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930B1 -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930B1
KR100228930B1 KR1019920021581A KR920021581A KR100228930B1 KR 100228930 B1 KR100228930 B1 KR 100228930B1 KR 1019920021581 A KR1019920021581 A KR 1019920021581A KR 920021581 A KR920021581 A KR 920021581A KR 100228930 B1 KR100228930 B1 KR 10022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lever
lever
needle bar
driv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75A (ko
Inventor
이꾸오 다지마
사또루 스즈끼
요이찌 미즈구찌
Original Assignee
다지마 이쿠오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지마 이쿠오,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지마 이쿠오
Publication of KR93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니들바아와, 주축에 의해 구동되는 셔틀을 구비하며, 상기 니들바아 및 셔틀의 운동에 반응하여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실권취레버도 구비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실권취레버 구동장치는 재봉동작의 변경에 맞추어 또는 재봉작업대상 직물의 물질에 맞추어 상기 실권취레버의 수직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행정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권취레버 구동장치를 갖는 재봉틀의 제어 메카니즘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를 갖는 재봉헤드의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재봉헤드의 부분절결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요부의 사시도.
제5도는 통상적인 재봉동작에 있어서, 바늘대, 실권취레버 및 셔틀의 동작 타이밍을 주축의 회전각과 관련하여 도시한 그래프.
제6도는 점프동작에 있어서, 바늘대, 실권취레버 및 셔틀의 동작 타이밍을 주축의 회전각과 관련하여 도시한 그래프.
제7도는 실절단동작에 있어서, 바늘대, 실권취레버 및 셔틀의 동작 타이밍을 주축의 회전각과 관련하여 도시한 그래프.
제8도는 재봉개시동작에 있어서, 바늘대, 실권취레버 및 셔틀의 동작 타이밍을 주축의 회전각과 관련하여 도시한 그래프.
제9도는 실권취레버를 운동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의 요부에 대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봉헤드 44 : 바늘대 구동부재
60 : 바늘대 68 : 재봉바늘
70 : 실권취레버 구동모터 90 : 실권취레버
100 : 자수 제어장치 132 : 셔틀 구동모터
본 발명은 자수 편기(embroidery machine)와 같은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실권취레버의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윗실이 셔틀의 후크와 결합하여 셔틀내로 수축해 있을 때 실권취레버를 하향으로 피봇운동시킴으로써 윗실을 해제하고; 윗실이 셔틀로부터 제거되고 난 후 실권취레버를 상향으로 피봇운동시킴으로써 윗실을 팽팽하게 하며; 실권취레버를 상향으로 더욱 피봇운동시킴으로써 윗실공급장치로부터 윗실을 뽑아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통상적인 더욱 재봉동작이 수행된다. 이 실권취레버의 피봇운동행정은 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거리로 결정된다.
통상적인 재봉틀로 재봉된 각 바늘땀(stitch)은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바늘땀의 길이를 소정의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지만, 그 조절 범위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실권취레버의 피봇행정이 평균 바늘땀길이에 대응한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동작하는 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적절한 실-인장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늘땀 길이의 변화를 소정의 크기까지 보정할 수 있다.
반면, 통상적인 자수 편기로 재봉된 각 바늘땀은 0.1mm 내지 12.7mm와 같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며, 바늘땀이 다른 바늘땀들과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조절되는 겅우도 많다. 따라서, 실권취레버의 피봇행정이 평균 바늘땀 길이에 대응한다고 결정하여도 바늘땀 길이가 너무 작거나 또는 너무 큰 경우에는 윗실의 장력변화가 장력 조절장치의 조절한계를 초과할 수도 있다. 이 결과로 실의 과도한 인장이나 인장의 부족이 야기되어, 바늘땀의 외관의 질이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상황에 맞게 또는 재봉대상의 물질에 맞게 탁월한 외관을 갖는 적절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늘대와, 주축에 의해 구동되는 셔틀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대 및 셔틀의 운도에 반응하여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실권취레버도 구비하는 재봉틀내에서, 재봉 동작의 변경에 맞추어 또는 재봉작업대상 직물의 물질에 맞추어 실권취레버의 수직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행정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실권취레버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히 하고자 한다.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재봉틀의 각종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CPU(101)는 자수 제어장치(100)의 조 요소이며, 버스 라인(102)을 통하여 프로그램 ROM(104), 작업 RAM(106) 및 데이터(108)에 각기 접속된다.
