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026A -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026A
KR20060046026A KR1020050038934A KR20050038934A KR20060046026A KR 20060046026 A KR20060046026 A KR 20060046026A KR 1020050038934 A KR1020050038934 A KR 1020050038934A KR 20050038934 A KR20050038934 A KR 20050038934A KR 20060046026 A KR20060046026 A KR 2006004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ocking
locking lever
bar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560B1 (ko
Inventor
데이비드 알 아놀드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안전 벨트 시스템용 높이 조절 장치(100, 200, 400)는 장착 바아(102, 202, 402), 캐리어(120, 220, 460, 460a) 및 스프링 장전된 로킹 레버(170, 270, 49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장착 바아는 적어도 하나의 벽(측벽)을 갖는 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이어서, 결합 또는 로킹면으로서 작용한다. 결합면은 복수의 작은 치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아는 지지면 또는 구조체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캐리어는 바아상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이한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캐리어는 상부벽, 하부벽 및 전방벽을 갖는 단면이 U자 형상일 수 있는 메인 부분을 구비한다. 각각의 상부벽 및 하부벽은 장착 바아가 연장되는 제 1 개구부를 구비한다. 마찰 커플링(480)은 수동적인 간섭 없이 그의 자유 위치로 로킹 레버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ER FOR WEB GUIDE OF A SEAT BELT SYSTEM}
도 1은 조절가능한 웨브 가이드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캐리어 조립체의 각종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후방 평면도,
도 4a는 로킹 위치에 있는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해제 위치에 있는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로킹 위치에 있는 높이 조절 장치의 변형 실시예의 확대도,
도 4d는 해제 위치에 있는 도 4c의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e는 마찰 커플링의 단면도,
도 4f는 바아도 도시한 마찰 커플링의 우측 상부 코너부의 확대도,
도 5는 로킹 레버의 상부 평면도,
도 5a는 로킹 레버의 단면도,
도 6은 높이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방 평면도,
도 7a는 도 7의 높이 조절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
도 11은 도 10에 이용된 캐리어와 로킹 레버의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a는 도 12의 캐리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14-1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캐리어를 분리한 도면,
도 15a는 변형된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해제 위치에 있는 레버의 단면도,
도 17은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17a는 자유 위치에 있는 도 13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18-18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
도 21은 3점 안전 벨트 시스템과 종래의 웨브 가이드용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높이 조절 장치(400) 402 : 장착 바아
407 : 나사식 볼트 407a : 스페이서
416 : 로킹 형상부 418 : 치형부
450 : 캐리어 조립체 460 : 캐리어
490 : 로킹 레버 510 : 패스너
550 : 웨브 가이드 600 : 레버 캡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전 벨트 시스템의 웨브 가이드(web guide)용 높이 조절 기구(height-adjusting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3점 안전 벨트 시스템(562)의 어깨 벨트(560)는 전형적으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 가이드(550)에 의해 탑승자의 어깨 레벨 또는 그 근방에서 지지된다. 또한, 안전 벨트 시스템은 어깨 벨트(560)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안전 벨트 리트렉터(561)와, 버클(568)내에 로킹가능한 텅(566)을 갖는 랩 벨트(lab belt)(564)를 구비한다. 랩 벨트 및 버클은 바닥부 또는 시트 프레임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몇몇 차량에 있어서 웨브 가이드는 차량 시트의 일체 부재이지만, 다른 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참조부호(570)로 나타낸 차량의 필러(pillar)중 하나에 부착된다. 웨브 가이드(550)는 전형적으로 지지면(support surface), 즉 어깨 벨트가 미 끄럼 운동하는 슬롯(slot)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웨브 가이드는 시트(seat) 또는 필러에 웨브 가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또한, 웨브 가이드는 장식 커버(572)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단순한 웨브 가이드에 대한 예로는 미국 특허 제 5,601,311 호가 있다. 높이 조절 장치 또는 조절가능한 터닝 루프(adjustable turning loop)로 불리는 수직 조절식 기구(vertically adjustable mechanism)(574)상에 웨브 가이드를 장착하는 것이 현재 통상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조절식 기구에 대한 예로는 미국 특허 제 5,050,907 호 및 미국 특허 제 5,230,534 호가 있다.
대부분의 높이 조절 기구에 있어서, 웨브 가이드는 캐리어에 부착된다. 캐리어는 차량 탑승자에 의해 소망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가능하다. 캐리어는 종종 레일 또는 트랙상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캐리어는 탑승자에 의해 선택되는 바와 같은 소정의 수직 위치에서 캐리어를 잠그는 로크 기구(lock mechanism)를 갖는다. 새로운 위치에서, 어깨 벨트는 보다 편안한 위치에서 차량 탑승자 몸체를 가로지른다.
기존의 높이 조절 기구는 종종 복잡하고 값비싸고 많은 기계가공 작업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레일을 갖는다. 또한, 캐리어 및 로킹 기구도 복잡한 기구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높이 조절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 장치(40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높이 조절 장치(400)는 장착 바아(402)와, 캐리어 조립체(450)를 가지며, 장착 하드웨어(mounting hardware)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바아(402)는 방청제(rust preventing agent)로 코팅된 열처리된 강으로 제조된다. 바아는 지지 필러(support pillar)와 같은 지지면, 또는 차량 시트의 프레임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바아(402)의 단부(404)는 장착 개구부(406)를 갖고, 단부(408)는 장착 개구부(410)를 갖는다. 나사식 볼트(407)는 개구부(406, 410)내에 수용되고, 스페이서(407a)는 인접 장착면으로부터 높이 조절 장치(400)의 후방부를 이격할 수 있다. 와셔(407b)는 각각의 스페이서(407a)와 장착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 바아(402)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또는 로킹면을 가지며, 이 결합 또는 로킹면은 4개 측면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제 1 또는 1차 로킹면은 우측면(414)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측면(414)은 복수의 수직형 치형부, 홈부 또는 톱니 형상부(418)와 같은 로킹 형상부(416)를 갖는다. 이러한 치형부는 선택적이지만 사용시에 높이 조절 장치의 하중 용량을 증대시킨다. 치형부(418)는 예컨대 약 1mm 내지 1.5mm의 치형부간 피치로 빽빽하게 이격된다. 복수의 치형부를 이용하는 하나의 이점은 안정적인 로킹 위치의 개수가 종래 기술에서 보다 훨씬 많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대향 측면(414a)은 매끄럽지만 복수의 제 2 치형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치형부(418)의 인접 표면 사이의 협각 (included angle)은 대략 120°이다. 협각은 약 90°내지 120°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아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 또는 장방형이다. 타원형의 단면인 바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 조립체(450)는 캐리어(460), 로킹 레버(490), 레버 캡(600), 중공부, 나사형 패스너(510), 스프링(530) 및 작동 레버(700)를 갖는다. 웨브 가이드(550)는 나사형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패스너(510)에 고정된다.
