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71B1 -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버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71B1
KR0148271B1 KR1019910003215A KR910003215A KR0148271B1 KR 0148271 B1 KR0148271 B1 KR 0148271B1 KR 1019910003215 A KR1019910003215 A KR 1019910003215A KR 910003215 A KR910003215 A KR 910003215A KR 0148271 B1 KR0148271 B1 KR 014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latch
buckle plate
plate
la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이찌 남베
히로시 우수다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다까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다까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7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장비되는 시이트벨트용의 버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클 플레이트가 버클로 부터 빠져나가는, 이른바 관성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즉 버클본체와, 이 버클본체에 삽입계지되는 버클플레이트와, 이 버클플레이트가 상기한 버클본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한 버클플레이트를 계지하므로써 상기한 버클플레이트와 버클본체를 연결하는 래치부재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재와, 상기한 래치부재를 계지위치에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한 래치부재와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상기한 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록크부재를 장비하고 있는 버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직부재의 통상의 조작시에는 상기한 록크부재가 래치부재와 버클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한 록크부재가 래치부재와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버클장치의 일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조작부재의 사시도, (b)는 래치부재의 사시도,
(c)는 (a)에 있어서의 IC-IC 선에 따르는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ID-ID 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클플레이트와 버클본체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재의 조작에 대한 계지해제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조작전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b)는 조작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c)는 해제위치까지 조작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계지해제방향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종래의 버클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의 버클플레이트 삽입전의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의 버클플레이트 삽입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버클플레이트 4:프레임
5:래치부재 6:록크부재
7:조작부재 28:인장스프링(록크부재 부세장치)
31,31':스프링(조작부재 부세장치)
40:이동제어부재 41:돌기
A:버클본체
본 발명은 자동차기타의 교통기관의 좌석에 장비되는 시이트벨트용의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교통기관의 좌석에는 충돌등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이트벨브가 부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시이트벨트를 간이하게 착탈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버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이 버클장치는 버클플레이트를 계지하는 폴(fawl)을 장비한 래치(ratch)부재를 플레이트에의 계지방향으로 스프링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해제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래치부재에 대한 스프링부세력을 저하시키면, 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력이 약해져서 차량충돌시와 같은 큰충격을 받았을 경우에, 래치부재가 관성에 의해 변위하고,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이탈하는 현상, 소위 관성이탈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관성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부재에 대한 스프링부세력을 강하게 하여 왔다.
그 결과 상기한 버클의 계합해제에 필요한 조작력이 증대해 버려서, 그 조작력의 경감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버클측의 래치부재에 대하여 버클플레이트 계지시의 변위를 저지하는 록크부재를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래치부재가, 심한 충격에 따르는 관성력등에 의해 예기치 않게 버클플레이트 이탈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버클장치가 실공소 64-87호 공보, 실개소 63-88108호 공보, 실개소 60-139560호 공보 등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서 실개소60-139560호 공보의 버클장치를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다.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1은 버클플레이트이고, 통상적인 것과 같이 한쪽의 단부에 벨트연결공(2)을, 보유하고, 또 다른쪽의 버클플레이트선단에 계지공(3)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4는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를 넣고 빼는 버클본체(A)의 프레임이고, 버클본체(A)는 그 프레임(4)을 베이스로 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한 버클본체(4)는 상기한 프레임(4)과, 그 프레임(4)을 베이스로 하여 결합되는 래치부재(50와, 래치부재(5)의 요동을 제어하는 록크부재(6)와, 미끄럼작동가능한 조작부재(7)와, 록크상태로부터 해방된 버클플레이트(1)를 프레임(4)으로부터 스프링(8)에 의해 탄력방출하는 인젝터(9)와, 상기한 각 부재로 구성되는 버클부분을 피복하여 피착하는 커버부재(1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4)은 저판(4 a)과, 저판(4 a)의 양측변에 의해 상부로 기립한 양측벽(4 b), (4 c)를 장비한 그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벽(4 b),(4 c)에 있어서 버클플레이트(1) 삽입측으로부터 가까운 쪽에서 순차적으로 후방으로 그리고 래치부재(5)의 양측으로부터 옆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연장부(11),(11')가 관삽되는 부채꼴 창(12),(12')과 래치부재(5)의 측방으로 돌출 지축(13),(13')이 삽동지지되는 지점공(14),(14')이, 각각 천설되어 있다.
