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946B1 -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946B1
KR100807946B1 KR1020020035402A KR20020035402A KR100807946B1 KR 100807946 B1 KR100807946 B1 KR 100807946B1 KR 1020020035402 A KR1020020035402 A KR 1020020035402A KR 20020035402 A KR20020035402 A KR 20020035402A KR 100807946 B1 KR100807946 B1 KR 10080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sewing
needle bar
needl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332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기 헤드(16)에 있어서의 침봉(42)의 상하구동에 동기(同期)하여 북(shuttle)(50)이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이들과 동기하여 자수틀이 이동 제어되어 피자수물에 자수재봉이 행해지는 형식의 자수기로서, 상기 재봉기 헤드(16)가 상기 침봉(42)에 대한 상하구동의 전달을 차단하는 침봉 점프제어가 가능하다. 또 상기 자수틀의 이동제어를, 피자수물이 두꺼운 것일때의 1스티치(stitch)에 있어서의 이동개시타이밍을 늦추고, 또한 이동종료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1스티치에 있어서의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피자수물이 두꺼운 것인 경우에 있어서도 재봉침의 삽침(揷針)시나 발침(拔針)시에 있어서의 침의 절단을 방지하고, 또 긴 스티치도 형성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EMBROIDERY MACHIN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다두·다침타잎의 자수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재봉기 헤드에 있어서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침봉 점프시의 재봉기 헤드에 있어서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침봉 및 천칭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점프제어를 수반하는 침봉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지금까지의 침봉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봉기 테이블 14. 자수틀
16. 재봉기 헤드 32. 점프기구
42. 침봉 50. 북(shuttle)
본 발명은, 침봉의 상하구동에 관련하여 자수틀이 이동제어되며, 이 자수틀에 지지되어 있는 피자수물에 자수재봉을 행할 수 있는 자수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자수기에 있어서는, 한개의 재봉기 주축의 회전구동을 기초로 하여 재봉기 헤드에 있어서의 침봉 및 천칭(天秤)이 그 밖의 보조부재와 함께 각각 구동되며, 또 재봉기 헤드와 대응하여 재봉기 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된 북(shuttle)이 회전구동된다. 한편, 천 등의 피자수물을 지지한 자수틀은 그 구동기구에 의해 재봉기 테이블의 상면을 따라 이동제어된다. 이 자수틀이 침봉의 상하구동에 동기하여 이동제어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피자수물에 자수재봉이 행해진다. 그리고 자수틀을 이동시킬 수 있는 타이밍은 침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재봉침이 피자수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는 동안이다.
도 6은 침봉(재봉침)의 상하동작을 연속적으로 전개해 보았을 때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도면의 횡축은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침 끝부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침봉의 모션은 재봉침 선단의 궤적(100)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재봉침의 선단이 침판(피자수물)으로부터 빠져 나와 그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구간(110)에 있어서, 상기 자수틀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봉의 1스트로크(재봉기 주축의 1회전)으로, 가능한 한 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간(110)을 최대한 이용하 여 자수틀의 이동제어를 행하게 된다. 즉, 재봉침이 침판으로부터 빠져 나온 직후에 자수틀의 이동을 개시하고, 재봉침이 다시 삽침(揷針)되기 직전에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재봉기 주축의 회전수를 올리면, 당연히 상기 구간(110)의 시간이 짧아지며, 이 구간(110)에서 형성할 수 있는 스티치길이가 짧아진다. 그 경우에는 침봉에 대한 상하구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침봉을 그 상사점에 지지하는 점프제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긴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에 관한 기술이 예를 들면 특개소 58-149363호 공보 또는 특개소 58-187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피자수물이 두꺼운 천인 경우, 통상의 두께를 갖는 천에 두께가 3∼8mm의 우레탄재 등을 놓고 그 위로부터 자수하는 경우로 하는 두꺼운 것의 자수에서는 재봉침이 피자수물에 완전히 삽침되기까지의 시간, 혹은 재봉침이 피자수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올때까지의 시간이 통상의 자수보다도 길어진다. 그 결과, 피자수물에 대한 재봉침의 삽침(揷針) 혹은 발침(拔針)의 타이밍과,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혹은 이동정지타이밍이 맞지 않고, 재봉침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침의 절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피자수물이 두꺼운 것인 경우라도, 재봉침의 삽침 및 발침시에 있어서의 침의 절단을 방지하고, 또 긴 스티치도 형성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며,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 혹은 북의 회전과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수기로서, 상기 침봉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침봉점프기구를 가지고, 상기 자수기는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는 봉제모드를 가지며, 또한 상기 봉제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은,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스티치에 있어서 반드시 1회의 침봉점프가 행해지며, 더욱이 그 사이에 자수틀이 연속하여 이동되므로, 피봉제물이 두꺼운 것이라 해도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및 개시타이밍을 각각 재봉침이 무리없이 삽침되고 또 발침되도록 설정하고, 더욱이 소망하는 스티치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침봉점프의 횟수의 설정에 의해 긴 스티치도 간단히 형성할 할 수 있다.
