기억하는 ROM을 가지고, 어조를 「지시조」와 「안내조」로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제10실시형태의 제어를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인스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변환제어는 도 19의 「출력」 루틴에서 이루어진다.
(제11실시형태)‥출력처 미디어의 구별
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멀티미디어정보의 소스로서 각종 미디어를 갖는 것외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나 통상의 디스플레이(8), 그위에 음성출력 채널 등의 각종수단(제공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11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제10실시형태는, 정보를 그 제공의 적부를 또는 제공의 우선순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음성정보의 운전자에 대한 제공을 규제하는 것이었으나, 이 실시형태는, 출력처의 미디어를 구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정보제공을 규제하는 것이다.
도 82는 주행상태나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그 시점의 「긴급도」와, 그 정보자체가 갖고 있는 「우선순위랭크RK」 (제1실시형태등의 랭크와 같다)에 의해 음성정보의 출력처를 결정하는 논리 테이블(「음성정보출력처결정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제11실시형태에서는 이 결정논리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도 특징이 있다. 도 81은 유저가 결정논리에 관여 가능한 범위를 정의하는 테이블(「메뉴설정허가 정의테이블」 이라고 한다)이다.
제81도의 메뉴설정허가 정의테이블에 있어서, 유저가 정의할 수 있는 영역을 편의상 까맣게 정의불가의 영역과 구별하여 표시했다.
여기서, 제1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긴급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11실시형태에 있어서, 「긴급도」는 다른 실시형태와 같이, 주행 상태나 주행조건에 의해서 즉 「정보」 자체로부터는 독립하여 존재하는 사상에 의거해서 결정되는 「정보」의 긴급성을 표시하는 지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급도를 도 83의 테이블과 같이 정의한다. 긴급도의 값이 작을수록 긴급성이 높다고 하고, 클수록 낮다고 결정한다. 또, 도 83의 상태의 대부분은 도 2에 나타낸 각종 센서에 의해서 판단할 수 있다. 제1행째의 「도로곡률이 크다는 예상」은 NAVI 컨트로러부터 얻어지는 정보, 예를 들면 다음의 커브에 접근한다는 정보에 의거해서 판단할 수 있다.
도 82의 테이블에 있어서, ×는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83의 「출력처 결정테이블」의 특징은, 정보 자체의 긴급도인 랭크RK의 값이 낮을수록 또 주행조건으로서의 긴급도(테이블의 세로축)가 높을수록, 그와 같은 정보 제공의 필요성은 낮아지믈, 음성정보로서도 디스플레이로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랭크=E이고 긴급도=1일 때에는 출력은 되지 않는다. 또한, 정보자체의 랭크RK값이 높을수록 또 주행조건으로서의 긴급도가 낮을 수록, 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의 의의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정보의 제공처의 선택부분이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랭크=A 또는 B이고 긴급도=4일 때에는 그 정보는 음성정보로서 또는 디스플레이 (디시플레이(8)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11실시형태에 의해, 음성정보의 출력처를 주행조건에 따라 선택(출력하지 않은 것으로도 포함한다)함으로서,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정보가 과부족없이 운전자에게 전해진다.
(제12실시형태)…스위치에 의한 제공 시퀀스의 결정
상술한 제1실시예∼제11실시예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정보의 제공 순서는 그들 정보의 발생순서와 정보 사이의 우선순위의 상하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그 때문에 정보가 제공되는 순서는 그들 정보가 발생한 순서와 관계없으며, 따라 예상하기가 곤란하다.
