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828B1 - 시트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828B1
KR100512828B1 KR10-2000-0024957A KR20000024957A KR100512828B1 KR 100512828 B1 KR100512828 B1 KR 100512828B1 KR 20000024957 A KR20000024957 A KR 20000024957A KR 100512828 B1 KR100512828 B1 KR 10051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ctuating lever
plate
attachment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595A (ko
Inventor
이케가야이사오
간다요시히로
마츠모토다다시
Original Assignee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T-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잠금 이빨(22, 22)을 갖는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 20)과;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과;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와; 각각 제 1 및 제 2 상부 레일(30A, 30B)에 제공되는 잠금 스프링(50, 5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에서 작동레버(70)의 제 1 끝부분(70a)은 제 1 잠금 플레이트(40A)의 피봇 부분(41)의 근처에 부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70)의 제 2 끝부분(70b)을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의 피봇 부분(41)의 근처에 부착하기 위해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는 회전 및 위 아래로 자유로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시트 슬라이딩 장치{Seat sl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몸체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차량용 시트를 미끄러지게 하기 위한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플레이트에 작동레버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3296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우측 잠금 플레이트(17 : 상기 공보에는 미도시) 및 좌측 잠금 플레이트(17 : 상기 공보의 도 1 참조)는 시트쿠션측에 고정된, 한쌍의 우측 상부 레일(12 : 상기 공보에는 미도시) 및 좌측 상부 레일(12 : 상기 공보의 도 1)에 각각 회전 및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U자-형태의 단단한 작동레버(19)의 양쪽 끝부분이 한쌍의 잠금 플레이트(17, 17) 각각의 앞쪽에 형성된 2개의 부착구멍(17c, 17c)에 맞도록 끼워진다.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17, 17)는, 작동레버(19)를 작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회전한다.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17, 17)의 자유단 쪽에 형성된 잠금 못(17a, 17a)은 차량몸체에 고정된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11, 11)위에 형성된 잠금 이빨(11a, 11a)과 맞물려짐으로써, 시트 주몸체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잠금 못(17a, 17a)과 잠금 이빨(11a, 11a)의 맞물림의 해제에 의해, 시트 주몸체가 움직여질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불리함을 가지고 있다. 작동레버(19)의 양끝이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17, 17)에 고정되어 부착되어져 있는 종래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는, 충돌 등으로 인하여 시트 벨트 앵커 플레이트(벨트 앵커)가 부착되어진 측의 좌측 상부 레일(12)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시트 벨트 앵커 플레이트측에 있는 잠금 플레이트(17)가 시트 벨트 앵커 플레이트측의 상부 레일(12)과 함께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차량몸체 바닥이 변형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좌측 상부 레일(12)과 좌측 하부 레일(11)의 후단측은 경사지게 된다. 여기서, 다른 쪽의 우측 상부 레일(12), 즉, 벨트 앵커가 부착되지 않은 쪽의 우측 상부 레일은 윗방향으로의 힘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경사를 이루지도 않는다. 또한, 각각의 상부 레일(12, 12)에 의해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탱되어지는 잠금 플레이트(17, 17)는 U자 형태의 작동레버(1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진다. 따라서, 벨트 앵커 쪽의 좌측 상부 레일(12)이 경사를 이루더라도 좌측 잠금 플레이트(17)는 처음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벨트 앵커 측에서, 좌측 잠금 플레이트(17)는 좌측 하부 레일(11)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좌측 잠금 플레이트(17)가 회전하는 상태와 같은 상태에 있다.