또한, 피봉제물이 두꺼운 것 이외의 것이라도 상기 봉제모드로 봉제함으로써 마무리가 양호한 자수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봉제모드에 있어서,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은 침봉이 그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윗실의 상류측으로부 터의 여분의 인출과 그것에 수반되는 실죄임(絲締)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및 이동종료타이밍이 각각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및 이동종료타이밍을 피봉제물의 두께나 요구되는 마무리등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고,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에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수기로서, 상기 침봉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침봉점프기구를 가지며, 상기 자수기는 1스티치에 있어서의 자수틀의 이동을 제 1 이동개시타이밍에서 개시하고 또한 제 1 이동종료타이밍에서 종료하는 제 1 봉제모드와, 자수틀의 이동을 상기 제 1 이동타이밍보다도 늦은 제 2 이동개시타이밍에서 개시하며 또한 제 1 이동개시타이밍보다도 빠른 제 2 이동종료타이밍에서 종료시키는 제 2 봉제모드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제 2 봉제모드에 있어서는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봉제모드에서는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청구항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봉제물이 두꺼운 것이라도 제 2 봉제모드에 의해 재 봉침이 무리없이 삽침되고 또 발침되도록 설정하고, 더욱이 소망하는 스티치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침봉점프의 횟수설정에 의해 긴 스티치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피봉제물이 두꺼운 것 이외의 것이라도 마무리가 양호한 자수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제 2 봉제모드에서는 제 1의 봉제모드와 비교하여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이 늦기만 하고 이동종료타이밍이 빠르게 되어 있으므로, 재봉침의 삽침 및 발침시에 있어서의 침의 절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봉제물의 두께나 성상 혹은 소망하는 마무리에 따라 봉제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봉제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의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제모드에 있어서의 제 2 이동개시타이밍을,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청구항 3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윗실의 상류측으로부터 여분의 인출과, 그것에 따른 실매듭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혹은 4의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제보드와 제 2 봉제모드를 피자수물의 두께에 따라 선택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효율적인 봉제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고,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 혹은 북의 회전에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수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자수재봉의 1 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고, 더욱이 상기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의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을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하는 것이고, 그 작용효과는 청구항 1의 발명과 같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1∼5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다두·다침타잎의 자수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자수기에 있어서의 재봉기 테이블(10)의 상방에 재봉기 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재봉기 프레임(12)에 복수개(4개)의 재봉기 헤드(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재봉기 테이블(10)의 상면에는 천 등의 피자수물을 지지하기 위한 자수틀(14)이 위치하고 있다. 이 자수틀(14)은 자수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틀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재봉기 테이블(10)의 상면을 따라 X, Y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도 2 및 도 3은 한 개의 재봉기 헤드에 있어서의 내부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재봉기 헤드(16)의 외각(外殼)부재는 재봉기 프레임(12)에 장착된 재봉기 아암(18)과, 이 재봉기 아암(18)의 전면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부착된 침봉케이스(40)로 나누어져 있다. 재봉기 아암(18)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면측 개소에는 한 개의 안내봉(20)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봉(20)의 상하단부가 재봉기 아암(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안내봉(20)의 축 상에는 베이스(22)와 침봉구동부재(24)가 안내봉(20)을 따라 상하로 왕복동작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침봉구동부재(24)는 베이스(22)에 대하여 안내봉(20)의 축선 둘레를 회전가능하지만, 평상시는 스프링(도시생략)의 힘에 의해 도면에서 나타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기 아암(18)은 도 2,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점프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프기구(32)는 침봉점프신호를 기초로 하여 롤러(34)에 의해 침봉구동부재(24)의 면(24a)을 가압하도록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침봉구동부재(24)의 베이스(22)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안내봉(20)의 축선 둘레를 회전한다.