캐리어(460)는 열처리된 금속(예컨대, 강철) 스탬핑(stamping)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462), 하부(464) 및 중앙벽(466)으로도 불리는 전방벽을 갖는다. 또한, 캐리어(460)의 세부 사항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전방벽(466)은 나사형 패스너(510)가 고정되는 개구부(468)(도 3b 참조)를 갖고, 패스너(510)는 캐리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캐리어(460)는 대체로 U자 형상이다.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정렬된 개구부(470)를 갖는다. 바아(402)는 상부 및 하부 개구부(470) 양자를 통해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각각의 개구부(470)는 바아(402)의 4개의 대응 측면을 근접하게 감싸도록 구성된다. 캐리어(460)와 바아(402)는 각각 금속으로 제조된다. 덜거덕거리는 소음을 회피하기 위해, 부싱(bushing)(471)은 대응 개구부(47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중공형인 부싱(471)은 바아(402)로부터 캐리어(460)를 절연하고, 중합체 물질 또는 적절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부싱(471)은 캐리어(460)를 중합체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패스너(510)는 캐리어(460)의 개구부(470)내에 수용된다. 전형적으로, 패스너(510)는 캐리어(460)의 전방벽에 스웨이징(swaging)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것이다. 패스너(510)는 중공의 나사형 구멍(514)을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512)를 갖는다. 패스너(510)는 캐리어(460)의 전방벽(466)의 후방면(466a)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방 플랜지(516)를 갖는다. 웨브 가이드(550)용 나사형 볼트(도시하지 않음)는 구멍(514)내에 수용된다. 도 1에서의 웨브 가이드(550)는 나사형 패스너가 연장되는 개구부(552)를 구비한다. 또한, 웨브 가이드는 어깨 벨트가 미끄럼 운동하는 좁은 슬롯(554)을 갖는다.
캐리어 상부 및 하부(462, 464)에 관해서, 적어도 하부(464)는 헬리컬 스프링(53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포스트(post)로서 사용되는 돌기 또는 멈춤쇠(detent)(465)를 갖는다. 캐리어(460)는 180°회전식 장치내의 바아(402)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은 상부와 하부로서 식별되는 부재의 위치를 서로 바꾼다. 캐리어(460)를 이러한 회전식 장치내에 이용할 수 있기 위해, 캐리어의 여러 부분은 거울 대칭이다. 또한, 상부(462)는 추가적인 돌기, 멈춤쇠 또는 포스트(46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포스트(465)는 스프링 유지 형상부를 제공하는데, 이는 캐리어(460)의 하부 및/또는 상부에 원형인 원통형 오목부에 의해 성취될 수도 있다. 헬리컬 원통형 스프링(530)(도 1)은 오목부내에 수용된다.
또한, 캐리어(460)는 측부(472)를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472)는 전방벽(466)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부(462), 하부(464) 및 전방벽(466)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상부(462)와 하부 (464)는 전방벽(466)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측부(472)의 높이(h)는 상부(462)와 하부(464)의 각각의 내부면 사이의 전체 거리에 걸쳐 있지 않다. 측부(472) 및 캐리어의 상부와 하부는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피봇 슬롯(474)을 제공하도록 협동한다. 대칭을 위해, 캐리어(460)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슬롯만 이용되지만 2개의 피봇 슬롯(474)을 구비한다.
캐리어 조립체(450)는 로킹 레버(490)를 갖는다. 열처리된 강으로도 제조된 로킹 레버는 기부(492)와, 바람직하게는 일체 구성체인 레버, 레버부 또는 작동 아암(494)을 갖는다. 레버(494)는 기부(492)에 대해 상측으로 약 15°로 만곡된다. 만곡부는 참조부호(496)로 도시되어 있다. 로킹 레버(490)는 바아(402)가 연장되는 개구부(59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개구부(590)를 둘러싸는 로킹 레버(490)의 재료는 대체로 개구부(590)의 교차점 및 로킹 레버(490)의 상부 표면에서 직각 형상인 코어 또는 로크 에지(592)를 형성하도록 이뤄진다. 다른 예리한 코너 또는 로킹 에지(594)는 로킹 레버의 인접한 하부 표면을 갖는 개구부(590)의 측면의 하부 교차점에 대향하게 형성된다.
도 4는 바아(402)의 치형부(418)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인 로킹 에지(592)를 갖는 로킹된 장치내의 로킹 레버(490)를 도시하고 있다. 가압 스프링(530)은 [로킹 레버(490)의] 작동 레버(494)를 로킹 위치로 가압한다. 이러한 로킹 위치에 있어서, 예리한 코너(594)는 바아(402)의 대향 측면(414a)에 대해서도 가압된다. 로딩시, 에지(594)는 측면(414a)상에 작용하고 부가적인 하중 지지 능력을 부가한다. 로킹 레버의 경도는 바아(402)의 경도와 동일하거나 혹은 그보다 높다. 바람직하게, 측면(414a)은 예컨대 복수의 치형부(418)내의 임의의 별도의 로킹 형상부를 포함하지 않으나, 참조부호(418a)(점선으로 도시한 부분)와 같은 다른 치형부 세트가 측면(414a)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로킹 레버(490) 로킹 위치 및 회전 자유 위치에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로킹 위치에서, 캐리어(460)의 하측 운동은 주로 로킹 코너(492)와 이 코너(492)가 결합되는 특정 치형부(418)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방지된다. 로킹 레버(490)가 매우 약간 하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로킹 코너(592, 594)는 바아(402)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작용은 캐리어(460)(및 웨브 가이드와, 이 웨브 가이드와 함께 가동할 수 있는 어깨 벨트)가 새로운 로킹 위치로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어깨 벨트가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보다 편안한 배향으로 교차하게 할 것이다.
높이 조절 장치(400)의 작동 구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연속적인 로킹 형상부(418)를 갖는 것에 기인한 본 발명의 이점중의 하나는, 캐리어(460)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경우 치형부(418)내에 로크 에지(592)를 위치시키는 것을 사용자가 확신하는 점이다. 이것은 대응 로킹 기구가 로킹 형상부 사이에 재위치되게 허용하는 몇몇 종래의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경우는 아니다. 복수의 연속적인 로킹 형상부(418)를 이용하는 이점은, 웨브 가이드(550)와 그에 따라 캐리어(460)에 추진력(impulsive force)이 인가되는 경우, 연속적인 치형부(418)는 캐리어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이 로킹 형상부 사이에서 급속하게 가속되게 하지 않는 다.
