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197B1 -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 Google Patents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197B1
KR102582197B1 KR1020197035319A KR20197035319A KR102582197B1 KR 102582197 B1 KR102582197 B1 KR 102582197B1 KR 1020197035319 A KR1020197035319 A KR 1020197035319A KR 20197035319 A KR20197035319 A KR 20197035319A KR 102582197 B1 KR102582197 B1 KR 10258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rystalline
water
benzo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097A (ko
Inventor
파트릭 되어베흐터
군터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이도르시아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르시아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도르시아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07D249/06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with ar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 (I) 의 특정한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식 (IK) 의 상기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포타슘 염의 특정 결정질 형태, 식 (I) 의 상기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특정 결정질 형태, 및 약품, 예컨대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의 제조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본 발명은 식 (I) 의 특정한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식 (IK) 의 상기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포타슘 염의 특정 결정질 형태, 식 (I) 의 상기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특정 결정질 형태, 및 약품, 특히 특정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예컨대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의 제조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모이어티를 포ㄹ함하는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예를 들어 WO2008/020405; WO2008/038251; WO2008/081399; WO2008/139416, WO2008/150364, WO2011/050200, WO2012/148553, WO2013/068935, WO2013/169610, WO2013/182972, WO2014/057435, WO2104/141065, WO2015/083071, WO2015/083070, WO2015/083094, WO2016/020403, J. Med. Chem. 2010, 53, 5320-5332, Current Topics in Medicinal Chemistry, 2011, 11, 696-725 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조건은, 승온 / 마이크로웨이브 조건 하에 고비등 용매 (DMF) 중 Cs2CO3 및 구리 (I) 요오다이드 (CuI) 의 존재 하에서의 상응하는 2-요오도-벤조산 유도체와 1H-[1,2,3]트리아졸의 커플링 반응을 포함한다. 정제 절차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i) 산성화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레지오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추출, 및 ii) EtOAc 중 슬러리화, 또는 EtOAc 로부터의 결정화, 및/또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 분취용 HPLC 에 의한 잘못된 레지오이성질체의 제거를 사용하며, 따라서 조건이 일반적으로 대규모 산업 제조에 부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WO2015/083071, WO2015/083070 및 WO2015/083094 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분취용 HPLC 를 사용하지 않고, 그러나 불순물로서 6% 의 트리아졸 N1-레지오이성질체를 함유하는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1
이 수득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WO2011/050200 은 100℃ 에서 디옥산 중 Cs2CO3 / CuI / (1R,2R)-N1,N2-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2-브로모-벤조산 유도체: 2-브로모-4-메톡시-벤조산으로부터 시작하는, 레지오이성질체성 화합물 4-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중간체 49) 의 합성을 위한 접근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2
.
정제는 전에 기재된 통상의 조건과 유사하였다. WO2011/050200 은 또한, 상기 기재된 통상의 조건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요오도-벤조산으로부터 제조된 레지오이성질체성 화합물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중간체 61) 및 화합물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중간체 59) 을 개시하고 있다.
WO2013/068935 는 상응하는 요오도-벤조산 유도체로부터 시작하는, 화합물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중간체 E-4) 을 포함하는 여러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합성을 개시하고 있다: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3
.
상기 참고문헌 중 일부에서 개시된 의약 화학 절차에 추가로, 대규모 산업 제조에 부합하는 특정 공정이 공개되었다. 예를 들어 WO2013/169610 및 C.A. Baxter et al.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11, 15, 367-375) 는 수보렉선트 (suvorexant) (MK-4305) 에 관련되는 대규모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 5 는 상응하는 요오다이드 19 로부터 시작하여 제조된다.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4
65℃ 에서 THF/DMF 중 CuI / K2CO3 을 사용하는 최적화된 조건 하에서, 81:19 비의 레지오이성질체 5 / 20 이 형성되었다. Baxter et al. 에서, "5 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이 화합물의 더 낮은 용해도로 인해 다수의 조건 하에서 결정화에 의한 레지오이성질체 20 을 지양하려는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 이를 기초로 하여, 염 형성을 통한 정제가 탐구되었다. 세슘 및 포타슘 염은 유의한 개선을 제공하지 않았으나; 용매 부피를 조정한 THF 중 소듐 염의 형성은 원하지 않는 이성질체가 약 15% 의 원하는 이성질체를 희생하면서 지양되도록 하였다" 는 것이 언급되고 있다.
상세한 정제 절차는 일련의 i) 산성화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레지오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추출, ii) THF 중 소듐 tert.-부톡시드를 사용하는 소듐 염 형성, 결정화 및 여과, iii) 염 파괴 및 결정화, 및 iv) 용융점 174-176℃ (WO2013/169610 에서는 167.5℃) 를 갖는 60% 의 5 를 산출하기 위한 재결정화 (Baxter et al.) 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덜 들고, 따라서 상응하는 요오도-유도체보다 더 쉽게 이용가능한, 각각의 브로모-벤조산 전구체로부터의 식 (I) 의 특정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식 (IK) 의 각각의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의 침전에 의한, 따라서 단축된 방법으로 결정질 및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농축된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을 초래하는, 직접 고체-액체 분리를 사용한다. 결정질 포타슘 염은 신규하고, 염 파괴 후에, 식 (I) 의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신규한 결정질 형태를 초래하는데, 이는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하며, 특정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의 합성에 있어서 귀중한 중간체로서 역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방법은 식 (I) 의 결정질 및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결정질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단계의 수를 감소시키며,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효율적인 대규모 합성이 가능하다.
도 1 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 실시예 1.1 의 화합물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6.7°(100%), 7.4°(24%), 8.7°(10%), 15.4°(43%), 16.4°(16%), 20.2°(10%), 21.7°(10%), 23.3°(18%), 24.4°(9%), 27.0°(87%), 28.1°(15%), 31.4°(85%).
도 2 는 실시예 1.2 로부터 수득한 바와 같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방법 2 로 측정된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5.7°(66%), 11.5°(66%), 16.0°(24%), 16.1°(20%), 16.3°(19%), 17.2°(100%), 18.9°(29%), 19.7°(25%), 21.3°(37%), 23.7°(19%), 25.0°(75%), 27.0°(12%), 27.9°(14%).
도 3 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 실시예 1.3 의 화합물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6.7°(15%), 8.4°(19%), 10.8°(100%), 12.3°(15%), 15.1°(33%), 16.4°(11%), 17.5°(12%), 20.6°(10%), 21.8°(24%), 24.7°(14%), 25.0°(25%), 25.9°(35%), 27.1°(63%), 27.9°(12%), 28.8°(29%). 도 3 은 또한 12.1°(6%), 24.1°(5%), 30.1°(36%), 31.3°(52%), 31.8°(11%), 34.1°(23%) 에서의 KHCO3 불순물에 기인하는 피크를 나타낸다.
도 4 는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 실시예 2.1 의 화합물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5.4°(100%), 8.8°(1%), 10.7°(56%), 12.0°(1%), 16.1°(60%), 21.6°(5%), 23.3°(4%), 24.2°(3%), 27.0°(21%), 32.6°(8%).
도 5 는 실시예 2.2 로부터 수득한 바와 같은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방법 2 로 측정된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6.2°(11%), 11.3°(2%), 12.5°(100%), 13.3°(2%), 15.1°(7%), 17.0°(4%), 17.8°(3%), 18.8°(15%), 22.6°(4%), 25.2°(8%).
도 6 은 결정질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소듐 염, 참조예 3.1 의 화합물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방법 2 로 측정된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6.5°(100%), 7.7°(91%), 11.9°(18%), 12.9°(5%), 13.9°(3%), 15.3°(47%), 17.5°(20%), 18.6°(6%), 19.0°(13%), 19.2°(9%), 20.1°(28%), 21.7°(7%), 23.2°(24%), 23.6°(38%), 24.5°(5%), 25.6°(17%).
도 7 은 결정질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참조예 3.2 의 화합물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방법 2 로 측정된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10.4°(3%), 11.8°(10%), 13.0°(100%), 13.9°(44%), 15.8°(8%), 16.6°(74%), 17.5°(5%), 18.1°(13%), 21.1°(41%), 21.3°(10%), 21.6°(12%), 21.9°(58%), 23.3°(62%), 23.8°(37%), 24.1°(16%), 24.6°(1%), 25.6°(6%), 26.6°(71%), 28.0°(32%), 29.4°(3%), 30.0°(2%), 30.5°(11%).
도 8 은 참조예 1 로부터 수득한 바와 같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방법 2 로 측정된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은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강한 피크와 비교하여, 표시된 굴절각 2세타에서의 하기 백분율의 상대 강도 (상대 피크 강도를 괄호 안에 제시함) 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3-40°2세타 범위로부터의 선택된 피크가 보고됨): 11.4°(28%), 12.3°(44%), 14.6°(21%), 14.7°(10%), 15.5°(15%), 18.7°(11%), 20.8°(14%), 21.3°(76%), 23.1°(10%), 23.6°(100%), 24.8°(16%), 25.6°(16%), 29.9°(11%).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상기-열거된 피크는 상기 도면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의 실험적 결과를 기재한 것이다. 상기 피크 리스트와 달리, 단지 특징적 피크의 선택은 본 발명의 각각의 결정질 형태로의 각각의 화합물 / 화합물 염의 완전하고 분명한 특징화를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X-선 회절 다이어그램에서 굴절각 2세타 (2θ) 는 수평축 상에 플로팅되고, 카운트는 수직축 상에 플로팅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1)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결정질 포타슘 염,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5
[식 중,
R 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 2 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 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 2 는 메틸을 나타냄];
상기 방법은
ㆍ 식 (II) 의 화합물: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6
ㆍ 및 [1,2,3]트리아졸: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7
의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ㆍ 구리 (I) 요오다이드 (CuI);
ㆍ 무기 포타슘 염기 (특히 K2CO3); 및
ㆍ 하기와 같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특히 THF, 2-메틸-THF,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또는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특히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MP);
또는 이의 임의의 혼합물
(상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5 내지 100 vol (특히 약 10 내지 50 vol, 특히 약 20 내지 40 vol) 의 양으로 존재함)
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식 (II) 의 화합물 및 [1,2,3]트리아졸의 상기 커플링은 약 60℃ 초과 (특히 약 60℃ - 120℃, 특히 약 80℃ - 120℃, 특히 약 90℃ - 110℃) 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은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된다.
