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680B1 -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680B1
KR100247680B1 KR1019970012780A KR19970012780A KR100247680B1 KR 100247680 B1 KR100247680 B1 KR 100247680B1 KR 1019970012780 A KR1019970012780 A KR 1019970012780A KR 19970012780 A KR19970012780 A KR 19970012780A KR 100247680 B1 KR100247680 B1 KR 10024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ider
locking
locking elem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660A (ko
Inventor
빌러 디터
Original Assignee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스 위르겐 코흐
Publication of KR97006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5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emergency 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고정되고 캐치 구멍(20)이 마련되어 있는 레일(10)과, 이 레일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더(12)를 구비하며, 편향 기구를 장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슬라이더는 캐치 구멍(20)과 상호 작용하게 되는 디텐트 기구(16)를 구비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조정 장치는 디텐트 기구(16)와 기능적으로 독립적인 잠금 요소(22; 30)가 차량에 대한 하향 가속으로 인해 레일(10)과 맞물리지 않는 중립 위치로부터, 레일(10)과 맞물려 슬라이더(12)를 제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12)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AN ADJUSTING DEVICE FOR A DEFLECTION FITTING}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 기구(deflection fitting)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치 구멍(catch opening)이 마련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과, 이 레일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상기 편향 기구 장착용 슬라이더(slider)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캐치 구멍과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되는 디텐트 기구(detent mechanism)를 구비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정 장치는 안전 벨트가 차량 탑승자에게 가능한 가장 적합하게 전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어떤 사고가 발생한 바로 그때 슬라이더가 2개의 캐치 구멍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면, 다시 말해서 슬라이더가 필요한 정도로 캐치 구멍에 고정되지 않다면, 상기와 같은 조정 장치를 사용하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사고 발생시 안전 벨트 시스템의 이완을 흡수하는 벨트 예비 인장기가 안전 벨트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더욱 심각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편향 기구에 작용하는 힘은 디텐트 기구가 다음의 캐치 구멍 속에 만족스럽게 스냅 체결되지 않아서 슬라이더가 차량에 대해 하향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도 손상을 입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록 슬라이더가 차량에 대해 극히 빠르게 하향 가속 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그 슬라이더가 다음의 캐치 구멍에 신뢰성 있게 스냅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는 구조로 된 디텐트 기구가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개량된 디텐트 기구에도 불구하고, 벨트 예비 인장기의 작용은 디텐트 기구가 상기 다음의 캐치 구멍에 끼워 맞춰지기 전에 슬라이더가 이동할 수 있는 어떤 거리가 존재함으로써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조정 장치를 개량하여, 만약 벨트가 예비 인장되는 과정에서 디텐트 기구가 캐치 구멍중 하나에 성공적으로 끼워 맞춰지지 않더라도, 슬라이더가 가능한 가장 짧은 변위를 하고 난 후에 신뢰성 있게 잠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조정 장치의 경우에, 디텐트 기구와 기능상 독립적이며, 차량에 대한 하향 가속에 의해, 레일과 맞물리지 않는 중립 위치로부터 레일과 맞물려 슬라이더를 적소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잠금 요소가 장착된다. 이 잠금 요소는 수 밀리미터 변위 후에 슬라이더의 이동을 멈추게 하여, 디텐트 기구가 캐치 구멍에 끼워 맞춰져야 함에도 끼워 맞춰지지 않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벨트 이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량 사항들은 종속 청구항에 한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2개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인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인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조정 장치의 세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101: 바닥부
102: 측부
103: 상단부
12 : 슬라이더(slider)
14 : 핀
16 : 디텐트 기구(detent mechanism)
18 : 미끄럼 볼트
20 : 캐치 구멍(catch opening)
22 : 잠금 요소
30 : 폴(pawl)
32 : 지지 단부
34 : 지탱부
36 : 맞물림 연부
38 : 지지 연부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정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정 장치에는, 차량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12)가 미끄러지는 레일(10)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편향 기구(도시 생략)를 부착하기 위한 핀(14)이 포함되어 있다. 레일에는 바닥부(101), 이 바닥부에 수직한 2개의 측부(102), 그리고 바닥부(101)에 대향하고 있는 2개의 상단부(10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는 상기 측부로부터 연장된다. 슬라이더(12)에는,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디텐트 기구(16)가 설치되어 있다. 디텐트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12)는 차량에 대해 상하로 레일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디텐트 기구(16)에는 슬라이더(12)가 레일(10)에 대해 잠겨지게 캐치 구멍(20)에 끼워 맞춰지도록 한 미끄럼 볼트(18)가 포함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슬라이더(12)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회피할 수 없는 작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미끄럼 볼트(18)는 캐치 구멍(20)에 끼워질 수 없게 캐치 구멍(20) 아래에 약간의 거리를 두고 존재한다. 이 위치에서, [예컨대, 안전 벨트의 이완을 흡수하기 위한 벨트 예비 인장기의 긴장(緊張) 작용으로 인한] 하향력이 화살표(F)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편향 기구를 통해 슬라이더(12)에 작용하면, 슬라이더(12)는 적어도 다음의 캐치 구멍(20)까지 하향 이동된다. 이는 안전 벨트가 추가적으로 이완되는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추가적 이완은 안전 벨트의 구속 작용에 단점이 된다.
