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382B1 -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382B1
KR101240382B1 KR1020050095558A KR20050095558A KR101240382B1 KR 101240382 B1 KR101240382 B1 KR 101240382B1 KR 1020050095558 A KR1020050095558 A KR 1020050095558A KR 20050095558 A KR20050095558 A KR 20050095558A KR 101240382 B1 KR101240382 B1 KR 10124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er foot
center presser
link
center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183A (ko
Inventor
카츠아키 사카이
신스케 미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를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2개의 링크(20,22)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P3)를, 링크(20,22)의 직렬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링크(20,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내부재(34)와, 상기 안내부재(34)를 링크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6)과, 상기 이동수단(36)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1)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CENTER PRESSER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도 1은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조절 이전의 측면도.
도 2는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전)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중)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6은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후)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7은 제어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8은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조절 이후의 측면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퇴피전 측면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퇴피후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심 노루발 장치 11 : 제 2 링크(중심 노루발 요동부)
15 : 재봉기 프레임(재봉기 하우징) 16 : 코일 스프링(가압수단)
24 :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 29 : 중심 노루발
34 : 안내부재 34t, 55t : 안내부재의 상단부
36 : 이동링크(이동수단) 42 : 모터(구동수단)
51 : 이동기구(해제기구 : 회동링크(52), 조절링크(53))
100 : 제어장치(제어수단) 102 : 메모리(기억수단)
104a : 구동 패턴 데이터 104b : 중심 노루발 데이터
D1 :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
D2 : 링크의 직렬방향
D3 :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
M1 :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
M2 :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중심 노루발 상승
부재(46), 롤러(47))
P1, P2 : 접속부(접속부위) P3 : 연결부
P4 : 중심 노루발 높이 위치 P5 : 퇴피높이 위치
L : 접속부간 거리 θ : 인접하는 링크가 이루는 각도
본 발명은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수 재봉기 등과 같이 이송톱니를 이용하지 않고 천을 XY방향으로 반 송시키면서 봉제하는 재봉기에서는, 천이 바늘과의 마찰로 인해 바늘과 함께 상승하여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의 상승시에 천의 바늘 관통부 주변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통상적으로 바늘이 천으로부터 상승할 때 중심 노루발에 의해 천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고, 바늘이 천으로부터 완전히 상승한 후에는 중심 노루발이 바늘과 함께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중심 노루발 장치로서, 중심 노루발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요동체의 요동 지점(支点)을 변위시켜,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중심 노루발 장치로서, 캠이나 손잡이를 회동(回動)시켜 중심 노루발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요동체를 구성하는 링크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7-17827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H9-25336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요동 중심을 변위시키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바꾸면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가 크게 변화한다. 또,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까지 상승시키려면, 상당량의 요동중심의 변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재봉기의 면판부가 대형화된다. 또,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의 조정에 따라 요동중심도 조정하지 않으면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서는, 캠을 회동시켜 링크의 기울기를 변화시키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변경할 경우, 천에 단차가 있으면 요동체와 캠이 반복적으로 맞닿고 분리되기 때문에, 서로 맞닿는 면이 손상되기 쉽다. 또,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에 따라 중심 노루발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요동체를 구성하는 링크를 기울여 중심 노루발을 퇴피시킬 경우에는, 그 때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에 의해 링크의 기울기를 조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를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로서, 봉제시에 천을 바늘판에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29)과, 상기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을 따른 요동을 출력하는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 :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와, 상기 중심 노루발(29)과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 :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를 접속하며, 서로의 접속부(P1,P2)간 거리(L)가 가변적으로 구성된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에서의 중심 노루발과의 접속부와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와의 접속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바꿀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량을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복수의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인접하는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들이 이루는 각도(θ)를 변화시켜 상기 접속부(P1,P2)간 거리(L)를 가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구성하는 링크들의 연결부위를 지점으로 하고, 이 지점을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굴곡시키면, 인접하는 링크들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하며, 그 각도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에서의 중심 노루발과의 접속부와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와의 접속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러한 거리의 변화에 따라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바꿀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량을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2개의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들을 연결하는 연결부(P3)를, 상기 링크의 직렬방향(D2)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내부재(34)와, 상기 안내부재(34)를 상기 링크(제 3 링크(20),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동링크(36))과, 상기 이동수단(이동링크(36))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모터(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이동수단이 안내부재를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안내부재에 의해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안내부재와 함께 변위한다. 