[1,2,3]트리아졸이 그의 호변이성질체성 형태 1H-[1,2,3]트리아졸 및 2H-[1,2,3]트리아졸로 존재할 수 있으며, 호변이성질체성 형태 둘 모두가 명칭 [1,2,3]트리아졸에 의해 포함된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구현예 1) 에 따른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특히 본질적으로 하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ㆍ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특히 적어도 60℃ 의 비등점을 갖는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예컨대 특히 1,4-디옥산; 또는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Me-THF), 또는 4-메틸 테트라히드로피란 (4-Me-THP); 또는
ㆍ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특히 극성 비양성자성 아미드 함유 용매, 예컨대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딘-2-온 (NMP), 또는 디메틸술폭시드 (DMSO); 또는
ㆍ 하나 초과의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의 혼합물;
ㆍ 또는 하나 이상의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들) 와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 의 혼합물;
상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5 내지 100 vol (특히 약 10 내지 50 vol, 특히 약 20 내지 40 vol) 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1,4-디옥산 (디옥산) 이다.
용어 "에테르 용매" 는 포화 직쇄 또는 분지형 비시클릭 탄화수소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형 비시클릭 탄화수소기로 임의 단일-치환된 포화 시클릭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용매를 지칭하며, 여기서 상기 비시클릭 탄화수소기 또는 상기 시클릭 탄화수소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가 결합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는 부분적으로 수 혼화성인 에테르 용매를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수 혼화성인 에테르 용매는 각각의 에테르 용매에 용해된 물 적어도 1 % wt/wt 와 혼화성인 에테르 용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가 부분적으로 혼화성인 경우, 어떠한 비에서도 물과 완전히 혼화성이 아닌 것으로 이해됨). 바람직한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는 적어도 60℃ 의 비등점을 갖는다. 이러한 에테르 용매의 예는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1,4-디옥산 및 1,2-디메톡시에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혼화성인 에테르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Me-THF) 및 4-메틸 테트라히드로피란 (4-Me-THP) 이다.
용어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는 특히 극성 비양성자성 아미드 함유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피롤리딘-2-온 (NMP) 을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들) 와 하나 이상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 의 혼합물" 의 예는, 예를 들어 약 4:1 내지 10:1 의 v/v 비, 특히 약 5:1 의 v/v 비로의 THF 및 DMF 의 혼합물이다. 모든 용매는 추가적인 건조 절차 없이 구입된 바대로 사용될 수 있다.
구현예 1) 의 방법의 커플링 반응이, 각각의 용매에 추가로, 특정량의 물, 예를 들어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0.05 내지 2 vol (특히 약 0.1 내지 1 vol) 의 물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각의 용매가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인 경우,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대 물의 비 (v/v) 는 약 10:1 (v/v) 초과, 특히 약 20:1 내지 100:1 (v/v), 특히 약 30:1 내지 80:1 (v/v) 이다.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이러한 추가적인 물은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이,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상기 구현예 1) 의 방법은 무기 포타슘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예는 특히 K2CO3, 뿐만 아니라 K3PO4 및 KHCO3 이다.
상기 구현예 1) 의 방법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예는 8-히드록시퀴놀린, N1,N2-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및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이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특히 극성 비양성자성 아미드 함유 용매, 예컨대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또는 이러한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구현예 1) 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리간드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상기 구현예 1) 의 방법은 단리 전 반응 혼합물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농축된 형태로의 식 (I) 의 화합물의 형성을 초래한다 (특히 레지오이성질체 비가 70:30 초과임). 구현예 1) 에 따른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단리는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더 농축된 형태로의 결정질 포타슘 염을 초래하며,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의 결정질 포타슘 염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레지오이성질체 비가 약 80:20 초과임 (특히 약 85:15 초과, 특히 약 90:10 초과)).
2) 따라서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고체-액체 분리로부터 수득된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레지오이성질체 비; 즉, [식 (IK) 의 화합물] : [식 (IR-K) 의 화합물] 의 비: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8
는 약 80:20 초과 (특히 약 85:15 초과, 특히 약 90:10 초과) 이다.
3)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또는 2)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Cu (I) 요오다이드 (CuI) 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Cu (I) 요오다이드는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0.01 eq. 내지 0.5 eq. (특히 약 0.01 eq. 내지 0.1 eq.; 특히 약 0.05 eq.) 의 양으로 존재한다.
4)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무기 포타슘 염기는 K2CO3 이고; K2CO3 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1 eq. 내지 10 eq. (특히 약 1.5 eq. 내지 5 eq.; 특히 약 2 eq. 내지 2.5 eq.) 의 양으로 존재한다.
5)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1H-1,2,3-트리아졸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1 eq. 내지 10 eq. (특히 약 1.5 eq. 내지 5 eq.; 특히 약 2 eq.) 의 양으로 존재한다.
6)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8-히드록시퀴놀린, N1,N2-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및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에서 선택되는 리간드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상기 리간드는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0.01 eq. 내지 0.5 eq. (특히 약 0.05 eq. 내지 0.2 eq.; 특히 약 0.1 eq.) 의 양으로 존재한다.
7)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리간드의 부재 하에 실시된다.
8)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존재 하에 실시된다: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특히 디옥산) 인 용매 (; 상기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는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5 내지 100 vol (특히 약 10 내지 50 vol, 특히 약 20 내지 40 vol) 의 양으로 존재함); 및
특히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약 0.05 내지 2 vol (특히 약 0.1 내지 1 vol) 의 양의 물;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대 물의 비는 약 10:1 (v/v) 초과; 특히 약 10:1 내지 200:1 (v/v); 특히 약 20:1 내지 100:1 (v/v); 특히 약 30:1 내지 80:1 (v/v) 임.
9)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8)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단리 전에, 반응 혼합물에서의 물의 양이 감소되고; 특히 반응 혼합물의 총 부피는 본래 부피의 약 50% 내지 80% (특히 약 80% 내지 90%) 의 부피로 감소된다 (예를 들어 감압 하 증발에 의해, 또는 대기압에서의 증류에 의해).
10)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9)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단리 전에, 그리고 구현예 9) 의 단계 후에, 추가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가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특히 반응 혼합물의 증발된 부피는 상기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의 대략 동일한 부피에 의해 대체됨).
11)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단리 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약 50℃ 미만, 특히 약 20℃ 내지 40℃ 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12)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1)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반응 혼합물의 냉각은 약 2 시간 이하 내, 특히 약 1 시간 이하 내에 달성된다.
구현예 1) 의 방법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반면, 구현예 1) 내지 12) 의 방법은, 유사하게, 그리고 무기 포타슘 염기를 대체하여 무기 소듐 염기 (특히 Na2CO3) 를 사용함으로써, 결정질 및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소듐 염의 제조에 또한 이용가능하다.
13)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식 (IK)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123079680-pct00009
식 중에서, R 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 2 는 수소를 나타내고 (즉, 이러한 식 (IK) 의 화합물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임); 하기를 특징으로 함:
a)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6.7°, 7.4°, 15.4°, 23.3°, 27.0°; 또는
b)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10.8°, 15.1°, 25.0°, 25.9°, 27.1°
또는, 식 중에서, R 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 2 는 메틸을 나타내고 (즉, 이러한 식 (IK) 의 화합물은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임); 하기를 특징으로 함: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5.4°, 10.7°, 16.1°, 21.6°, 27.0°.
구현예 13) 에 따른 결정질 형태가 각각의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결정질 포타슘 염, 즉 각각의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상기 결정질 형태는 비-배위 및/또는 배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배위 용매는 결정질 용매화물에 대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비-배위 용매는 본원에서 물리흡착된 또는 물리적으로 포착된 용매에 대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Polymorphism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Ed. R. Hilfiker, VCH, 2006), Chapter 8: U.J. Griesser: The Importance of Solvates 에 따른 정의). 구현예 13) 에 따른 결정질 형태는 특히 배위 수 (coordinated water) 를 포함하지 않으나, 비-배위 수를 포함할 수 있다.
14)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13)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6.7°, 7.4°, 8.7°, 15.4°, 16.4°, 20.2°, 23.3°, 24.4°, 27.0°, 28.1°; 또는
b.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8.4°, 10.8°, 12.3°, 15.1°, 17.5°, 25.0°, 25.9°, 27.1°, 27.9°, 28.8°.
15)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13)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관한 것이며: 10.8°, 15.1°, 25.0°, 25.9°, 27.1° (특히 8.4°, 10.8°, 12.3°, 15.1°, 17.5°, 25.0°, 25.9°, 27.1°, 27.9°, 28.8°); 이는 약 280℃ 의 용융점을 갖고, 용융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발열 분해에 수반된다.
16)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13) 에 따른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관한 것이다: 5.4°, 8.8°, 10.7°, 12.0°, 16.1°, 21.6°, 23.3°, 24.2°, 27.0°, 32.6°.
