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523B1 -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523B1
KR102616523B1 KR1020227040326A KR20227040326A KR102616523B1 KR 102616523 B1 KR102616523 B1 KR 102616523B1 KR 1020227040326 A KR1020227040326 A KR 1020227040326A KR 20227040326 A KR20227040326 A KR 20227040326A KR 102616523 B1 KR102616523 B1 KR 10261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footwear
intelligent electronic
remote comp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988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앤던
재미언 알 코빗
비크람 말호트라
히엔 토미 팜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3704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296A/ko
Publication of KR2022015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9/00Attachments for footwea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7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parts worn by the driver, e.g. clothes, gloves or bags, specially adapted to provide auxiliary vehicle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9Sport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2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event-trigge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 G01S19/49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whereby the further system is an inertial position system, e.g. loosely-cou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컨트롤러 자동화 특징을 갖는 지능형 전자 신발류, 이러한 신발류를 제조/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지능형 전자 신발[intelligent electronic shoe(IES)]은 사용자의 발에 부착되는 갑피와, 갑피에 부착되고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되는 경보 시스템은 전자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출력을 생성한다. 또한, IES 시스템은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과 통신하는 신발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및 원격 컴퓨팅 노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을 결정하고, 그러한 경우, 사용자/차량에 알리기 위하여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우선권 주장 및 관련 출원에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14일 출원되었고 이제 허여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220,403호의 국제(PCT) 출원이고, 2018년 8월 28일 출원되었고 이제 미국 등록 특허 제10,178,890 B1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114,632호의 계속 출원이며, 2018년 5월 31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796호의 이익 및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의류의 자동화된 특징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 부츠, 슬리퍼, 샌들 등과 같은 신발류 물품은 대체로 다음의 2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신발류를 사용자의 발에 고정하기 위한 갑피; 및 발에 대한 하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밑창 구조체. 갑피는 발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외피(shell) 또는 하니스를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되는 - 텍스타일, 발포체(foam), 폴리머, 천연 및 합성 가죽 등을 포함하는 -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샌들과 슬리퍼의 경우, 갑피는 개방된 토우 또는 힐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발등 위로, 그리고 일부 디자인에서는 발목 주위로 연장되는 일련의 스트랩으로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부츠와 신발 디자인은 폐쇄된 토우 또는 힐 구성을 갖는 전체 갑피와, 신발류의 내부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후방 쿼터 부분을 통한 발목 개구를 포함하여, 갑피 내로의 발의 진입 및 갑피로부터의 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신발끈 또는 스트랩은 발을 갑피 내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대체로 갑피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운동화를 포함하는 많은 신발류 물품에서,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안락함을 향상시키는 안창, 충격 약화 중창 및 표면 접촉 겉창을 포함하는 적층된 구성이다. 갑피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안창은 사용자의 발의 하부에 대하여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얇고 압축 가능한 부재이다. 이에 비해, 중창은 겉창 아래에 장착되어 밑창 구조체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지면 반력을 줄이는 것에 더하여, 중창은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안정성을 부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중창의 아래쪽에는 신발류의 지면 접촉 부분을 형성하는 겉창이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마찰력(traction)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하는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다.
자동화된 신발류 성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반된 제어 로직을 갖는 지능형 전자 신발류, 이러한 신발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용하는 방법,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의 자동화된 특징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예로서, 신발과 자동차 사이의 통신, 즉 F2V[footwear-to-vehicle(신발류 대 차량)] 통신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지능형 전자 신발[intelligent electronic shoe(IES)]과 무선 통신하는 IoAAF[Internet of Adaptive Apparel and Footwear(적응형 의류 및 신발류 인터넷)]이 제공된다. 승차 공유(ride-sharing)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등록된 운전자는 개인 스마트 폰 또는 다른 휴대용 장치에서 작동하는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app)") 또는 웹 기반 애플릿(applet)을 통해 승차 요청 승객과 페어링된다. 페어링되면, 승객은 - IES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 도로 경계석에서 승차 공유 운전자를 기다릴 수 있다. 운전자가 대기하고 있는 승객을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승객이 군중 속에서 대기하고 있거나 번잡한 인도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IES는 운전자가 승객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명(hailing) 특징을 자동화할 것이다. 특히, IES는 승객과 운전자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한다; 승객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운전자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다고 결정한 것에 따라, IES는 승객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시각 또는 청각 출력을 자동으로 생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신발의 중창에 빌트인된 IES 프로세서는 빌트인 신발 광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발행하여, 광이 밝아지게 하거나, 번쩍이게 하거나, 색상을 바꾸게 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IES 프로세서는, 승객이 운전자를 식별하는 것을 돕도록 차량 경적 또는 차량 광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것과 같이, 시각 또는 청각 출력을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차량 제어 시스템에 명령 프롬프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IES와 승차 공유 운전자의 자동차와 같은 원격 전자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IES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휴대용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된 통신 세션을 피기배킹(piggyback)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ES는 신발 구조체 내에 패키징된 상주 무선 통신 장치를 갖는 독립형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주변 하드웨어는, 모두 신발 구조체 내부에 수용되는, 상주 메모리, 단파 안테나, 충전식 배터리, SIM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ES에는 사용자가 신발류 및/또는 IoAAF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HMI)]가 갖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EAP)] 센서는 신발 구조체에 장착된 패치로 짜이거나 형성되어 사용자가 IES의 작동 양태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임의의 수반된 작업은 IES 프로세서를 통해 로컬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스마트 폰, 휴대용 컴퓨팅 장치, IoAAF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분산 컴퓨팅 방식으로 오프보드(off-board)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원하는 신발류 특징의 실행은 초기에 IES 프로세서 및/또는 IoAAF 시스템 서버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의 보안 인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구조체 구조 내의 분산된 센서 어레이는 사용자의 체중(예컨대, 압력 센서를 통해), 신발 크기[예를 들어, EARL(Electro Adaptive Reactive Lacing)을 통해], 발가락 지문(예를 들어, 광학 지문 센서를 통해)을 확인하는 것 또는 기타 적합한 방법과 같은 생체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IES 프로세서와 통신한다. 이 개념의 연장으로서, 임의의 전술한 감지 장치는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려고 시도할 때 IES가 사용자의 발에 실제로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진(binary)(ON/OFF)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안 인증이 확립되면, 지능형 전자 신발은 또한 지불하거나 지불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또는 상용 트랜잭션(transaction)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자동화된 특징의 실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무선 데이터 교환을 제공하는 것은 IES가 IoAAF 시스템에 등록되는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IES 일련 번호를 IoAAF 시스템에 기록할 수 있고, 그러면, IoAAF 시스템은 추가 인증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 계정,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랩탑에서 작동하는, "디지털 사물함(digital locker)"에 인증 키를 발행할 것이다. 등록은, 예를 들어, 사용자를 통해 수동으로, 또는, 예를 들어, 신발에 있는 바코드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완료될 수 있다. 고유 가상 신발이 IES에 할당되고 디지털 사물함에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신발은 암호화 해시 기능, 신뢰할 수 있는 타임 스탬프, 상관 트랜잭션 데이터 등과 같은 고유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 보안 기술로 뒷받침될 수 있다. 적절하게 확인되면, IES는 콘서트, 영화, 스포츠 행사, 비행기, 기타 대중 교통 등에 대한 입장을 위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새로운 개념에 대한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신발류 물품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개시된 선택 사항 및 특징 중 많은 것은 의류, 머리 착용류, 안경류, 손목 착용류, 목 착용류, 다리 착용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착용 가능한 의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양태는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된 제어 시스템 및 수반된 로직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에 부착되는 갑피와, 갑피에 부착되어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신발류 물품의 가장 아래의 지면 결합 부분을 정의하는 겉창을 포함한다. 신발의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된 컨트롤러 자동화 경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자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IES 시스템은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과 통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신발류에 상주하거나 신발류로부터 원격에 있을 수 있는 이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 및 원격 컴퓨팅 노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지 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의 위치의 미리 정해진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시스템 컨트롤러는 사용자 및/또는 차량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예를 들어, 이에 의해 한 당사자 또는 양 당사자에게 이들의 상대적인 근접도/위치를 알린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 양태는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및 장치를 조립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에서, 사용자의 발을 위한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대표적인 방법은, 임의의 순서로 그리고 위 또는 아래의 개시된 특징 및 선택 사항의 임의의 것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갑피를 제공하는 단계;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 - 밑창 구조체는 신발류의 지면 결합 부분을 정의하는 겉창을 가짐 -; 밑창 구조체를 갑피에 부착하는 단계;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컨트롤러 자동화 경보 시스템을 장착하는 단계 - 경보 시스템은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시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무선 통신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 무선 통신 장치는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주 컨트롤러를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상주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광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컴퓨팅 노드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노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그리고, 미리 정해진 경보를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지능형 전자 신발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대표적인 방법은, 임의의 순서로 그리고 위 또는 아래의 개시된 특징 및 선택 사항의 임의의 것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상주 또는 원격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주 또는 원격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위치되는지 노드 위치의 미리 정해진 근처에 위치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가 사용자 및/또는 자동차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상주 컨트롤러 자동화 경보 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예를 들어, 한 당사자 또는 양 당사자에게 이들의 상대적인 근접도/위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들은 자동화된 조명 성능을 갖는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이에 부착된 갑피를 포함한다. 갑피의 하부에 부착되고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밑창 구조체는 신발류의 접지면을 형성하는 겉창을 포함한다. 상주 경보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전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상주 무선 통신 장치는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자동차, 원격 백엔드 서버 컴퓨터, 미들웨어 노드,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전용 소프트웨어 앱 등과 같은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위의 예를 계속하면, 신발류에는 또한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주 컨트롤러가 갖추어 진다. 이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원격 컴퓨팅 노드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그 다음,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지/노드의 현재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 상주 컨트롤러는 응답하여 사용자/차량에 이들의 상대적 접근을 알리는 미리 정해진 경보를 생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전송한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차동차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프롬프트되는 시각 출력은 차량의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intens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IES 경보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프롬프트되는 청각 출력은 차량의 경적 시스템,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또는 청각 출력을 생성할 수 있는 기타 차량 서브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청각 출력을 IES 경보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오디오 출력과 통합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는 스마트 폰, 태블릿 및/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 연결을 통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경보 시스템은 신발 구조체에 장착되는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의 명령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을 때/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haptic cue)를 생성하게 한다. 동일한 맥락에서, 경보 시스템은 신발 구조체에 장착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의 명령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을 때/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오디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게 한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거주용 또는 상업용 보안 시스템을 위한 중앙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들어가고(또는 벗어나고) 있거나 또는 보안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거주지 또는 빌딩의 근처 내에 있을 때 비활성화(또는 활성화) 명령 신호를 보안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원격 컴퓨팅 노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위한 중앙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관된 가정 또는 가정 내의 특정 방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및/또는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명령 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근접도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지오펜스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 또는 IES의 검출에 따라 원격 컴퓨팅 노드 또는 IES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압력 센서가 신발 구조체에 장착되어 갑피 내의 발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명령 신호는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가 검출될 때에만 IES 경보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에서의 발 존재 감지는, 압력/힘 감지, 커패시턴스 감지, 자기 신호 감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압력 센서는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판독값으로부터, 신발류 컨트롤러는 현재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즉, 등록된 사용자에게 인증됨)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검증되면, 신발류 컨트롤러는 명령 신호를 IES 경보 시스템으로 전송할 것이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IES는 갑피에 부착되는 IES는 신발끈과,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 및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스트랩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끈 모터(lace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신발끈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끈 모터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을 때에만 IES 경보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하여, 장력 인가 상태는 다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ES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에 대한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는 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즉, 등록된 사용자에게 인증됨)에 대응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끈 센서와 통신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검증되면, 신발류 컨트롤러는 명령 신호를 IES 경보 시스템으로 전송할 것이다. 모터식 끈 묶음 및 제스처 제어 성능을 갖는 신발류에 관한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6/0262485호 및 제2018/0020764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각각의 전체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인식은, 예를 들어, 사용자를 인증/검증하기 위하여(단독으로 또는 스마트폰 상의 검증과 조합하여), 신발 내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걸음걸이(gait) 프로파일링 및 분석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임의의 개시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일부로서,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ES 경보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출력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설계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인코딩된 깜박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무선 통신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광역 CAT(category) M1 및/또는 협대역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바코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 태그가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 이 특징들은 보안 인증 코드를 원격 컴퓨팅 노드로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요약은 본 개시 내용의 모든 실시예 또는 모든 양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전술한 요약은 단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새로운 개념 및 특징 중 일부의 예시를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전술한 특징 및 이점과 다른 특징 및 수반하는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함께 취해질 때 본 개시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예 및 대표적인 모드에 대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본 개시 내용은 위 및 아래에서 제공되는 요소 및 특징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 및 하위 조합을 명확하게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갖는 대표적인 지능형 전자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표적인 지능형 전자 신발의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IES 시스템과의 무선 데이터 교환 동안 도 1 및 2의 지능형 전자 신발 한 켤레를 착용한 대표적인 사용자의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개념의 양태들에 따라 상주 또는 원격 제어 로직 회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또는 기타 컴퓨터 기반 장치 또는 장치 네트워크에 의해 실행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 프로토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대표적인 건물에 들어가도록 보안 시스템의 비활성화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도 1 및 2의 지능형 전자 신발 한 켤레를 착용한 대표적인 사용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시스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도 1 및 2의 지능형 전자 신발 한 켤레를 착용한 대표적인 사용자의 평면도이다.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며, 일부 대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신규한 양태들은 상기 열거된 도면에 예시된 특정 형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 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등가물, 조합, 하위 조합, 치환(permutation), 그룹화 및 대안을 포괄하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시된 예들이 본 개시 내용의 광범위한 양태들의 제한이 아니라 개시된 원리의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이해와 함께, 본 개시 내용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한 범위에서, 요약 섹션, 기술분야 섹션, 배경기술 섹션, 발명의 내용 섹션 및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섹션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청구범위에서 명시되지 않은 요소 및 한정은 암시, 추론 또는 기타에 의해 단독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청구범위에 통합되어서는 안 된다.
