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416A - 벨트 예비 인장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 예비 인장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416A
KR19980018416A KR1019970037464A KR19970037464A KR19980018416A KR 19980018416 A KR19980018416 A KR 19980018416A KR 1019970037464 A KR1019970037464 A KR 1019970037464A KR 19970037464 A KR19970037464 A KR 19970037464A KR 19980018416 A KR19980018416 A KR 1998001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inertial mass
locking lever
seat belt
bel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64B1 (ko
Inventor
페터 베츠 한스
Original Assignee
요아힘 베. 히르쉬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아힘 베. 히르쉬,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아힘 베. 히르쉬
Publication of KR1998001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nap-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버클은 로킹 위치에서 수형 러그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캐치 볼트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중 지지 프레임과, 캐치 볼트를 로킹 해제 위치로 활주시켜 수형 러그를 해제하도록 작동되기에 적합한 해제 버튼(15)과, 해제 버튼(15)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하는 다중 아암형 로킹 레버를 구비한다. 로킹 레버(29)는 피벗 축(46) 둘레로 선회하도록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로킹 레버(29)의 제 1 아암(27)은 해제 버튼(15)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부로부터 로킹 레버(29)에 작용하는 관성력과 그 로킹 레버의 고유 관성 모멘트는 함께 그 피벗 축(46) 둘레로의 합성 관성 모멘트를 발생시키며, 그 모멘트는 벨트의 예비 인장 중의 버클의 속도에 급속한 변동이 있는 동안에 해제 버튼(15)의 의도되지 않은 활주를 방지한다. 또한, 관성 질량체(37)가 마련되는데, 그 관성 질량체(37)는 일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급속히 변동하는 동안에 제 2 아암(33)에 관성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아암(33)에 대해 이동됨으로 인해 그러한 관성 질량체(37)로부터 로킹 레버(29)로의 힘의 전달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절되도록 제 2 아암(3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벨트 예비 인장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
본 발명은 안전 벨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킹 위치에서 수형 러그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캐치 볼트가 장착되는 하중 지지 프레임과, 캐치 볼트를 로킹 해제 위치로 활주시켜 수형 러그를 해제하도록 작동되기에 적합한 해제 버튼과, 해제 버튼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하는 다중 아암형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로킹 레버가 피벗 축 둘레로 선회하도록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로킹 레버의 제 1 아암이 해제 버튼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로킹 레버에 작용하는 관성력과 그 로킹 레버의 고유 관성 모멘트가 함께 그 피벗 축 둘레로의 합성 관성 모멘트를 발생시켜 그 모멘트가 벨트의 예비 인장 중의 버클의 속도에 급속한 변동이 있는 동안에 해제 버튼의 의도되지 않은 활주를 방지하는,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형태의 버클은 유럽 특허 출원 제0 557 983 A1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버클에 마련된 로킹 레버의 하나의 아암은 해제 버튼에 결합되고, 제 2 아암의 갈고리형 단부는 캐치 볼트를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 핀의 이동을 제한한다. 벨트 예비 인장기를 사용할 경우, 구성 부분들의 관성에 의해 해제 버튼이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예비 인장 행정의 초기 또는 말기에 버클이 의도되지 않게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되는데, 그러한 의도되지 않은 버클의 로킹 해제는 공지의 버클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방지된다: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말기의 급감속 중에 해제 버튼의 로킹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로킹 레버의 무게 중심은 피벗 축 둘레로의 토오크들의 합성 토오크가 로킹 레버를 강제적으로 그 로킹 위치에 있게 하도록 피벗 축에 대해 배치된다.