17)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16) 에 따른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관한 것이며: 5.4°, 10.7°, 16.1°, 21.6°, 27.0° (특히 5.4°, 8.8°, 10.7°, 12.0°, 16.1°, 21.6°, 23.3°, 24.2°, 27.0°, 32.6°); 이는 약 277℃ 의 용융점을 갖고, 용융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발열 분해에 수반된다.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소듐 염의 결정질 형태가 추가로 개시된다: 6.5°, 7.7°, 11.9°, 15.3°, 17.5°, 19.0°, 20.1°, 21.7°, 23.6°, 25.6°.
18)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 (IK) 의 단리된 결정질 화합물: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0
[식 중,
R 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 2 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 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 2 는 메틸을 나타냄];
은 각각의 결정질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 식 (I) 의 화합물로 추가 변형되고: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1
[식 (I) 의 화합물에 대해서, R 1 R 2 는 식 (IK) 의 화합물에 대해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다는 것이 이해됨],
상기 방법은 산성 수성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19)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 특히 상기 식 (IK) 의 단리된 결정질 화합물을 수성 매질에 용해시켜, 식 (I)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여기서, 이러한 수성 매질은 물, 또는 염기성 수성 매질 (예컨대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카르보네이트 또는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의 수용액) 일 수 있음이 이해됨];
(ii) 상기 식 (I)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을 산성화시켜, 상기 식 (I) 의 화합물을 결정화시키는 단계; 및
(iii)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상기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을 단리하는 단계.
따라서, 상기 구현예 18) 및 19) 의 방법은 수성 매질 중 염의 파괴를 수반하고,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화를 포함한다 (특히 레지오이성질체 비가 98:2 초과임, 특히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형태임).
20) 따라서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또는 19)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식 (I) 의 단리된 결정질 화합물의 레지오이성질체 비; 즉 [식 (I) 의 화합물] : [식 (IR) 의 화합물] 의 비: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2
는 적어도 약 98:2 이고; 특히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은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수득된다.
21)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는 약 30℃ 내지 6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5℃ 의 온도; 특히 약 40℃ 내지 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22)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은 고체-액체 분리 [구현예 19) 의 단계 (iii) 에 상응함] 에 의해 단리되고; 상기 고체-액체 분리는 약 10℃ 내지 5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5℃ 의 온도, 특히 약 30℃ 내지 4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23)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전에, 상기 식 (I) 의 화합물의 수용액 [예를 들어 구현예 19) 의 단계 (i) 에 따라 수성 매질 중 상기 식 (IK) 의 화합물을 용해하여 수득됨] 은 하기를 거친다:
a) 여과 단계 (예를 들어 표준 여과 기법을 사용하거나; 표준 여과 기법, 및 추가로 활성탄을 통한 여과를 사용); 및/또는
b) 식 (I) 의 화합물을 먼저 유기 비-수-혼화성 용매에 추출한 후; 상기 유기 비-수-혼화성 용매로부터 염기성 수용액에 추출하고, 이후 상기 염기성 수용액을 구현예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에 사용하는, 일련의 적어도 둘의 액체-액체 분리를 포함하는 세척 단계.
구현예 23) 의 변형 b) 에 따른 일련의 액체-액체 분리를 포함하는 이러한 세척 단계는 예를 들어 하기 단계를 지칭한다:
(b1) 예를 들어 구현예 19) 의 단계 (i) 에 따라 수득된, 식 (I)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의 산성화; 및 식 (I) 의 화합물의 유기 비-수-혼화성 용매 (예컨대 특히 tert.-부틸-메틸 에테르 (TBME)) 로의 추출;
(b2) 단계 (b1) 에서 수득한 유기상의, 산성 수용액 (예컨대 무기산 수용액, 특히 황산 수용액 또는 염산 수용액) 으로의 선택적 세척; 및
(b3) 단계 (b1) 또는 (b2) 에서 수득된 유기상으로부터의 식 (I) 의 화합물의 염기성 수성 매질 (예컨대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또는 카르보네이트 용액, 특히 소듐 히드록시드 또는 포타슘 히드록시드 수용액) 로의 추출; 이후, 상기 염기성 수용액은 구현예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에 사용됨.
24)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에서, 무기산 수용액은 상기 염기성 수용액을 산성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무기산 수용액은 특히 수성 황산 (특히 약 10% 내지 30% 수성 황산; 특히 약 20% 수성 황산); 또는 수성 염산 (특히 약 10% 내지 32% 수성 염산; 특히 약 32% 수성 염산) 임].
25)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에서, 상기 산성 수용액은 약 4 미만, 특히 약 3 미만, 특히 약 1 내지 3 의 pH 를 갖는다.
26) 또 다른 구현예는 구현예 18)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결정화 단계 [구현예 19) 의 단계 (ii) 에 상응함] 동안, 시딩 결정 (seeding crystal) 이 수성 혼합물에 첨가되고; 상기 시딩 결정이 첨가될 때, 상기 혼합물의 pH 는 약 6 이하, 특히 약 4 내지 3 이다.
구현예 18) 의 방법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반면, 구현예 18) 내지 26) 의 방법은, 유사하게, 그리고 식 (IK) 의 화합물보다는 결정질 및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소듐 염으로부터 시작하여, 결정질 및 레지오이성질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순수한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제조에 또한 이용가능하다.
27)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3
식 중에서, R 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 2 는 수소를 나타내고 (즉, 이러한 식 (I) 의 화합물은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임);
a)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함: 5.7°, 11.5°, 17.2°, 21.3°, 25.0°; 또는
b)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함: 11.4°, 12.3°, 15.5°, 21.3°, 23.6°;
또는, 식 중에서, R 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 2 는 메틸을 나타내고 (즉, 이러한 식 (I) 의 화합물은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임);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함: 6.2°, 12.5°, 15.1°, 18.8°, 25.2°.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형태가 각각의 결정질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 즉 각각의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상기 결정질 형태는 비-배위 및/또는 배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배위 용매는 결정질 용매화물에 대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비-배위 용매는 본원에서 물리흡착된 또는 물리적으로 포착된 용매에 대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Polymorphism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Ed. R. Hilfiker, VCH, 2006), Chapter 8: U.J. Griesser: The Importance of Solvates 에 따른 정의).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형태는 특히 배위 수를 포함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배위 수를 포함할 수 있다.
28)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다: 5.7°, 11.5°, 16.0°, 17.2°, 18.9°, 19.7°, 21.3°, 23.7°, 25.0°, 27.9°.
29)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며: 5.7°, 11.5°, 17.2°, 21.3°, 25.0° (특히 5.7°, 11.5°, 16.0°, 17.2°, 18.9°, 19.7°, 21.3°, 23.7°, 25.0°, 27.9°); 이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약 80℃ 의 용융점을 갖는다.
30)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다: 11.4°, 12.3°, 14.6°, 15.5°, 21.3°, 23.1°, 23.6°, 24.8°, 25.6°, 29.9°.
31)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며: 5.7°, 11.5°, 17.2°, 21.3°, 25.0° (특히 11.4°, 12.3°, 14.6°, 15.5°, 21.3°, 23.1°, 23.6°, 24.8°, 25.6°, 29.9°); 이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약 130-131℃ 의 용융점을 갖는다.
32)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다: 6.2°, 11.3°, 12.5°, 13.3°, 15.1°, 17.0°, 17.8°, 18.8°, 22.6°, 25.2°.
33) 또 다른 구현예는,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 27) 에 따른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관한 것이며: 6.2°, 12.5°, 15.1°, 18.8°, 25.2° (특히 6.2°, 11.3°, 12.5°, 13.3°, 15.1°, 17.0°, 17.8°, 18.8°, 22.6°, 25.2°); 이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약 125℃ 의 용융점을 갖는다.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결정질 형태가 추가로 개시된다: 11.8°, 13.0°, 13.9°, 16.6°, 21.1°, 21.9°, 23.3°, 23.8°, 26.6°, 28.0°. 상기 결정질 형태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약 173℃ 의 용융점을 갖는다.
34)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구현예 18)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이러한 특정한 경우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특히 구현예 28) 또는 29)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인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은; 화합물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추가 변형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서의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특히 구현예 28) 또는 29) 에 따른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현예 34) 에 따른 이러한 변형은 특히,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는 WO2013/182972, WO2015/083071, WO2015/083070 및 WO2015/083094 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상기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은 (예를 들어 표준 아미드 커플링 조건 하에) (S)-5-클로로-4-메틸-2-(2-메틸피롤리딘-2-일)-1H-벤조[d]이미다졸과 커플링되어,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인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이 산출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다단계 변형은 표준 아미드 커플링 조건 하에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산과 메틸 (S)-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커플링시켜 메틸 (S)-1-(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일)-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실험 부분에서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S)-(2-(5-클로로-4-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2-메틸피롤리딘-1-일)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페닐)메타논 또는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로 추가 변형된다 (상기 추가 변형은 일련의 가수분해, 카르복실산과 4-클로로-3-메틸벤젠-1,2-디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커플링 및 고리화를 포함함).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벤즈이미다졸 모이어티의 치환기는 다리목 원자에 오르토인 위치(들) 에 부착 (즉, 위치(들) 4 및/또는 7 에 부착) 될 수 있고/있거나 다리목 원자에 메타인 위치(들) 에 부착 (즉, 위치(들) 5 및/또는 6 에 부착) 될 수 있다. 2 개의 오르토, 및 각각의 2 개의 메타 위치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기 5-클로로-4-메틸-1H-벤조이미다졸-2-일은 6-클로로-7-메틸-3H-벤조이미다졸-2-일과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그의 호변이성질체 형태 5-클로로-4-메틸-3H-벤조이미다졸-2-일 / 6-클로로-7-메틸-1H-벤조이미다졸-2-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35)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구현예 18)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이러한 특정한 경우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특히 구현예 32) 또는 33) 에 따른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인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은; 화합물 (4-메틸-2-[1,2,3]트리아졸-2-일-페닐)-[(R)-3-(3-[1,2,3]트리아졸-2-일-벤질)-모르폴린-4-일]-메타논으로 추가 변형된다.