더욱이, 인터페이스(150)도 버스라인(102)을 통하여 CPU(101)에 접속된다. 종이테이프(120)에 쓰여진 자수 패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종이테이프 판독기(12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와, 주축(14)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엔코더(126)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재봉개시스위치(13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는 인터페이스(150)에 의해서 CPU(101)로 입력하기에 적당한 대응신호로 각기 변환된다.
인터페이스(152)는 주축(14)을 구동시키는 주축 모터(15)의 모터 드라이버(12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154)는 자수 프레임 구동모터(136)(137)의 모터 드라이버(134)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156)는 바늘대 케이스(50)를 미끄럼이동시키는 색상변경모터(135)의 모터 드라이버(13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160)는 실권취레버의 구동모터(70)의 모터 드라이버(128)에 제어신호를 출력힌다. 인터페이스(162)는 셔틀 구동모터(132)의 모터 드라이버(1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 인터페이스들(152)(154)(156)(160)(162)은 버스라인(102)을 통하여 CPU(101)에도 접속된다.
조작패널(140)은 각종 운영키이와 인디케이터를 구비한다. 운영패턴(140)의 인터페이스(158)는 버스라인(102)을 통하여 CPU(101)에도 접속된다.
제2도에는 재봉헤드(10)의 수직단면도가 도시된다. 머신 프레임(2)은 머신 아암(12)을 구비하는 바, 이 머신 아암은 주축(14)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있다. 주축(14)은 주축 모터(15)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주축(14)에는 바늘대구동캠(16)이 고정된다.
머신 아암(12)의 정면에는 베이스 바늘대(40)가 배치된다. 이 베이스 바늘대(40)상에는 구동 베이스(42)가 장착되어, 바늘대 구동부재(44)와 함께 베이스 바늘대(4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한다. 바늘대 구동부재(44)는 머신 아암(12)의 정면에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결합 돌출부(48)를 구비한다.
바늘대 구동캠(16)의 회전은 연결봉(18)은 통하여 바늘대 구동레버(20)에 전달된다. 바늘대 구동레버(20)의 일단부는 머신 아암(12)의 일부분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늘대 구동레버(20)의 타단부는 링크부재(24)를 통하여 구동 베이스(42)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늘대 구동캠(16)이 회전할 때, 구동베이스(42)는 연결봉(18), 바늘대 구동레버(20) 및 링크부재(24)를 통해서 바늘대 구동부재(44)와 함께 베이스 바늘대(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3도에는 재봉헤드(10)의 부분절결 평면도가 도시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신 아암(12)의 정면에는 바늘대 케이스(50)가 장착된다. 이 바늘대 케이스(50)는 색상변경모터(135)의 제어하에 측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다.
복수개의 바늘대(60)(이 실시예에서는 3 개임)는 바늘대 케이스(50)상에 수직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늘대 케이스(50)의 미끄럼 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각 바늘대(60)에는 바늘 대잡이(62)가 고정되는 바, 이것은 바늘대 구동부재(44)의 결합돌출부(48)와 결합가능한 핀(64)을 구비한다. 재봉바늘(68)은 바늘멈추개(66)를 통해 각 바늘대(60)의 하단에 장착된다. 실권취레버의 축(92)은 바늘대 케이스(50)의 상부와 인접한 위치에 주축(1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늘대(60)와 동일한 수의 실권취레버(90)는 실권취레버의 축(92)상에 왕복으로 피봇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실권취레버(90)는 주변에 리세스(94)(96)를 갖는 보스부를 구비한다.
