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918B1 -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918B1
KR102629918B1 KR1020237002709A KR20237002709A KR102629918B1 KR 102629918 B1 KR102629918 B1 KR 102629918B1 KR 1020237002709 A KR1020237002709 A KR 1020237002709A KR 20237002709 A KR20237002709 A KR 20237002709A KR 102629918 B1 KR102629918 B1 KR 10262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ing unit
block copolymer
aromatic
pres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368A (ko
Inventor
배철성
이우형
Original Assignee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23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0/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aromatic hydrocarbons or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3/08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C08G2261/124Copolymers alter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3Side-chain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2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non-conjug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5Friedel-Crafts-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지된 중합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중합체는 특히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음이온 교환막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의 새로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NOVE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본 출원은 2014년 11월 18일자로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가출원 제 62/081,144 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개시된 것처럼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 반응에서 알칼리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s, AEMs)은 음극(cathode)으로부터 양극(anode)으로 음이온(예를 들어, OH-, Cl-, Br-)을 전달시킨다. 음이온 교환막(AEMs)은 산소와 수소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고 부산물로 물을 생성하는 AEM 연료 전지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음이온 교환막은 또한 전기분해에 사용되며,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한다. AEM 연료전지 및 전기분해 모두에 있어서, 수산화 이온(OH-)들은 물 분자들과 함께 상기 음이온 교환막을 통해 수송된다. 예를 들어, 음이온 교환막은 배터리, 센서 및 액추에이터(actuators)에도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음이온 교환막들은 일반적으로 음이온 교환막 연료 전지 또는 물 전기분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많은 음이온 교환막들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음이온 교환막 연료 전지 또는 물 전기 분해에 부적절한 선택으로 간주된다.
다른 음이온 교환막 소재로는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ium)),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poly(arylene ether ketone)) 및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poly(arylene ether sulfone))이 있다. 이러한 중합체들은 중간 사슬에 아릴렌 에테르 결합(-O-) 및 측쇄에 벤질 트리메틸 암모늄기(benzyltrimethyl ammonium group)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합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고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쉽게 분해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지된 폴리아릴렌은 특히 전형적으로 부산물인 염화수소를 생성하는, 디올 단량체들(diol monomers)과 디할라이드 단량체들(dihalide monomers)간의 염기성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제조된 중합체의 주쇄에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이들 중합체의 제조과정에 포함된 클로로 메틸화 반응은 독성 시약의 사용, 긴 반응시간, 그리고 소망하는 기능화된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광범위한 최적화를 필요로 한다. 부반응(예를 들어, 겔화(gelation))은 긴 반응 시간에 걸쳐 빈번히 발생하며, 2.5 mequiv/g를 초과하는 이온 교환 용량(Ion-exchange capacity, IEC)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교환 용량이 개선된 음이온 교환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 기술에 응용 될 수 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제품의 향균 코팅에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중합체(polymer)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precursor polymer)를 형성하기 위하여 강산의 존재 하에서 방향족 화합물과 트리플루오로알킬케톤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에테르 결합이 없는 주쇄를 갖는 폴리아닐린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와 트리알킬아민 및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Ⅰ에 따른 중합체를 제공하며, (화학식 Ⅰ), 상기 화학식Ⅰ에서 Ar은 방향족 화합물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R2이고, R은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Ⅲ에 따른 중합체를 제공하며, (화학식 Ⅲ), 상기 화학식 Ⅲ에서 Ar은 방향족 화합물이고 R"는 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m은 0 내지 20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므로 연료 전지 또는 전기 분해 분야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예시적인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의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예시적인 폴리아릴렌의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 2의 3가지 폴리아릴렌의 알칼리 안정성 평가 전과 후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3가지 폴리아릴렌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안정성 평가 전과 후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가지의 폴리아릴렌의 응력-스트레인 곡선 및 (b) 상기 3가지의 폴리아릴렌 중 어느 하나의 H2/O2 분극, 고주파 저항 및 출력밀도 곡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면은 축척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통상적인 양태만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규 부류의 4차 수산화암모늄(quaternized ammonium hydroxide)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최초로 산 촉매가 있는 중축합 반응을 이용하여 알칼리 불안정 C-O 결합이 없는 고분자량, 4차 암모늄이 결합된 폴리아릴렌(폴리(바이페닐 알킬렌)(poly(biphenyl alkylene)s) 포함)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중합체가 상술한 연료전지 및 물의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음이온 교환막의 용도뿐만 아니라 금속-공기 전지 기술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놀랍게도, 본 출원인은 이러한 중합체가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제품의 항균 코팅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는 케톤 및 방향족 화합물 간의 산성 축합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산물은 공지된 폴리아릴렌 합성 방법에서와 같은 염화수소 보다는 물이다.