본 상세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별히 부인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and)" 및 "또는(or)"이라는 단어는 결합적이기도 하고 분리적이기도 할 것이다; "임의의(any)" 및 "모든(all)"이라는 단어는 모두 "임의의 그리고 모든(any and all)"을 모두 의미할 것이다; 그리고,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mprising)" 및 "갖는(having)"이라는 단어는 각각 "제한 없이 포함하는(including without limitation)"을 의미할 것이다. 더욱이, "약(about)", "거의(almost)",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대략(approximately)" 등과 같은 근사에 대한 단어는, 예를 들어, "~에(at), 가까이(near), 또는 ~에 가까이(near at)" 또는 "~의 0 내지 5% 이내에(within 0-5% of)" 또는 "허용 가능한 제조 공차 이내" 또는 이들의 임의의 논리적 조합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측(fore), 뒷측(aft), 내측(medial), 외측(lateral), 근위(proximal), 원위(distal), 수직(vertical), 수평(horizontal), 앞(front), 뒤(back), 왼쪽(left), 오른쪽(right)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형용사 및 부사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고 밑창 구조체의 베이스가 평탄한 표면 상에 안착되어 작동 가능하게 배향될 때의 신발류 물품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가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고 논의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운동화 또는 "스니커"로서 묘사된 대표적인 신발류 물품이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신발류(10) - "지능형 전자 신발(intelligent electronic shoe)" 또는 간단 "IES"라고도 한다 - 는 단지 본 개시 내용의 새로운 양태들 및 특징들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이다. 동일한 맥락에서, 인간의 발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대한 본 개념의 구현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많은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신발 구성에 통합될 수 있고 임의의 논리적으로 관련된 유형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신발(shoe)" 및 "신발류(footwear)"라는 용어는 이들의 치환을 포함하여, 발에 착용되는 임의의 관련 유형의 외피(garment)를 지칭하기 위해 상호 교환 가능하게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에 표시된 특징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설명적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치수 및 상대적 치수는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대표적인 신발류(10) 물품이 주로 아래의 밑창 구조체(14)의 상부에 장착된 발 수용 갑피(12)로 구성된 이분 구조로서 도 1 및 2에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참조의 편의를 위하여, 신발류(10)는 다음의 3개의 해부학적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영역(RFF), 중족 영역(RMF) 및 후족 영역[힐(heel)] 영역(RHF). 또한, 신발류(10)는 수직 평면을 따라 외측(lateral) 세그먼트(SLA) - 인체의 시상면(sagittal plane)으로부터 가장 먼 신발(10)의 원위 절반 - 및 내측(medial) 세그먼트(SME) - 인체의 시상면에 가장 가까운 신발(10)의 근위 절반 - 로 분할될 수 있다. 인식된 해부학적 분류에 따라, 전족 영역(RFF)은 신발류(10)의 앞쪽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지골(phalange)(발가락), 중족골(metatarsal) 및 이들의 임의의 상호 연결 관절에 대응한다. 전족 및 후족 영역(RFF, RHF) 사이에 일반적으로 설상골(cuneiform bone), 주상골(navicular bone) 및 투자골(cuboid bone)(즉,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하는 중족 영역(RMF)이 있다. 대조적으로, 힐 영역(RHF)은 신발류(10)의 뒤쪽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거골(talus bone) 및 종골(calcaneus bone)에 대응한다. 신발류(10)의 외측 및 내측 세그먼트(SLA 및 SME) 모두는 3개의 해부학적 영역(RFF, RMF, RHF) 모두를 통해 연장되며, 각각은 신발류(10)의 각각의 횡 방향 측면에 대응한다. 사용자의 왼발에 대한 단지 하나의 신발(10)만이 도 1 및 2에 도시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른발에 대한 거울 대칭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응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신발(10)의 형상, 크기, 재료 구성 및 제조 방법은 현실적으로 임의의 통상적이거나 비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갑피(12)는 다음의 3개의 상호 연결된 섹션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해지는 폐쇄된 토우 및 힐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발가락을 덮어 보호하는 토우 박스(12A), 토우 박스(12A)의 뒤에 있고 끈 아일렛(lace eyelet)(16)과 설포(tongue)(18) 주위로 연장되는 뱀프(vamp)(12B) 및 뱀프(12B)의 뒤에 있고 뒷꿈치를 덮는 갑피(12)의 후방 및 측부를 포함하는 쿼터(12C). 신발류(10)의 갑피(12) 부분은 발을 편안하게 수용하기 위한 내부 보이드를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되거나, 용접되는, 텍스타일, 발포체, 폴리머, 천연 및 합성 가죽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갑피(12)의 개별 재료 요소는, 예를 들어, 내구성, 공기 투과성, 방수성, 유연성 및 편안함의 특성들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도록 신발류(10)에 대하여 선택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갑피(12)의 후방 쿼터(12C) 내의 발목 개구(15)는 신발(10) 내부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신발끈(20), 스트랩, 버클 또는 다른 통상적인 메커니즘은 갑피(12)에서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10)의 내부 내에서 발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갑피(120)의 둘레 치수(girth)를 수정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신발끈(20)은 갑피(12) 내의 일련의 아일렛을 통해 꿰어질 수 있다; 설포(18)는 끈(20)과 갑피(12)의 내부 보이드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4)는 밑창 구조체(14)가 갑피(12)와 사용자가 서 있는 지지 표면[예를 들어, 도 3의 지면(GS1)]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갑피(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사실상, 밑창 구조체(14)는 사용자의 발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중간지지 플랫폼으로서 기능한다. 지면 반력을 감소시키고 발에 쿠션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도 1의 밑창 구조체(14)는 마찰력(traction)을 제공하고, 안정성을 부여하며, 부주의한 발 반전(inversion) 및 외전(eversion)과 같은 다양한 발 동작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 따라, 밑창 구조체(14)는 최상부 안창(22), 중간 중창(24) 및 최하부 겉창(26)을 갖는 샌드위치 구조로서 제작된다. 안창(22)은, 안창(22)이 발의 발바닥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신발류(10)의 내부 보이드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갑피(12)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다. 안창(22) 아래에는 신발류(10)의 편안함, 성능 및/또는 지면 반력 감쇠 특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내장된 요소를 포함하는 중창(24)이 있다. 이러한 요소 및 재료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와 같은 폴리머 발포체 재료, 충전재, 조절재(moderator), 공기 충전 블래더, 플레이트, 지속 요소 또는 모션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10)의 일부 구성에서는 없을 수 있는 겉창(26)은 중창(24)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겉창(26)은 지면과 결합하기 위하여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겉창(26)은 신발류(10) 및 밑에 있는 지지 표면 사이의 마찰력(즉,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텍스처링될 수도 있다.