리세스(94)는 스토퍼레일(13)과 결합 상태로 있다. 이 스토퍼레일(13)은 머신 아암(12)상에 장착되며 바늘대 케이스(50)의 미끄럼 이동범위 전반에 걸쳐서 연장되므로, 각 바늘대(90)가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리세스(96)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실권취레버(90)에 대하여 구동레버(76)의 일단부상에 장착되는 로울러(80)와 결합가능하다.
바늘대 케이스(50)가 색상변경 모터(135)의 회전 제어를 받아 머신 아암(12)에 관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 바늘대중 어느 하나의 핀(64)은 바늘대 구동부재(44)의 결합돌출부(48)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선택된 바늘대(60)중 하나는 바늘대 구동부재(44)의 수직이동에 따라서 수직 이동한다.
유사하게, 구동레버(76)의 로울러(80)는 윗실(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는 바늘대(60)중 선정된것의 실권취레버(90)의 리세스(96)와 결합하며, 바늘대(60)중 선정된것의 리세스(94)는 스토퍼레일(13)의 노치부에 위치되므로, 바늘대(60)중 선정된 것의 실권취레버(90)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동레버(76)의 피봇운동에 따라 실권취레버의 축(92)의 둘레로 피봇운동될 수 있다.
제4도에는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의 요부가 사시도로서 도시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76)의 일 단부는 양단부가 머신 아암(1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78)에 의해 피봇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로울러(86)는 구동레버(76)의 타단부상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실권취레버(90)중 하나의 리세스(96)와 결합상태로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권취레버 구동모터(70)는 머신 아암(12)의 일부분에 장착된다. 구동모터(70)의 구동축(72)와 구동레버(76)의 거의 중간의 부분은 링크부재(74)(7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70)의 구동축(72)이 왕복운동가능하게 회전할 때, 구동레버(76)는 지지축(78) 둘레로 피봇운동하므로, 바늘대(60)중 선정된 것의 실권취레버(90)가 실권취레버의 축(92) 둘레로 왕복으로 피봇운동할 수 있게 된다.
링크부재(74)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82)에 의해 바이어스 된다. 링크부재(74)는 비틀림 스프링(82)의 가압력에 의해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통상적으로 유지되는 바, 그곳에서 실권취레버 구동모터(70)의 모터브래킷(71)에 고정된 멈춤부재(73)와 접촉하고 있다.
실권취레버 구동모터(70)는 통상적으로는 펄스모터로 구성되며,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82)이 통상적으로 필요없다. 그러나, 구동모터(70)가 개방형 루프제어하에서 구동될 때나 또는 그것(7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질 때 그것(70)이 제어상태에서 벗어나버릴 가능성이 다분히 존재한다. 따라서, 실권취레버(90)의 각 구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28)을 통해 링크부재(74)를 제4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면, 구동모터(70)를 비제어상태로부터 회복시킬수 있다.
상술한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의 재봉동작을 이제부터 설명하고자 한다. 주축 구동모터(15)를 구동하여 주축(14)을 회전시키면, 바늘대중 선정된 것이 바늘대 구동부재(44)와 함께 수직으로 왕복운동한다. 그것과 동시에, 실권취레버 구동모터(70)와 셔틀 구동모터(132)도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된다.
실권취레버 구동모터(70)가 구동될 때, 바늘대(60)중 선정된 것에 대응하는 실권취레버 중 하나가 왕복으로 피봇운동함으로써, 선정된 바늘대(60)의 수직 운동에 반응하고 셔틀 구동모터(132)에 의해 구동된 셔틀(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반응하여 윗실에 가해진 장력을 변경시킨다.