본 출원인은 새로운 중합체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브로모알킬화 전구중합체(precursor polymer)를 제조하기 위해 방향족 화합물과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을 강산의 존재하에서 반응(산-촉매화된 프리델-크래프트 중합(acid-catalyzed Friedel-Crafts polycondensation))시키는 단계; 및 에테르 결합이 없는 주쇄를 갖는 폴리아릴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를 트리알킬아민 및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 , , , , ,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 , , , , 및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몇몇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바이페닐(biphenyl)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은 7-브로모-1,1,1-트리플루오로헵탄-2-온(7-bromo-1,1,1-trifluoroheptan-2-one) 및 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 케톤(methyl trifluoromethyl 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된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Ar은 폴리아릴렌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R1이고, R2이고, R은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이다.
상기 반응식 1에 사용하기 적합한 강산(strong acid)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trifluoromethane sulf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으나, 비록 다른 적합한 산일지라도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반응식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족 기(aromatic group)는 다수의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과 결합될 수 있다.
(반응식 1A)
상기 반응식 1A에서, Ar은 방향족 화합물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R1이고, R2이고, R은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poly(biphenyl alkylene)s)의 제조에 대해 하기에 기술한다. 상기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은 하기 화학식 IA로 표기될 수 있다.
(화학식 IA)
상기 화학식 IA에서, R2이고, x+y=1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다.
PBPA+로 지칭되는 제 1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서, x는 1이고 y는 0이다.
PBPA1+로 지칭되는 제 2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서, x는 0.65이고 y는 0.35이다.
PBPA2+로 지칭되는 제 3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서, x는 0.44이고 y는 0.56이다.
<실시예1> PBPA+
바이페닐(Biphenyl)(0.70 g, 4.53 mmol), 7-브로모-1,1,1-트리플루오로헵탄-2-온(7-bromo-1,1,1-trifluoroheptan-2-one)(1.12 g, 4.53 mmol), 염화메틸렌(3.0 mL)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TFSA)를 상온, 질소분위기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10시간 후에 반응혼합용액은 매우 점도가 높아졌고 추가적으로 2시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암갈색의 겔 형태의 덩어리를 초음파 처리로 파쇄하고 메탄올에 천천히 부어 백색 섬유를 형성시킨 다음 여과하고 뜨거운 메탄올로 세척 하였다. 상기 백색 섬유를 진공 건조시켜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를 1.70 g (97% 수율) 수득하였으며, 상기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는 본원에서 PBPA로 언급되는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이다. 도 1은 PBPA를 포함하는 3가지의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체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PBPA(200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 ml)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아민 수용액(1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PBPA의 용해도가 점차 감소하고, 이온화 중합체가 6시간 후에 침전되었다.
탈이온수(1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휘발성 용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소량의 메탄올(약 2ml)에 용해시켰다. 이온성 중합체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정제하고, 여과한 후에 진공 건조시켜 97% 수율(227mg)로 폴리(바이페닐 알킬렌)(PBPA+)을 수득하였다. 도 2는 PBPA+를 포함하는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 PBPA1+
바이페닐(biphenyl) (0.70 g, 4.53 mmol), 7-브로모-1,1,1-트리플루오로헵탄-2-온(7-bromo-1,1,1-trifluoroheptan-2-one)(0.73 g, 2.95 mmol),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케톤)(methyl trifluoromethyl ketone)(0.18 g, 1.60 mmol),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3.0 mL) 및 TFSA (2.0 mL)를 마그네틱 바를 사용하여 상온, 질소분위기에서 교반하였다. 5시간 후에 반응혼합용액은 매우 점도가 높아졌고 추가적으로 2시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암갈색의 겔 형태의 덩어리를 초음파 처리로 파쇄하고 메탄올에 천천히 부었다. 백색 섬유를 형성시킨 다음 여과하고 뜨거운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백색 섬유를 진공 건조시켜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를 1.4 g (96% 수율) 수득하였으며, 상기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는 본원에서 PBPA1로 언급되는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이다. 도 1은 PBPA1를 포함하는 3가지의 브로모알킬화된 폴리(바이페닐 알킬렌) 전구체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PBPA1(2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2ml)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아민 수용액(1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PBPA1의 용해도가 점차 감소하고, 이온화 중합체가 6시간 후에 침전되었다.
