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08B1 -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08B1
KR102645408B1 KR1020207020091A KR20207020091A KR102645408B1 KR 102645408 B1 KR102645408 B1 KR 102645408B1 KR 1020207020091 A KR1020207020091 A KR 1020207020091A KR 20207020091 A KR20207020091 A KR 20207020091A KR 102645408 B1 KR102645408 B1 KR 10264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elastomeric
horn
damper unit
support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429A (ko
Inventor
에릭 뮈클레부스트
Original Assignee
비브라코우스티크 포르쉐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브라코우스티크 포르쉐다 아베 filed Critical 비브라코우스티크 포르쉐다 아베
Priority to KR102024700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191A/ko
Publication of KR2020010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on the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F16F3/087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 F16F3/0873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or the material not being 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2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producing means being a constituent part of the system which is to be dam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16F7/1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plastic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1Vibration dampening equipment,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8Inert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08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2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4Sna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4Frequency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2)을 위한 진동 감쇠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이 개시된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는 내부 슬리브(52) 상에 성형되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는 반경 방향 외측 맞물림 표면(75)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77)들을 제공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가요성이 있다. 댐퍼 유닛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휠을 위한 진동 감쇠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이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그러한 댐퍼 유닛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가 또한 개시됨과 아울러,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의 제조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동조 질량 댐퍼들, 동적 댐퍼들 또는 진동 흡수기들이라고도 하는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들의 기능은 진동 구조물로부터의 진동들을 상기 진동들을 감쇠시키는 것과 같이 위상을 벗어난 진동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탄성 댐퍼 요소들을 사용하여 댐퍼가 연결된 구조물 또는 표면에서 반작용하여 진동들을 감소시키는 감쇠 스프링 질량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WO 01/92752 A1, WO 2013/167524 A1 및 WO 2008/127157 A1은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들의 예들을 개시한다.
자동차 산업에서 일부 스티어링 휠들에는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도로 및 엔진으로부터의 진동들로 인한 스티어링 휠 진동들을 줄이기 위해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가 제공된다. 이러한 댐퍼 구조물들에서, 에어백 모듈의 중량은 스프링-질량 시스템에서의 질량체의 일부 중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들에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경적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경적 작동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기계적 유형의 경적 작동 메커니즘들은 일반적으로 경적 작동 메커니즘을 경적 작동 후 경적 작동 메커니즘의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경적 스프링들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나선 스프링들을 포함한다. 경적 스프링들이 없는 전자 경적 작동 메커니즘들도 제공된다.
EP 2 085 290은 볼트 샤프트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에 배치된 탄성 댐퍼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을 위한 선행기술의 진동 감쇠 댐퍼 구조물의 예를 개시한다. 스티어링 휠의 진동은 감쇠 목적을 위해 상기 탄성 댐퍼 요소에 의해 에어백 조립체로 전달된다. 경적 작동 중에 상기 슬라이더가 볼트 샤프트를 따라 활주될 수 있다. 기존의 나선 스프링은 볼트 샤프트 상에 배치되고 경적 작동이 종료될 때 슬라이더를 다시 슬라이더의 원래 위치로 가져오기 위해 경적 작동시 압축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한가지 단점은 전체 구조물의 조립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어서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US 8 985 623 B2에는 스티어링 휠을 위한 대안적인 댐퍼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작동은 위에서 언급한 EP 2 085 290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상기 탄성 요소는 견고한 다중 부분 보호기 구조물 내에 캡슐화된다. 보호기는 축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경적 스프링에 의해 경적 작동 메커니즘의 비-작동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해결수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단점을 지니며, 실제로 보호기 제조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 및 시간을 요구한다.
선행기술의 다른 단점들에는 주파수 동조의 어려움, 주파수 범위 제한, 주파수 동조 유지의 어려움, 및 경적 작동시 원하는 스프링 특성 획득의 어려움이 있다.
위의 내용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의 하나 이상의 단점들을 해결하고, 이를 위해 (i) 스티어링 휠을 위한 진동 감쇠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 (ii) 스티어링 휠에서의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진동 댐퍼 조립체; (iii)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iv)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을 위한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이 제공되며, 댐퍼 유닛은 삽입 단부 및 반대측 후방 단부를 지니며 상기 조립체의 경적 플레이트 내에 제공된 장착 개구부를 통해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와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댐퍼 유닛은,
- 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보어를 지니는 슬리브; 및
-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로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슬리브 및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가 함께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 상에 성형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를 포함하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제공하고,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상기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은 함께 상기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댐퍼 유닛을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에 스냅-록(snap-lock)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를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다.
감쇠 작동 동안, 댐퍼 요소들의 엘라스토머 재료는 진동들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리브형 구성에 의해 획득되는 이점은 감쇠 작동 동안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가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 간 공간들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스프링 상수는 압축된 엘라스토머가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니지 않는 "콤팩트한" 선행기술의 비-리브형 댐퍼 요소들에 비해 더 선형적인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댐퍼 유닛들을 사용하면 타깃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을 목표로 하도록 더 잘 동기되게 되는 동적 스프링 질량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는 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감쇠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리브형 구성에 의해 획득되는 추가 이점은 설계 및 제조 동안 주파수 동조에있어서 유연성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댐퍼 조립체의 감쇠 주파수는 리브들의 개수를 변경하고, 리브들의 원주 방향,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치수들을 변경하고 그리고/또는 리브들 간 공간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주파수 동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두껍거나 얇은 리브들이 사용될 수도 있고, 축 방향으로 길거나 짧은 리브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길거나 짧은 리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가 동조 가능한 주파수 간격은 또한 선행기술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들과 비교하여 리브형 구성을 사용하여 확장 및/또는 이동될 수 있다. 리브 설계를 상이한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감쇠 주파수들을 갖는 댐퍼 유닛들을 설계하는 것이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엘라스토머 리브들 중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는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를 제공한다. 상기 스냅-록 돌출부는 댐퍼 유닛을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로 스냅-록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삽입 절차 동안, 상기 스냅-록 돌출부는 상기 스냅-록 돌출부가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과함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일시 압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내측 이동될 수 있다. 댐퍼 유닛이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로 삽입되면, 엘라스토머 스냅-록 돌출부는 경적 플레이트의 원위 측부 또는 상기 장착 개구부에 고정된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자동 이동 및/또는 확장하게 된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지지 부분은 상기 삽입 부분의 맞물림 표면보다 큰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닌다. 상기 지지 부분의 치수는 상기 지지 부분이 조립 동안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지지 부분은 경적 플레이트에 대한 댐퍼 요소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는, 조립 동안 삽입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최종 조립체에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전형적으로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또는 상기 장착 개구부 내에 배치된 슬리브의 후방 측면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최종 조립체에서, 상기 지지 부분 및 상기 스냅-록 돌출부는 결과적으로 경적 플레이트의 반대편 측면 상에 배치되고 경적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댐퍼 유닛을 고정된 위치로 함께 유지하게 된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지지 부분은 단부들이 댐퍼 유닛의 삽입 부분 또는 원위 단부와 면하고 있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스터드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축 주위에 360도로 분포된다. 이들은 상기 축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이들은 상기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 즉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다. 조립 동안,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면하는 상기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지지 스터드들 및 경적 플레이트 간의 이러한 접촉은 상기 시스템의 모든 작동 동안, 즉 진동 감쇠 동안 및 경적 작동 동안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 스터드들 및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간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지지 스터드들은 진동 감쇠 작동에 응답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상에 개별적이고 횡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는 지지 스터드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설계의 특유한 이점은 (실질적으로 경적 플레이트의 반대 측면 상에서만 생기는) 진동 감쇠 효과가 경적 플레이트 및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간 계면(interface) 또는 후방 측면 상의 접촉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덜 받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이 시계 방향 3시 ↔ 9시에서 전후 수평으로 진동하는 경우, 3시 및 9시에 위치하거나 3시 및 9시 근처에 위치한 지지 스터드들이 수평으로 유연성이 있는데, 이러한 유연성은 진동 감쇠 기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스티어링 휠의 중심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12시 및 6시의 위치에 있는 지지 스터드들은 또한 수평으로 유연성이 있는데, 이러한 유연성은 진동 감쇠 기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른 지지 스터드들은 부분적으로는 반경 방향으로 부분적으로는 원주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게 된다.
