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541B1 -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41B1
KR860001541B1 KR1019830001412A KR830001412A KR860001541B1 KR 860001541 B1 KR860001541 B1 KR 860001541B1 KR 1019830001412 A KR1019830001412 A KR 1019830001412A KR 830001412 A KR830001412 A KR 830001412A KR 860001541 B1 KR860001541 B1 KR 86000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needle
head
nippl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469A (ko
Inventor
이쿠오 타지마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코고 미신 가부시끼 가이샤
이쿠오 타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코고 미신 가부시끼 가이샤, 이쿠오 타지마 filed Critical 토카이 코고 미신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조합한 자수기 요부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니플(nipple)기구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직물가압기구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기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기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X-X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화살표 Y-Y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화살표 Z-Z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1도는 니들바(needle bar)를 상승시키는 변형기구의 요부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기구의 확대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화살표 X-X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4도는 변위되는 회전레버(Swing lever)를 나타낸 제12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브라켓(support bracket) H : 머리(head)
1a : 상부편 J : 회전축
1b : 하부편 S : 지점(支點)
2 : 니들바(needle bar) O1: 중심
2a : 연결부(engaging portion) O2: 축
3 : 바늘(needle) 10 : 니플바(nipple bar)
4 : 베벨기어 11 : 제2연결편(engaging piece)
5 : 상승부재 11a : 핀
5a : 기체(base) 12a : 전면캠
5b : 제1연결편 12b : 후면캠
5c : 조임부(nipping portion) 13 : 회전레버
6 : 호울더(holder) 14 : 접촉핀
7 : 핀 15 : 연결부니
8 : 주캠(main cam) 16 : 니플호울더
9 : 주샤프트(main shaft) 17 : 니플(nipple)
17a : 연결부
26 : 활상누름체(annular presserfoot)
18 : 공급판 26a : 연결바
19 : 압압바(pressing bar)
27 : 바늘대기레버(needle waiting lever)
20 : 제3연결핀 27a : 전면단
21 : 회전레버 27b : 최후단(最後端)
22 : 접촉핀 27A : 바늘대기레버
23A : 하부지지편 28 : 샤프트
23B : 하부지지편 29 : 핀
24 : 만능조인트(universal joint) 30 : 구동샤프트
25 : 탄성부재 30A : 구동샤프트
31 : 제1대기캠 34A : 누름쇄대기레버
32 : 니플대기레버 34a : 전면단
32a : 전면단 35 : 제3대기캠
32b : 최후단 35A : 제3대기캠
32A : 니플대기레버 37 : 조절캠
36 : 지지암 38 : 지지핀
36A : 지지암 39 : 샤프트
33 : 제2대기캠 56A : 제1연결편
33A : 제2대기캠 51 : 지지브라켓
34 : 누름쇄대기레버 52 : 니들바
53 : 바늘 60 : 주캠
54 : 연동편 61 : 구동샤프트
55 : 샤프트 62 : 안내핀
56 : 상부연동기어 63 : 캠요홈
57 : 편심칼라(eccentric collar)
63a : 최상편심부(most eccentric portion)
58 : 회전레버
64 : 틈새요홈(clearance groove)
58a : 전면암 65 : 연동샤프트
58b : 상부암 66 : 하부연동기어
58c : 하부암 67 : 보조캠
59 : 쇄정핀(Locking pin)
67a : 블록부(convex portion) 67b : 틈새부
본 발명은 자수기의 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재봉작동(sewing operation)을 정지시킬 때 재봉작동을 행하는 자리(site)에서 바늘(needle), 니플(nipple) 및 누름쇄(presser foot)를 후퇴시켜 그 다음 재봉작동을 대기하는 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머리(head), 그 머리의 전단부(farward end portion)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고 직물에 자수코(embroidery stitche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 머리에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바늘을 가진 니들바(needle bar), 그 머리의 전단부에서 그 니들바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그 바늘이 직물을 통과하는 바늘 설정 위치에서 그 직물을 압압하도록 그 니들바를 낮출 때 동시에 낮아지도록 하고 그 니플내에 니들바를 활동할 수 있게 (slidably) 수납되는 니플 (nipple) 및 그 머리의 전단부에서 니들바의 니플에 평행하게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바늘이 상승될 때 직물을 수평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수평으로 변위시키며 바늘설정위치 언저리직물을 압압하도록한 누름쇄(presser fooat)를 구비한 자수기의 대기장치를 제공한다.