더욱이, 선정된 바늘대(60), 그것에 대응하는 실권취레버(90) 및 셔틀이 동작할 때, 제1도에 도시된 자수 프레임(138)은 자수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받으면서 X 및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자수 재봉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색상변경모터(135)가 자수제어장치(100)로부터의 색상 변경신호를 토대로 구동되는 경우, 바늘대 케이스(50)는 머신 아암(12)의 정면을 따라 이동하여 다른 바늘대(60)를 선정하며, 바늘대잡이(62)의 핀(64)은 바늘대 구동부재(44)의 결합돌출부들(48)사이에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새로이 선정된 바늘대(60)에 대응하는 다른실권취레버(90)도 선정된다. 그러한 다른 실권취레버(90)의 리세스(94)는 스토퍼레일(13)로부터 분리되며, 구동레버(76)의 로울러(80)는 선정된 실권취레버(90)의 리세스(96)와 결합한다.
선정된 실권취레버(90)는 주축(14)(가로좌표)의 회전각에 대하여 선정된 바늘대(60), 선정된 실권취레버(90) 및 셔틀의 각종 재봉상태에서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하는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된다.
제5도 내지 제8도, 특히 제5도를 참조하면, 바늘대(60)의 수직행정의 행정부분(a)은 재봉바늘(68)이 작업 대상 직물(도시되지 않음)을 관통한 후 그것의 하사점에 도달할 때 까지의 기간에 대응한다. 행정부분(b)은 셔틀의 후크의 수직행정에 대응한다. 이러한 행정들(a) 및 (b)의 가산치(a+b)는 재봉바늘(68)로 작업대상 직물을 관통시켜서 그것의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윗실의 길이와, 셔틀의 후크와 결합하고 그 후 셔틀내로 수축하는 데 필요한 윗실의 길이에 대응한다.
윗실은 실권취레버(90)의 상측 피봇운동을 통해서 권취된다. 실권취레버(90)의 추가하고 상향 행정(c)은 윗실공급 장치로부터 윗실을 뽑아내어 그 다음 바늘땀을 형성하고, 동시에 윗실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행정(a)(b)(c)의 합은 실권취레버(90)기본행정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재봉패턴(하기에서는 "패턴 A"라 함)에 대한 각 바늘땀의 바늘땀 길이(L)는 자수 프레임의 X 및 Y 방향 운동량을 토대로 한 이하의 식으로 계산된다.
[식 1]
식 1에 있어서, K는 윗실 또는 작업대상 직물의 품질 또는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이다. 값 K는 재봉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제1도에 도시된 조작패널(140)의 요부를 작동시킴으로서 CPU(101)로 입력된다.
패턴(A)의 재봉동작에 있어서, 각 바늘땀에 대한 실권취레버(90)의 행정은 기본행정(a+b+c)과 상기 식 1로 얻어진 바늘땀길이(L)의 절반(L/2)의 합으로서 결정되어, 하사점을 행정(L/2)만큼 변경시킨다. 윗실은 하사점을 지난 후 피봇운동을 통해 인장된다. 따라서, 행정의 상술한 결정에 따라서, 윗실의 인장 타이밍을 자수프레임(38)의 운동개시 타이밍에 대하여 상수 관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더구나, 상수(K)는 바늘땀길이(L)의 계산법내에 들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실권취레버(90)의 제어된 행정에 의해 니트와 같은 신장성 물질로 제조된 작업대상 직물의 수축을 제거할 수 있다.
실권취레버(90)의 행정에 L/2의 행정을 더한 이유는 실권취레버(90)를 관통하는 윗실이 관통위치에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제6도에 도시된 일-바늘땀 점프동작에 대한 제어패턴(하기에서는 "패턴 B"라 함)을 이제부터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프제어를 하면, 바늘대(60)가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후 즉시 점프신호가 켜진다. 이러한 신호를 토대로 솔레노이드와 같은 작동기가 작동되어 바늘대 구동부재(44)를 베이스 바늘대(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시킨다. 따라서, 바늘대(60)가 상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결합돌출부(48)가 핀으로부터 즉시 분리되므로, 구동베이스(42)로부터 바늘대(60)로의 구동력전달이 중단된다.