구현예 35) 에 따른 이러한 다단계 변형은 특히,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는 WO2013/068935 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상기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은 (예를 들어 표준 아미드 커플링 조건 하에) (R)-3-(3-(2H-[1,2,3]트리아졸-2-일)벤질)모르폴린 (WO2013/068935 의 중간체 A15) 과 커플링되어,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인 (4-메틸-2-[1,2,3]트리아졸-2-일-페닐)-[(R)-3-(3-[1,2,3]트리아졸-2-일-벤질)-모르폴린-4-일]-메타논이 산출된다.
화합물, 염, 약학 조성물, 질환 등에 대해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단일 화합물, 염 등을 또한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상기 구현예 중 하나가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 를 나타낼 때마다, 상기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이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2θ 값의 정확도가 +/- 0.1-0.2° 범위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 구현예 및 청구범위에서 피크에 대해 굴절각 2세타 (2θ) 를 명시할 때, 주어진 2θ 값은 상기 값 - 0.2° 내지 상기 값 + 0.2° (2θ +/- 0.2°); 바람직하게는 상기 값 - 0.1° 내지 상기 값 + 0.1° (2θ +/- 0.1°) 의 간격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제공된 정의는 식 (I) 및 (IK) 의 화합물, 및 구현예 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균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하여, 다르게는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정의는 더 넓거나 더 좁은 정의를 제공한다. 용어의 정의 또는 바람직한 정의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또는 모든 다른 용어의 임의의 정의 또는 바람직한 정의와 관계없이 (그리고 이와 조합으로) 각각의 용어를 규정하고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용어 "고체-액체 분리" 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통상적인 고체-액체 분리 기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7th edition, Perry, R.H.; Green, D. W. McGraw-Hill 1997 참조). 특히, 용어는 여과, 원심분리 및 중력 침강과 같은 기법; 특히 여과를 포함한다.
용어 "액체-액체 추출" 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통상적인 액체-액체 추출 또는 세척 기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7th edition, Perry, R.H.; Green, D. W. McGraw-Hill 1997 참조). 특히, 용어는 세틀러 (settler), 사이클론, 원심분리기, 믹서-세틀러, 모든 종류의 연속 접촉 장비를 사용하는 세척 또는 추출 기법; 증류: 뱃치 및 연속 증류; 및 초임계 유체 분리 기법을 포함한다.
온도에 관해 사용되지 않는 한, 수치 "X" 앞에 위치한 용어 "약" 은 본 출원에서 X - X 의 10% 내지 X + X 의 10% 로 연장되는 간격, 바람직하게는 X - X 의 5% 내지 X + X 의 5% 로 연장되는 간격을 지칭한다 (0% 미만의 값, 각각 100% 초과의 값이 적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잘 이해됨). 용어 '약' 이 범위 앞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간격은 범위의 양 값 모두에 적용될 것이다. 온도의 특정한 경우, 온도 "Y" 앞에 위치한 용어 "약" 은 본 출원에서 온도 Y - 10℃ 내지 Y + 10℃ 로 연장되는 간격;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적어도 30℃ 인 경우 Y - 5℃ 내지 Y + 5℃ 로 연장되는 간격; 또는 온도가 30℃ 미만의 경우, Y - 2℃ 내지 Y + 2℃ 로 연장되는 간격을 지칭한다.
단어 "~사이" 또는 "내지" 가 수치 범위를 기재하는데 사용될 때마다, 표시된 범위의 종말점이 범위에 명백히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온도 범위가 40℃ 와 80℃ 사이 (또는 40℃ 내지 80℃) 인 것으로 기재된다면, 이는 종말점 40℃ 및 80℃ 가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는 변수가 1 과 4 사이 (또는 1 내지 4) 의 정수인 것으로서 정의된다면, 이는 변수가 정수 1, 2, 3 또는 4 라는 것을 의미한다.
표현 % w/w 는 고려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한 중량 백분율을 지칭한다. 명백히 표시되지 않는다면, % 값은 % w/w 로서 이해될 것이다. 비에 관련되는 표현 (wt/wt) 은 고려되는 2 개 성분의 중량에 의한 비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표현 v/v 는 고려되는 2 개 성분의 부피에 의한 비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표현 % a/a 는 바람직하게는 UV 흡수를 측정하는 크로마토그램에서의 곡선 하 면적 (즉, 적분) 에 대한 순도를 지칭한다. 표현 "vol" 은 중량 (예를 들어 반응물의 kg) 당 부피 (예를 들어 용매의 L)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 vol 은 (반응물의) kg 당 10 리터 (의 용매)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레지오이성질체 /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농축된" 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각각의 레지오이성질체 / 거울상이성질체 / 부분입체이성질체가 명백히 명시된 바와 같은 비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 순도); 통상 각각의 다른 레지오이성질체 / 거울상이성질체 / 부분입체이성질체에 관해 적어도 70:30, 특히 적어도 80:20, 및 특히 적어도 90:10 의 비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 순도 70% / 80% / 90%) 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어는 각각의 본질적으로 순수한 레지오이성질체 / 거울상이성질체 /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순수한" 과 같은 용어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본질적으로" 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 조성물 / 화합물 등이 각각의 순수한 레지오이성질체 / 입체이성질체 / 조성물 / 화합물 등의 적어도 90, 특히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중량% 의 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레지오이성질체 /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순수한" 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각각의 다른 레지오이성질체(들) / 거울상이성질체(들) / 부분입체이성질체(들) 가 특히 HPLC / LC-MS 와 같은 통상의 분석 수단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1% 미만 (특히 검출가능하지 않음) 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 % 는 HPLC / LC-MS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a/a % 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됨).
용어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각각의 조성물이, 각각의 구현예에서 명백히 언급된 바와 같은 양의 각각의 조성물의 적어도 90, 특히 적어도 95, 특히 적어도 98,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 의 양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의 의미로) 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 (I) 및 (IK) 의 화합물은 상기 구현예 1) 내지 12), 및 18) 내지 26) 에 주어진, 또는 하기 실험 부분에서 주어진 방법에 의해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가 발명을 더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험 부분
추가 정제 없이, 수령한 대로 시판 출발 물질을 사용하였다. 주어진 모든 온도는 내부 온도이며 ℃ 로 언급된다. 화합물은 1H-NMR (400MHz) 또는 13C-NMR (100MHz) 에 의해 (Bruker; 화학적 이동은 사용한 용매에 대해 ppm 으로 주어짐; 다중도: s = 단일항, d = 이중항, t = 삼중항, p = 오중항, hex = 육중항, hept = 칠중항, m = 다중항, br = 브로드, 커플링 상수는 Hz 로 주어짐); 정량 NMR 에 대한 내부 표준은 1,4-디메톡시벤젠임; 또는 LC-MS 에 특징분석될 수 있고, tR 은 분으로 주어진다.
LC-MS 방법 1: Waters iClass , Thermo MSQ Plus 및 DAD
LC-MS 방법 2: Agilent G1956B , G1312B 및 DAD
X-선 분말 회절 분석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굴절 모드에서 CuKa-방사선으로 작동하는 Lynxeye 검출기 (커플링된 2 개의 세타/세타) 가 장착된 Bruker D8 Advance X-선 회절계에서 수집하였다. 전형적으로, X-선 튜브를 40kV/40mA 에서 실행시켰다. 2θ 에서 3 - 50° 의 주사 범위에 걸쳐 0.02° (2θ) 의 단계 크기 및 76.8 초의 단계 시간을 적용하였다. 발산 (divergence) 슬릿을 고정된 0.3 으로 설정하였다. 0.5 mm 의 깊이를 갖는 실리콘 단일 결정 샘플 홀더에 분말을 약간 압축하고, 측정 동안 샘플을 그의 고유 면에서 회전시켰다.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회절 데이터를 보고한다. 본원에 주어진 바와 같은 2θ 값의 정확도는 +/- 0.1-0.2° 의 범위에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종래 기록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대한 경우와 같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데이터를, 34 개 위치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Mettler Toledo STARe System (DSC822e 모듈, 세라믹 센서 및 STAR 소프트웨어 version 13 으로 셀 측정) 에서 수집하였다. 기구를 인증된 인듐을 사용하여 에너지 및 온도에 대해 교정하였다. 측정 동안 샘플에 대해 20 mL/분의 질소 퍼징을 유지하였다.
염에 대해, 전형적으로 1-5 mg 의 샘플을, 자동으로 천공되며 퍼니스에 위치된 Mettler Toledo 40 마이크로리터 팬에 칭량하였다. 4℃/분의 가열 속도를 20℃ 내지 500℃ 의 범위에서 적용하였다.
산에 대해, 전형적으로 1-5 mg 의 샘플을, 용접 밀폐되며 퍼니스에 수동으로 위치된 Tuev Sued (Switzerland) M20 고압 팬에 칭량하였다. 4℃/분의 가열 속도를 20℃ 내지 400℃ 의 범위에서 적용하였다.
용융점을 피크 온도로서 보고한다.