이 대기장치에는 재봉작동을 정지시킬 때 대기위치에 각각 이르도록 니들바, 니플 및 누름쇄를 상방향으로 후퇴시키며 그 머리의 상부부분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인양장치(lifting means)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인양장치에는 바늘 대기레버(needle waiting lever), 니플대기레버 및 누름쇄 대기레버가 있어 각각 이들의 레버는 재봉작동이 정지될 때 니들바, 니플 및 누름쇄 각각을 상승시키는 캠과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요홈캠을 사용하여 그 대기레버와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어 각 레버의 회전지점(fulcrum)이 변위됨으로써 바늘, 니플 및 누름쇄 각각의 상부사점(topdead point)에서 상방향운동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바늘대기레버를 작동시키는 변형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인양장치에는 재봉동작을 정지시킬 때 니들바를 상승시키는 머리(head)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변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지점을 가진 회전레버, 그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그 니들바를 정상적으로 왕복시키는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한 주캠(main cam), 그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회전레버를 작동시키는 자수기의 회전 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보조캠 및 주캠 또는 보조캠과 교대로 연결되어 이 캠과 같이 단독으로 연동(interlock)되는 회전레베를 구비함으로 이 회전레버의 지점이 변위될 때 스티치 루우프(stotch loope)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정상적인 수직운동중에 니들바의 상부사점을 상하로 변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직물을 바꾸거나 또 는스티치를 고칠때 그 수놓은 영역에서 증가된 공간으로 직물의 교환, 스티치와 기타의 검사를 더 용이하게 하여 개량시키도록 한 자수기의 대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티치를 형성하는 실의 투우프 길리를 용이하게 또 명백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자수기의 스티치루우프의 길이를 조절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르는 그 구체적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명백하게 이해된다.
제1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단면의 횡과 U자 형상(recumber U-shaped configusation,
Figure kpo00001
字形狀)의 지지브라켓(support bracket)1이 머리(head)H의 전단에 구성되고 상하부편 1a 와 1b를 갖고 있다.
니들바(needle bar) 2가 상하부편 1a 와 1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그 니들바의 상부단부에는 상하부플랜지가 있는 연결부(engaging portion) 2a를 갖고 있다.
바늘 3은 니들바 2의 하부단에 동심으로 고정되어 있고, 베벨기어 4는 그 니들바의 중간부에 꼭끼어 있다. 자수된 직물이 직물공급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공급될 때 구동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은 베벨기어 4를 통하여 니들바 2에 전달되어 자수된 직물의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된다.
호울더(holder) 6은 그 니들바 2의 상부단부 뒤에 설치되고 상승부재 5는 호울더 6의 전단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다.
이 상승부재 5에는 기체(base)5a, 기체 5a의 우측 상부단에서 측면으로 구성된 제1연결편 5b와 니들바 2의 연결부 2a와 단단히 죄어지게 결합되도록하여 돌출된 포오크형 조임부(nipping portion)5c가 있다. 주캠 8은 호울더 6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고 핀 7은 주캠 8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게 돌출된 기체 5a의 후면단에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로 자수기의 주샤프트(main shaft)9의 정상회전은 핀 7에 의해 상승부재 5의 수직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으로 주캠 8을 구동한다.
그리고 니들바 2는 상승부재 5에 의해 수직운동을 한다. 니플바 10은 우측(제1도 참조)의 니들바 2에 평행하게 지지브라켓 1의 상하부편 1a와 1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고 제2연결편(engaging piece) 11은 니플바 10의 상부단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13은 주샤프트 9의 전면단에 고정된 전면캠 12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작동할 수 있는 회전레버이다.
접촉핀 14는 니플바 10의 중간부분에서 횡방향에서 후방향으로 구성되고 니들바 2와 동시에 수직으로 니플바 10을 이동하도록하여 회전레버 13을 압압한다. 포오크형 연결부 15가 있는 니플호울더 16은 니플바 10의 하부단에 고정되어 있다.
니플 17은 니들바 2의 하부부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수직으로 활돌할 수 있게(slidably) 꼭끼어 있고, 또 지지브라켓 1의 하부편 1b에 의해 주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다.
니플 17은 거의 원통형상으로 되어있고 니플호울더16의 연결부 15와 꼭끼어 계합하도록한 연결부 17a를 그 니플의 상부단에 가지며 그 니플호울더 16가 니플 17과 니플바 10을 서로 연결시켜 니플 17이 니플바 10과 같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다.