연결부가 안내부재로 안내되어 변위됨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는 연결부에서 굴곡되고, 인접하는 링크들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하며, 그 각도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에서의 중심 노루발과의 접속부와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와의 접속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러한 거리의 변화에 따라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바꿀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량을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4)의 상단부(34t)를 재봉기 하우징(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재의 상단부를 재봉기 하우징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함으로써 안내부재를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간단한 기구에 의해 안내부재로서 기능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상기 중심 노루발(29)이 상기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와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의 구동원 하나로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와 퇴피높이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 :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는,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에 접속되고, 상하방향(D1)으로 요동하는 중심 노루발 요동부(제 2 링크(11))를 가지며,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부(제 2 링크(11))에서의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와의 접속부위(P1)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그 접속부위(P1)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코일 스프링 (16))과, 상기 중심 노루발(29)을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P5)로 상승시키는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M2 :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 롤러(47))와, 상기 구동수단(모터(42))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이동수단(이동링크(36))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34)가 소정의 이동량에 도달했을 때, 상기 가압수단(코일 스프링(16))에 의한 상기 접속부위(P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기구(51 : 회동링크(52), 조절링크(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에 의해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를 향해 상승시키면, 중심 노루발 요동부에서의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와의 접속부위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수단은 상기 접속부위를 하방을 향해 가압한다. 한편,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를 향해 상승시키면,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안내부재에 의해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안내부재와 함께 변위한다. 연결부가 안내부재로 안내되어 변위됨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는 연결부에서 굴곡되고 인접하는 링크들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하며, 그 각도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에서의 중심 노루발과의 접속부와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와의 접속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여기서, 해제기구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수단에 의해 안내부재가 소정의 이동량에 도달했을 때, 가압수단에 의한 접속부위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까지 상승시킬 때 도중에 상승의 장해가 되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중심 노루 발을 퇴피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모터(42))의 구동량과 그 구동량에 기초한 상기 중심 노루발(29)의 상기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대응시킨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를 기억하는 기억수단(메모리(102))과, 상기 기억수단(메모리(102))에 기억된 상기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장치(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중심 노루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사전에 기억수단에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만으로, 봉제시에 원하는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로 하는데 필요한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산출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봉제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모터(42))의 구동량과 그 구동량에 기초한 상기 중심 노루발(29)의 상기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대응시킨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를 기억하는 기억수단(메모리(102))과, 상기 기억수단(메모리(102))에 기억된 상기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장치(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중심 노루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사전에 기억수단에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만으로, 봉제시에 원하는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로 하는데 필요한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산출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봉제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중심 노루발 장치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노루발 장치(1)는, 선단에 재봉바늘이 설치된 바늘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상축(上軸)(2)에 설치되어 있다. 상축(2)에는 편심 캠(3)이 고정되고, 상기 편심 캠(3)에는 접속링크(4)가 연결되어 있다. 접속링크(4)에는 요동축 홀더(5)가 연결되며, 요동축 홀더(5)에는 요동축(6)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요동축(6)의 타단부에는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D1)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의 기단부(基端部)가 고정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에는 홈 캠(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 캠(7a)은 아크형상의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홈 캠(7a)의 원하는 위치와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조절너트(9)와 단붙이 나사(10)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고정된다. 그 고정위치는 요동축(6)의 축심선과 교차하는 위치로부터 이 교차위치에서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 일단측의 소정 위치의 범위까지의 사이에 형성되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바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는, 제 2 링크(11)의 길이부분과 단붙이 나사(1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절너트(9)가 걸림결합되는 홈 캠(7a)은, 중심 노루발(29, 이후에 기술함)이 상하 왕복운동의 하사점에 있을 때, 단붙이 나사(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의 일부가 된다. 제 2 링크(11)의 배면측에는 위치결정 링크(13)가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 링크(13)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재봉기 하우징으로서의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단붙이 나사(14)의 위치는, 중심 노루발(29)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단붙이 나사(12)의 위치와 일치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걸이(13a)가 부착되고, 재봉기 프레임(15)에도 스프링 걸이(15a)가 고정되며, 이들 스프링 걸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6)이 걸쳐져 있어, 스프링 걸이(13a)가 부착된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끌어내리도록 가압한다. 즉, 코일 스프링(16)은 중심 노루발 요동부로서의 제 2 링크(11)에서의 제 3 링크(20)와의 접속부위(P1)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접속부위(P1)를 하측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타단부에는 스토퍼(17)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링크(11)의 일단부 및 위치결 정 링크(13)의 타단부와 하나의 단붙이 나사(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스토퍼(17)는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위치결정 링크(13)와 함께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17)의 일단부(17a)의 상방에는, 스토퍼(17)가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규제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제부재(19)는 재봉기 프레임(15)의 일부로 대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에 의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가 구성된다.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는 제 3 링크(20)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20)의 타단부에는, 제 4 링크(22)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3)에 의해 제 3 링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렬이 되도록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에 의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가 구성된다.