도 3은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13)에 의해 착용된 한 켤레의 지능형 전자 신발(10)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하여 무선 데이터 교환을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30으로 표시된, 예시적인 IES 데이터 네트워크 및 통신 시스템의 부분 개략도이다. 단일 자동차(32)를 이용하여 IES 시스템(30)을 통해 통신하는 단일 사용자(13)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사용자가 정보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교환하기 위하여 적합하게 갖추어진 임의의 개수의 자동차 또는 다른 원격 컴퓨팅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도 3의 IES(10) 중 하나 또는 양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8)를 통해 원격 호스트 시스템(34)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IES(10)와 IES 시스템(30) 사이의 무선 데이터 교환은, 예를 들어, IES(10)가 독립형 장치로서 갖추어진 구성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40), 스마트 워치(42), WiFi(wireless fidelity) 노드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 상으로 IES(10)를 페어링하고 피기배킹(piggy backing)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ES(10)는, 예를 들어,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Bluetooth® 유닛 또는 NFC 트랜스시버), DSRC(short-range communications) 컴포넌트, 라디오(radio) 안테나 등을 통해, 자동차(32)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IES(10) 및 IES 시스템(30)의 선택된 컴포넌트만이 도시되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논의된 시스템 및 장치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추가적이고 대안적인 특징들과 기타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및 잘 알려진 주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호스트 시스템(34)은 대량 데이터 처리, 리소스 계획 및 트랜잭션 처리를 다룰 수 있는 고속 서버 컴퓨팅 장치 또는 메인 프레임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시스템(34)은 특정 트랜잭션을 완료하도록 하나 이상의 "서드 파티(third party)" 서버와의 임의의 필요한 데이터 교환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인터페이스에서 호스트로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은 IoT[Internet of Things(사물 인터넷)], WoT[(Web of Things(사물 웹)], IoAAF[Internet of Adaptive Apparel and Footwear(적응형 의류 및 신발류 인터넷)] 및/또는 M2M(machine-to-machine) 서비스를 위한 미들웨어로서 작동할 수 있어, 다양한 이기종 전자 장치를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와 연결한다. 일례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은 이기종 장치를 동적으로 온보딩하고, 각각의 이러한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하나 이상의 목적지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처리 및 전송을 위하여 재구성 가능한 처리 로직을 통해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들웨어 노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38)는 공용 분산 컴퓨팅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및 보안 사설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 광역 네트워크, 가상 사설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무선 및 유선 전송 시스템(예를 들어, 위성, 셀룰러 네트워크, 지상파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IES(10)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트랜잭션 기능은 모두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은 사용자(13) 및 IES(10)의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신발류(10)에는 핸즈프리, 충전식 및 지능형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내장형 전자 하드웨어가 갖추어 진다. IES(10)의 다양한 전자 컴포넌트는 신발류(10)의 밑창 구조체(14) 내부에 패키징된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도 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자 컨트롤러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신발류 컨트롤러(44)는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주형인지, 원격형인지 또는 이들의 조합의 여부에 관계없이, 논리 회로, 전용 제어 모듈, 전자 제어 유닛,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집적 회로 장치. 예로서, 신발류 컨트롤러(44)는 마스터 프로세서, 슬레이브 프로세서, 및 보조 또는 병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44)는 IES(10)와 버스, 컴퓨터, 프로세서, 장치, 서비스 및/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IES(10)의 밑창 구조체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4)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방법 및/또는 기타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루틴은, 컨트롤러(44)의 지속적인 사용 또는 작동 중에,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체계적으로, 산발적으로 및/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를 들어, 100 마이크로 초, 3.125, 6.25, 12.5, 25 및 100 밀리초 마다 등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신발류(10)의 밑창 구조체(14) 내부에 패키징된 상주 신발류 메모리(46)와 같은 상주 또는 원격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와 통신할 수 있다. 상주 신발류 메모리(46)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중 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리드 온리 메모리(ROM) 또는 EEPROM]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와의 장거리 통신 성능은 셀룰러 네트워크 칩셋/컴포넌트, 위성 서비스 칩셋/컴포넌트 또는 무선 모뎀 또는 칩셋/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도 2에서 집합적으로 48로 표시된다. 근거리 무선 연결은 BLUETOOTH® 트랜시버, RFID 태그, NFC 장치, DSRC 컴포넌트 또는 라디오 안테나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집합적으로 50으로 표시된다. 플러그-인 또는 케이블 프리(유도 또는 공명) 충전 성능을 갖춘 리튬 이온 배터리(52)와 같은 상주 전원은 신발류(10)의 갑피(12) 또는 밑창 구조체(14)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CAT(category) M1 또는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통해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통신 장치는 F2V[footwear-to-vehicle(신발류 대 차량)] 정보 교환, 예를 들어, F2I[footwear-to-infrastructure(신발류 대 인프라스트럭처)], F2P(footwear-to-pedestrian[신발류 대 보행자)] 또는 F2F[footwear-to-footwear(신발류 대 신발류)]인 F2X[footwear-to-everything(신발류 대 모든 것)] 정보 교환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체계적 또는 주기적 비콘 메시지의 일부로서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ES(10) 및 이에 따른 사용자(13)의 위치 및 움직임은 밑창 구조체(14) 또는 갑피(12) 내부에 상주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장치(54)를 통해 추적될 수 있다. 위치는 위성 기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Beacons, BLUETOOTH, WiFi 또는 기타 적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GPS 시스템은 적합한 GPS 트랜시버와 통신하여 실시간으로 시간 스탬핑된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를 생성하는 궤도 GPS 위성의 협력 그룹을 사용하여 지구 상의 사람, 자동차 또는 기타 대상 물체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상 물체가 보유한 GPS 수신기의 절대 위도 및 절대 경도 위치 좌표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GPS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경과된 시간에 대한 정보, 전체 이동 거리, 특정 위치에서의 해발 고도 또는 고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의 고도 변화,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GPS 데이터의 집계된 집합은 사용자(13)의 예측된 경로를 추정하기 위해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GPS 시스템 데이터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합적으로, 가속도계 기반 또는 기타 만보계 기반 속도 및 거리 데이터를 보완하고 선택적으로는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GPS 위성 시스템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정확한 센서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최적의 시스템 작동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IES(10)에 의한 사용을 위해 보정 계수 및/또는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GPS 수신기가 없더라도, IES(10)은 "삼변 측량(trilateration)"으로서 알려진 프로세스를 통한 셀룰러 시스템과의 협력을 통해 위치 및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의 타워와 기지국(base station)은 무선 신호를 전달하고 셀 네트워크로 배열된다. IES(10)와 같은 셀룰러 장치에는 가장 가까운 타워, 기지국, 라우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저전력 송신기가 갖추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IES(10)와 함께, 예를 들어, 하나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은 송신기 신호의 강도를 모니터링한다. IES(10)가 하나의 셀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이동할 때, 송신기 신호 강도는 현재 타워에 대하여 감소한다. 동시에, 접근하는 셀 내의 기지국은 신호에서의 강도 증가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셀 내로 이동함에 따라, 타워들은 신호를 하나의 타워에서 다음 타워로 전송한다.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셀 타워(들)에 대한 접근 각도, 개별 신호가 다수의 타워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각각의 시간, 그리고 대응하는 타워에 도달할 때 각각의 신호의 해당하는 강도와 같은 송신기 신호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IES(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념의 다른 양태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장치가 신발 구조체에 통합되어 하나 이상의 축에 주위로 또는 하나 이상의 축을 따라 확립된 데이터 또는 레퍼런스(예를 들어, 위치, 공간적 배향, 반응, 힘, 속도, 가속도, 전기적 접촉 등)에 대한 IES(10)의 동적 움직임(예를 들어, 병진 운동, 회전, 속도, 가속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집합적으로 참조하면, 신발류(10) 물품에는 신발 구조체 및 이의 주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하여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를 갖는 상주 조명 시스템(56)이 갖추어질 수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 ELP(electroluminescent panel), CFL(compact fluorescent lamp), 고강도 방전 램프, 가요성 및 비가요성 유기 LED 디스플레이, 평면 패널 LCD(liquid-crystal display) 및 기타 사용 가능한 유형의 조명 요소를 포함하는 상이한 유형의 조명 장치가 조명 시스템(5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조명 장치가 신발(10)의 임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 장치(58)는 신발류(10)의 중족 영역(RMF) 내에 위치된 밑창 구조체(14) 내부에 패키징된다. 제1 조명 장치(58)는 신발(10)의 외측 상에서 밑창 구조체(14)의 주변 벽을 통해 연장되는 프레임 어퍼처(aperture)를 밀봉하는 윈도우(60)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 설정된다. 이 조명 장치(58)는 조명된 상태 또는 "ON" 상태, 조명되지 않은 상태 또는 "OFF" 상태, 일련의 조명 강도(예를 들어, 낮은 광 출력, 중간 광 출력 및 높은 광 출력), 다양한 색상 및/또는 다양한 조명 패턴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조명 장치(58)는 갑피(12)의 일부, 밑창(14)의 일부 및 IES(10)에 인접한 지면(GS1)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명한다.
이제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의 IES(10)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대한 자동화된 특징,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또는 제어 전략이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에 따라 100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메인 또는 보조 또는 원격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개시된 개념과 연관된 전술되거나 후술되는 기능들의 임의의 기능 또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상주 또는 원격 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CPU), 제어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모듈이나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 실행 가능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동작 블록들의 실행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추가 블록들이 추가될 수 있고, 설명된 블록들의 일부는 수정되거나,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방법(100)은 프로토콜이 도 1의 IES(10)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초기화 절차를 호출하도록 도 2의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또는 제어 모듈 또는 유사하게 적합한 프로세서에 대한 프로세스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이용하여 단말 블록(101)에서 시작한다. 이 루틴은, 지능형 전자 신발(10)의 사용 중에,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체계적으로, 산발적으로 및/또는 규칙적인 간격 등으로 호출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의 IES 데이터 네트워크 및 통신 시스템(30)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대표적인 구현으로서, 블록(101)에서의 초기화 절차는 사용자(13)가 스마트 폰(40) 또는 스마트 워치(42)를 통해 승차 공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때마다 또는 사용자(13)가 승차 공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승차를 통해 승차 공유 운전자/차량(32)과 페어링될 때마다 시작될 수 있다. 전술한 휴대용 컴퓨팅 장치 중 하나에서 작동하는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기반 애플릿을 활용하여, 승차 요청 클라이언트(13)는 승차 공유 서버 시스템(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으로 표시된 UBER®, LYFT® 등)에 등록된 승차 공유 운전자[예를 들어, 자동차(32)의 운전자]와 페어링된다. 예시된 예는 운전자의 개인 소유 자동차에서 단일의 예상 운전자(다른 개인)로부터 운송을 공급받는 단일 승객(개인)을 묘사한다. 그러나, IES 시스템(30)이 임의의 논리적으로 관련된 유형의 자동차를 운전하는 임의의 수의 등록된 운전자로부터 승차를 요청하는 임의의 수의 예상 승객을 포함하는 것이 구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모든 운전자는 개인, 고용 또는 계약 직원, 대중 교통, 개인 자동차 또는 택시 서비스, 자율 주행 차량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IES(10)과 IES 시스템(30) 사이의 트랜잭션은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 블록(103)에서 인증 프로세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인증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적절한 활성화 및/또는 장치 사용자의 유효한 신원을 확인하는 1차 또는 2차 소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패스워드, PIN 번호, 신용 카드 번호, 개인 정보, 생체 인식 데이터, 사전 정의된 키 시퀀스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의 수동 입력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 계정, 예를 들어, NIKE+® Connect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40)에서 작동하고 IoAAF 미들웨어 노드에 등록된 "디지털 사물함"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잭션은, 예를 들어, 개인 식별 입력(예를 들어, 어머니의 결혼 전 이름, 사회 보장 번호 등)과 비밀 PIN 번호(예를 들어, 6 또는 8자리 디지털 코드)의 조합 또는 패스워드[예를 들어, 사용자(13)에 의해 생성됨] 및 대응하는 PIN 번호[예를 들어, 호스트 시스템(34)에 의해 발급됨]의 조합, 또는 신용 카드 입력과 비밀 PIN 번호의 조합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바코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IES(10) 신발 구조체에 각인되거나 부착되어, 보안 인증 코드를 IES 시스템(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포함하는 다른 확립된 인증 및 보안 기술이 사용자 계정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액세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용자 계정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개인 정보 또는 자금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 블록(103)에서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한 대안적이거나 보충적인 옵션으로서, 사용자(13)의 보안 인증은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이진(binary) 접촉형 센서 스위치와 같은 종류일 수 있는 압력 센서(62)가 신발류(10)에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14)의 중창(24)내에 내장됨]. 이 압력 센서(62)는 안창(22) 상의 캘리브레이션된 최소 부하를 검출하고, 이에 의해 갑피(12)에 발의 존재를 입증한다. IES(10)의 임의의 장래의 자동화된 특징은 먼저 컨트롤러(44)가, 이진 압력 센서(65)에 대한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 발이 갑피(12) 내에 존재하고, 따라서 자동화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신발류(10)가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단일 센서만이 도시되지만, IES(10)에는 신발 구조체 전체를 통해 개별 위치들에 패키징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수분 센서 및/또는 신발 역학 센서를 포함하는 분산형 센서 어레이가 갖추어질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동일한 맥락에서, 발 존재 감지[foot presence sensor(FPS)]는 커패시턴스, 자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 가능한 감지 기술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발 존재 감지에 관한 추가 정보는, 예컨대 Steven H. Walke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7/0265584 A1호 및 제2017/0265594 A1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각각의 전체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이진(ON/OFF)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것에 더하여, 압력 센서(62)는, 갑피(12) 내에서 발에 의해 생성된 인가 압력의 크기와 같은 분류된 임의의 생체 측정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모드 센서 구성(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유전체 용량성 바이오 피드백 센서)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신호는 압력 센서(62)로부터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는 수신된 데이터를 집계, 필터링 및 처리하여 현재 사용자 체중을 계산한다. 현재 IES(10)을 사용하는 개인에 대하여 계산된 현재 사용자 체중은 이전에 검증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체중(예를 들어, 기존 개인 계정의 등록된 사용자에게 인증됨)과 비교된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44)는 현재 사용자 체중이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임계 범위와 같거나 그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검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되면, 상주 신발 컨트롤러(44)는 이의 특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신발류(10) 내의 하나 이상의 서브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자동화된 보안 인증은,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 블록(103)의 일부로서, 인증된 사용자의 발의 이전에 검증된 특성과의 현재 사용자의 발의 특성의 상호 참조를 포함하는 다른 이용 가능한 기술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대표적인 IES(10)는 신발류(10)에 장착되고 신발끈(20)을 장력 미인가(풀린) 상태와 하나 이상의 장력 인가(조인) 상태 사이에서 왔다 갔다 전환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끈 모터(lace motor)(M)(64)를 활용하는 모터식 끈 시스템으로 제조된 것으로 도시된다. 끈 모터(64)는 밑창 구조체(14) 내부에 수용되고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되는 양방향 DC 전기 웜 기어 모터와 비슷한 종류일 수 있다. 끈 모터(64)의 활성화는 신발 구조체 내에 내장된 수동으로 활성화되는 스위치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40) 또는 스마트 워치(42) 상의 앱을 통한 소프트키 활성화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터 제어는, 예를 들어, 발이 갑피(12) 내부에 위치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압력 센서(62)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응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를 통해 자동화될 수 있다. 신발끈 장력은, 예를 들어, 동적인 사용자 움직임에 응답하여 발을 더 잘 유지하기 위하여, IES(10)를 사용하는 동안 컨트롤러(44)에 의해 끈 모터(64)의 제어된 작동을 통해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기능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논리적으로 관련된 선택 사항 또는 특징은, 의류, 머리 착용류, 안경류, 손목 착용류, 목 착용류, 다리 착용류, 속옷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대안적인 유형의 착용 가능한 의류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끈 모터(64)는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래치, 케이블 및 기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메커니즘의 장력 인가 및 풀림을 자동화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압력 센서(62)와 유사하게, 끈 모터(64)는 IES(10)의 자동화된 특징을 효율적으로 인에이블하고 디스에이블하는 이진(ON/OFF) 스위치로서 겸용이 될 수 있다. 즉,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자동화 기능을 실행하기 이전에, 신발끈(20)이 장력 인가 상태인지 장력 미인가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끈 모터(64)와 통신할 수 있다. 후자인 경우, 예를 들어, IES(10)가 사용 중이 아닌 동안 자동화된 특징의 예기치 않은 개시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자동화된 특징은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반대로, 끈(20)이 장력 인가 상태로 있다는 결정에 따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자동화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허용된다.