축약 (본원에서 또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한 바와 같음):
aq. 수성
atm 대기
eq. 당량(들)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 술폭시드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x. 실시예
Fig 도면
GC-MS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h 시간(들)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PC 공정중 대조군
iPrMgCl 이소프로필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질량 분석
M 정확한 질량 (LC-MS 에 대해 사용된 바와 같음)
min 분(들)
MHz 메가헤르츠
min 분(들)
MP 용융점
MS 질량 분석
N 규정도 (Normality)
NMR 핵 자기 공명
1H-NMR 양성자의 핵 자기 공명
org. 유기
RT 실온
TBM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R 보유 시간
sat. 포화
soln. 용액
UV 자외선
% a/a 면적% (면적% 에 의한 순도)
실시예
참조예 1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의 합성
4,5- 디브로모 -2-(4- 메톡시 -2- 니트로페닐 )-2 H -1,2,3- 트리아졸
4-플루오로-3-니트로아니솔 (3.44 g, 1 eq.), 4,5-디브로모-2H-1,2,3-트리아졸 (4.56 g, 1 eq.)1, K2CO3 (2.78 g, 1 eq.) 및 DMF (30 mL) 를 110℃ 로 32 h 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22℃ 로 냉각하고, 물 (70 mL) 로 처리한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15 mL) 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이소프로판올 (40 mL) 중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산출한다. 수율: 6.42 g, 84%. 순도: 100%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6
1 X. Wang, L. Zhang , D. Krishnamurthy , C. H. Senanayake , P. Wipf Organic Letters 2010 12 (20), 4632-4635.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아닐린
4,5-디브로모-2-(4-메톡시-2-니트로페닐)-2H-1,2,3-트리아졸 (2 g, 1 eq.), 소듐 아세테이트 (1.3 g, 3 eq.) 및 10% Pd/C 50% 물 (습식) (0.3 g) 을 EtOAc (10 mL) 에 현탁한다. 혼합물을 50℃ 로 가열하고,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수소 하에 둔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다. 여과물을 1 N NaOH (10 mL) 및 물 (15 mL) 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오일을 산출한다. 수율: 0.95 g, 94%. 순도: 96%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7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아닐린 모노술페이트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아닐린 (455 g, 1 eq ) 을 이소프로판올 (3 L) 에 용해한다. 용액에 농축 H2SO4 (235 g, 1 eq.) 를 40℃ 미만에서 첨가한다. 현탁액을 20℃ 로 냉각하고 여과한다. 케이크를 이소프로판올 (700 mL) 및 TBME (1.5 L) 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수율: 627 g, 91%. 순도: 100% a/a (LC-MS 방법 2).
2-(2-요오도-4-메톡시페닐)-2 H -1,2,3-트리아졸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아닐린 모노술페이트 (200 g, 1 eq.) 를 2 M aq. H2SO4 soln. (1.4 L) 에 용해하고 -5℃ 로 냉각시킨다. 용액에 물 (600 mL) 중 소듐 니트라이트 (62 g, 1.3 eq.) 의 용액을 -5 내지 0℃ 에서 첨가한다. 혼합물을 0℃ 에서 30 min 동안 교반한 다음, 65℃ 에서 물 (700 mL) 중 KI (161 g, 1.4 eq.) 의 사전가열된 혼합물에 첨가한다. 생성 용액을 60℃ 에서 20 min 동안 교반하고, 20℃ 로 냉각시키고, 물 (120 mL) 중 술팜산 (27 g, 0.4 eq.) 의 용액으로 처리한다.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 L)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2 N NaOH (500 mL) 및 40% NaHSO3 soln. (100 mL) 의 혼합물, 및 1 N HCl (50 mL) 및 물 (500 mL) 의 혼합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이소프로판올 (700 mL) 에 용해하고 0℃ 로 냉각시킨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한다. 고체를 감압 하에 건조시킨다. 수율: 164 g, 79%. 순도: 100%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8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2-(2-요오도-4-메톡시페닐)-2H-1,2,3-트리아졸 (200 g, 1 eq.) 을 THF (2 L) 에 용해하고 0℃ 로 냉각시킨다. THF (350 mL, 1.05 eq.) 중 2 M iPrMgCl soln. 을 0℃ 에서 첨가한다.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CO2 (기체) 를 발열이 중단될 때까지 30 분에 걸쳐 용액에 버블링시킨다. 혼합물에 2 N HCl (600 mL) 을 8℃ 에서 첨가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2.4 L 용매를 제거한다. 잔류물을 TBME (1.6 L)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1N HCl (200 mL) 로 세척하고, 1N NaOH (600 mL 및 200 mL) 로 추출한다. aq. 층을 목탄 (15 g) 을 통해 여과하고, 물 (200 mL) 로 희석하고, 32% HCl (160 mL) 로 처리한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200 mL) 로 세척한다. 수율: 127 g, 87%. 순도: 100% a/a (LC-MS 방법 2); MP: 130℃ (DSC goldpan). 수득한 생성물은 톨루엔 (MP: 130.9℃) 또는 물 (MP: 130℃) 로부터 재결정화될 수 있다.
표 참조 1: 결정질 형태 2 (톨루엔으로부터 재결정화) 로의 5- 메톡시 -2-(2 H -1,2,3-트리아졸-2-일)벤조산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19
참조예 2
4-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의 합성
4,5- 디브로모- 2-(5-메틸-2-니트로 페닐 )-2H-1,2,3- 트리아졸
3-플루오로-4-니트로톨루엔 (1367 g, 1 eq.), 4,5-디브로모-2H-1,2,3-트리아졸 (1999 g, 1 eq.), K2CO3 (1340 g, 1.1 eq.) 및 DMF (11 L) 를 75℃ 로 15 h 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22℃ 로 냉각시키고 물 (18 L) 로 처리한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4 L) 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이소프로판올 (5 L) 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산출한다. 수율: 2811 g, 88%. 순도: 100%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0
4-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아닐린
4,5-디브로모-2-(5-메틸-2-니트로페닐)-2H-1,2,3-트리아졸 (205 g, 1 eq.), 소듐 아세테이트 (149 g, 3.2 eq.) 및 5% Pd/C 50% 물 (습식) (37.8 g) 을 EtOAc (0.8 L) 에 현탁한다. 혼합물을 40-50℃ 로 가열하고,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수소 하에 둔다 (2 bar).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다. 여과물을 물 (300 mL), 2N NaOH (300 mL+250 mL) 및 물 (300 mL) 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산출한다. 수율: 132 g, 90%. 순도: 100%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1
4-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아닐린 모노술페이트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 아닐린 (199 g, 1 eq ) 을 이소프로판올 (1.7 L) 에 용해한다. 용액에 농축 H2SO4 (118 g, 1.05 eq.) 를 40℃ 미만에서 첨가한다. 현탁액을 20℃ 로 냉각시키고 여과한다. 케이크를 이소프로판올 (500 mL) 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수율: 278 g, 89%. 순도: 100%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2
2-(2- 요오도 -5- 메틸페닐 )-2 H -1,2,3- 트리아졸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아닐린 모노술페이트 (1553 g, 1 eq.) 를 1 M aq. H2SO4 soln. (11 L) 에 용해하고 -5℃ 로 냉각시킨다. 용액에 물 (4 L) 중 소듐 니트라이트 (433 g, 1.1 eq.) 의 용액을 -5 내지 0℃ 에서 첨가한다. 혼합물을 0℃ 에서 30 min 동안 교반한 다음, 55-70℃ 에서 물 (4 L) 중 포타슘 요오다이드 (1325 g, 1.4 eq.) 의 사전가열된 혼합물에 첨가한다. 생성 용액을 60℃ 에서 20 min 동안 교반하고, 20℃ 로 냉각시키고, 물 (900 mL) 중 술팜산 (220 g, 0.4 eq.) 의 용액으로 처리한다.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3 L)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2 N NaOH (3.5 L) 및 40% NaHSO3 soln. (330 g) 의 혼합물, 및 1 N HCl (280 mL) 및 물 (3.5 L) 의 혼합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건조시킨다. 수율: 1580 g, 97%. 순도: 91% a/a (LC-MS 방법 2).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3
제 2 뱃치 (1411 g) 와 함께, 미정제 생성물을 120℃ 쟈켓 온도, 공급 탱크 (70℃), 냉각 핑거 (20℃) 및 0.004 mbar 의 압력에서 단경로 증류 장비 상에서 증류에 의해 정제한다. 수율: 2544 g (78%), 순도: 100 % a/a (LC-MS 방법 2).
4-메틸-2-(2 H -1,2,3-트리아졸-2- )벤조산
2-(2-요오도-5-메틸페닐)-2H-1,2,3-트리아졸 (1250 g, 1 eq.) 을 THF (13 L) 에 용해하고 0℃ 로 냉각시킨다. THF (2.2 L, 1 eq.) 중 2 M iPrMgCl soln. 을 0℃ 에서 첨가한다. 혼합물을 -25℃ 로 냉각시키고, CO2 (기체) 를 발열이 중단될 때까지 60 min 에 걸쳐 용액에 버블링시킨다. 혼합물에 2 N HCl (5 L) 을 4℃ 에서 첨가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14.5 L 용매를 제거한다. 잔류물을 TBME (10 L)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1N NaOH (6 L 및 3 L) 로 추출한다. aq. 층을 목탄 (15 g) 을 통해 여과하고, 물 (200 mL) 로 희석하고, 32% HCl (1.23 L) 로 처리한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5 L) 로 세척한다. 수율: 796 g, 89%. 순도: 100% a/a (LC-MS 방법 2); MP: 125℃ (DSC goldpan).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1: 결정질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포타슘 염 (포타슘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일)벤조에이트)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 (21.5 g, 0.093 mol, 1 eq.), 구리 (I) 요오다이드 (0.886 g, 0.05 eq.) 및 K2CO3 분말 (32.2 g, 2.5 eq.) 을 디옥산 (600 mL) 및 물 (8.4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에 1H-1,2,3-트리아졸 (10.8 mL, 2 eq.) 및 트랜스-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1.32 g, 0.1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3.5 h 동안 가열하였다. IPC 는 전체 전환을 보여주었다. 원하는 N(2) 대 레지오이성질체성 N(1) 이성질체의 비는 84:16 였다. 혼합물을 40℃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디옥산 (100 mL) 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건조시켜, 50.6 g 의 청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N(2) 대 N(1) 이성질체의 비는 98.6:1.4 였다.