제 4 링크(22)의 타단부에는 링크 중계판(25)이 단붙이 나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 중계판(25)에는 중심 노루발대 홀더(27)가 고정되어 있고,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노루발대(28)가 유지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하단부에는, 봉제시에 천을 바늘판에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29)이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상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31) 및 너트(32)에 의해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 부착되어 있다.
단붙이 나사(23)는 사각 피스(piece)(33) 및 안내부재(34)와 함께 제 3 링크 (20)와 제 4 링크(22)를 연결한다. 즉, 제 4 링크(22)의 정면 쪽에는 안내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재(34)의 정면 쪽에는 사각 피스(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3 링크(20), 제 4 링크(22), 사각 피스(33), 안내부재(34)를 하나의 단붙이 나사(23)로 연결하고 있다.
사각 피스(33)는 단붙이 나사(23)와,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와의 갭을 메우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며, 각 링크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여 각 부재를 원활히 구동시킨다.
안내부재(34)에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재이며, 상단부(34t)가 단붙이 나사(35)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안내부재(34)의 하단부 근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4a)은 단붙이 나사(23)의 나사부의 지름보다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며, 이 긴 구멍(34a)에 단붙이 나사(23)가 삽입되어 있다. 즉, 안내부재(34)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를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을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안내부재(34)에는, 안내부재(34)를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의 이동링크(36)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37)에 의해 긴 구멍(34a)의 상부 근방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동링크(36)의 타단부에는 편심 캠(38)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캠(38)에는 가변축(39)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가변축(39)의 타단부에 는, 베어링(40), 베벨기어(41)를 통해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42)가 연결되어 있다. 즉, 모터(42)의 구동이 가변축(39), 편심 캠(38), 이동링크(36)의 순서로 전달되어 이동링크(36)가 안내부재(34)를 이동시킨다.
베벨기어(41)에는 베벨기어(43)가 맞물려 있어, 모터(42)의 구동을 가변축(39)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D5)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벨기어(43)의 후단에는 베어링(44),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등이 동축 상에 연결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한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이하, 유지부(45a)라 함), 다른 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유지부(45a)에서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매끄럽게 변화하는 형상(이하, 변화부(45b)라 함)으로 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중심 노루발(29)을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P5)로 상승시키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롤러(47)의 외주면에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외주면이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유지부(45a)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상승하지 않지만(도 4 참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가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 롤러(47)에 의해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M2)가 구성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중간부에서 핀(48)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타단부가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타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중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승시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로 상승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재봉기 프레임(15)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걸이(4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걸이(49)에 코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걸려있고, 타단부가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 근방에 걸려있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장치의 제어시스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노루발 장치(1)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100)에 의해 봉제동작이 제어된다. 제어장치(100)는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CPU(101)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서의 메모리(102)를 구비한다.
메모리(102)에는 CPU(101)가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영역(103)과,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영역(104)과, 중심 노루발 장치(1)에 각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된 프로그램영역(105)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영역(104)에는, 천에 대한 봉제패턴에 기초한 모터(42)의 구동 패턴 데이터(104a)가 기억되어 있다. 또, 데이터영역(104)에는 모터(42)의 구동량과 중심 노루발(29)의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대응시킨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가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영역(105)에는, 데이터영역(104)에 기억된 구동 패턴 데이터(104a)에 기초하여 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105a)이 기억되어 있다. 또, 프로그램영역(105)에는, 데이터영역(104)에 기억된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에 기초하여 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105b)이 기억되어 있다.
<봉제시 중심 노루발의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축모터(도시생략)를 구동시켜 편심 캠(3)을 회동시키면, 접속링크(4)의 선단은 상축(2)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하며, 접속링크(4)에 연결된 요동축 홀더(5)도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축 홀더(5)가 요동함에 따라 요동축(6)도 요동하기 때문에,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요동지점이 되어 제 1 링크(8)의 타단부가 요동축(6)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의 요동에 따라, 제 2 링크(11)의 타단부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으로 요동하고,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는 그 직렬방향(상하방향;D2)으로 요동한다.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의 요동에 따라, 제 4 링크(22)에 연결된 중심 노루발대(28)는 상 하방향(D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29)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중심 노루발 장치에 의한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의 조절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의한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의 조절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CPU(101)가 제어프로그램(105a) 또는 제어프로그램(105b)을 실행함에 따라, 모터(42)는 데이터영역(104)에 기억된 구동 패턴 데이터(104a) 또는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에 기초하여 구동을 개시한다.