그와 같은 슬라이더(12)의 하향 이동을 배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정 장치에는 디텐트 기구(16)와 기능적으로 독립된 잠금 요소(22)가 설치된다.
이 잠금 요소(22)는 슬라이더(12) 상에 있는 레일(10)에 이동식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더(12)에 대해 레일(10)의 종방향으로 제한된 정도까지 이동될 수 있고, 그 중력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잠금 요소(22)는 빗각 평행 육면체(obliquely angled parallelepipedon) 형태로서, 그 중에 각각의 2개의 측면은 한편으로 각각 레일(10)의 바닥부(101)와 상단부(103)에 평행하고, 다른 한편으로 레일(10)의 측부(102)에 평행하다. 슬라이더(12)가 차량에 대해 하향 가속되면, 잠금 요소(22)의 관성으로 인해, 잠금 요소(22)와 슬라이더(12) 사이의 상대 이동이 있게 되어, 슬라이더는 도 1과 관련하여 상연부(上緣部)인 잠금 요소(22)의 연부, 즉 잠금 요소의 중력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배치되는 연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는 잠금 요소(2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잠금 요소(22)는 레일의 바닥부(101)와 상단부(103) 사이에 끼이기 되어, 슬라이더(12)의 하향 이동은 수 밀리미터의 변위 후에 멈추게 된다. 따라서, 비록 슬라이더(12)가 도 1에 예시된 불편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벨트 예비 인장기의 긴장 작용은 벨트의 추가 이완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의 제2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는 바, 그것의 기능에 관해서는 도 1과 관련해서 주어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잠금 요소가 폴(30)로 구성된다. 이 폴(30)은 지탱부(34)에 있는 축선[폴의 중력 중심으로터 벗어나 있고, 레일(10)의 측부(102)에 수직임]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되어 되는데, 상기 지탱부(34)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슬라이더(12)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잠금 폴(30)에는 바닥부(101)에 인접한 폴의 단부 상에 맞물림 연부(36)와, 그 바닥부와 평행한 지지 연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잠금 폴(30)은 선회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취해진 단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지지 단부(32) 상에 예각의 외형과, 하측으로 향해진 측부에서 지지 단부(32)와 지지 연부(38) 사이에 오목부(constriction)를 갖고 있어서, 지탱부(34)와 함께 선회 베어링이 형성된다.
슬라이더(12)가 하향 가속되면, 그와 같은 운동은 지탱부(34)를 통해 잠금 폴(30)로 전달된다. 이 힘의 작용점은 잠금 폴(30)의 중력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폴(30)은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도 2와 관련하여 시계 방향으로 선회 운동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맞물림 연부(36)와, 부하가 연속되는 경우에는 지지 연부(38)도 레일(10)의 바닥부(101)에 작용하게 되고, 지탱부(34)가 약간 변형 된 후에 잠금 폴(30)의 지지 단부(32)는 레일(10)의 상단부(103)와 맞물리게 된다. 잠금 폴(30)이 이와 같이 레일(10)의 내부에 끼이기(jamming) 때문에, 슬라이더(12)의 하향 이동은 신뢰성 있게 배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뢰성 있고 특히 간단한 구조로 된 조정 장치를 제공하며, 그 장치는 디텐트 기구가 의도한 대로 캐치 구멍 속에 끼워맞춰지지 않아서 슬라이더가 하향으로 가속되어도, 수 밀리미터 내에서 슬라이더의 어떠한 하향 이동도 방지한다. 잠금 요소는 스탬핑 또는 소결하여 제조할 수 있는 금속 부품이다.

Claims (6)

  1. 차량의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로서, 캐치 구멍(20)이 마련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10)과, 이 레일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상기 편향 기구 장착용 슬라이더(12)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12)는 상기 캐치 구멍(20)과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디텐트 기구(detent mechanism)(16)를 구비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기구(16)와 기능상 독립적이며, 차량에 대한 하향 가속에 의해, 레일(10)과 맞물리지 않는 중립 위치로부터 레일(10)과 맞물려 슬라이더(12)를 적소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12)에 장착되는 잠금 요소(22; 30)가 장착되고, 상기 레일(10)에는 바닥부(101), 이 바닥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부(102) 및 이 측부(10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상단부(103)가 포함되고, 상기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레일(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요소(22; 30)는 상기 레일(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평행 육면체(22)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평행 육면체는, 상기 측부(10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평행 육면체(22)의 중력 중심을 관통하는 선회 축선 둘레에서, 중립 위치로부터, 평행 육면체(22)의 상호 대향하는 두 측면이 상기 레일(10)의 바닥부(101) 및 상단부(103)와 맞물리는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레일(10)의 상단부(103)에 인접한 지지 단부(32) 상에서, 상기 레일(10)의 측부(102)에 대해 수직한 편심 축선 둘레에서 선회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 폴(30)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잠금 폴(30)에는 상기 레일(10)의 바닥부(101)에 인접한 폴의 단부 상에 맞물림 연부(3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폴(30)에는 상기 맞물림 연부(36)에 평행한 지지 연부(3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폴(30)의 지지 단부(32)는 상기 선회 축선에 대해 수직한 단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예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폴(30)의 외형은, 상기 선회 축선에 대해 수직한 단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차량에 대해 하측으로 향해진 측부에서 상기 지지 단부(32)와 맞물림 연부(36) 사이에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기구용 조정 장치.