니들바 2가 내려올 경우 바늘 3은 니플 17의 하부단 아래에서 직물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니플 17이 동시에 낮아져 그 바늘설정위치를 포위하면서 공급판 18의 직물을 압압한다.
그 공급판 18이 그 직물의하부면과 접촉한 상배에서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니들바 2가 상방향으로 돌아갈때 바늘설정위치 언저리의 직물을 공급하도록 공급기구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압압바(pressing bar) 19는 평행한 니들바 2의 좌측(제1도 참조)에서 지지브라켓 1의 상부편 1a와 1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고, 제3연결편 20은 압압바 19의 상부단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21은 전면캠 12A의 후면에서 평행하게 구성된 후면캠 12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움직일수 있는 회전레버이다.
접촉핀 22는 압압바 19의 중간부분에서 횡방향의 후방향으로 구성되어 바늘 3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로 압압바 19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그 접촉핀 22의 위아래에는 각각 횡방향의 전방향으로 구성된 상하부 지지편 23A와 23B가 형성되어있다. 만능조인트(universal Joint) 24가 상부지지편 23A에 작동할 수 있게 꼭끼어 있고 또 그 지지편 23B에 대해서 경사지게 하부지지편 23B 에 의해 느슨하게 수납된다.
탄성부재 25가 만능조인트 24의 최하부단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하고 또 그 탄성으로 구심력에 의해 회복된다.
환상누름쇄(annular presser foot) 26은 연결바 26a에 의해 탄성부재 25의 최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그 누름쇄 26의 중심이 바늘 3의 회전축 J 상에 있도록 공급판 18의 상부면과 대향지게 위치되어 있다.
그 누름쇄 26이 압압바 19와 연결된 상태에서 만능조인트 24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때 그 누름쇄 26은 그 공급판 18의 바늘설정위치의 언저리직물을 압압하며, 또 그 공급판 18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공급판 18은 그 바늘설정위치의 언저리직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공급판 18의 이동에 따라 변위된다.
누름쇄 26이 압압바 19와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누름쇄 26은 그 직물을 압압에서 풀어놓고 자동적으로 구심력에 의해 회전축 J로 회복된다.
한편, 바늘 3, 니플 17 및 누름쇄 26의 대기기구를 제5도 및 제6도에 따라 설명한다.
샤프트 28은 헤드 H의 상부단부 주위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바늘대기레버 27은 그 샤프트 2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그 바늘대기레버 27은 상승부재 5가 최하위치에 있을때 그 바늘대기레버 27의 전면단 27a 에 구성된 핀 29가 상승부재 5의 제1연결편 5b의 하부면을 압압하도록 하여 상승부재 5와 접촉한다.
바늘대기레버 27의 최후단(rearmost end) 27b가 지지암 36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회전시키는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일시에 180도 회전을 제어한 구동샤프트 30에 꼭끼어 있는 제1대기캠 31과 접촉되어 있다.
그 레버 27의 최후단 27b이 제1대기캠 31의 회전에 의해 압압될때 상승부재 5가 그 레버 27의 전면단 27a에 의해 상방향으로 압압되고 니들바 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승위치로 유지되며 바늘 3은 정상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후퇴한다.
제1대기캠 31이 또 180도 회전될때 그 레버 27의 최후단 27b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전면단 27a가 아래로 내려갈때 상승부재 5가 정상위치로 내려간다.
그 결과 니들바 2가 내려가 그 다음의 재봉동작을 위해 정상위치로 그 바늘 3을 복귀시킨다.
니플대기레버 32는 바늘대기레버 27에 평행하게 샤프트 28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다.
그 니플대기레버 32는 니플바 10이 최하위치에 있을때 그 니플바 10의 상부단부에 고정된 제2연결편 11의 핀 11a에 니플대기레버 32의 전면단 32a가 압압되게 하여 니플바 10와 접촉한다.
그 레버 32의 최후단 32b가 제1대기캠 31의 우측에 있는 구동샤프트 30에 꼭끼어 있는 제2대기캠 33과 접촉되어 있다.
니플대기레버 32의 최후단 32b가 제2대기캠 33의 회전에 의해 압압될때 니플바 10은 전면단 32a에 의해 상방향으로 압압되어 상승위치에서 지지되며, 그 니플 17이 정상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후퇴한다.