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초기의 급가속 중의 로킹 해제는 회전 이동이 방지될 정도로 로킹 레버의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또는 그러한 관성 모멘트로 인해 버클을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하지 못하는 작은 이동만이 일어나기 때문에 회피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의 예외적인 상황에서 해제 버튼을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로킹 레버를 이동시키는 매우 큰 가속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결코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작은 이동이라도 방지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특정의 예외적인 상황에서도 격심한 가속 및 감속 중의 해제 버튼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가 배제되는,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버클에 있어서, 일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급속히 변동할 때에 제 2 아암에 관성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아암에 대해 이동됨으로 인해 그러한 로킹 레버로의 관성력의 전달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절되도록 로킹 레버의 제 2 아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관성 질량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속도가 변하는 동안에는 로킹 레버의 관성 모멘트가 해제 버튼을 로킹시키는데에만 기여하는 반면, 반대 방향으로는 해제 버튼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에 의거한 것이다. 공지의 버클에서는 로킹 레버가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그것에 일체로 성형된 보스(boss)를 구비하는 반면, 본 발명의 버클에서는 로킹 레버가 그 로킹 레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특유한 관성 질량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로킹 레버의 피벗 축 둘레로의 합성 관성 모멘트는 가속 및 감속 중에 그 크기가 상이하며, 그 결과 해제 버튼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가 배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일부 부분이 삭제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로킹 상태로 세팅된 본 발명의 버클의 개략적인 측입면도로서, 버클의 기계적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
도 3 및 4는 각각 해제 버튼을 부분적으로 눌러 내린 상태 및 완전히 눌러 내린 상태의 도 2의 버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초기의 급가속 중의 도 2에 따른 버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말기의 급감속 중의 도 2에 따른 버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
3 : 하우징 플레이트
5 : 하중 지지 프레임
11,57 : 스토퍼
13 : 캐치 볼트
15 : 해제 버튼
23 : 안내로
25,35 : 자유 단부
27,33 : 아암
29 : 로킹 레버
37 : 관성 질량체
46 : 피벗 축
54 : 관성 질량체의 중심
관성 질량체는 그 관성력의 일부만을 제 2 아암에 가하거나 적합하게는 전혀 가하지 않도록 이동의 일방향으로는 제 2 아암에 결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아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 인해 제 2 아암에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방향으로 제 2 아암에 결합되지 않는 것은 관성 질량체에 마련된 슬롯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그러한 슬롯을 통해 제 2 아암이 연장되어 일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허용된다. 질량 관성체는 예컨대 래칫 폴과 같은 적절한 로킹 기구를 사용하여 타방향으로 제 2 아암에 결합된다.
관성 질량체로부터 로킹 레버로의 힘의 전달은 관성 질량체가 프레임에 고정된 스토퍼에 부딪쳐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스토퍼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제 2 아암쪽으로의 관성 질량체의 상대적 이동으로 인해 반대 방향으로 속도가 크게 변하게 될 경우에 단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에 작용하는 그러한 지지 작용으로 인해, 관성 지지체는 로킹 레버에 단지 적은 관성력만을 전달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관성력을 전혀 전달하지 않게 된다.
관성 질량체는 제 2 아암 상에서 병진 운동을 하도록 제 2 아암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성 질량체는 그 무게 중심에 대해 편심된 관계로 회전 운동을 하도록 제 2 아암 상에 장착되고,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스토퍼는 관성 질량체의 제 1 회전 스토퍼를 구성한다. 제 1 회전 스토퍼와 관련되는 관성 질량체의 회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스토퍼는 관성 질량체에 부딪칠 수 있는 제 2 아암의 섹션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로킹 레버의 로킹 위치에서, 관성 질량체는 제 2 회전 스토퍼에 맞물리거나 그로부터 매우 작은 거리에 있게 되고, 그 결과 속도가 급속히 변동하는 경우에 관성 질량체의 관성력이 해당 방향으로 바로 로킹 레버에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 스토퍼 또는 양 회전 스토퍼는 해제 버튼의 작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관성 질량체의 무게 중심과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이는 제 1 회전 스토퍼에 대해서는 관성 질량체가 그 스토퍼를 완전히 지지하거나 그 스토퍼 상에 완전히 지지되어 로킹 레버에 어떠한 관성력도 가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킹 레버로의 관성력의 전달 경로가 완전히 단절된다.
관성 질량체로부터 로킹 레버로의 힘의 전달의 단절은 버클의 가속 중에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해제 버튼의 변위를 방지하는 관성 질량체의 관성력은 단지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말기에만 작용하게 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참조되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알게 될 것이다.