제12실시형태는 다수의 정보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유저가 그들 정보의 제공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편의상, 동 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정보의 종류로서 「워닝정보」 「도로안내정보」 「설비안내정보」 「고속도로정보」 「도로교통정보」 「현재위치정보」를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정보는 운전자에게 「안내정보」가 된다. 이들 정보의 토대가 되는 환경조건의 검출은 도 85에 예시한 각종 환경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도 85와 도 86의 예에서는, 연료의 잔량이 적어졌다는 워닝이 발생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것은 그 경고에 대처하기 위한 일련의 안내정보이다. 도 86에 이들 안내정보가 예를 나타냈다. 바꿔 말하면, 안내정보는 일련의 경고에 대처하기 위한 일련의 시퀀스로 이루어진 논리로 일관되는 것이 유저에게는 바람직하다. 즉, 설비에의 안내정보가 경고정보보다 먼저 나간것을 왜 설비안내정보가 제공된 것인지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운전중에 그 이유를 생각하는 것을 강요하는 것은 곤란하다.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각종 정보의 제공순서를 도 87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지정하는 것이다. 도 87의 예에서는 제공순서는 우선순위를 유저가 설정함으로써 결정되게 되어 있다. 따라, 제12실시형태의 제공순서의 유저에 의한 지정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제11실시형태의 각종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가능해진다. 제1실시형태∼제11실시형태의 각종 내비게이션 시스템도 「우선순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1실시형태∼제11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우선순위는 정보의 중요도 또는 긴급도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나, 이 제12실시형태에서는 일련의 각종 정보의 제공 시퀀스에 의해 1개의 스토리가 생기도록 결정되는 것이다.
도 87은 안내정보의 제공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중 「위임 모드」란, 유저가 시스템에 의해서 미리 정해져 있는 순서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스로 결정한다」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유저가 순서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7의 예에서는, 순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2실시에에서는 정보의 종류로서 「워닝정보」 「도로안내정보」 「설비안내정보」 「고속도로정보」 「도로교통정보」 「현재위치정보」를 발생 또는 필요로 하지만, 이들 정보의 유무는 도 85의 각종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A:「워닝정보」의 유무는 워닝정보의 존재 그 자체를 판단함으로써, B:「도로안내정보」의 유무는 경로유도가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C:「설비안내정보」의 유무는 경로유도가 행해지고 있을 때, 차량이 목적지 혹은 경유지 근방을 주행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D:「고속도로정보」의 유무는 고속도로를 주행중인지의 여부에 따라, E:「도로교통정보」의 유무는 주행도로 전방에 지체 또는 사고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F:「현재위치정보」의 유무는 주행빈도가 낮은 지역을 현재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도 88의 플로챠트는 제12실시형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어순서는 우선순위PR를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2실시형태의 제어를 제1실시형태∼제11실시형태의 제어에 적용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스텝S302와 스텝S304의 사이에 부가하는 것이 적당하다.
즉, 스텝S2502∼스텝S2512에 있어서 상술한 A∼F의 6가지 판단을 한다. 판단결과는 6비트의 데이터(ABCDEF=xxxxxx)로서 표현된다. 이 데이터의 값이 “0”이면, 즉 전 비트가 오프이면 안내정보를 출력할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니까, 스텝S2520에서 음성안내를 소세한다.
한편, 6가지 비트중 어느 하나에 비트가 온이면, 즉 어느 하나에 안내 정보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으면, 스텝S2514에서 NO의 판단이 나기 때문에, 스텝S2516에서 음성요구SW(도 80을 참조)가 투입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도 87의 유저설정에 따라 우선순위를 생성한다.
도 84는 6비트(ABCDEF)의 패턴(21종류)에 의해 6종류의 안내정보의 제공순서가 21종류의 순서로 설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ABCDEF=100011인 경우에는, 즉 「워닝정보」와 「도로교통정보」와 「현재위치정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3가지 정보에는 우선순위의 값이 각각, “4”, “3”, “1”로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제공순서는 도 8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3”, “2”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제12실시형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자기의 목적에 합치시켜 정보의 제공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 다수의 정보가 시퀀스순으로 제공될 때 그 순서는 유저자신이 조립한 논리에 의거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다수의 안내정보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즉, 완성도가 높고 이용하기 쉬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된다.
(제13실시형태)…곡 사이의 아이들중에 정보를 제공
제13실시형태는 음악프로그램 등은 곡 사이에 소리가 중단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곡 사이의 틈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89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순서의 플로챠트이다.
스텝S3000에서 정보의 입력 큐가 발생했음을 확인한다. 따라, 스텝S3002에서 오디오가 사용중인지를 조사한다. 사용중이 아니면 스텝S3014에서 정보를 제공한다.
오디오가 사용중이 아니면 스텝S3004에서 발생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조사한다.
