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640A -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640A
KR20190009640A KR1020170091681A KR20170091681A KR20190009640A KR 20190009640 A KR20190009640 A KR 20190009640A KR 1020170091681 A KR1020170091681 A KR 1020170091681A KR 20170091681 A KR20170091681 A KR 20170091681A KR 20190009640 A KR20190009640 A KR 2019000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state
proces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640A/ko
Priority to PCT/KR2018/008138 priority patent/WO2019017696A1/ko
Priority to US16/632,832 priority patent/US20200163416A1/en
Publication of KR2019000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2Healthy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bjects of a marketing surv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모터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Apparatus for adjusting shoe lace and sho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신발은 사용자가 항상 착용하는 제품으로서,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는 걷거나, 뛰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신발에 배치되는 신발 끈은, 신발 착용시의 조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상, 수동으로, 신발 끈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모터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1 모터와, 제1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2 모터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끈 조절부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모터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발 끈의 휨 상태를 센싱하는 휨 센서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신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상태에 맞는,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으며, 결국,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1 모터와, 제1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2 모터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끈 조절부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b는 도 5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8은 도 17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10)은, 신발 끈 관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70)의 신발(50L,50R)에 각각 배치되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동 단말기(600), 스마트 워치(800), 무선 이어폰(700), 서버(10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는, 사용자(70)가 착용하는 신발(50L,50R)의 신발 끈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600), 스마트 워치(800), 무선 이어폰(70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서버(10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600), 스마트 워치(800), 무선 이어폰(70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ASL)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모터(155)와, 가속도 센서(134)를 포함하는 센싱부(130)와, 가속도 센서(134)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ASL)의 휨 상태를 센싱하는 휨 센서(132)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신발(5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상태에 맞는,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가속도 센서(134)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압력 센서(133)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으며, 결국,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ASL)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1 모터(155)와, 제1 모터(15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신발 끈(ASL)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2 모터(155)와, 가속도 센서(134)를 포함하는 센싱부(130)와, 가속도 센서(134)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함으로써,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ASL)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끈 조절부와, 가속도 센서(134)를 포함하는 센싱부(130)와, 가속도 센서(134)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함으로써,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보폭 속도, 보행 각도, 보행 패턴을 연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거나, 운동량을 측정하거나, 걸음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이동 단말기(600)에서 설정된 끈 조임 단계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끈 조임 단계를 조절하고, 현재의 끈 조임 단계를 이동 단말기(600)로 저장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구분하고,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착용자를 구분하고, 착용자에 따라,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이동 단말기(600)와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즉,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600)와의 무선 신호에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이탈 방지, 특히, 분실 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600)는,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와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즉, 페어링된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와의 무선 신호에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의 이탈 방지, 특히, 분실 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착용자가 신발을 벗은 경우, 신발 끈을 최대로 조여서 다른 사람이 신을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이동 단말기(600) 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재 위치가, 집 근방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이 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주변 환경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하철, 버스, 차량 등에서 내리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느슨하게 풀어뒀던 신발 근을 조여서, 사용자가 내려야하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자 걸음 또는 안짱 걸음 등이 감지되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발 끈의 일단과 타단의 조임을 비대칭으로하여,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 각각은, 착용자의 운동 상태 등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페이스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신발 끈 조절 단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거나, 운동량을 측정하거나, 걸음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현재 위치 정보, 생성된 맵, 보폭 속도, 보행 각도, 보행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설정된 끈 조임 단계 정보를 신발 끈 조절장치(100L,100R)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좌측 신발(50L)과 우측 신발(50R)에는 각각, 좌측 신발 끈(ASL), 우측 신발 끈(ASR)이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좌측 신발 끈(ASL), 우측 신발 끈(ASR)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 우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R)가 각각 구비된다.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 우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R)는, 각각 좌측 신발 끈(ASL), 우측 신발 끈(ASR)의 일단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발 끈이, 크로스로 묶여 있으며 조절이 힘든 고정형 신발 끈(BSL,BSR)과, 조절 가능한 신발 끈(ASL,ASR)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 우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R)는, 각각 조절 가능한 신발 끈(ASL,ASR)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도 3에서는,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 우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R)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기술한다.
