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466A -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466A
KR19980070466A KR1019980000637A KR19980000637A KR19980070466A KR 19980070466 A KR19980070466 A KR 19980070466A KR 1019980000637 A KR1019980000637 A KR 1019980000637A KR 19980000637 A KR19980000637 A KR 19980000637A KR 19980070466 A KR19980070466 A KR 1998007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rriage
rail
adjusting devi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커홀츠아펠
위르겐페치
Original Assignee
한스위르겐코흐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위르겐코흐,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 filed Critical 한스위르겐코흐
Publication of KR1998007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4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5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emergency actuated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레일과, 상기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를 포함한다. 운반대에는 레일에 운반대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멈춤쇠 장치가 제공된다. 운반대는 제어면과 상기 제어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록킹 롤러를 추가로 포함한다. 록킹 롤러는 레일에 운반대를 록킹하도록 아랫방향으로의 운반대의 갑작스런 변위 발생에 응답하여 보통의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절 장치는 차량 본체에 장착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를 구비하며, 상기 운반대에는 레일에 운반대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멈춤쇠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장치는 독일 실용신안 제 296 06 52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조절 장치에 의해 안전 벨트의 경로는 차량의 각각의 탑승자의 체격에 가장 적절하게 맞춰진다. 조절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의 단점은, 사고 발생시 활주 가능한 운반대가 멈춤쇠 장치에 의해 레일에 정확하게 록킹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은, 충돌시 안전 벨트 시스템 외부의 벨트의 느슨함을 조이는 벨트 인장기가 안전 벨트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더욱 심각해진다. 편향을 맞추기 위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멈춤쇠가 활주 가능한 운반대를 신뢰성있게 록킹하지 않을 수가 있어 운반대가 레일에서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 인장기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용신안에서는 운반대에 록킹 캐치(catch) 또는 록킹판을 설치하였다. 레일에서의 활주 가능한 운반대의 갑작스런 아랫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할 경우, 상기 캐치는 정상시의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아랫방향으로 피벗된다. 상기 록킹 위치에서, 캐치의 가장자리 자체가 레일의 측면 윙(wing)들중 하나 또는 레일의 기부에 대해 틀어박히게 되어, 활주 가능한 운반대는 레일에 록킹된다.
본 발명은 생산 비용을 절감하면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조절 장치보다 간단한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유형의 조절 장치의 경우, 록킹 요소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에 형성된 제어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롤러 본체이다. 형상이 보다 간단해진 것 외의 또다른 장점은, 레일에서의 활주 가능한 운반대의 변위 발생에 대해 롤러 본체가 록킹 캐치보다 빠르게 응답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롤러 본체에 작용하는 질량 관성력이 활주 가능한 운반대에 대한 롤러 본체의 변위로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으로, 질량 관성력이 작용하는 록킹 캐치부는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도록 활주 가능한 운반대 상에 편심적으로 지지될 것이며, 이러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록킹 캐치는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해제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록킹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반대
14 : 레일
20 : 록킹 롤러
22 : 제어면
24 : 스프링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1에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은 모든 기능부들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조절 장치는 활주 가능한 부재(12)가 설치된 활주 가능한 운반대(10)를 포함한다.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와 활주 가능한 부재(12)는 차량 본체에 장착된 레일(14)에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레일의 절반부만 도시되어 있다.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에는 멈춤쇠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되며, 상기 멈춤쇠 장치와 레일(14)의 멈춤쇠 개구(16)의 맞물림에 의해 활주 가능한 운반대(10)가 레일(14)에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에는 록킹 롤러(20)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레일(14)의 측면 윙에 마주하게 운반대(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록킹 롤러(20)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의 오목부에 배열되며, 오목부의 경계를 이루는 벽들중 하나의 벽 섹션은 운반대(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제어면(22)을 형성한다. 활주 가능한 운반대(10)가 차량에 장착될 때, 레일(14)의 양쪽 표면(21)으로부터 제어면까지의 거리에 있어서 제어면의 하단부에서의 거리가 제어면의 상단부에서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정렬된다.