충돌하는 시점에서, 힘이 전방으로 가해지므로, 좌측 잠금 플레이트의 잠금 못(17a, 17a)은 좌측 하부 레일(11)의 잠금 이빨(11a, 11a)과 강하게 맞물려져서 잠겨진 상태는 풀리지 않으며, 작동레버(19)는 구부려지고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충돌후, 더 이상의 힘이 전방으로 가해지지 않으면, 벨트 앵커가 부착된 쪽의 좌측 잠금 플레이트(17)는 오직 작동레버(19)의 굽힘량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잠금 못(17a, 17a)과 잠금 이빨(11a, 11a)의 맞물림은 잠금 상태가 해체되도록 풀려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상의 문제점을 가지는 또다른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115571호 및 EP 0 751 029 A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 등으로 인하여 벨트 앵커가 부착되어진 쪽의 상부 레일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라도 잠금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형태에 따르면, 각각 잠금 이빨(22,22)이 형성된 한쌍의 좌우 하부 레일(20,20)과; 한쌍의 좌우 상부레일로서 배치되고, 각각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 하나는 시트벨트 앵커 부착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시트벨트 앵커 부착측의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과; 그 베이스부분들이 각각 피봇 부분(41,41)에 의해 제 1 및 제 2상부레일(30A, 30B)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각각의 자유단부에는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20)에 형성된 잠금 이빨(22,22)과 맞물려지는 잠금 구멍(42a, 42a)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와; 각각의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에 제공되며, 각 잠금 구멍(42a, 42a)이 각각의 잠금 이빨(22,22)에 맞물리게 하여 그 잠금 구멍(42a, 42a)들과 잠금 이빨(22,22)들이 맞물림에 의해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위에 제공되는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50,50)과;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되고, 제 1 끝부분(70a)이 제 1 잠금 플레이트(40A)의 피봇 부분(41)의 근처에 부착되고, 그 조작에 의해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가 함께 회전되어 잠금 구멍(42a, 42a)과 잠금 이빨(22, 22)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작동레버(70);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의 피봇부분(41)의 근처에 작동레버(70)의 제 2 끝부분(70b)을 부착시키기 위해 회전 및 자유로운 승강이 가능하게 마련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첫 번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서, 충돌 등으로 인해 벨트 부착측의 제 1 상부 레일(30A)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졌을 때, 벨트 앵커 비부착측에 있는 제 2 상부 레일(30B)에 배열된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의 작동 레버 부착 부재(45)에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b)은, 끝부분(70b)이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에 작동 레버 부착 부재(4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벨트 앵커 부착측에 있는 제 1 상부 레일(30A)에 배열된 제 1 잠금 플레이트(40A)에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a)을 따라 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앵커 부착측에 있는 제 1 상부 레일(30A)에 가해지는 상기에서 언급된 압력은 벨트 앵커 비부착측에 있는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에 전달되지 않으며 작동레버(70)도 비틀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첫 번째 형태에 종속되어, 상기 작동레버 부착 부재는, 잠금 구멍(42a, 42a)과 잠금 이빨(22,22)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제 2 잠금 플레이트(40B)가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잠금 플레이트(40B)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형태에 따르면, 작동레버(70)의 벨트 앵커 부착측 끝부분이 부착된 작동 레버 부착 부재(45)는,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에 정상적인 압력을 가한다. 이로 인해, 작동레버(70)의 작동에 의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제 1 잠금 플레이트(40A)와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제 2 잠금 플레이트(40B)가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작동레버(70)를 위한 작동 레버 부착 부재(45)의 피봇샤프트가 잠금 플레이트(40B)에 마련되므로, 작동레버(70)와 잠금 플레이트사이에 추가적인 멤버가 제공되었을지라도 작동력의 상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첫 번째 형태에 종속되어, 작동레버(70)는 U자 형태로 된다.
따라서,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 작동은 사용자의 한 손으로 이루어짐으로 해서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하는 작동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들 및 그 이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하기에 기술된 설명들 및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도 1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사한 부재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로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차량 시트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표시한다.
이 장치에서, 잠금 플레이트(40A, 40B) 베이스부분이, 한쌍의 좌우 상부 레일, 즉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과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상부레일(30B)의 측면에 각각 회전 및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진다.
자유단 측의 하부에 형성된 잠금 부분(42)의 잠금 구멍(42a)은 각각 잠금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의해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20)의 잠금 이빨(22)과 맞물려지는데, 이로 인해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맞물리는 상태를 풀어줌으로서,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는 그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된 전체적으로 U자형의 작동레버(70)의 작동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과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상부레일(30B)에 각각 배치된 잠금 플레이트(40A, 40B) 중에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는, 잠금 플레이트(40B)가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상부레일(30B)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피봇 부착 부분(41) 근처에 자유롭게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작동레버의 양 끝부분(70a, 70b)은 각각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A)와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은 자세하게 기술되어 질 것이다.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주몸체(60)는 시트쿠션(61)과 시트등받이(62)를 포함한다. 시트등받이(62)는 시트 조절 장치(63)에 의해 시트쿠션(61)의 뒷부분에 피봇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하부 레일(20)은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량 몸체의 바닥(21)에 부착되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하부 레일(20,20)은 대략 U자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며, 안쪽으로 겹쳐진 스토퍼 부분(23, 23)이 각각 레일(20)의 양측에 형성되어진다. 상부 레일(30A, 30B)은 각각 하부 레일(20,2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탱되어진다. 각각의 상부레일(30A, 30B)은 대략 T자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대략 L자 형태의 판이 함께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퍼부분(31,31)은 각각의 상부레일(30A, 30B)의 양측에 위쪽으로 향해지도록 형성된다. 시트쿠션(61)측 시트 몸체(60)는 상부레일(30A, 30B)위에 놓여지는데, 그에 따라 시트 몸체(60)는 세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조절장치(63)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32)이 상부레일(30A, 30B)의 뒷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벨트 앵커는 상부레일(30A)의 부착부분(33)에 고정된다.