다시, 양측벽(4 b),(4 c)후방의 상변에는, 저판(4 a)의 투과공(15)과 협력하여 스프링지지판(16)이 지지되는 절결(17),(17')이 설치되어 있다.
부채꼴 창(12),(12')에는 그 상변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연장부(11),(11')에 설치된 투과공(18),(18')에 감입가능한 돌기(19),(19')가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부채꼴 창(12),(12')의 버클플레이트(1) 삽입측의 단면 (12 a), (12 a')이 래치부재(5)의 연장부(11),(11')의 어깨부(11 a),(11 a')와 약간의 간국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차량충돌시등의 입력시에 래치부재(5)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울 프레임(4)에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저판(4 a)의 중심부에는 양측가장자리에 따라서 인젝터(9)를 버클플레이트(1)의 삽입, 이탈방향에 따라서 이동자재하게 안내하는 개구(20)가 투과공(15)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0)는 그 전단부에 인젝터(9)의 안내공(9 a)에 삽통되는 가이드로드(20 a)가 버클플레이트(1) 삽입방향에서 돌출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가이드로드 (20 a)와 대향하는 위치의 스프링지지판(16)에는 인젝트(9)를 부세하는 스프링(8)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저판(4 a)에는 투과공(15)의 후방에 벨트연결공(22)이 설치되어 있다.
래치부재(5)는 지축(13),(13')의 축선을 경계로 L자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을 이루고, 프레임 저판(4 a)과 평행한 래치부(5a)의 하면 중앙에 버클플레이트(1)의 계지공(3)과 결합하는 폴(23)을 보유하고 있는 동시에, 지축(13)(13')에서 수직으로 기립한 레버부(5 b)의 배면과 스프링지지판(16)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4)의 부세력에 의해 항상 래치부(5a)가 지축(13),(13')을 중심으로 프레임저판(4 a)에 접근하는 방향, 즉 제8도에 도시하는 화살표(X)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록크부재(6)는, 그 양측부에 래치부재(5)의 투과공(18),(18')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요동저지편(25),(25')을 일체로 보유하고, 또한 래치부(5 a)의 상면에 있어서 버클플레이트(1)의 삽입, 이탈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스트로크로 미끄럼작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록크부재(6)의 중앙부로 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한 훅(26)과 래치부재(5)의 전단에 형성한 훅(27)사이에 설치한 인장스프링(28)에 의해 록크부재(60는 항상 래치부재(50에 대하여 버클플레이트 이탈방향, 즉 제8도에 도시하는 화살표(U)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한편, 조작부재(7)는, 그 전단면이 외부에서 압압조작가능한 압압면(7 a)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단면이 래치부재(5)의 레버부(5b)전면과 접촉하는 레버접촉면(7 b)으로 되어 있고, 다시 하면의 수직면이 록크부재(6)의 접촉부(29)와 접촉가능한 록크부재 접촉면(7c)으로 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7)는 스프링지지판(16)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설치된 2개의 가이드봉(30),(30')에 안내되어 버클플레이트(1)의 삽입, 이탈방향에 따라서 미끄럼작동자재하게 되어 잇다.