스텝S3008∼스텝S3012는 오디오를 일시 정지하고, 그 사이에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순서이다. 즉, 스텝S3008에서 오디오를 일시정지, 스텝S3010에서 정보제공을 하고, 스텝S3012에서 오디오를 재개한다.
이 오디오의 사이사이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는 스텝S3004에서 고우선순위의 정보가 발견되었을 때 또는 스텝S3006에서 곡 사이의 아이들링 타임중이다.
특히, 곡사이의 아이들링중에는 오디오는 비지임에도 불구하고, 그 오디오를 일시 정지하기 때문에 정보제공을 할 수 있다.
한편, 곡 사이에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는 그 나름대로의 우선순위를 가진 정보가 아니면 안된다. 곡이 시작되면 그 종류의 정보는 곡이 끝날 때까지 제공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각종 유저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제12실시형태의 도 87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오디오에 끼어드는 정보(스텝S3004에서 NO가 되는 정보)와, 곡 사이에 삽입될 정보(스텝S3004로 YES가 되는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제공해야 할 정보가 다수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예를 들면 제6도의 PR 또는 RK)에 따라 랭크가 높은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정보를 선택된 순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정보를 운반하는 매체마다(도 6) 설정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를 운전자가 변경하는 것을 허용한다(도 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주행상태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 변경된다. 과도하게 정보가 제공되는 일없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정보의 질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낮게 변경한다(도 6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수신감도가 낮게 수신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낮게 변경한다(도 6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주행환경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주행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경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우선순위는 주행목적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보는 음성정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보는 임의의 매체로부터 시계열로 입력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에 의하면, 출력해야 할 정보를 다수 기억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선택수단은 이 기억수단내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정보로부터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해야 할 정보를 선택한다.

Claims (25)

  1. 다른 종류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정보에 그 정보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수단과, 제공해야 할 정보가 다수 종류 존재할 때,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 랭크가 높은정보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정보를 선택된 순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정보를 운반하는 매체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운전자가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주행상태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정보의 질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낮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수신감도가 낮게 수신된 정보의 우선순위를 낮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주행환경에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주행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우선순위는 주행목적으로 따라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임의의 매체로부터 시계열로 입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출력해야 할 정보를 다수 기억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이 기억수단내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정보로부터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해야 할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6. 다른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정보에 각각 그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랭크와 그 정보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수단과, 정보의 제공시 소정의 랭크가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정보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정보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의 값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9. 연속해서 입력되는 다른 종류의 정보를 차례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정보에 그 정보의 종류에 따라 랭크를 할당하는 수단과, 소정의 랭크치를 가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연속해서 제공하는 제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0. 연속해서 입력되는 다른 종류의 정보를 차례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연속해서 제공되는 정보의 수를 소정수 미만으로 억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연속해서 제공되는 정보의 수를 억제하는 수는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는 주행상태, 주행목적, 주행환경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정보에 할당되는 랭크는 주행상태, 주행목적, 주행환경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정보에 할당되는 랭크는 주행상태, 주행목적, 주행환경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수단은 정보 제공시 서로 다른 소정의 다수의 랭크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정보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KR1019970049832A 1996-09-30 1997-09-29 내비케이션 장치 KR19980025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8996 1996-09-30
JP27899696A JP3738923B2 (ja) 1996-09-30 1996-09-30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7899796A JP3703047B2 (ja) 1996-09-30 1996-09-30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96-278997 199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125A true KR19980025125A (ko) 1998-07-06

Family

ID=2655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832A KR19980025125A (ko) 1996-09-30 1997-09-29 내비케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08932B1 (ko)
KR (1) KR19980025125A (ko)
DE (1) DE1974324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3665B4 (de) * 1998-11-20 2005-06-30 Siemens Ag Fahrzeug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Austausch von Daten in einem Kraftfahrzeug