다수의 잠금 이빨(22)은 세로방향으로 각각의 하부 레일(20)의 스토퍼 부분(23)의 한 지점에 같은 거리에 위치해 있다.
잠금 플레이트(40A, 40B) 주위는 각각 피봇샤프트(41)에 의해 상부레일(30A, 30B)의 수직벽의 앞부분에 피봇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진다. 하부레일(20,20)의 잠금 이빨(22)과 맞물려지는, 다수 혹은 예를 들면, 두개의 잠금 구멍(42a)을 갖는 잠금 부분(42)이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 부분(42)은 상부레일(30A, 30B)의 중앙 하측에 형성된 노치(notch)와 반대방향으로 돌출 된다. 잠금 부분(42)의 잠금 구멍(42a)은 잠금 이빨(22)과 같이 맞물려진다.
원호형의 잠금 플레이트 안내 장공(36)에 삽입되며, 각각의 상부 레일(30A, 30B)에 피봇샤프트(41) 둘레에 잠금 스프링 스토퍼 부분(40a)이 도 6(단지 잠금 플레이트(40A, 40B) 측만 보여주는)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 측에 구부려지면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40b)가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형성되고,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단지 잠금 플레이트(30A) 측만 보여주는) 각각의 상부 레일(30A, 30B)의 하나의 수직 벽 부분(34)에 형성된 홈(34a)과 결합된다.
잠금 스프링(50)은 막대 형태를 이룬다. 잠금 스프링의 한쪽 끝(51)은 각각의 상부레일(30A, 30B)에 형성된 스토퍼 구멍(30a)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끝부근(51)은 각각의 상부 레일(30A, 30B)에 형성된 후크(30b)와 결합되어, 잠금 스프링(50)의 회전을 막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50)의 다른 끝에 형성된 후크부분(52)은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형성된 잠금 스프링 스토퍼에서 멈춰진다. 이 잠금 스프링(50)은,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를 가압하여 피봇샤프트(41) 둘레로 잠금방향(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환언하면,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구멍(42a)은 각각의 하부레일(20,20)의 잠금 이빨(22)과 압접 결합되어서, 상부레일(30A, 30B), 즉, 시트 주몸체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막는다.
잠금 플레이트 유지수단으로서 제공된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부분(34b)은, 도 4 와 도 7(단지 상부레일(30A) 측면만 보여주는)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레일(30A, 30B) 각각의 일측 수직벽(34)을 자르고 들어올리고 선단을 구부림으로써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 잠금 플레이트(30A, 30B)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은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 부분(34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8과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부분(34b)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노치(40c)는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 부분(34b)에 대응하는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측면으로부터 상부레일(30A, 30B)에 잠금 플레이트(40A, 40B)가 부착되어, 각각의 나치(40c)가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부분(34b)에 맞춰진다.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구멍(42a)이 하부레일(20)의 잠금 이빨(22)과 압접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부분(34b)에 맞물려지고, 그 상방으로 돌출 되는 안내돌기(40d)가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 상부에 형성된다.