끈 모터(64)의 작동 동안, 신발끈(20)은 상이한 둘레 치수를 갖는 발 또는 상이한 장력 선호를 갖는 상이한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별적인 장력 인가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모터(64)에 내장되거나 밑창 구조체(14) 또는 갑피(12) 내에 패키징될 수 있는 끈 센서가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끈(20)의 현재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양방향 전기 끈 모터(64)의 출력 샤프트(예를 들어, 웜 기어)의 위치 또는 끈(20)의 지정된 섹션(예를 들어, 모터의 웜 기어와 맞물린 끈 스풀)의 위치의 실시간 추적이 끈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끈(20)의 장력 인가에 따라,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현재 사용자에 대한 끈(20)의 현재 장력 인가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끈 모터(64) 및/또는 끈 센서와 통신한다. 이 현재 장력 인가 위치는 이전에 검증된 메모리에 저장된 끈 장력 인가 위치(예를 들어, 기존 사용자 계정의 등록된 사용자에게 인증됨)에 비교된다. 이 비교를 통해, 신발류 컨트롤러(44)는 현재 장력 인가 위치가 검증된 장력 인가 위치의 미리 정해진 임계 범위와 같거나 그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를 검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한 후, 명령 신호가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를 통해 신발류(10) 내의 하나 이상의 서브 시스템에 이의 특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전송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프로세스 블록(103)에 설명된 인증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도 4의 방법(10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것이 통신하고 있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각각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충분한 데이터를 리트리브(retrieve)하도록 프로세스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이용하여 입력/출력 블록(105)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예시적인 예에 따라, IES(10)는, 직접 또는 스마트 폰(40)이나 스마트 워치(42)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13)의 현재 위치 및 자동차(32)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원격 호스트 시스템(34) 및/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위치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40)에서 실행되는 승차 공유 앱 또는 경로 계획 앱을 통해 추적될 수 있다. 또한, IES(10) 및 이에 따른 사용자(13)의 위치 및 이동은, 예를 들어, 갑피(12) 또는 밑창 구조체(14) 내로 내장된 위성 기반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 트랜시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페어링될 때, 그리고 매칭된 운전자가 경로 내에 있을 때, 미들웨어 노드로서 작동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6)과 같은 백오피스 매개 서버는, 예를 들어, 온보드 전송 장치 또는 운전자의 개인 컴퓨팅 장치 상의 앱을 통해, 차량(32)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도 4의 방법(10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사용자의 합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지 노드의 위치의 미리 정해진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판단 블록(107)을 계속 진행한다. 상술한 예를 계속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40) 또는 스마트 워치(42)는 각각의 당사자를 위한 개별 그래픽을 이용하여 맵 상에 IES(10) 및 차량(32)의 실시간 위치뿐만 아니라[예를 들어, 대응하는 그래픽 핀(pin), 부호, 아바타, 애니메이션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이 그래픽의 배치 및 이동을 통해, 자동차(32)에 상대적인 IES(10)의 이동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IES(10) 및/또는 IES 시스템(30)은 차량(32)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IES(10)의 현재 근접도(예를 들어, 피트 수치, 마일 수치, 분 수치 등)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인 방식은 사용자 선택 또는 시스템 지정 근접도(예를 들어, 100 피트 이하)로 및/또는 사용자 선택 또는 시스템 지정 위치(예를 들어, 지정된 승차 공유 픽업 위치, 사용자 선택 주차장 등) 내로 판단 블록(107)의 결정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된 가상 경계 또는 "지오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자의 경우, IES(10) 및/또는 IES 시스템(30)은 차량(32)의 위치 인식 장치가 지오펜스를 돌파할 때를 검출한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서로 미리 결정된 근처/위치 내에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블록(107) = 아니오], 방법(100)은 입력/출력 블록(105)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블록(105)에서의 위치 추적 및 블록(107)에서의 근접도 평가는 긍정적인 판단이 리턴될 때까지 연속 루프로 실행될 수 있다.
노드 및/또는 사용자의 결정된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들어가거나 노드의 위치가 사용자의 결정된 위치의 근처에 다가오는 것에 응답하여[블록(107) = 예] 또는 이 양자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명령 신호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프로세스 블록(109)에서 일반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명령 신호가 지능형 전자 신발의 제1 자동화 특징(AF1)을 실행하도록 제1 서브 시스템에 전송된다. 도 3의 예시된 예에 따라,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자동차(32)가 이제 IES(10)의 100 피트 또는 다른 사전 지정된 거리 내에 있고, 따라서, 사용자(13)가 차량 운전자의 보통의 시야 내에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조명 장치(58)를 활성화하여 이에 의해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상주 조명 시스템(56)에 전송함으로써 이 결정에 자동으로 응답한다(즉, 어떠한 사용자 또는 외부 시스템 프롬프트 없이). 이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은 개인화된 색상(예를 들어, UBER® 승객에 대하여 아쿠아색, LYFT® 승객에 대하여 분홍색, BLABLACAR®에 대하여 녹색, 파란색 및 녹색 등) 또는 대응하는 깜박임 패턴(예를 들어, 사용자 특정 또는 운전자 특정 깜박임 패턴, 선택된 모스 코드 스크립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서, 선택된 색상 및/또는 패턴은 자동차(32)에서 광학 센서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검출되면, 상주 차량 컨트롤러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 상의 승차 공유 앱은 IES(10)의 대기하는 사용자(13)가 사용자의 현재 승차 공유 요청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개인화된 색상/패턴을 평가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서,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LiFi를 이용하여, 광 기반 무선 광학 인증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연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도 4에서 설명된 방법론(100)의 일부로서 추가적 또는 대안적 특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노드의 결정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 내에 있거나 사용자의 결정된 위치의 미리 정해진 근처에 다가오는 것에 응답하여[블록(107) = 예], 프로세스 블록(1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명령 신호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2 자동화 특징(AF2)을 실행하도록 제2 서브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도 2의 IES(10)는 안창(22)에 동작 가능하게 통신하는 밑창 구조체(14)의 내부에 수용된 햅틱 트랜스듀서(66)가 갖추어진 것으로 도시된다. 승차 공유 차량(32)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고 및/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근처 내에 있다고 IES(10)의 사용자(13)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중창(24)으로부터 안창(22)을 통해 사용자의 발로 전송되는 햅틱 큐(예를 들어, 인지 가능한 진동력 또는 일련의 진동 펄스)를 생성하도록 햅틱 트랜스듀서(66)에 명령 신호를 방출한다. 햅틱 트랜스듀서(66)의 동작은 차량(32)의 출력과 통합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제3 자동화 특징(AF3)은 신속하게 신발끈(20)에 장력을 인가하고 신발끈(20)을 풀기 위하여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햅틱 힘 피드백 장치로서 끈 모터(64)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ES(10)로부터의 청각, 시각 또는 햅틱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그의 개인 스마트 폰에 대한 착신 호출을 알리기 위한 광 시스템 또는 햅틱 시스템과 같은 다른 컴퓨팅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착용자에게 통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IES(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40)과 함께[예를 들어, LED 카메라 광 또는 ERM(eccentric rotating mass) 액추에이터의 통합된 번쩍임(flashing)] 또는 능동 의류 요소(11)(예를 들어, 사용자의 셔츠 내의 빌트인 촉각 또는 햅틱 장치의 통합된 작동)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에게 턴-바이-턴(turn-by-turn) 방향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왼쪽 방향 전환 또는 오른쪽 방향 전환을 나타내기 위하여 강조된 강도로 및/또는 지정된 펄스 패턴으로 왼발 또는 오른발이 진동한다). 동일한 맥락에서, 햅틱 피드백은 사전 선택된 경로를 따라 사용자를 지시하거나 특정 경로(예를 들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짐)를 취하는 것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햅틱 피드백을 이용한 신발류 및 의류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Ernest Kim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7/0154505 A1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전체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IES(10)에는 갑피(12)의 후방 쿼터(12C)에 부착된 소형화된 오디오 스피커(68)에 의해 도 1에 표시된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사용자 및/또는 노드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서로 근처 내에 있다고 확인한 것에 따라,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오디오 시스템 스피커(68)에 자동으로 전송한다.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끈 모터(64)는, 예를 들어, 도착 픽업, 체크인, 연결 등의 신호/큐로서 신발끈(20)을 반복적으로 조일 수/풀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IES(10)는 자율 주행 차량 또는 차량 리스의 위치를 찾고, 이를 자가 인증하고, 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방법은 단말 블록(113)에서 종료하고 및/또는 단말 블록(101)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적응형 의류 및 신발류의 특징을 자동화하는 것에 더하여, 개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원격 컴퓨팅 노드에서 특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대표적인 구현예를 다시 참조하면,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승객 및 운전자 사이의 승차 공유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을 갖는 명령 신호를 자동차(32)의 차량 내 제어 유닛(70)에 방출함으로써 사용자/노드의 현재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서로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할 수 있다. 이 명령은 하나 또는 양 헤드 램프(72)가 밝아지거나, 번쩍이거나, 광 출력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이들을 조합하도록 할 수 있어, 차랑(32)은 사용자(13)에게 더욱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게 된다. 선택적인 적용예로서,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차량 헤드 램프(72)의 광 출력을 IES 광 시스템(56)의 광 출력과 통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이들은 일제히 밝아지고 및/또는 번쩍인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량 제어 유닛(80)을 통해 신발류 컨트롤러(44)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는 차량의 경적 시스템(74) 또는 기타 차량 내 오디오 시스템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댄스 파티" 모드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차량의 임의의 조명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라이트 쇼와 함께 차량의 임의의 오디오 컴포넌트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 간주곡이 IES(10)를 통해 트리거될 수 있다. 자동차(32)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오디오/음악)는 IES(10)의 하나 이상의 특징 및 서브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신발끈 모터(64), 조명 장치(58) 및/또는 햅틱 트랜스듀서(66)의 통합된 활성화는 IES(10)의 자동화를 차량(32)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및/또는 광 출력과 동기화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신발류 대 차량 통신이, 현재 사용자의 보안 인증을 확인한 후에, IES(10)가 차량 도어를 잠그거나 열고, 차량 트렁크 컴파트먼트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맥락에서, 인증된 사용자는 자신의 IES(10)를 전자 열쇠로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원하는 좌석 위치, 원하는 스티어링 휠 위치, 원하는 미러 위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전 설정된 운전자 설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신발류 대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은 IES(10)가 보행자 또는 구보자를 위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로등 또는 신호등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된 "스마트 시티" 컨트롤러와 통신할 수 있게 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반대로, "스마트 시티" 컨트롤러는 보행자가 다가오는 차량에 통행권을 양보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건너지 마세요(Do Not Walk)" 표지를 갖는 횡단 보도에 다가가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IES(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신발에 내장된 광 특징은 체육 행사 동안(예를 들어, 사용자의 좋아하는 운동 팀의 색상과 일치하도록 조정됨) 또는 운동하는 동안(예를 들어, 야간에 러닝하고 있는 동안 도로를 비추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안 특징은 비인증 당사자에게는 IES가 사용 가능하지 않게 만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S(10)를 착용한 사람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결정한 것에 따라 끈 모터(64)는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의해 동작 가능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동시에, 컨트롤러(44)는 IES(10)의 잠재적인 도난 또는 오용을 알리는 전자 경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폰(40) 또는 스마트 워치(42)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은 교육적 목적으로 맞추어진 지능형 전자 신발류 또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 또는 강사는 사람에게 자동차를 운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도울 때 IES(10)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S(10)는 브레이크 페달을 누르는 것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강사는 신발을 통해 승객 컴파트먼트 바닥 패널로 자신의 발을 세게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빌트인 압력 센서(62)는 강사의 발 제스처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신발류 컨트롤러(44)에 출력하며, IES(10)는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도록 차량(32)의 브레이크 제어 모듈[brake control module(BCM)]와 통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IES(10)는 학생에 의해 착용되는 한 쌍의 지능형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눌러 이에 의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자신의 발을 사용하고 있어야 한다는 감각적 피드백을 학생에게 제공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운전하는 방법을 학생에게 가르치는 것에 더하여, IES(10)로부터의 햅틱, 청각 및/또는 시각 피드백은 신발류의 착용자에게 댄스 루틴에서의 일련의 스텝, 골프 클럽 또는 야구 배트를 휘두를 때의 체중의 적합한 전달, 허들을 하기 위한 적합한 타이밍, 걸음걸이 및 스텝 카운트 등을 가르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자동차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많은 개시된 개념은 승차 공유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노드는, 중앙 서버 컴퓨터 또는 거주용이나 상업용 보안 시스템의 병렬 HMI와 같은 전술된 것이 아닌 대안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IES(10)의 사용자(13)가 미리 정해진 위치(예를 들어, 입구 통로, 복도, 방 등)에 들어가거나 모니터링되고 있는 설비(예를 들어, 능동 지오펜스에 의해 기술됨)의 미리 선택된 근처 내에 있을 때, 도 2의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는 보안 시스템을 수동으로 비활성화해야 할 필요 없이 사용자(13)가 설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보안 시스템 서버 컴퓨터 또는 HMI에 비활성화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예를 들어, 상업용 보안 시스템[비접촉식 비디오 모니터링 출입 패널(234)에 의해 표시됨]에 의해 보안되는 빌딩(232)의 현관에 접근하는 대표적인 사용자(213)가 도시된다. 사용자(213)에 의해 착용되는 IES(10) 중 하나 또는 양자는 사용자(213)를 둘러싸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오펜스(215)를 방출한다. 비디오 모니터링 출입 패널(234)이 IES 생성 지오펜스(215)를 돌파하거나 아니면 통과하기에 빌딩(232)에 사용자(213)가 충분히 가깝다면, IES(10)는 자동으로 보안 인증 신호를 보안 시스템 출입 패널(234)에 전송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213)는 빌딩(232) 대한 액세스를 승인받는다[빌딩(232)의 입구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보안 도어의 자동 개방에 의해 표현됨]. 대안적인 시스템 구성은 IES(10)와 보안 시스템(234)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되거나 후술되는 것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사용자의 가정의 분위기(climate), 조명, 블라인드, 기기 등을 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또는 "스마트 홈")과 같은 종류일 수 있다. IES(10)의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예를 들어, 현관, 주차장, 복도, 방 등)에 들어가거나 나갈 때, 또는 홈 오토메이션에 의해 조절되는 거주지의 미리 선택된 근처에 들어가거나 나갈 때,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거나, 신발류 컨트롤러(44)는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거나,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전술한 특징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임의의 하나 이상의 명령 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 예를 들어, 거주용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WiFi 지원 터치스크린 게이트웨이 패널(334)로 표시됨]에 의해, 전체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다양한 기기와 장치 및 서브 시스템을 갖는 가정(332) 주위로 돌아다니는 대표적인 사용자(313)가 도시된다. 