도 3은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끈 조절장치(100)는, 센싱부(130), 통신부(135), 메모리(140), 모터 구동부(150), 모터(155), 프로세서(170), 입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모션 센서(131), 휨 센서(132), 압력 센서(13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모션 센서(13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모션 센서(131)는, 6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모션 센서(131)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의 모션 정보, 예를 들어, x,y,z축 기준의 움직임 정보(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휨 센서(132)는, 신발 끈(ASL)의 휨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 센서(133)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3)는, 신발 착용자의 발등에 의한,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5)는, 외부의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5)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5)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5)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5)는,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및 GPS 모듈(미도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5)는, 블루투스 통신, WiFi 통신, 저전력 광대역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600)로, 신발 끈 조절장치(100)에서 센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신발 끈 조절 단 정보, 보폭 정보, 보폭 속도 정보, 보행 각도 정보, 보행 패턴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150)는. 모터(155)가 회전하도록 모터(155)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2 개의 모터(155La,155Lb)가 구비되는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신발 끈 조절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휨 센서(132)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신발(5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압력 센서(133)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압력 센싱 정보가, 소정 기간 동안,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신발(50) 착용자의 발이 부은 상태로 판단하고, 부은 상태에 대응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을 벗는 상태인지, 신발(50)을 신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벗는 상태 또는 신는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신발(50) 착용자의 상태 정보와,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상태 정보를 연산하고, 최종 상태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터(155)가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좌측 조임과 우측 조임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이 좌측 신발(50)의 신발 끈(ASL)인지 우측 신발(50)의 신발 끈(ASL)인지 구분하고,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신발 끈(ASL) 조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발 끈(ASL) 조임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보폭 속도, 보행 각도, 보행 패턴을 연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거나, 운동량을 측정하거나, 걸음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설정된 끈 조임 단계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구분하고,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 착용자를 구분하고, 착용자에 따라,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즉,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600)와의 무선 신호에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이탈 방지, 특히, 분실 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착용자가 신발을 벗은 경우, 신발 끈을 최대로 조여서 다른 사람이 신을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 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재 위치가, 집 근방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주변 환경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하철, 버스, 차량 등에서 내리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느슨하게 풀어뒀던 신발 근을 조여서, 사용자가 내려야하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자 걸음 또는 안짱 걸음 등이 감지되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발 끈의 일단과 타단의 조임을 비대칭으로하여,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착용자의 운동 상태 등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페이스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부(185)는, 신발 끈 조절장치(100)의 초기화, 또는 동작 입력 등을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좌측 신발(50L)에, 신발 끈(ASLa,ASLb)가 구비되며, 신발 끈(ASLa,ASLb)의 일 단부에,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신발 끈(ASLa,ASLb)의 타 단부에, 휨 센싱을 위한 휨 센서(132L)가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는, 내부에, 프로세서(170L), 센싱부(130L). 통신부(135L), 전원 공급부(190L),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155La,155L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신발 끈(ASLa,ASLb)의 일단은, 각각 모터(155La,155Lb)에 걸쳐 있으며, 모터(155La,155Lb)의 회전에 따라, 신발 끈(ASLa,ASLb)이 풀어지거나, 당겨지게 된다.