바늘대(60)는 점프신호가 켜진후 꺼져서 바늘대(60)의 하향운동을 허락할 때까지 상사점에 유지된다. 따라서, 패턴(B)에 대한 실권취레버(90)의 기본행정은 "0"의 값을 지닌다. 점프동작중의 바늘땀길이(L)는 패턴(A)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도 있으며, 실권취레버(90)는 자수프레임(138)의 운동개시에 반응하여 L/2 행정만큼 하향으로 점차 피봇운동한다. 따라서, 자수 프레임(138)이 이동할 때 장력이 윗실에 가해지지 않을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타이밍은 일-바늘땀 점프동작에 대하여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실권취레버(90)가 L/2 행정만큼 하향으로 피봇운동한 후 상사점을 향하여 평활하게 이동한다. 재봉패턴을 구후 패턴(A)으로 복귀한다. 점프동작이 계속해서 수행된다면 패턴(B)하의 제어가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권취레버(90)의 불필요한 피봇 운동이 패턴(B)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윗실의 얽힘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재봉틀이 복수개의 재봉헤드(10)를 갖는 다-헤드형 재봉틀이라면, 대기하고 있는 재봉헤드(10)의 실권취레버(90)는 피봇운동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이제부터는 실절단동작의 제어패턴(하기에서는 "패턴 C"라 함)을 제7도와 관련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셔틀의 후크는 주축(14)이 약 200로 회전했을 때 윗실과 결합하며, 그후 실권취 레버(90)이 이동이 정지함으로서, 셔틀의 추가의 회전을 통하여 윗실이 공급장치로부터 수축된다. 따라서, 실권취레버(90)를 조절하면, 실절단동작후 재봉바늘(68)의 측면상에 남아 있는 윗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권취레버(90)가 정지한 후 바늘대(60)가 상사점에 도달하며, 바늘대(60)가 상사점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실권취레버(90)가 패턴(A)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실권취레버(90)가 상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실권취동작이 수행되며, 실권취레버(90)가 상사점에 도달할 때 주축(14)이 회전이 중단된다. 주축(14)의 회전이 중단된 시간에는 바늘대(60)가 점프 신호에 따라 상사점에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재봉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패턴(하길 에서는 "패턴 D"라 함)을 제8도와 관련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1도에 도시된 개시스위치(131)를 동작시키면 주축(14)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사점에 유지되는 바늘대(60)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실권취레버(90)도 상사점으로부터 이동한다.
재봉동작의 시작시에 야기된 실권취레버(90)의 하향 이동은 재봉바늘(68)이 바늘대(60)의 하향이동을 통하여 하사점에 도달할 때 중단된다. 이러한 동작의 결과, 실절단동작후 재봉바늘(68)의 측면상에 남아 있는 윗실의 말단부는 셔틀의 후속적인 동작에 의해 스로트 플레이트 아래로 수축된다. 이로써 남아 있는 윗실의 말단부가 작업대상직물의 표면상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자수제어장치(100)의 CPU(101)에 의해 수행되는 실권취레버(90)의 구동제어동작을 제9도에 도시된 순서도와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S1단계에 있어서는 CPU(101)를 조작하여 점프신호를 온 또는 오프한다. 점프신호가 온 된다면, S2단계로 순서가 진행되어 패턴(B)를 선택하게 된다. 그후 S3 단계에서는 패턴(B)에 대응하는 지령신호가 실권췰버 구동모터(70)의 모터 드라이버(128)로 출력되며, 그럼으로써 이 과정은 종료된다.