사용자(313)가 첫 번째 방에서 두 번째 방으로 이동하는(예를 들어, 거실에서 침실로 걸어가는) 것에 응답하여, IES(10)는, (1) 두 번째 방 안의 등을 조명하고; (2) 첫 번째 방 안의 등을 어둡게 하고; (3) 첫 번째 방 내의 하나 이상의 장치(예를 들어, 텔레비전)를 끄고; 그리고, 두 번째 방 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련의 명령 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의 IES(10)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레벨 3, 4 또는 5 차량으로 분류된 차량과 같이 완전 보조 또는 완전 자율 주행 차량과 상호 작용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차량의 컨트롤러 인증 및 자동화 자동 잠금, 잠금 해제 및 모터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추가하여, IES(10)는 파워트레인 제어 모듈[powertrain control module(PCM)] 또는 경로 계획 모듈[route planning module(RPM)]과 통신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로의 IES(10)의 사용자(13) 수송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도 3의 자동차(32)는 호환되는 IES를 착용한 여러 사용자와 페어링하기 위하여 고유한 지오펜스 신호를 전파할 수 있다. 사용자(13)가 차량의 지오펜스의 경계 내에 있다면, IES(10)는 사용자(13)에게 지오펜스를 돌파하였다고 알리기 위하여 제1 시각, 청각 및/또는 햅틱 출력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응답한다. 그 다음, 사용자(13)는 GPS 또는 내비게이션 맵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자동차(32)의 현재 실시간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자신의 스마트 폰(40)에서 작동하는 전용 모바일 앱을 개시할 수 있다. 사용자(13)가 차량(32)에 매우 근접하게 있을 때(예를 들어, 10 미터 이하), IES(10)는 사용자(13)가 차량(32)의 미리 정해진 근처 내에 있으며, 따라서, 차량(32)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알리기 위하여 제2 시각, 청각 및/또는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13)가 자동차(32)의 위치를 찾으면, IES(10)의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44)와 자동차(32)의 중앙 전자 제어 유닛((ECU) 또는 F2V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미들웨어 노드의 백엔드의 서버 컴퓨터 사이에서 양방향 인증 프로세스가 발생할 것이다. 확인되면, 자동차(32)는 차량의 승객 컴파트먼트로 진입하는 옵션을 가진다는 것을 사용자(13)에게 신호로 알릴 것이다. 인증 키가 IoAAF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13)에게 동시에 발행될 수 있다; 사용자(13)는 전술한 스마트 폰 앱을 통해 키를 리트리브할 수 있다. 사용자(13)가 자동차(32)에 진입하도록 선택하면, 사용자(13)는 예약된 제품이 사용자(13)를 대기하고 있는 특정 또는 불특정 위치["잠금 해제 위치(Unlock Location)"]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13)가 잠금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13)는 예약된 제품에 액세스하기 위하여는 인증 키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일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컨트롤러 또는 컨트롤러 변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명령어의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한정적인 예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가 입력 소스에 따라 반응할 수 있게 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수신된 데이터의 소스와 함께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다양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다른 코드 세그먼트와 협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CD-ROM, 자기 디스크, 버블 메모리 및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RAM 또는 ROM)와 같은 다양한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래머블 소비자 전자 장치, 미니 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된 원격 처리 장치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에서 다양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은, (a) 프로세서, (b) 컨트롤러 및/또는 (c)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또는 방법은,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CD-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와 같은 유형의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전체 알고리즘 및/또는 이의 일부가 대안적으로 컨트롤러 이외의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및/또는 알려진 방식으로 펌웨어 또는 전용 하드웨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LD(field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로직 등에 의해 구현됨]. 또한, 특정 알고리즘이 본 명세서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예시적인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구현하는 많은 다른 방법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다음의 예시적인 특징 및 구성은 본 개시 내용의 모든 실시예 또는 모든 양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 내용의 많은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대표적인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것들을 포함하는 개시된 시스템, 방법, 장치, 프로토콜 등의 각각은, 명시적으로 부인되거나 논리적으로 금지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 선택 사항 및 대안 중 임의의 것을 단독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사용자의 발을 위한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ES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갑피와, 갑피에 부착되고,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IES의 접지면을 형성하는 겉창을 가진다.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된 광 시스템은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IES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 및 광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상주 또는 원격 신발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와,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위치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광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2 명령 신호를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일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청각 출력은 차량의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IES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IES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IES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햅틱 큐를 생성하도록 제3 명령 신호를 햅틱 트랜스듀서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IES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4 명령 신호를 오디오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보안 시스템이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명령 신호를 보안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격 컴퓨팅 노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고, 및/또는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5 명령 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IES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 또는 갑피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갑피 내의 발의 존재(또는 부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IES 광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 신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또는 대안적으로),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검출된 체중이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명령 신호를 IES 광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신발끈이 갑피에 부착되고, 끈 모터가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어 장력 인가 상태 및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 컨트롤러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끈 모터와 통신할 수 있다. IES 광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한다; IES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는 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 센서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로부터, 컨트롤러는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지 결할 수 있다; IES 광 시스템을 위한 활성화 명령 신호는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IES 시스템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IES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 광 출력은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IES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는 BLE, CAT-M1 및/또는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IES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갑피에 부착되고 각각이 보안 인증 코드를 원격 컴퓨팅 노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RFID 태그 및/또는 NFC 태그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은 사용자의 발을 위한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갑피를 제공하는 단계; 상부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 - 밑창 구조체는 지면 결합 부분을 정의하는 겉창을 가짐 -; 밑창 구조체를 갑피에 부착하는 단계;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광 시스템을 장착하는 단계 - 광 시스템은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무선 통신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 무선 통신 장치는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주 컨트롤러를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하는 단계 - 상주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광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컴퓨팅 노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광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지능형 전자 신발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S는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기 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된 구성의 갑피, 갑피에 부착되고 접지면을 형성하는 밑창 구조체, 및 전자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광 시스템을 포함한다.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와 원격 컴퓨팅 노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에 근접한 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는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광 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한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는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제2 명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의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IES의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할 수 있다. 자동차의 명령된 청각 출력은 차량의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사항에서, IES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의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 응답하여 햅틱 큐를 생성하도록 제3 명령 신호를 햅틱 트랜스듀서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ES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 것/노드 위치에 근접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4 명령 신호를 오디오 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거주용 또는 상업용 보안 시스템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과 연관된 거주용 또는 상업용 빌딩의 지정된 섹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그 근처에 들어가는(또는 이를 떠나는) 것에 응답하여 보안 시스템에 비활성화(또는 활성화) 명령 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격 컴퓨팅 노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및/또는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5 명령 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관된 가정(또는 가정의 섹션)에 들어가거나 이를 떠나는 것에 응답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근접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지오펜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 또는 IES의 검출에 따라 원격 컴퓨팅 노드 또는 IES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IES는 밑창 구조체 또는 갑피에 장착되고 갑피 내의 발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그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한 명령 신호의 전송은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의 검출에 더 응답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된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센서 신호를 수신한다. 그 다음, 컨트롤러는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검출된 체중이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명령 신호가 원격 컴퓨팅 노드 또는 IES 서브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IES는 갑피에 부착되는 신발끈 또는 스트랩과,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 및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스트랩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끈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고, 끈에 장력이 인가되어 있으면, 응답하여 IES 서브 시스템을 활성화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로 기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이 개별 장력 인가 위치들 중 어느 개별 장력 인가 위치에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끈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를 이용하거나, 끈 모터 출력 샤프트의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끈의 현재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는 원격 노드 또는 IES 서브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방법에 대하여, 원격 컴퓨팅 노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IES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ES 무선 통신 장치는 BLE, CAT-M1 및/또는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ES에는 밑창 구조체/갑피에 부착되고 보안 인증 코드를 원격 컴퓨팅 노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RFID 태그 및/또는 NFC 태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은 사용자의 발을 위한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이에 부착되는 갑피와,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하여 갑피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광 시스템 및/또는 사운드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광/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된다. 역시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는 상주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광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와 원격 컴퓨팅 노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주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는지/노드의 위치의 근처에 있는지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상주 컨트롤러는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광/사운드 출력을 생성하도록 광 시스템/사운드에 하나 이상의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은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해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수정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확한 구성 및 조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수정,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본 개념은 전술한 요소들 및 특징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 및 하위 조합을 명확하게 포함한다. 추가적인 특징들은 다음의 항목들에 반영될 수 있다:
항목 1: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갑피; 갑피에 부착되고,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 - 밑창 구조체는 접지면을 형성함 -;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되고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자동화 경보 시스템;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신발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그리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및/또는 원격 컴퓨팅 노드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전자 신발(IES) 시스템.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2 명령 신호를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시스템.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하는 IES 시스템.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광 시스템을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시스템.