로킹 레버의 기부(492)는 하부 (피봇) 공간(474)내에 삽입된다. 기부(492)의 두께(t)(도 4 참조)는 로킹 레버(490)가 캐리어(460)에 용이하게 조립되게 하고 기부(492)용 공간이 선회되게 한다.
캐리어 조립체(450)는 로킹 레버(490)와, 스프링(530)을 갖는다. 캐리어 조립체(450)는 레버 캡(600)(도 1 및 도 2 참조)을 갖는다. 레버 캡(600)은 로킹 레버(490)의 말단부(491)에 고정(또는 성형)된다. 헬리컬 스프링(530)은 레버 캡(600)상에 수용된다. 레버 캡(600)은 로킹 레버(490)상에 성형된 플라스틱 삽입식 성형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 캡(600)은 로킹 레버(490)에 별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부착될 수 있다. 레버 캡(600)은 로킹 레버의 말단부(491)를 수용하는 오목부(602)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 캡(6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위치 형상부(604)를 가지는데, 이 스프링 위치 형상부(604)는 로킹 레버(490)에 대해 적절하게 스프링(530)을 위치시키고 레버에 스프링을 유지하도록 스프링(530)의 단부와 협동한다. 레버 캡(600)은 이러한 2개의 위치 형상부(604)를 구비하여, 레버 캡(600)을 로킹 레버에 대해 180°회전하고, 스프링(530)을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스프링 위치 형상부(604)는 원형의 원통형 오목부일 수 있다.
레버 캡(600)은 원형의 원통형 돌기 또는 핀(610)을 구비한다. 로킹 레버(490)상의 레버 캡(600)과 함께, 핀(610)은 앞쪽으로 연장된다. 도 3c에 있어서, 핀(610)은 캐리어(460)의 전방벽(466)의 전방 표면 이상으로 연장된다.
높이 조절 장치(400)가 잠금된 경우, 로킹 레버(490)가 로크 에지(592)를 바아(402)로부터 분리하도록 수동으로 이동되지 않으면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높이 조절 장치는 로크 레버가 수동으로 내려 누르지 않더라도 상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웨브 가이드(550)는 수동으로 파지되어 상방으로 눌러질 수 있고, 이 상방으로의 힘은 로크 레버(490)를 측부(414)에 대해 이동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스무스할 수 있거나 또는 로크 레버는 튀어 올라 측부(414)가 매끄럽더라도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높이 조절 장치는 측부(414)가 복수의 치형부(416)를 구비하더라도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크 레버는 큰 소음을 야기하는 치형부상에서 확실히 튀어 오를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이러한 소음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당히 감소시킨다. 도 4c는 변형된 캐리어 조립체(450a)를 도시하고 있다. 캐리어 조립체(450a)는, 캐리어 조립체(450a)내에 도시된 요소들을 구비하고, 마찰 커플링(4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마찰 커플링(480)은 고무 또는 고무와 같은 재료로 제조되며, 이는 쇼어 A35 내지 쇼어 A 85 범위의 경도를 갖는다. 폴리우레탄, 니트릴, 부틸 라텍스, 순수 고무(pure gum), 스티렌-부타디엔, 네오프렌, 에피클로로하이드린, EPD, 산토프렌, 하이트렐, 비닐 및 바이톤 고무와 같은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마찰 커플링(480)은 바아(402)의 외부 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481)를 구비한다. 개구부(481)는 바아(402)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2개의 평행 측부(487)와 2개의 만곡 단부(488)를 구비한다. 개구부의 단부(488)는 바아가 만곡되더라도 직선형일 수 있다. 개구부(481)는 바아(402)보다 대체로 약간 크다. 마 찰 커플링(480)의 내벽이 대략 동일한 거리로 모든 측부상에서 바아(402)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요구 조건은 아니다. 개구부(481)의 편평한 측부가 바아의 편평한 측부에 빽빽하게 이격될 수 있는 한편, 바아와 개구부(481)의 대응 단부면 사이의 단부 이격 거리는 길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는 바아의 편평한 측부와 개구부(481)의 편평한 측부 사이의 0.1mm 및 바아의 단부면과 개구부(481)의 단부면 사이의 0.2mm일 수 있다.
마찰 커플링(480)의 길이는, 마찰 커플링의 상부면(468)이 상부(462)의 하부면 또는 부싱(471)의 하부면에 대항하는 경우, 마찰 커플링(480)의 하부면(483)이 로킹 레버(490)의 상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한다[공간(484) 참조].
로킹 레버(490)가 수동으로 눌러지고 캐리어 조립체(450a)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캐리어(460)와 마찰 커플링(480)은 도 4c에 도시한 배향을 성취할 것이다. [캐리어(460)의] 상부(462)의 하부면 및 (마찰 커플링의) 상부면(468)은, 마찰 커플링(480)과 바아(402) 사이에서 발생된 공칭 레벨의 마찰력이 캐리어(46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방으로 마찰 커플링을 상대적으로 가압할 것이므로 서로 부딪힐 것이다. 로킹 상태에 있는 캐리어 조립체(450a)의 경우, 웨브 가이드(550)는 캐리어 조립체를 바아(402)상의 새로운 보다 높은 배향으로 재위치시키도록 수동으로 파지되어 상방으로 눌러질 수 있다. 웨브 가이드(550)는 캐리어 조립체(450a)에 직접 연결된다. 바아(402)에 대한 캐리어 조립체(450a)의 임의의 상방 운동[화살표(485) 참조]은 마찰을 발생시켜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460)와 바아(402)에 대해 마찰 커플링(480)의 상대적인 하방 이동을 야기할 것이다.