S1 단계에서 점프신호가 오프되면, S4 단계에서 CPU(101)를 조작하여 실절단신호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실절단신호가 온되면 S5 단계로 순서가 진행되어 패턴(C)을 선택하게 된다. 그 후에는 S3 단계에서 패턴(C)에 대응하는 지령신호를 모터 드라이버(128)로 출력하며, 그럼으로써 이 과정은 종료된다.
S4 단계에서 실절단신호가 오프되면, CPU(101)를 조작하여 S6 단계에서 재봉개시신호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재봉개시신호가 온되면, S7 단계로 순서가 진행되어 패턴(D)을 선택한다. 그 후에는 S3 단계에서 패턴(D)을 대응하는 지령신호를 모터 드라이버(128)로 출력하며, 그럼으로써 이 과정이 종료된다.
재봉개시신호가 S6 단계에서 오프되면, S8 단계로 순서가 진행되어 패턴(A)을 선택한다. 그후에는 S3 단계에서 패턴(A)에 대응하는 지령신호를 모터 드라이버(128)로 출력하며, 그럼으로써 이 과정이 종료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턴(A)에서 실권취레버(90)의 동작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하여 제어하는 것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패턴(A)에서 실권취레버(90)의 운동자체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제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의 제2실시예를 이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제10도와, 제10도의 XI-XI 선 단면도를 도시하는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경예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동일한 번호를 병기함으로써 생략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실권취레버(90)의 피봇운동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축(14)의 구동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실권취레버의 피봇운동의 행정은 제어 코너(200)로 조절할 수도 있다.
실권취레버(90)의 구동레버(76)의 중간부분은 머신 아암(1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7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레버(76)의 일단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권취레버(90)의 리세스(96)와 결합하기 위한 로울러(80)를 구비한다. 구동레버(76)의 타단부는 결합슬롯(76a)을 구비한다.
지지축(78)상에는 편심캠(20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 캠(204)은 캠레버(204)의 일단부내로 미끄럼 삽입된다. 편심캠(204)의 돌출부에는 피동기어(208)가 고정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한다. 모터기어(202)는 제어모터(200)의 모터축(201)에 고정되며 피동기어(208)와 결합상태에 있다.
주축(14)상에는 실권취레버 구동캠(210)이 고정된다. 구동캠(210)은 로드(212)의 일단부내로 미끄럼 삽입되므로, 로드(212)는 구동캠(210)의 회전에 반응하여 왕복운동하게 된다. 로드(212)의 타단부는 구동레버(76)의 결합슬롯(76a)과 결합상태에 있는 핀(214)을 통하여 캠레버(206)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슬롯(76a)은 원호 구성을 갖도록 결정되며, 로드(212)( 및 실권취레버(90))가 상사점에 있을 때 슬롯의 중심은 로드(212)의 피봇운동중심(P)에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212)가 실권취레버 구동캠(210)의 회전에 반응하여 왕복운동할 때 구동레버(76)는 핀(214)을 통하여 지지축(7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함으로써, 실권취레버(90)가 왕복으로 피봇운동하게 된다. 실권취레버(90)의 피봇운동의 행정을 변경하려면 제어모터(200)를 구동하여 편심캠(204)을 모터기어(202)와 피동기어(208)간의 결합을 통하여 회전시킨다. 그런다음 캠레버(206)를 이동하여 핀(214)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구동레버(76)의 지렛대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레버(76)의 결합슬롯(76a)의 최우측단부가 핀(214)과 결합할 때 실권취레버(90)의 피봇운동의 행정은 최대가 되며, 핀(214)의 결합위치가 좌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행정이 점차 감소된다. 로드(212) 또는 실권취레버(90)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에 있을 때 핀(214)이 이동한다고 하여도, 구동레버(76)는 피봇운동하지 않고 핀(214)만이 결합슬롯(76a)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사점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피봇운동행정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서만 기술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변경예 및 변형예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바늘대와, 주축에 의해 구동되는 셔틀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대 및 셔틀의 운동에 반응하여 수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실권취레버도 구비하는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에 있어서, 재봉동작의 변경에 맞추어 또는 재봉작업대상 직물의 물질에 맞추어 상기 실권취레버의 수직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행정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과 무관하게 상기 실권취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행정조절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CPU 이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CPU 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로 조절되는 모터인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과 상기 실권취레버의 사이에는 상기 주축의 회전을 상기 실권취레버의 수직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레버 메카니즘이 제공되고; 상기 행정조절수단은 상기 캠-레버 메카니즘의 지렛대비를 변경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KR1019920021581A 1991-11-18 1992-11-17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KR100228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0019A JPH05137862A (ja) 1991-11-18 1991-11-18 ミシンの天秤駆動装置