탈이온수(1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휘발성 용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소량의 메탄올(약 2ml)에 용해시켰다. 이온성 중합체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정제하고, 여과한 후에 진공 건조시켜 폴리(바이페닐 알킬렌)(PBPA1+) 98% 수율(219mg)로 수득하였다. 도 2는 PBPA1+를 포함하는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 PBPA2+
바이페닐(biphenyl)(0.50 g, 3.24 mmol), 7-브로모-1,1,1-트리플루오로헵탄-2-온(7-bromo-1,1,1-trifluoroheptan-2-one)(0.40 g, 1.62 mmol),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케톤(methyl trifluoromethyl ketone)(0.19 g, 1.69 mmol),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2.5 mL) 및 TFSA (2.3 mL)를 마그네틱 바를 사용하여 상온, 질소분위기에서 교반하였다. 3시간 후에 반응혼합용액은 매우 점도가 높아졌고 추가적으로 2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암갈색의 겔 형태의 덩어리를 초음파 처리로 파쇄하고 메탄올에 천천히 부어 백색 섬유를 형성시킨 다음 여과하고 뜨거운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백색 섬유를 진공 건조시켜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를 0.94 g 수득하였으며, 상기 백색 섬유 형태의 고체는 본원에서 PBPA2로 언급되는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중합체이다. 도 1은 PBPA2를 포함하는 3가지의 브로모알킬화된 전구체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PBPA2(200 m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2ml)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아민 수용액(1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PBPA2의 용해도가 점차 감소하고, 이온화 중합체가 6시간 후에 침전되었다.
탈이온수(1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휘발성 용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소량의 메탄올(약 2ml)에 용해시켰다. 이온성 중합체에 에테르를 첨가하여 정제하고, 여과한 후에 진공 건조시켜 폴리(바이페닐 알킬렌)(PBPA2+)을 98% 수율(210 mg)로 수득하였다. 도 2는 PBPA2+를 포함하는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에 대한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1은 PBPA+, PBPA1+ 및 PBPA2+의 수분 흡수 특성(water uptake, WU) 및 음이온 전도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Ionic
polymer
WU(%) Cl-( mS/cm) OH-(mS/cm)
30℃ 80℃ 30℃ 60℃ 80℃ 30℃ 60℃ 80℃
PBPA+ 130 145 23 49 68/65a 62 94 122/124a
PBPA1+ 102 110 14 28 47/50a 41 58 88/92a
PBPA2+ 70 76 7 14 24/22a 15 23 35/35a
a 1.0 M NaOH 용액에 30일 동안 침지시킨 후 측정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 모두 우수한 WU 및 음이온 전도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PBPA+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WU 값에도 불구하고,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은 낮은 팽창비(swelling ratio)(PBPA+에 대해 40%, PBPA1+에 대해 10%, PBPA2+에 대해 5%)를 나타냈고, 이는 견고한 방향족 주쇄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하기 표 2는 PBPA+, PBPA1+ 및 PBPA2+의 알칼리 안정성 평가 전 후의 이온교환용량(Ion-exchange capacity, IEC)을 나타낸 것이다.

Sample
80℃, 7일 후 80℃, 30일 후
1H NMR titration 1H NMR titration 1H NMR titration
PBPA+ 2.61 2.70
(±0.1)
2.61 2.74
(±0.1)
2.60 2.65
(±0.03)
PBPA1+ 1.91 1.94
(±0.04)
1.89 1.94
(±0.03)
1.93 1.92
(±0.03)
PBPA2+ 1.45 1.46
(±0.01)
1.49 1.47
(±0.03)
1.46 1.48
(±0.01)
상기 표 2의 데이터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3가지의 폴리(바이페닐 알킬렌) 모두는 알칼리 환경(1M NaOH)에서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현저한 IEC 안정성을 나타냈다. 상기 표 2의 결과와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것은 중합체의 IEC는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의 상대적인 비율 조절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흥미롭게도, PBPA1+는 유사한 IEC를 갖는 공지된 다른 방향족 음이온 교환막들(예를 들면, Quaternized poly(phenylene oxide)s, poly(arylene ether ketone)s 및 and poly(arylene ether sulfone)s))보다 수산화이온의 전도도가 상당히 높았다. 이는 PBPA1+의 상대적으로 높은 WU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수화된 막이 수산화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시켰기 때문이다. 3가지의 중합체 모두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산화이온 전도도가 증가되며, 이는 온도 상승에 따라 이온의 이동이 빨라지고 확산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도 3은 상기 표 2에 기재된 30일 알칼리 안정성 평가(80℃, 1M NaOH) 전과 후의 PBPA+, PBPA1+ 및 PBPA2+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알칼리 안정성 평가(1M NaOH, 100℃, 30일)를 수행한 PBPA+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PBPA+, PBPA1+ 및 PBPA2+는 상온에서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클로로메탄(CHCl3) 및 디클로로에탄(CH2Cl2)에 용해되지 않지만, N, N-디메틸포름아미드(N, N-dimethylformamid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및 메탄올에는 용해된다. 이러한 중합체들의 4차 암모늄 기들(quaternary ammounium groups)은 270℃에서 분해되며, 종래의 poly(arylene ether sulfone)의 4차 암모늄 기보다 우수한 열적안정성을 갖는다. 전구중합체(PBPA, PBPA1, PBPA2)는 350℃까지 분해되지 않는 열적안정성을 나타냈다.