제2대기캠 33이 또 180도 회전될때 그 레버 32의 최후단 32b이 상방향으로 이동고 또 그 전면단 32a가 아래로 내려갈때 니플바 10은 내려가 그 다음 재봉동작을 위해 정상위치로 그 니플 17을 복귀시킨다.
누름쇄 대기레버 34가 사프트 28에 의해 바늘대기레버 27와 니플대기레버 32와 평행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그 누름쇄 대기레버 34는 압압바 19가 최하위치에 있을때 그 압압바 19의 상부단부에 고정된 제3연결편 20의 핀20a을 그 레버 34의 전면단 34a이 압압하도록하여 그 압압바 19와 접촉한다.
그 최후단 34b는 제1대기캠 31의 좌측에서 구동샤프트 30에 꼭끼어 있는 제3대기캠 35와 접촉되어 있다.
그 레버 34의 최후단 34b이 제3대기캠 35의 회전에 의해 압압될때 압압바 19가 전면단 34a에 의해 상방향으로 압압되어 상승위치에서 지지되고 또 누름쇄 26은 정상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후퇴한다.
제3대기캠 35가 또 180도 회전될때 그 레버 34의 최후단 34b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전면단 34a가 아래로 내려갈때 그 압압바 19가 내려가 그 다음의 재봉작동을 위하여 정상위치로 그 누름쇄 26을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제1, 제2 및 제3대기캠 31, 33 및 35가 회전을 제어시켜 바늘대기레버 27, 니플대기레버 32 및 누름쇄대기레버 34를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그 바늘 3, 니플 17 및 누름쇄 26은 정상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후퇴되어 상승위치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배열로하여 재봉동작을 정시시킬 때 바늘 3, 니플 17 및 누름쇄 26은 바늘설정위치의 주위에 있는 직물의 상부표면에서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재봉조건과 그 대기조건을 각각 용이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자수를 내외의 직물을 고정시키는 등 자수재봉에 수반되는 조작효율을 크게 개량시키고 스티치를 검사하며 정확하지 않은 스티치를 고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7도 내지 제10도에 따라 설명한다.
동일부분은 A를 붙인 동일부호를 나타낸다.
3개의 지지암 36A가 제7도에서와 같이 머리 H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들의 지지암 36A 각각에는 그 전면단에 지지핀 38이 있다.
그리고 바늘대기레버 27A, 니플대기레버 32A 및 누름쇄 대기레버 34A 각각은 지지핀 38에 의해 3개의 원형 조절캠 37은 회전할 수 있게 샤프트 39에 장치되고 그 샤프트 39는 일반적으로 지지암 36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캠 37 각각에는 지지핀 38 각각이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요홈(groove)이 있다.
제8도, 제9도 및 제10도에서와 같이 그 대기레버 27A, 32A 및 34A 각각을 구동샤프트 30A에 각각 모두 꼭끼어 있는 제1대기캠 31A, 제2대기캠 33A 및 제3대기캠 35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작동한다.
각 대기레버 27A, 32A 및 34A의 회전운동으로 니들바에 연결된 제1연결편 56A, 니플바에 연결된 제2연결편 11A 및 압압바에 연결된 제3연결편 20A가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그 대기레버 27A, 32A 및 34A가 회전하는 지점(fulcar, 支點)S가 조절캠 37의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조절될때 그 대기레버 2A, 32A 및 34A의 전면단의 수직운동이나 니들바, 니플바 및 압압바와의 접촉위치의 수준(level)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한다.
제2실시예의 작동은 제1실시예의 작동과 거의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 내지 제14도는 니들바를 상승시키는 변형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부호 51은 머리 H의 전면단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이다.
바늘 53이 니들바 52의 최하단에 고정되고 연동편(interlocking piece) 54가 니들바 52의 상부단에 부착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구성된 샤프트 55가 머리 H의 상부부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고, 또 상부연동기어 56이 그 샤프트 55에 꼭끼어 있다. 편심원통형상을 한 편심칼라(eccentric collar)57이 그 샤프트 55상에서 꼭끼어있고 그 중심 O1이 그 샤프트 55의 축O2에서 변위된다.
회전레버 58은 편심칼라 57에 의해 그 샤프트 55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회전레버 58은 편심칼라 57을 서서히 수납하여 그 편심칼라 57의 중심 O1주위를 회전시킨다. 그 회전레버 58은 전면암 58a, 상부암 58b 및 하부암 58c를 구성한 세갈래부재(three-pronged member)이다.