예를 들어,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에 의해, 신발 끈(ASLa,ASLb)이 당겨지게 되며, 모터(155La)의 좌측 회전, 모터(155Lb)의 우측 회전에 의해, 신발 끈(ASLa,ASLb)이 풀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1b는 도 5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S505). 구체적으로 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션 정보는,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정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각속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모션 정보(Sacc) 중, PWa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걷는(walking) 상태를 나타내며, Pru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런닝(running) 상태를 나타내며, Psi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앉은(sitting)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도 6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이 런닝 상태인 경우(S515), 신발 끈이 제1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ra,Pr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 끈이 타이트하게 감겨지게 된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이 걷는 상태인 경우(S525), 신발 끈이 제2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wa,Pw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약간 타이트하게 신발 끈이 감겨지게 된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인 경우(S535), 신발 끈이 제3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도 7c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sa,Ps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 끈이 풀리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비교하면, 앉은 상태인, 도 7c에서, 신발 끈이 가장 길게 풀어지며, 걷는 상태인 도 7a의 신발 끈이 중간으로 감기며, 러닝 상태인 도 7a의 신발 끈이 가장 타이타하게 감겨, 가장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휨 센서(132)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신발(5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특히, 미세 조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휨 센서(132)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의 레벨이 클수록, 신발 끈이 풀어지고, 휨 센싱 정보의 레벨이 작을수록, 신발 끈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앉은 상태인 경우의 판별은, 도 6의 Psi 구간과 같은,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외에, 추가로, 압력 센서(133)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닝 상태인 경우, 발등에 의한 압력이 크며, 앉은 경우, 발등에 의한 압력이 작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70)는,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은 상태인 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압력 센서(133)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각 상태 파악이 가능하며, 이에 적합한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압력 센싱 정보가, 소정 기간 동안,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신발(50) 착용자의 발이 부은 상태로 판단하고, 부은 상태에 대응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신발을 벗는 경우(S545), 신발 끈이 가장 풀어진 상태인 제4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을 벗는 상태인지, 신발(50)을 신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벗는 상태 또는 신는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압력 센서(133)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을 벗는 상태인지, 신발(50)을 신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벗는 상태 또는 신는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걷다가 신발을 벗는 경우의 모션 정보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PWa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걷는(walking) 상태를 나타내며, Psta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휴지 상태를 나타내며, Plo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신발을 벗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도 8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신발(50)이 걷는 상태인지, 휴지 상태인지, 신발을 벗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Wa 구간과 같이, 걷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도 9a와 같이,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wa,Pw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약간 타이트하게 신발 끈이 감겨지게 된다.
한편, Plo 구간과 같이, 신발을 벗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도 9b와 같이,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ofa,Pof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끈이 가장 많이 풀리게 된다.
도 10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걷는 경우의 모션 정보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Plo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신발을 신는 상태를 나타내며, Psta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휴지 상태를 나타내며, PWa 구간과 같은 모션 정보는, 걷는(walking)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도 10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신발(50)이 신는 상태인지, 휴지 상태인지, 신발을 걷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lo 구간과 같이, 신발을 신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도 11a와 같이,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ofa,Pofb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끈이 가장 많이 풀리게 된다.
다음, PWa 구간과 같이, 걷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도 9b와 같이, 모터(155La)의 우측 회전, 모터(155L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wa,Pw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약간 타이트하게 신발 끈이 감겨지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이 좌측 신발(50)의 신발 끈(ASL)인지 우측 신발(50)의 신발 끈(ASL)인지 구분하고,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구분하고,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신발 착용자를 구분하고, 착용자에 따라, 신발 종류에 따른 조임 단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착용자가 신발을 벗은 경우, 신발 끈을 최대로 조여서 다른 사람이 신을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신발 끈 조절장치(100b)는, 도 3의 신발 끈 조절장치(100)와 유사하나, 제1 모터(155a) 구동을 위한 제1 모터 구동부(150a), 제2 모터(155b) 구동을 위한 제2 모터 구동부(150b)를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제2 모터(155b)는, 제1 모터(155a)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3과 같이, 신발 끈 구동장치(100b)는, 제1 모터(155a)가 배치되는 제1 포션(100La)과, 제2 모터(155b)가 배치되는 제2 포션(100Lb)을 구비하며, 제1 포션(100La)과, 제2 포션(100Lb)은 각각 이격될 수 있다.
도 13 등에 의하면, 도 4 등과 달리, 신발 끈(ALSla,ASLb)의 조절을 위해, 신발 끈(ALSla,ASLb)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모터(155a)와, 제2 모터(155b)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발 끈 구동장치(100b)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이 런닝 상태인 경우, 신발 끈이 제1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a,155Lab)의 우측 회전, 모터(155Lba,155Lb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ra,Pr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 끈이 타이트하게 감겨지게 된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신발(50)이 걷는 상태인 경우, 신발 끈이 제2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a,155Lab)의 우측 회전, 모터(155Lba,155Lb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wa,Pw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약간 타이트하게 신발 끈이 감겨지게 된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인 경우, 신발 끈이 제3 레벨로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c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모터(155Laa,155Lab)의 우측 회전, 모터(155Lba,155Lbb)의 좌측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신발 끈(ASLa,ASLb)의 단부(ELA,ELb)가 각각 Psa,Psb의 위치까지 감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신발 끈이 풀리게 된다.