상기 재봉기 아암(18)의 내부에는 각 재봉기 헤드(16)를 걸쳐서 관통하는 재봉기 주축(26)이 위치하고 있다. 재봉기 주축(26)은 자수기의 구동원인 모터(도시생략)의 구동력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재봉기 주축(26)의 축 상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캠(28)의 회전은 구동전달링(30)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22)(침봉구동부재(24)에 대하여, 그것을 상하로 왕복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전달된다. 또 재봉기 아암(18)의 내부에는 재봉기 주축(26)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아래에 설명하는 천칭(36)을 반복회전운동(천칭동작)시키기 위한 천칭구동레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봉케이스(40)에는 복수개의 침봉(42)이 각각 상하로 왕복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각 침봉(42)은 상하의 거의 중간부에 있어서 재봉기 아암(18)측으로 돌출한 핀(44)을 구비하고 있다. 각 침봉(42)은 재봉기 아암(18)에 대하여 침봉케이스(40)를 슬라이드제어함으로써 한 개가 선택되며, 그 침봉(42)의 핀(44)이 상기 침봉구동부재(24)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동력전달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추어진다(도 2). 따라서 선택된 침봉(42)은 침봉구동부재(24)의 상하동작에 연동하여 재봉침(46) 및 천 가압부재(48)와 함께 상하로 구동된다.
각 침봉(42)의 축 상에는 각각의 상단부와 침봉케이스(40)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침봉구동부재(24)와 핀(44)이 걸어 맞추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침봉(42)은 그 상사점에 지지된다(도 3).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된 침봉(42)에 대해서도, 상기 침봉점프신호를 기초로 하여 점프기구(32)의 작동에 의해 침봉구동부재(24)가 안내봉(20)의 축선 둘레를 회전하면, 이 침봉구동부재(24)와 핀(44)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침봉(4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사점에 지지된다.
침봉케이스(40)에는 각 침봉(42)과 대응하는 수의 천칭(36)이 천칭축(37)의 축선 둘레를 반복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침봉케이스(40)의 슬라이드제어에 의해 선택된 침봉(42)에 대응하는 천칭(36)만이, 상기 천칭구동레버(38)에 의해 구동력을 받는다. 침봉케이스(40)의 슬라이드에 의해 침봉(42) 및 천칭(36)을 선택하는 것으로, 천칭(36) 및 재봉침(46)에 통과되어 있는 실의 색이나 성상이 선택되게 된다.
재봉기 테이블(10)의 상면에서, 또한 각 재봉기 헤드(16)과 대응하는 개소에는 도 2, 3에 나타내는 침판(52)이 있고, 침판(52)의 아래에는 북(50)(수직북)이 위치하고 있다. 이 북(50)의 북축(51)이 재봉기 주축(26)과 동기하여 외북(50a)과 함께 회전구동된다. 자수기에 있어서의 북(50)은 일반적으로 「2 회전북」으로 불 리우는 타잎으로, 외북(50a)이 재봉기 주축(26)의 1회전에 대하여 2회전한다. 또한 침판(52)은 재봉침(46)이 삽입통과되는 침구멍(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침봉의 상하동작 및 천칭의 반복회전운동을 연속적으로 전개하여 보았을때의 각각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침봉점프의 제어를 행하였을때의 침봉의 상하동작을 연속적으로 전개하여 보았을때의 모션을 재봉기 주축의 회전각도와의 관계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횡축에는 상기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가 나타나고, 종축에는 높이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횡축에 있어서의 「0」의 위치가 침판(52)의 상면이며, 침봉(42)의 모션(M1)은 재봉침(46)의 하단이 표현된 궤적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천칭(36)의 모션(M2)은 윗실이 통과되어 있는 천칭선 단부가 표현된 궤적에 의해 나타나 있다. 단, 천칭(36)의 모션(M2)은 침봉(42)의 모션(M1)에 대한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고, 종축에 나타나 있는 높이의 수치와는 관계가 없다.