EP1087206A4 (en) * 1999-04-07 2002-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NAVIGATOR
US6466862B1 (en) * 1999-04-19 2002-10-15 Bruce DeKock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DE19946022A1 (de) * 1999-09-25 2001-04-26 Bosch Gmbh Robert Steu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r Informationsausgabe-Rangfolge mehrerer Informationsquellen, insbesondere Audioquellen
JP2001143191A (ja) * 1999-11-12 2001-05-25 Yazaki Corp 車両用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車両
JP2001183158A (ja) * 1999-12-24 2001-07-06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10001262C2 (de) * 2000-01-14 2002-10-0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formationsausgabe in einem fahrergesteuerten Fahrzeug
US8645137B2 (en) 2000-03-16 2014-02-04 Apple Inc.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DE10015314A1 (de) * 2000-03-28 2001-10-11 Bosch Gmbh Robert Navigationsgerät und Verfahren zur Tourenberechnung
US7100825B2 (en) * 2000-04-20 2006-09-05 Levine Alfred B Non-computing navigation system
US7135961B1 (en) * 2000-09-29 2006-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rections for driving
JP2002120672A (ja) * 2000-10-18 2002-04-23 Pioneer Electronic Corp エンジン搭載移動体用情報提供装置
JP3919210B2 (ja) * 2001-02-15 2007-05-2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入力案内方法及び装置
CA2372861A1 (en) * 2001-02-20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vel direction device and travel warning direction device
US7392287B2 (en) * 2001-03-27 2008-06-24 Hemisphere Ii Investment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using a handheld device
JP2002318132A (ja) * 2001-04-23 2002-10-31 Hitachi Ltd 音声対話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装置および音声対話サーバ
DE10151282A1 (de) * 2001-10-22 2003-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ildschirmanzeigesystems in Fahrzeugen
DE10157518B4 (de) * 2001-11-23 2011-06-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80809 Verfahren zur Zielführung eines Fahrzeugs
DE10160292C1 (de) * 2001-12-07 2002-12-05 Audi Ag Kraftfahrzeug mit automatischer Positionsanzeige bei Notfällen
DE10207993A1 (de) * 2002-02-26 2003-10-02 Daimler Chrysler Ag Verkehrsdaten-Informationssystem
US6873905B2 (en) 2002-03-19 2005-03-29 Opnext Japan, Inc. Communications type navigation device
US7730421B2 (en) 2002-07-12 2010-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system in motor vehicles
DE10231619A1 (de) * 2002-07-12 2004-0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ildschirmanzeigesystems in Fahrzeugen
JP2004309795A (ja) 2003-04-07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音楽提供システム
GB2419668B (en) * 2003-05-12 2008-09-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of real-time guiding information
EP1493993A1 (en) * 2003-06-30 2005-01-0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peech dialog system
US20050115816A1 (en) * 2003-07-23 2005-06-02 Neil Gelfond Accepting user control
US20050018172A1 (en) * 2003-07-23 2005-01-27 Neil Gelfond Accepting user control
JP2005077372A (ja) * 2003-09-03 2005-03-24 Denso Corp 音声認識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6990407B1 (en) * 2003-09-23 2006-01-24 Navteq North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traffic messages
US7555533B2 (en) * 2003-10-15 2009-06-30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server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700904B2 (ja) * 2003-12-08 2011-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走行情報音声案内方法
JP2005199875A (ja) * 2004-01-16 2005-07-28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情報提供装置
DE602004010054T2 (de) * 2004-01-19 2008-03-0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Betätigung eines Sprachdialogsystems
EP1560200B8 (en) * 2004-01-29 2009-08-0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system for spoken dialogue interface
DE602004014893D1 (de) * 2004-01-29 2008-08-21 Daimler Ag Multimodale Dateneingabe
EP1562180B1 (en) * 2004-02-06 2015-04-01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ech dialogu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7319931B2 (en) * 2004-04-06 2008-01-15 Honda Motor Co., Ltd. Methods for filtering and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7222018B2 (en) 2004-04-06 2007-05-22 Honda Motor Co., Ltd. Bandwidth and memory conserving methods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7366606B2 (en) * 2004-04-06 2008-04-29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refining traffic flow data
US7289904B2 (en) 2004-04-06 2007-10-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user preferences into same
US7269504B2 (en) * 2004-05-12 2007-09-1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level of urgency to navigation cues
US7526268B2 (en) * 2004-09-22 2009-04-28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processing traffic incident information
KR101087483B1 (ko) * 2004-11-04 2011-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안내 음성신호 출력 제어방법 및 장치
TW200625210A (en) * 2005-01-07 2006-07-16 Mitac Int Corp Voice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418339B2 (en) * 2005-02-14 2008-08-26 Motorola, Inc. Method for initiating navigation guidance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JP2006264472A (ja) * 2005-03-23 2006-10-05 Fujitsu Ten Ltd 車体装備制御装置および車体装備制御方法