음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특성은 연료 전지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PBPA+, PBPA1+ 및 PBPA2+ 각각의 중합체에 대한 멤브레인이 파단될 때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20-35 MPa 및 40-140%이며, 이는 연료전지 내 음이온 교환막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MEAs)를 구현하기 위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도 5(a)는 PBPA+, PBPA1+ 및 PBPA2+에 대한 응력-스트레인 곡선(stress versus strain curve) 을 나타낸다. 50℃ 및 상대습도 50% 조건에서, 가장 낮은 IEC를 갖는 중합체(PBPA2+)를 포함한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35MPa)가 가장 높은 IEC를 갖는 중합체인 PBPA+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22MPa)보다 더 컸다. 또한, Diels-Alder poly(phenylene) 음이온 교환막(IEC = 1.7 mequiv/g, 최대강도 32 MPa, 최대 스트레인(strain) 40%)과 비교해보면, 상기 PBPA1+ 중합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은 유사한 인장 강도(IEC = 1.9 mequiv/g, 최대강도 33 MPa, 최대 스트레인 100%)를 나타내었으나, 파단시 현저히 향상된 연신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4차 sp3 탄소를 갖는 보다 유연한 주쇄 구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도 5(b)는 80℃에서 측정된 PBPA1+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H2/O2 분극, 고주파 저항 및 출력밀도 곡선을 나타낸다.
개방전압(open-circuit voltage)은 수소 공급형 연료전지에서 일반적인 것인1.01 V이었다. 80℃에서 최대 출력 밀도는 155 mW/cm2이고, 셀의 고주파 저항(high-frequency resistance, HFR)은 0.1 Ωcm2 미만이었다.
고주파 저항으로부터 구한 상기 멤브레인의 전도도는 19.9 S/cm이었으나, 현장 외 측정((ex situ measurement)보다 낮은 수치이며, 이는 막전극 어셈블리(MEA)에 의한 비막저항(nonmembrane resistance)에 기인한 것이며, 상기 고주파 저항은 전형적인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의 고주파 저항보다 훨씬 더 작은 수치이다.
상술한 결과들을 통해 다른 음이온 교환막 소재들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4차 암모늄 폴리(바이페닐 알킬렌)은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및 연료 전지 성능을 갖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상술한 폴리(바이페닐 알킬렌) 이외의 폴리아릴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Ⅲ에 따른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Ⅲ)
상기 화학식 Ⅲ에서, Ar은 방향족 화합물이고, R"은 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m은 0 내지 2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식 Ⅲ의 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Ar은 폴리아릴렌이고, R'은 이고, m은 0 내지 20이고, r은 100 내지 1,000,000이고, R은 아릴기이고, R"는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 , , , , 및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방향족 화합물도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케톤이다.
다른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일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마지막으로, 비록 상기 실시예들은 브롬화된 방향족 화합물 또는 트리플루오로알킬 케톤을 포함하지만, 다른 할로겐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브로모-1,1,1-트리플루오로헵탄-2-온(7-chloro-1,1,1-trifluoroheptan-2-one)은 클로로 알킬화 된 전구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친핵 치환을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암모늄기 이외에 다른 작용기(예를 들어, 알콕시(alkyloxy), 술포네이트(sulfonate), 카르복실레이트(carboxyl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가 상기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의 "하나의(a, an)" 및 "상기(the)"는 문맥 상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특징, 정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시하고 있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더 이해될 것이다.