또 도 4에는 상기 북(50)에 있어서의 외북(50a)의 회전이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횡축)와 대응시켜서 나타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북(50)은 재봉기주축(26)의 1회전에 대하여 외북(50a)이 2회전하는 타잎이다. 이 외북(50a)의 날끝(50b)이 최상의 위치에 도달할 때의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는 197。이고, 이 타이밍에 있어서 재봉침(46)에 통과되어 있는 윗실이 날끝(50b)에 의해 포착된다. 여기에서부터 외북(50a)이 거의 180。(재봉기 주축회전각도 = 90。) 회전한 재봉기주축(26)의 회전각도 287。부근에서 북(50)에 의해 윗실이 그 공급측으로부터 더욱 당겨져 나온다. 이 때문에 천칭(36)의 선단부가, 도 4의 모션(M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에 있으며, 윗실이 무리없이 북(50)측에 당겨져 들어간다.
그 후의 외북(50a)의 회전에 의해 이번은 윗실에 이완이 생기게 되지만, 천칭(36)의 선단부가 상승으로 전환되므로, 그 이완이 흡수되면서 북(50)측으로부터 당겨져 올라간다. 그러나,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 330。부근까지 윗실은 북(50)에 구속된 채이다. 따라서, 그 이전에 윗실을 북(50)으로부터 끌어내려고 해도 윗실이 북(50)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으며,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윗실이 재봉침(40)의 상류측(공급측)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지금까지의 자수기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구간(110)을 최대한 이용하여 자수틀의 이동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상기 재봉기 주축회전각도 330。보다 전에 자수틀의 이동을 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자수틀의 이동은 그것에 의해 윗실이 당겨지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북에 구속된 채의 윗실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되지만, 그것은 실(윗실/밑실)의 텐션을 조정함으로써 어떻게든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수기는 상기 피자수물의 두께에 따라 통상 재봉모드와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와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14)의 이동개시타이밍(α)을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A)보다도 충분히 늦추고, 또 자수틀(14)의 이동종료타이밍(β)을 회전각도(B)보다도 충분히 빠르게 하고 있다. 회전각도(A)는 재봉침(46)의 하단이 침판(52)의 침구멍(54)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타이밍이고, 회전각도(B)는 재봉침(46)의 하단이 침판(52)의 침구멍(54)에 삽입되는 타이밍이다. 또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침봉(42)의 모션(M1)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점프기구(32)의 제어에 의해 침봉점프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자수틀(14)의 이동제어는 도 5에 나타내는 구간(70)에 있어서 행해진다.
자수틀(14)의 이동개시타이밍(α)을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A)로부터 늦추어지는 만큼 두꺼운 것의 피자수물에 대응할 수 있고, 이동종료타이밍(β)을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B)보다도 빠르게 한 만큼 두꺼운 것의 피자수물에 대응할 수 있다.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서의 이동개시타이밍(α)은, 재봉기주축(26)의 회전각도에서 330。이후로 설정되어 있다. 이 회전각도 330。에 있어서의 재봉침(46) 하단의 침판(52)으로부터의 높이는 그 상사점에서의 높이(30mm정도) 근처까지 도달하고 있고, 대부분의 두꺼운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 330。이후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북(50)으로부터 윗실을 저항없이 인출할 수 있는 타이밍이고, 자수틀(14)의 이동에 의해 윗실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 있어서의 이동종료타이밍(β)은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70。)정도로 설정된다.