한편, 도 15와 같이, 좌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L), 우측 신발 끈 조절장치(100R)는 각각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신발(50) 착용자의 상태 정보와,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상태 정보를 연산하고, 최종 상태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신발 끈(ASL) 조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발 끈(ASL) 조임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보폭 속도, 보행 각도, 보행 패턴을 연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거나, 운동량을 측정하거나, 걸음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설정된 끈 조임 단계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즉,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600)와의 무선 신호에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이탈 방지, 특히, 분실 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 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재 위치가, 집 근방인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주변 환경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신발 끈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하철, 버스, 차량 등에서 내리는 경우, 신발 끈 조절장치(100) 각각은, 느슨하게 풀어뒀던 신발 근을 조여서, 사용자가 내려야하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착용자의 운동 상태 등에 따라,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페이스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신발(50L)의 신발 끈(ALSa,ASLb) 의 좌측 조임과 우측 조임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와 유사하게, 모터(155)가 제1 모터(155a)와 제2 모터(155b)를 구비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 끈(ALSa,ASLb) 의 좌측 조임과 우측 조임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걷는 패턴이, 좌우 비대칭인 경우,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자 걸음 또는 안짱 걸음 등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걸음 교정 등을 위해, 신발 끈(ALSa,ASLb) 의 좌측 조임과 우측 조임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도 2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또 다른 예이고, 도 18은 도 17의 신발 끈 조절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의 신발 끈 조절장치(100c)는, 도 3의 신발 끈 조절장치(100)와 유사하나, 모터(155) 대신에, 전기 자극에 의해, 신발 끈의 조임 단계가 조절되는 신발 끈 조절부(160)를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과 같이, 신발 끈 구동장치(100c)는, 신발 끈(ALSla,ASLb)의 각 단부에 접촉되는 신발 끈 조절부(161a,161b)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신발 끈 조절부(161a,161b)에 a 레벨의 정극성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발 끈이 제1 레벨로 조여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신발 끈 조절부(161a,161b)에 a 레벨 보다 낮은 b 레벨의 정극성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발 끈이 제2 레벨로 조여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신발 끈 조절부(161a,161b)에 부극성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발 끈이 제3 레벨로 조여질 수 있다.
즉, 신발 끈 구동장치(100c)는, 모션 센서(131)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50)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50)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신발 끈(ASL)의 조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신발에 부착되는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한 신발 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모터;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신발 끈의 휨 상태를 센싱하는 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휨 센서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상기 신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센싱 정보가, 소정 기간 동안,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이 부은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부은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을 벗는 상태인지, 상기 신발을 신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벗는 상태 또는 신는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상태 정보와,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상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최종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1 모터;
    상기 신발 끈의 타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의 좌측 조임과 우측 조임이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발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이 좌측 신발의 신발 끈인지 우측 신발의 신발 끈인지 구분하고,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신발 끈 조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발 끈 조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3. 신발에 부착되는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한 신발 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 끈의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상기 신발 끈의 상기 일단의 이동을 위해 동작하는 제2 모터;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신발 끈의 휨 상태를 센싱하는 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휨 센서로부터의 휨 센싱 정보, 상기 신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을 벗는 상태인지, 상기 신발을 신는 상태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벗는 상태 또는 신는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상태 정보와,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상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최종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8. 신발에 부착되는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한 신발 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 끈의 조절을 위해 동작하는 끈 조절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이 런닝 상태인지, 걷는 상태인지, 앉아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라, 상기 신발 끈의 조임 레벨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절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신발 끈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신발.