KR1019970012780A 1996-04-10 1997-04-08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KR100247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06521.8 1996-04-10
DE29606521U DE29606521U1 (de) 1996-04-10 1996-04-10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60A KR970069660A (ko) 1997-11-07
KR100247680B1 true KR100247680B1 (ko) 2000-05-01

Family

ID=802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780A KR100247680B1 (ko) 1996-04-10 1997-04-08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7704A (ko)
EP (1) EP0800969B1 (ko)
JP (1) JP2981440B2 (ko)
KR (1) KR100247680B1 (ko)
DE (2) DE29606521U1 (ko)
ES (1) ES210867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0549U1 (de) 1997-01-14 1997-05-07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s
DE29805083U1 (de) * 1998-03-20 1998-07-23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DE102011014175B4 (de) * 2011-03-16 2021-05-12 Autoliv Development Ab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6666A (en) * 1981-05-01 1984-08-21 Juichiro Takada Seat belt anchor assembly
US4538832A (en) * 1983-02-14 1985-09-03 Ase (Uk) Limited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DE3706367A1 (de) * 1987-02-27 1988-09-08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selbsttaetigen hoehenverstellung des umlenkbeschlages eines sicherheitsgurtes in fahrzeugen
JPH0771920B2 (ja) * 1988-04-25 1995-08-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支持高さ可変式ウエビング支持装置
DE3844258A1 (de) * 1988-12-29 1990-07-12 Autoliv Kolb Gmbh & Co Kg Hoe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von kraftfahrzeugen
DE4011767C2 (de) * 1990-04-11 1997-02-13 Autoliv Kolb Gmbh & Co Hö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Kfz
FR2664549B1 (fr) * 1990-07-13 1995-05-12 Autoliv Klippan Snc Dispositif de reglage de position pour renvoi de sangle, et ceinture de securite ainsi equipee.
GB2263054B (en) * 1991-12-23 1995-12-06 Gen Engine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arrangement
US5265908A (en) * 1992-03-16 1993-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D-ring
DE4327820A1 (de) * 1993-08-19 1995-02-23 Autoliv Dev Strammertauglicher hö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60A (ko) 1997-11-07
DE59712293D1 (de) 2005-06-09
EP0800969A2 (de) 1997-10-15
ES2108674T1 (es) 1998-01-01
EP0800969B1 (de) 2005-05-04
ES2108674T3 (es) 2005-10-16
US5857704A (en) 1999-01-12
JP2981440B2 (ja) 1999-11-22
JPH1029502A (ja) 1998-02-03
EP0800969A3 (de) 2000-12-27
DE29606521U1 (de) 199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849B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belt buckle mounting
JP3704039B2 (ja) 乗り物用座席
US5460410A (en) Device for adjustably mounting a seat belt fitting to a vehicle bodywork
US4650214A (en) Belt turning ring and clamping device
KR20060046026A (ko)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US5115543A (en) Buckle for safety belt systems in vehicles
CA1156199A (en) Belt clamping apparatus with self-aligning feature
CA2167253A1 (en) Buckle for safety belts
US4573709A (en) Latch device for a webbing anchor
KR20170121290A (ko) 차량 시트용 잠금 유닛, 및 차량 시트
KR100247680B1 (ko)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US5647628A (en) Linear one way movement device and passenger seat assembly using the device
KR100512828B1 (ko) 시트 슬라이딩 장치
US7543363B2 (en)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US5471717A (en) Safety-belt arrangement
JP3037909B2 (ja)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JP2831344B2 (ja) そらせ板付属具用の調節装置
US5358276A (en) Seat belt webbing clamp assembly
KR19980070466A (ko)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US6851714B2 (en) Seat belt closure-securement arrangement with integrated force evaluation
EP0173477A2 (en) Anchorage means for vehicle safety belts
US6370742B1 (en) Buckle with movement prevention device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EP0858927B1 (en) Reclining device
CN115803222A (zh) 具有将止锁元件形状锁合地锁止在止锁位置中的锁止区段的用于车辆座椅的止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