US20060260280A1 (en) * 2005-05-17 2006-11-23 Jones Thomas M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ir from a container
US7415352B2 (en) * 2005-05-20 2008-08-19 Bose Corporation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JP2007102406A (ja) * 2005-10-03 2007-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情報端末
DE102005051176A1 (de) * 2005-10-24 2007-04-26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nformationsausgabe in einem Fahrzeug
US8046162B2 (en) * 2005-11-04 2011-10-25 Honda Motor Co., Ltd. Data broadcast method for traffic information
US20070124306A1 (en) * 2005-11-09 2007-05-31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 vehicles over limited data links
DE102005061505B4 (de) * 2005-12-22 2018-04-12 Audi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S8965685B1 (en) * 2006-04-07 2015-02-24 Here Global B.V.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precautionary actions in a vehicle
DE102006017169B4 (de) 2006-04-12 2018-09-20 Audi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JP4926590B2 (ja) * 2006-07-28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装置および情報システム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7904236B2 (en) 2006-12-28 2011-03-08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20080159557A1 (en) * 2006-12-27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output
US20080161950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udio unit
US20080157999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output
US7765046B2 (en) * 2006-12-28 2010-07-27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US8706396B2 (en) * 2006-12-28 2014-04-22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JP2008141076A (ja) * 2006-12-04 2008-06-19 Fujitsu Ten Ltd 携帯電子機器の着脱装置
US7774104B2 (en) * 2006-12-27 2010-08-10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20080162044A1 (en) * 2006-12-28 2008-07-03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JP2008137559A (ja) * 2006-12-04 2008-06-19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システム、車載電子装置及び携帯電子装置の電源制御方法
US7684200B2 (en) * 2006-12-28 2010-03-23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JP4842785B2 (ja) 2006-12-04 2011-12-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US7869196B2 (en) * 2006-12-28 2011-01-11 Fujitsu Ten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US8576068B2 (en) * 2006-12-29 2013-11-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uploading near-real-time messages to keypad of a security system
US9170120B2 (en) * 2007-03-22 2015-10-27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ehicle navigation playback method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7668653B2 (en) 2007-05-31 2010-02-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filtering and providing event program information
US20090030715A1 (en) * 2007-07-23 2009-01-29 The Boeing Company Travel Timer
DE102007045147A1 (de) * 2007-09-20 2009-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usgabe von Informationen mittels Sprachausgabe
FR2925154A3 (fr) * 2007-12-12 2009-06-19 Renault Sas Systeme d'assistance a la navigation.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CN101246020B (zh) * 2008-03-14 2011-05-25 深圳市凯立德科技股份有限公司 语音播报装置、使用了此装置的导航系统及其采用的方法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US10496753B2 (en) 2010-01-18 2019-12-03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20100030549A1 (en)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DE102009017643A1 (de) * 2009-04-16 2010-10-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ahrer-Fahrzeug-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ahrer-Fahrzeug-Schnittstelle
US10241644B2 (en) 2011-06-03 2019-03-26 Apple Inc. Actionable reminder entries
US10241752B2 (en) 2011-09-30 2019-03-26 Apple Inc.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20120311585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Organizing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9431006B2 (en) 2009-07-02 2016-08-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8340900B2 (en) * 2009-12-18 2012-12-25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Navigation device and alerting method thereof
US20110173072A1 (en) * 2010-01-08 2011-07-14 David Ross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705794B2 (en)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10553209B2 (en) 2010-01-18 2020-02-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US10679605B2 (en) 2010-01-18 2020-06-09 Apple Inc.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E112011100329T5 (de) 2010-01-25 2012-10-31 Andrew Peter Nelson Jerram Vorrichtungen, Verfahren und Systeme für eine Digitalkonversationsmanagementplattform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US20110298808A1 (en) * 2010-06-02 2011-12-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nimated Vehicle Attendance Systems
JP5516209B2 (ja) * 2010-08-06 2014-06-1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9146122B2 (en) * 2010-09-24 2015-09-29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audio monito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8751589B2 (en) 2011-04-13 2014-06-10 Jingl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lerts, and/or comments to participa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GB2492753A (en) * 2011-07-06 2013-01-16 Tomtom Int Bv Reducing driver workload in relation to operation of a portable navigation device
