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80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80B1
KR102596680B1 KR1020217012945A KR20217012945A KR102596680B1 KR 102596680 B1 KR102596680 B1 KR 102596680B1 KR 1020217012945 A KR1020217012945 A KR 1020217012945A KR 20217012945 A KR20217012945 A KR 20217012945A KR 102596680 B1 KR102596680 B1 KR 10259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uide member
needle plate
vertica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286A (ko
Inventor
미츠루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21012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4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the workpie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4Feed-dog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8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이송 톱니를 퇴피시켰을 때, 이송 톱니를 바늘판의 상면 아래에 적절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킬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한다. 이송 톱니(3)는 바늘판(1)으로부터 돌출 및 함몰한다. 횡방향 이송 구동부(8)는, 구동축(7)의 회전을 횡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 톱니(3)로 전달한다. 상하 구동부(9)는 구동축(7)의 회전을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 톱니로 전달한다. 상하 위치 변경부는 이송 톱니(3)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P)을 바늘판(1)의 아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재봉틀
본 발명은 천을 재료로 하는 제품의 봉제에 이용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재봉틀은 노루발로 누른 바늘판 위의 천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톱니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톱니는 봉제 과정에서 천 이송 방향에 따른 횡방향과 바늘판 상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함으로써 타원형으로 이동한다.
즉, 이송 톱니는 바늘판의 상부로 이동하면 천의 이송방향 전방으로 전진하고, 바늘판의 하부 위치에서 후퇴하며, 다시 바늘판의 상부로 이동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이 경우, 이송 톱니에 의한 천의 전진 이송은 바늘이 상사점의 위치 부근에 있을 때 실행된다. 따라서, 바늘이 상승했을 때 이송 톱니는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동기적으로 작동된다.
한편, 봉제 작업 개시 전에는, 노루발을 상승시켜 천을 봉제 작업의 초기 위치에 준비하지만, 이때, 바늘은 상승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송 톱니가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천을 바늘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이송 톱니에 천이 접촉하여 원활한 봉제 작업 준비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봉제 작업 개시 전에, 노루발을 상승시켰을 때에, 이송 톱니를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하강시키도록 한 이송 톱니 하강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이송 톱니 하강 기구는, 구동축에 설치한 편심 캠과, 이 편심 캠으로부터 연장하는 로드에 각형 끼움부재를 통해 연결된 승강 링크와, 각형 끼움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노루발을 바늘판의 상부로 이격시키는 누름 조작 레버에 안내 부재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노루발을 상승시켰을 때, 안내 부재가 회동하여 각형 끼움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경사한다. 이 경사한 안내홈을 따라 각형 끼움부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송 톱니를 바늘판 상면에서 하부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이송 톱니 하강 기구는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이송 톱니를 퇴피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실용신안 평 1-35729호 공보
그러나, 이송 톱니는, 전진하여 천을 이송할 때에는 바늘판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송 톱니의 동작이 전진으로부터 후퇴로 변했을 때 짧은 시간이어도 이송 톱니가 바늘판 상면보다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후퇴하는 이송 톱니에 천의 전진 방향으로의 이송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때문에, 이송 톱니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의 위치는 바늘판 상면으로부터 약간 하부에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이송 톱니 하강 기구를 채용한 경우, 이송 톱니의 바늘판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의 설정 오차나 부품 치수의 오차 등에 의해, 퇴피 상태의 이송 톱니가 바늘판 상면보다 윗쪽에 위치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톱니의 반환점의 위치를 바늘판 상면으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를 두고 하부에 설정하면, 이송 톱니의 바늘판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충분한 천 이송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봉제 작업 시에는 이송 톱니에 의해 확실하게 천을 보낼 수 있고, 이송 톱니를 퇴피시켰을 때에는, 이송 톱니를 바늘판 상면보다 충분히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재봉틀은,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및 함몰하는 이송 톱니와, 상기 이송 톱니의 상방에 대향하는 노루발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횡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 톱니로 전달하는 횡방향 이송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 톱니로 전달하는 상하 구동부와, 상기 이송 톱니의 상하 방향의 왕복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와, 상기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가 상기 이송 톱니의 상하 방향의 