표 1: 결정질 형태 1 로의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4
실시예 1.2: 결정질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실시예 1.1 의 고체를 물 (300 mL) 에 용해하였다. TBME (200 mL) 및 32% aq. HCl (35 mL) 을 첨가하였다. aq. 층을 분리하고 폐기하였다. 유기층을 2N aq. HCl (100 mL) 및 32% aq. HCl (20 mL) 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HCl (5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NaOH (200 mL) 로 추출하였다. aq. 층을 45℃ 로 가열하고, 미량의 TBME 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aq. 층에 45℃ 에서 32% aq. HCl (20 mL) 을 첨가하였다. pH 6 에서 임의로는 시드 결정을 첨가하였다. 생성 현탁액을 40℃ 에서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물 (30 mL) 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60℃ 및 5 mbar 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12.4 g, 61%. 순도: 100% a/a, tR 0.63 min. 시드 결정은 상기 절차에 따른 주의깊은 결정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MP: 80℃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5
표 2: 결정질 형태 1 로의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 벤조산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6
실시예 1.3: 결정질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포타슘 염
예를 들어 참조예 1 의 절차에 따라 수득된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5 g, 0.0228 mol) 및 KHCO3 (1.61 g, 0.7 eq) 을 디옥산 (100 mL) 및 물 (1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40 min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율: 2.56 g, 44%.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7
MP: 279.5℃ (DSC 는 흡열 탈용매화에 기인한 것일 수 있는 약 153℃ 내지 203℃ 에서의 넓은 흡열 이벤트를 추가로 보여주며; 용융 직후에 발열 분해가 이어짐).
표 3: 결정질 형태 2 로의 5- 메톡시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8
실시예 1.4: 결정질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포타슘 염
대안적 절차에서,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 (20 g, 0.086 mol, 1 eq.), 구리 (I) 요오다이드 (0.824 g, 0.05 eq.) 및 K2CO3 분말 (26.9 g, 2.25 eq.) 을 디옥산 (494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에 1H-1,2,3-트리아졸 (12 g, 2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1 h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에 물 (12.5 g, 8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2 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 (100 mL) 를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8 분 내에 45℃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디옥산 (50 mL) 으로 세척하였다.
XRPD 는 결정질 형태 1 에 상응한다 (도 1, 실시예 1.1 참조).
실시예 1.5: 결정질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 )벤조산
실시예 1.4 의 고체를 물 (200 mL) 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50℃ 로 가열하고 20% aq. H2SO4 (40 mL) 을 첨가하여, pH 를 5 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20% aq. H2SO4 (40 mL) 로 45℃ 에서 처리하였다. pH 3 에서 시드 (예를 들어 참조예 1 의 절차를 사용하여 수득됨) 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45℃ 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생성물을 물 (20 mL) 로 세척하고 60℃ 및 10 mbar 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수율: 10.8 g, 57%. 순도: 100% a/a, tR 0.63 min.
실시예 1.5 에 따라 수득한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의 특징분석:
XRPD 는 결정질 형태 1 에 상응한다 (도 2, 실시예 1.2 참조).
실시예 2:
실시예 2.1: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 )벤조산 포타슘 염 (포타슘 4-메틸-2-(2H-1,2,3-트리아졸-2- )벤조에이트)
2-브로모-4-메틸벤조산 (20 g, 0.093 mol, 1 eq.), 구리 (I) 요오다이드 (0.886 g, 0.05 eq.) 및 K2CO3 분말 (32.2 g, 2.5 eq.) 을 디옥산 (300 mL) 및 물 (10.1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에 1H-1,2,3-트리아졸 (10.8 mL, 2 eq.) 및 트랜스-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1.32 g, 0.1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4 h 동안 가열하였다. IPC 는 98.5% 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원하는 N(2) 대 레지오이성질체성 N(1) 이성질체의 비는 75:25 였다. 혼합물을 정상압 및 130℃ 의 외부 온도에서 농축하였다. 용매 (100 mL) 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디옥산 (10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5℃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디옥산 (80 mL) 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건조시켜, 48.8 g 의 청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N(2) 대 N(1) 이성질체의 비는 98.7:1.3 이었다.
표 4: 결정질 형태 1 로의 4-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포타슘 염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29
실시예 2.2: 결정질 4- 메틸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실시예 2.1 의 고체를 물 (300 mL) 에 용해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에 TBME (200 mL) 및 32% aq. HCl (30 mL) 을 첨가하였다. aq. 층을 분리하고 폐기하였다. 유기층을 2N aq. HCl (100 mL) 및 32% aq. HCl (10 mL) 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HCl (5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NaOH (200 mL) 로 추출하였다. aq. 층을 45℃ 로 가열하고, 미량의 TBME 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aq. 층에 45℃ 에서 32% aq. HCl (20 mL) 을 첨가하였다. pH 6 에서 시드 결정 (예를 들어 참조예 2 의 절차를 사용하여 수득됨) 을 첨가하였다. 생성 현탁액을 40℃ 에서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물 (30 mL) 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60℃ 및 5 mbar 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11.7 g, 62%. 순도: 100% a/a. tR 0.66 min.
MP: 125℃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0
표 5: 결정질 형태 1 로의 4-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 벤조산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1
실시예 2.3: 결정질 4-메틸-2-(2H-1,2,3-트리아졸-2- )벤조산 포타슘 염
4-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5 g, 0.0246 mol) 및 KHCO3 (1.74 g, 0.7 eq) 을 디옥산 (100 mL) 및 물 (1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40 min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율: 2.47 g, 42%. MP: 277℃ (DSC Alupan)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2
MP: 276.8℃ (DSC 는 흡열 탈용매화에 기인한 것일 수 있는 약 140℃ 내지 208℃ 에서의 넓은 흡열 이벤트를 추가로 보여주며; 용융 직후에 발열 분해가 이어짐).
XRPD 는 결정질 형태 1 에 상응한다 (도 4, 실시예 2.1 참조).
참조예 3:
참조예 3.1: 결정질 5- 메틸 -2-(2H-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소듐 염 (소듐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에이트)
2-브로모-5-메틸벤조산 (20 g, 0.093 mol, 1 eq.), 구리 (I) 요오다이드 (0.886 g, 0.05 eq.), Na2CO3 분말 (24.6 g, 2.5 eq.) 을 디옥산 (300 mL) 및 물 (10.1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에 1H-1,2,3-트리아졸 (10.8 mL, 2 eq.) 및 8-히드록시 퀴놀린 (1.35 g, 0.1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5 h 동안 가열하였다. IPC 는 >99% 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원하는 N(2) 대 레지오이성질체성 N(1) 이성질체의 비는 78:22 였다. 혼합물을 정상압 및 135℃ 의 외부 온도에서 농축하였다. 용매 (100 mL) 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디옥산 (10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5℃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디옥산 (80 mL) 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건조시켜, 36.2 g 의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N(2) 대 N(1) 이성질체의 비는 99:1 였다.
표 6: 결정질 형태 1 로의 5-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벤조산 소듐 염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3
참조예 3.2: 결정질 5- 메틸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참조예 3.1 에서 수득한 고체를 물 (300 mL) 에 용해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에 TBME (200 mL) 및 32% aq. HCl (30 mL) 을 첨가하였다. aq. 층을 분리하고 폐기하였다. 유기층을 1N aq. HCl (10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HCl (5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1N aq. NaOH (200 mL) 로 추출하였다. aq. 층을 45℃ 로 가열하고 미량의 TBME 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aq. 층에 45℃ 에서 32% aq. HCl (20 mL) 을 첨가하였다. pH 6 에서 시드 결정 (예를 들어 참조예 2 의 절차를 사용하여 수득됨) 을 첨가하였다. 생성 현탁액을 40℃ 에서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물 (30 mL) 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60℃ 및 5 mbar 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12.1 g, 64%. 순도: 100% a/a. tR 0.67 min.
MP: 173℃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4
표 7: 결정질 형태 1 로의 5- 메틸 -2-(2 H -1,2,3- 트리아졸 -2-일) 벤조산에 대한 특징분석 데이터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5
참조예 3.3: 결정질 5- 메틸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소듐 염
5-메틸-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5 g, 0.0246 mol) 및 Na2CO3 (1.05 g, 0.4 eq) 을 디옥산 (100 mL) 및 물 (1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40 min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율: 2.79 g, 50%. MP: 341℃ (DSC Alupan)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6
XRPD 는 결정질 형태 1 에 상응한다 (도 6, 참조예 3.1 참조).
참조예 3.4: 5- 메틸 -2-(2H-1,2,3- 트리아졸 -2- )벤조산 포타슘 염
2-브로모-5-메틸벤조산 (20 g, 0.093 mol, 1 eq.), 구리 (I) 요오다이드 (0.886 g, 0.05 eq.) 및 K2CO3 분말 (32.1 g, 2.5 eq.) 을 디옥산 (600 mL)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에 1H-1,2,3-트리아졸 (10.8 mL, 2 eq.) 및 8-히드록시 퀴놀린 (1.35 g, 0.1 eq.)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 4 h 동안 가열하였다. IPC 는 >94% 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원하는 N(2) 대 레지오이성질체성 N(1) 이성질체의 비는 78:22 였다. 혼합물을 35℃ 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디옥산 (100 mL) 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물에 용해하고, LC-MS 를 기록하였다. N(2) 대 N(1) 이성질체의 비는 83:17 였다.