작성된 본 설명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최선의 상태를 포함하고,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조 및 사용하고, 임의의 관련되거나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당업자가 생각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들은 청구 범위의 문자와 상이하지 않은 경우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청구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블럭 공중합체로서,
    제1 반복단위 및 제2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복단위는 제1 방향족 부분(aromatic moiety)과 상기 제1 방향족 부분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포화 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족 부분과 상기 포화 탄소는 블럭 공중합체의 제1 블럭의 백본의 일부이며; 및
    상기 제2 반복단위는 제2 방향족 부분과 상기 제2 방향족 부분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포화 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족 부분과 상기 포화 탄소는 블럭 공중합체의 제2 블럭의 백본의 일부이며,
    상기 제1 반복단위와 상기 제2 반복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포화 탄소가 4차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측쇄로 치환된 것인, 블럭 공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상기 제2 반복단위의 방향족 부분은,
    하기:
    , , ,
    , , ,
    , 및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블록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상기 제2 반복단위의 방향족 부분은,
    하기:
    , , 및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블럭 공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부분의 하나 이상이 인, 블럭 공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제2 반복단위의 방향족 부분은,
    하기:
    , 및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블록 공중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상기 제2 반복단위의 방향족 부분은,
    하기:
    , 및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블럭 공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상기 제2 반복단위의 방향족 부분이 동일한 것인, 블럭 공중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 및 상기 제2 반복단위의 포화 탄소는 4차 탄소인, 블럭 공중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암모늄 기가 N-메틸화된 기를 포함하는 것인, 블럭 공중합체.
  10. 제 1 항의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막(membrane).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37002709A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9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1144P 2014-11-18 2014-11-18
US62/081,144 2014-11-18
PCT/US2015/061036 WO2016081432A1 (en) 2014-11-18 2015-11-17 Nove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KR1020177016429A KR102492841B1 (ko)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29A Division KR102492841B1 (ko)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368A KR20230017368A (ko) 2023-02-03
KR102629918B1 true KR102629918B1 (ko) 2024-01-25

Family

ID=560144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29A KR102492841B1 (ko)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37002709A KR102629918B1 (ko)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29A KR102492841B1 (ko) 2014-11-18 2015-11-17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435504B2 (ko)
EP (1) EP3221912B1 (ko)
JP (2) JP6837967B2 (ko)
KR (2) KR102492841B1 (ko)
CN (2) CN107112563B (ko)
CA (1) CA2968110C (ko)
IL (1) IL252277B (ko)
WO (1) WO2016081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6196B2 (en) 2014-11-18 2022-02-0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P3221912B1 (en) * 2014-11-18 2024-04-03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Nove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173456B2 (en) 2016-03-03 2021-11-16 Xergy Inc. Anion exchange polymer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incorporating same
WO2018119020A1 (en) * 2016-12-20 2018-06-28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roton exchange membran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286357B2 (en) * 2017-03-03 2022-03-29 Xergy Inc. Composite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00238272A1 (en) 2017-07-06 2020-07-3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onic functionalization of aromatic polymers for ion exchange membranes
JP7126646B2 (ja) * 2017-07-24 2022-08-29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陰イオン交換樹脂、電解質膜、電極触媒層形成用バインダー、電池電極触媒層および燃料電池
CN112512668A (zh) * 2018-04-24 2021-03-16 伦斯勒理工学院 用于阴离子交换膜的芳香族聚合物的交联
US11476485B1 (en) 2018-05-31 2022-10-18 Triad National Security, Llc Polyaromatic electrolytes for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CN108987773B (zh) * 2018-07-16 2021-03-26 大连理工大学 一种三甲胺功能化聚芳基吲哚阴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20220052357A1 (en) * 2018-11-26 2022-02-17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hosphate anion-quaternary ammonium ion pair coordinated polymer membranes
US11969722B2 (en) * 2019-06-26 2024-04-30 Ffi Ionix Ip, Inc. Anionic membranes incorporating functional additives
AU2020244873A1 (en) * 2019-03-28 2021-10-21 University Of Delaware Polymers having stable cationic pendant groups for use as anion exchange membranes