도 1에서는, 안전 벨트의 벨트 예비 인장 작용에 대항하는 버클(1)을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버클은 도시되지 않은 벨트 예비 인장기의 역시 도시되지 않은 장착부에 부착되어 있다. 버클(1)은 하중 지지 프레임(5)이 고정되는 하우징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프레임(5)은 5개의 상이한 섹션, 즉 안내 블록(7), 우측 종방향 지지 바아(9) 및 그와 대칭인 도시되지 않은 좌측 지지 바아, 그리고 좌우의 제 1 회전 스토퍼(11)를 기능적 구성 요소로서 구비한다. 안내 블록(7)의 중공의 내부는 하우징 플레이트(3)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로킹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편향되는 캐치 볼트(13)의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종방향 지지 바아(9) 사이에서 안내 블록(7)을 통해 연장되고 하우징 플레이트(3) 상에 그 종축에 평행하게 활주 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해제 버튼(15)은 안내 블록에 인접한 그 종방향 단부에 2개의 평행한 종방향 리브(17)를 구비하며, 그러한 리브(17) 사이에는 수형 러그를 위한 압입 통로 또는 압입 트랙(19)이 형성된다. 해제 버튼(15)은 캐치 볼트(13)를 그 로킹이 해제되도록 세팅되는 상태로 전환시킨다. 수형 러그가 버클(1)에 로킹되어 있을 때, 캐치 볼트(13)는 그 수형 러그에 맞물리는 한편, 로킹 해제 위치에서는 수형 러그와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각각의 종방향 리브(17)의 내측면 상의 경사면(21)은 캐치 볼트(13)를 로킹 해제 위치로 상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캐치 볼트(13) 상의 대응 표면에 결속된다.
해제 버튼(15)은 단지 우측 안내로(23)만 도시된 서로 대향된 2개의 측방향 안내로를 구비한다. 안내로(23)는 폐쇄되어 있지만, 도 1에서는 그 후방에 있는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그 상부가 절단되어 있다. 그 안내로(23)에서는 2 아암형 로킹 레버(29)의 제 1 아암(27)의 측방향으로 굴곡된 자유 단부(25)가 선회되고, 이는 도 2 내지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로킹 레버(29)는 2개의 측방향 단부에 있는 돌출된 핀형부(31)에 의해 종방향 지지 바아(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버클(1)의 전폭에 걸쳐 연장된다. 제 1 아암(27)에 대향된 제 2 아암(33)을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다. 그 제 2 아암의 자유 단부(35)는 버클(1)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관성 질량체(37)의 회전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관성 질량체(37)는 대향하여 위치된 2개의 질량부(39) 및 연결 리브(41)를 구비한다. 각각의 질량부(39)는 전체적으로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외표면의 곡면부의 축선은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과 일치한다. 제 1 회전 스토퍼(11)는 원통형 외표면에 맞춰져 형성된 오목한 곡면을 구비하고, 그 곡면의 축선도 역시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과 일치한다. 각각의 제 1 회전 스토퍼(11)의 오목면(43)과 그에 배정되는 질량부(39)와의 사이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작으며, 그 결과 그러한 부분들 사이에 단지 좁은 틈새만이 남겨진다. 각각의 질량부(39)는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안내 홈(45)을 구비하며, 그 홈에는 프레임(5)의 대응하는 종방향 지지 바아(9)가 끼워 맞춰져서 질량부(39)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하, 추가적인 버클(1)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도 2의 개개의 부분은 일부의 경우 도 1에서보다 더 간단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특별히, 도 2는 로킹 레버(29)의 선회 연결을 보다 명확히 도시하고 있다. 제 1 아암의 자유 단부(25)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해제 버튼(15)에 있는 안내로(23) 내로 연장된다. 안내로(23)는 2개의 섹션, 즉 하우징 플레이트(3)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섹션(47)과, 하우징 플레이트(3)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섹션(47)에 통합되는 섹션(49)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서, 로킹 레버(29)는 하우징 플레이트(3)에 대략 직각이고, 단부(25)는 벽으로부터 매우 작은 거리를 두고 상기 섹션(47)에 위치된다.
관성 질량체(37)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수납 개구부(51)를 구비하며, 그러한 개구부는 그 관성 질량체의 내부 속에 상당한 깊이로 연장된다. 수납 개구부(51)의 가장 깊은 지점에서의 제 2 아암(33)의 단부(35)의 형태는 둥글게 형성되고, 그 결과 단부(35)는 관성 질량체(37)의 회전 베어링을 구성한다. 관성 질량체(37)의 중심(54)은 피벗 축(46)과 단부(35)에 의해 설정되는 회전 축(53)과의 사이에 위치된다. 수납 개구부(51)의 2개의 서로 대향된 섹션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 1 회전 스토퍼(11)와 대면하는 하나의 섹션(55)은 수납 개구부(51)에 의해 관성 질량체(37)가 회전 축(53)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다른 한편으로, 대향하여 위치된 다른 섹션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는 로킹 위치에서 아암(33)과 접촉하며, 그 결과 그 섹션에서 아암(33)이 관성 질량체(37)의 제 2 회전 스토퍼(57)를 형성하게 된다. 제 2 회전 스토퍼(57)는 제 1 회전 스토퍼(11)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캐치 볼트(13)를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해제 버튼(15)은 도 2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눌려 내려져야 한다. 단부(25)와 섹션(47)에 인접한 벽과의 사이의 작은 측방향 거리로 인해, 해제 버튼(15)의 약간의 변위만으로도 로킹 레버(29)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25)가 안내로(23)의 섹션(49)의 단부 상에 위치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관성 질량체(37)는 그 중심(54)이 회전 축(53)에 관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43)과 접촉될 때까지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만 회전되지만, 관성 질량체(37)의 원통형 외표면은 상응하게 형성된 표면(43) 상에서 활주하게 된다.