참조예 4.1 : 메틸 (S)-1-(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일) 벤조일 )-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산 (100 g, 0.46 mol) 을 DCM (650 mL) 및 DMF (10 mL) 에 20℃ 에서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51 mL, 0.59 mol) 를 30 min 의 기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LC-MS 는 산 클로라이드 중간체로의 60% 전환을 보여주었다. 옥살릴 클로라이드 (17.6 mL, 0.45 eq.) 를 적가하였다. LC-MS 는 산 클로라이드 중간체로의 전체 전환을 보여주었다.
메틸 (S)-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84 g, 0.47 mol) 을 제 2 플라스크에서 DCM (800 mL) 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을 10℃ 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200 mL, 1.41 mol) 을 15 min 에 걸쳐 첨가하였다. 산 클로라이드 용액을 10-20℃ 에서 적어도 15 min 에 걸쳐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M HCl (500 mL), 1N NaOH (500 mL) 및 물 (50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건조시켜, 옅은 황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7 g, 100%, 99% a/a (LC-MS), M+1=345.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7
참조예 4.2 : (S)-1-(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일) 벤조일 )-2- 메틸피롤리딘 -2-카르복실산
메틸 (S)-1-(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일)-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57 g, 0.46 mol) 를 MeOH (750 mL) 에 20℃ 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6% NaOH (300 mL) 를 첨가하였다. 생성 용액을 80℃ 까지 가열하고 60 min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제거하였다 (850 mL). 잔류물을 20℃ 에서 DCM (1500 mL) 및 물 (450 ml) 중 취하였다. 32% HCl (200 mL) 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 (450 mL)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 최소 교반 부피로 농축하였다. 톨루엔 (750 mL) 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 하 추가 증류하였다 (150 mL 증류됨).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15 min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20℃ 에서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톨루엔 (150 mL) 으로 헹군 다음, 감압 하에 50℃ 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28 g, 85%, 94% a/a (LC-MS), M+1=331. 용융점: 178℃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8
참조예 4.3: (S)-N-(2-아미노-4- 클로로 -3- 메틸페닐 )-1-(5- 메톡시 -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일 )-2 메틸피롤리딘 -2- 카르복사미드
(S)-1-(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일)-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28 g, 0.39 mol) 을 DCM (850 mL) 및 DMF (6 mL) 에 20℃ 에서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39 mL, 0.45 mol) 를 30 min 의 기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4-클로로-3-메틸벤젠-1,2-디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75 g, 0.39 mol) 를 제 2 플라스크에서 DCM (1300 mL) 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을 10℃ 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180 mL, 1.27 mol) 을 첨가하였다. 산 클로라이드 용액을 10-20℃ 에서 적어도 15 min 에 걸쳐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물 (650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1900 mL 증류됨). TBME (1000 mL) 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 하 추가 증류하였다 (400 mL 증류됨). 혼합물을 최종적으로 20℃ 로 냉각시키고 15 min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현탁액을 20℃ 에서 여과제거하였다. 케이크를 TBME (250 mL) 로 헹군 다음, 감압 하에 50℃ 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45 g, 80%, 97% a/a (LC-MS), M+1=469. 용융점: 185℃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39
참조예 4.4: (S)-(2-(5- 클로로 -4- 메틸 -1H- 벤조[d]이미다졸 -2-일)-2- 메틸피롤리딘 -1-일) (5- 메톡시 -2-(2H-1,2,3- 트리아졸 -2-일)페닐) 메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
(S)-N-(2-아미노-4-클로로-3-메틸페닐)-1-(5-메톡시-2-(2H-1,2,3-트리아졸-2-일) 벤조일)-2-메틸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145 g, 0.31 mol) 를 이소프로판올 (870 mL) 에 20℃ 에서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이소프로판올 (260 mL) 중 5-6 N HCl 을 10 min 에 걸쳐 주의깊게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90℃ 까지 가열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8 mL)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켰다. 옅은 갈색 현탁액을 수득하여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이소프로판올 (220 mL) 로 헹구었다. 고체를 최종적으로 감압 하에 60℃ 에서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133 g, 88%, 100% a/a (LC-MS), M+1=451. 용융점: 277℃ (DSC).
Figure 112019123079680-pct00040

Claims (16)

  1. 식 (IK) 의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결정질 포타슘 염의 합성 방법으로서:
    Figure 112021044889864-pct00041

    [식 중,
    R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을 나타냄];
    상기 방법이
    ㆍ 식 (II) 의 화합물:
    Figure 112021044889864-pct00042

    ㆍ 및 [1,2,3]트리아졸:
    Figure 112021044889864-pct00043

    의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ㆍ 구리 (I) 요오다이드 (CuI);
    ㆍ 무기 포타슘 염기; 및
    ㆍ 하기와 같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또는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이의 임의의 혼합물
    (상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5 +-10% 내지 100 +-10% vol 의 양으로 존재함)
    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식 (II) 의 화합물 및 [1,2,3]트리아졸의 상기 커플링이 60 +-5 ℃ 초과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이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되는, 합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구리 (I) 요오다이드 (CuI) 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구리 (I) 요오다이드 (CuI) 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0.01 +-10% eq. 내지 0.5 +-10% eq. 의 양으로 존재하는, 합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포타슘 염기가 K2CO3 이고; K2CO3 가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1 +-10% eq. 내지 10 +-10% eq. 의 양으로 존재하는, 합성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H-1,2,3-트리아졸이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1 +-10% eq. 내지 10 +-10% eq. 의 양으로 존재하는, 합성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하기의 존재 하에 실시되는 합성 방법으로서: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인 용매 (상기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는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5 +-10% 내지 100 +-10% vol 의 양으로 존재함); 및
    식 (II) 의 화합물에 대해 0.05 +-10% 내지 2 +-10% vol 의 양의 물;
    여기서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 대 물의 비가 10:1 +-10% (v/v) 초과인, 합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단리 전에, 반응 혼합물에서의 물의 양이 감소되고; 이후 추가의 수 혼화성 에테르 용매가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식 (IK) 의 결정질 화합물의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단리 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이 50 +-5 ℃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고; 반응 혼합물의 상기 냉각이 2 +- 10% 시간 이하 내에 달성되는, 합성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K) 의 단리된 결정질 화합물:
    Figure 112023052610047-pct00044

    [식 중,
    R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1 은 수소를 나타내고, R2 는 메틸을 나타냄]
    이 식 (I) 의 각각의 결정질 2-(2H-[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로 변형되는 합성 방법으로서:

    상기 변형 방법이 산성 수성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합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수성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가 30 +-5 ℃ 내지 60 +-5 ℃ 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식 (I) 의 결정질 화합물이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단리되며; 상기 고체-액체 분리가 10 +-2 ℃ 내지 50 +-5 ℃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합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산성 수성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에서, 산성 수용액이 4 +-10% 미만의 pH 를 갖는, 합성 방법.