다시, 조작부재(7)는 스프링지지판(16)의 가이드봉(30),(30')의 외주에 삽통된 2개의 스프링(31)(31')에 의해 항상 화살표(U)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레버접촉면(7 b)과 록크부재 접촉면(7 c)과의 위치관계는 압압조작시에 있어서 록크부재접촉면(7c)의 록크부재(6)와 먼저 접촉하여 록크부재(6)를 제3도에서 도시하는 화살표(V)방향으로 미끄럼작동시켜서, 록크부재(6)의 요동저지편(25),(25')이 래치부재(5)의 투과공(18)(18')을 해방한 시점에서 레버접촉면(7b)이 래치부재(5)의 레버부(5 b)에 접촉하여 래치부재 (5)를 경동(傾動)하기 시작하도록 그 위상의 차이가 결정되어 있다. 조작부재(7)의 압압면 (7 a)은 그 가장자리부가, 이것과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커버부재(10)로 둘러싸여 있고, 이것에 의하여 탑승자의 팔꿈치등이 조작부재(7)에 부딪혀 버클의 결합이 원치않은 상태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프레임 저판(4 a)에 설치되는 인젝터(9)는 버클플레이트(1)의 삽입이나 이탈에 의하여 소정의 미끄럼작동범위에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그 전단축의 미끄럼작동범위는 버클플레이트(1)의 압출동작의 종단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부가 래치부재(5)의 폴(23)과 프레임저판(4 a)사이에 개재하여, 래치부재(5)가 버클플레이트(1) 계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시 래치부재(5)의 상면 전단부에는, 한쌍의 돌기(32),(32')가 기립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돌기(32),(32')에 의하여 록크부재(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지지판(16)에 돌출설치된 스프링가이드봉(33)은 그 선단측이 종장편평형상(縱長偏平形狀)으로 되고, 그 선단부에서 중심에 따라서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의 외면에 압축코일스프링(24)의 자유단(24 a)측을 계지하기 위한 고정돌기(35),(35)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봉(330의 선단부가 래치부재(5)의 레버부(5 a)에 설치한 종장(縱長)의 절결부(36)내에 삽동되어 있다.
한편 인젝터(90는, 그 단면에 스프링(8)의 일단을 수납하는 구멍(39)이 천설되어 있고, 또 이구멍(39)의 개구부 근방에 구멍(3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핀(37)이 삽통되는 핀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8)을 압축하여 구멍(39)내에 수용하고, 핀구멍(380에 삽통한 핀(37)에 의하여, 이 압축상태의 스프링(8)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지지판(16)의 스프링수납부(21)선단에 스프링(8)의 고정단을 맞댄 후 핀(37)을 제거하므로서 스프링(8)을 신장시키고, 스프링(8)의 고정단을 스프링수납부(21)에 감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한 버클장치에 있어서는, 제8도에 도시하듯이 버클플레이트(1)의 삽입준비상태에 있어서 버클플레이트(1)를 화살표(W)방향으로 표시되듯이 버클본체(A)에 삽입하면 인젝터(9)가 버클플레이트(1)의 선단에 밀려 후퇴하고, 래치부재(5)의 폴(23)의 하부로부터 퇴피한다.
이로 인하여, 래치부재(50는 압축코일스프링(24)작용에 의해 지축(13), (1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X)방향으로 회동하고, 폴(23)이 진입해온 버클플레이트(1)의 계지공(3)에 개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9도에 도시하듯이 버클플레이트(1)는 버클본체(A)에 계합, 연결된다.
이 때, 록크부재(6)의 요동저지편(25),(25')은 래치부재(5)의 회동변위에 따라서 돌기(19),(19')후면으로 부터 벗겨짐과 아울러 인장스프링(28)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U)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저지편(25),(25')은 래치부재(5)의 투과공(18),(18')을 폐쇄하기 때문에 이들 투과공(18),(18')으로의 돌기(19),(19')의 침입이 저지된다.
