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236B1 - 좌석 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236B1
KR100491236B1 KR10-1999-0057789A KR19990057789A KR100491236B1 KR 100491236 B1 KR100491236 B1 KR 100491236B1 KR 19990057789 A KR19990057789 A KR 19990057789A KR 100491236 B1 KR100491236 B1 KR 10049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jector
seat belt
buckle
bel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149A (ko
Inventor
스펙흐트마틴
크라우스발터
슈발트스테판
슈로트토마스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4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10T24/4568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and position locking-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1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cavity with side walls and axially biased component capping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용 버클은 이젝터(3)와, 잠금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6)의 지지부(7) 사이에 충격 저항을 달성하기 위한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부가 보유 과정중 유지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버클{SEAT BELT BUCKLE}
본 발명은 좌석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좌석 벨트 버클의 일예가 독일 특허 출원 제 195 45 899 호(EP 0 777 984 A2)에 개시되어 있다. 좌석 벨트 버클의 다른 실시예가 유럽 특허 출원 제 EP 0 212 50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도 고정 요소를 고정 위치에 확실히 고정하는 좌석 벨트 버클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개시된 좌석 벨트 버클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좌석 벨트 버클의 실시예에는, 상부판 및 하부판(33, 34)에 의해서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버클 프레임(9)에 안내 채널(2)이 설치되어 있다. 이젝터 스프링(4)에 의해서 돌출 방향으로 장전된 이젝터(3)는 안내 채널(2)에 종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젝터 스프링(4)의 일단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홀더(41)에 지지된다. 잠금 요소(5)는 버클 프레임(9)상에,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EP 0 777 984 A2 호에 공지된 유형의 드래그 베어링(21)에서 예컨대 상부판(33)상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잠금 요소(5)는 해제 위치(도 2 및 도 4)와 잠금 위치(도 1, 도 5 및 도 6)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잠금 위치에 있어서, 잠금 요소(5)는 고정 요소(6)에 의해서 고정된다. 고정 요소(6)는 예컨대 하부판(34)상에 성형되고 그에 수직으로 연장된 프레임 부재(22)의 슬롯(23)에서 안내되는 원통형 볼트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슬롯(23)은 안내 채널(2)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22)상의 안내 채널(2)에 평행하게 안내된다.
지지부(7)는 고정 요소(6)와 결합된다. 지지부는 고정 요소에 의해서 형성된 축(14)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지지부는, 적어도 슬롯(23)과 결합하는 영역에서 원통 형상을 갖는 고정 요소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요소(6)를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고정 요소(6)를 지지부(7)에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또는 고정된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는 고정 요소와 함께 이동한다.
이젝터(3)와 대면하는 측부상에, 지지부(7)는 이젝터(3)상의 래디얼 캠(radial cam)(16)과 대면하는 래디얼 캠(15)을 구비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래디얼 캠(15, 16)은 플러그 플랜지(plug-in tongue : 12)를 안내 채널(2)에 삽입할 때 상호작용한다.
지지부(7)는 스프링(24)의 편향력에 의해서 축(14)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때 지지부(7)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13)는 프레임상에 고정된 접촉부(10)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해서, 스프링(24)의 일단부는 버클 프레임(9), 예컨대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의 영역에 지지되며, 또한 스프링의 타단부는 지지부(7)상의 레버 아암(25)을 거쳐 작동하여, 전술한 축(14)을 중심으로 하는 전술한 편향 및 모멘트가 제공된다.
잠금 요소(5)가 해제 위치에 위치될 때, 지지부(7)는 그의 접촉부(13)가 접촉부(1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를 취한다(도 2 및 도 4). 플러그 플랜지(12)는 이러한 해제 위치에서 좌석 벨트 버클(1)로부터 분리된다.
플러그 플랜지(12)를 안내 채널(2)내에 삽입할 때, 고정 요소(6)상의 축(14)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작동 레버(35)는, 이젝터(3)상에 제공된 연행면(entraining surface)(39)에 의해서 선회 운동한다. 이를 위해서, 연행면은 작동 레버(35)의 레버 아암(36)에 대해 작용한다. 이러한 선회 운동중에, 작동 레버(35)는 그 제 2 레버 아암을 거쳐 지지부(7)의 양측의 2쌍의 레버(36, 37)를 상호접속하는 접속 링크(38)와 함께 잠금 요소(5)의 상측 연부(40)에 작용한다. 따라서, 또한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EP 0 777 984 A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는 플러그 플랜지(12)와 2개의 판 내의 잠금 리세스(27, 28)를 통하여 잠금 위치로 하측으로 도입된다. 그 다음, 잠금 요소(5)는 결합부(26)와 도 5에 도시된 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서, 결합부(26)는 플러그 플랜지(12)의 잠금 리세스(27)에 결합하며 버클 프레임(9)의 두 개의 판(33, 34)내의 잠금 리세스(28)를 관통하여 더 돌출된다.