전면암 58a은 그 전면암 58a의 전면단에 구성된 쇄정핀(lock pin)59에 의해 니들바 52의 연동편 54와 접촉되어 있다.
이와같은 접촉에 의해 니들바 52가 회전레버 58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직운동을 한다.
부호 61은 머리 H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샤프트 55상에서 횡방향으로 구성된 구동샤프트이다. 구동샤프트 61은 자수기의 주샤프트(도시생략)의 정상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구동된다.
주캠 60은 회전레버 58의 상부암 58b에 대향하여 구동샤프트 61에 꼭끼어있고, 그 상부암 58b의 측면에는 그 상부암 58b의 정상회전운동을 주도록 그 상부암 58b의 최상단에서 돌출되어있는 안내핀 62를 수납하도록 편심방향으로 구성된 환상캠요홈 63이 있다. 이 캠요홈 63은 틈새요홈(Clearance groove)64와 연통되어 있고, 이 요홈 64는 니들바 52의 상부시점(top dead point)에 해당하는 최상편심부(most eccentric portion)63a에 구성되며 또 안내핀 62가 최상편심부 63a에 안내될때 안내핀 62가 캠요홈 63에 의해 주캠 60에서 이탈되도록 외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안내핀 62가 틈새요홈 64에서 외방향으로 후퇴될때 회전레버 58이 이탈되어 주캠 60에서 벗어난다. 부호 65는 머리 H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그 샤프트 55아래에서 횡방향으로 구성된 연동샤프트 65이다.
이 연동샤프트 65는 펄스모터(pulse motor)등 제어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며, 이 모터는 니들바 52가 그 상부사점까지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구동된다.
하부연동기어 66은 상부연동기어 56과 맞물리도록 하여 연동샤프트 65에 꼭 끼어있어 샤프트 55를 회전시킨다.
보조캠 67은 회전레버 58의 하부암 58c와 대향하여 하부연동기어 66과 같이 회전할수 있는 연동샤프트 65에 꼭끼워져 있다.
이 보조캠 67에는 볼록부(convex portion)67a와 틈새부 67b가 있다.
캠요홈 63의 최상편심부 63a가 상부심58b의 안내핀 62와 대향될때까지 주캠 60이 회전될때 제어모터의 회전으로 볼록부 67a에 의해 하부암 58c를 시계방향으로 밀어내어 틈새요홈 64를 통해 주캠 60에서 외방향으로 안내핀 62를 후퇴시켜 그결과 회전레버 58을 주캠 60과의 접촉에서 이탈된다.
이와같이 회전레버 58의 상부사점이 변위됨으로써 정상적인 수직운동중에 그 상부사점에서 상방향으로 나들바 52를 회퇴시킨다.
틈새부 67b는 회전레버 58이 정상적인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그 하부암 58c의 회전운동으로 보조캠 67에서 회전레버 58을 이탈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레버 58은 주캠 60 또는 보조캠 67을 교대로 압압하여 연동되도록 한다.
보조캠 67이 제어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볼록부 67a에 의해 하부암 58c를 밀어낼때 상부암 58b은 주캠 60에서 벗어나고 다음에 니들바 52을 상방향으로 후퇴시킨다.
또 틈새부분 67b가 하부암 58c와 대향되어 있을때 보조캠 67과 같이 회전되는 하부연동기어 66의 회전은 상부연동기어 56를 통하여 샤프트 55에 전달된다.
이 샤프트 55는 이때 회전되고 동시에 회전레버 58의 회전중심 O1이 편심칼라 57의 회전에 의해 변위된다(제14도 참조).
그결과 니들바 52의 상부사점과 저부사점을 수직운동을 한다.