모터(42)의 구동은 베벨기어(41), 베어링(40)을 통해 가동축(39)으로 전달되고 가동축(39)은 회동을 개시한다. 가동축(39)의 회동에 따라 편심 캠(38)도 회동하고, 이동링크(36)는 가동축(39)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이동링크(36)의 요동에 의해, 안내부재(34)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이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재(34)의 긴 구멍(34a)으로 연결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의 단붙이 나사(23)는, 그 나사부분이 긴 구멍(34a)에 의해,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방출할 장소가 없게 되어 단붙이 나사(23)는 긴 구멍(34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단붙이 나사(23)가 안내부재(3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직렬로 나란히 연결되 어 있던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들이 이루는 각도(θ)가 변화하여,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는 대략 〈 형상이 된다.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가 대략〈 형상이 되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의 양단부간 거리(L), 다시 말해 제 3 링크(20)의 일단부와 제 4 링크(2)의 타단부간 거리(L)가 짧아지고, 중심 노루발(29)은 상하방향(D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29)의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를 조절할 수가 있다.
<중심 노루발 장치에 의한 중심 노루발의 퇴피동작>
다음으로,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시킬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의 조절은, 각 링크비를 조절하여 모터(42)를 0° 내지 180°의 범위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중심 노루발(29)의 퇴피는, 모터(42)를 180°내지 360°의 범위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를 조절할 때에는, 모터(42)를 0° 내지 180°의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면,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유지부(45a)가 롤러(47)에 맞닿도록 하고, 중심 노루발(29)을 퇴피시킬 때에는, 모터(42)를 180°내지 360°의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면,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도록 각 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시에는 모터(42)가 0° 내지 180°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므로, 유지부(45a)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는 회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가 중 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일없이,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만 조절할 수가 있다. 그러나, 봉제가 종료되어 모터(42)가 180°내지 360°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면,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그러면,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는 핀(48)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중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까지 상승시킬 수가 있다.
<실시형태 1의 작용효과>
실시형태 1에서의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따르면, 모터(42)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동링크(36)가 안내부재(34)를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이동시키면,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P3)의 단붙이 나사(23)는, 안내부재(34)에 의해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단붙이 나사(23)가 안내부재(34)의 긴 구멍(34a)으로 안내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는, 단붙이 나사(23)의 위치에서 굴곡되어, 인접하는 링크들이 이루는 각도(θ)가 변화하고, 상기 각도(θ)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에서의 중심 노루발(29)과의 접속부(P2)와 제 2 링크(11)와의 접속부(P1)의 사이의 거리(L)가 변화한다. 이러한 거리(L)의 변화에 따라,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를 바꿀 수가 있다. 이로써, 제 1 링크(8)와 제 2 링크(11)의 링크비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므로,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를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안내부재(34)의 상단부(34t)를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함으로써, 안내부재(34)를 단붙이 나사(23)가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과 직교하는 방향(D3)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기구에 의해 안내부재(34)로서 기능시킬 수가 있다.
또, 모터(42) 하나로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를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P4)와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PU(101)는 제어프로그램(105a)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102)에 기억된 구동 패턴 데이터(104a)를 판독하고, 판독한 구동 패턴 데이터(104a)에 기초하여 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사전에 메모리(102)에 구동 패턴 데이터(104a)를 기억시켜 두는 것만으로, 봉제시에 모터(42)의 구동 패턴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봉제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CPU(101)는 제어프로그램(105b)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102)에 기억된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를 판독하고, 판독한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에 기초하여 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사전에 메모리(102)에 중심 노루발 데이터(104b)를 기억시켜 두는 것만으로, 봉제시에 원하는 중심 노루발(29)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로 하는데 필요한 모터(42)의 구동량을 산출하여 모터(42)의 구동량 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봉제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형태 2]
<중심 노루발 장치의 구성>
실시형태 2의 중심 노루발 장치(1G)는 실시형태 1에 비해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까지 적은 힘으로 퇴피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중심 노루발 장치(1G)는 이동링크(36)를, 코일 스프링(16)에 의한 제 2 링크(1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기구로서도 기능하는 이동기구(51)로 변경한 것이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기구(51)는 일단부가 가동축(39)에 연결된 회동링크(52)와, 일단부가 회동링크(5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안내부재(55)에 연결된 조절링크(53)를 구비한다.