따라서, 예컨대 차량충돌 등의 이상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요동저지편(25), (25')의 상면과 돌기(19),(19')의 하단이 접촉하고 있는 까닭에, 래치부재(5)의 화살표(Y)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래치부재(5)는 하방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본체(A)와의 풀림이 방지되게 된다. 이어서 버클플레이트(1)를 버클본체(A)로부터 이탈시킬 때는, 먼저 조작부재(7)의 압압면(7a)을 손가락으로 화살표 (V)방향으로 압압한다. 그렇게 하면, 조작부재(7)의 록크부재 접촉면(7 c)이 록크부재(6)의 접촉부(29)와 결합하고, 이 록크부재(6)를 인장스프링(28)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화살표(V)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로 인하여, 요동저지편(25),(25')이 래치부재(5)의 투과공(18),(18')의 상방으로 부터 이동하여 이 투과공(18),(18')으로 돌기(19),(19')가 침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레버접촉면(7b)이 래치부재(5)의 레버부재(5b)를 압압하고, 압축 코일스프링(24)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화살표(Y)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래치부재(5)는 그 폴(23)이 상방으로 변위하여 버클플레이트(1)의 계지공(3)으로부터 이탈함과 아울러 버클플레이트(1)가 인젝터(9)에 밀려서 버클본체(A)로 부터 떨어져 나온다.
그리하여 인젝터(9)가 래치부재(5)의 폴(23)하면에 당접하고, 또 다시 버클플레이트(1)가 삽입될 때 까지 래치부재(5)를 상방의 퇴피(退避)위치에 유지한다.
또 조작부재(7)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부재(7)는 스프링(31),(31')의 힘에 의해 화살표(U)방향으로 이동하고, 제8도에 도시하듯이 본래의 위치에 복귀한다.
이리하여 버클플레이트(1)를 버클본체(A)와 쉽게 계합 또는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런데 충돌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력의 방향은, 그 충돌등의 양태에 따라서 다르고, 충격력이 버클의 플레이트 삽입방향으로 작용할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 버클플레이트삽입방향의 충격력에 대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조작부재(7)를 부세하는 스프링(31), (31') 및 록크부재(6)를 부세하는 인장 스프링(28)의 스프링력을 크게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버클플레이트삽입방향에 충격력이 작용할 경우일지라도 스프링(31), (31') 및 인장스프링(28)의 스프링력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조작부재(7) 및 록크부재(6)가 관성에 의하여 이동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버클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빠져나가는 현상소위 관성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버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클본체와, 이 버클본체에 삽입계지되는 버클플레이트와, 이 버클플레이트가 상기한 버클 본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한 버클플레이트를 계지하므로서 상세한 버클플레이트와 버클본체를 연결하는 래치부재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재와, 상기한 래치부재를 계지위치에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한 래치부재와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상기한 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록크부재를 장비하고 있는 버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부재의 통상의 조작시에는, 상기한 록크부재가 래치부재와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한 록크부재가 래치부재와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버클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시에 버클본체와 버클플레이트의 연결을 해제할 경우에는, 조작부재를 조작하므로서 록크부재를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케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경우 제어장치에 의해 록크부재가,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케하는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록크부재는 조작부재에 의해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케 하는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 버클장치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제어장치는 록크부재가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가 해제되는 일은 없고, 버클본체와 버클플레이트와의 연결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버클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본실시예의 버클장치는 상기한 버클장치와 거의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까닭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이외의 구성요소는 생략함과 아울러,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도 상기한 버클장치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a) 및 (c)에 도시하듯이 조작부재(7)의 후단부 하면에는 브래킷 (7 d)을 개재하여 록크부재(6)의 이동제어부재(400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래치부재(5)에는 연장부(11')의 후단에 돌출하는 돌기(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2도에 도시하듯이 프레임(4)에 래치부재(5), 록크부재(6), 조작부재(7)인젝터(90 및 스프링지지판(16)을 조합부착하여 버클장치를 조립하고, 그 버클장치에 버클플레이트(1)를 삽입하여 래치부재(5)의 폴(23)이 버클플레이트(1)의 계지공(3)에 감입계지한 상태에서는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이 록크부재(60의 요동저지편(25')의 이동 궤적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부 후면이 래치부재(5)의 돌기(41)의 전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부재(7)를 압압하므로서 이 조작부재(7)와 록크부재(6)를 다같이 V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이동제어부재(40)는 돌기(41)에 의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록크부재(6)의 요동저지편(25')이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부에 맞닿기 전에 이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이 요동저지편(25')의 이동궤적영역으로부터 탈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인장스프링(28) 및 한쌍의 스프링(31), (31')은 조작터치가 가벼워지도록 그들 스프링력이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경우 인장스프링(28) 및 한쌍의 스프링(31),(31')의 각각의 스프링력은 버클장치에 V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관성에 의해 록크부재(6)가 조작부재(7)보다도 빨리 이동함과 아울러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이 요동저지편(25')의 이동궤적영역으로부터 탈출하기 전에 록크부재(6)의 요동저지편(25')이 이동제이부재(40)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뿐아니라 이 접촉상태에서는 아직 요동저지편(25), (25')가 연장부(11), (11')의 투과공(18),(18')을 거의 피복하고 있어서, 돌기(19),(19')가 투과공(18).(18')내에 감입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a)에 도시하듯이 버클플레이트(1)가 버클본체(A)에 삽입,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부재(7)의 통상적인 푸시(bush)조작을 하면 동 도면(b)에 도시하듯이 조작부재(7)가 V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제어부재(40)가 돌기(410에 의해 화살표(α) 방향으로 회동한다.