마찰 커플링(480)의 상대적인 하방 운동은 공간(484)을 영(zero)으로 감소시켜서 로킹 레버(490)가 로킹 상태를 벗어나게 누르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마찰 커플링(480)상으로의 로킹 레버의 반동력은 화살표(486)의 방향으로 마찰 커플링을 약간 회전시킨다. 바아(402)에 대한 마찰 커플링의 운동은 마찰 커플링과 바아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마찰 커플링을 바아에 보다 일시적으로 보다 강제적으로 결합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 후, 약 1mm 이하의 범위에서 발생하는 캐리어(460)의 다른 상방 운동은 스프링(53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로킹 레버(490)를 해제 위치로 강제적으로 가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로킹 레버(490)의 로킹 에지(592)는 사용된다면 치형부(416)뿐만 아니라 측부(414)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캐리어 조립체(450a)의 다른 상방 운동은 측부(414)에 대해 로킹 레버(490), 즉 로크 에지의 스킵핑(skipping) 또는 래칫팅(ratcheting)을 물리적 상호 작용 없이 성취한다. 이러한 운동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성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부(487) 및 단부(488)는 평행하고 거의 90°로 마찰 커플링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교차한다. 마찰 커플링이 회전하는 경우, 개구부(481)의 내측 대향 코너는 바아(402)의 대향 단부 또는 측부(414, 414a)를 결합할 것이다. 도 4d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481)의 상부 우측과 하부 좌측이 소형 모떼기부(chamfer)(489)(약 1°내지 약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찰 커플링이 회전하는 경우, 모떼기부(489)에 의해 제공된 보다 큰 표면적은 바아의 측부(414, 414a)를 결합할 것이다. 본 실시예 는 마찰 커플링이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마찰 커플링의 마찰 발생 용량을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높이 조절 장치(400)는 작동 레버(activation lever)(700)를 갖는다. 작동 레버는 패스너(510)의 외경에 근접하게 크기 설정된 개구부(710)를 가져서, 작동 레버(700)가 패스너(510)의 외부 표면상에서 회전하게 한다. 작동 레버(700)는 편평한 플라스틱 성형부일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작동 레버(700)는 환형 로크 와셔(712) 또는 유사한 고정 수단에 의해 패스너(510)에 고정된다.
작동 레버(700)는 원통형 포스트 또는 핀(610)의 직경보다 약간 큰 높이(hg)를 갖는 수용 홈부(720)를 더 구비한다. 홈부(72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7 및 도 7a에 있어서, 핀(610)은 홈부(720)내에 수용된다. 작동 레버(700)의 회전[도 7에서의 화살표(713) 참조]은 아래로 홈부(720)를 이동시켜서, 핀(610)과 로킹 레버(490)를 하측으로 누른다. 이러한 작용은 가압 스프링(510)을 압축한다. 작동 레버가 해제될 때, 가압 스프링(530)은 레버(700)를 비작동 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시 캐리어를 바아에 로킹시킨다. 로킹 레버(490)의 회전은, 로킹 레버 개구부(590)의 벽이 바아(402)의 측면(414, 414a)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개구부(590)를 재배향한다. 이 위치에서, 코너 또는 로크 에지(592)는 치형부(418)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있고, 코너(594)도 바아(402)의 측면(414a)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이 위치는 높이 조절 장치(400)의 자유 또는 해제 위치에 대응한다.
이러한 배향에 있는 로킹 레버(490)의 경우, 캐리어(460)는 아마도 안전 벨트의 착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새로운 위치까지 바아(402)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부(492)의 두께는 공간(474)의 높이(h1)보다 작다. 레버(700)가 스프링(530)의 가압력에 대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로킹 레버는 만곡부(496) 둘레를 회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측부(472)에 대해 또한 개구부(474)내로 측방향[도 3b의 참조부호(730)]으로 미끄럼 운동도 한다. 기부(492)의 두께(t)가 개구부(474)의 크기에 도달할 때, 로킹 레버의 운동은 미끄러지는 경향이 감소하기 때문에 보다 요동하거나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8은 캐리어 하부(464)는 벽 또는 정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상측 연장부(464a)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도 3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벽 또는 정지 부재는 개구부(474)를 통하여 로킹 레버(490)의 상술한 측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로킹 레버(490)의 운동은 거의 완전한 회전 운동이며, 레버를 이동하는데 작용력이 덜 필요하여, 로킹 레버(490)의 에지(592)가 과도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헬리컬 스프링(530)은 참조부호(730)에 의해 도시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대체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730)은 로킹 레버 아래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금속 리프(spring metal leaf)를 가져서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9에 있어서, 단일의 예비 성형 리프(single pre-formed leaf)(732)는 사용된다면 상부 및 하부 부싱(590) 사이에 [또는 캐리어 하부(464)의 상부 표면의 꼭대기에] 그리고 로킹 레버(490)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다. 리프(732)는 바아(40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거나, 또는 리프는 2개의 이격된 레그(leg)로 나눠져서 바아(402)가 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리프는 로킹 레버(490)의 하부 표면을 가로지르는 균형잡힌 가압력을 제공한다. 리프(732)를 부가하면 측부(472)의 하부 표면(734)쪽으로 대체로 상측으로 로킹 레버(490)의 기부(492)를 가압한다. 이러한 상측으로 가압하는 것은, 레버가 내려질 때 측방향 운동에 대항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데 조력하는 로킹 레버(490)의 측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기능한다.
리프 스프링(730)은 스프링 강으로 형성되고, 하부 공간(474)내에 수용되는 포켓부(7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730)은, 도 9에서 측부(472)의 내부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연장된 플랜지 또는 벽(738)을 구비할 수 있다. 로킹 레버의 기부는 이러한 포켓부(736)내에 수용된다. 또한, 플랜지를 갖는 스프링(730)의 구성은 이것이 가압될 때 로킹 레버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도 9b는 리프 스프링(730a)이 로킹 레버 둘레에 성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높이 조절 장치(40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다른 부품을 구비한다. 높이 조절 장치(400a)와 높이 조절 장치(400)간의 주요 차이점은 캐리어(460a)에 대한 로킹 레버(490)의 위치설정에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캐리어(460a)는 공간(474)에 의해 분리된 상부 및 하부(472a, 472b)를 갖는 수정된 측부(472)를 갖는다. 로킹 레버(490)의 기부(492)는 공간(474)내에 수용된다. 공간(474)은 캐리어의 하부(464)에 인접하게 배향되는 것에 대향하기 때문에 대체로 측부(472)의 중앙에 있 다. 로킹 레버의 기부(492)와 환형부(494) 사이의 절곡 각도(bend angle)는 전술한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각도, 즉 대략 15°일 수 있다. 말단부(491)와 레버 캡(600)이 전술한 실시예에서보다 바닥부(464)로부터 훨씬 멀리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기 때문에, 보다 큰 스프링(530)은 레버 캡(600)과 캐리어(460a)의 바닥부(464)를 상호연결한다. 높이 조절 장치(400a)는 홈부(720)를 갖는 작동 레버(700)를 갖는다. 작동 레버(490)에 대한 홈부(720)의 상대 위치는 레버 캡(600)과 그의 연관된 핀(610)의 새로운 위치를 수용하도록 변경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변형된 바아(402a)는 만곡되어 있다. 바아(402a)는 볼록 형상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바아(402a)는 약 19cm의 반경을 갖는 원을 중심으로 위치한다. 캐리어(460)는 만곡형 바아를 횡단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부싱내의 개구부의 사이즈뿐만 아니라 캐리어(460)의 상부 및 하부내의 개구부의 사이즈는 만곡형 바아를 수용하도록 증대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높이 조절 장치(100)는 (도 12a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캐리어(120)와 장착 바아(102)를 갖는다. 캐리어(120)는 캐리어 본체(130), 로킹 레버(170) 및 가압 스프링(190)을 갖는다(도 14 참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아는 열처리된 강이다. 장착 바아는 차량의 일부 또는 차량 시트와 같은 지지면 또는 구조체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바아(102)의 단부(104)는 장착 개구부(106)를 가지고, 단부(108)는 장착 개구부(110)를 갖는다. 볼트(107)(도 14 참조)는 개구부(106, 110)내에 수용되고, 스페이서(107a)는 인접한 장착 표면으로부터 높이 조절 장치(100)의 후방에 용이하게 공간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장착 바아(102)는 전방, 측방 또는 후방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면 또는 로킹면을 갖는다. 제 1 로킹면은 전방부 또는 전방면(114)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부는 복수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치형부와 같은 임의의 세트로 이루어진 로킹 형상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 형상부(116)를 이용하지 않고 만족스런 테스트 결과를 얻었다. 도 14 및 도 15는 톱니 형상부(indentation) 또는 홈부(118)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바아(102)는 대체로 삼각형(절두식 삼각형을 포함함) 단면을 가지며, 본 발명의 제한사항은 아니다. 삼각형 단면을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비용으로 증대된 인장 강도를 제공한다.