이동거리를 감소시켰을 때, 상기 이송 톱니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을 상기 바늘판의 상면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은, 상하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송 톱니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을 바늘판의 상면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송 톱니를 퇴피시킬 때, 상하 위치 변경부에 의해 상기 반환점을 바늘판 상면보다 충분히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되는 진퇴 암과, 상기 진퇴 암에 하부 연결축을 통해 하단이 연결됨과 함께 상단이 상부 연결축을 통해 상기 이송 톱니를 횡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에 연결된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의 상기 하부 연결축과 동축으로 설치된 각형 끼움부재와, 상기 각형 끼움부재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는,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안내홈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송 톱니의 상기바늘판으로부터 돌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위치 변경부는,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축과 상기 안내홈에 있어서의 상기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 회동 기구에 의해 상기 안내 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안내홈이 경사했을 때, 상기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은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축보다 하강 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상하 구동부에 의하면, 구동축의 회전이 편심 캠을 통해 진퇴 암의 횡방향으로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된다. 진퇴 암의 진퇴 동작은, 각형 끼움부재를 안내 부재의 안내홈을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승강 링크의 하단은 하부 연결축을 통해 각형 끼움부재에 연결되고, 승강 링크의 상단은 상부 연결축을 통해 이송 토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형 끼움부재가 안내홈을 따라 왕복이동하면 승강 링크가 요동하고, 승강 링크의 요동에 의해 이송 토대가 승강한다.
안내홈의 경사와 이송 톱니의 상하 이동의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안내홈이 수평일 때 이송 톱니가 가장 크게 상하 이동한다. 안내홈이 진퇴 암의 진출 방향을 향해 점차 하강하도록 경사하면, 이송 톱니의 횡방향의 이동거리는 변하지 않고 상하 이동이 작아진다. 즉,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홈을 진퇴 암의 진출 방향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를 부여하면, 구동축이 회전해도 이송 톱니가 상하 이동하지 않게 된다(횡방향의 왕복 동작만 된다).
이때, 상하 위치 변경부에 있어서는, 안내 부재의 회동축과 안내홈에 있어서의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어긋남은, 안내홈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때,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이 안내 부재의 회동축보다 하강 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에 의하면, 안내홈이 경사했을 때에는, 이송 톱니의 상기 반환점을 하강시켜 바늘판 상면의 하부에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재봉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상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안내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봉제 작업 시의 주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퇴피 시의 주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안내 부재에 있어서의 회동축의 편심 유무에 대해 구성을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봉제 작업 시의 이송 톱니의 궤적과 바늘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봉제 작업 시의 다른 이송 톱니의 궤적과 바늘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봉제 작업 시의 이송 톱니의 궤적과 퇴피 시의 이송 톱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재봉틀은, 전체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에 따른 구성으로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재봉 바늘(도시하지 않음)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류 등의 천을 올려놓는 바늘판(1)과, 바늘판(1) 위의 천을 누르는 노루발(2)과, 바늘판(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및 함몰하면서 천을 이송하는 이송 톱니(3)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톱니(3)는 이송 톱니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이송 톱니 구동장치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로드(4)와, 이송 로드(4)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5)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로드(4)의 선단에는 이송 톱니(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송 토대(5)는, 그 기단(基端)이 요동축(6)을 통해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 토대(5)의 요동에 따라, 이송 로드(4) 선단의 이송 톱니(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이송 톱니 구동장치는,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7)과, 횡방향 이송 구동부(8)와, 상하 구동부(9)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7)은 이송 토대(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원은 재봉 바늘의 동작도 구동한다.
횡방향 이송 구동부(8)는, 구동축(7)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편심 캠(10)과, 제1 편심 캠(10)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되는 제1 진퇴 암(11)과, 제1 진퇴 암(11)의 진퇴 동작을 이송 로드(4)로 전달하는 진퇴 링크(1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방향 이송 구동부(8)에 의해 구동축(7)의 회전은 횡방향 이송 운동으로 변환되어 이송 톱니(3)로 전달된다.