조절링크(53)는 일단부가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 근방에서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조절링크(53)의 일단부에는, 갈고리형상의 긴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긴 구멍(53a)에서 회동링크(52)의 타단부가 핀에 의해 조절링크(53)와 연결되어 있다. 조절링크(53)는 그 길이방향이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일단부가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D6)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갈고리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절링크(53)의 일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53a)도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절링크(53)의 타단부에는 긴 구멍(53b)이 형성되어 있 으며, 상기 긴 구멍(53b)에서 안내부재(55)가 핀에 의해 조절링크(5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동링크(52)와 조절링크(53)의 위치관계에 대해서인데, 봉제시에는 회동링크(52)의 타단부는 도 9와 같이 조절링크(53)의 긴 구멍(53a)에서 가장 회동중심(C1)에 가까운 부위에 걸림결합되고, 봉제종료 후의 퇴피시에는 회동링크(52)의 타단부는 도 10과 같이 조절링크(53)의 긴 구멍(53a)에서 가장 일단부에 가까운 부위에 걸림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부재(55)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판재로서, 상단부(55t)가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고, 하단부 근방에는 긴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55a)에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가 단붙이 나사(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장치에 의한 중심 노루발의 퇴피동작>
다음으로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시킬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모터(42)가 180°내지 360°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면,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그러면,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는 핀(48)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중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여기서,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과 가동축(39)은 모두 모터(42)에 의해 회동하기 때문에, 이 동작과 병행 하여 가동축(39)도 회동하고, 가동축(39)에 부착된 회동링크(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링크(52)의 회동에 의해, 회동링크(52)의 타단부는 긴 구멍(53a)을 따라 조절링크(53)의 일단부쪽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조절링크(5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안내부재(55)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링크(52)의 타단부가 긴 구멍(53a)의 절곡부위(53c)까지 이동하면, 회동링크(52)는 긴 구멍(53a)을 따라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D6)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16)에 의한 가압력은 해제되고,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는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에 대항하는 힘만으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시킬 수가 있다.
<실시형태 2의 작용효과>
실시형태 2의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G)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에 의해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를 향해 상승시키면, 제 2 링크(11)에서의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와의 접속부위(P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16)은 상기 접속부위(P1)를 하방을 향해 가압한다. 한편,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를 향해 상승시키면,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P3)는, 안내부재(55)에 의해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P3)가 안내부재(55)로 안내되어 변위됨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는 연결부(P3)에서 굴곡되어, 인접하는 링크(20,22)들이 이루는 각도(θ)가 변화하며, 상기 각도(θ)에 따라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에서의 중심 노루발(29)과의 접속부(P2)와 제 2 링크(11)와의 접속부(P1)의 사이의 거리(L)가 변화한다. 여기서, 이동기구(51)는 모터(42)에 의해 구동되는 회동링크(52)에 의해, 안내부재(55)가 소정의 이동량에 도달하였을 때, 코일 스프링(16)에 의한 접속부위(P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까지 상승시킬 때 도중에 상승의 장해가 되는 코일 스프링(16)의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를 구성하는 링크의 수량, 연결위치, 연결순서는 임의적이며,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의 요동을 출력하는 것이라면 그 기구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원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로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어장치(100)에 기억시키는데, 작업자에 의해 모터(42)의 구동량을 봉제할 때마다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및 중심 노루발 상승링크(46)를 설치하지 않아도, 모터(42)의 출력축을 편심시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 위치(P5)로 이동시켜도 된다.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므로,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의 중심 노루발 스트로크를 바꾸지 않고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기구에 의해 안내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까지 상승시킬 때 도중에 상승의 장해가 되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중심 노루발을 퇴피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기억수단에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만으로, 봉제시에 원하는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로 하는데 필요한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산출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봉제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8)

  1. 외부 천 누름부에 의해 유지된 봉제물로부터 재봉바늘이 빠져 올라갈 때 봉제물을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과,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에 동기하여 중심 노루발을 상하로 움직이는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와,