이러한 운동 중에, 해제 위치에서 고정 요소(6)가 잠금 요소(5)에 안착되는 해제 접촉면(29)도 이동하여(도 4), 잠금 요소(5)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내충격 윤곽 및 내충격 길이를 갖는 고정 접촉면(30)도 고정 요소(6) 아래로 이동한다. 고정 요소(6)는 지지부(7)상에 그에 따라 고정 요소(6)상에 작용하는 스프링(24)의 편향력 때문에 고정 접촉면(30)을 거쳐 연부(32) 둘레로 활주운동한다. 스프링(24)의 편향력 때문에, 지지부(7)와 고정 요소(6)가 멀리 이동하여 고정 요소가 버클 프레임(9) 또는 프레임 부재(22)상에 접촉부(11)를 형성하는 종방향 슬롯의 단부상에 안착한다(도 1 내지 도 5).
플러그 플랜지(12)를 안내 채널(2)내에 삽입하는 동안, 이젝터(3)상에 형성된 래디얼 캠(16)은 지지부(7)상에 형성된 래디얼 캠(15)과 접촉한다. 따라서 축(14)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가 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지지부에 가해진다. 이러한 운동중에, 접촉부(13)가 형성된 지지부의 단부가 상승하여 도 5의 대기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부(7)는, 전술한 이젝터(3)와 지지부(7) 사이의 맞물림 끼워맞춤에 의해서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지지부(7)와 이젝터상에 성형된 2개의 레디얼 캠(15, 16)은 지지부에 이젝터(3)의 삽입 운동을 전달하는 동안 한쌍의 장전-베어링 작동면으로서 작용한다. 대기 위치에서, 래디얼 캠(15, 16)의 영역에서 지지부와 이젝터 사이에 인터로크(inerlock)(8)가 유지된다. 스프링(24)의 편향력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터로크(8)의 영역에서 한쌍의 작동면은 지지부(7)가 대기 위치에 있도록 한다.
좌석 벨트 버클(1)의 정상 작동중에,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1)상의 고정 요소(6)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이 고정 요소(6)는 잠금 요소(5)가 잠금 위치에서 그 결합부(26)에 고정되도록 한다. 벨트를 조이도록 좌석벨트 버클을 벨트 조임기에 의해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에도, 고정 요소(6)는 이러한 고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보유 과정의 가속 상태[도 5 및 도 6에서 화살표(31)의 방향으로 발생함]에 있어서, 고정 요소(6)와 지지부(7)는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1)를 형성하는 슬롯(23) 단부에 대하여, 그들의 관성력을 고려하여 가압된다. 이젝터(3)는 안내 채널(2) 내에 삽입된 플러그 플랜지(12)의 전단부에 대해서 가압된다. 따라서 버클(1)의 모든 가동 부품들은 도 5에 도시된 잠금 위치에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 있어서, 버클(1)의 가동 부품, 즉 이젝터(3), 고정 요소(6) 및 지지부(7)는 그들의 관성력으로 인해서 보유 방향(화살표 31)으로 계속 이동하려고 한다. 지지부(7)의 접촉부(13)가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를 타격할 때까지, 이젝터(3)와 지지부는 보유 방향(화살표 31)으로 고정 요소와 함께 이동한다(도 6). 이러한 공동 운동중에, 이젝터(3)와 지지부(7) 사이의 위치에서 맞물림 끼워맞춤이 유지된다. 따라서, 지지부(7)는 접촉부(13)가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어, 지지부상의 접촉면(17)이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상의 대응 접촉면(19)과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부(7)와 고정 요소(6)의 관성력에 의해 안내 채널(2)에 거의 평행하게 향하는 힘은 접촉부(10)와 버클 프레임(9)에 의해서 흡수된다.
