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239B1 -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239B1
KR101712239B1 KR1020140065670A KR20140065670A KR101712239B1 KR 101712239 B1 KR101712239 B1 KR 101712239B1 KR 1020140065670 A KR1020140065670 A KR 1020140065670A KR 20140065670 A KR20140065670 A KR 20140065670A KR 101712239 B1 KR101712239 B1 KR 10171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rn module
horn
armatu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580A (ko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6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추어상의 혼 모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유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스프링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은,
휠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 상부에 결합하는 혼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혼모듈은 혼스위치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각 고정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림부와, 상기 림부 사이로 이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steering wheel of vehicle for reducing noise }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추어상의 혼 모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유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스프링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는바,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스티어링 휠이 마련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진행 방향이 조종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조종하는 스티어링 휠은 휠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와, 아마추어 상부에 결합하는 혼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혼모듈은 혼스위치유닛을 구비하는 것이다.
혼 모듈이 혼스위치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에서 혼모듈을 조작함에 따라 혼스위치유닛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운전중 경적음의 울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혼모듈은 혼스위치유닛과 더불어 에어백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혼모듈에 에어백유닛이 구비되는 경우 운전중 사고 등이 발생할 때 에어백유닛으로부터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운전자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08-0008119호(공개일 2008. 01. 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혼모듈은 본체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핀이 마련되고, 각 고정핀상에는 스프링이 마련된다.
혼모듈의 본체 저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핀이 마련됨으로써 각 고정핀이 아마추어의 결합홀에 삽입된 이후 그 하단이 커버의 고정부재와 결합함에 따라 혼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각 고정핀상에 스프링이 마련됨으로써 스프링을 통해 혼모듈을 아마추어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종래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혼모듈(20')에 마련되는 스프링(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단선 코일형으로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혼모듈(20')에 마련되는 스프링(23')은 탄성을 갖는 것인바, 스프링(23')을 통해 혼모듈(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일반 단선 코일형으로 되는 특성상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하,좌,우의 유동폭이 컸으므로 유동과정에서 인접하는 혼모듈의 본체 또는 아마추어와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어 이로 인하여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혼모듈의 스프링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단선 코일형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혼모듈의 스프링이 신장 또는 수축 과정에서 큰 폭으로 유동하며 이와 인접하는 혼모듈의 본체 또는 아무추어와 빈번하게 접촉함에 따라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은,
휠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 상부에 결합하는 혼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혼모듈은 혼스위치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각 고정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림부와, 상기 림부 사이로 이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모듈의 본체는 에어백모듈이 더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고정핀은 본체 저면에 마련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고정핀 각각은 아마추어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홀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사출 성형되되 림부와 연결부가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연결부가 림부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연결부의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하측 림부의 직경이 상측 림부의 직경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은 혼모듈의 각 고정핀상에 마련되는 스프링이 림부와 연결부로 되어 림부가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바, 혼모듈 작동시 미치는 외력 또는 주행 중의 충격에 의해 스프링이 신장 또는 수축할 때 연결부의 지지에 의해 림부의 상,하,좌,우 유동이 최소하되므로 스프링과 혼모듈의 본체 또는 스프링과 아마추어의 접촉이 완화될 수 있어 스프링과 혼모듈의 본체 또는 스프링과 아마추어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서 혼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서 혼모듈의 스프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서 혼모듈의 스프링 신장 또는 수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종래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서 혼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A)은 아마추어(10)와, 혼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아마추어(10)는 휠부(1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마추어(10)의 휠부(11) 내측에는 복수의 결합홀(12)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도면부호 