상기 침봉점프는 오토점프제어로 한다. 오토점프제어에서는 침봉점프에 의한 기준스티치길이를 설정해 둠으로써 자수재봉시에 먼저 판독되어 있는 스티치데이터에 상기 기준스티치길이보다도 긴 실행스티치길이가 있으면, 그것을 위한 점프횟수와 잔여 스티치길이를 연산하여 실행한다. 결국, 상기 기준스티치길이가, 예를 들면 5m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7mm의 실행스티치길이가 있다고 한다면 그 스티치는 1회의 침봉점프와 잔여 2mm의 스티치에 의해 형성된다. 또 13mm의 실행스티치길이가 있었을 때, 그 스티치는 2회의 연속점프와 잔여 3mm의 스티치에 의해 형성된다.
지금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로 전환하고, 자수틀(14)의 이동개시타이밍(α)을 재봉기주축(26)의 회전각도 330。로 설정하고, 이동종료타이밍(β)을 회전각도 70。로 설정하여 두꺼운 것의 자수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재봉기 주축(26)의 회전속도가 800rpm정도라고 한다면, 침봉(42)의 1회의 상하동작으로 형성가능한 스티치길이는 겨우 1mm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오토점프제어에 있어서의 침봉점프의 기준스티치길이는 1mm이상인 것에서, 실제의 자수에 있어서는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는 제어가 된다. 이것에 의해 실질적인 총스티치수는 증가하게 되지만, 삽침시나 발침시에 재봉침(46)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없이, 두꺼운 것의 피자수물에 대하여 실매듭이 좋은 자수를 행할 수 있다.
통상의 재봉모드에 있어서는 자수틀(14)의 이동개시타이밍(α)을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에서 230。이후로 설정하고, 또 이동종료타이밍(β)을 재봉기 주축(26)의 회전각도 100。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두꺼운 것이 아닌 피자수물에 대해서도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로 자수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며, 자수스피드를 희생(犧牲)으로 해도 마무리가 양호한 자수를 행하고 싶을 때는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를 선택한다.
통상의 재봉모드 및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자수틀(14)의 이동개시타이밍(α)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정가능하며, 또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서는 자수틀(14)의 이동종료타이밍(β)에 대해서도 소정의 범위 내 에서 조정가능하다. 이들 조정 폭의 일례를 아래에 설명해 둔다.
통상의 재봉모드에 관하여,
이동개시타이밍 α ; 230。∼300。(10。단위로 조정)
이동종료타이밍 β ; 100。(조정없음)
두꺼운 것의 재봉모드에 관하여,
이동개시타이밍 α ; 330。∼370。(10。단위로 조정)
이동종료타이밍 β ; 30。∼80。(10。단위로 조정)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두·다침타잎의 자수기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재봉기 헤드(16)가 한 개인 단두식 자수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침봉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침봉점프기구를 가지고, 상기 자수기는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이,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1스티치에 있어서 반드시 1회의 침봉점프가 행해지며, 더욱이 그 사이에 자수틀이 연속하여 이동되므로, 피봉제물이라 해도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및 개시타이밍을 각각 재봉침이 무리없이 삽침 또는 발침되도록 설정하고, 더욱이 소망하는 스티치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침봉점프의 횟수의 설정에 의해 긴 스티치도 간단히 형성할 할 수 있다. 또한, 피봉제물이 두꺼운 것 이외의 것이라도 봉제모드로 봉제함으로써 마무리가 양호한 자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은 침봉이 그 상사점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윗실의 상류측으로부터의 여분의 인출과, 그것에 수반되는 매듭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고,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 혹은 북의 회전과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수기로서,
    상기 침봉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침봉점프기구를 가지고,
    상기 자수기는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이,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설정되는 봉제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 및 이동종료타이밍이 각각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3.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고,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에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 수기로서,
    상기 침봉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침봉점프기구를 가지고,
    상기 자수기는 1스티치에 있어서의 자수틀의 이동을 제1이동개시타이밍에서 개시하고 또한 제1이동종료타이밍에서 종료하는 제1봉제모드와, 자수틀의 이동을 상기 제1이동타이밍보다도 늦은 제2이동개시타이밍에서 개시하고 또한 제1이동개시타이밍보다도 빠른 제2이동종료타이밍에서 종료시키는 제2봉제모드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제2봉제모드에 있어서는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제모드에 있어서의 제2이동개시타이밍은,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제모드와 제2봉제모드를 피자수물의 두께에 따라 선택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6. 상하구동되는 침봉을 갖는 재봉기 헤드와, 침봉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회전구동되는 북과,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자수틀을 가지고, 상기 자수틀을 상기 침봉의 상하운동 혹은 북의 회전에 관련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자수물에 대하여 자수재봉을 행하는 자수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침봉점프를 행하고, 점프중에는 상기 자수틀을 연속해서 이동시키고, 더욱이 상기 자수재봉의 1스티치에 있어서의 상기 자수틀의 이동개시타이밍을, 상기 침봉이 그 상사점부근에 도달하여 상기 북에 포착되어 있는 윗실이 거의 무저항으로 북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된 후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제어방법.