도 13에 있어서, 변형된 높이 조절 장치(200)는 그의 캐리어(220)의 측부 표면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하고 캐리어의 대향 측부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킹 레버(270)를 갖는다. 이 높이 조절 장치(200)는 장착 바아(202)와 캐리어(220)를 구비하며,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120)를 갖는다. 장착 바아는 장착 개구부(206, 210)를 갖는다. 캐리어(220)는 캐리어 본체(230), 로킹 레버(270) 및 스프링(290)을 갖는다. 장착 바아(202)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oblong)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타원형(oval)이다. 장착 바아(202)는 바아(202)의 일 측부 또는 다른 측부(220a 또는 220b)상에 위치된 홈부, 슬롯 또는 톱니 형상부(218)와 같은 복수의 로킹 형상부(216)를 갖는다.
도 12에 있어서, 캐리어(120)는 장착 바아(102)를 따라 이동되기에 적합하고, 상부벽(132), 하부벽(134) 및 중앙벽(136)을 갖는 대체로 U자형의 단면을 갖는 다. 상부벽(132)과 하부벽(134) 각각은 개구부(138)를 갖는다. 개구부(138)는 바아(102)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도 12에 있어서, 각각의 개구부(138)는 장착 바아의 단면 형상과 일치한다. 이 개구부는 삼각 형상이다. 도 13의 캐리어의 유사한 개구부(238)는 타원형/장방형 형상이다. 도 14는 또 다른 장착 개구부(140)를 구비하는 중앙벽(136)을 도시하고 있다. 너트(142)는 개구부(140)내에 수용되고, 예컨대 스웨이징 또는 용접 혹은 다른 허용가능한 공정에 의해 중앙벽(136)에 고정된다. 너트(142)는 나사선(146)을 갖는 중앙 구멍(144)을 갖는다. 웨브 가이드 패스너(147)는 구멍(144)내의 나사선식으로 결합되어 소정 위치에 웨브 가이드(500)를 고정한다.
도 15 및 도 15a는 참조부호(120)와 같은 캐리어에 대한 보다 세부사항을 도시하고 있다. 캐리어(120)는 캐리어 본체(130), 로킹 레버(170) 및 스프링(190)을 갖는다. 캐리어 본체는 예컨대 금속 스탬핑(metal stamp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그 결과 캐리어 본체의 측부 또는 에지(131)는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예리한 코너(135a, 135b)를 형성하는 캐리어 본체(130)의 측부(133a, 133b)에 대체로 수직이다. 캐리어는 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성능 사양에 따라 열처리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137)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복되어 미끄럼 및 정지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피복 두께가 비교적 얇거나 또는 윤곽이 있도록 도포되기 때문에, 피복 재료는 캐리어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비교적 예리한 코너(137a, 137b)를 제공할 것이다.
캐리어는 스피링 유지 또는 고정 형상부(150)를 더 구비한다. 도 14에 있어 서, 이러한 형상부는 플라스틱 피복 재료(137)의 전체 부분이 캐리어(120)의 강 본체 둘레에 오우버몰드(over-mold)될 수 있는 작은 돌기 또는 핀(151)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유지 형상부(150)는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오목부일 수도 있다. 캐리어(120)는 (플라스틱 피복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제 2 스프링 유지 형상부(150a)를 구비하고, 캐리어(130)의 바닥벽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형상부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캐리어에 대칭 정도를 제공한다면, 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이고 전체 비용을 줄인다. 몇몇의 변경에 있어서, 동일한 캐리어는 도 13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어서,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양과 도구를 한층 줄인다.
전형적으로 열처리된 강인 레버(170)는 기부(172)와 작동 아암(174)을 갖는다. 레버(170)는 단부 대향 아암(174)에 만곡형 소켓(176)을 구비한다. 만곡형 소켓의 내부 또는 결합면(175)이 도시되어 있다. 소켓 단부(176)는 코너(137a, 137b) 둘레와 같은 상부(132)의 정합부 둘레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피복 재료(137)의 후방부 둘레에 수용되어, 코너(137a, 127b)를 형성한다. 기부(172)는 장착 바아(102)의 단면 형상에 유사한 형상이지만 캐리어와 바아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하도록 약간 큰 예리한 코너측의 개구부(178)를 갖는다.
도 14, 15 및 도 15a는 동작의 로킹 모드에서의 레버를 도시하고 있다. 개구부(178)에 근접한 로킹 레버의 수직형상의 코너 또는 에지(180)는 장착 바아(102)의 전방부(102a)와 결합한다. 바아(102)가 홈부(118)와 같은 로킹 구조체(116)를 갖는 경우, 에지(180)는 로킹 결합의 교호 상태에서 홈부(118)중 하나내에 수용된다. 홈부는 바아의 양쪽의 대향 측부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치형부(홈부, 톱니 형상부)의 협각은 약 90°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레버(170)는 상부벽(132)의 피복된 단부 코너(137a, 137b) 둘레를 이동하여, 스프링(190)에 의해 제공된 가압력에 의해 이러한 로킹 배향으로 유지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헬리컬) 스프링(190)의 하단부는 돌기(150) 둘레에 안착되고, 스프링의 상단부는 작은 원형 오목부의 형태인 또 다른 스프링 유지 부재(182)내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유지 부재는 캐리어의 금속 코어 재료의 스탬핑된 돌기일 수 있다.