미표시)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아마추어(10)의 휠부(11) 내측에 복수의 결합홀(12)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됨으로써 아마추어(10)의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홀(12)에 후술하는 혼모듈(20)의 고정핀(22)이 삽입됨에 따라 아마추어(10)와 혼모듈(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혼모듈(20)은 아마추어(10)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혼스위치유닛(21a)을 수용하는 본체(21)와, 본체(21)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핀(22)과, 각 고정핀(22)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프링(23)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혼모듈(20)의 본체(21)는 에어백모듈(도면상 미도시)이 더 수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혼모듈(20)의 본체(21)에 에어백모듈이 더 수용됨으로써 운전중 사고 발생 등의 경우 에어백모듈의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운전자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혼모듈(20)의 고정핀(22)은 본체(21) 저면에 마련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1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고정핀(22)이 본체(21) 저면에 마련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1b)에 결합됨으로써 마운팅 플레이트(21b)의 지지에 의해 혼모듈(20)의 본체(21)상에 고정핀(22)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운팅 플레이트(21b)와 고정핀(22)의 결합은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한바, 마운팅 플레이트(21b)와 고정핀(22)의 결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고정핀(22) 각각은 아마추어(10)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홀(12) 각각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고정핀(22) 각각이 아마추어(10)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홀(12)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부위가 복수로 되므로 혼모듈(20)과 아마추어(1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혼모듈(20)의 고정핀(22) 각각은 그 하단이 아마추어(10) 하부에 결합하는 별도 커버(도면상 미도시)에 마련되는 고정부재(도면상 미도시)와 결합하여 아마추어(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림부(23a)와, 상기 림부 사이로 이어지는 연결부(23b)를 구비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이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림부(23a)와, 상기 림부 사이로 이어지는 연결부(23b)를 구비함으로써 상측 림부(23a)와 하측 림부(23a)가 연결부(23b)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스프링(23) 신장 또는 수축시 상,하,좌,우 유동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그 상단이 고정핀(22) 상단에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 상단이 고정핀(22)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고정핀(22)으로부터 스프링(23)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이 합성수지로 됨으로써 재질 특성상 아마추어(10) 또는 혼모듈(20)의 본체(21)와 접촉시의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사출 성형되되 림부(23a)와 연결부(23b)가 일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이 사출 성형되되 림부(23a)와 연결부(23b)가 일체로 됨으로써 림부(23a)로부터 연결부(23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연결부(23b)가 림부(23a)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에 구비되는 연결부(23b)가 림부(23a)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프링(23) 수축시 연결부(23b)에 의해 지지되는 림부(23a)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연결부(23b)의 내측에 개방구(23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에 구비되는 연결부(23b)의 내측에 개방구(23c)가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미침에 따라 스프링(23)의 림부(23a)가 상하로 수축될 때 연결부(23b)의 상단 및 하단이 개방구(23c) 내측으로 향하여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스프링(23)의 수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모듈(20)의 스프링(23)은 하측 림부(23a)의 직경이 상측 림부(23a)의 직경에 비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혼모듈(20)의 스프링(23)에 구비되는 하측 림부(23a)의 직경이 상측 림부(23a)의 직경에 비해 더 큰 것임으로써 스프링(23)과 아마추어(10)의 접촉 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스프링(23) 수축시 아마추어(10)에 미치는 부하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아마추어(10)의 손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A)에서의 소음 발생 저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혼모듈(20)의 본체(21) 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핀(2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추어(10)의 휠부(11) 내측에는 복수의 결합홀(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혼모듈(20)의 고정핀(22) 각각을 아마추어(10)의 결합홀(12) 각각에 삽입시킨 이후 혼모듈(20)의 각 고정핀(22) 하단을 커버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에 결합하게 되면 혼모듈(20)이 아마추어(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혼모듈(20)의 각 고정핀(22)상에는 스프링(23)이 마련되는바, 스프링(23)에 의해 혼모듈(20)의 본체(21)가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혼모듈(20)의 본체(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3)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되면 스프링(23)이 상,하,좌,우로 유동하며 자칫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아마추어(10)와 접촉하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스프링(23)은 합성수지로 되는 재질 특성상 스프링(23)의 신장 또는 수축 과정에서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아마추어(10)와 접촉하더라도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프링(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림부(23a)와 하측 림부(23a) 사이에 연결부(23b)가 일체로 마련된 것인바, 연결부(23b)에 의해 상측 림부(23a)와 하측 림부(23a)가 지지되어 스프링(23)의 신장 또는 수축시 림부(23a)의 상,하,좌,우 유동이 최소화되므로 스프링(23)과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스프링(23)과 아마추어(10)의 접촉이 완화될 수 