이런 안내 돌기(40d)에 의해,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가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구멍(42a)이 잠금 이빨(22)로부터 떨어지는 위치 하향 회전하더라도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자유단부분이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부분(34b)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작동레버(70)의 벨트 앵커 부착측 끝부분(70a)에 부착하기 위한 작동레버 부착 부분(43, 44)이, 상부레일(30A)에 플레이트(40A)를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벨트 앵커 부착측 잠금 플레이트(40A)의 피봇식 부착부분(41)의 근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부려져서 형성된다. 부착구멍(43a, 43b)은 서로 동일 축선상에 정렬되도록 작동레버 부착부분(43,44)에 형성된다. 작동레버(70)의 벨트 부착측 끝부분(70a)은 이 부착구멍(43a, 44a)으로 삽입된다. 하나의 작동레버 부착부분(43)의 부착구멍(43a)의 가장자리부는 나중에 기술할 판상 부재(80)의 고정홈부분(83)에 맞추어질 스토퍼부분(43b)을 형성한다.
상부레일(30B)에 부착된 피봇식 부착 부분인 피봇샤프트(41)의 주위에 위로 돌출된 돌출부분(40e)이,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B)에 형성된다. 작동레버(70)의 벨트 앵커 비부착측 끝부분(70b)을 돌출부분(40e)에 부착하기 위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는 자유롭게 위아래로 피봇운동 가능하게 피봇샤프트(46)에 부착된다. 돌출부분(40e)과 작동부재(45)의 내부면에 접촉된 계단형의 부분(46a)은 피봇샤프트(46)에 형성된다.
작동레버 부착 부분(47, 48)은 작동레버 부착부재(45)상에,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A)에 형성된 작동레버부착 부재(43, 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부착구멍(47a, 48a)은 각각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에 서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작동레버(70)의 벨트 앵커 비부착측 끝부분(70b)은 부착구멍(47a, 48a)으로 삽입된다. 하나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7)의 부착구멍(47a)의 가장자리부는 판상 부재(80)의 고정홈부분(83)에 맞추어질 수 있는 스토퍼부분(47b)을 형성한다.
또한, 토션코일 스프링(49)의 베이스는 피봇샤프트(46)의 계단형의 부분(46a)주위에 감긴다. 토션코일 스프링(49)의 한쪽 끝부분(49a)은 잠금 플레이트(40B)의 돌출부분(40e)에 형성된 스토퍼 구멍(40f)에서 멈춰지고, 다른 쪽 끝부분에 형성된 후크 부분(49b)은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뒤(R)쪽 상면에서 멈춰진다. 토션코일 스프링(49)은,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를 가압하여 피봇샤프트(46) 둘레로 잠금방향(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하나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8)은 평시에는 잠금 플레이트(40B)에 구부러져 형성된 플랜지부분(40f)과 압접 결합된다.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70)는 파이프 재질로 만들어지며 U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구멍(7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스토퍼 구멍(71)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 상에 앞(F)쪽을 향하여 연장된 슬릿(72)과 스토퍼 구멍(71)은 각 끝부분(70a, 70b)의 상면 위에 형성된다.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부재(80)는 얇은 스프링재질로 되어있고 작동레버(70)의 슬릿(72)으로부터 작동레버(70)로 삽입된다. 작동레버(70)의 스토퍼 구멍(71)에 끼워 맞추어져 멈추어지도록 된 결합 돌출부분(81)은 부재(80)가 삽입된 측의 한쪽 끝부분 형성된다.
부착 테이퍼 부분(82), 고정홈부분(83) 및 리턴테이퍼 부분(84)은 판상 부재(80)가 부착구멍(43a)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판상 부재(80)의 다른 쪽 끝부분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것들은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부재(80)가 작동레버에 부착되었을 때 슬릿(72)으로부터 밖으로 돌출 되어진다.
부착 테이퍼 부분(82)은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부재(80)가 작동레버(70)의 각 끝부분(70a, 70b)에 부착되었을 때 뒤(R)쪽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고, 작동레버(70)의 축선 (X-X)쪽으로 경사진 면이다. 조립 중에, 작동레버(70)가 잠금 플레이트(40A)의 부착구멍(47a)과 잠금 플레이트(40B)측의 작동레버부착부분(45)의 부착구멍(47a)으로 삽입될 때, 부착 테이퍼 부분(82)은, 작동레버(70)를 부착구멍(43a, 47a)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부려지며, 부착구멍(43a, 47a)의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고정홈부분(83)은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 부분(47b)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홈부분(83)의 베이스(83a)를 슬릿(72)밖으로 돌출 되도록 함으로서, 스토퍼(43b, 47b)에 스프링 힘이 가해져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a, 70b)이 각각의 부착구멍(43a, 47a)의 일측으로 당겨진다.