항목 5: 항목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IES 시스템.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갖고,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시스템.
항목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햅틱 트랜스듀서를 더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를 생성하게 하는 IES 시스템.
항목 8: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IES 시스템.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에 따라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시스템.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갑피 내의 발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의 검출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시스템.
항목 11: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시스템.
항목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갑피에 부착된 신발끈; 및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 및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끈 모터를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 모터와 통신하고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시스템.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하고, IES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끈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 센서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지 결정하고, 명령 신호는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시스템.
항목 14: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경보는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하는 IES 시스템.
항목 15: 지능형 전자 신발(IES) 시스템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ES는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기 위한 갑피, 갑피에 부착되고 접지면을 형성하는 밑창 구조체, 및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경보 시스템을 포함하고,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자동차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경보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주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2 명령 신호를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7: 항목 16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8: 항목 17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광 시스템을 포함하고,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9: 항목 15 내지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0: 항목 15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갖고,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방법.
항목 21: 항목 15 내지 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햅틱 트랜스듀서를 더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를 생성하게 하는 방법.
항목 22: 항목 15 내지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방법.
항목 23: 항목 15 내지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에 따라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방법.
항목 24: 항목 15 내지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에 장착된 압력 센서로부터,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의 검출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갑피 내의 검출된 발의 존재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방법.
항목 25: 항목 15 내지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경보는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6: 사용자의 발을 위한 지능형 전자 신발(IES)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갑피; 갑피에 부착되고, 위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 - 밑창 구조체는 접지면을 형성하는 겉창을 가짐 -;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장착되고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 시스템;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광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신발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그리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명령 신호를 광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IES.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제2 명령 신호를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28: 항목 27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하는 IES.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0: 항목 2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IES.
항목 31: 항목 26 내지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갖고,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2: 항목 26 내지 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햅틱 트랜스듀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햅틱 큐를 생성하도록 햅틱 트랜스듀서에 제3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3: 항목 26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된 오디오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오디오 시스템에 제4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4: 항목 26 및 31 내지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보안 시스템이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명령 신호를 보안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5: 항목 26 및 31 내지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고, 및/또는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5 명령 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IES.
항목 36: 항목 26 내지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에 따라 광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항목 37: 항목 26 내지 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갑피 내의 발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갑피 내에서의 발의 존재의 검출에 더 응답하여 광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항목 38: 항목 26 내지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항목 39: 항목 26 내지 3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갑피에 부착된 신발끈; 및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 및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끈 모터를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 모터와 통신하고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항목 40: 항목 39에 있어서,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하고, IES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끈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끈 센서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더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IES.
항목 41: 항목 26 내지 4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하는 IES.
항목 42: 항목 26 내지 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CAT(category) M1 또는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IES.
항목 43: 항목 26 내지 4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되고 보안 인증 코드를 원격 컴퓨팅 노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s) 태그를 더 포함하는 IES.

Claims (37)

  1.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갑피 및 갑피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그 위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신발류에 부착되고,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자동화 경보 시스템;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밑창 구조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발류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및/또는 원격 컴퓨팅 노드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경보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제2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flashing) 및/또는 강화(intensification)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광 시스템을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갖고,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를 생성하게 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 시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에 부착된 신발끈; 및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와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끈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 것에 추가적으로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하고,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끈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끈 센서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
  12. 지능형 전자 신발의 자동화된 특징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지능형 전자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기 위한 갑피,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해 갑피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 및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경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압력 센서로부터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자동차에 의해 인지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경보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신발류 컨트롤러를 통해, 청각 출력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제2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광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광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를 생성하게 하는 것인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것인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 시 경보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방법.
  21. 사용자의 발을 위한 지능형 전자 신발로서,
    사용자의 발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갑피;
    갑피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그 위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접지면을 형성하는 겉창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경보 시스템;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경보 시스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신발류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검출된 체중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컴퓨팅 노드의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지 결정하고,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고, 검출된 체중이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사용자 체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경보를 생성하도록 경보 시스템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2. 제21항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청각 출력 또는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원격 컴퓨팅 노드의 제어 시스템에 제2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3. 제22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시각 출력은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의 조명, 번쩍임 및/또는 강화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4. 제23항에 있어서,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차량 헤드 램프 시스템의 광 출력을 경보 시스템의 광 컴포넌트의 미리 정해진 광 출력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차량 경적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이고, 청각 출력은 차량 경적 시스템의 청각 출력의 활성화 및/또는 변조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6.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갖고,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 컴퓨팅 노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7.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햅틱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햅틱 트랜스듀서가 햅틱 큐를 생성하게 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8.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광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광 컴포넌트가 시각적 큐를 생성하게 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29.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이 청각적 큐를 생성하게 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0. 제21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보안 시스템이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보안 시스템을 비활성화하도록 보안 시스템에 제3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1. 제21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있거나 노드 위치의 근처 내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고, 실내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그리고/또는 온도 조절 장치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제4 명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2. 제21항 내지 제24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신발류 컨트롤러에 의해 정해지는 지오펜스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는 지오펜스를 돌파하는 원격 컴퓨팅 노드의 검출 시 광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3. 제21항 내지 제24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에 부착된 신발끈; 및
    밑창 구조체 내부에 장착되고, 장력 인가 상태와 장력 미인가 상태 사이에서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끈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끈 모터와 통신하고,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장력 미인가 상태에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신발끈이 장력 인가 상태에 있는 것에 추가적으로 응답하여 광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4. 제33항에 있어서, 장력 인가 상태는 복수의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포함하고, 지능형 전자 신발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끈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발류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끈 센서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령 신호는 개별 장력 인가 위치 중 현재 개별 장력 인가 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 검증된 끈 장력 인가 위치에 대응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응답하여 광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5. 제21항 내지 제24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컴퓨팅 노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광 출력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사용자를 원격 컴퓨팅 노드에 확인시키도록 구성된 개인화된 색상 및/또는 깜박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6. 제21항 내지 제24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CAT(category) M1 또는 CAT-NB1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 신발.
  37. 제21항 내지 제24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에 부착되고 보안 인증 코드를 원격 컴퓨팅 노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s) 태그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신발.
KR1020227040326A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61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3473A KR20230174296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8796P 2018-05-31 2018-05-31
US62/678,796 2018-05-31
US16/114,632 US10178890B1 (en) 2018-05-31 2018-08-28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US16/114,632 2018-08-28
US16/220,403 US10441020B1 (en) 2018-05-31 2018-12-14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US16/220,403 2018-12-14
KR1020207038044A KR10246970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PCT/US2019/034130 WO2019231884A1 (en) 2018-05-31 2019-05-28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8044A Division KR10246970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473A Division KR20230174296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988A KR20220156988A (ko) 2022-11-28
KR102616523B1 true KR102616523B1 (ko) 2023-12-21

Family

ID=64872434