캐리어(120) 사이의 상대적인 간극에 따라서, 로킹 레버(170), 장착 바아(102) 및 로킹 레버(170)가 바아의 후방면(102a)과 결합한 채로 로킹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로킹은 도 15a에서 보다 명백하다. 개구부(178) 둘레의 하부 에지(180a)는 장착 바아의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표면(102b)은 홈부(118)와 같은 참조부호(116)와 유사한 추가적인 로킹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위치에서, 하강력[화살표(F) 참조], 또는 하강력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어깨 벨트를 거쳐 캐리어(120)까지의 웨브 가이드로 제공되면, 에지(180)[및 아마도 에지(180a)]와 바아의 전방 벽 사이의 로킹 상호작용 때문에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힘(F)이 증가되는 경우, 로킹 바아(170)는 자동 통전 작용(self-energized action)을 나타내고, 로킹 에지(180)는 장착 바아의 정합면내로 보다 큰 힘으로 가압될 수 있다.
장착 바아(102)상에 수직방향으로 캐리어(120)를 재위치하려는 경우, 탑승자는 엄지손가락으로 바닥벽(132)또는 너트(140)의 하부면 혹은 웨브 가이드를 잡는 동안에, 작동 아암(174)의 상부면상에 다른 손가락을 위치시켜 도 16에 도시한 위치로 로킹 레버(170)를 가압할 것이며, 개구부(178)의 벽(184)은 장착 바아의 벽(102a)과 평행한 상태에 있다. 캐리어(120)는 새로운 소망 위치까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웨브 가이드 및 어깨 벨트)가 재위치되어 있을 경우, 탑승자는 로킹 레버(170)를 해제하여 로킹 레버(170)는 장착 바아(102)와의 로킹 배향으로 복귀될 것이다.
도 14, 도 15 및 도 15a에 있어서, 로킹 레버(170)의 만곡형 단부(176)는 피복 재료(137)의 코너(137a, 137b)를 근접하게 덮어 싸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레버의 단부는 코너 둘레를 선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킹 레버가 로킹 및 자유 위치까지 그리고 그로부터 이동할 때 그 움직임이 다소 복잡하고 로킹 레버내의 개구부(178)와 장착 바아의 단면 사이의 상대 이격 거리, 단부(176)의 협각(A) 및 코너(137a)에서 코너(137b)까지의 캐리어 상부의 높이, 스프링(190)이 레버에 그리고 캐리어에 장착되는 각도, 하부면(175)과 코너(137a, 137b) 사이의 이격 거리, 결합, 접촉, 지지 또는 차단면으로서 기능하는 상부의 하부면(133)의 형상 및 구조, (공칭상으로 10° 내지 15°인) 아암(174)의 이탈(departure) 각도(B) 등과 같은 다수의 요인에 따라 다르다. 로킹된 위치에서, 스프링(900)은 표면(177)이 표면(133c)을 접촉하도록 레버를 누른다. 또한, 스프링은 오목부(치형부, 홈부 등)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 측부(102a)내로 로킹 에지(180)를 가압한다. 아암(174)이 아래로 눌러질 경우, 레버(170)는 바아의 중심선(302)과 아암(174)의 축(304)의 교차점에 수직인 축(300) 둘레를 선회한다. 아암(174)이 캐리어의 상부 쪽으로 이동될 때, 단부(176)는 화살표(179)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미끄럼 운동하지만 표면(133c)과 접촉을 유지한다. 축(302, 304)의 교차점은 레버가 눌러질 때 이동될 것이다. 레버가 충분하게 이동된 경우, 로킹 에지(180, 180a)는 캐리어가 새로운 위치까지 이동되게 하도록 바아(102)로부터 멀리 이동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캐리어(120)에 관하여, 캐리어의 상부(132)와 하부(134) 양자는 연장된 돌기(250)를 구비하며, 이 돌기(250)는 본 발명의 앞선 실시예와 함께 이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부품 개수를 줄이고,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이라면, 이 돌기(250)를 캐리어내에 제조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돌기는 성형법을 이용하는 재료(137)를 이용하여 제조될 것이다. 각각의 돌기는 컵형상의 오목부(252)와 같은 스프링 유지 형상부를 갖는다. 이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252)는 가압 스프링(290)의 단부를 수용한다.
도 13,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캐리어(220)는 캐리어(120)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본체(130)를 갖는다. 예외적으로는, 장착 바아(202)의 형상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장착 바아는 장방형이고, 마찬가지로 캐리어(120)의 상부(132) 및 하부(134)내의 개구부(238)는 장방형이다. 바아(202)는 앞선 실시예의 요소(116, 118)와 유사한 복수의 수직방향 톱니 형상부(218)와 같은 복수의 로킹 형상부(216)를 갖는다. 로킹 바아(102)가 제 2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로킹 형상부(216)는 로킹 바아의 측부(109)(도 12)상에 형 성될 것이다.
장방형 바아(102)를 이용하여, 캐리어(120)의 상부(132) 및 하부(134)내의 개구부(238)는 장방형이지만 약간 크다. 도 17에 있어서, 로킹 레버(270)는 캐리어(230)의 피복된 상부(132)의 먼 측부(232) 둘레에 연결된다. 캐리어 본체(230)는 예리한 형상의 코너내에 형성될 수 있는 미끄러운 플라스틱 재료(137)로 피복된다. 먼 측부(232)에서의 피복 재료는 로킹 레버(270)의 만곡형 단부(276)의 하부면(275)과 접촉하는 반경방향 돌기이다.
로킹 레버(270)는 기부 또는 중심부(272)와, 작동 아암(274)과, 이 작동 아암(274)에 대향하는 만곡형 단부 또는 소켓(276)을 갖는다. 만곡형 소켓(276)의 내부 또는 결합면(275)은 반경방향으로 만곡부(232) 둘레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작동 아암(274)은 오목부(282)와 같은 스프링 유지 형상부를 가져서, 스프링(290)의 다른 단부를 수용한다. 오목부 또는 돌기는 스프링 유지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작동 레버(270)는 장착 바아의 단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이지만 자유 위치에서 캐리어(220)와 바아(202) 사이에서 방해받지 않는 미끄럼 운동을 촉진하도록 로킹하지 않는 방향으로 약간 큰 개구부(278)를 더 구비한다. 로킹 방향으로, 레버(270)의 형상은 예정된 로킹 각도를 성취하게 하는 충분한 간극을 갖는다. 도 17에 있어서, 로킹 레버(270)의 상부 코너 에지(280)는 바아(202)의 측부(202a)와 결합하여 로킹되어 있다. 바아(202)가 로킹 구성체를 갖는 경우, 로킹 레버(270)의 에지 또는 코너(280)에는 톱니 형상부(218)중 하나내에 안정된 로킹점이 있을 것이다. 단부(276)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에 근접하게 이격되거나, 도 16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느슨하게 이격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장착 바아(202) 및 로킹 레버(270)내의 개구부(278)를 위한 교호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바아(202)의 측부(202a, 202b)는 편평하다. 개구구의 측부(278a, 278b)는 편평하다. 이러한 구성은 확고한 로킹을 돕는다. 편평한 측부(202a, 202b)는 치수(d1)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는 한편, 개구부(278)의 대응 로킹 측부(278a, 278b)[또한 로킹 에지(280a, 280b)]는 치수(d2)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로킹은 d1보다 큰 d2로 일어날 것이다. d4는 로킹 각도가 성취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정도로 d3보다 커야 한다. 도 19c는 볼록형의 만곡형 로킹 에지(180)에 의해 결합된 볼록 결합 측부를 갖는 또 다른 장착 바아(102)를 도시하고 있다.