스프링(23)과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스프링(23)과 아마추어(10)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23)의 림부(23a)가 연결부(23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프링(23)의 수축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것을 우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스프링(23)의 연결부(23b)는 내측에 개방구(23c)가 형성된 것인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23c)에 의해 연결부(23b)의 상단 및 하단이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우려와 달리 스프링(23)의 수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23)의 수축시 상측 림부(23a)와 하측 림부(23a)가 겹침에 따라 스프링(23)의 수축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것을 우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스프링(23)은 하측 림부(23a)의 직경이 상측 림부(23a)의 직경에 비해 큰 것이어서 스프링(23)이 수축될 때 상측 림부(23a)는 하측 림부(23a)에 의한 간섭없이 하향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우려와 달리 스프링(23)의 수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A)은 혼모듈(20)의 각 고정핀(22)상에 마련되는 스프링(23)이 림부(23a)와 연결부(23b)로 되어 림부(23a)가 연결부(23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바, 혼모듈(20) 작동시 미치는 외력 또는 주행 중의 충격에 의해 스프링(23)이 신장 또는 수축할 때 연결부(23b)의 지지에 의해 림부(23a)의 상,하,좌,우 유동이 최소하되므로 스프링(23)과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스프링(20)과 아마추어(10)의 접촉이 완화될 수 있어 스프링(23)과 혼모듈(20)의 본체(21) 또는 스프링(23)과 아마추어(10)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아마추어 11 : 휠부
12 : 결합홀 20, 20' : 혼모듈
21 : 본체 21a : 혼스위치유닛
21b : 마운팅 플레이트 22 : 고정핀
23, 23' : 스프링 23a : 림부
23b : 연결부 23c : 개방구
A : 자동차 스티어링 휠

Claims (9)

  1. 휠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 상부에 결합하되, 혼스위치유닛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핀을 구비하는 혼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림부; 상기 림부 사이로 이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하측의 상기 림부 직경이 상측의 상기 림부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 스프링이 상기 혼모듈의 상기 고정핀 각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본체는 에어백모듈이 더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고정핀은 본체 저면에 마련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고정핀 각각은 아마추어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홀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사출 성형되되 림부와 연결부가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연결부가 림부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모듈의 스프링은 연결부의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9. 삭제
KR1020140065670A 2014-05-30 2014-05-30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10171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70A KR101712239B1 (ko) 2014-05-30 2014-05-30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70A KR101712239B1 (ko) 2014-05-30 2014-05-30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80A KR20150137580A (ko) 2015-12-09
KR101712239B1 true KR101712239B1 (ko) 2017-03-03

Family

ID=5487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670A KR101712239B1 (ko) 2014-05-30 2014-05-30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076B1 (en) * 2017-12-15 2021-03-31 Vibracoustic Forsheda AB A damper unit, a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a damper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581A (ja) * 1999-01-22 2000-08-02 Musashino Kiko Kk プラスチック製の筒状バネ
KR200286798Y1 (ko)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49A (ja) * 1994-10-24 1996-05-14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パッド
KR20110040109A (ko) * 2009-10-13 2011-04-20 (주)엘지하우시스 혼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581A (ja) * 1999-01-22 2000-08-02 Musashino Kiko Kk プラスチック製の筒状バネ
KR200286798Y1 (ko)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80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3212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922189B1 (en) Vehicle grip assist handle
US8500156B2 (en) Steering wheel having airbag apparatus attached thereto
US7744120B2 (en) Integrated overhead side airbag module
US8297645B2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KR20100061711A (ko) 에어백 덮개에 근접한 간극을 제어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KR102288751B1 (ko) 에어백 장착장치
US201301542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JP5641639B2 (ja) ハンドル
US10994684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170038948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KR101712239B1 (ko)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100519231B1 (ko)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JP5376700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695724B2 (ja) ハンドル
JP474899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487881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JP6253195B2 (ja) ハンドル
JP389589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67440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684963B1 (ko) 차량용 혼 스위치 장치
JP6275489B2 (ja) ハンドル
JP433756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253197B2 (ja) 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