CN110746561A (zh) * 2019-11-07 2020-02-04 合肥工业大学 一种含多季铵阳离子基团的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BR112022010144A2 (pt) 2019-11-25 2022-09-06 Twelve Benefit Corp Conjunto de eletrodos de membrana para redução de cox
CA3167730A1 (en) * 2020-01-22 2021-07-29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Anion-solvating polymer membranes
US11465139B2 (en) 2020-03-20 2022-10-1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hermally stable hydrocarbon-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and ionomers
CN112552488A (zh) * 2020-05-28 2021-03-26 合肥工业大学 一种含耐碱解阳离子基团和氟碳侧链的离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635963A (zh) * 2020-10-20 2023-08-22 十二益公司 半互穿和交联的聚合物及其膜
KR102458951B1 (ko) * 2020-12-29 2022-10-25 주식회사 지스핀 폴리(터페닐린) 더블하이드로옥사이드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79926A (zh) * 2021-02-02 2021-06-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聚电解质材料、其制备方法和酸性聚电解质膜
KR20230068584A (ko) * 2021-11-11 2023-05-1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플루오렌 및 바이페닐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를 이용한 수전해 시스템
US20230250207A1 (en) * 2022-02-07 2023-08-10 Orion Polymer Corp. Quaternized polyaromatics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CN114989437B (zh) * 2022-05-09 2023-11-17 嘉庚创新实验室 聚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阴离子交换膜
CN115044048A (zh) * 2022-06-29 2022-09-13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嵌段式无醚键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离子交换膜、燃料电池或液流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598A1 (en) 2001-05-30 2003-06-19 Bo Li Organic compositions
US20030134936A1 (en) 2001-10-31 2003-07-17 West Paul R. Stabilized imageable coating composition and printing plate precursor
US20140024728A1 (en) 2011-08-11 2014-01-23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Ani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s
US20140275300A1 (en) 2013-03-13 2014-09-18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Poly(arylene)-based ani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s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005A (ja) 1992-01-13 1994-07-08 Kashimakita Kyodo Hatsuden Kk レドックス電池
GB9620745D0 (en) 1996-10-04 1996-11-20 Swan Thomas & Co Ltd Alkylation and acylation reactions
DE19836514A1 (de) 1998-08-12 2000-02-17 Univ Stuttgart Modifikation von Engineeringpolymeren mit N-basischen Gruppe und mit Ionenaustauschergruppen in der Seitenkette
JP2001002738A (ja) * 1999-06-17 2001-01-09 Mitsubishi Chemicals Corp 陰イオン交換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24576A1 (de) * 2000-05-19 2001-11-22 Univ Stuttgart Kovalent und ionisch vernetzte Polymere und Polymermembranen
JP3607862B2 (ja) 2000-09-29 2005-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
US6610458B2 (en) * 2001-07-23 2003-08-26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to-press imaging
DE60214684T2 (de) * 2001-07-30 2007-09-06 Asahi Glass Engineering Co. Ltd., Chiba Anionenaustaus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ionenaustauschmembran
JP2003203648A (ja) 2002-01-07 2003-07-18 Hitachi Ltd 固体高分子電解質複合膜,膜/電極接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US6833426B2 (en) 2002-01-22 2004-12-21 Jsr Corporation Halogenated aromatic compound, (co)polymer thereof, and proton-conductive membrane comprising same
JP2004131662A (ja) 2002-10-15 2004-04-30 Nippon Kayaku Co Ltd スルホアルキル化ポリスルホン系イオン交換樹脂及びそれを含有するイオン交換膜
JP3939244B2 (ja) 2002-12-18 2007-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新規な芳香族スルホン酸エステル誘導体、ポリアリーレン、スルホン酸基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プロトン伝導膜
CA2511112A1 (en) 2004-06-30 2005-12-30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Synthesis of poly(arylene)s copolymers containing pendant sulfonic acid groups bonded to naphthalene as proton exchange membrane meterials
CN100487003C (zh) 2004-12-21 2009-05-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及含有该聚合物的质子交换膜
EP1889863A4 (en) 2005-06-09 2010-03-17 Toyo Boseki SULFONIC ACID GROUP-MAIN POLYM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UCH SULPHONIC ACID GROUP POLYME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ELECTRODE ARRANGEMENT AND FUEL CELL
US7615300B2 (en) 2005-08-30 2009-11-10 The Board of Regents University and Community College System of Nevada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Development of novel proton-conductive polymer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technology
WO2007079004A2 (en) 2005-12-28 2007-07-12 University Of Dayton Fluorinated polyarylenethioethersulfone polymers having sulfonate pendants and phenyl-endcapping groups for use as proton exchange membranes