또한, 지지부(7)의 접촉부(13)는 접촉면(18)을 가지며, 이 접촉면(18)은 접촉면(17)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감속 상태에서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상의 대응 접촉면(20)에 안착된다. 따라서, 지지부(7)상에 작용하고 안내 채널(2)의 진행 경로에 거의 수직으로 향하는 힘은 접촉부(10)에 의해서 흡수되고, 또 버클 프레임(9)에 의해서 흡수된다.
지지부(7)의 일단부에 있는 접촉부(13)가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와 충돌하는 위치(도 6)에서, 지지부의 다른 단부에 있는 고정 요소(6)는 잠금 요소(5)의 고정 접촉면(30)에 계속 배치되어 있다. 고정 접촉면(30)은 안내 채널(2) 및 슬롯(23)의 길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것은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서도, 고정 요소(6)가 그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고 잠금 요소(5)가 잠금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6).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3)는 이젝터 스프링(4)의 힘에 대한 관성력 때문에 플러그 플랜지(12)의 전단부에 의해서 보유 운동의 방향(화살표 31)으로 후퇴하여, 맞물림 끼워맞춤부(8)에서 지지부(7)와의 맞물림 끼워맞춤이 유지된다. 이것은 지지부(7)의 접촉부(13)가 소망의 상승 위치에 유지되어 접촉부(17, 18)가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의 대응 접촉부(19, 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서도, 좌석 벨트 버클(1)의 모든 가동 부품이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되어,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의 7,000배 이상일 수 있는 고 가속도에서도 완전한 충격 저항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버클을 그 해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도 4), 고정 요소(6)는 푸시-버튼(상세히 도시안함)에 의해서 공지의 방법으로 슬롯(23)내에서 멀리 이동시켜, 상당히 변위하여 고정 접촉면(30)과 해제 접촉면(29)이 모이는 연부(32)를 지나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 작업 후에, 잠금 요소(15)는 잠금 리세스(27, 28)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푸시-버튼과 잠금 요소(5)상에 일치하게 배열된 제어면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위치로의 상승 운동(도 4)은 분리 제어면(42)에 의해 분리 해제된 잠금 요소(5)에 전달되며, 이러한 분리 제어면(42)은 이젝터(3)상에 형성되고 돌출방향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분리 제어면(42)은 잠금 요소(5)의 하측 연부(43)에 작용한다.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EP 0 777 984 A2 호는 돌출 방향으로 이동한 이젝터에 의해서 잠금 요소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고정 요소(6)는 잠금 요소(5)의 해제 접촉면(29)상에 안착되며 스프링(24)의 힘에 의해서 해제 접촉면(29)에 대해서 가압된다. 이것은 잠금 요소(5)를 해제 위치에 고정시킨다(도 4). 동시에, 지지부(7)는 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해서 고정 요소(6)에 형성된 축(14)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여 지지부(7)의 다른 단부에 있는 접촉면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대응 리세스[그의 상한은 접촉면(20)임] 내에 삽입된다.
잠금 요소(5)로부터 분리된 플러그 플랜지(12)는, 볼트(44)에 의해서 체결된 홀더(41)상의 버클 프레임(9)상에 안착된 이젝터 스프링(4)의 작용의 결과로서, 이젝터(3)에 의해서 안내 채널(2)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 상태와 감속 상태에서 발생하며 좌석 벨트 버클의 가동 부품상에 작용하는 관성력과 더불어 지지부(7)와 이젝터(3)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서, 인장 과정시 높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잠금이 항상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좌석 벨트 버클에 이미 있는 가동 부품 즉, 이젝터(3), 지지부(7) 및 고정 요소(6)와, 이젝터와 지지부 사이의 맞물림 끼워맞춤부(8) 및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 11)에 필요한 관성 작용은, 고정 요소가 인장 과정중의 특정 경로를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활용된다. 인장 과정의 가속 상태 및 감속 상태시에, 프레임에 고정된 접촉부(10, 11)상에서 어떤 방향으로도 전혀 이동하지 않는 가동 부품의 지지가 보장된다. 잠금 요소(6)는 잠금 요소(5)상의 고정 접촉면(30)상에 항상 안착되어, 가속 위치와 감속 위치든 상관없이 잠금 위치에 완전히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버클에 의하면,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서 조차 고정 위치에 고정 요소를 완전히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저렴한 좌석 벨트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잠금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해제 위치에 있는 도 1의 좌석 벨트 버클의 평면도,
도 3은 좌석 벨트 버클의 개개의 부품의 분해도,
도 4는 해제 위치에 있는 좌석 벨트 버클의 종단면도,
도 5는 잠금 위치에 있는 좌석 벨트 버클의 종단면도로서, 정상 작동시 또는 보유 과정의 가속 상태에서 가동 버클의 부품이 취하는 위치를 도시함.