부착 테이퍼 부분(82)측의 고정홈부분(83)의 측면(83b)은, 작동레버(70)가 당기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라도 작동레버(70)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하기 위해 판상 부재(80)가 작동레버(70) 각각의 끝부분(70a, 70b)에 부착될 때, 작동레버(70)의 축선 (X-X)에 거의 직각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열린 방향으로 더 넓어지도록 경사진 분리 테이퍼 부분은 고정홈부분(83)의 다른 쪽 측면(83c)에 형성된다. 강한 힘이 미는 방향으로 작동레버(70)에 가해질 때,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부분(43b)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부분은 고정홈부분(83)에서 분리되고, 작동레버(70)는 뒤(R)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눌려 들어간다.
또한, 아래로 경사진 리턴 테이퍼 부분(84)은 고정홈부분(83)을 통해서 부착 테이퍼 부분(82)과 반대쪽에 형성된다. 작동레버(70)가 잘못 눌려 들어갔을 지라도, 판상 부재(80)는 작동레버(70)를 당김으로써 구부려지고 고정홈부분(83)은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47b)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작동레버(70)가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평상위치에 부착되었을 때, 즉,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 부분(47b)과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이 판상 부재(80)의 고정홈부분(83)에 끼워 맞추어질 때, 작동레버(70)의 스토퍼 구멍(71)은 잠금 플레이트(40A)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4)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8)에 겹쳐지고, 스토퍼 구멍(71)으로부터 돌출된 판상 부재(80)의 결합돌출부분(81)은 잠금 플레이트(40A)의 부착 구멍(44a)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부착구멍(48a)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스프링 힘은 그곳에 가해진다. 따라서, 작동레버(70)는 부착구멍(44a, 48a)의 일측면으로 이끌어진다. 이 결합돌출부분(81)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을 이루고 있으나, 원호형 또는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능이 기술될 것이다.
잠금 플레이트(40A, 40B)가 각각의 상부 레일(30A, 30B)에 부착될 때, 잠금 플레이트(40A,40B)의 노치(40C)는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 부분(34b)으로 삽입되고 잠금 스프링 스토퍼 부분(40a)은 잠금 플레이트 안내 장공(36)으로 각각 삽입된다. 이때,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부분(42)은 각각 상부레일(30A, 30B)의 노치(35)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밑면은 각각의 피봇샤프트(41)에 의해 상부레일(30A, 30B)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여, 잠금 플레이트(40A, 40B)를 각각 상부레일(30A, 30B)에 피봇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 상부레일(30A, 30B)은 롤러, 볼 등을 통해 하부레일(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구멍(42a)이, 잠금 구멍(42a)이 하부레일(20,20)의 잠금 이빨(22)에 맞물려진 위치로 회전할지라도, 각 노치(40c)는 잠금 플레이트 안내 절곡 부분(34b)과 만나는 위치로 회전하지 않는다.
상부레일(30A, 30B)의 스토퍼 구멍(30a)으로 삽입되는 일측단(51)을 가지며, 그 끝(51) 부위가 후크 부분(30b)에서 멈춰진 감금 스프링(30a)이 구부려질 때, 잠금 스프링(50)의 다른 쪽 끝에 있는 후크 부분(52)은, 각각 상부레일(30A, 30B)의 잠금 플레이트 안내 장공(36)으로부터 그 일부가 튀어나온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스프링 스토퍼 부분(40a)에서 멈춰진다. 이렇게 하여,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부분(42)은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즉, 각각의 잠금 플레이트(40A, 40B)의 잠금 구멍(42a)이 하부레일(20, 20)의 잠금 이빨(22)과 압접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70)를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판상 부재(80)가 구부려져서 슬릿(72)으로부터 작동레버(70)로 삽입되고, 결합돌출부분(81)은 내부로부터 작동레버(70)의 스토퍼 구멍(71)이 끼워 맞추어지고, 평평한 부분(85)은 작동레버(70)의 내측면에 압접된다. 이 시점에서, 판상 부재(80)의 원호(88)는 작동레버(70)의 내측면에 압접된다.
다음,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부재(80)가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a)은 잠금 플레이트(40A)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3)의 부착구멍(43a)으로 삽입된다. 그때에,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은 부착 테이퍼 부분(82)상에서 슬라이딩되고 판상 부재(80)의 앞(F)쪽은 원호 부분(88)이 받침대로 사용되어지는 내측면(73)과 접촉된 접촉부분과 함께 구부려져서, 판상 부재(80)는 일시적으로 슬릿(72)을 형성한다.