US8994660B2 (en) 2011-08-29 2015-03-31 Apple Inc. Text correction processing
JP5681611B2 (ja) * 2011-11-09 2015-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サーバ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US9483461B2 (en) 2012-03-06 2016-11-01 Apple Inc. Handling speech synthesis of content for multiple languages
KR101999182B1 (ko) * 2012-04-08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280610B2 (en) 2012-05-14 2016-03-08 Apple Inc.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US9721563B2 (en) 2012-06-08 2017-08-01 Apple Inc. Name recognition system
US9495129B2 (en) 2012-06-29 2016-1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voice-activated navigation and browsing of a document
US9576574B2 (en) 2012-09-10 2017-02-21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US9547647B2 (en) 2012-09-19 2017-01-17 Apple Inc. Voice-based media searching
JP6020189B2 (ja) * 2013-01-18 2016-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声出力制御装置
US9368114B2 (en) 2013-03-14 2016-06-14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WO2014144579A1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aptive speech recognition model
WO2014144949A2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Training an at least partial voice command system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9582608B2 (en) 2013-06-07 2017-02-28 Apple Inc.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WO2014197334A2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DE112014002747T5 (de) 2013-06-09 2016-03-03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Ermöglichen einer Konversationspersistenz über zwei oder mehr Instanzen eines digitalen Assistenten
CN105265005B (zh) 2013-06-13 2019-09-17 苹果公司 用于由语音命令发起的紧急呼叫的系统和方法
JP5976241B2 (ja) 2014-02-07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能候補提示装置
JP6221945B2 (ja) 2014-05-28 2017-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音声出力制御装置
EP3149728B1 (en) 2014-05-30 2019-01-16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60559B2 (en) 2014-05-30 2017-09-12 Apple Inc. Predictive text input
US9785630B2 (en) 2014-05-30 2017-10-10 Apple Inc.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N-gram and unigram language models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078631B2 (en) 2014-05-30 2018-09-18 Apple Inc. Entropy-guided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and character n-gram language models
US9842101B2 (en) 2014-05-30 2017-12-12 Apple Inc.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659851B2 (en) 2014-06-30 2020-05-19 Apple Inc. Real-time digital assistant knowledge updat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446141B2 (en) 2014-08-28 2019-10-15 Apple In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user feedback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10789041B2 (en)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US9886432B2 (en) 2014-09-30 2018-02-06 Apple Inc.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9646609B2 (en) 2014-09-30 2017-05-09 Apple Inc.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JP6365229B2 (ja) * 2014-10-23 2018-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多感覚インタフェースの制御方法および多感覚インタフェース制御装置、多感覚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KR20160047879A (ko) * 2014-10-23 201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552013B2 (en) 2014-12-02 2020-02-04 Apple Inc. Data detection
US9711141B2 (en) 2014-12-09 2017-07-18 Apple Inc.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JP6250891B2 (ja) * 2015-01-26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用情報出力装置
US9865280B2 (en) 2015-03-06 2018-01-09 Apple Inc.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99019B2 (en) 2015-03-18 2018-02-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US9842105B2 (en) 2015-04-16 2017-12-12 Apple Inc.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127220B2 (en) 2015-06-04 2018-11-13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US10101822B2 (en) 2015-06-05 2018-10-16 Apple Inc. Language input correction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55907B2 (en) 2015-06-07 2019-04-09 Apple Inc.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US10186254B2 (en) 2015-06-07 2019-01-22 Apple Inc.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9697820B2 (en) 2015-09-24 2017-07-04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US10366158B2 (en) 2015-09-29 2019-07-30 Apple Inc.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US11010550B2 (en) 2015-09-29 2021-05-18 Apple Inc.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US11587559B2 (en)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E102015226530B4 (de) * 2015-12-22 2017-12-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Audiosignalausgabe für ein Fahrzeug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46143B2 (en) 2016-03-14 2019-10-15 Apple Inc.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MX367701B (es) 2016-04-20 2019-09-03 Nissan Motor Metodo de despliegue de informacion y dispositivo de control de despliegue.