일부 실시 예, 특히 댐퍼 유닛이 경적 플레이트의 축 방향 이동에 의존하는 기계적 경적 작동 메커니즘을 지니는 스티어링 휠을 위한 진동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들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스터드들은 제1 세트의 제1 지지 스터드들을 형성하며, 제1 세트의 제1 지지 스터드들 각각은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면하는 원위 단부를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더 제공하며, 각각의 제2 지지 스터드는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면하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지니며, 상기 제1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들은 상기 제2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들보다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축 방향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복수 개의 이러한 제2 지지 스터드들이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지지 스터드들 및 상기 제2 지지 스터드들은 상이한 높이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획득되는 이점은 2개의 바람직하지만 외견상 양립하지 않는 속성, 다시 말하면 하나의 속성은 진동 감쇠에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속성은 경적 작동에 관련된 것인 2개의 바람직하지만 외견상 양립하지 않는 속성이 동일한 하나의 댐퍼 유닛에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진동 감쇠와 관련하여, 진동 감쇠 작동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재료와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간에 유연성 계면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적 활성화와 관련하여, 운전자가 경적 패드를 누를 때 가능한 한 빨리 경적 스프링 압축을 개시하기 위해 견고한 계면이 바람직하다. 경적 플레이트가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 상에 엘라스토머 결과적으로는 압축성 재료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경적 작동 동안 경적 스프링이 나중에 압축되지 않을 위험이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엘라스토머 재료가 경적 스프링에 힘이 전달되기 전에 경적 작동시 먼저 축 방향으로 압축되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경적 패드가 압축될 때 바람직하지 않은 가변 스프링 상수를 제공하게 되고, 여기서 경적 스프링은 경적 플레이트의 초기 이동 동안 압축되지 않는다. 이러한 "딜레마(dilemma)"는 제1 및 제2 지지 스터드들을 지니고, 경적 플레이트의 이동 동안 그의 속성을 변화시키는 "동적" 지지 계면을 생성는 설계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경적 작동 전에, 제1 지지 스터드들은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지만, 제2 지지 스터드들은 축 방향 갭 만큼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축 방향 갭의 크기 Δ는 일 예로 1 밀리미터 또는 수 밀리미터 정도일 수 있다. 다른 크기들이 가능하다. 운전자가 경적 작동 패드를 눌러 이제 막 경적 작동을 개시하면 경적 플레이트가 이동하게 되고, 제1 지지 스터드들이 압축되게 된다. 이러한 압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제1 지지 스터드들이 비교적 전체적으로 제한된 단면 치수 또는 강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세트의 제1 지지 스터드들의 총 "스프링 상수"는 바람직하게는 경적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경적 스프링의 압축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제1 지지 스터드들이 제1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이 제2 세트의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정도까지 Δ 정도만큼 축 방향으로 압축되었으면, 경적 스프링의 후방 측면은 제1 지지 스터드들 및 이제 또한 제2 지지 스터드들 양자 모두와 접촉하게 된다. 이제 갭 Δ는 제거된다. 따라서, 제1 세트의지지 스터드들에 대해 작은 치수들을 선택하는 것은 유연성이 있는 계면을 보장하고 경적 작동의 초기 단계 동안 신속한 축 방향 압축을 보장하는 이점을 지닌다. 제2 지지 스터드들과 경적 플레이트 간 축 방향 갭 Δ가 제거되었을 때, 조합을 이루는 모든 제1 및 제2 지지 스터드들의 총 축 방향 강도 또는 총 스프링 상수는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경적 작동 패드를 누를 때 경적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충분히 크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세트의 지지 스터드들의 총 축 방향 스프링 상수가 각각 k1 및 k2이고, 경적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k3일 경우, 상기 지지 스터드들은 바람직하게는 갭 Δ가 제거되었을 때 경적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지지 스터드들로부터의 조합된 힘이 k3에 의해 제공된 사전 압축 경적 스프링 힘보다 크게 됨을 보장하기 위해 k1 + k2 > k3이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경적 작동이 존재하지 않을 때 계면을 가능한 한 유연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k1 < k2 또는 k1 << k2이다. 그러나 k1 및 k2 간의 다른 관계들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 스터드들의 강도 또는 압축은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스터드들은 제1 지지 스터드들보다 댐퍼의 축을 가로지르는 더 큰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스터드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 지지 스터드들과 원주 방향으로 인터레이스되어 제1 지지 스터드들로부터 이격된 제2 세트의 복수 개의 제2 지지 스터드들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예를 들어 댐퍼 유닛의 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 링 형태를 이루는 단일의 제2 지지 스터드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경적 스프링은 경적 작동 전에 사전 압축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댐퍼 유닛의 슬리브는 스티어링 휠의 경적 작동시 슬라이더의 중심 보어 내에 수용된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축의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이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엘라스토머 진동 댐퍼 요소는 슬라이더의 제1 부분 상에 성형 될 수 있고, 댐퍼 유닛은 경적 스프링 부분 및 서로 일체로 성형된 부착 부분을 지니는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적 스프링 요소의 부착 부분은 슬라이더의 제2 부분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경적 스프링 부분은 스티어링 휠 상에서의 경적 작동 전에 그리고 스티어링 휠 상에서의 경적 작동시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더 상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퍼 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을 포함하는 실시 예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 제조, 관리 및 조립할 부품들의 개수가 줄어들게 된다. 조립 동안, 댐퍼 유닛에는 이미 성형된 경적 스프링 요소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경적 스프링이 댐퍼 유닛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이미 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립 중에 별도의 경적 스프링이 핸들링될 필요가 없다. 기계식 경적 스프링 메커니즘은 슬라이더를 가이드 샤프트 상에 장착할 때 직접 그리고 자동으로 획득된다.
- 경적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에 의해 베이스 구조물에 신속하게 그리고 쉽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댐퍼 유닛은 - 각각의 댐퍼 유닛을 장착하는 직접적인 결과로서 - 별도의 감쇠 요소 또는 별도의 경적 스프링을 핸들링 또는 조립할 필요 없이 진동 감쇠 기능 및 경적 스프링 기능 양자 모두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 하나의 단일 성형 단계에서 댐퍼 요소 상에 서로와 일체를 이루어 댐퍼 요소 및 경적 스프링 요소를 성형함으로써 다기능 단일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 슬라이더,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및 경적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 - 통합된 댐퍼 유닛은 각각 슬라이더 기능, 진동 감쇠 기능 및 경적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 슬라이더 상에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 요소를 성형함으로써, 경적 스프링을 제조하는 것과 경적 스프링을 하나의 단일 성형 작업으로 슬라이더에 본딩하는 것 양자 모두가 가능하다.
- 슬라이더 상에 경적 스프링 요소를 성형함으로써, 경적 스프링을 별도로 정렬하거나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종 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댐퍼 유닛은 또한 기존의 금속 나선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경적 스프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댐퍼 유닛들이 기계적 경적 작동 대신에 전자 경적 작동을 지니는 스티어링 휠을 위한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되는 경우, 댐퍼 유닛들은 동적 진동 감쇠 효과를 획득하도록 단지 엘라스토머 요소들을 통해 경적 플레이트를 베이스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해 경적 스프링들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댐퍼 유닛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서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고 감쇠될 진동들을 제공하는 베이스 구조물;
경적 플레이트;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 - 각각의 댐퍼 유닛은 경적 플레이트의 관련 장착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댐퍼 유닛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이 상기 진동들을 전달하기 위해 경적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함 -;
하나 이상의 가이드 샤프트들 -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는 베이스 구조물에 고정되고 관련 댐퍼 유닛의 슬리브의 중심 보어 내에 수용됨 -; 및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질량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댐퍼 유닛들의 댐퍼 요소들을 통해 베이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질량체;
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요소 및 상기 질량체는 상기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동적 댐퍼를 형성하는 주파수 동조 스프링 질량 시스템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적 경적 작동 기능을 지니는 댐퍼 조립체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각각의 댐퍼 유닛의 엘라스토머 댐퍼 조립체의 원위 부분은 경적 위치의 장착 개구부를 넘어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경적 작동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경적 패드를 누를 때, 경적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경적 스프링들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운전자가 이후 경적 패드를 해제하면 경적 플레이트는 경적 스프링에 의해 경적 플레이트의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이점은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를 넘어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댐퍼 요소의 엘라스토머 원위 부분이 경적 플레이트의 복귀 이동 동안 엘라스토머 정지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적 작동시, 댐퍼 요소의 원위 부분이 볼트 헤드에서 멀리 이동될 수 있다. 경적 패드가 해제되면 경적 스프링들은 경적 플레이트를 경적 플레이트의 원래 위치로 다시 밀어 넣어지게 한다. 복귀 이동 동안, 댐퍼 요소의 엘라스토머 원위 부분은 볼트 헤드와 맞물리게 되어 복귀 이동을 위한 "소프트" 감쇠 정지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을 위한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되는 댐퍼 유닛들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들은 주파수 동조 감쇠 작동에서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는 진동들을 전달하는 것, 및 축 방향으로 안내되는 경적 메커니즘 복귀 이동을 감쇠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다수의 기능을 지닐 수 있다.
이 때문에,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서의 에어백 조립체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별도의 자중(dead weight)을 사용하기 위해 동적 스프링 질량 시스템의 동적 감쇠 기능을 위한 질량체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적 플레이트 및 경적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추가 구성요소들의 중량은 또한 진동 질량체의 총 중량에 기여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진동 감쇠 작동에 관여하는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일부는 댐퍼 유닛이 경적 플레이트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 결과로서 사전 압축된다.
댐퍼 유닛의 삽입 및 장착의 결과로서, 댐퍼 유닛의 외부 맞물림 표면은 진동들을 전달하기 위해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의 내부 맞물림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내부 맞물림 표면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 경적 플레이트에 의해서나 또는 경적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거나 성형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적 플레이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는 예를 들어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경적 플레이트 상에 성형된 슬리브일 수 있다.
진동-감쇠 댐퍼 조립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댐퍼 유닛을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댐퍼 유닛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댐퍼 유닛들은 상이한 방향으로 진동들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진동 방향을 위해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을 사용하고, 제2 진동 방향을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댐퍼 유닛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댐퍼 유닛이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진동들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댐퍼 유닛을 설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댐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 제1 부분 상에,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삽입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지니는 엘라스토머 진동 댐퍼 요소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리브들은 함께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축을 가로 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서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을 사용하는 단계 - 각각의 댐퍼 유닛은 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보어를 지니는 슬리브, 및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 측면 상에 성형되는 엘라스토머 진동 댐퍼 요소를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슬리브 및 댐퍼 요소가 통합된 구조물을 함께 형성하게 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진동 댐퍼 요소는,
- 삽입 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들, 및 상기 스냅-록 돌출부들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님 -; 및
-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
을 포함함 -; 및
각각의 댐퍼 유닛을 상기 댐퍼 유닛의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경적 플레이트의 관련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댐퍼 유닛은 최종 삽입 위치에 도달 할 때까지 상기 장착 개구 내에 삽입됨 -;
를 포함하고,
-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고,
- 경적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댐퍼 유닛의 스냅-록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냅-록 돌출부가 삽입되며,
-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이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축 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특유한 특징들은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및 슬라이더/슬리브가 조립 동안에만 경적 플레이트의 일 측면으로부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로 함께 삽입되고, 엘라스토머 맞물림 표면이 장착 개구부의 내측 맞물림 표면과 맞물릴 정도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스냅-록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원위 부분이 장착 개구부의 내부 맞물림 표면 너머로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1 이점은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및 슬라이더가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로 함께 삽입되고 조립 동안에만 경적 플레이트의 일 측면으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구성 요소들의 조립이 짧은 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및 슬라이더는 경적 플레이트의 상기 일 측면으로부터 조립될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한다.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2 이점은 댐퍼 유닛이 장착 플레이트에 쉽게 스냅-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댐퍼 유닛은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하나 이상의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들이 장착 개구부의 원위 축 방향 에지 상으로 돌출되는 정도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삽입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스냅-락 돌출부들에 의해 경적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삽입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의 정확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록 돌출부들이 엘라스토머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고, 결과적으로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록 돌출부들은 장착 개구부를 통과하기 위해 삽입 단계 동안 일시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압축 및/또는 만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적 플레이트의 반대 측면에서 별도의 잠금 요소를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시간과 제조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거나 또는 청구항들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댐퍼 유닛들의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예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유닛들은 리브들, 지지 스터드들, 일체화된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리브들을 지니지 않지만 대신에 연속적인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지니는 설계와 같은 다른 설계들도 가능하다.