DE102006001770A1 (de) 2006-01-12 2007-07-26 Gkss-Forschungszentrum Geesthacht Gmbh Protonenleitende Polymermembran
JP4986219B2 (ja) 2006-12-28 2012-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電解質膜
US20100041834A1 (en) 2007-04-02 2010-02-18 The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LV Incorporation of functional groups into polymers using C-H activation
US7671157B2 (en) 2007-04-02 2010-03-02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Modification of polymers having aromatic groups through formation of boronic ester groups
KR20100106985A (ko) 2007-12-25 2010-10-04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직접 액체 연료형 연료 전지용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US7888397B1 (en) * 2008-04-30 2011-02-15 Sandia Corporation Poly(phenyl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US8030405B2 (en) 2008-05-09 2011-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lended PEM's with elastomers for improved mechanical durability
US8003732B2 (en) 2008-08-25 2011-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radient reinforced proton exchange membrane
ES2564636T3 (es) 2008-08-29 2016-03-28 Ewe-Forschungszentrum Für Energietechnologie E.V. Membrana de intercambio de protones para uso en pilas de combustible de membrana de intercambio de protones
JP4606487B2 (ja) 2008-10-06 2011-01-05 株式会社トクヤマ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用陰イオン交換膜の製造方法
KR20120082007A (ko) * 2009-09-24 2012-07-20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포레이션 음이온 교환 고분자전해질
CN102044648B (zh) 2009-10-16 2013-04-10 大连融科储能技术发展有限公司 聚芳基醚苯并咪唑离子交换膜及其制备和全钒液流电池
JP5779016B2 (ja) 2010-07-30 2015-09-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解質、並びに、燃料電池、Li二次電池、二次電池及び一次電池
CA2844706C (en) 2010-10-04 2014-09-16 Saltworks Technologies Inc. Resilient anion exchange membranes
WO2012067976A1 (en) 2010-11-16 2012-05-2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aper sizing composition with salt of calcium (ii) and organic acid products made thereby,method of using, and method of making
US9457318B2 (en) 2010-12-12 2016-10-04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Anion exchange membran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CN103459526B (zh) * 2011-01-21 2016-08-17 索尔维特殊聚合物意大利有限公司 氟化的阴离子交换聚合物的液体组合物
CN103945828A (zh) 2011-11-04 2014-07-23 阿克佐诺贝尔化学国际公司 混杂树枝状共聚物、其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3129478A1 (ja) 2012-02-29 2013-09-06 株式会社トクヤマ 触媒電極層、及びその製造方法
US8809483B1 (en) 2012-09-26 2014-08-19 Sandia Corporation Functionalization of poly(phenylene) by the attachment of sidechains
US20140107237A1 (en) * 2012-10-09 2014-04-17 University Of Delaware Cation-strung side chain polymers useful in hydroxide/anion exchange membranes
KR101428550B1 (ko) 2012-11-20 2014-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4,4-비스(4-클로로페닐술폰)-1,1-비페닐 화합물로 만든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과 이들의 제조방법
US20150111128A1 (en) 2012-12-28 2015-04-23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N103146009B (zh) * 2013-02-04 2015-04-22 南京理工大学 一种复合型阴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9233345B2 (en) 2013-02-14 2016-01-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nion transport membrane
KR20150060159A (ko) 2013-11-26 2015-06-03 김애란 부분 불소화 및 테트라 술폰화된 연료전지용 블록 코폴리머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94490B (zh) 2013-12-16 2016-06-15 陕西煤业化工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聚酰亚胺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9534097B2 (en) 2014-04-25 2017-01-03 Sandia Corporation Poly(phenylene alkylene)-based lonomers
CN106536583A (zh) 2014-07-22 2017-03-22 伦斯勒理工学院 阴离子交换膜和用于该阴离子交换膜的聚合物
JP6206445B2 (ja) * 2014-07-25 2017-10-04 Jsr株式会社 回路基板用樹脂基板、回路基板用樹脂組成物および回路基板
US9580541B1 (en) 2014-11-05 2017-02-28 Sandia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durable polymers including poly(phenylene)
US11236196B2 (en) 2014-11-18 2022-02-0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P3221912B1 (en) 2014-11-18 2024-04-03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Nove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170799B2 (en) 2014-12-15 2019-01-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element liquid metal battery
WO2017120250A1 (en) 2016-01-04 2017-07-13 Sandia Corporation Functionalization of diels-alder polyphenylene polymers
US10294325B2 (en) 2016-01-04 2019-05-21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Halo-containing anion exchange membranes and methods thereof
US10053535B2 (en) 2016-01-04 2018-08-21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Poly(phenylene)-based anion exchange polymers and methods thereof
US11173456B2 (en) 2016-03-03 2021-11-16 Xergy Inc. Anion exchange polymer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incorporating same