고정홈부분(83)이 스토퍼부분(43b)과 직면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고정홈부분(83)은 판상 부재(80)의 스프링 힘에 의해 스토퍼 부분(43b)에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도 10에서 보여지듯이,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a)은 잠금 플레이트(40A)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부착방법은, 여기서는 기술되어지지 않았지만, 판상 부재(80)가 부착되어진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b)을 잠금 플레이트(40B)의 작동레버 부착부분(45)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된 작동레버(70)는 위쪽으로 회전되고, 그것에 의해 잠금 플레이트(40A, 40B)는 피봇샤프트(41) 주위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잠금 구멍(42a)은 각각의 하부레일(20,20)의 잠금 이빨(22)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시트 주몸체(60)는 세로방향으로 움직여 질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앞(F)쪽에서 작동레버(70)에 가해지면,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 부분(47b)은 분리 테이퍼 부분(83c)위에서 슬라이딩되고, 판상 부재(80)의 앞(F)쪽 슬릿(72)을 발생시키고 작동레버(70)는 뒤(R)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힘이 앞(F)쪽에서 작동레버(70)에 가해져서 작동레버(70)가 도 19(잠금 플레이트(40A)측만 보임)에서 보여지듯이 정상 부착 위치 범위를 넘어가서 잠금 플레이트(40A)와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에 들어가면, 작동레버(70)가 뒤로 당겨지고 앞(F)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잠금 플레이트(40A)의 스토퍼 부분(43b)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스토퍼 부분(47b)은 리턴 테이퍼 부분(80)상에서 미끄러지고 판상 부재(80)의 앞(F)쪽은 일시적으로 슬릿(72)을 발생시킨다. 고정홈부분(83)은, 스토퍼부분(43b)과 직면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판상 부재(80)의 스프링 힘이 고정홈부분(83)을 각각의 스토퍼부분(43b, 47b)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한다. 그 결과, 작동레버(70)는 정상 부착 위치로 되돌려 질 수 있다.
또한, 충돌과 같은 비정상적인 일이 발생했을 때,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것에 의해 상부레일(30A)은 잠금 플레이트(40A)와 함께 위쪽으로 당겨진다. 이 시점에서, 작동레버(70)의 벨트 앵커 부착측의 끝부분(70a) 또한 위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b)이 부착된 잠금 플레이트(40B)의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는 토션코일 스프링(49)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봇샤프트(46)둘레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잠금 플레이트(40B)의 플랜지부분(40f)과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8)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렇듯,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상부레일(30B)에 배치된 잠금 플레이트(40B)에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b)은, 피봇샤프트(46)에 의해 자유롭게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를 잠금 플레이트(40B)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부착시킴으로써, 작동 레버(70)의 끝부분(70a)을 따라 움직여진다. 그 결과, 충돌 등으로 인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압력은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B)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A)와 작동레버(70)는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의 변형에 따라 움직여질 수 있다.
그 결과, 작동레버(70)는 비틀리지 않는다. 따라서, 충돌후 앞(F)쪽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A)의 잠금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되며, 잠금 플레이트(40A)의 잠금 구멍(42)과 하부레일(20)의 잠금 이빨(22)의 맞물림은 유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돌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압력이 벨트 앵커 부착측에 있는 상부레일(30A)에 가해지면,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상부레일(30B)에 배치된 잠금 플레이트(40B)에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b)이, 작동레버 부착 부재(45)를 통해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B)에 회전시킬 수 있게 부착되어 벨트 앵커 부착측에 있는 상부레일(30A)위에 배치된 잠금 플레이트(40A)에 부착된 작동레버(70)의 끝부분(70a)을 따라 이동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상부레일(30A)에 가해지는 압력은 벨트 앵커 부착측과는 반대쪽의 잠금 플레이트(40B)에는 전해지지 않으며 작동레버(70)는 비틀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하나의 작동레버 부착 부분(48)은 평상시에 토션코일 스프링(49)에 의해 벨트 앵커 비부착측에 있는 잠금 플레이트(40B)의 플랜지부분(40f)과 압접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레버(70)의 작동에 의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A)와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40B)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의 피봇샤프트(46)가 잠금 플레이트(40B)에 제공되므로, 추가적인 요소가 작동레버(70)와 잠금 플레이트(40B)사이에 제공되더라도 작동력의 손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출원번호 평11-130379(1999년 5월 11일에 출원된)의 전체 내용이 여기에 언급되어 통합되었다.