전문 용어
본 개시내용에서, 엘라스토머 요소가 슬리브 또는 슬라이더 상에 "성형된" 것으로 언급된 경우, 관련 요소가 먼저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성형 세부사항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로, "성형된"이라는 표현은 관련 요소가 예컨대 개별적으로 만들어져서 별도의 부품으로서 상기 조립체에 장착된 기존의 금속 나선 스프링의 형태로 개별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선행기술의 해결 수법들과는 대조적으로 슬리브 또는 슬라이더 상에 직접 생성/성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엘라스토머 재료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슬라이더"라는 용어는 경적 작동 동안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활주하도록 배치된 요소를 언급할 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경적 작동 메커니즘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슬라이더"라는 용어는 또한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장착되지만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활주하지 않도록 장착되도록 배치된 슬리브를 언급할 수 있다. 이는 경적 플레이트가 경적 작동 동안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부분에 전자 경적 작동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는"이라는 표현은 댐퍼 유닛을 위한 장착 개구부 주위에서 경적 플레이트에 고정된 슬리브와의 직접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경적 플레이트와 직접적인 접촉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본딩" 또는 "본딩된"이라는 용어들은 관련 요소와 슬리브 또는 슬라이더 간의 연결 또는 부착으로서 관련 요소가 슬리브 또는 슬라이더로부터 떨어지거나 쉽게 제거됨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딩"이라는 용어는 조립 관점에서 댐퍼 유닛의 필수 부분으로서의 관련 요소가 슬라이더 상의 관련 요소의 의도된 위치에서 본드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부착 또는 연결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어떠한 기계적 본딩 또는 부착 없이 가이드 샤프트가 수용되는 중심 보어를 지니는 원통형 댐퍼 요소와 같은 요소가 슬라이더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거나 슬라이더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실시 예들에서, 비록 슬라이더에 대한 반경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지만, 상기 요소는 슬라이더에 "본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 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기계적 본딩되어 있는" 또는 "기계적 본딩"은 "화학적 본딩"에 대한 변형 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기계적 본딩은 관련 요소가 슬라이더에 비-화학적으로 부착되어, 관련 요소가 슬라이더 상의 관련 요소의 의도된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됨을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화학적으로 본딩되어 있는", "화학적 본딩", "부착" 바인딩 또는 "부착" 등과 같은 표현들은 기계적 본딩에 대한 변형 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화학적 본딩은 분자들 간의 본딩으로 간주 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계적 및 화학적 본딩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학적 본딩은 접착제보다는 부착 본딩일 수 있다. 성형 동안 화학적 본딩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화학적 본딩은 유사 또는 관련 폴리머들 간의 부착 본딩을 이용하는 오버몰딩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용어 "스냅-로킹(snap-locking)" 등은 댐퍼 유닛이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개구부에 삽입된 결과로서 로킹 기능이 초래되는 로킹 메커니즘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용어는 삽입 동안 반드시 발생하는 별개의 "스냅"이 아니라 오히려 스냅-록 돌출부의 점진적인 팽창/이동이 있는 실시 예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 비-제한적인 일부 바람직한 실시 예들, 및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이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b는 진동 감쇠 조립체의 주요 부분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진동 감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b의 조립체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b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7은 도 2의 조립체에 장착된 댐퍼 유닛을 더 큰 축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댐퍼 유닛의 제1 실시 예의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댐퍼 유닛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의 통합된 엘라스토머 몸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댐퍼 유닛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댐퍼 유닛의 제3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댐퍼 유닛의 제4 실시 예의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의 통합된 엘라스토머 몸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사용하는 조립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들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혼 기동(horn activation)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의 통합된 엘라스토머 몸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f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사용하는 조립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사용하는 변형적인 조립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5 실시 예의 혼 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혼 기동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추가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댐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동적 댐퍼라고도 언급되는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댐퍼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같은 진동 구성요소와 같은 진동 표면 또는 구조물에서 진동들을 감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동적 진동 댐퍼는 진동 본체로서 작용하는 질량체 및 적어도 탄성 댐퍼 요소를 포함한다. 질량체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댐퍼 요소는 함께 감쇠 스프링-질량 시스템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중간 구성요소에 의해 진동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질량체의 중량, 및 탄성 감쇠 요소의 강도 및 감쇠는 진동 구조물에 대한 감쇠 효과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사전에 결정된 타깃 주파수들에서 진동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진동 구조물이 타깃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질량체는 구조물과 동일한 주파수에서 진동/공진하게 되지만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진동/공진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구조물의 진동이 실질적으로 감쇠하게 된다. 질량체는 진동 구조물의 진동 진폭보다 실질적으로 큰 진폭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배치된 동적 댐퍼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 예
도 1a는 자동차(4)의 스티어링 휠(2)을 보여준다. 도로 및 엔진으로부터의 진동들은 스티어링 휠(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 진동들은 상-하 및 좌-우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에 수직일 수 있다. 스티어링 휠(2)에는 진동 감쇠 조립체(6)가 제공되는데, 진동 감쇠 조립체(6)는 스티어링 휠(2) 내부에 점선 박스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스티어링 휠 진동들 중 적어도 일부를 동적으로 감쇠시키도록 구성된다.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2)에는 또한 차량(4)의 경적(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키기 위한 경적 작동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경적 작동 패드(8)는 경적 작동시 운전자에 의해 눌려지도록 스티어링 휠(2)의 중심에 배치된다. 운전자가 경적 작동 패드(8)를 해제할 때, 경적 작동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경적 스프링들에 의해 경적 작동 메커니즘의 비-작동 또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경적 작동 메커니즘은 기계적 유형이다. 경적 스프링들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설계의 경적 작동 메커니즘도 존재한다.
또한, 에어백 조립체는 경적 작동 패드(8) 아래에서 스티어링 휠(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b는 에어백 조립체의 가스 생성기의 일부(10)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조립체의 중량은 진동 감쇠 스프링 질량 시스템에서 사용된 질량체의 총 중량의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된다. 이에 의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별도의 자중(dead weight)의 사용이 회피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2) 내측의 진동-감쇠 조립체(6)는 스티어링 휠(2)에 고정된 베이스 구조물 또는 아마추어(12) 상에 배치되어 스티어링 휠(2)에 고정된 베이스 구조물 또는 아마추어(1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2)의 진동들은 또한 스티어링 칼럼에 수직인 도 7에서 진동들(V)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구조물(12)에도 존재한다. 진동 감쇠 조립체(6)는 가스 생성기 및 에어백을 포함하여 에어백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적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경적 플레이트(14)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선택적으로 상부 커버(16) 및 하부 커버(18)를 포함하는, 경적 플레이트(14) 상에 성형된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플라스틱 커버가 제공된다. 경적 플레이트(14)에는 3개의 개구부가 제공되며, 각각의 개구부는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댐퍼 유닛(4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원통형 슬리브(20)는 경적 플레이트(14)의 각각의 개구부 주위에 배치되고 경적 플레이트(14)의 면 상으로 연장된다. 슬리브(20)는 플라스틱 커버(16, 18)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경적 플레이트(14)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슬리브(2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구조물(12)은 경적 플레이트(14)를 향해 돌출해 있는 3개의 지지 부분(13)을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 부분에는 나사 처리된 볼트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별도의 브래킷(22)는 상기 지지 부분(13) 상에 지지된다. 상기 브래킷(22)은 각각의 지지 부분(13)과 정렬된 관통 개구부 또는 장착 개구부(24)를 지닌다. 각각의 장착 개구부(24)에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22)은 경적 플레이트(14)에 면하는 경적 스프링 지지 표면(26)을 제공하고, 반대 측면 상에 베이스 지지 부분(12)에 면하는 브래킷 지지 표면(28)을 제공한다. 조립된 상태(도 7)에서, 상기 브래킷(22)은 상기 지지 부분(13)에 의해 브래킷 지지 표면(28)에서 지지된다.
상기 브래킷(22)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다-기능 브래킷이며, 특히 여기서는 경적 플레이트(14)를 향해 돌출해 있고 경적 플레이트(14)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대응되는 접촉 패드들(15)과 정렬되는 4개의 접촉 스터드(30)의 형태로 스티어링 휠(2)의 경적 스위치 메커니즘의 일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터드들(30) 및 접촉 패드들(15)은 일반적으로 서로 거리(D)를 두고 위치한다. 경적 작동시, 경적 플레이트(14)는 접촉 패드들(15) 및 접촉 스터드들(30)이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맞물리고 동시에 경적 플레이트(14)에 대한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브래킷(22)을 향해 눌려진다. 예시적인 예로서, 거리(D)는 수 밀리미터 정도일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가 고정된 경적 플레이트(14)는 3개의 댐퍼 유닛(40)을 통해 베이스 구조물(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비록 본원 명세서에서 이러한 유닛이 "댐퍼 유닛"이라고 언급되고 있지만, 댐퍼 유닛(40)이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진동 감쇠 기능 및 별도의 경적 스프링 기능 양자 모두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댐퍼 유닛(14)은 적어도 경적 플레이트(14) 및 에어백 조립체에 의해 대표되는 질량체가 (i) 진동 감쇠 목적을 위해 댐퍼 유닛(40)의 축(A)에 수직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ii) 경적 작동 목적을 위해 주축(A)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a 내지 도 8d, 도 9a 내지도 9d, 및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댐퍼 유닛(40)의 제1 실시 예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댐퍼 유닛(40)은 슬라이더(50), 댐퍼 요소(7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50), 댐퍼 요소(70) 및 스프링 요소(90)는 하나의 유닛(40)으로 함께 본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이들 3개의 구성요소가 베이스 구조물(12) 및 경적 플레이트(14)에 연결될 준비가 된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구성요소들(50, 70, 90)은 이들이 서로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화학적으로 함께 본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슬라이더(50)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준다. 슬라이더(50)는 적절한 합성수지 재료와 같은 비교적 견고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계적 유형의 경적 작동 구조물에서, 슬라이더는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경적 작동시 가이드 샤프트 상에서 활주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더(50)는 가이드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보어(54)를 형성하는 관형 요소(52),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6)를 포함한다. 플랜지(56)는 관형 요소(52)를 플랜지(56)의 일 측 상의 제1 관형 부분(58), 및 플랜지(56)의 축 방향 반대 측 상의 제2 관형 부분(60)으로 분할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관형 부분(58)은 제2 관형 부분(60)보다 길다. 플랜지(56)는 여기서 댐퍼 요소(4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를 함께 슬라이더(50)에 기계적으로 본딩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축 방향 배향된 관통 구멍들(62)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로킹 개구부를 제공한다. 플랜지(56)는 또한 경적 스프링 요소(90)로부터 스프링 힘을 흡수하고, 슬라이더(50) 및 댐퍼 요소(70) 간 축 방향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부터 제1 실시 예의 완전한 댐퍼 유닛(40)을 보여주는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한다. 탄성 댐퍼 요소(70)는 제1 슬라이더 부분(58) 상에 배치된다. 탄성 댐퍼 요소(70)는 동적 댐퍼에서 탄성 스프링 요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된다. 댐퍼 요소(70)는 베이스 구조물(12) 및 스트리어링 휠(2)의 진동들(V)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동적 진동 댐퍼를 형성하는 스프링-질량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에어백 모듈 및 경적 플레이트(14)에 의해 표현되는 질량체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댐퍼 요소(70)는 플랜지(56)로부터 멀리 면하는 원위 단부(71), 플랜지(56)를 향해 면하는 근위 단부(72), 및 외부 맞물림 표면(75)을 지니는 일반적인 원통형 형상을 지닌다.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적인 예로서, 댐퍼 요소의 축 방향 길이는 7mm 정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진동-감쇠 조립체에서, 각각의 댐퍼 요소(70)의 외측 맞물림 표면(75)은 경적 플레이트(14)에 진동들을 전달하기 위해 경적 플레이트 상의 관련 슬리브(20)의 내측 맞물림 표면(21)과 맞물린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댐퍼 요소(70)의 축 방향 길이는 본질적으로 제1 슬라이더 부분(58)의 축 방향 길이에 대응되지만 제1 슬라이더 부분(58)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축 방향으로 짧은 거리로 연장된다. 댐퍼 요소(70)의 근위 단부(72)는 플랜지(56)와 접촉한다. 댐퍼 요소(70)의 원위 단부(71)는 방사상 외측 연장 링-형 스냅-록 돌출부(73)를 형성하기 위해 증가된 외부 직경을 지닌다. 댐퍼 요소(70)의 근위 단부(72)는 훨씬 큰 직경을 지니며 상기 조립체(6)의 경적 플레이트(14) 아래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근위 단부(7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유로 링-형 그루브(76)에 의해 형성된 상방 안내 지지 링(74)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제1 실시 예에서, 댐퍼 요소(70)는 댐퍼 유닛(40)의 축(A)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고 사이에 공간들(78)을 한정하는 복수 개의 축 방향 연장 리브들(77)(도 9d)로 분할된다. 리브들(77)의 방사상 외측 표면들은 댐퍼 요소(70)의 외측 맞물림 표면(75)을 함께 형성한다. 리브들(77) 및 공간들(78)에 의해 획득되는 작동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댐퍼 요소(40)는 연속적인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는 원주 방향으로 중단되지 않는 실린더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
댐퍼 유닛(40)의 경적 스프링 요소(90)는 슬라이더(50)의 제2 부분,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제2 관형 부분(60) 상의 플랜지(56)의 축 방향 반대 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플랜지(56)의 부분 상에 배치된다. 경적 스프링 요소(90)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되고 경적 스프링 부분(94) 및 부착 부분(92)(도 9C)을 포함하며, 이들은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서로 일체로 성형 된다. 경적 스프링 요소(90)의 성형 동안, 경적 스프링 요소(90)가 제조될 때 슬라이더(50)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도록 적어도 부착 부분(92)이 슬라이더(50) 상에 성형 된다.