도 5에는, 벨트 예비 인장의 초기에 화살표 방향으로의 가속 중에 구성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이동이 도시되어 있다. 해제 버튼(15)은 그 관성으로 인해 그것의 하나의 레버 아암(L1)이 피벗 축(46)의 우측으로 밀리도록 작동된다. 로킹 레버(29)의 무게 중심은 피벗 축(46)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기 때문에, 그 관성으로 인해 어떠한 토오크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관성 질량체(37)의 관성에 의해 힘(F2)이 발생된다. 이러한 힘은 해제 버튼을 좌측으로 밀어 내어 로킹 해제 위치로 되게 하기에 충분한 높은 토오크를 로킹 레버(29)에서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관성 질량체(37)는 회전되도록 편심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회전 축(53)의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고, 그 외표면은 제 2 회전 스토퍼(11)에 바로 부딪치게 된다. 도면 부호 X로 표시된 스토퍼(11)의 부분은 무게 중심(54)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기 때문에, 관성 질량체(37)는 제 2 회전 스토퍼(11)에 맞대어 충분히 지지되며, 그에 따라 로킹 레버(29)에 어떠한 힘도 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해제 버튼(15)은 로킹 레버(29)에 의해서는 이동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 1 아암과 섹션(47)의 좌측벽과의 사이에 최소의 공전 행정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관성 질량체(37)의 회전의 초기에 로킹 레버(29)에 전달되는 어떠한 미세한 힘도 해제 버튼(15)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관성 질량체(37)는 무게 중심의 높이에 있는 그 원통형 외표면 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피벗 축(46) 및 회전 축(5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킹 연부(59)가 존재한다. 이러한 로킹 연부(59)가 비교적 급경사로 형성되고 관성 질량체(37)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 과정 중에 표면(43)에 부딪치게 되면, 표면이 서로에 마주쳤을 때에 로킹 연부(59)는 관성 질량체(37)의 표면이 표면(43) 상에서 활주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버클(1)이 갑자기 지연되어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은 감속이 발생되는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말기에 버클(1) 상에서의 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제 1 회전 스토퍼(11)를 제외한 제 2 회전 스토퍼(57)만이 그러한 감속 중에 작용한다. 관성 질량체(37)는 그 관성으로 인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미 제 2 회전 스토퍼(57) 상의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가 아니면 최소의 선회 이동 후에 제 2 회전 스토퍼와 접촉하게 된다(Y로 나타낸 부분 참조). 관성 질량체(37)와 로킹 레버(29)는 힘을 전달하도록 그러한 이동의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레버 아암(L2)이 로킹 레버(29)에 힘(F2)을 전달하게 된다. 무거운 관성 질량체(37)로 인해 생기는 피벗 축(46) 둘레로의 토오크에 해당하는 토오크는 해제 버튼(15)의 관성 질량에 의해 로킹 레버(29)에 전달되는 토오크보다 상당히 크게 되는데, 그러한 토오크는 관성 질량체(37)에 의해 과잉 보상된 것이다. 따라서, 관성 질량체(37)는 항상 해제 버튼(15)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버클은 2개의 대향된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속도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해제 버튼(15)의 변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버클에서는 로킹 레버가 그 로킹 레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특유한 관성 질량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로킹 레버의 피벗 축 둘레로의 합성 관성 모멘트는 가속 및 감속 중에 그 크기가 상이하며, 그 결과 해제 버튼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가 배제될 수 있다.