US9934775B2 (en) 2016-05-26 2018-04-03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US9972304B2 (en) 2016-06-03 2018-05-15 Apple Inc.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US10249300B2 (en) 2016-06-06 2019-04-02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588B1 (en) 2016-06-09 2019-02-2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US10509862B2 (en) 2016-06-10 2019-12-17 Apple Inc.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US10490187B2 (en) 2016-06-10 2019-11-26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US10192552B2 (en) 2016-06-10 2019-01-29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US10067938B2 (en) 2016-06-10 2018-09-04 Apple Inc.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DK179343B1 (en) 2016-06-11 2018-05-14 Apple Inc Intelligent task discovery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049B1 (en) 2016-06-11 2017-09-18 Apple Inc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593346B2 (en) 2016-12-22 2020-03-17 Apple Inc.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CN110226078B (zh) * 2016-12-22 2024-04-26 日产北美公司 自动车辆服务系统
US10210111B2 (en) * 2017-04-10 2019-02-19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audio glitches when incurring system management interrupt latency
DK201770439A1 (en) 2017-05-11 2018-12-13 Apple Inc. Offline personal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201770431A1 (en) 2017-05-15 2018-12-20 Apple Inc.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DK201770432A1 (en) 2017-05-15 2018-12-21 Apple Inc.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JP7149874B2 (ja) * 2019-02-18 2022-10-07 株式会社日立物流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方法
CN110704204B (zh) * 2019-08-22 2023-02-03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感知的导航提醒方法以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4117A (ja) 1988-10-24 1990-04-26 Sanyo Electric Co Ltd 車両誘導装置
JP2867589B2 (ja) 1990-04-18 1999-03-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案内装置
JPH05142994A (ja) 1991-03-08 1993-06-11 Oki Electric Ind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ヨン装置
JP3164902B2 (ja) 1992-08-19 2001-05-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013555B2 (ja) 1991-10-30 2000-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経路誘導装置
JP3085483B2 (ja) 1992-01-29 2000-09-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案内装置
JPH05332778A (ja) 1992-05-29 1993-12-14 Zexel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音量調節装置
JP3098627B2 (ja) * 1992-09-14 2000-10-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交通情報表示装置
SE516278C2 (sv) * 1994-03-04 2001-12-10 Volvo Ab Trafikinformationssystem och förfarande för tillhandahållande av trafikinformation
JPH0816988A (ja) * 1994-06-28 1996-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画像表示装置
US5508699A (en) * 1994-10-25 1996-04-16 Silverman; Hildy S. Identifier/locator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DE69531188T2 (de) * 1994-12-28 2004-04-22 Aisin AW Co., Ltd., Anjo Navigationsvorrichtung
JP3365117B2 (ja) * 1995-01-20 2003-01-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前方道路状況対応制御装置
KR100235240B1 (ko) * 1995-10-31 1999-12-15 모리 하루오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JPH09123848A (ja) * 1995-11-06 1997-05-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43249B4 (de) 2010-05-27
DE19743249A1 (de) 1998-04-02
US6208932B1 (en) 2001-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5125A (ko) 내비케이션 장치
JP392357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5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3892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80221753A1 (e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ontent To Be Played In A Vehicle
JP370304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5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4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528362B1 (en) Navigation system with improved voice output control
JP37030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10505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5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4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10401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Hulse et al. Development of human factors guideline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and commercial vehicle operations: Identificat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lternative information display formats
JP370304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10400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304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66117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75500A (ja) 車両用経路案内装置
JP7192698B2 (ja) セカンドタスク実施支援装置及びセカンドタスク実施支援プログラム
EP4198455A1 (en) Dynamic modality-based vehicle navigation
CN112735167A (zh) 语音播报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7286019A (ja) 道路検索装置、道路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aurasia et al. Haste induced behavior and VANET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