조작부재(7)의 록크부재 접촉면(7 c)이 록크부재(6)의 접촉부(29)에 맞닿은 후, 조작부재(7)가 다시 V방향으로 이동하면, 록크부재(6)도 함께 V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제어부재(40)가 다시 크게 화살표(α)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하여 록크부재(6)의 요동저지편(25')이 이동제어부재(40)에 맞닿기 전에 이동제에부재(40)의 선단이 요동저지편(25')의 이동궤적영역에서 탈출하고, 동 도면(c)에 도시하듯이 룩크부재(6)는 요동저지편(25')이 연장부(11), (11')의 투과공(18),(18')을 거의 완전히 개구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버클장치와 마찬가지로 투과공(18),(18')으로의 돌기(19),(19')의 침입이 가능하게 되고, 레버접촉면(7 b)이 래치부재(5)의 레버부재(5 b)를 압압하여서, 압축코일스프링(24)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래치부재(5)를 화살표(Y)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래치부재(5)는 그 폴(23)이 상방으로 변위하여 버클플레이트(1)의 계지공(3)으로부터 탈출함과 아울러 버클플레이트(1)가 인젝터(9)에 압압되어 버클본체(A)로 부터 분리한다.
또 동도면(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충돌등에 의해 버클본체(A)에 소정크기이상의 충격이 V방향으로 가해지면, 그 충격의 관성에 의하여, 록크부재(5) 및 조작부재(7)가 다 함께 V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설정된 인창스프링(28)과 스프링(31),(31')과의 각 스프링력의 관계로부터, 록크부재(6)가 조작부재(7)보다 빨리 V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조작부재(7)의 이동에 의해 이동제어부재(40)가 약간 회동하지만, 이동제어부재(400의 선단이 아직 요동저지편(25')의 이동궤적영역내에 있는 동안에 요동저지편(25')의 후단면에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부전면이 맞닿는다. 이로인해 록부재(6)의 관성에 의한 그 이상의 V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록크부재(6)의 이동이 저지된 위치에서는, 요동저지편(25),(25')가 연장부(11),(11')의 투과공(18),(18')을 거의 폐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투과공(18),(18')에의 돌기(19),(19')의 침입이 불가능하게 되고, 래치부재(5)는 폴(23)과 버클플레이트(1)와의 계지해제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그와같은 큰 충격이 버클장치(A)에 가해져도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본체(A)는 연결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충격시에도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본체(A)와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까닭에, 인장스프링(28) 및 스프링(31),(31')은 스프링력이 비교적 적은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격이 V방향으로 작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충격이 V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작용했을 경우에도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본체(A)와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어부재(40)를 조작부재(7)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이동제어부재(40)를 래치부재(5) 혹은 버클본체(A)의 다른 적당한 부분측에 설치하고, 예컨대 조작부재(7)의 후단으로 이동제어부재(40)를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41)를 래치부재(5)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 돌기(41)를 버클본체(A)의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는 버클플레이트(1)의 버클장치(A)에의 연결시에 이동제어부재(40)의 후면과 돌기(41)의 전면을 맞닿는 상태로 하고 있지만 이동제어부재(40)의 후면과 돌기(41)의 전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정하여 작동응답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한 도면이다.