Claims (17)

  1. 로킹 위치에서 수형 러그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캐치 볼트(13)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중 지지 프레임(5)과, 상기 캐치 볼트(13)를 로킹 해제 위치로 활주시켜 상기 수형 러그를 해제하도록 작동되기에 적합한 해제 버튼(15)과, 상기 해제 버튼(15)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하는 다중 아암형 로킹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레버(29)는 피벗 축(46) 둘레로 선회하도록 상기 프레임(5)상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 레버(29)의 제 1 아암(27)은 상기 해제 버튼(15)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로킹 레버(29)에 작용하는 관성력과 상기 로킹 레버의 고유의 관성 모멘트는 함께 벨트 예비 인장 중의 버클의 속도가 급속히 변동하는 동안에 해제 버튼(15)의 의도되지 않은 활주를 방지하는 상기 피벗 축(46) 둘레로의 합성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에 있어서,
    일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급속히 변동하는 동안에 제 2 아암(33)에 관성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아암(33)에 대해 이동됨으로 인해 로킹 레버(29)로의 힘의 전달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절되도록 제 2 아암(3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관성 질량체(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속도가 급속히 변동할 때에 이동의 일방향으로 제 2 아암(33)과 결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 제 2 아암(33)에 대해 이동됨으로 인해 상기 제 2 아암(33)과 결합되지 않으며, 상기 로킹 레버(29)에 관성력의 일부만 전달하거나 전혀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속도가 급속히 변동할 때에 상기 제 2 아암(33)에 대해 이동됨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스토퍼에 접촉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그 결과 상기 제 2 아암(33)으로의 힘의 전달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그 무게 중심(54)에 대해 편심되어 상기 제 2 아암(3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스토퍼는 제 1 회전 스토퍼(1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스토퍼가 작용하는 상기 관성 질량체(37)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회전 스토퍼(57)는 관성 질량체(37)가 부딪칠 수 있는 제 2 아암(33)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로킹 레버(29)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 2 회전 스토퍼(57)와 접촉되거나 그로부터 작은 거리만을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수납 개구부(51)를 구비하고 그 개구부의 가장 깊은 지점에서 상기 제 2 아암(33)의 자유 단부(35)에 접촉되고, 상기 수납 개구부(51)의 하나의 섹션은 상기 제 2 회전 스토퍼(57)에 부딪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버튼(15)의 작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에 하나 또는 2개의 회전 스토퍼(11,57)는 상기 관성 질량체(37)의 무게 중심(54)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상기 제 1 회전 스토퍼(11) 상에 맞물리도록 그 무게 중심(54)의 높이에서 그 외표면 상에 로킹 연부(5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 1 회전 스토퍼(11)의 표면(43)은 원호형의 오목한 횡단면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의 중심점은 상기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단면이 원호형이고 볼록한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제 1 회전 스토퍼(11)의 표면(43)으로부터 작은 거리를 두고 있고 그 원호의 중심점은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로킹 레버(29)의 피벗 축(46)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홈(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상기 버클(1) 상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질량부(39) 및 연결 리브(41)를 구비하고, 각각의 질량부(39)는 그에 부속하는 회전 스토퍼(11,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는 병진 운동을 하도록 2 아암형 레버(33)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5.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체(37)로부터 상기 로킹 레버(25)로의 힘의 전달이 단절되는 것은 벨트 예비 인장 행정의 초기의 버클(1)의 가속 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볼트(13)는 프레임(5)에 있는 수형 러그용 압입 경로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17.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29)의 제 1 아암(27)은 안내로(23)에 의해 상기 해제 버튼(15)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버클.
KR1019970037464A 1996-08-07 1997-08-06 벨트프리텐셔너와함께사용하도록설계된안전벨트버클 KR10045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13690U DE29613690U1 (de) 1996-08-07 1996-08-07 Gurtstrafferfester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DE29613690.5 1996-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16A true KR19980018416A (ko) 1998-06-05
KR100452564B1 KR100452564B1 (ko) 2004-12-17

Family

ID=802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464A KR100452564B1 (ko) 1996-08-07 1997-08-06 벨트프리텐셔너와함께사용하도록설계된안전벨트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5266A (ko)
EP (1) EP0823223B1 (ko)
JP (1) JP4093617B2 (ko)
KR (1) KR100452564B1 (ko)
DE (2) DE29613690U1 (ko)
ES (1) ES211625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3885A (en) * 1997-04-02 1998-10-07 Alliedsignal Ltd Buckle with counterbalance mass
JP3809007B2 (ja) * 1998-03-25 2006-08-16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
US6233794B1 (en) * 1998-06-18 2001-05-2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US5996193A (en) * 1998-06-18 1999-12-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DE19858716C1 (de) * 1998-12-18 2000-05-18 Breed Automotive Tech Verschlu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29922677U1 (de) * 1999-12-23 2000-05-18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DE20000869U1 (de) * 2000-01-19 2000-06-29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US6550112B2 (en) * 2001-01-18 2003-04-2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Closure for a seat belt
JP4609922B2 (ja) * 2003-10-24 2011-01-12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7370393B2 (en) * 2004-09-20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MX2007013210A (es) * 2005-04-27 2008-01-16 Autoliv Dev Hebilla de cinturon de seguridad amortiguadora de choques.