캐리어(220)와 로킹 레버(270)와 장착 바아(202) 사이의 간극에 따라서, 로킹 레버(270)는 바아의 대향 측부(202b)와 로킹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개구부(278) 둘레의 하부 에지(280a)는 바아(202)의 측부(202b)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부터 캐리어(220)를 해제하기 위해, 레버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코너(280, 280a)와 바아(202)의 대응 측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대시켜, 캐리어를 새로운 소망 위치로 재배향하게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로킹 레버(270)는 캐리어(220)의 상부(132)로부터 제거되어, 보다 콤팩트한 설계를 가져오는 캐리어의 하부(134) 둘레에 위치된다. 로킹 레버는 캐리어(220)의 범위내에 대체로 위치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를 이용하면, 종종 복잡하고 값비싸고 많은 기계가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캐리어 및 로킹 기구를 단순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100, 200, 400)에 있어서,
    차량 또는 시트의 일부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 장착 바아(102, 202, 402)와,
    상기 장착 바아에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장착 바아를 따라 여러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단면이 대체로 U자 형상이고 상부 및 하부벽 그리고 전방벽을 갖는 캐리어(120, 220, 460, 460a)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벽 각각은 상기 장착 바아가 연장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캐리어(120, 220, 460, 460a)와,
    로킹 위치로부터 자유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리어의 일부와 협동하는 단부를 구비한 스프링 장착식 로킹 레버(170, 270, 49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레버(170, 270, 490)는 작동 아암을 연장하는 로크 개구부를 갖는 상기 작동 아암을 가지며, 상기 로크 개구부는 상기 장착 바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킹 레버는 상기 로크 개구부에 상기 로킹 레버의 코너상에 형성된 제 1 로크 에지를 가지며, 상기 로크 에지는 상기 로킹 레버가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장착 바아와 결합가능하며,
    상기 로킹 레버(170, 270, 490)는 가압 스프링(190, 730)에 의해 로킹 위치로 가압되고, 상기 로킹 레버가 자유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로크 에지는 상기 장착 바아로부터 분리되며,
    마찰 커플링(480)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장착 바아에 작동식으로 결합하고 그의 자유 위치로 로킹 레버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캐리어가 그의 자유 위치로 상기 로킹 레버를 이동하도록 수동적인 간섭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장착 바아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장착 바아로부터 상기 로킹 레버를 실질적으로 방음용으로 분리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커플링(480)은 상기 장착 바아를 중심으로 수용되고 상기 장착 바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와 함께 이동가능한 중공형 부재이며, 상기 마찰 커플링(480)은 반대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의 운동에 대해 상기 로킹 바아상으로 이동가능한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170, 270, 490)는 기부 단부와, 상기 작동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기부 단부는 편평하거나 만곡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커플링(480)은 폴리우레탄, 니트릴, 부틸 라텍스, 순수 고무, 스 티렌-부타디엔, 네오프렌, 에피클로로하이드린, EPD, 산토프렌, 하이트렐, 비닐 및 바이톤 고무를 포함하는 재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커플링(480)은 약 쇼어 A 35 내지 약 쇼어 A 85의 범위의 경도를 갖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460)는 측벽(472)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의 일부는 피봇 슬롯(474)을 형성하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벽(464)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로킹 레버의 편평한 기부 단부는 상기 피봇 슬롯내에 수용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464)은 상기 피봇 슬롯(47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연장부(464a)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레버가 상기 피봇 슬롯내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식 정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530)은 상기 캐리어의 하부벽과 상기 로킹 바아의 작동 아암 사이에 위치설정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은 헬리컬 스프링(530) 또는 리프 스프링(730)인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460)는 측벽(472)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의 일부는 피봇 슬롯(474)을 형성하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벽(464)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로킹 레버의 편평한 기부 단부는 상기 피봇 슬롯내에 작동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 스프링은 상기 로킹 레버의 하측부를 작동식으로 가압하는 리프 스프링(730)이며, 상기 리브 스프링은 상기 피봇 슬롯을 작동식으로 폐쇄하는 연장부(736)를 구비하는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KR1020050038934A 2004-05-11 2005-05-10 좌석 벨트 시스템의 웨브 가이드용 높이 조절 장치 KR100714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43,121 US7182370B2 (en) 2002-05-13 2004-05-11 Height adjuster or adjustable turning loop
US10/843,121 2004-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026A true KR20060046026A (ko) 2006-05-17
KR100714560B1 KR100714560B1 (ko) 2007-05-07

Family

ID=3493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934A KR100714560B1 (ko) 2004-05-11 2005-05-10 좌석 벨트 시스템의 웨브 가이드용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2370B2 (ko)
EP (1) EP1595757B1 (ko)
JP (1) JP4021451B2 (ko)
KR (1) KR100714560B1 (ko)
CN (1) CN100393556C (ko)
DE (1) DE60200500122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400A (zh) * 2019-01-08 2019-04-02 武汉斐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学校学生考勤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370B2 (en) 2002-05-13 2007-02-27 Key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or adjustable turning loop
US7263750B2 (en) * 2005-06-09 2007-09-04 Amsafe, Inc. Buckle assembly having single release for multiple belt connectors
US20090183348A1 (en) * 2008-01-22 2009-07-23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connector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WO2010037103A1 (en) * 2008-09-29 2010-04-01 Amsafe, Inc. Tensioning apparatuses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7904997B2 (en) 2008-11-07 2011-03-15 Amsafe, Inc. Buckle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1434228B (zh) * 2008-12-19 2011-07-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带固定装置
US8469401B2 (en) 2009-02-23 2013-06-25 Amsafe, Inc. Seat harness pretensioner
CA2719846A1 (en) * 2009-11-02 2011-05-02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Devices for adjusting tension in seat belts and other restraint system webs, and associated methods
US8683666B2 (en) 2009-11-04 2014-04-01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Restraint system buckle components having tactile su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8627554B1 (en) 2010-05-03 2014-01-14 Amsafe, Inc. (Phoenix Group) Buckle assemblies with swivel and dual release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8777323B2 (en) 2010-07-20 2014-07-15 Amsafe, Inc. Restraint harness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D655223S1 (en) 2010-09-15 2012-03-06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Buckle assembly