도 9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경적 스프링 요소(90)의 부착 부분(92)은 슬라이더(50)의 짧은 관형 부분(60)과 접촉하는 하나의 레그 및 플랜지(56)와 접촉하는 하나의 레그를 지니는 L-자형 단면을 지닌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짧은 관형 부분(60)이 생략되고 부착 부분(92)이 플랜지(56)에만 맞물릴 수 있다.
경적 스프링 요소(90)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재료는 요구되는 스프링 상수에 따라 조준된 경적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엘라스토머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댐퍼 요소(4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를 성형하기 위해 동일한 엘라스토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시된 제1 실시 예에서, 경적 스프링 부분(94)은 축(A)의 방향으로 스프링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벨로우(bellow)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 예들은 벨로우 형상 설계에서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것보다는 오히려 압축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거나 압축에만 의존하는 상이한 스프링 설계를 지닐 수 있다. 스프링 상수는 상기 재료, 축 방향 길이, 직경, 벽 두께 및 벨로우-설계(각도 등)과 같은 경적 스프링 부분(94)의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들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들 및/또는 별도의 스프링 레그들을 제공하는 "붕괴된(broken)" 설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스프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동조 옵션을 제공한다.
최종 진동-감쇠 조립체(6)에서, 성형된 경적 스프링 부분(94)은 축(A) 방향의 경적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슬라이더(50) 및 댐퍼 요소(40)를 통해 경적 플레이트(14) 상에 스프링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경적 작동이 종료될 때 경적 플레이트(14)를 복귀시키기 위해 스프링 힘이 존재하게 된다. 경적 스프링 부분(94)의 사전 압축으로 인해, 스프링 힘은 또한 비-작동 상태의 바이어싱 스프링 힘으로서 존재한다. 이에 의해 획득되는 이점은 운전자가 경적을 작동함에 따라 경적 스프링에 의해 생성된 스프링 힘이 조기에 이용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된 제1 실시 예에서, 경적 스프링 요소(90)는 금속 나선 스프링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고, 조립 동안 이러한 별도의 금속 나선 스프링을 슬라이더와 관련하여 부착 및/또는 정렬할 필요가 없도록 슬라이더(50) 상에 직접 성형된다. 현재, 오버몰딩은 바람직한 성형 방법으로 간주되지만, 슬라이더(50) 및 엘라스토머 구성요소들 양자 모두가 하나의 단일 2K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2K 사출 성형과 같은 다른 기법들도 고려될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댐퍼 요소(7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에 대해 상이한 성형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경적 스프링 요소(90)는 슬라이더(50) 상에 성형될 뿐만아니라 슬라이더(50)에 본딩된다. 상기 본딩은 기계적 본딩(마찰 본딩을 포함함) 및/또는 화학적 본딩일 수 있다.
예시된 제1 실시 예에서, 경적 스프링 요소(90)는 슬라이더(50) 상의 예시된 위치에 경적 스프링 요소(90)를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더(50)에 기계적으로 본딩된다. 이는 경적 스프링 요소(90)와 일체로 성형되고 플랜지(56)의 로킹 개구부들(62)과의 로킹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로킹 요소들(100)에 의해 달성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댐퍼 요소(40)는 또한 댐퍼 요소(40)를 슬라이더(50) 상의 예시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더(50)에 기계적으로 본딩된다. 이는 또한 로킹 요소들(100)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동일한 로킹 요소들(100)은 경적 스프링 요소(90)와 댐퍼 요소(40) 양자 모두를 본딩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그럼으로써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 요소(90),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0) 및 로킹 요소(100)가 하나의 통합된 몸체로서 함께 성형되고, 관통 개구부들(62)에 의해 슬라이더(50)에 기계적으로 본딩된다. 설명의 목적으로만, 이러한 통합된 엘라스토머 몸체(70, 90, 100)가 도 10a 및 10b에서 슬라이더(50) 없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요소들(70, 90)과 슬라이더(50)의 관형 부분들 사이에는 마찰 본딩이 또한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댐퍼 요소(4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부착제에 의해 슬라이더(50)에 화학적으로 본딩될 수 있다. 댐퍼 요소(40) 및 경적 스프링 요소(9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대해 도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계적 본딩, 및 화학적 부착 양자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화학적 부착은 성형 동안 구현될 수 있다. 마찰 본딩에만 또는 마찰 본딩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마찰 본딩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사후-성형 수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댐퍼 유닛(40)을 사용하여 진동-감쇠 조립체(6)를 조립하는 방법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단계들의 시퀀스 또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계로서, 브래킷(22)은 베이스 구조물(12)의 지지 부분(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계로서,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하는 리브형 댐퍼 요소(70) 및 슬라이더(50)를 포함하는 각각의 댐퍼 유닛(40)은 도 2의 하부로부터 경적 플레이트(14)의 관련 장착 개구부(2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각각의 댐퍼 유닛(40)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 및 슬라이더(50)가 하나의 유닛으로서 그리고 경적 플레이트(14)의 일 측면만으로부터 함께 삽입된다는 것이다. 댐퍼 요소(70)의 삽입 동안, 상기 댐퍼 요소(70)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75)은 대응되는 슬리브(20)의 내측 맞물림 표면(21)과 맞물리게 되고, 그럼으로써 스티어링 휠 진동(V)이 댐퍼 요소(70)로부터 경적 플레이트(14)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경 치수들은 댐퍼 요소(70)가 슬라이더(50)와 슬리브(20)의 내부 맞물림 표면(21) 사이에서 어느 정도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선택된다.
댐퍼 요소(70)의 삽입 동안, 댐퍼 요소(7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 링(74)은 최종 삽입 위치를 한정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적 플레이트(14)의 바닥면과 맞물리게 된다. 댐퍼 요소(70)의 삽입 동안, 댐퍼 요소(70)의 상부 스냅-록 돌출부(73)는 슬리브(20)를 통과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압축될 것이다. 최종 위치에서, 스냅-록 돌출부(73)는 슬리브(20)의 상부 에지 위로 연장되게 된다. 이에 의해, 지지 링(74) 및 스냅-록 돌출부(73)는 함께 댐퍼 요소(70)가 경적 플레이트(1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정확하게 배치/로킹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별도의 로킹 요소들이 필요하지 않으며, 축 방향 로킹은 댐퍼 유닛의 일 측 삽입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유념할 점은 이러한 제1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의 축 방향 원위 부분이 슬리브(20)의 원위 에지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는 것이다.
댐퍼 요소들(70)이 경적 플레이트(14) 내에 정확하게 배치되었을 때, 볼트(120)는 각각의 슬라이더(50)의 보어(5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볼트(120)는 볼트 헤드(126), 원통형 가이드 샤프트(122) 및 나사 처리된 단부(124)를 지닌다. 슬라이더(50)의 관형 부분(52)은 가이드 샤프트(122)를 따라 활주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20)는 베이스 구조물(12)의 지지 부분(13)의 볼트 구멍에 고정된다. 각각의 볼트(120)의 최종 체결 동안, 대응되는 경적 스프링 부분(94)의 사전 압축이 획득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경적 스프링 부분은 조립 동안 10mm 내지 7mm로 사전 압축된 후에 경적 작동시 1 또는 수 mm 더 압축될 수 있다. 최종 조립에서, 각각의 경적 스프링 부분(94)의 원위 단부(95)는 브래킷(22)의 관련 경적 스프링 지지 표면(26)과 맞물린다. 최종 조립 상태에서, 볼트 헤드(126)는 엘라스토머 댐퍼 유닛(70)의 상단부(71)와 축 방향으로 맞물리고, 상기 스냅-록 돌출부(73)는 슬리브(20)와 볼트 헤드(126) 사이에서 돌출되어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하겠지만, 댐퍼 유닛(40)을 제조하고 본 발명의 댐퍼 유닛들(40)을 사용하여 진동-감쇠 조립체를 조립하는 개시된 방법은 제조 비용 및 시간 측면뿐만 아니라 품질 측면에서도 실질적인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개별 부품들이 제조, 핸들링 및 조립되어야 하는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댐퍼 유닛(40)에서, 다수의 상이한 구성요소가 종종 경적 플레이트(14)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핸들링되고 조립되어야 하는 선행기술에 비해, 간단한 볼트(120)와 함께 단지 하나의 통합된 댐퍼 유닛(40)만을 사용하여 댐퍼 기능과 경적 스프링 기능 양자 모두를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립체(6)의 경적 작동 메커니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경적 메커니즘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때, 각각의 사전에 압축되거나 바이어스된 경적 스프링 부분(94)은 슬라이더(50)의 플랜지(56)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더(50)를 베이스 구조물(1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벗어나게 한다. 축 방향 스프링 힘은 플랜지(56)를 통해 댐퍼 요소(70)로 전달되고 그리고 지지 링(74)을 통해 경적 플레이트(14)로 전달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볼트(120)가 다음과 같은 다수의 기능을 지닌다는 것이다.