록킹 롤러(20)가 도 1에 도시된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록킹 롤러는 정상시에는 레일(14)과 맞물려 있지 않으며, 활주 가능한 운반대(10)는 레일(14)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레일(14)에서 활주 가능한 운반대(10)가 차량에 대해 갑작스럽게 아랫방향으로 이동될 때, 록킹 롤러(20)의 이동은 이것의 질량 관성에 의해 운반대(10)의 이동에 대해 통상적으로 뒤처지게 된다. 따라서, 록킹 롤러의 이동은 해제 위치로부터 도면 부호20'로 도시된 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운반대에 대해 시작된다. 레일(14)에서의 운반대(10)의 점진적인 변위 발생에 의해, 록킹 롤러 자체는 안내면(22)과 이것에 마주하게 위치한 레일(14)의 윙(21) 사이에 틀어박히게 되어, 레일(14)에서의 운반대(10)의 추가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 롤러(20)에 의한 록킹은 운반대(10)를 멈춤쇠 개구(16)에 록킹시킬 수 있는 멈춤쇠 장치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짧은 록킹 거리 내에 응답 시간이 매우 짧아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의 측면에 체결 롤러(20)가 하나씩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대신, 록킹 롤러(20)가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조절 장치는, 스프링(24)이 록킹 롤러(20)를 해제 위치에 유지시키고 있는 점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상기 스프링(24)은 운반대(10)에 형성된 홈(26)에 코킹된(calked) 직선의 스프링 와이어 섹션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4)은 록킹 롤러(20)의 두 개의 축방향 단부들 사이 중간에 형성된 원주방향 홈(28)에 맞물려 있다. 스프링(24)의 길이는 록킹 롤러가 록킹 위치를 향해 예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때 록킹 롤러(20)가 스프링을 떠나는 만큼의 크기이다. 스프링은 특히 록킹 롤러(20)의 성가신 소음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 안전 벨트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는 생산 비용이 감소되며 형상이 보다 간단해지면서도 조절 장치의 작동이 보다 신뢰성 있게 된다.

Claims (9)

  1. 차량에 장착된 레일(14)과 레일(14)에서 이동하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10)를 구비하며, 상기 운반대에는 레일(14)에 운반대(10)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멈춤쇠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대는 멈춤쇠 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또 레일(14)에 운반대(10)를 록킹하도록 아랫방향으로의 운반대(10)의 갑작스런 변위 발생에 응답하여 정상시의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이동되는 운반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록킹 요소(20)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는 롤러 본체(20)이며, 상기 운반대(10)에는 롤러 본체(20)가 이동할 수 있는 제어면(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는 록킹 롤러(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롤러(20)는 레일(14)의 측면 윙을 향하고 있는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롤러(20)는 스프링(24)에 의해 록킹 롤러의 정상시의 해제 위치로 편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긴 와이어 스프링(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활주 가능한 운반대(10)의 홈(26)에 코킹되며, 상기 록킹 롤러(20)의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이 맞물리는 원주방향 홈(28)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록킹 롤러가 정상시의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록킹 롤러(20)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22)은 경사져 있으며, 록킹 위치에서 상기 록킹 롤러(20)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맞은편에 위치한 레일(14)의 표면부 사이에 틀어박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유사한 롤러 본체(20)가 상기 운반대(10)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KR1019980000637A 1997-01-14 1998-01-13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KR19980070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00549U DE29700549U1 (de) 1997-01-14 1997-01-14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s
DE29700549.9 1997-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466A true KR19980070466A (ko) 1998-10-26

Family

ID=803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637A KR19980070466A (ko) 1997-01-14 1998-01-13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5499A (ko)
EP (1) EP0853028B1 (ko)
JP (1) JPH10203302A (ko)
KR (1) KR19980070466A (ko)
DE (2) DE29700549U1 (ko)
ES (1) ES212828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5083U1 (de) * 1998-03-20 1998-07-23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US6721759B1 (en) * 1998-12-24 2004-04-13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spatial representation of data and browsing based on similarity