    상기 중심 노루발과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의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의 접속부간 거리가 가변적으로 구성된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로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복수의 링크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인접하는 링크들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접속부간 거리를 가변(可變)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2개의 링크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링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상기 링크의 직렬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링크의 직렬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를 재봉기 하우징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를, 상기 중심 노루발이 바늘판으로부터의 중심 노루발 높이위치와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는,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에 접속되며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중심 노루발 요동부를 가지며,
    상기 중심 노루발 요동부에서의 상기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와의 접속부위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그 접속부위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중심 노루발을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로 상승시키는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가 소정의 이동량에 도달했을 때,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상기 접속부위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량과 그 구동량에 기초한 상기 중심 노루발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대응시킨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중심 노루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량과 그 구동량에 기초한 상기 중심 노루발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대응시킨 중심 노루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중심 노루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20050095558A 2004-10-12 2005-10-11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1240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7662A JP4526917B2 (ja) 2004-10-12 2004-10-12 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JP-P-2004-00297662 2004-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183A KR20060052183A (ko) 2006-05-19
KR101240382B1 true KR101240382B1 (ko) 2013-03-08

Family

ID=3637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558A KR101240382B1 (ko) 2004-10-12 2005-10-11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6917B2 (ko)
KR (1) KR101240382B1 (ko)
CN (1) CN1760422B (ko)
TW (1) TWI3841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0212B2 (ja) * 2006-08-10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JP4905943B2 (ja) * 2006-09-29 2012-03-28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の隅部床土押圧装置およびその設定方法
JP5427355B2 (ja) * 2007-12-12 2014-02-2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さえ装置
JP5253992B2 (ja) * 2008-12-24 2013-07-3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253993B2 (ja) * 2008-12-24 2013-07-3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969835B2 (ja) 2011-10-04 2016-08-17 Juki株式会社 テープ縫い付け方法及び装置、身頃セット方法及び装置
JP5982108B2 (ja) 2011-10-04 2016-08-31 Juki株式会社 テープ縫い付け方法及び装置
KR101956316B1 (ko) 2011-10-04 2019-03-08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재봉 부착 장치
JP6031272B2 (ja) 2011-10-07 2016-11-24 Juki株式会社 テープ縫い付け装置
KR101495287B1 (ko) *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기종 가변 및 전환장치
CN106319774B (zh) * 2015-06-17 2018-11-16 启翔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内压脚装置
JP7253904B2 (ja) 2018-11-22 2023-04-07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272A (ja) * 1993-12-24 1995-07-18 Juki Corp ミシンの中押え高さ調整装置
JPH09253365A (ja) * 1996-03-22 1997-09-30 Juki Corp 自動縫い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H11207067A (ja) * 1998-01-19 1999-08-03 Barudan Co Ltd ミシンの布押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2593A (ja) * 1991-05-01 1992-11-19 Brother Ind Ltd ミシン
TW363095B (en) * 1997-05-09 1999-07-01 Barudan Co Ltd Suppresser of sewing machine
JP3945891B2 (ja) * 1998-02-27 2007-07-1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え機構
CN2505496Y (zh) * 2001-11-19 2002-08-14 卓瑞荣 缝纫机电磁式压具驱动结构
JP4008802B2 (ja) * 2002-12-09 2007-11-14 Juki株式会社 ミシ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272A (ja) * 1993-12-24 1995-07-18 Juki Corp ミシンの中押え高さ調整装置
JPH09253365A (ja) * 1996-03-22 1997-09-30 Juki Corp 自動縫い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H11207067A (ja) * 1998-01-19 1999-08-03 Barudan Co Ltd ミシンの布押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0422B (zh) 2011-12-28
CN1760422A (zh) 2006-04-19
KR20060052183A (ko) 2006-05-19
JP2006109922A (ja) 2006-04-27
TWI384101B (zh) 2013-02-01
TW200619452A (en) 2006-06-16
JP4526917B2 (ja)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1240386B1 (ko) 재봉기
KR101171396B1 (ko) 재봉기
KR20080082361A (ko) 자수 미싱
US4461226A (en) Waiting means in an embroidering machine
JP3485341B2 (ja) ミシンの中押え高さ調整装置
JPH0450039B2 (ko)
JP4890847B2 (ja) ミシンの中押さえ装置
KR101266356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20060052080A (ko) 재봉기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JP2003181173A (ja) 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方法と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装置
JP3734301B2 (ja) 自動縫い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5142568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JPH04156882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8167897A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JP7137329B2 (ja) ミシン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H0342912B2 (ko)
CN106498629B (zh) 孔锁边缝纫机
JPH07328258A (ja) 上送り機構を備えた偏平縫いミシン
JP2006158651A (ja) ミシン
JP2000024353A (ja) ミシン
JPH09299643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