도 6은 잠금 위치에 있는 좌석 벨트 버클의 종단면도로서,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서 벨트 버클의 가동 부품이 취하는 위치를 도시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안내 채널 3 : 이젝터
4 : 이젝터 스프링 5 : 잠금 요소
6 : 고정 요소 9 : 버클 프레임
12 : 플러그 플랜지 21 : 드래그 베어링
23 : 슬롯 26 : 결합부
27 : 잠금 리세스 35 : 작동 레버
36 : 레버 아암 41 : 홀더

Claims (10)

  1. 좌석 벨트 버클에 있어서,
    버클 프레임(9)에 형성되어 있고, 좌석 벨트 버클(1)에 결합된 플러그 플랜지(12)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 채널(2)과,
    상기 플러그 플랜지(12)를 삽입하는 방향과 반대의 돌출 방향으로 작동하는 이젝터 스프링(4)의 작용으로, 상기 안내 채널(2)에서 안내되는 이젝터(3)와,
    버클 프레임(9)상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 채널(2)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플랜지(12)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플러그 플랜지(12)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5)와,
    상기 잠금 요소(5)를 잠금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잠금 요소(5)를 해제하기 위한 분리 위치로 이동 가능한 고정 요소(6)와,
    과도한 가속 또는 감속의 작용하에서도 상기 고정 요소(6)를 고정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부(7)와,
    가속 또는 감속시, 상기 지지부(7)와 이젝터(3)의 질량은 동일한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시키며, 이 관성력에 의해서 고정 요소(6)가 그 고정 위치에서 버클 프레임상에 지지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7)와 이젝터(3) 사이에 제공되는 맞물림 끼워맞춤부(8)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보유 과정의 감속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7)와 이젝터(3) 사이에 맞물림 끼워맞춤이 존재하는
    좌석 벨트 버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유 운동중에 상기 지지부(7)와 이젝터(3) 사이에 맞물림 끼워맞춤이 존재하는
    좌석 벨트 버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플랜지(12)가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지지부(7)와 상기 이젝터(3) 사이에 맞물림 끼워맞춤이 형성되는
    좌석 벨트 버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플랜지(12)를 안내 채널(2)에 삽입하는 동안 상기 지지부(7)와 상기 이젝터(3) 사이에 맞물림 끼워맞춤이 형성되는
    좌석 벨트 버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과정의 가속 및 감속 상태가 버클(1)에 작용할 때 지지부(7)와 이젝터(3) 사이의 맞물림은 버클 프레임(9)상에 체결되는 고정 접촉부(10, 11)상에 고정되는
    좌석 벨트 버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3)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플러그 플랜지(12)를 안내 채널(2)에 삽입할 때, 정상 작동중에, 지지부(7)는 고정 요소(6)를 버클 프레임(9)상의 고정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대기 위치에 있는
    좌석 벨트 버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맞물림된 지지부(7)와 이젝터(3)는 동일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의 영향하에서, 버클 프레임(9)상의 한정된 경로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한정된 경로에서 상기 고정 요소(6)는 프레임에 고정된 2개의 접촉부(10, 11) 사이의 고정 위치에 유지되는
    좌석 벨트 버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7)와 상기 이젝터(3)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로는, 상기 버클 프레임(9)상에 고정된 정지 접촉부(10)에 의해서 제한되는
    좌석 벨트 버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위치에서, 정상 작동 및 보유 과정의 가속 상태에서, 상기 고정 요소(6)가 상기 버클 프레임(9)상의 접촉부(11)에 대해서 가압되어 고정 위치에 유지되는
    좌석 벨트 버클.