KR1020020035402A 2001-06-25 2002-06-24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7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91658A JP2003000976A (ja) 2001-06-25 2001-06-25 刺繍ミシン
JPJP-P-2001-00191658 2001-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32A KR20030001332A (ko) 2003-01-06
KR100807946B1 true KR100807946B1 (ko) 2008-03-03

Family

ID=1903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402A KR100807946B1 (ko) 2001-06-25 2002-06-24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00976A (ko)
KR (1) KR100807946B1 (ko)
CN (1) CN13935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1638A (zh) * 2011-03-11 2011-09-21 陈镇杆 高速电脑绣花机针杆驱动凸轮连接轴组件
CN108411511A (zh) * 2018-02-26 2018-08-17 李佳娣 雕孔针杆架组件的控制方法及其针杆架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0794C (zh) * 2004-10-12 2007-08-08 南京大学 自支撑有序通孔氧化铝膜的制备方法
JP5158563B2 (ja) * 2007-12-01 2013-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
CN105862281A (zh) * 2016-06-23 2016-08-17 陈志锟 一种应用于电脑绣花机上的变速针杆驱动机构
CN112195578B (zh) * 2020-09-11 2022-02-15 浙江镨美科智能刺绣设备有限公司 一种针杆和压脚独立驱动控制方法
KR102577477B1 (ko) * 2021-11-08 2023-09-12 송해붕 두께가 다른 다수 개의 실을 이용한 원단의 자수 패턴 또는 퀼팅 패턴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673A (ja) * 1997-09-05 1999-03-2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11267389A (ja) * 1998-03-20 1999-10-05 Brother Ind Ltd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673A (ja) * 1997-09-05 1999-03-2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11267389A (ja) * 1998-03-20 1999-10-05 Brother Ind Ltd ミシン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07667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267389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1638A (zh) * 2011-03-11 2011-09-21 陈镇杆 高速电脑绣花机针杆驱动凸轮连接轴组件
CN108411511A (zh) * 2018-02-26 2018-08-17 李佳娣 雕孔针杆架组件的控制方法及其针杆架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32A (ko) 2003-01-06
CN1393587A (zh) 2003-01-29
JP2003000976A (ja) 200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79998A (ja) ミシン
WO1991019846A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US4848253A (en) Embroidery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US5040476A (en) Switching device for normal and embroidery stitching in a sewing machine
KR100228933B1 (ko) 재봉틀의 노루발 구동장치
KR100807946B1 (ko)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20060063740A (ko) 재봉기
JP6151979B2 (ja) 刺繍機
JP2861470B2 (ja) 自動ミシン
JPH0451991A (ja) 刺繍ミシン
JP2003326059A (ja) 針送りミシン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JPS5959961A (ja) 刺しゆうミシン
JPH06170074A (ja) 刺繍ミシンの上糸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9140971A (ja) ミシン
JPH07155488A (ja) 糸取り扱いシステム
JP3254647B2 (ja) 自動糸切り機構付きミシン
JP2879271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チメント駆動装置
JP3107866B2 (ja) ミシンにおける上糸保持装置
JPH06287854A (ja) 多針刺繍ミシンの上糸制御装置
JPH04292193A (ja) ミシンにおける針棒の上死点規制装置
JPH04347192A (ja) 刺繍ミシン
JPH11262592A (ja) 糸端保持手段を備えた多針ミシン
JP3667420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