상하 구동부(9)는 구동축(7)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 톱니(3)로 전달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7)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편심 캠(13)과, 제2 편심 캠(13)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되는 제2 진퇴 암(14)과, 제2 진퇴 암(14)에 연결된 승강 링크(1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편심 캠(13)은 본 발명의 편심 캠에 해당하고, 제2 진퇴 암(14)은 본 발명의 진퇴 암에 해당한다.
승강 링크(1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이 하부 연결축(16)을 통해 제2 진퇴 암(14)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 연결축(17)을 통해 이송 토대(5)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링크(15)의 하단부에는, 하부 연결축(16)과 동축으로 각형 끼움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각형 끼움부재(18)는 안내 부재(19)에 형성된 안내홈(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안내 부재(19)는 구동축(7)의 일측(도 2의 우측)에서 이송 토대(5)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9)의 상기 배치 위치에 의해, 승강 링크(15)가 이송 토대(5)에 있어서의 요동축(6)과 이송 톱니(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송 톱니(3)의 선단 측을 승강시키는 경우에 비해, 승강 링크(15)의 상하 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안내 부재(1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에 지지된 회동축(21)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본체 블록(2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안내홈(20)은 본체 블록(22)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블록(22)은 그 일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연장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 부재(23)에는 리턴 스프링(24)이 연결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24)은 연장 부재(23)와,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 사이에 걸쳐 걸려져있다.
또, 본체 블록(22)은, 연장 부재(23)에 접하는 스토퍼 핀(25)에 의해, 안내홈(20)이 수평 자세로 된 위치로부터 도 3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리턴 스프링(24)은 본체 블록(22)이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본체 블록(22)을 리턴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안내 부재(19)는, 그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이송 토대(5)의 바로 아래의 비교적 좁은 공간이어도 지장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하 구동부(9)가 컴팩트한 구성이 된다.
또, 회동축(21)의 중심은 원형의 본체 블록(22)의 중심에 대해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편심한 회동축(21)과, 안내 부재(19)의 회동에 따른 안내홈(20)의 경사와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의 관계에 의해, 본 발명의 상하 위치 변경부로서의 기능을 얻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는 후술한다.
안내 부재(1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에 의해 회동한다. 누름 조작 레버(26)는 그의 올림·내림 조작에 의해, 노루발(2)(도 1 참조)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누름 조작 레버(26)와 노루발(2)은, 누름 조작 레버(26)의 상하 조작에 노루발(2)의 상하 이동을 추종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링크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누름 조작 레버(26)를 내린 상태일 때, 노루발(2)이 이송 톱니(3) 위의 천을 눌러 접한 상태가 되고, 누름 조작 레버(26)를 올린 상태일 때, 노루발(2)이 이송 톱니(3) 위의 천으로부터 이반(離反)한 상태가 된다.
더욱이, 누름 조작 레버(26)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링크(27)를 통해 안내 부재(19)가 연결되어 있다. 회동 링크(27)는, 누름 조작 레버(26)의 상하 이동에 추종하는 제1 링크부(28)와, 제1 링크부(28)의 상하 이동을 회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달축(29)과, 전달축(29)의 회동을 안내 부재(19)의 연장 부재(23)로 전달하는 제2 링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링크(27)는 본 발명의 안내 부재 회동 기구이며, 누름 조작 레버(26)와 함께 본 발명의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누름 조작 레버(26)를 그 조작 범위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제1 링크부(28), 전달축(29) 및 제2 링크부(30)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수평(또는 약 수평)이 된다. 또,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의 기능으로서는,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 각도에 따라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수평이 되었을 때에는,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하는 방향은 안내홈(20)에 따른 수평 방향이 되므로,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에 따라 승강 링크(15)에 의한 이송 토대(5)의 들어올림과 내림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이송 톱니(3)는, 상하의 이동거리가 최대가 되어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작동하고, 바늘판(1)의 상면보다 윗쪽으로 돌출했을 때의 전진하는 움직임에 의해 천을 이송한다.