KR10-1999-0057789A 1998-12-18 1999-12-15 좌석 벨트 버클 KR100491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8716.3 1998-12-18
DE19858716A DE19858716C1 (de) 1998-12-18 1998-12-18 Verschlu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149A KR20000048149A (ko) 2000-07-25
KR100491236B1 true KR100491236B1 (ko) 2005-05-25

Family

ID=789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89A KR100491236B1 (ko) 1998-12-18 1999-12-15 좌석 벨트 버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2269B1 (ko)
EP (1) EP1010378B1 (ko)
JP (1) JP3790651B2 (ko)
KR (1) KR100491236B1 (ko)
DE (2) DE1985871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4567C1 (de) * 1999-02-04 2000-06-08 Breed Automotive Tech Verschlu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6571435B2 (en) * 2001-05-08 2003-06-0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buckle with controlled tongue entry
DE10211564B4 (de) 2002-03-15 2015-05-07 Key Safety Systems, Inc. Vorrichtung zum Messen einer an einer Fahrzeugkomponenten, insbesondere an einem Fahrzeug-Sicherheitsgurt wirkenden Zugspannung
DE202007011066U1 (de) * 2007-08-08 2007-10-18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Sicherheitsgurtschloss
DE202010014897U1 (de) 2010-10-29 2011-01-05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Verschluss für einen Sicherheitsgur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5893B (sv) * 1978-08-15 1984-10-29 Autoliv Ab Spenne for fordonssekerhetssele
FR2491764A1 (fr) * 1980-10-09 1982-04-16 Klippan Nv Boucle de ceinture de securite a loquet facilement liberable
FR2516360A1 (fr) * 1981-11-18 1983-05-20 Peugeot Aciers Et Outillage Boucle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25878A1 (fr) * 1982-04-28 1983-11-04 Klippan Nv Boucle de ceinture de securite a loquet de blocage pivotant
DE3533684A1 (de) * 1985-08-17 1987-02-26 Autoflug Gmbh Sicherheitsgurtverschluss
GB2218458B (en) * 1988-05-11 1992-04-15 Gen Motors Corp Seat belt buckle
DE3833483A1 (de) * 1988-10-01 1990-04-05 Autoflug Gmbh Gurtschloss mit massenausgleich
EP0507266B1 (de) * 1991-04-03 1995-06-07 Autoliv Development Ab Schocksicherer Sicherheitsgurtverschluss
US5704099A (en) * 1995-10-05 1998-01-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with inertia locking mechanism
DE19545899A1 (de) * 1995-12-08 1997-06-12 Hs Tech & Design Verschlu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mit einer mit dem Sicherheitsgurt verbundenen Steckzunge
DE29613690U1 (de) * 1996-08-07 1996-12-05 Trw Repa Gmbh Gurtstrafferfester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0378B1 (en) 2003-07-16
EP1010378A2 (en) 2000-06-21
DE69909581T2 (de) 2004-01-29
EP1010378A3 (en) 2001-01-17
DE19858716C1 (de) 2000-05-18
JP3790651B2 (ja) 2006-06-28
KR20000048149A (ko) 2000-07-25
US6202269B1 (en) 2001-03-20
JP2000175709A (ja) 2000-06-27
DE69909581D1 (de)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9855A (en) Buckle for seat belt
JP2825786B2 (ja) 安全ベルトのためのバックル
JP2903342B2 (ja) 衝撃に対して安全な安全ベルトバツクル
JPH0651007B2 (ja) 自動車用安全ベルト装置のための錠
EP0368277B1 (en) A safety belt buckle
JP2823360B2 (ja) 安全ベルトのためのバックル
JPH05130906A (ja) 衝撃に対して安全な安全ベルトバツクル
KR19980018416A (ko) 벨트 예비 인장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안전 벨트 버클
KR100491236B1 (ko) 좌석 벨트 버클
US5596795A (en) Seat belt buckle
EP1025774B1 (en) Seat belt buckle
JPH04505877A (ja) 衝撃に対して安全な安全ベルトバツクル
US5280669A (en) Buckle unit
US6370742B1 (en) Buckle with movement prevention device
KR101258095B1 (ko) 충격 흡수용 안전 벨트 버클
EP0907332B1 (en) Seat belt buckle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CZ280988B6 (cs) Uzávěr bezpečnostního pásu
JPH1066610A (ja) 安全ベルト用バックル
CA2039084A1 (en) Buckle unit
KR0148271B1 (ko) 버클장치
JPH11105667A (ja) バックル装置
GB2313147A (en) Seat belt buckle
KR100437701B1 (ko) 버클
GB2313398A (en) Safety belt buckle with release button counter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