USD661619S1 (en) 2010-09-15 2012-06-12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Buckle assembly
US9022483B2 (en) 2012-06-07 2015-05-05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Seatbelt buckle tongue assembly
DE102012015126B4 (de) * 2012-08-01 2023-07-06 Zf Automotive Germany Gmbh Höhenversteller
US8523229B1 (en) * 2012-09-12 2013-09-03 Autoliv Asp, Inc. Seatbelt height adjuster assembly
US9277788B2 (en) 2013-02-19 2016-03-08 Amsafe, Inc. Dual release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2958453A4 (en) 2013-02-19 2016-07-27 Amsafe Inc BUCKET ASSEMBLIES WITH LIFTING CLOSUR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DE102013002887A1 (de) 2013-02-19 2014-08-21 Airbus Operations Gmbh Rekonfigurierbare Passagiersitzbank
US9421944B2 (en) * 2014-02-17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seatbelt height adjuster
CN104309570B (zh) * 2014-10-30 2017-01-2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器、安全带装置以及车辆
US9775410B2 (en) 2014-12-16 2017-10-03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s for use with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814282B2 (en) 2016-02-02 2017-11-14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Harsh environment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U2018219223A1 (en) 2017-02-07 2019-08-29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
US10596929B2 (en) * 2017-09-22 2020-03-24 Jodi L. Houin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harness and adjustment mechanism
US10433619B2 (en) * 2018-01-11 2019-10-08 Duraflex Hong Kong Limited Strap adjustment system
US20210289985A1 (en) * 2020-03-17 2021-09-23 Daniel John Wagner Adjustable grill
CN113997900B (zh) * 2021-10-22 2023-11-21 西安伊思灵华泰汽车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的调节结构和汽车座椅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264A (en) * 1976-01-12 1977-08-16 Shumer James E Clamping apparatus
JPS5822359U (ja) * 1981-08-07 1983-02-12 日本精工株式会社 調節可能なシ−トベルト用アンカ−装置
JPS5947558U (ja) * 1982-09-24 1984-03-29 日本精工株式会社 アンカ−取付装置
EP0187225A3 (de) 1984-11-15 1987-12-16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 oder Befestigungsbeschlag
EP0191405A3 (de) 1985-02-15 1988-02-03 Karl Gercken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FR2590855B1 (fr) 1985-12-04 1989-12-22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ispositif de reglage manuel de la position d'un renvoi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DE3733026A1 (de) * 1987-09-30 1989-04-20 Trw Repa Gmbh Vorrichtung zur hoehenverstellung eines sicherheitsgurtbeschlages
DE3737974A1 (de) 1987-11-07 1989-05-18 Autoflug Gmbh Hoehenverstellvorrichtung mit fernbetaetigter entriegelung
US4926722A (en) * 1988-08-19 1990-05-22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Quick-action bar clamp
US5022137A (en) * 1988-08-19 1991-06-11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Method of operating a quick-action bar clamp
GB2230936B (en) 1989-05-05 1993-05-05 Autoliv Kolb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djustable pillar loop assembly
JP2913801B2 (ja) * 1990-09-05 1999-06-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DE4325662A1 (de) * 1993-07-30 1995-02-02 Trw Repa Gmbh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Sicherheitsgurtbeschlages
DE4327820A1 (de) * 1993-08-19 1995-02-23 Autoliv Dev Strammertauglicher hö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DE4435910A1 (de) * 1994-10-07 1996-04-11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US5931502A (en) * 1997-01-15 1999-08-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ng height adjuster
SE521991C2 (sv) * 1999-10-12 2003-12-23 Volvo Lastvagnar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öjdomställning av ett säkerhetsbältes övre fästpunkt
US7004503B2 (en) * 2001-05-01 2006-02-28 Takata-Petri (Ulm) Gmbh Safety belt arrangement in vehicles
US6478334B1 (en) * 2001-08-09 2002-11-1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Energy-absorbing anchor, D-ring, turning loop or web guide
US7182370B2 (en) 2002-05-13 2007-02-27 Key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or adjustable turning loop
JP3907658B2 (ja) * 2002-05-13 2007-04-18 キー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ベルト用高さ調節器
US7021662B2 (en) * 2003-07-31 2006-04-0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houlder belt height adjuster assembly and method
US6997479B2 (en) * 2004-02-03 2006-02-14 Key Safety Systems, Inc. Magnetic adjustable turning lo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400A (zh) * 2019-01-08 2019-04-02 武汉斐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学校学生考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5757A1 (en) 2005-11-16
JP4021451B2 (ja) 2007-12-12
CN1695989A (zh) 2005-11-16
KR100714560B1 (ko) 2007-05-07
US7182370B2 (en) 2007-02-27
DE602005001227T2 (de) 2008-01-24
CN100393556C (zh) 2008-06-11
JP2005324785A (ja) 2005-11-24
US20040207191A1 (en) 2004-10-21
EP1595757B1 (en) 2007-05-30
DE602005001227D1 (de)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560B1 (ko) 좌석 벨트 시스템의 웨브 가이드용 높이 조절 장치
KR100614733B1 (ko)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US7240405B2 (en) Device and methods for adjusting seat belt webbing tension
US6073901A (en) Device for supporting objects
US7506413B2 (en) Web position adjusting device
US10703331B2 (en) Seat mounted adjustable seat belt webbing guide
AU2018219223A1 (en) Web adjuster
US6749223B2 (en) Seat belt guide
JP2596708B2 (ja) 肩掛け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整装置
US20060091666A1 (en) Silent feature for an adjustable turning loop
CA2176426C (en) Seat track apparatus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US6312014B1 (en) Shoulder anchor position adjusting device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US8061675B2 (en) Vehicle seat rotation apparatus
JPH09193717A (ja) 車両用物品キャリア
KR100247680B1 (ko) 차량의안전벨트시스템의편향기구용조정장치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JPH09207708A (ja) アジャスタブルショルダーアンカー
JP2001030876A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ーハイトアジャスタ
JP2576559Y2 (ja) ショルダーベルトアンカー調節装置
JPH0544187Y2 (ko)
JPH0528136Y2 (ko)
JP2002345509A (ja) バックル装置
GB224353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djustable pillar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