누름 조작 레버(26)를 올림 조작하면, 제1 링크부(28)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전달축(29)의 회전에 따라 제2 링크부(30)가 리턴 스프링(24)의 힘에 저항하여 안내 부재(19)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경사한다. 이때의 안내홈(20)의 경사는 제2 진퇴 암(14)의 압출 방향(도면의 우측향)을 향해 점차 하강하는 경사가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경사했을 때에는, 각형 끼움부재(18)가 경사 상태의 안내홈(20)에 따라 왕복해도 승강 링크(15)의 상단이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이송 톱니(3)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횡방향 직선 궤도를 그리면서 작동한다. 이때, 이송 톱니(3)는 바늘판(1)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봉제 작업 준비를 위해 이송 톱니(3)의 윗쪽에 천을 세팅할 때 이송 톱니(3)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21)의 중심은 원형의 본체 블록(22)의 중심에 대해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톱니(3)를 바늘판(1)의 상면보다 하부에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본체 블록(22)의 중심에 대해 회동축(21)의 중심이 편심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에 참고예로서 편심이 없는 구성(OM)을 나타내고, 도면의 우측에 본 실시 형태인 편심이 있는 구성(NM)을 나타내고 있다.
각형 끼움부재(18)는 안내홈(20)을 따라 왕복한다. 이때, 안내홈(20)의 길이 방향 중앙과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W)의 중앙(S1)을 일치시킴으로써, 안내홈(20)의 길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본체 블록(22)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본체 블록(22)의 중심과 안내홈(20)의 길이 방향 중앙이 일치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NM)에 있어서는, 본체 블록(22)의 중심에 대해 회동축(21)의 중심을 편심시키는 것에 의해,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W)의 중앙(S1)이 회동축(21)의 중심(S2)보다 경사하는 안내홈(20)의 하강 측에 어긋나 있다.
봉제 작업 시에 천 이송을 실시하는 상태에서는, 이송 톱니(3)는 타원 궤도로 움직이고, 바늘판(1)의 상면보다 윗쪽을 이동하여 천을 이송하고, 바늘판(1)의 상면보다 하부를 이동하여 복귀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도 8에 이송 톱니(3)의 궤도와 바늘판(1)의 관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3)는 바늘판(1)에 대해 타원 궤도(R)를 그리면서 움직인다.
또, 이송 톱니(3)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P)은, 바늘판(1)의 상면에서 극히 약간 하부에 설정되어 있다. 퇴피 상태로 한 경우의 이송 톱니(3)의 궤도는 두 반환점(P)을 연결하는 직선 궤도가 된다. 도 7에 참고예로서 나타내는 편심 없는 구성(OM)에 있어서는,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W)의 중앙(S1)과 회동축(21)의 중심(S2)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봉제 작업 시(천 이송을 실시하는 상태)의 이송 톱니(3)의 반환점(P)과 안내홈(20)이 경사하여 퇴피 상태가 된 이송 톱니(3)의 반환점(P)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송 톱니(3)의 높이 조정의 오차나 부품 치수의 오차가 생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3)의 반환점(P)이 바늘판(1)의 상면에서 약간 윗쪽에 위치해 버리면, 도 7에 나타내는 편심이 없는 구성(OM)에서는 이송 톱니(3)를 퇴피 상태로 해도 이송 톱니(3)가 바늘판(1)의 상면보다 윗쪽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재봉 바늘의 하부에의 천 세팅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편심이 있는 구성(NM)에 의하면, 회동축(21)의 중심(S2)에 대해, 경사한 안내홈(20)의 하강 측에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W)의 중앙(S1)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승강 링크(15)의 하부 연결축(16)과 상부 연결축(17)에 하강 값(L)(설명의 편의 상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편심시킨 회동축(21)에 의해 안내 부재(19)를 회전시켜 안내홈(20)을 경사시키는 것만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피 상태의 이송 톱니(3)의 반환점(Pa)을 봉제 작업 시의 이송 톱니(3)의 반환점(P)보다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제 작업 준비 등 시에 재봉 바늘의 하부에 천을 순조롭게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부재(19)의 원형의 본체 블록(22)의 중심에 대해 안내 부재(19)의 회동축(21)의 중심을 편심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상하 위치 변경부로서의 기능을 얻고 있지만, 해당 상하 위치 변경부로서의 기능은, 안내홈(20)이 경사했을 때, 각형 끼움부재(18)의 왕복 이동 영역(W)의 중앙(S1)이 안내 부재(19)의 회동축(21)보다 하강 측에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누름 조작 레버(26)를 하단에 위치시켰을 때 안내홈(20)이 수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누름 조작 레버(26)를 상단에 위치시켰을 때 안내홈(20)이 수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봉제 작업 중의 안내홈(20)의 각도는 수평에 제한되지 않고, 각 부의 치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1 바늘판