또 상기한 종래에 및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의 버클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도 상기한 종래에 또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동 도면(a)에 도시하듯이 본실시예는, 버클본체(A)와 버클프레이트(1)와의 연결상태에 있어서 래치부재(5)가 록크부재(6)에 의해 계지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동도면(b)에 도시하듯이 조작부재(7)의 조작에 의하여 록크부재(6)를 래치부재(5)의 오목부(5b)에 위치시켜서 래치부재(5)의 계지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형인 버클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록크부재(6)에는 이동제어부재(40)에 맞닿을 수 있는 가이드부(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록크부재(6)와 가이드부(6a)에 의하여 록크유니트가 조작부재(7)의 해제방향으로의 이동과 더불어 래치부재(5)가 버클플레이트(1)와의 계지해제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이동제어부재(40)가 조작부재(7)의 후단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래치부재(5)의 후단에 이 이동제어부재(40)에 맞닿는 돌기(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5도(a)에 도시하듯이 래치부재(50와 버클플레이트(1)가 계지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부가 록크유니트의 가이드부(6a)의 이동궤적영역내에 위치하고 있고, 동 도면(b)에 도시하듯이 록크유니트가 래치부재(5)의 계지해제가능한 위치에 오기전에 이동제어부재(40)는 회동하여 가이드부(6 a)의 이동 궤적영역밖으로 탈출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록크유니트가 래치부재(5)의 계지해제 가능한 위치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록크유니트를 부세하는 인장스프링(상기예에서는 부호28로 표시되어 있다) 및 조작부재를 부세하는 스프링(상기예에서는 부호 31, 31'로 표시되어 있다)은 상기와 같이 조작터치가 가벼워지도록 그들 스프링력이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그들 스프링력은 동 도면(c)에 도시되듯이 버클장치에 계지해제 방향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관성에 의해 록크유니트가 조작부재(7)보다도 빨리 이동함과 아울러,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부가 가이드부 (6a)의 이동궤적의 영역에서 탈출하기 전에 이 가이드부(6 a)가 이동제어부재(40)의 선단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부(6a)가 제이부재(40)의 선단부에 맞닿는 상태에서는 록크부재(6)는 래치부재(5)의 해제방향에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한 도면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각 실시예 또는 종래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것 만을 설명하고, 기타의 구성요소는 생략한다.
제6도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는, 록크부재(6)가 프레임(4)에 형성된 가이드공(4 d)에 안내되어 동 도면(a)에 도시하는 래치부재(5)를 계지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와 동 도면(b)에 도시하는 가이드공(4d)의 오목감입부(4e)의 위치, 즉 래치부재(5)가 계지해제 가능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타입의 비클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록크부재(6)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스프링(상기예에서는 부호 28로 표시되어 있다)에 의해 래치부재(5)를 계지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에 항상 부세되어 있음과 아울러, 조작부재(7)에 의해 래치부재(5)가 계지해제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7)에도 상기와 같은 이동제어부재(40)가 회동자재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래치부재(5)에 이동제어부재(40)가 맞닿는 돌기(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록크부재(6)에 일체로 가이드부(6b)가 이동제어부재(40)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재(7)의 통상조작시에는, 이동제어부재(40)가 가이드부(6b)의 이동궤적영역으로부터 탈출하기 때문에, 기이드부(6b)가 이동제어부재(40)에 맞닿는 일은 없고, 록크부재(6)는 래치부재(5)가 계지해제 가능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동 도면(c)에 도시하듯이 버클장치에 계지해제방향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에는 록크부재(6)쪽이 먼저 이동하는 까닭에 이동제어부재(40)가 가이드부(6 b)의 이동궤적밖으로 탈출하기 전에, 가이드부(6b)가 이동제어부재(40)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하여 록부재(6)가 래치부재(5)를 플레이트(1)와의 계지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조작부재의 통상 조작시에는 록크부재가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의 계지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가능토록 하고, 또 충격력이 버클장치에 가해졌을 때에는, 록크부재가 버클플레이트와 래치부재와의 계지를 해제가능케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는 까닭에 평상시에는 버클장치의 연결해제를 확실히 할 수 있고, 또 충격시에는 버클장치의 연결해제를 확실히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같이 충격시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연결해제를 저지할 수 있는 면에서, 조작부재나 록크부재를 부세하는 부세력을 비교적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터치가 가벼워져서 조작감이 조항지고, 버클장치의 조작성능이 향상된다. 