Famil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52A KR102585680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37044616A KR20240005990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27045953A KR102584836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07038044A KR10246970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07038091A KR102483464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보행자 충돌 방지를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37033490A KR20230145508A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27040326A KR102616523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37033051A KR20230144651A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27040327A KR10261927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37043473A KR20230174296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07038098A KR102483603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52A KR102585680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37044616A KR20240005990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27045953A KR102584836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07038044A KR10246970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07038091A KR102483464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보행자 충돌 방지를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37033490A KR20230145508A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051A KR20230144651A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KR1020227040327A KR102619277B1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37043473A KR20230174296A (ko) 2018-05-31 2019-05-28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KR1020207038098A KR102483603B1 (ko) 2018-05-31 2019-05-28 자동화된 인프라-기반 보행자 추적을 위한 제어 로직 및 지능형 전자 신발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9) US10172409B1 (ko)
EP (3) EP3803831A1 (ko)
JP (14) JP7256827B2 (ko)
KR (11) KR102585680B1 (ko)
CN (8) CN112534486B (ko)
WO (3) WO2019231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2559B2 (en) 2014-05-06 2017-01-24 Elwha Llc System and methods for verifying that one or more directives that direct transport of a second end user does not conflict with one or more obligations to transport a first end user
US10458801B2 (en) 2014-05-06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planning that calls for at least one transportation vehicle unit
WO2016029168A1 (en) * 2014-08-21 2016-02-25 Uber Technologies, Inc. Arranging a transport service for a user based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user
US11033079B2 (en)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9939279B2 (en) 2015-11-16 2018-04-10 Ub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transport
WO2017092775A1 (de) 2015-12-02 2017-06-08 Puma SE Verfahren zum schnüren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US10685416B2 (en) 2015-12-10 2020-06-16 Uber Technologies, Inc. Suggested pickup location for ride services
PT3749063T (pt) * 2016-02-05 2022-07-08 Schreder Módulo de controlo de lâmpada constituído por base e partes de controlo, comunicando via nfc
US10242574B2 (en) 2016-03-21 2019-03-26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address service providers to contacts
ES2863924T3 (es) 2016-11-22 2021-10-13 Puma SE Procedimiento para colocar o retirar una prenda de vestir a su portador o por el propio portador o para cerrar, colocar, abrir o retirar una pieza de equipaje transportada por una persona
BR112019010424B1 (pt) 2016-11-22 2021-12-14 Puma SE Método para amarrar um calçado, particularmente, um calçado esportivo e calçado, particularmente, calçado esportivo
DE102016124275A1 (de) * 2016-12-13 2018-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motorischen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US9898791B1 (en) 2017-02-14 2018-02-20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system to filter requests by destination and deadline
US10475354B2 (en) 2017-04-17 2019-11-12 Facebook, Inc. Haptic communication using dominant frequencies in speech signal
US10945484B1 (en) * 2017-06-28 2021-03-16 Apple Inc. Haptic output devices
US10721327B2 (en) 2017-08-11 2020-07-21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 scheduling system for planned service requests
US10731998B2 (en) 2017-11-05 2020-08-04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arrange pooled transport services
US10172409B1 (en) * 2018-05-31 2019-01-08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automated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CN110428307A (zh) * 2018-08-30 2019-11-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宠物商品的交易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D906657S1 (en) 2019-01-30 2021-01-05 Puma SE Shoe tensioning device
EP3881570A4 (en) * 2019-02-01 2022-02-16 Tile, Inc. USER PRESENCE-ACTIVATED FUNCTIONALITY OF A TRACKING DEVICE
US10645534B1 (en) 2019-02-01 2020-05-05 Tile, Inc. User presence-enabled tracking device functionality
IT201900002097A1 (it) * 2019-02-18 2020-08-18 Eng Team Srl Calzatura sportiva con sistema di chiamata di emergenza
KR102192451B1 (ko) * 2019-05-03 2020-12-16 주식회사 인포웍스 복합 보행 동작 인식 기반 스마트 신발 및 이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7345128B2 (ja) * 2019-05-20 2023-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歩行者装置および交通安全支援方法
KR20210015407A (ko) * 2019-08-02 2021-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광원이 있는 자동차 램프
CN110390825B (zh) * 2019-08-04 2021-12-14 吴凤保 一种岔路口车辆通行诱导警示装置
US11900815B2 (en) * 2019-09-30 2024-02-13 Gm Cruise Holdings Llc Augmented reality wayfinding in rideshare applications
US11484089B2 (en) * 2019-10-21 2022-11-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ith integrated sound damping
CN111444756B (zh) * 2019-11-01 2020-11-20 合肥耀世同辉科技有限公司 危险行驶场景辨识平台、方法及存储介质
US11915171B2 (en) * 2019-11-26 2024-02-27 Alarm.Co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smart vehicles with a monitoring system
WO2021108937A1 (es) * 2019-12-06 2021-06-10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Dispositivo de cruce peatonal para semáforos, sistema que lo contiene y método para gestionar dicho sistema
US20210170231A1 (en) * 2019-12-08 2021-06-10 Salvatore Paxia Distributed race timing system with real time feedback for participants
US11669786B2 (en) 2020-02-14 2023-06-06 Uber Technologies, Inc. On-demand transport services
AU2021266917A1 (en) * 2020-05-05 2022-11-24 Arrowes Ip Holdings Pty Ltd Traffic management system
GB2596847A (en) * 2020-07-09 2022-01-12 Sony Europe Bv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otifying a target
US11524627B2 (en) * 2020-07-23 2022-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interaction system with other road users
CN112315105A (zh) * 2020-10-15 2021-02-05 向维智联(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自感应通讯智能鞋
CN112562359A (zh) * 2020-11-06 2021-03-26 龙南骏亚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交通信号灯人行道安全智能控制方法
US11726475B2 (en) 2020-11-30 2023-08-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nomous aerial vehicle airspace claiming and announcing
US11797896B2 (en) 2020-11-30 2023-10-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nomous aerial vehicle assisted viewing location selection for event venue
US11443518B2 (en) 2020-11-30 2022-09-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ncrewed aerial vehicle shared environment privacy and security
CN112529721B (zh) * 2020-12-30 2021-10-08 河南中盾云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与物联网的粮食监管方法
CN112869286A (zh) * 2021-01-15 2021-06-01 深圳如果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行进的鞋套和方法
CN112914884B (zh) * 2021-01-19 2022-02-11 重庆火后草科技有限公司 通过稳态时长置信度测量睡眠状态下的体重值的方法
US11834059B2 (en) 2021-01-21 2023-12-05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Locating smart shoe relative to pedal
US11587440B2 (en) * 2021-03-23 2023-02-21 Kyndryl, Inc. Prediction method for resilient interconnected traffic management
CN113112772A (zh) * 2021-03-23 2021-07-13 黄启敏 一种能减少交通事故的汽车驾驶鞋及控制方法
CN113096356A (zh) * 2021-03-31 2021-07-0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摔倒报警及定位智能老人鞋
KR102438303B1 (ko) * 2021-04-01 2022-09-05 대한민국 압전소자가 구비된 안전신발
US11546734B2 (en) * 2021-05-17 2023-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viding security via vehicle-based surveillance of neighboring vehicles
USD962606S1 (en) * 2021-09-16 2022-09-06 Nike, Inc. Shoe
USD962607S1 (en) * 2021-09-16 2022-09-06 Nike, Inc. Shoe
USD962608S1 (en) * 2021-09-16 2022-09-06 Nike, Inc. Shoe
WO2024049986A1 (en) 2022-08-31 2024-03-07 Nike Innovate C.V. Electromechanical ambulatory assis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812A (ja) * 2001-02-01 2002-08-13 Ryoji Wada 発光機能付履物
US20130201036A1 (en) * 2010-07-12 2013-08-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Road safety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the road safety of pedestrians
JP2015221065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制御装置
JP2016533068A (ja) * 2013-07-19 2016-10-20 ジオモビー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Geomoby Pty Ltd 位置測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7160561A2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3618A (en) * 1996-09-25 1999-10-26 Ellis; Christ G. Intelligent walking stick
JPH11250377A (ja) 1997-02-04 1999-09-17 Masanobu Kujirada 携帯型安全システム
JP2000004901A (ja) 1998-06-17 2000-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2001321202A (ja) 2000-03-09 2001-11-20 Komariyo Co Ltd 履 物
JP2001353006A (ja) * 2000-06-16 2001-12-25 Q P Corp 靴の中敷板
JP2003346297A (ja) * 2002-05-30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タグ、路側無線送受信装置、車載無線送受信装置及び交通安全支援装置
FR2848167A1 (fr) 2002-12-02 2004-06-11 Plastic Omnium Cie Procede pour proteger des pietons en cas de collision avec des vehicules automobiles et piece de vetement de protection
JP3924683B2 (ja) 2003-10-02 2007-06-06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19898B2 (en) 2004-10-22 2016-12-13 Smart Cellco,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s and mobile transactions and/or actions
US7924152B1 (en) * 2004-11-01 2011-04-12 Sayo Isaac Daniel Interactive video gaming footwear including means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remote party
US7254516B2 (en) 2004-12-17 2007-08-07 Nike, Inc. Multi-sensor monitoring of athletic performance
US20060180647A1 (en) 2005-02-11 2006-08-17 Hansen Scott R RFID applications
JP2006268379A (ja) 2005-03-23 2006-10-05 Fujitsu Ltd 交通信号機の制御装置
JP4760244B2 (ja) * 2005-09-08 2011-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接近検知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7163343A (ja) 2005-12-15 2007-06-2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人物の位置及び方位特定システム
US20070156414A1 (en) 2006-01-03 2007-07-05 Akhtar Mohammad W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y to Assist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Others to Find Businesses, Services and Facilities
US20130218456A1 (en) 2006-02-16 2013-08-22 John S. Zelek Wearable tactile navigation system
US7579946B2 (en) * 2006-04-20 2009-08-25 Nike, Inc. Footwear products including data transmission capabilities
US10511950B2 (en) 2006-05-16 2019-12-17 RedSky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8035530B2 (en) 2006-11-09 2011-10-11 Sridhara Subbiah Ramasubbu RFID intelligent traffic signaling
US7698101B2 (en) 2007-03-07 2010-04-13 Apple Inc. Smart garment
JP4967015B2 (ja) * 2007-04-02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安全運転支援装置
US20110037619A1 (en) * 2009-08-11 2011-02-17 On Time Systems, Inc. Traffic Routing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GPS and Mobile Data Devices
US7978097B2 (en) 2007-12-03 2011-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peed limit system
US7864072B2 (en) * 2007-12-11 2011-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raffic light
US20090224934A1 (en) 2008-03-04 2009-09-10 Sharon Collier Medley Caneye process
US8056269B2 (en) 2008-05-02 2011-11-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lighting system
US8058837B2 (en) 2008-05-02 2011-11-15 Nike, Inc.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046937B2 (en)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US8314686B2 (en) 2008-06-05 2012-11-20 Kirtley Jr James M Radio controlled safety stop system for forklift trucks with RFID
US9002680B2 (en) 2008-06-13 2015-04-07 Nike, Inc. Foot gestures for computer input and interface control
CN105768322A (zh) 2008-06-13 2016-07-2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传感器系统的鞋
DE102008034594B4 (de) 2008-07-25 2021-06-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sowie Informationssystem zur Information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es
US20100039291A1 (en) 2008-08-15 2010-02-18 Harrison Michael A Vehicle/Crosswalk Communication System
US8231506B2 (en) 2008-12-05 2012-07-31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US20100184564A1 (en) 2008-12-05 2010-07-22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TW201104498A (en) * 2009-03-10 2011-02-01 Artificial Muscle Inc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for tactile feedback devices
US8253589B2 (en) 2009-10-20 2012-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to entity communication
US8274404B2 (en) * 2009-12-14 2012-09-25 At&T Mobility Ii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hange of a status of traffic light at a crosswalk
KR20110071728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솔형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242316A1 (en) 2010-03-30 2011-10-06 Ramiro Velazquez Guerrero Shoe-integrated tactile display for directional navigation
SE535102C2 (sv) * 2010-04-08 2012-04-17 Recco Invest Ab Frekvensselektiv transponder med rörelsesensor
US9230419B2 (en) 2010-07-27 2016-01-05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nd warn proximate entities of interest
CN202069017U (zh) 2011-05-13 2011-12-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导盲鞋系统
US8935860B2 (en) 2011-10-28 2015-01-20 George Torres Self-tightening shoe
WO2013080249A1 (ja) 2011-11-29 2013-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歩行者用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歩車間通信システム
US9368028B2 (en) 2011-12-01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ing threats based on information from road-based devices in a transportation-related context
KR101307392B1 (ko) * 2011-12-23 2013-09-16 정재영 특이 상황 알림이 가능한 신발
US11071344B2 (en) 2012-02-22 2021-07-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9558667B2 (en) 2012-07-09 2017-01-31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collision detection
EP4331428A3 (en) * 2012-08-31 2024-05-01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US20140266570A1 (en) 2013-03-12 2014-09-18 Anirudh Sharma System and method for haptic based interaction
US20140266571A1 (en) 2013-03-12 2014-09-18 Anirudh Sharma System and method for haptic based interaction
US10024740B2 (en) * 2013-03-15 2018-07-17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20140308930A1 (en) * 2013-04-12 2014-10-16 Bao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US10551851B2 (en) * 2013-07-01 2020-02-04 Steven Sounyoung Yu Autonomous unmanned road vehicle for making deliveries