2 노루발
3 이송 톱니
5 이송 토대
7 구동축
8 횡방향 이송 구동부
9 상하 구동부
13 제2 편심 캠(편심 캠)
14 제2 진퇴 암(진퇴 암)
15 승강 링크
16 하부 연결축
17 상부 연결축
18 각형 끼움부재
19 안내 부재
20 안내홈
21 회동축
26 누름 조작 레버(상하 이동거리 변경부)
27 회동 링크(안내 부재 회동 기구)
P, Pa 반환점
W 왕복 이동 영역
S2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

Claims (2)

  1.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및 함몰하는 이송 톱니와, 상기 이송 톱니의 상방에 대향하는 노루발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횡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 톱니로 전달하는 횡방향 이송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 톱니로 전달하는 상하 구동부와, 상기 이송 톱니의 상하 방향의 왕복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와, 상기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가 상기 이송 톱니의 상하 방향의 이동거리를 감소시켰을 때, 상기 이송 톱니가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의 왕복 경로 양단의 반환점을 상기 바늘판의 상면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되는 진퇴 암과, 상기 진퇴 암에 하부 연결축을 통해 하단이 연결됨과 함께 상단이 상부 연결축을 통해 상기 이송 톱니를 횡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에 연결된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의 상기 하부 연결축과 동축으로 설치된 각형 끼움부재와, 상기 각형 끼움부재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 이동거리 변경부는,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안내홈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송 톱니의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돌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위치 변경부는,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축과 상기 안내홈에 있어서의 상기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 회동 기구에 의해 상기 안내 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안내홈이 경사했을 때, 상기 각형 끼움부재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은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축보다 하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217012945A 2019-02-15 2019-07-23 재봉틀 KR102596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5031A JP6555629B1 (ja) 2019-02-15 2019-02-15 ミシン
JPJP-P-2019-025031 2019-02-15
PCT/JP2019/028813 WO2020166107A1 (ja) 2019-02-15 2019-07-23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286A KR20210123286A (ko) 2021-10-13
KR102596680B1 true KR102596680B1 (ko) 2023-10-31

Family

ID=6753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945A KR102596680B1 (ko) 2019-02-15 2019-07-23 재봉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39569B2 (ko)
JP (1) JP6555629B1 (ko)
KR (1) KR102596680B1 (ko)
CN (1) CN113195820B (ko)
AU (1) AU2019429374A1 (ko)
DE (1) DE112019006864T5 (ko)
TW (1) TWI821350B (ko)
WO (1) WO2020166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2003953A (es) * 2019-10-01 2022-04-25 Vi Be Mac Spa Dispositivo de avance de tela para maquinas de coser.
CN114000266B (zh) * 2020-07-28 2023-06-09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送布机构中的调节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980A (ja) 2012-02-29 2013-09-12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17080291A (ja) 2015-10-30 2017-05-18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送り歯調節機構および該調節機構を備えた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286143Y1 (ko) * 1950-11-28 1953-07-06
US4589364A (en) * 1982-12-09 1986-05-20 Pegasus Sewing Machine Mfg. Co. Ltd. Sewing machine top feed
JPS6147988U (ja) * 1984-08-31 1986-03-31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上送り歯運動量調節機構
IT8521676V0 (it) * 1985-04-30 1985-04-30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di trasporto del tessuto in lavorazione in macchine per cucire.