비록 발명이 몇 가지 실시예들에 대한 언급을 통해서 기술되었을 지라도,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앞의 실시예들의 변경 및 변화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발명의 영역은 다음 청구항과 관련하여 특징지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의하면, 충돌 등으로 인하여 벨트 앵커가 부착되어진 측의 상부 레일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라도 잠금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벨트 앵커 비부착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벨트 앵커 부착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선 Ⅲ-Ⅲ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2의 선 Ⅳ-Ⅳ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2의 선 Ⅴ-Ⅴ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잠금 스프링 스토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잠금 플레이트 유지용 절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작동레버가 판상 부재를 통해 벨트 앵커 비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8의 선 Ⅸ-Ⅸ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작동레버가 판상 부재를 통해 벨트 앵커 부착측의 잠금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10의 선 XI-XI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10의 선 XII-XII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판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판상 부재에 부착된 작동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판상 부재가 작동레버의 끝부분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시트 주몸체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작동레버가 잠금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판상 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판상 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작동레버 부착 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Claims (3)

  1. 각각 잠금 이빨(22,22)이 형성된 한쌍의 좌우 하부 레일(20,20);
    한쌍의 좌우 상부레일로서 배치되고, 각각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 하나는 시트벨트 앵커 부착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시트벨트 앵커 부착측의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
    그 베이스부분들이 각각 피봇 부분(41,41)에 의해 제 1 및 제 2상부레일(30A, 30B)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각각의 자유단부에는 한쌍의 좌우 하부레일(20,20)에 형성된 잠금 이빨(22,22)과 맞물려지는 잠금 구멍(42a, 42a)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
    각각의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에 제공되며, 각 잠금 구멍(42a, 42a)이 각각의 잠금 이빨(22,22)에 맞물리게 하여 그 잠금 구멍(42a, 42a)들과 잠금 이빨(22,22)들이 맞물림에 의해 제 1 및 제 2 상부레일(30A, 30B)위에 제공되는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50,50);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에 부착되고, 제 1 끝부분(70a)이 제 1 잠금 플레이트(40A)의 피봇 부분(41)의 근처에 부착되고, 그 조작에 의해 제 1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A, 40B)가 함께 회전되어 잠금 구멍(42a, 42a)과 잠금 이빨(22, 22)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시트 주몸체(60)가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작동레버(70); 및
    제 2 잠금 플레이트(40B)의 피봇부분(41)의 근처에 작동레버(70)의 제 2 끝부분(70b)을 부착시키기 위해 회전 및 자유로운 승강이 가능하게 마련된 작동레버 부착 부재(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 부착 부재는, 잠금 구멍(42a, 42a)과 잠금 이빨(22,22)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제 2 잠금 플레이트(40B)가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잠금 플레이트(40B)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트 슬라이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70)는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000-0024957A 1999-05-11 2000-05-10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0512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0379 1999-05-11
JP13037999A JP3560846B2 (ja) 1999-05-11 1999-05-11 シート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95A KR20010039595A (ko) 2001-05-15
KR100512828B1 true KR100512828B1 (ko) 2005-09-06

Family

ID=1503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957A KR100512828B1 (ko) 1999-05-11 2000-05-10 시트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05746B1 (ko)
EP (1) EP1053905A1 (ko)
JP (1) JP3560846B2 (ko)
KR (1) KR100512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0846B2 (ja) * 1999-05-11 2004-09-02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361982B1 (ko) * 2000-09-22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트랙의 강도보강구조
JP4226381B2 (ja) * 2003-04-21 2009-02-18 岐阜車体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4631327B2 (ja) * 2004-06-28 2011-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05034815B4 (de) * 2005-07-26 2007-06-06 Faurecia Autositze Gmbh Vorrichtung zum Längsverstellen eines Fahrzeugsitzes