KR1020170091681A 2017-07-19 2017-07-19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KR2019000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81A KR20190009640A (ko) 2017-07-19 2017-07-19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PCT/KR2018/008138 WO2019017696A1 (ko) 2017-07-19 2018-07-18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US16/632,832 US20200163416A1 (en) 2017-07-19 2018-07-18 Shoelace adjusting device and sho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81A KR20190009640A (ko) 2017-07-19 2017-07-19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40A true KR20190009640A (ko) 2019-01-29

Family

ID=6501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681A KR20190009640A (ko) 2017-07-19 2017-07-19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63416A1 (ko)
KR (1) KR20190009640A (ko)
WO (1) WO20190176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9188A (zh) * 2019-05-31 2022-04-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适应支撑服装系统和方法
KR102441647B1 (ko) * 2021-04-13 2022-09-16 대한민국 신발용 전동 인장 및 하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852B2 (en) 2018-05-31 2021-09-21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US10178890B1 (en) 2018-05-31 2019-01-15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executing automated footwear features
KR102588072B1 (ko) 2018-08-27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솔 제조 방법
KR102604085B1 (ko) * 2018-12-12 202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형 장치 및 신발형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1231052A1 (en) * 2020-05-15 2021-11-18 Nike Innovate C.V.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CN112273788A (zh) * 2020-10-26 2021-01-29 广州威麦云健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二十合一多功能拓展鞋饰带
US20230122485A1 (en) * 2021-10-15 2023-04-20 Shimano Inc. Cycling sho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935B1 (ko) * 2002-04-22 2012-11-28 마시오 마크 아우렐리오 마틴스 애브리우 뇌 온도 터널의 단부에 있는 피부에 배치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FR2924577B1 (fr) * 2007-12-07 2010-03-12 Ct Tech Cuir Chaussure Maroqui Article chaussant a serrage facilite
EP4327688A3 (en) * 2012-08-31 2024-05-01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KR102218437B1 (ko) * 2013-07-10 2021-02-22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물품을 조이기 위한 폐쇄 시스템
KR101659154B1 (ko) * 2014-07-10 2016-09-22 주식회사 티엘아이 보행 알림 장치 및 보행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082035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신발
CN112471685B (zh) * 2016-03-15 2022-08-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的电容式足部存在感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9188A (zh) * 2019-05-31 2022-04-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适应支撑服装系统和方法
EP3975782A4 (en) * 2019-05-31 2023-08-02 NIKE Innovate C.V. ADAPTIVE SUPPORT GARMENT SYSTEMS AND METHODS
US11825886B2 (en) 2019-05-31 2023-11-28 Nike, Inc. Adaptive support apparel systems and methods
US11832657B2 (en) 2019-05-31 2023-12-05 Nike, Inc. Adaptive support apparel systems and methods
KR102441647B1 (ko) * 2021-04-13 2022-09-16 대한민국 신발용 전동 인장 및 하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3416A1 (en) 2020-05-28
WO2019017696A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640A (ko) 신발 끈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US9558399B1 (en) Feedback device to improve arm swing
KR102186859B1 (ko) 보행 보조 기구 및 보행 보조 기구의 제어 방법
US10034622B1 (en) In-shoe foot monitoring utilizing an insert
US20170055880A1 (en) Gait Analysi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1241356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US20160263437A1 (en) A gait monitor and a method of monitoring the gait of a person
US110487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uman locomotion
US20100261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correct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motion correcting apparatus
KR101659154B1 (ko) 보행 알림 장치 및 보행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90088A (ko)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WO2017083824A1 (en) Feedback wearable
KR20150077736A (ko) 보행 보조 장치 및 보행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EP3671119B1 (en) Attitude matrix calculating method and device
KR20180033652A (ko) 보행 보조 장치 및 보행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083829A (ko) 보행 보조 로봇
US20240033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to user
JP7113284B2 (ja) 運動補助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運動補助システム
EP43647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on basis of exercise mod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method
US202300313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rol parameter values of wearable device
US11911307B2 (en) Knee brace
US20230226687A1 (en) Method of determining value of parameter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KR20220144292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근체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46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torque to provide force to user
KR20220165172A (ko)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