US6959946B2 (en) * 2004-02-03 2005-11-01 Key Safety Systems, Inc. Retention feature for an adjustable turning loop
US7226131B2 (en) * 2004-09-17 2007-06-05 B/E Aerospace, Inc. Adjustable seat belt guide assembly
CN100410112C (zh) * 2006-06-02 2008-08-13 王志强 汽车保险带松弛调节器
US20100185672A1 (en) * 2009-01-21 2010-07-22 Rising Iii Hawley K Techniques for spatial representation of data and browsing based on similarity
DE102011014175B4 (de) * 2011-03-16 2021-05-12 Autoliv Development Ab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9870A1 (ko) * 1973-08-03 1975-02-28 Poudres & Explosifs Ste Nale
NL7604742A (en) * 1976-05-04 1977-11-08 Coenen Benelux Bv Three point safety belt take up mechanism - pays out one end whilst taking up other and blocks when both ends tensioned
US4373748A (en) * 1980-10-28 1983-02-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ing and locking mechanism
JPS5877761U (ja) * 1981-11-24 1983-05-2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ル−アンカ−取付装置
DE3514980A1 (de) * 1984-05-28 1985-11-28 TRW Repa GmbH, 7071 Alfdorf Beschlag fuer einen sicherheitsgurt fuer kraftfahrzeuge
US4720147A (en) * 1985-06-07 1988-01-19 Juichiro Takada Adjustable vehicle seat belt anchor
FR2590855B1 (fr) * 1985-12-04 1989-12-22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ispositif de reglage manuel de la position d'un renvoi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P0249910B1 (de) * 1986-06-16 1990-04-25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Höhenverstellbar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Umlenk- oder Befestigungsbeschlag
US5186495A (en) * 1990-06-29 1993-02-16 Allied-Signal Inc.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US5265908A (en) * 1992-03-16 1993-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D-ring
DE29606521U1 (de) * 1996-04-10 1996-08-08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US5911439A (en) * 1996-04-19 1999-06-15 Takata (Europe) Vehicle Safety Technology Gmbh Vertical adjustment for the deflection fitting of a safety belt
DE29608210U1 (de) * 1996-05-06 1996-09-12 Trw Repa Gmbh Linearantrieb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8289T3 (es) 2004-03-16
DE59808724D1 (de) 2003-07-24
US6135499A (en) 2000-10-24
EP0853028A1 (de) 1998-07-15
DE29700549U1 (de) 1997-05-07
EP0853028B1 (de) 2003-06-18
JPH10203302A (ja) 1998-08-04
ES2128289T1 (es) 199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849B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belt buckle mounting
US4611825A (en) Adjustable anchorage
US4650214A (en) Belt turning ring and clamping device
EP0126578B1 (en) Anchorage means for safety belts
JPH01103554A (ja) 安全ベルトの取付高さ調節装置
JPH0431184Y2 (ko)
KR19980070466A (ko) 차량 안전 벨트 시스템의 편향을 맞추기 위한 조절 장치
EP0290621B1 (en) Anchor device for seat belts
US20050173916A1 (en) Shoulder adjuster
JP3037909B2 (ja)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US6851714B2 (en) Seat belt closure-securement arrangement with integrated force evaluation
KR100247680B1 (ko)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JPH0790748B2 (ja) 安全ベルト取付具の垂直調節のための装置
US5186495A (en)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JPS5914293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JPS62103245A (ja) 乗員自動拘束装置
JPS6040370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GB2348402A (en) Adjustable guide means for a vehicle safety belt
US6099040A (en) Adjustment device for a deflection fitting
EP1374713A2 (en) Buckle
JPH0321316Y2 (ko)
KR970000879Y1 (ko) 자동차용 시이트 벨트 높이 조절장치
JPH044915Y2 (ko)
KR19980037906U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970003872Y1 (ko) 자동차용 시이트 트랙레버의 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