그 뿐아니라 비교적 약한 부세력으로 되는 까닭에 값싼 부세장치를 적용하여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버클본체(A)와, 이 버클본체(A)에 삽입계지되는 버클플레이트(1)와, 이 버클플레이트(1)가 상기한 버클본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를 계지하므로써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와 상기한 버클본체(A)를 연결하는 래치부재(5)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와 상기한 래치부재(5)와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재(7)와, 상기한 래치부재(5)를 상기한 계지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한 래치부재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상기한 조작부재(7)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록크부재(6)를 구비하고 있는 버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부재(7)의 통상조작시에는, 상기한 록크부재(60가 상기한 래치부재(5)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한 록크부재(6)가 상기한 래치부재(5)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와의 계지를 해제가능케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해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상기한 조작부재를 부세하는 조작부재 부세장치(31)(31')와, 상기한 래치부재를 상기한 계지위치에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한 록크부재를 부세하는 록크부재 부세장치(28)와, 상기한 조작부재나 또는 상기한 버클장치본체내의 다른 부재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한 버클플레이트(1)와 버클본체(A)의 연결시에는, 상기한 록크부재가 상기한 래치부재(5)와 상기한 버클플레이트와의 계지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위치로의 이동궤적영역내에 일부가 있고, 상기한 조작부재(7)의 계지해제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한 이동 궤적영역으로부터 탈출하는 이동제어부재(40)로 구성되고, 상기한 조작부재 부세장치 및 상기한 록크부재부세장치의 각각의 부세력은, 충격발생시에 상기한 록크부재를 상기한 조작부재보다도 먼저 이동시키는 그와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장치.
KR1019910003215A 1990-03-26 1991-02-27 버클장치 KR0148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515 1990-03-26
JP7751590 1990-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271B1 true KR0148271B1 (ko) 1998-08-17

Family

ID=1363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215A KR0148271B1 (ko) 1990-03-26 1991-02-27 버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64B1 (ko) * 1996-08-07 2004-12-17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벨트프리텐셔너와함께사용하도록설계된안전벨트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64B1 (ko) * 1996-08-07 2004-12-17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벨트프리텐셔너와함께사용하도록설계된안전벨트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9855A (en) Buckle for seat belt
US5090751A (en) Latching device for use on a vehicle
EP1086285B1 (en) Locking device and bonnet lock for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device
US7032973B2 (en) System for locking a first element with a second element, and a seat fitted with such a locking system
US5163207A (en) Shock proof buckle for safety belts
KR100691342B1 (ko) 버클 장치
JPH0651007B2 (ja) 自動車用安全ベルト装置のための錠
US7264293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vehicle seat to a vehicle floor
JP2601409B2 (ja) トラクタの3点取り付け装置の下方リンクのための連結フック
JPS6343933Y2 (ko)
US5915633A (en) Buckle for safety belts
JP2726017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US20040262973A1 (en) System for locking a first element with a second element, and a seat with such a locking system
KR0148271B1 (ko) 버클장치
US5280669A (en) Buckle unit
CN111794614B (zh) 具有安全装置的手柄系统
JP2008523916A (ja) 非慣性開放型安全拘束ベルトバックル
JP3736858B2 (ja) バックル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JP459384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0442736B1 (ko)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JP2505365Y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ストライカ振れ止め装置
KR100491236B1 (ko) 좌석 벨트 버클
JPH04589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