  11. 식 (IK)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로서:
    Figure 112021044889864-pct00046

    식 중에서, R1 이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가 수소를 나타내며;
    하기를 특징으로 하거나:
    a)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6.7°, 7.4°, 15.4°, 23.3°, 27.0°; 또는
    b)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10.8°, 15.1°, 25.0°, 25.9°, 27.1°
    또는 식 중에서, R1 이 수소를 나타내고, R2 가 메틸을 나타내며;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고: 5.4°, 10.7°, 16.1°, 21.6°, 27.0°;
    상기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이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2θ 값의 정확도가 2θ +/- 0.2° 의 범위에 있는, 식 (IK)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2.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로서:
    Figure 112021044889864-pct00047

    식 중에서, R1 이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가 수소를 나타내며;
    하기를 특징으로 하거나:
    a)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5.7°, 11.5°, 17.2°, 21.3°, 25.0°; 또는
    b)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 11.4°, 12.3°, 15.5°, 21.3°, 23.6°;
    또는, 식 중에서, R1 이 수소를 나타내고, R2 가 메틸을 나타내며;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고: 6.2°, 12.5°, 15.1°, 18.8°, 25.2°;
    상기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이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2θ 값의 정확도가 2θ +/- 0.2° 의 범위에 있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3. 제 12 항에 있어서, R1 이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가 수소를 나타내며;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고: 5.7°, 11.5°, 16.0°, 17.2°, 18.9°, 19.7°, 21.3°, 23.7°, 25.0°, 27.9°; 상기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이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2θ 값의 정확도가 2θ +/- 0.2° 의 범위에 있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80 +-5 ℃ 의 용융점을 갖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5. 제 12 항에 있어서, R1 이 수소를 나타내고, R2 가 메틸을 나타내며; 하기 굴절각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에서의 피크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고: 6.2°, 11.3°, 12.5°, 13.3°, 15.1°, 17.0°, 17.8°, 18.8°, 22.6°, 25.2°; 상기 X-선 분말 회절 다이어그램이 Kα2 스트리핑 없이, 조합된 Cu Kα1 및 Kα2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되며; 2θ 값의 정확도가 2θ +/- 0.2° 의 범위에 있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125 +-5 ℃ 의 용융점을 갖는, 식 (I) 의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KR1020197035319A 2017-05-03 2018-05-02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KR102582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7/060451 2017-05-03
EP2017060451 2017-05-03
PCT/EP2018/061172 WO2018202689A1 (en) 2017-05-03 2018-05-02 Preparation of 2-([1,2,3]triazol-2-yl)-benzoic acid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97A KR20200003097A (ko) 2020-01-08
KR102582197B1 true KR102582197B1 (ko) 2023-09-22

Family

ID=6211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19A KR102582197B1 (ko) 2017-05-03 2018-05-02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1124488B2 (ko)
EP (1) EP3619199B1 (ko)
JP (1) JP7182562B2 (ko)
KR (1) KR102582197B1 (ko)
CN (1) CN110612291B (ko)
CA (1) CA3059394C (ko)
CY (1) CY1124777T1 (ko)
DK (1) DK3619199T3 (ko)
ES (1) ES2892161T3 (ko)
HR (1) HRP20211304T1 (ko)
HU (1) HUE055904T2 (ko)
IL (1) IL270274B (ko)
LT (1) LT3619199T (ko)
MX (1) MX2019012902A (ko)
PL (1) PL3619199T3 (ko)
PT (1) PT3619199T (ko)
RS (1) RS62357B1 (ko)
SI (1) SI3619199T1 (ko)
TW (1) TWI756418B (ko)
WO (1) WO2018202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75369A1 (en) 2020-04-19 2021-10-28 Guy Braunstein Medical use of daridorexant
WO2023218023A1 (en) 2022-05-13 2023-11-16 Idorsia Pharmaceuticals Ltd Thiazoloaryl-methyl substituted cyclic hydrazine-n-carboxamide derivati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983A (zh) 2014-12-23 2015-05-2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一种酸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12910D1 (de) 2006-08-15 2011-04-14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Azetidinverbindungen als orexin-rezeptor-antagonisten
CA2662612A1 (en) 2006-09-29 2008-04-03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3-aza-bicyclo[3.1.0]hexane derivatives
PE20081229A1 (es) * 2006-12-01 2008-08-28 Merck & Co Inc Antagonistas de receptor de orexina de diazepam sustituido
TW200833328A (en) 2006-12-28 2008-08-16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2-aza-bicyclo[3.1.0]hexane derivatives
WO2008139416A1 (en) 2007-05-14 2008-11-20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2-cyclopropyl-thiazole derivatives
JP2010528007A (ja) 2007-05-23 2010-08-19 メルク・シャープ・エンド・ド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シクロプロピルピロリジンオレキシ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
JP5847087B2 (ja) * 2009-10-23 2016-01-20 ヤンセ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 エヌ.ベー. オレキシン受容体調節因子としての縮合複素環式化合物
EP2491031B1 (en) 2009-10-23 2013-08-07 Janssen Pharmaceutica N.V.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as orexin receptor modulators
AU2010310595B2 (en) 2009-10-23 2015-07-16 Janssen Pharmaceutica Nv Disubstituted octahy - dropyrrolo [3,4-c] pyrroles as orexin receptor modulators
CN103443094A (zh) 2010-12-17 2013-12-11 大正制药株式会社 吡唑衍生物
WO2012085852A1 (en) 2010-12-22 2012-06-28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3,8-diaza-bicyclo[4.2.0]oct-8-yl amides
US9108959B2 (en) * 2011-03-03 2015-08-18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orexin receptor antagonist
US9586962B2 (en) 2011-04-20 2017-03-07 Janssen Pharmaceutica Nv Disubstituted octahydropyrrolo [3,4-C] pyrroles as orexin receptor modulators
EP2730573A4 (en) 2011-07-05 2014-12-03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METHYLPIPERIDINDERIVAT
WO2013050938A1 (en) * 2011-10-04 2013-04-11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3,7-diazabicyclo[3.3.1]nonane and 9-oxa-3,7-diazabicyclo[3.3.1]nonane derivatives
SI2776430T1 (sl) 2011-11-08 2016-06-30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2-(1,2,3-triazol-2-il)benzamidni in 3-(1,2,3-triazol-2-il)pikolinamidni derivati kot antagonisti oreksinskega receptorja
EP2847343A4 (en) 2012-05-09 2016-04-06 Merck Sharp & Dohme METHOD FOR PREPARING AN INTERMEDIATE FOR AN OREXIN RECEPTOR ANTAGONIST
LT2855453T (lt) 2012-06-04 2017-02-27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Benzimidazolo prolino dariniai
JP2014015452A (ja) 2012-06-15 2014-01-30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ピラゾ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
KR102151288B1 (ko) * 2012-10-10 2020-09-03 이도르시아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오르토 바이 (헤테로 )아릴]-[2-(메타 바이 (헤테로 )아릴)-피롤리딘-1-일]-메타논 유도체인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CN105051040A (zh) 2013-03-12 2015-11-11 埃科特莱茵药品有限公司 作为食欲素受体拮抗剂的氮杂环丁烷酰胺衍生物
TW201444849A (zh) * 2013-03-13 2014-12-01 Janssen Pharmaceutica Nv 經取代的7-氮雜雙環類及其作為食慾激素受體調節劑之用途
TW201444821A (zh) 2013-03-13 2014-12-01 Janssen Pharmaceutica Nv 經取代之哌啶化合物及其作為食慾素受體調節劑之用途
NO3077389T3 (ko) * 2013-12-03 2018-02-10
UA119151C2 (uk) 2013-12-03 2019-05-10 Ідорсія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Лтд КРИСТАЛІЧНА СОЛЬОВА ФОРМА (S)-(2-(6-ХЛОР-7-МЕТИЛ-1H-БЕНЗО[d]ІМІДАЗОЛ-2-ІЛ)-2-МЕТИЛПІРОЛІДИН-1-ІЛ)(5-МЕТОКСИ-2-(2H-1,2,3-ТРИАЗОЛ-2-ІЛ)ФЕНІЛ)МЕТАНОНУ ЯК АНТАГОНІСТ ОРЕКСИНОВОГО РЕЦЕПТОРА
PL3077391T3 (pl) 2013-12-04 2019-01-31 Idorsia Pharmaceuticals Ltd Zastosowanie pochodnych benzimidazoloproliny
WO2015123355A1 (en) * 2014-02-12 2015-08-20 Eolas Therapeutics, Inc. Substituted prolines / piperidines as orexin receptor antagonists
WO2016020403A1 (en) 2014-08-04 2016-02-11 Sandoz Ag Preparation of a benzoic acid derivative and its use for the preparation of suvorexant
US10131653B2 (en) * 2015-04-24 2018-11-20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Heterocyclic compou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983A (zh) 2014-12-23 2015-05-2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一种酸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4488B2 (en) 2021-09-21
CA3059394C (en) 2023-09-12
SI3619199T1 (sl) 2021-11-30
TWI756418B (zh) 2022-03-01
JP7182562B2 (ja) 2022-12-02
RS62357B1 (sr) 2021-10-29
EP3619199B1 (en) 2021-07-07
WO2018202689A1 (en) 2018-11-08
CA3059394A1 (en) 2018-11-08
JP2020518573A (ja) 2020-06-25
DK3619199T3 (da) 2021-09-27
HRP20211304T1 (hr) 2021-11-12
KR20200003097A (ko) 2020-01-08
CN110612291A (zh) 2019-12-24
PT3619199T (pt) 2021-10-01
EP3619199A1 (en) 2020-03-11
MX2019012902A (es) 2019-12-16
US20210114997A1 (en) 2021-04-22
CY1124777T1 (el) 2022-11-25
CN110612291B (zh) 2024-02-13
ES2892161T3 (es) 2022-02-02
PL3619199T3 (pl) 2021-12-20
TW201843144A (zh) 2018-12-16
LT3619199T (lt) 2021-09-27
HUE055904T2 (hu) 2021-12-28
IL270274A (ko) 2019-12-31
IL270274B (en)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2211C (en) Imidazole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EP1854795B1 (en) Salt of a proline derivative, solvate thereof,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WI518081B (zh) 1-triazole-2-butanol derivative
JP2852659B2 (ja) ピペラ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塩
WO2011055270A1 (en) Indole based receptor crth2 antagonists
KR20110130388A (ko) 제약 화합물
NO339422B1 (no) Bisykliske [3.0.1]heteroarylamider som type 1 glysin transport inhibitorer
KR20070086865A (ko) N-치환된 벤즈이미다졸일 c-kit 억제제 및 조합적인벤즈이미다졸 라이브러리
JP2011516398A (ja) Npy−y5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ヘテロスピロ−デカン残基を有する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AU2015323817A1 (en) 1-alkyl-6-oxo-1,6-dihydropyridin-3-yl compounds and use as SGRM modulators
NO20120841A1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tetrazol-metansulfonsyresalter og ny forbindelse som anvendes i denne
KR20210114972A (ko) 치환된 피롤리딘 아마이드 iii
KR102582197B1 (ko) 2-([1,2,3]트리아졸-2-일)-벤조산 유도체의 제조
JP2010533725A (ja) ヒスタミン‐3(h3)受容体としてのアミノアルキルアゾール化合物
JP2011515359A (ja) 治療用トリアゾールアミド誘導体
AU751015B2 (en) Novel sulfonamide substituted chroman derivatives useful as beta-3 adrenoreceptor agonists
KR102516638B1 (ko) 레날리도마이드의 결정형 a의 제조 방법
CN112390725B (zh) 一种酰胺类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5018289A1 (zh) 一种合成阿哌沙班重要中间体的新方法
WO1993020066A1 (en) Imidazole, triazole and tetrazole derivatives
Jung et al. Synthesis of 2‐(1‐methyl‐1, 2, 5, 6‐tetrahydropyridin‐3‐yl) benzimidazoles
EP3986885B1 (en) Substituted pyrrolidine amides iv
JP2018525395A (ja) オレキシン受容体拮抗薬の化合物の結晶形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
NO148747B (no) Analogi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n-fenyl-n-(4-piperidinyl)lavere alkyl-tetrazolamider
WO2016071382A1 (en) Synthesis of pi3k inhibitor and sal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