- 볼트(120)는 경적 작동 동안 슬라이더(50)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한 가이드 샤프트(122)를 제공하고;
- 볼트 헤드(126)는 댐퍼 유닛(40)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한 상부 축 방향 정지부를 한정하며; 그리고
- 볼트 헤드(126)는 댐퍼 요소(70)의 상부를 눌러서 경적 플레이트(14)와 관련하여 댐퍼 유닛(40)을 제자리에 로킹시키는데 일조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댐퍼 요소(70)의 원위 단부(71)는 슬리브(20)의 상부 에지를 넘어 짧은 거리로 연장되고, 그럼으로써 댐퍼 유닛(40)의 상부 정지 위치는 댐퍼의 단부(71) 및 볼트 헤드(120) 간 유연한(soft) 맞물림에 의해 한정된다.
경적 작동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2) 상의 경적 패드(8)를 누를 때, 경적 플레이트(14)는 베이스 구조물(12)을 향해 눌려진다. 힘은 댐퍼 요소(40)를 통해 슬라이더(50)로 전달되고, 그럼으로써 이는 도 5의 거리(D)가 0으로 감소되고 경적 스위치(15, 30)가 닫혀질 때까지 경적 스프링 부분(94)을 축 방향으로 더 압축하는 가이드 샤프트(122)를 따라 변위된다. 경적 패드(8) 상의 압력이 해제될 때, 경적 스프링 부분(94)은 경적 플레이트(14)를 경적 플레이트(14)의 정상 위치로 복귀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엘라스토머 단부 부분(71) 및 볼트 헤드(124) 간의 유연한 맞물림은 "유연한" 정지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체(6)의 진동 감쇠 기능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 구조물(12) 및 스티어링 휠(2)에서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 진동(V)(도 7)은 볼트들(120) 및 슬라이더들(50)을 통해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로 전달된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70)는 슬리브들(20)을 통해 스티어링 휠 진동들(V)을 경적 플레이트(14)로 전달함으로써, 질량체(경적 플레이트, 에어백 조립체 및 경적 플레이트(14)에 의해 지지되는 임의의 다른 세부사항의 중량으로 표현됨)가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진동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스티어링 휠(2)의 진동들(V)이 동적으로 감쇠하게 된다. 진동 감쇠 동안, 댐퍼 요소들(70)의 엘라스토머 재료의 반경 방향 압축은 변하게 된다. 댐퍼 요소들의 리브형 설계로 인해, 엘라스토머 재료는 진동 동안 리브들(77) 간 공간들(78)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댐퍼 요소(70)의 스프링 상수 및 댐퍼 압축 간에 바람직한 선형 관계를 제공한다. 엘라스토머 재료의 비-리브형의 일체 실린더에서, 상기 재료는 그러한 "탈출(escape)"을 지니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스프링 상수가 비-선형적이게 하고, 그럼으로써 동적 감쇠 기능이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게 하는데, 그 이유는 타깃 주파수의 매칭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리브형 구성으로 획득되는 또 다른 이점은 설계 및 제조 동안 주파수 동조의 유연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상기 조립체의 감쇠 주파수는 리브들(77)의 개수, 리브들(77)의 원주 방향,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치수들 및 리브들(77) 간의 공간들(78)과 같은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들을 변경시켜 동조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껍거나 얇은 리브들, 축 방향에서 길거나 짧은 리브들, 반경 방향에서 길거나 짧은 리브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댐퍼 요소(70)가 동조 가능한 주파수 간격은 선행기능의 댐퍼 요소들에 비해 리브형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시프트 및/또는 확장될 수 있다.
진동 감쇠 작동 동안, 경적 플레이트(14)는 결과적으로는 특히 경적 플레이트(14)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댐퍼 요소(70)의 하부 또는 근위 부분(72)과 관련하여 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적 플레이트(14)가 그의 후방 측면에서 하부 부분(72)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경적 플레이트(14)의 이러한 반경 방향 이동은 도 7의 참조 번호 74에서 댐퍼 요소(70) 및 경적 플레이트(14)의 하부면 간 계면에서 원하지 않는 마찰 운동 및 실리콘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 및 댐퍼 요소(70)의 하부 부분(72) 간 이러한 직접적인 축 방향 접촉은 부정적인 방식으로 감쇠 기능(동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링형 그루브(76)를 제공하기 위한 이유이다. 이에 의해, 지지 링(74)은 감쇠 동안 경적 플레이트(14)의 좌-우 이동과 함께 도 7에서 좌-우 방향으로 더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경적 플레이트(14)와 댐퍼 요소(70) 간 마찰 운동이 줄어들게 되고, 또한 댐퍼 요소 부분(70)과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 간 접촉으로부터 진동 감쇠가 "감-결합(de-coupling)"을 초래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11a 및 도 11b는 댐퍼 유닛(240)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상기 제1 실시 예에서같이 사용되지만, 200-시리즈로 사용된다. 이전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74) 및 링형 그루브(76)를 지니는 해결수법이 유리할 수 있지만, 여기서 유념할 점은 추가된 이동성이 진동 방향으로만 획득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진동들(V)이 도 7에서 좌-우로 안내되는 경우, 도 7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도시된 지지 링(74)의 부분들은 상기 그루브(76)로 인해 경적 플레이트(12)와 함께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도 7에서 리더(reader)를 향하고 리더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지 링(74) 상의 상이한 원주 방향 위치들에서, 이러한 좌-우 이동은 그루브(76)에 의해 허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요소(270)의 하부 부분(271)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의지지 링(74)은 원주 방향으로 사이에 공간들(279)을 지니는 다수의 개별 지지 스터드들(274)로 분할된다. 링 설계(74)와 비교하여, 개별 지지 스터드들(274)은 모든 반경 방향에서 더 유연성이 있게 된다. 이러한 설계는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는 지지 스터드들(274)이 진동 감쇠 작동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축(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진동 감쇠 동안 경적 플레이트(14)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한다. 이러한 설계는 지지 스터드들(274)이 경적 플레이트(14)의 이동을 더 잘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이동성을 획득하기 위해, 지지 스터드들(274)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 다시 말하면 축(A)에 수직인 모든 방향으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들을 지닐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12a 및 도 12b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한 감쇠 특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프링 유닛(340)의 제3 실시 예를 보여준다. 위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되지만 300-시리즈로 사용된다. 지지 스터드들(374) 및 공간들(376)은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치된다. 제3 실시 예에서, 스프링 유닛(340)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370)는 타원형 또는 타원 구성과 같은 비-원형 구성을 지닌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 댐퍼 요소(370)는 경적 플레이트(14)의 대응되는 비-원형 개구부(321)에 수용된다. 이러한 비-원형 설계에 의해, 상기 조립체는 도 12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동조 주파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
도 15a 내지 도 15c는 댐퍼 유닛(440)의 제4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위에서와 같이 사용되지만 400-시리즈로 사용된다. 댐퍼 유닛(440)의 슬라이더(450)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되어 있다. 댐퍼 유닛(440)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되어 있다. 제조, 선택적인 본딩, 기능, 재료 등에 관한 이전 실시 예들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모든 것은 모든 관련 부분들에서 이러한 제4 실시 예(440)에도 적용된다. 베이스 구조물(12), 브래킷(22) 및 경적 플레이트(14)는 결과적인 댐퍼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퍼 유닛(440)의 댐퍼 요소(470)는 복수 개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들(477)로 분할되고, 이들은 댐퍼 유닛(440)의 축(A)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고 그 사이에 공간들(478)을 한정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리브들의 작동 및 이점들은 이러한 제4 실시 예에도 모든 관련 측면에서 적용될 것이다. 그러나, 댐퍼 유닛(440)의 이러한 제4 실시 예는 일부 추가 특징들을 제시한다.
제4 실시 예에서, 그리고 축(A)의 방향에서 볼 때, 각각의 리브(477)는 리브(477)의 진동 감쇠 부분을 형성하는 근위 리브 부분(477a) 및 진동 감쇠 작용에 주로 관여하지 않는 원위 리브 부분(477b)을 지닌다(도 14a 내지 14c). 근위 리브 부분(477a)은 축(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사상 외측 표면(475)을 지닌다. 리브들(477)의 방사상 외측 표면(475)은 댐퍼 요소(470)의 외측 맞물림 표면을 함께 형성한다. 최종 조립체에서, 근위 리브 부분(477a)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약간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원위 리브 부분(477b)은 제1 실시 예의 스냅 록 돌출부(73)와 유사하게 스냅 로킹 목적을 위해 방사상 외측 연장되는 스냅-록 돌출부(473)를 지닌다. 스냅-록 돌출부(473)는 근위 경사 로킹 표면(473a) 및 원위 경사 삽입 표면(473b)을 제공한다. 또한, 예시된 제4 실시 예에서, 원위 리브 부분(477b)과 슬라이더(450)의 관형 요소(458)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갭(473c)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러한 반경 방향 갭(473c)은 생략될 수 있다.
댐퍼 유닛(440)의 경적 스프링 요소(490)는 슬라이더(450)의 하부 관형 부분(460) 상의 슬라이더 플랜지(456)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다. 경적 요소(90)의 구조물, 제조, 대안, 및 작동에 관한 제1 실시 예에서 위에 기재한 것은 모든 관련 실시형태들에서 이러한 제4 실시 예의 경적 스프링 요소(490)에 적용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경적 스프링 요소(490)는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슬라이더(450) 상에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와 일체로 성형되며, 엘라스토머 로킹 요소들(100)은 슬라이더 플랜지(456)의 개구부들(462)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재료의 일부(101)는 또한 슬라이더 플랜지(456)의 외측 림 외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변형 실시 예들에서, 댐퍼 요소(470) 및 경적 스프링 요소(490)는 로킹 요소(100)에 의해서만 또는 일부(101)에 의해서만 함께 일체로 유지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만, 이러한 통합된 엘라스토머 몸체(470, 490, 100)는 도 14a 및 도 14c에서 슬라이더(450) 없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요소들(470, 490)와 슬라이더(450)의 관형 부분들 간에는 또한 마찰 본딩이 있을 수 있다.