JP3-330019 199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5A KR930010275A (ko) 1993-06-22
KR100228930B1 true KR100228930B1 (ko) 1999-11-01

Family

ID=1822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81A KR100228930B1 (ko) 1991-11-18 1992-11-17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27840A (ko)
JP (1) JPH05137862A (ko)
KR (1) KR100228930B1 (ko)
DE (1) DE423896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65B1 (ko) * 1997-03-11 2005-06-07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다두다침재봉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345A (en) * 1994-04-11 1996-10-29 Kenyon; Sarah Flexible iron-on patch for soft clothing
US5680825A (en) * 1995-11-24 1997-10-28 Macpherson Meistergram, Inc. Thread-take-up controller and method
KR100687889B1 (ko) * 2004-11-09 2007-02-27 (주) 인브로 자수기용 윗실공급장치
JP2007301299A (ja) 2006-05-15 2007-11-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刺繍ミシン
CN108342847B (zh) * 2017-01-23 2020-08-04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刺绣机剪线过程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574A (en) * 1906-03-03 1908-05-05 Edwin J Toof Company Sewing-machine take-up.
US1101002A (en) * 1912-06-17 1914-06-23 Robert Zahn Take-up-controlling means for embroidering-machines.
DE2835185B1 (de) * 1978-08-11 1979-10-11 Zangs Ag Maschf Vorrichtung zum Antrieb des Fadengebers an Mehrkopf-Stickmaschinen
DE3007473C1 (de) * 1980-02-28 1981-10-01 Maschinenfabrik Carl Zangs Ag, 4150 Krefeld Vorrichtung zum Antrieb von Fadenhebeln an Stickmaschinen
US4346334A (en) * 1980-07-23 1982-08-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C Servomotor system
JPS62120888A (ja) * 1985-11-20 1987-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天秤装置
US5189971A (en) * 1990-10-29 1993-03-02 Frankel Samuel R Electronic sew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65B1 (ko) * 1997-03-11 2005-06-07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다두다침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38962C2 (de) 2003-12-24
US5327840A (en) 1994-07-12
DE4238962A1 (ko) 1993-05-19
KR930010275A (ko) 1993-06-22
JPH05137862A (ja) 199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7751B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8079998A (ja) ミシン
KR100228933B1 (ko) 재봉틀의 노루발 구동장치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4782295B2 (ja) サイクルミシン
KR101240386B1 (ko) 재봉기
US4848253A (en) Embroidery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US7280886B2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ing
US6145457A (en) Sewing machine having needle bar oscillating mechanism, needle bar interrupting mechanism and thread tension releasing mechanism
JP2007215734A (ja) ミシン
JP6151979B2 (ja) 刺繍機
JP2861470B2 (ja) 自動ミシン
US5899157A (en)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ascent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chanism
US5655470A (en) Sewing machine with movable presser foot
KR100807946B1 (ko)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3897641B2 (ja) ミシン
US4986201A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setting a fabric feed to zero at the beginning of sewing operation
JP4404974B2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JP3254647B2 (ja) 自動糸切り機構付きミシン
US20240026584A1 (e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JPH01212591A (ja) 電子制御式ジグザグミシン
JPH11262592A (ja) 糸端保持手段を備えた多針ミシン
JPH09299643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