이와같이 니들바 52의 상부사점이 단순한 운동을 함으로 니들 53의 수직운동에 의해 형성된 스티치(stitch)의 루우프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니들 53과 대향되어, 아래에 배치된 루우퍼(looper) 등 하부 재봉기구에 대한 공간(space)의 변경을 언제나 할 수 있다. 그 직물이 자수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공급될때 그 바늘 53의 수직운동에 의해 정해진 루우프길이와 직물의 이동을 조절하고, 또 그 직물의 수평방향공급과 니들바 52의 상부사점의 변위는 그 스티치를 형성할때 그 실에 가한 적당하지 못한 장력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시에 처리되어 그결과 규측적이며 정확한 자수를 효과있게 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을 위에 설명한 몇가지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머리(head);그 머리의 전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치되고, 직물에 자수코(embroidery stitche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 머리에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바늘을 가진 니들바(needle bar);그 머리의 전단부에서 그 니들바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그 바늘이 직물을 통과 하는 바늘설정위치에서 그 직물을 압압하도록 그 니들바를 낮출때 동시에 낮아지도록 하고, 그 니플내에 니들바를 활동할 수 있게 수납되는 니플(nipple); 및 그 머리의 전단부에서 니들바와 니플에 평행하게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바늘이 상승될 때 직물을 수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수평변위를 시키며 동시에 바늘설정위치 언저리직물을 압압하도록한 누름쇄(presser foot);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대기위치에 각각 이르도록 니들바, 니플 및 누름쇄를 상방향으로 후퇴시키며 그 머리의 상부부분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인양장치(lifting means)를 가진 대기장치(Waiting means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2. 제1항에 있어서.인양장치는 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니들바를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니들대기레버,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니들대기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제1대기캠, 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니플을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니플대기레버,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며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니플대기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제2대기캠,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누름쇄를 상승시키는 리머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누름쇄 대기레버 및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누름쇄대기레버와 연결되어있는 제3대기캠을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자수기의 대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니들바를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니들대기레버,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니들대기레버의 저점과 연결되어 회전시에 니들의 상부사점에서 상방향운동을 조절하도록 니들대기레버의 지점을 수직으로 변위시키는 제1조절캠.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니플을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수 있게 연결된 니플대기레버,머리에 회전할수 있게 연결되고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니플대기레버의 지점과 연결되어 회전시에 니플의 상부사점에서 상방향운동을 조절하도록 니플대기레버의 지점을 수직으로 변위시키는 제2조절캠,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누름쇄를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누름쇄 대기레버 및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누름쇄 대기레버의 지점과 연결되어 회전시에 누름쇄의 상부사점에서 상방향운동을 조절하도록 누름쇄 대기레버의 지점을 수직으로 변위시키는 제3조절캠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대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재봉작동을 정지시킬때 니들바를 상승시키는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변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지점을 가진 회전레버,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니들바를 정상적으로 왕복시키는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주캠, 및 머리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회전레버를 작동시키는 자수기의 회전구동원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보호캠, 단독으로 연동되는 주캠 또는 보조캠을 교대로 연결되게한 회전레버를 구성함으로써 회전레버의 지점이 변위될 때 스티치루우프(stitch loo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정상적인 수직운동중에 니들바의 상부사점이 상하로 변동됨을 특징으로 한 자수기의 대기 장치.
KR1019830001412A 1982-04-20 1983-04-06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KR86000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738 1982-04-20
JP???57-66738 1982-04-20
JP57066738A JPS58186652A (ja) 1982-04-20 1982-04-20 ミシンにおける待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69A KR840004469A (ko) 1984-10-15
KR860001541B1 true KR860001541B1 (ko) 1986-10-02

Family

ID=1332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412A KR860001541B1 (ko) 1982-04-20 1983-04-06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86652A (ko)
KR (1) KR860001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26Y2 (ko) * 1989-03-28 1992-08-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86652A (ja) 1983-10-31
JPH0152501B2 (ko) 1989-11-09
KR840004469A (ko) 198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1226A (en) Waiting means in an embroidering machine
KR20080082361A (ko) 자수 미싱
US4848253A (en) Embroidery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CN214422841U (zh) 一种分离式平缝机
CN111979654A (zh) 缝纫机中剪线、抬压脚和针距调节的驱动装置
US4967674A (en) Sewing machine for sewing on a tape
KR100831059B1 (ko) 미싱
US4648337A (en) Work edge gui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US6145457A (en) Sewing machine having needle bar oscillating mechanism, needle bar interrupting mechanism and thread tension releasing mechanism
US4459925A (en) Cycle sewing machine
KR860001541B1 (ko)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US4075954A (en) Device for making braid openings in cuts of garments
US5095834A (en) Sewing machine with swingable stitch forming unit
US5802998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for various articles, in particular leather articles
US3040682A (en) Sewing machines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JPH04156882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US4216734A (en) Sewing machine with universal upper feed
US3792673A (en) Sewing machine having automatic pattern sewing device
US4582010A (en) Upper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4559883A (en) Sewing machine for forming a plurality of seams
US4513675A (en) Presser foot automatic lifting device
US4221181A (en) Throat plate for above the bed feed system
US2003461A (en) Sewing machine
US2189657A (en)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