JPH0135729Y2 (ko) 1986-06-30 1989-10-31
JPS63163772U (ko) * 1987-04-15 1988-10-25
JPS6435729A (en) 1987-07-31 1989-02-06 Canon Kk Automatic focussing controller
JPH0710702Y2 (ja) * 1988-01-29 1995-03-15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H0422395A (ja) * 1990-05-16 1992-01-27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H04164485A (ja) * 1990-10-30 1992-06-10 Juki Corp ミシンにおける布送り歯の軌跡調節機構
US5103751A (en) * 1991-02-12 1992-04-14 Wang Shui Nu Differential feeding apparatus for a sewing machine
DE4316410C2 (de) * 1992-06-19 1994-10-06 Union Special Gmbh Nähmaschine mit einer Nähgutvorschubeinrichtung
JP3917242B2 (ja) * 1996-06-18 2007-05-2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US5738028A (en) * 1997-02-27 1998-04-14 Wang; Shui Nu Differential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3867873B2 (ja) * 1997-06-26 2007-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歯駆動装置
JPH119867A (ja) * 1997-06-26 1999-01-1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送り歯高さ位置調節装置
JP4373582B2 (ja) * 2000-06-09 2009-11-2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送り歯待避装置
JP2003181173A (ja) * 2001-12-14 2003-07-02 Juki Corp 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方法と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装置
JP3940023B2 (ja) * 2002-05-14 2007-07-04 奈良ミシン工業株式会社 すくい縫いミシン
JP3867012B2 (ja) * 2002-05-14 2007-0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US7568441B2 (en) * 2005-07-21 2009-08-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mbroidery unit attachable to sewing machine bed
JP2008104718A (ja) * 2006-10-26 2008-05-08 Juki Corp ミシンの送り機構
TWI394875B (zh) * 2010-10-01 2013-05-01 S S Industry Co Ltd Sewing machine feeding cloth drive device
JP6361292B2 (ja) * 2014-05-30 2018-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6774775B2 (ja) * 2015-09-18 2020-10-28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6761659B2 (ja) * 2016-04-05 2020-09-30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206692845U (zh) * 2016-12-13 2017-12-01 阮晨航 一种双针缝纫机
CN108374242A (zh) * 2018-04-21 2018-08-07 浙江美机缝纫机有限公司 基于双驱动器的刺料送料机构
JP6526310B1 (ja) * 2018-12-25 2019-06-0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980A (ja) 2012-02-29 2013-09-12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17080291A (ja) 2015-10-30 2017-05-18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送り歯調節機構および該調節機構を備えた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5820B (zh) 2023-11-17
KR20210123286A (ko) 2021-10-13
AU2019429374A1 (en) 2021-05-20
TW202031960A (zh) 2020-09-01
US20210404100A1 (en) 2021-12-30
TWI821350B (zh) 2023-11-11
CN113195820A (zh) 2021-07-30
WO2020166107A1 (ja) 2020-08-20
JP6555629B1 (ja) 2019-08-07
US11639569B2 (en) 2023-05-02
DE112019006864T5 (de) 2021-11-04
JP2020130369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680B1 (ko) 재봉틀
US10626535B2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system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2383471B1 (ko) 미싱
US5950531A (en) Electric press machine
JP4020692B2 (ja) 針送りミシン
CN111979653A (zh) 缝纫机中抬压脚与针距调节的驱动装置
CN111501217B (zh) 缝纫机抬压脚调针距装置及缝纫机
CN215887456U (zh) 一种缝纫机
JP2005287554A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H0652772U (ja) ミシンの残り糸短縮装置
CN215887452U (zh) 一种缝纫机
EP1247597A2 (en) A motor-operated press machine
CN113584730A (zh) 一种缝纫机
JP4599870B2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KR860001541B1 (ko)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JP3367997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上メスリリース装置
JP2005287556A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CN115369573A (zh) 一种具有针距调节和定位摆动座零位的缝纫机
JP2939842B2 (ja) ミシンにおける針棒の駆動機構
JPS6168080A (ja) ミシンにおける針棒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