CN109070022B (zh) 2016-03-28 2022-09-20 特拉华大学 用作氢氧化物交换膜和离聚物的聚(芳基哌啶鎓)聚合物
CN106040318B (zh) 2016-06-03 2018-06-15 合肥工业大学 基于吡唑鎓盐的阴离子交换膜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8119020A1 (en) 2016-12-20 2018-06-28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roton exchange membran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00223997A1 (en) 2017-07-06 2020-07-16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onic functionalization of aromatic polymers for ion exchange membranes
US20200238272A1 (en) 2017-07-06 2020-07-3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onic functionalization of aromatic polymers for ion exchange membranes
EP3687671A4 (en) 2017-09-28 2022-02-16 University of Delaware of Newark POLY(ARYL PIPERIDINIUM) POLYMERS, INCLUDING THOSE WITH STABLE CATIONIC PENDANT GROUPS, FOR USE AS ANION EXCHANGE MEMBRANES AND IONOMERS
CN112512668A (zh) 2018-04-24 2021-03-16 伦斯勒理工学院 用于阴离子交换膜的芳香族聚合物的交联
US20220052357A1 (en) 2018-11-26 2022-02-17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hosphate anion-quaternary ammonium ion pair coordinated polymer membranes
CA3167730A1 (en) 2020-01-22 2021-07-29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Anion-solvating polymer membra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598A1 (en) 2001-05-30 2003-06-19 Bo Li Organic compositions
US20030134936A1 (en) 2001-10-31 2003-07-17 West Paul R. Stabilized imageable coating composition and printing plate precursor
US20140024728A1 (en) 2011-08-11 2014-01-23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Ani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s
US20140275300A1 (en) 2013-03-13 2014-09-18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Poly(arylene)-based ani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2563B (zh) 2020-07-10
US10435504B2 (en) 2019-10-08
CN107112563A (zh) 2017-08-29
KR20170095867A (ko) 2017-08-23
US11286337B2 (en) 2022-03-29
IL252277A0 (en) 2017-07-31
JP6929978B2 (ja) 2021-09-01
JP6837967B2 (ja) 2021-03-03
US20200055980A1 (en) 2020-02-20
WO2016081432A1 (en) 2016-05-26
EP3221912A4 (en) 2018-07-18
US11834550B2 (en) 2023-12-05
CN111647138A (zh) 2020-09-11
US20220227921A1 (en) 2022-07-21
US20170355811A1 (en) 2017-12-14
JP2018502180A (ja) 2018-01-25
US20240141097A1 (en) 2024-05-02
CA2968110A1 (en) 2016-05-26
KR20230017368A (ko) 2023-02-03
CA2968110C (en) 2023-10-10
JP2020059862A (ja) 2020-04-16
EP3221912A1 (en) 2017-09-27
CN111647138B (zh) 2023-09-12
EP3221912B1 (en) 2024-04-03
IL252277B (en) 2020-04-30
KR102492841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918B1 (ko) 신규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236196B2 (en)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KR102061633B1 (ko)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기반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JP6036297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成型体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1545229B1 (ko) 모폴리니움 작용기를 갖는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음이온 교환막
JP7087315B2 (ja) 高分子電解質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触媒層付き電解質膜、膜電極複合体、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電気化学式水素ポンプおよび水電解式水素発生装置
Liu et al. A novel anion exchange membrane based on poly (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with excellent alkaline stability for AEMFC
KR101461417B1 (ko) 아민 화합물로 개질된 과불소화설폰산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5694A (ko) 음이온 교환 막 및 이오노머로서 사용하기 위한 산화 저항성 중합체
KR20190037887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6872B1 (ko)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기반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KR101750412B1 (ko) 폴리페닐렌계 친수성 주쇄 구조를 갖는 음이온 전도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음이온 이온전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90026133A (ko) 아민화된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4931A (ko) 술폰화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술폰 나이트릴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막
KR102608992B1 (ko) 측쇄형 관능기를 갖는 강직한 주쇄형 음이온 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Ja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midazolium linear bisphenol polycarbonate hydroxides for anion exchange membrane
KR20220038839A (ko) 폴리플로우렌계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8096A (ko) 신규한 가지부 함유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2160A (ko) 가교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막, 및 상기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막
Ekatan Thiol-ene Photo Crosslinking Polymeriza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Developing Hydroxide Exchange
KR20140049392A (ko) 테트라 4급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테트라페닐 프탈라진 에테르 술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