제4 실시 예에서,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c 및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에는 제1 세트의 개별 지지 스터드들(474a) 및 제2 세트의 개별 지지 스터드들(474b)이 제공된다. 제1 세트 내 지지 스터드들(474a)은 제2 세트 내 지지 스터드들(474b)과 비해 Δ 양 만큼 댐퍼 유닛의 원위 삽입 단부에 대해 축 방향으로 약간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Δ 값은 1 또는 수 밀리미터 정도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2개의 세트의 지지 스터드들(474a, 474b)은 원주 방향으로 인터레이스(interlace)된다. 지지 스터드들(474a, 474b)은 축(A)을 가로 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을 지니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슬라이더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지지 스터드들(474b)은 제2 세트 내 지지 스터드들(474b)이 제1 세트 내 지지 스터드들(474a)보다 큰 데, 그 이유는 그들이 축(A)에 수직인 큰 단면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이한 스터드들이 작은 지지 스터드(474a) 및 큰 지지 스터드들(474b)로 언급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은 원형 단면을 지니고 큰 지지 스터드들(474b)은 세장(細長) 단면을 지닌다. 지지 스터드들(474a, 474b)의 설계 및 형상은 상기 예와 다를 수 있다.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은 제2 실시 예의 지지 스터드들(274)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지니는데, 다시 말하면 이들은 지지 스터드들과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 간 접촉 또는 계면이 진동 감쇠를 방해하지 않도록 반경 방향 평면에서 유연성이 있음을 보장한다. 큰 스터드들(474b)의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댐퍼 유닛(440)을 포함하는 진동 댐퍼 조립체(6)(도 16f)를 조립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16a는 경적 플레이트(14)의 3개의 개구부 중 하나 내로 아래로부터 삽입되는 댐퍼 유닛(440)을 보여준다. 이전의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각각의 댐퍼 유닛(440)의 슬라이더(450) 및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는 함께 그리고 경적 플레이트(14)의 일 측면만으로부터 삽입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경적 플레이트(14)의 각각의 개구부에는 슬리브(20)가 제공된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경적 플레이트에 성형된 견고한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비교적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슬리브(20)의 하나의 기능은 댐퍼 요소(470)를 위한 축 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슬리브(20)의 다른 기능은 조립 동안 및 작동 중에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477)의 원위 경사 삽입 표면들(473b)이 댐퍼 유닛(440)을 개구부 내로 안내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를 가압 또는 강제시키는데 일조하도록 슬리브의 내측 반경 방향 치수가 선택된다.
도 16c는 댐퍼 유닛(440)이 슬리브(20)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됨에 따라 리브들(477)의 스냅-록 돌출부(473)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눌려지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러한 반경 방향 이동은 원위 리브 부분들(477b)의 내측 반경 방향 만곡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스냅-록 돌출부(473)의 반경 방향 압축으로 인해 가능할 수 있다.
도 16d는 경적 플레이트(14)에 대한 댐퍼 유닛(440)의 최종 장착 위치를 보여준다. 최종 위치는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이 슬리브(20)의 하부면과 맞물리는 삽입 위치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맞물림은 또한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과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 유닛(440)이 최종 위치에 완전히 삽입되면, 리브들(477)의 스냅-록 돌출부(473)는 도 16d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으로 스냅(snap)된다. 각각의 리브(477)의 근위 경사 로킹 표면(473b)은 이제 댐퍼 유닛(440)을 제자리에 로킹하기 위해 슬리브(20)의 스냅-록 돌출부의 상부면과의 로킹 맞물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댐퍼 유닛(440)은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470)에 의해, 다시 말하면 한편으로는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냅-록 돌출부(473)에 의해 축 방향으로 댐퍼 유닛(440)의 최종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큰 지지 스터드들(474b)이 사용되지 않는다.
제1 실시 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 요소(470)의 삽입 동안, 근위 리브 부분들(477a)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들(475)은 대응되는 슬리브(20)의 내측 맞물림 표면(21)과 맞물리게 되고, 그럼으로써 스티어링 휠 진동들(V)이 댐퍼 요소(470)로부터 경적 플레이트(14)로 전달될 수 있다. 적절한 진동 감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반경 방향 치수들은 바람직하게는 댐퍼 요소(470)가 삽입의 결과로서 슬라이더(450)와 슬리브(20)의 내측 맞물림 표면(21) 간에 어느 정도 반경 방향으로 사전에 압축되도록 선택된다.
댐퍼 요소(470)가 경적 플레이트(14)에 정확하게 배치되었을 때, 볼트(120)는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라이더(450)의 보어(45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볼트(120)는 볼트 헤드(126), 원통형 가이드 샤프트(122) 및 나사 처리된 단부(124)를 지닌다. 슬라이더(450)의 관형 부분(452)은 가이드 샤프트(122)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볼트들(120)은 베이스 구조물(12)의 지지 부분들(13)의 볼트 구멍들 내에 고정된다.
각각의 볼트(120)(도 16f)의 최종 체결 동안, 대응되는 경적 스프링 부분(494)의 사전 압축이 획득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경적 스프링 부분(494)은 조립 동안 10mm 내지 7mm로 사전에 압축된 후에 경적 작동시 1 또는 수 밀리미터 더 압축될 수 있다. 최종 조립체(6)에서, 각각의 경적 스프링 부분(494)의 원위 단부(495)는 브래킷(22)의 관련 경적 스프링 지지 표면(26)과 맞물린다.
도 16f의 배척도(enlarged-scale view)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트(120)의 최종 체결 동안, 볼트 헤드(126)는 리브들(477)의 원위 단부들이 슬라이더(450)의 원위 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룰 때까지 리브들(477)과 맞물리고 축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도 16f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최종 압축은 스냅-록 돌출부들(473) 또는 리브들(477)을 슬리브(20)에 더 단단히 로킹하여 주고 그럼으로써 댐퍼 유닛(440)을 경적 플레이트(14)에 대해 축 방향으로 훨씬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준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러한 최종 압축은 생략될 수 있다.
크고 단단한 지지 스터드들(474b)의 작동은 지금부터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운전자가 경적을 작동시키기 전에(도 17a), 각각의 슬리브(20)의 후방 측면은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만과 접촉하게 되고, 슬리브(20)의 후방 측면과 큰 지지 스터드들(474b) 사이에는 축 방향 갭 Δ이 존재한다.
도 17b는 경적 작동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며, 여기서 운전자는 경적 작동 패드(8)를 누름으로써 경적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경적 플레이트(14)는 이제 축 방향으로 거리 Δ 만큼 이동하게 된다.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은 이들의 비교적 작은 단면 치수로 인해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경적 스프링(494)의 압축은 아직 시작되어 있지 않다.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이 큰 지지 스터드들(474b)과 동일한 축 방향 높이를 지니는 정도로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이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 도 17b의 배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의 후방 측면이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 및 큰 지지 스터드들(474b) 양자 모두와 접촉하게 된다. 이제 거리 Δ 가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세트의 지지 스터드들(474a)에 대해 작은 치수들을 선택하면 유연성 있는 계면을 보장하고 경적 작동시 축 방향 압축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7c는 차후의 경적 작동 단계를 보여준다. 큰 지지 스터드들(474b)을 향한 거리 Δ 가 제거되면, 운전자가 경적 작동 패드(8)를 누를 때 지지 스터드들(474a, 474b) 모두의 전체 축 방향 강도가 이제 경적 스프링 부분(494)이 압축되기에 충분하게 된다. 예시 목적만으로, 도 17c는 경적 플레이트(14)의 이동 및 경적 스프링의 압축을 매우 과장된 척도로 보여준다. 실제로, 이러한 이동은 단지 1 밀리미터 또는 수 밀리미터 정도일 수 있다.
경적 플레이트에 이르기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며 선택적으로는 축 방향 강도가 상이한 지지 스터드들(474a, 474b)을 포함하는 이러한 설계에 의해 획득되는(이러한 설계에서 상이한 높이를 지님으로써 획득되는) 특정한 이점은 2가지의 유리한 특성, 즉 한가지 유리한 특성이 진동 감쇠에 관련된 것과 다른 한가지 유리한 특성이 경적 작동에 관련된 것이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진동 감쇠와 관련하여, 엘라스토머 재료와 경적 플레이트(14) 및 슬리브(20)의 후방 측면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유연한 계면이 바람직하다. 경적 작동과 관련하여, 운전자가 상기 패드(8)를 누를 때 가능한 한 빨리 경적 스프링 압축을 개시하기 위해 동일한 위치에는 축 방향으로 단단한 계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딜레마"는 상이한 지지 스터드들(474a, 474b)을 제공하여, "동적" 지지 계면을 생성함으로써 해결된다.
한편, 경적 작동이 존재하지 않을 때,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은 비교적 유연한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만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엘라스토머 재료와 경적 플레이트(14)의 후방 측면 간 계면이 진동 감쇠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지닌다. 큰 지지 스터드들(474b)은 경적 작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작동 상태에 있지 않다. 한편, 경적 작동이 개시될 때, 완전히 전개된 경적 스프링 힘이 가능한 한 빨리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고 상대적으로 단단한 지지 스터드들(474b)의 존재 및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의 비교적 낮은 축 방향 강도으로 인해, 작은 지지 스터드들(474a)의 축 방향 압축에 의해 경적 작동이 개시될 때 거리 Δ 가 매우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정상적인 진동 감쇠 동안 상기 계면이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축 방향으로 단단한 계면이 확립될 수 있다.
제5 실시 예
도 19a 내지 도 19c는 댐퍼 유닛(540)의 제5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위에서와 같이 사용되지만 500 시리즈로 사용된다. 댐퍼 유닛(540)의 슬라이더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제4 실시 예의 슬라이더(450)와 동일한 설계를 지닌다. 댐퍼 유닛(540)의 댐퍼 요소(570)는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되어있다. 제조, 선택적인 본딩, 기능, 조립체, 재료, 리브들, 지지 스터드들, 대안들 등에 관한 이전의 실시 예들에 대해 언급된 모든 것은 이러한 제5 실시 예(540)의 모든 관련 부분들에도 적용된다.
댐퍼 유닛(540)의 제5 실시 예는 제5 실시 예의 댐퍼 유닛(540)이 성형된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경적 스프링 요소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에서 댐퍼 유닛(440)의 제4 실시 예와 다르다. 그 대신에, 별도의 경적 스프링들(594)이 사용된다. 경적 스프링들(59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스프링들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550)에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적 스프링(590)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슬라이더(550)의 하부 또는 후방 단부에 링형 그루브(556a)가 제공된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댐퍼 유닛(540)을 포함하는 진동 댐퍼 조립체(6)(도 20f)를 조립하는 방법의 제1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20a는 경적 플레이트(14)의 3개의 장착 개구부 중 하나 내에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댐퍼 유닛(540)을 보여준다. 이전의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각각의 댐퍼 유닛(540)의 슬라이더(550) 및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570)는 함께 그리고 경적 플레이트(14)의 한 측면만으로부터 삽입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경적 플레이트(14)의 각각의 장착 개구부에는 슬리브(20)가 제공된다. 슬리브(20)는 바람직하게는 경적 플레이트에 성형된 견고한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비교적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슬리브(20)의 하나의 기능은 댐퍼 요소(570)를 위한 축 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슬리브(20)의 다른 하나의 기능은 조립 동안 그리고 작동 중에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5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개별 경적 스프링(594)은 댐퍼 유닛(540)이 경적 플레이트(14) 내에 삽입되기 전에 각각의 개별 경적 스프링(594)의 관련 댐퍼 유닛(540)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링형 그루브(556a) 및 경적 스프링(594)의 반경 치수들은 경적 스프링(594)의 단부가 조립 동안 그루브(556a)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1-측면 장착에 관련된 이점은 이러한 실시 예에도 적용된다.
도 21a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댐퍼 유닛(540)을 포함하는 진동 댐퍼 조립체(6)를 조립하는 방법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댐퍼 유닛(54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댐퍼 유닛들(540)에 부착된 별도의 경적 스프링들(594) 없이 경적 플레이트(14)에 장착된다. 경적 스프링들(594)은 브래킷(22)의 브래킷 표면(26) 상에 댐퍼 유닛(540)과 별도로 배치된다. 그 후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유닛들(540)이 장착된 경적 플레이트(14)는 경적 스프링들(594) 상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볼트들(120)은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되고 조여진다.