US7543363B2 (en) 2005-05-26 2009-06-09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DE102008052856B3 (de) * 2008-10-23 2010-05-20 Autoliv Development Ab Schocksicheres Gurt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JP5688256B2 (ja) * 2009-10-28 2015-03-25 芦森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
JP5385214B2 (ja) * 2010-06-09 2014-01-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DE102012002205A1 (de) 2012-02-07 2013-08-08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mit Freigabesperre
DE102012018070A1 (de) 2012-02-07 2013-08-08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mit Freigabesperre
DE102012002206A1 (de) 2012-02-07 2013-08-08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mit Freigabesperre
DE102012007797B4 (de) 2012-04-20 2023-08-31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723Y2 (ja) * 1978-01-12 1984-09-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ツクル装置
DE3835508A1 (de) * 1988-10-19 1990-05-03 Autoliv Kolb Gmbh & Co Schloss fuer ein kraftfahrzeug-sicherheitsgurtsystem
DE3929114A1 (de) * 1989-09-01 1991-03-07 Trw Repa Gmbh Gurtschloss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das mit einer rueckstrammeinrichtung versehen ist
KR0148271B1 (ko) * 1990-03-26 1998-08-17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버클장치
DE4021974A1 (de) * 1990-07-10 1992-01-16 Autoflug Gmbh Sicherheitsgurtverschluss mit schocksicherung
EP0485656B1 (de) * 1990-11-15 1995-05-1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Schloss für Sicherheitsgurtsysteme in Fahrzeugen
JP3375088B2 (ja) * 1992-02-19 2003-02-1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バックル装置
DE9202528U1 (ko) * 1992-02-27 1992-04-16 Autoliv Development Ab, Vaargaarda, Se
DE4215563A1 (de) * 1992-05-12 1993-11-18 Trw Repa Gmbh Schloß für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e
JPH0666310U (ja) * 1993-03-03 1994-09-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DE4416301A1 (de) * 1994-05-09 1995-11-16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US5496068A (en) * 1995-01-20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buckle for seat belt pretensioner system
US5522619A (en) * 1995-02-01 1996-06-04 Alliedsignal Inc. End release seat belt buckle having an inertia-sensitive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6253T1 (es) 1998-07-16
JP4093617B2 (ja) 2008-06-04
EP0823223A3 (de) 1998-04-08
US5765266A (en) 1998-06-16
JPH1071007A (ja) 1998-03-17
KR100452564B1 (ko) 2004-12-17
EP0823223B1 (de) 2001-10-31
ES2116253T3 (es) 2002-05-01
EP0823223A2 (de) 1998-02-11
DE29613690U1 (de) 1996-12-05
DE59705149D1 (de) 200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8416A (ko) 벨트 예비 인장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
EP2020335B1 (en) Lock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960031200A (ko) 신축가능한 자동차시트의 록장치
JP2825786B2 (ja) 安全ベルトのためのバックル
US6142569A (en) Reclining device
EP1525815B1 (en) Buckle having a shock-proof device, and seat belt apparatus having this buckle
US4972559A (en) Safety belt buckle
KR20020080404A (ko) 차량 시트 조절 시스템용 작동 장치
KR100512828B1 (ko) 시트 슬라이딩 장치
US6550112B2 (en) Closure for a seat belt
US6463639B1 (en) Buckle
EP0945082B1 (en) Safety belt buckle
KR20010052844A (ko) 좌석 벨트 버클
JPH0642846B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用バックル
US9402446B2 (en) Belt buckle with release lock
EP0858927B1 (en) Reclining device
US6370742B1 (en) Buckle with movement prevention device
KR101258095B1 (ko) 충격 흡수용 안전 벨트 버클
KR100491236B1 (ko) 좌석 벨트 버클
EP1374714B1 (en) Safety belt buckle
KR100247680B1 (ko)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JPH03222904A (ja) バツクル装置
KR20230129736A (ko) 글로브 박스
JP2023026935A (ja) 手摺り用保持具及び手摺り装置
JPH1148836A (ja) シートのセーフ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