DE102014213066A1 (de) 2013-07-04 2015-01-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Car2X fähige Warnkleidung mit Ladeschnittstelle
ES2455841B1 (es) * 2013-07-17 2015-01-21 Kaparazoom Slu Señal de identificación de semáforos para visión computarizada
US10109188B2 (en) * 2013-07-26 2018-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lert control device, street light,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erting traffic
CN108652118B (zh) 2013-09-20 2022-09-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可移除的机动调节系统的鞋类
KR101865486B1 (ko) 2013-10-25 2018-06-07 인텔 코포레이션 사용자 경험들을 캡처하고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들
EP3087558A4 (en) 2013-12-26 2017-06-2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electronic communicating device
US20150237949A1 (en) * 2014-02-25 2015-08-27 Efthimios Poulos Safety boots with multi level safety features
US8786466B1 (en) * 2014-03-12 2014-07-22 Mohamad Motaz Aladas Wireless push button device for pedestrian crosswalk signal system
JP2015219806A (ja)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制御装置
US9424749B1 (en) * 2014-04-15 2016-08-23 Amanda Reed Traffic signal system for congested trafficways
US10092065B2 (en) 2014-04-15 2018-10-09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removable midsole
US9380834B2 (en) 2014-04-22 2016-07-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dynamic support
US9142127B1 (en) * 2014-04-29 2015-09-22 Maxwell Consul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guidance nodes and traffic navigating entities
US20150324646A1 (en) 2014-05-08 2015-11-12 Brown University Navig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9817959B2 (en) 2014-06-27 2017-11-14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JP2014186040A (ja) 2014-07-10 2014-10-02 Zenrin Datacom Co Ltd 経路決定装置、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17134B2 (en) 2014-08-19 2017-04-1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De-centralized operational indicator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9747781B2 (en) 2014-09-26 2017-08-29 Intel Corporation Shoe-based wearable interaction system
US9483937B2 (en) 2014-10-16 2016-11-01 Paypal, Inc. Wireless beacon devices providing crosswalk management through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s
US10699560B2 (en) * 2014-11-05 2020-06-30 Key2Access inc. Integrat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JP6688556B2 (ja) * 2014-11-11 2020-04-28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60174899A1 (en) 2014-12-19 2016-06-23 Withings Wireless Connected Indoors Slipper and Wireless Connected Footwear and Associated Detection Methods
AU2016207742B2 (en) 2015-01-12 2020-01-02 Ronen Izidor GABBAY Navigational devices and methods
US10453322B2 (en) * 2015-01-13 2019-10-22 Robert Kaindl Personal safety device, method and article
US9740945B2 (en) 2015-01-14 2017-08-22 Magna Electronics Inc.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KR101698515B1 (ko) 2015-01-16 2017-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길 안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US9711026B2 (en) 2015-02-25 2017-07-18 Brandon F. Forbes Footwear arrangement with battery and anti-theft protection
JP2017009573A (ja) 2015-03-06 2017-01-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装着端末、及び、装着端末の制御方法
US9677901B2 (en) 2015-03-10 2017-06-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at optimal times
US20160299224A1 (en) 2015-04-07 2016-10-13 Alexis Stobbe Active radar activated anti-collision apparatus
JP5864800B1 (ja) 2015-04-11 2016-02-17 治幸 岩田 ウェアラブ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指輪・腕時計・腕輪、プログラム
US9609904B2 (en) * 2015-04-23 2017-04-04 Adidas Ag Shoes for ball sports
US9896030B2 (en) 2015-04-30 2018-02-20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llision mitigation with vulnerable road user context sensing
KR20160145981A (ko) * 2015-06-11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GB2563114B (en) 2015-07-02 2019-04-24 Walmart Apollo Llc Tactile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9483948B1 (en) * 2015-08-07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control of interactions between self-driving vehicles and pedestrians
CN105225474A (zh) * 2015-08-19 2016-01-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可穿戴设备的车辆行人防碰撞预警系统
KR20170025179A (ko) * 2015-08-27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7068335A (ja) * 2015-09-28 2017-04-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車載通信装置
KR20170040458A (ko) * 2015-10-05 2017-04-13 강규진 충돌 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돌 경보 시스템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O2017070373A1 (en) 2015-10-20 2017-04-27 St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pedestrians and small vehicles at roadway intersections
CN105976640A (zh) * 2015-11-03 2016-09-28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v2x通信的安全警示方法、行人鞋装置、车载平台及系统
US20170142501A1 (en) 2015-11-16 2017-05-18 Qualcomm Incorporated Internet of shoes
US10055948B2 (en) 2015-11-30 2018-08-21 Nike, Inc. Apparel with ultrasonic position sensing and haptic feedback for activities
JP6191971B2 (ja) * 2015-12-18 2017-09-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歩行者端末装置、車載端末装置、歩車間通信制御装置、歩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歩車間通信方法
DE102016201151B4 (de) * 2016-01-27 2020-11-19 Adidas Ag Herstellung eines individuell angepassten Sportkleidungsstücks basierend auf Sensordaten
FR3047574B1 (fr) 2016-02-05 2019-08-16 Intellinium Article vestimentaire intelligent et communicant, procede et installation de communication bidirectionnelle avec un tel article vestimentaire
JP6428668B2 (ja) 2016-02-12 2018-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配信システム
US9737263B1 (en) 2016-02-15 2017-08-22 Wipro Limited Footwear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of foot of a user and a method thereof
CN112471685B (zh) 2016-03-15 2022-08-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的电容式足部存在感测
KR102416113B1 (ko) 2016-03-15 2022-07-0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조립 공정
WO2017160927A2 (en)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Motor control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827804B2 (en) 2016-03-15 2020-11-10 Nike, Inc.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660406B2 (en) 2016-03-15 2020-05-26 Nike, Inc. Tensioning system and reel member for footwear
US10238180B2 (en) 2016-03-15 2019-03-26 Nike, Inc. Position sensing assembly for a tensioning system
JP7113753B2 (ja) 2016-03-15 2022-08-05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WO2017164886A1 (en) * 2016-03-25 2017-09-28 Intel Corporation System to monitor utiliza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restricted areas
JP6535631B2 (ja) 2016-03-31 2019-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CN205585398U (zh) 2016-05-05 2016-09-21 东华理工大学 一种免充电并有记忆和智能提示功能的导航鞋
KR102475627B1 (ko) * 2016-05-18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단말 서비스 시스템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마트 단말기
US9958275B2 (en) 2016-05-31 2018-05-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smart device communications
CN105889882B (zh) * 2016-06-06 2019-01-29 中国计量大学 一种道路路灯控制方法
US9914624B2 (en) 2016-06-22 2018-03-13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guidance and collision avoidance
US20180052004A1 (en) 2016-06-28 2018-02-22 Lab Brothers, LLC Wearable navigation interface system
EP3478174A1 (en) 2016-07-01 2019-05-08 L.I.F.E. Corporation S.A. Biometric identification by garment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US11331242B2 (en) 2016-07-06 2022-05-17 Bruce Corporation Travel assistance system
US10546328B2 (en) 2016-08-04 2020-01-28 Walmart Apollo, Llc In-store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30494B1 (en) 2016-09-23 2017-08-15 Feinstein Patents, Llc Self-fitting, self-adjusting, automatically adjusting and/or automatically fitting shoe/sneaker/footwear
CN107871402A (zh) 2016-09-26 2018-04-0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路侧显示系统、路侧装置及其路侧显示方法
US20180096595A1 (en) 2016-10-04 2018-04-05 Street Simplified, LLC Traffi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083248B2 (en) 2016-10-26 2021-08-10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upper elastic tensioner
KR101856999B1 (ko) 2016-11-09 2018-05-14 발리교역(주) 스마트 내비게이션 신발을 활용한 스마트 내비게이션 시스템
JP2018087742A (ja) 2016-11-29 2018-06-07 バリ トレー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マートナビゲーション履物を活用したスマート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DE102016224516A1 (de) 2016-12-08 2018-06-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zumindest eines Fußgängers durch ein Fahrzeug
US10945662B2 (en) 2016-12-12 2021-03-16 Justin London Smart fitness apparatus
WO2018119257A1 (en) * 2016-12-22 2018-06-28 Active8 Softwa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icketing, monitoring, and indicating permissive use of facilities
CN106726380A (zh) * 2017-01-05 2017-05-31 东北大学秦皇岛分校 电子导盲鞋
US20180233018A1 (en) * 2017-02-13 2018-08-16 Starkey Laboratories, Inc. Fall prediction system including a beacon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6798374A (zh) 2017-03-20 2017-06-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鞋垫
KR20190009640A (ko)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US10607489B2 (en) * 2017-08-01 2020-03-3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probabilities of collisions between humans and automated machines operating within a workplace
US10801850B2 (en) 2017-08-09 2020-10-13 Curbside Inc. Arrival predictions based on destination specific model
US10548366B2 (en) 2017-12-07 2020-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vigation using microfluidics
US10192433B1 (en) * 2018-02-07 2019-01-29 Delphi Technologies, Llc Traffic control system
US10235882B1 (en) 2018-03-19 2019-03-19 Derq Inc. Early warning and collision avoidance
US10403113B1 (en) 2018-04-06 2019-09-03 Witricity Corpoation Methods for warning of electromagnetic fields produced by wireles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JP6909386B2 (ja) 2018-04-24 2021-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ファインダシステム
US11122852B2 (en) * 2018-05-31 2021-09-21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US10172409B1 (en) * 2018-05-31 2019-01-08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automated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US10963547B2 (en) * 2018-07-12 2021-03-30 Securiport Llc Wearable device for trusted biometric identity
US10908732B1 (en) * 2019-08-26 2021-02-02 Google Llc Removable electronics device for pre-fabricated sensor assemblies
WO2021106770A1 (ja) 2019-11-25 2021-06-03 歩 千野 誘導支援装置、誘導支援システム、及び履物
CN110934375A (zh) 2019-12-17 2020-03-31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规划路线的导航鞋
CN111227423A (zh) 2020-02-18 2020-06-05 怀化学院 基于北斗导航技术的语音辅助自主避障导航鞋及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812A (ja) * 2001-02-01 2002-08-13 Ryoji Wada 発光機能付履物
US20130201036A1 (en) * 2010-07-12 2013-08-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Road safety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the road safety of pedestrians
JP2016533068A (ja) * 2013-07-19 2016-10-20 ジオモビー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Geomoby Pty Ltd 位置測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5221065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制御装置
WO2017160561A2 (en) * 2016-03-15 2017-09-21 Nike Innovate C.V.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177A (ko) 2022-12-07
US20210298407A1 (en) 2021-09-30
US11915592B2 (en) 2024-02-27
KR102619277B1 (ko) 2023-12-29
US20240161620A1 (en) 2024-05-16
JP2022180367A (ja) 2022-12-06
US11900810B2 (en) 2024-02-13
US11464275B2 (en) 2022-10-11
CN115294800A (zh) 2022-11-04
US20200253321A1 (en) 2020-08-13
JP7132360B2 (ja) 2022-09-06
US20190365014A1 (en) 2019-12-05
EP3803831A1 (en) 2021-04-14
US10441020B1 (en) 2019-10-15
CN115410389A (zh) 2022-11-29
US20210315316A1 (en) 2021-10-14
JP2022177002A (ja) 2022-11-30
CN115394072A (zh) 2022-11-25
CN112534486B (zh) 2022-08-02
EP3803827A1 (en) 2021-04-14
JP2022176942A (ja) 2022-11-30
WO2019231888A1 (en) 2019-12-05
US20240144827A1 (en) 2024-05-02
JP2023039979A (ja) 2023-03-22
WO2019231886A1 (en) 2019-12-05
WO2019231884A1 (en) 2019-12-05
US11990042B2 (en) 2024-05-21
JP2024028898A (ja) 2024-03-05
US11051574B2 (en) 2021-07-06
KR20230008248A (ko) 2023-01-13
CN115294799B (zh) 2024-02-13
US11109634B2 (en) 2021-09-07
KR20210018355A (ko) 2021-02-17
US11058166B2 (en) 2021-07-13
KR20240005990A (ko) 2024-01-12
US10674783B2 (en) 2020-06-09
US20190387832A1 (en) 2019-12-26
US10334906B1 (en) 2019-07-02
JP2024026355A (ja) 2024-02-28
JP2021525588A (ja) 2021-09-27
JP7455939B2 (ja) 2024-03-26
KR102584836B1 (ko) 2023-10-05
CN115294798B (zh) 2024-04-02
CN115294800B (zh) 2024-05-28
CN112219231A (zh) 2021-01-12
US11727808B2 (en) 2023-08-15
JP2024056781A (ja) 2024-04-23
US20230343216A1 (en) 2023-10-26
KR20210018357A (ko) 2021-02-17
KR20210015966A (ko) 2021-02-10
US10681954B2 (en) 2020-06-16
US20210361021A1 (en) 2021-11-25
JP7124127B2 (ja) 2022-08-23
US20200196699A1 (en) 2020-06-25
US20210361022A1 (en) 2021-11-25
CN112236804A (zh) 2021-01-15
KR102469707B1 (ko) 2022-11-22
KR20230145508A (ko) 2023-10-17
JP2022176943A (ja) 2022-11-30
JP2021525916A (ja) 2021-09-27
KR20230144651A (ko) 2023-10-16
JP7404461B2 (ja) 2023-12-25
JP2024026354A (ja) 2024-02-28
KR102483603B1 (ko) 2023-01-02
US10178890B1 (en) 2019-01-15
JP7256827B2 (ja) 2023-04-12
CN115294798A (zh) 2022-11-04
KR102483464B1 (ko) 2022-12-30
EP3803826A1 (en) 2021-04-14
JP7404462B2 (ja) 2023-12-25
US11763676B2 (en) 2023-09-19
CN112534486A (zh) 2021-03-19
JP7401616B2 (ja) 2023-12-19
CN115294799A (zh) 2022-11-04
US20190365016A1 (en) 2019-12-05
US20230015018A1 (en) 2023-01-19
KR20230174296A (ko) 2023-12-27
US10172409B1 (en) 2019-01-08
JP7455940B2 (ja) 2024-03-26
KR20230007553A (ko) 2023-01-12
JP2021526052A (ja) 2021-09-30
JP2023039978A (ja) 2023-03-22
CN112236804B (zh) 2022-08-19
US20240153388A1 (en) 2024-05-09
KR20220156988A (ko) 2022-11-28
US20230386339A1 (en) 2023-11-30
KR102585680B1 (ko) 2023-10-05
JP2023039977A (ja) 2023-03-22
JP7433388B2 (ja)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523B1 (ko) 지능형 전자 신발류 및 자동화된 신발류 특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로직
US11553754B2 (en)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US20240194072A1 (en)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EP4150299A1 (en)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