대안들
위에 설명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 예들은 여러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경적 작동 메커니즘은 기계적인 것이다. 경적 작동은 볼트 샤프트들을 따라 슬라이더들을 활주시켜 경적 플레이트(14)를 브래킷(22)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달성된다. 경적 작동 동안 경적 스프링이 압축된다. 운전자가 경적 작동 패드(8)를 해제하면, 경적 스프링(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이 경적 플레이트(14)를 경적 플레이트(14)의 디폴트 위치로 복귀하게 해준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경적 작동 메커니즘은 전자적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경적 플레이트(14)는 베이스 구조물(12)을 향해 이동될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경적은 전자 접점들을 포함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진동 감쇠가 여전히 필요하고, 경적 플레이트는 설명한 바와 같지만, 어떠한 경적 스프링도 사용하지 않고서, 댐퍼 유닛들을 통해 베이스 구조물(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 예들에서, 슬라이더는 실제로 경적 작동 동안 볼트 샤프트 상에서 활주하도록 설계된 슬라이더 부분으로서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 대신에, 슬라이더 부분은 오히려 볼트들이 댐퍼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삽입되는 장착 슬리브이게 된다. 어떠한 활주 이동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적 스프링들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방사상의 슬라이더 플랜지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가이드 샤프트는 진동 베이스 구조물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의 일부이다. 가이드 샤프트는, 예를 들어 진동 구조물과 일체로 선택적으로는 너트로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자유 나사산이 있는 단부와 일체로 만들어진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볼트가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 다시 말하면 그 대신에 경적 플레이트 내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 실시 예들에서, 경적 플레이트의 슬리브들(20)이 생략되고 댐퍼 요소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경적 플레이트(14)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는 경적 플레이트(14)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더의 제2 관형 부분은 다른 실시 예들에서 경적 스프링 부분으로 더 연장될 수 있지만, 경적 작동시 슬라이더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관형 부분은 생략되고 경적 스프링 요소는 플랜지에만과 같이 다른 어떤 방식으로 슬라이더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댐퍼 요소의 외측 맞물림 표면은 진동들이 본질적으로 모든 반경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댐퍼 유닛의 축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360도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또한 외측 맞물림 표면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이지 않은 리브형 설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댐퍼 유닛의 외측 맞물림 표면은 댐퍼 유닛이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만 일부 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슬리브들 상의 내측 돌출부들과 같이 원주 방향으로 제한된 내측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는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내측 돌출부들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일부 방향으로만 맞물림 표면들을 지니는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를 설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단일 댐퍼 유닛이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들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완전한 조립체는 상이한 방향들로 진동들을 핸들링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댐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은 수직 방향으로 진동들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댐퍼 유닛들은 수평 방향으로 진동들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 실시 예들에서, 엘라스토머 요소들의 슬라이더 및 대응되는 채널들 또는 보어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방향들로 상이한 댐핑 특성들이 요구되고 댐퍼 유닛이 결과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가이드 샤프트 상에 배향되어야 하는 경우 비-원형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추가 발명
추가 발명에 의하면, 이전의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지만, 슬리브 또는 슬라이더 없이 댐퍼 유닛이 제공된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이러한 대안을 보여준다. 도면들은 엘라스토머 요소의 슬라이더 및 바닥 부분이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8a 내지 도 18c와 동일하다. 이러한 댐퍼 유닛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는 단일의 일체형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조립될 수도 있다.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경적 스프링을 지닐 수도 있고, 경적 스프링이 전혀 없을 수 있다. 압축을 위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볼트 헤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로킹 절차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댐퍼 유닛을 장착할 때, 볼트는 엘라스토머 댐퍼 유닛의 중심 채널 또는 구멍을 통해 도입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엘라스토머 댐퍼 유닛의 방사상 내측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을 위한 주파수-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 유닛은 삽입 단부 및 반대측 후방 단부를 지니고, 상기 댐퍼 조립체의 경적 플레이트 내에 제공된 장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와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 유닛은 슬리브와 댐퍼 요소가 함께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면 상에 성형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제공하며;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리브들은 함께 상기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엘라스토머 리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댐퍼 유닛을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에 스냅-록하기 위해 장착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 록 돌출부를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고,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축을 가로 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하다.
이러한 추가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서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을 사용하는 단계 - 각각의 댐퍼 유닛은,
- 삽입 단부에 하나 이상의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들을 제공하는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스냅-록 돌출부들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 -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님 -; 및
-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는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
을 지님 -; 및
각각의 댐퍼 유닛을 삽입 방향으로 댐퍼 유닛의 축을 따라 경적 플레이트 내 관련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유닛은 최종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장착 개구부 내로 삽입되고,
-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상기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 직접 접촉하며,
- 상기 스냅-록 돌출부들은 경적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댐퍼 유닛의 스냅-록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 엘라스토머지지 부분은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축 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물, 설계, 방법 및 대안이 모든 관련 부분에서 이러한 추가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스티어링 휠을 위한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으로서, 상기 댐퍼 유닛은 삽입 단부 및 반대측 후방 단부를 지니며 상기 댐퍼 조립체의 경적 플레이트 내에 제공된 장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와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댐퍼 유닛은,
    - 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보어를 지니는 슬리브; 및
    -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가 함께 통합된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 상에 성형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상기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은 함께 상기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댐퍼 유닛을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에 스냅-록(snap-lock)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를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각각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는,
    -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를 향해 상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고,
    -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면하는 상기 스터드 단부에 의해 정해진 원위 단부 표면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상기 원위 단부 표면들은,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 상기 댐퍼 유닛의 조립 동안, 상기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댐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방사상 위치에 있는, 댐퍼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제1 세트의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형성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더 제공하고, 각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는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를 향해 상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면하는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에 의해 정해진 원위 단부 표면을 지니고,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보다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축 방향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댐퍼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과 원주 방향으로 인터레이스되어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로부터 이격된 제2 세트의 복수 개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형성하는, 댐퍼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함께 제1 총 축 방향 강도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함께 상기 제1 총 축 방향 강도보다 큰 제2 총 축 방향 강도를 제공하는, 댐퍼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함께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축 방향으로 면하는 제1 총 표면적을 형성하고,
    -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함께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축 방향으로 면하는 제2 총 표면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총 표면적은 상기 제1 총 표면적보다 큰, 댐퍼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유닛의 상기 슬리브는 슬라이더이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티어링 휠 상에서의 경적 작동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중심 보어 내에 수용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상기 축의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댐퍼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상기 슬라이더의 제1 부분 상에 성형되고,
    상기 댐퍼 유닛은 경적 스프링 부분과 서로 일체로 성형된 부착 부분을 지니는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경적 스프링 요소의 부착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의 제2 부분 상에 성형되고,
    상기 경적 스프링 부분은 스티어링 휠 상의 경적 작동 전에 그리고 스티어링 휠 상의 경적 작동 시에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상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댐퍼 유닛.
  9. 스티어링 휠에서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고 감쇠될 진동들을 제공하는 베이스 구조물;
    경적 플레이트;
    제1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 - 각각의 댐퍼 유닛은 경적 플레이트의 관련 장착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댐퍼 유닛의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이 상기 진동들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경적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이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게 됨 -;
    하나 이상의 가이드 샤프트들 -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들 중 대응하는 댐퍼 유닛에 연관되며,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고정되고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와 연관된 댐퍼 유닛의 슬리브의 중심 보어 내에 수용됨 -; 및
    축을 가로지르는 질량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댐퍼 유닛들의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들을 통해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질량체;
    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 및 상기 질량체는 상기 진동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주파수 동조 동적 댐퍼를 형성하는 주파수 동조 스프링 질량 시스템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의 중량은 적어도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중량 및 상기 경적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에어백 조립체의 중량을 포함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는 나사산이 있는 볼트의 일부이고, 나사산이 있는 각각의 볼트의 볼트 헤드는 각각의 가이드 샤프트와 연관된 댐퍼 유닛의 슬리브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댐퍼 유닛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의 원위 단부는 상기 댐퍼 유닛을 상기 경적 플레이트에 더 로킹하기 위해 관련 볼트의 볼트 헤드에 의해 압축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댐퍼 유닛의 슬리브는 슬라이더이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티어링 휠 상에서의 경적 작동시, 상기 슬라이더의 중심 보어 내에 수용되는 관련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상기 축의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는 각각의 댐퍼 유닛을 위한 경적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적 스프링은 상기 스티어링 휠 상에서의 경적 작동 전에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휠 상에서 경적 작동 시에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상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제1 세트의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형성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더 제공하고, 각각의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는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를 향해 상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면하는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에 의해 정해진 원위 단부 표면을 지니고,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보다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축 방향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며,
    -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경적 작동 전에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축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원위 단부 표면들은 경적 작동 전에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축 방향 갭 만큼 이격되며,
    - 상기 제1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은 상기 축 방향 갭의 크기에 대응되는 양 만큼 경적 작동의 초기 작동 단계 동안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축 방향 갭은 상기 제2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이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도록 제거되는, 주파수 동조 댐퍼 조립체.
  15. 제1항에 따른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슬리브의 방사상 외측 제1 부분 상에,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지니는 엘라스토머 진동 댐퍼 요소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 상기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은 함께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각각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는,
    -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의 스터드 단부를 향해 상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고,
    -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면하는 상기 스터드 단부에 의해 정해진 원위 단부 표면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상기 원위 단부 표면들은,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 상기 댐퍼 유닛의 조립 동안, 상기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댐퍼 유닛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유닛의 제조 방법은,
    - 엘라스토머 리브들의 개수;
    -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의 원주 방향,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치수들; 및
    -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 간 공간들의 원주 방향,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치수들;
    을 포함하는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함으로써 댐퍼를 주파수 동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댐퍼 유닛의 제조 방법.