JP4355963B2 (ja) * 2007-01-30 2009-11-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193617B2 (ja) * 2007-04-20 2013-05-08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130066B2 (ja) * 2008-01-30 2013-01-30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214712B2 (ja) 2010-11-25 2013-06-19 岐阜車体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5214711B2 (ja) * 2010-11-25 2013-06-19 岐阜車体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6236655B2 (ja) * 2014-04-25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203920477U (zh) * 2014-06-11 2014-11-05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滑轨组件
US11072308B2 (en) * 2018-11-27 2021-07-27 Mazda Motor Corporation Seat structure for vehicl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1245A (en) * 1939-11-13 1940-11-12 Dow Chemical Co Magnesium base alloy
JPS63180340U (ko) * 1987-05-11 1988-11-22
US4881774A (en) * 1988-11-07 1989-11-21 Bertrand Faure Automobile Memory seat track assembly for vehicle seat
JPH0556575U (ja) * 1991-12-27 1993-07-2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820266A (ja) * 1994-07-04 1996-01-23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911781A (ja) * 1995-06-28 1997-01-1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1997003860A1 (en) * 1995-07-20 1997-02-06 Dunlop Cox Limited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JPH1044838A (ja) * 1996-07-31 1998-02-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JPH11268563A (ja) * 1998-03-25 1999-10-05 Oi Seisakush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0318494A (ja) * 1999-05-11 2000-11-21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6482B (sv) * 1977-01-22 1984-12-17 Hammerstein Gmbh C Rob Anordning vid fordonssete med glidskenestyrning
US4262963A (en) * 1979-05-21 1981-04-21 C. Rob. Hammerstein Gmbh Guide rail assembly for a vehicle seat
JPH059227Y2 (ko) 1988-07-28 1993-03-08
US4964608A (en) 1989-02-09 1990-10-23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adjuster with integral positive locking traveling seat belt anchorage
JP3646356B2 (ja) * 1995-06-30 2005-05-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0943484A3 (en) 1998-03-17 2000-08-16 Ohi Seisakusho Co., Ltd. Seat slide unit
FR2778613B1 (fr) * 1998-05-12 2000-07-2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 memoire de reglage longitudina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1245A (en) * 1939-11-13 1940-11-12 Dow Chemical Co Magnesium base alloy
JPS63180340U (ko) * 1987-05-11 1988-11-22
US4881774A (en) * 1988-11-07 1989-11-21 Bertrand Faure Automobile Memory seat track assembly for vehicle seat
JPH0556575U (ja) * 1991-12-27 1993-07-2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820266A (ja) * 1994-07-04 1996-01-23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911781A (ja) * 1995-06-28 1997-01-1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1997003860A1 (en) * 1995-07-20 1997-02-06 Dunlop Cox Limited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JPH1044838A (ja) * 1996-07-31 1998-02-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JPH11268563A (ja) * 1998-03-25 1999-10-05 Oi Seisakush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0318494A (ja) * 1999-05-11 2000-11-21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1053905A1 (en) * 1999-05-11 2000-11-22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sliding apparatus
US6305746B1 (en) * 1999-05-11 2001-10-23 Fujikiko Kabushiki Kaisha Seat sli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3905A1 (en) 2000-11-22
JP3560846B2 (ja) 2004-09-02
US6305746B1 (en) 2001-10-23
KR20010039595A (ko) 2001-05-15
JP2000318494A (ja)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828B1 (ko) 시트 슬라이딩 장치
US6467849B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belt buckle mounting
US7926858B2 (en) Lock device
US5762400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US4295682A (en) Superfine tooth seat back adjuster
JP5621724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11180054B2 (en) Sliding device
JPS6144485B2 (ko)
JPH0648230A (ja) 非反転爪調節ラッチ機構を有するシートアッセンブリ
US6220666B1 (en) Seat reclining device
US6659558B2 (en) Seat reclining device
KR19980042258A (ko) 자동차 시이트의 길이방향 조정장치
US6550112B2 (en) Closure for a seat belt
JP200215435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17082235A1 (ja) シートロック装置
JPH1044927A (ja) そらせ板付属具用の調節装置
JP3037909B2 (ja)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CN115675199A (zh) 座椅滑动装置
JP357923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0976606B1 (en) Seat reclining system
EP1160121B1 (en) Device for securing a seat back to a body of a motor vehicle
KR100284093B1 (ko) 좌석 활강 장치
US20040221679A1 (en) Ratchet-type adjustment device
EP0911208B1 (en) Seat slide apparatus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