  17. 스티어링 휠을 위한 주파수 동조 진동 댐퍼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댐퍼 유닛으로서, 상기 댐퍼 유닛은 삽입 단부 및 반대측 후방 단부를 지니며 상기 댐퍼 조립체의 경적 플레이트 내에 제공된 장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와 함께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댐퍼 유닛은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댐퍼 요소는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 및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을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삽입 부분은 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과 관련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리브들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은 함께 상기 장착 개구부의 내측 표면과의 직접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방사상 외측 맞물림 표면은 제1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 방향 치수를 지니고,
    상기 엘라스토머 리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댐퍼 유닛을 상기 댐퍼 유닛의 최종 장착 위치에 스냅-록(snap-lock)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외측 연장 스냅-록 돌출부를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각각의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는,
    - 상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고,
    - 상기 댐퍼 유닛의 삽입 단부에 면하는 상기 스터드 단부에 의해 정해진 원위 단부 표면을 제공하며, 상기 엘라스토머 지지 스터드들의 상기 원위 단부 표면들은,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장착 개구부 내 상기 댐퍼 유닛의 조립 동안, 상기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경적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댐퍼 유닛.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07020091A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4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7399A KR20240033191A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7562.4 2017-12-15
EP17207562.4A EP3499076B1 (en) 2017-12-15 2017-12-15 A damper unit, a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a damper unit
PCT/EP2018/085043 WO2019129512A1 (en) 2017-12-15 2018-12-14 A damper unit, a damper assembly, methods of making a damper unit and a damper assemb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99A Division KR20240033191A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29A KR20200108429A (ko) 2020-09-18
KR102645408B1 true KR102645408B1 (ko) 2024-03-08

Family

ID=608117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91A KR102645408B1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47007399A KR20240033191A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07020036A KR102622230B1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99A KR20240033191A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07020036A KR102622230B1 (ko) 2017-12-15 2018-12-14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및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447177B2 (ko)
EP (2) EP3499076B1 (ko)
JP (3) JP7246117B2 (ko)
KR (3) KR102645408B1 (ko)
CN (3) CN111801511B (ko)
WO (2) WO2019129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2463A1 (de) * 2017-02-08 2018-08-09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Lagereinheit, lenkradbaugrupp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baugruppe
DE102017119335A1 (de) * 2017-08-24 2019-02-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lenkrad
KR102593661B1 (ko) * 2018-11-13 2023-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DE102020201752B4 (de) 2019-05-15 2022-05-19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Schwingungsdämpfersystem für eine Lenkrad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EP3904720A1 (en) 2020-04-28 2021-11-03 Vibracoustic Forsheda AB A vibration damper assembly, a method of tuning such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dynamic vibration damping
CN113532780A (zh) * 2021-08-26 2021-10-22 青岛科技大学 一种带导向装置的活结螺杆式快速组合方形质量系统
CN115339502A (zh) * 2022-09-20 2022-11-15 上海临港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方向盘阻尼装置及汽车方向盘阻尼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59A (ja) 2008-02-01 2009-09-10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振動低減構造
JP2016064808A (ja) 2014-09-24 2016-04-28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052433A (ja) 2015-09-10 2017-03-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159696A (ja) 2016-03-07 2017-09-1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ダンパ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1674A (en) * 1957-09-23 1960-09-06 Gen Motors Corp Shockproof mounting
US3319918A (en) * 1965-06-18 1967-05-16 Illinois Tool Works Shock mounting groummet
US3756551A (en) * 1971-10-27 1973-09-04 Lord Corp Anti-vibration support
US4405272A (en) * 1981-03-11 1983-09-20 Phillips Plastics Corporation Two-piece fastener with front shoulder
JPS5822841U (ja) * 1981-08-06 1983-0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モ−タ−の保持装置
US4522378A (en) * 1983-11-02 1985-06-11 Illinois Tool Works, Inc. Wiper motor mounting grommet
US4530491A (en) * 1983-11-23 1985-07-23 Lord Corporation Compact low-frequency engine mounting
DE3722069A1 (de) * 1986-08-21 1988-02-25 Toyoda Gosei Kk Signalhornschaltvorrichtung fuer ein steuerrad
US4858866A (en) * 1988-04-25 1989-08-22 J. I. Case Company Radiator restraining assembly
FR2655109B1 (fr) * 1989-11-24 1994-02-04 Paulstra Gmbh Element elastique de support raideurs echelonnees.
US5277554A (en) * 1992-11-13 1994-01-11 Copeland Corporation Tandem compressor mounting system
US5350190A (en) * 1993-07-06 1994-09-27 Primrose, Inc. Air bag assembly mount including snap-fit horn attachment
US5333897A (en) * 1993-10-25 1994-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 lock 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US5447257A (en) * 1994-01-14 1995-09-05 Dark; Richard C. G. Valve trumpet spring and seal
US5397206A (en) * 1994-03-15 1995-03-14 Chrysler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fastener
US5508481A (en) * 1995-03-10 1996-04-16 General Motor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horn switch assembly
US5650600A (en) * 1995-06-01 1997-07-22 Trw Inc.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JP3525567B2 (ja) * 1995-07-17 2004-05-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筒形防振支持体
US5639113A (en) * 1995-07-21 1997-06-17 Textron Inc. Mounting assembly for air bag
US5722631A (en) * 1995-09-15 1998-03-03 Lord Corporation Single-piece mount with split metal plates
US5580028A (en) * 1995-10-30 1996-12-03 Chrysler Corporation Jounce plate fastener retention system
DE19653684C2 (de) * 1996-12-13 2000-05-25 Petri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Airbageinheit am Lenkrad
US6029942A (en) * 1998-03-24 2000-02-29 Carrier Corporation Simplified compressor mount with self forming grommet
DE29816925U1 (de) * 1998-09-16 1998-11-26 Petri Ag Lenkrad mit Airbagmodul
JP3731359B2 (ja) * 1998-11-24 2006-01-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ンパスプリング
DE19858691B4 (de) * 1998-12-18 2010-01-07 Delphi Automotive Systems Deutschland Gmbh Luftsackmodul für Kraftfahrzeuge
US6302385B1 (en) * 1999-06-30 2001-10-16 Delphi Technologies, Inc. Vibration isolation mount
IT1308842B1 (it) * 1999-09-24 2002-01-11 Gallino Plasturgia S R L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avvisatore acustico per un volante diazionamento.
SE524074C2 (sv) * 2000-06-02 2004-06-22 Forsheda Ab Anordning för dämpning av vibrationer hos en vibrationsyta och metoder för montering av en sådan anordning
DE20021532U1 (de) * 2000-12-20 2001-04-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20103890U1 (de) * 2001-03-06 2001-07-1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US20040012177A1 (en) * 2002-05-16 2004-01-22 Takata-Petri Ag Airbag module with elastic mounting of the gas generator
DE102004008043A1 (de) * 2004-02-19 2005-09-15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mit einem schwingungsgedämpften Gasgenerator
JP2006228700A (ja) * 2004-12-17 2006-08-31 Tkj Kk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464959B2 (en) * 2005-03-01 2008-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n air bag module relative to a steering wheel
JP4646756B2 (ja) * 2005-09-20 2011-03-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シャフト固定構造
WO2008127157A1 (en) 2007-04-16 2008-10-23 Trelleborg Forsheda Sweden Ab Damper
JP5104155B2 (ja) * 2007-09-20 2012-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823908B2 (en) * 2007-10-02 2010-11-02 Autoliv Asp, Inc. Airbag module assembly to control gap adjacent airbag cover
US7389977B1 (en) * 2007-10-22 2008-06-24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Body mount assembly with combined shear and compression style components
ES2368801T3 (es) * 2008-04-22 2011-11-22 Trelleborg Forsheda Ab Amortiguador de frecuencia sintonizado.
JP4733168B2 (ja) * 2008-09-16 2011-07-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8491003B2 (en) * 2010-02-23 2013-07-23 Judco Manufacturing, Inc. Airbag frame apparatus
US8939466B2 (en) * 2010-02-23 2015-01-27 Judco Partnership, Llc Airbag frame apparatus
US8505701B2 (en) * 2010-08-18 2013-08-13 Autoliv Asp, Inc. Mass-damper system
EP2614998B1 (en) 2010-09-09 2017-06-21 Honda Motor Co., Ltd. Steering wheel structure with airbag module
CN103298680B (zh) * 2010-11-19 2016-01-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方向盘
DE102011102780B4 (de) * 2011-05-30 2013-02-28 Anvis Deutschland Gmbh Elastisches Kopplungsteil, Tilg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elastischen Kopplungsteils
JP2013071626A (ja) * 2011-09-28 2013-04-22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構造
EP2662588B1 (en) 2012-05-09 2016-09-28 Trelleborg Automotive Forsheda AB A frequency tuned damper
JP6040884B2 (ja) * 2012-11-12 2016-12-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構造
DE102013002557A1 (de) 2013-02-15 2014-08-21 Autoliv Development Ab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Schwingungen eines Airbags oder einer Airbageinrichtung
DE202013006767U1 (de) * 2013-07-26 2014-07-28 Reinz-Dichtungs-Gmbh Hitzeschild
JP6120008B2 (ja) * 2014-03-27 2017-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712239B1 (ko) * 2014-05-30 2017-03-03 (주)엘지하우시스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JP6164175B2 (ja) * 2014-07-30 2017-07-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10406975B2 (en) * 2014-09-19 2019-09-10 Honda Motor Co., Ltd. Steering wheel structure
DE202014008432U1 (de) * 2014-10-23 2016-01-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generators in einem Airbagmodul
US10017202B2 (en) * 2016-04-19 2018-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eering wheel adaptive mass damp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59A (ja) 2008-02-01 2009-09-10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振動低減構造
JP2016064808A (ja) 2014-09-24 2016-04-28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052433A (ja) 2015-09-10 2017-03-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159696A (ja) 2016-03-07 2017-09-1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ダンパ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81990A (ja) 2023-06-13
KR20200110743A (ko) 2020-09-25
US11685435B2 (en) 2023-06-27
CN111801511A (zh) 2020-10-20
KR20200108429A (ko) 2020-09-18
US11447177B2 (en) 2022-09-20
EP3499076A1 (en) 2019-06-19
KR102622230B1 (ko) 2024-01-08
CN111699331A (zh) 2020-09-22
US20210070355A1 (en) 2021-03-11
CN111801511B (zh) 2023-02-17
WO2019129512A1 (en) 2019-07-04
US11987308B2 (en) 2024-05-21
CN111699331B (zh) 2022-03-18
US20230013896A1 (en) 2023-01-19
WO2019115797A1 (en) 2019-06-20
JP7246117B2 (ja) 2023-03-27
US20200339192A1 (en) 2020-10-29
CN116044944A (zh) 2023-05-02
JP7229246B2 (ja) 2023-02-27
JP2021507182A (ja) 2021-02-22
EP3746673A1 (en) 2020-12-09
EP3499076B1 (en) 2021-03-31
KR20240033191A (ko) 2024-03-12
JP2021506643A (ja)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408B1 (ko) 댐퍼 유닛, 댐퍼 조립체, 댐퍼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댐퍼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CN105774735B (zh) 转向盘用振动控制结构
KR102621534B1 (ko) 주파수 동조 댐퍼 및 그 댐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US9322450B2 (en) Torque rod
EP3524846B1 (en) A frequency tuned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damper assembly
KR20230002853A (ko) 진동 댐퍼 조립체, 이러한 조립체의 동조 방법, 및 진동 댐퍼 조립체의 제조 방법
JP2022524518A (ja) 周波数同調振動ダンパ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装置を含む振動ダンパアセンブリ
JP4669329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632491B1 (ko) 엔진마운트 조립용 튜닝지그
JP2007205418A (ja) 防振装置
JP4746377B2 (ja) 防振装置
WO2019154965A1 (en) A frequency tuned damper, a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such a damper
CN108571247A (zh) 一种含自限幅振动质量块的吸振器
JPH09257077A (ja) 樹脂ブラケット付き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